KR970001388B1 - 벤딩을 감소시키기 위한 선 주사 장치 - Google Patents

벤딩을 감소시키기 위한 선 주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1388B1
KR970001388B1 KR1019870013263A KR870013263A KR970001388B1 KR 970001388 B1 KR970001388 B1 KR 970001388B1 KR 1019870013263 A KR1019870013263 A KR 1019870013263A KR 870013263 A KR870013263 A KR 870013263A KR 970001388 B1 KR970001388 B1 KR 9700013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generating
line
conveying
predetermi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132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6576A (ko
Inventor
랩 옌 리이 데니
Original Assignee
이 아이 듀우판 디 네모아 앤드 캄파니
제임즈 죠오지프 플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 아이 듀우판 디 네모아 앤드 캄파니, 제임즈 죠오지프 플린 filed Critical 이 아이 듀우판 디 네모아 앤드 캄파니
Publication of KR8800065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65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13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13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4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 H04N1/047Detection, control or error compensation of scanning velocity or posi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exposing, i.e. imagewise exposure by optically projecting the original image on a photoconductive recording material
    • G03G15/04036Details of illuminating systems, e.g. lamps, reflectors
    • G03G15/04045Details of illuminating systems, e.g. lamps, reflectors for exposing image information provided otherwise than by directly projecting the original image onto the photoconductive recording material, e.g. digital copi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5/00Arrangements for producing a permanent visual presentation of the output data, e.g. computer output printers
    • G06K15/02Arrangements for producing a permanent visual presentation of the output data, e.g. computer output printers using printers
    • G06K15/12Arrangements for producing a permanent visual presentation of the output data, e.g. computer output printers using printers by photographic printing, e.g. by laser printers
    • G06K15/1295Arrangements for producing a permanent visual presentation of the output data, e.g. computer output printers using printers by photographic printing, e.g. by laser printers using a particular photoreceptive mediu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4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 H04N1/12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the sheet-feed movement or the medium-advance or the drum-rotation movement as the slow scanning component, e.g. arrangements for the main-scanning
    • H04N1/126Arrangements for the main scanning
    • H04N1/127Arrangements for the main scanning using a cathode ray tube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4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 H04N1/113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oscillating or rotating mirr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4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 H04N1/113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oscillating or rotating mirrors
    • H04N1/1135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oscillating or rotating mirrors for the main-scan on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4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 H04N1/12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the sheet-feed movement or the medium-advance or the drum-rotation movement as the slow scanning component, e.g. arrangements for the main-scan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24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deleted
    • H04N2201/02406Arrangements for positioning elements within a head
    • H04N2201/02425Self-adjusting arrangements, e.g. compensating for temperature fluctu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4Scanning arrangements
    • H04N2201/0402Arrangements not specific to a particular one of the scanning methods covered by groups H04N1/04 - H04N1/207
    • H04N2201/0458Additional arrangements for improving or optimising scanning resolution or qu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4Scanning arrangements
    • H04N2201/047Detection, control or error compensation of scanning velocity or position
    • H04N2201/04701Detection of scanning velocity or position
    • H04N2201/0471Detection of scanning velocity or position using dedicated detec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4Scanning arrangements
    • H04N2201/047Detection, control or error compensation of scanning velocity or position
    • H04N2201/04701Detection of scanning velocity or position
    • H04N2201/04731Detection of scanning velocity or position in the sub-scan dir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4Scanning arrangements
    • H04N2201/047Detection, control or error compensation of scanning velocity or position
    • H04N2201/04701Detection of scanning velocity or position
    • H04N2201/04732Detecting at infrequent intervals, e.g. once or twice per line for main-scan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4Scanning arrangements
    • H04N2201/047Detection, control or error compensation of scanning velocity or position
    • H04N2201/04701Detection of scanning velocity or position
    • H04N2201/04737Detection of scanning velocity or position by detecting the scanned medium directly, e.g. a leading ed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4Scanning arrangements
    • H04N2201/047Detection, control or error compensation of scanning velocity or position
    • H04N2201/04753Control or error compensation of scanning position or velocity
    • H04N2201/04758Control or error compensation of scanning position or velocity by controlling the position of the scanned image area
    • H04N2201/04767Control or error compensation of scanning position or velocity by controlling the position of the scanned image area by controlling the timing of the signals, e.g. by controlling the frequency o phase of the pixel clock
    • H04N2201/04781Controlling the phase of the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4Scanning arrangements
    • H04N2201/047Detection, control or error compensation of scanning velocity or position
    • H04N2201/04753Control or error compensation of scanning position or velocity
    • H04N2201/04789Control or error compensation of scanning position or velocity in the main-scan dir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4Scanning arrangements
    • H04N2201/047Detection, control or error compensation of scanning velocity or position
    • H04N2201/04753Control or error compensation of scanning position or velocity
    • H04N2201/04791Control or error compensation of scanning position or velocity in the sub-scan dir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Facsimile Scanning Arrangements (AREA)
  • Exposure Or Original Feeding In Electrophotography (AREA)
  • Fax Reproducing Arrangements (AREA)
  • Dot-Matrix Printers And Others (AREA)
  • Laser Beam Printer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벤딩을 감소시키기 위한 선 주사 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도의 장치의 블록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CRT선 주사 노출원을 도시한 도면.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선 주사 노출원을 도시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 드럼 20 : 진공 펌프
26I : 화상면 40 : 조색부
50 : 융합부 68 : 활성선원
66A,66B : 주사위치선
본 발명은 전자사진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전자사진 복사 시스템에 사용되는 개선된 주사선 노출 조절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전자사진 상(像) 복사 시스템은 여러해 동안 존재해 왔다. 이러한 시스템들은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이 작동된다. 활성선(actinic radiation)에 노출되었을때 화상요소(imaging element)표면의 누적 전하가 도전 경로를 통하여 선택적으로 유출되도록 도전되는 광도전층으로 구성된 화상요소가 스코로트론(Scorotron)이나 코로나(Corona) 하전 장치와 같은 방사선원의 하부를 통과하므로써 상기 화상요소가 먼저 균일한 대전층으로 하전된다. 그후, 대전면은 화상 방향으로 조절된 활성선에 노출되어 광도전층을 도전시키고 누적 전하를 방전시킨다. 상기 활성건(acitinic radiation)라는 용어는 광화학적 기능뿐만 아니라 광전효과 등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연속 조색 시스템에서 화상요소 표면에 남아있는 전하량은 그 요소에 의해 수용된 활성선량에 반비례한다. 이런 방식에서는 화상요소에 투사되는 화상방향으로 변조된 활성전에 상응하는 잠상(潛像)을 형성하는 정전하 패턴이 상기 요소상에 생성된다. 화상요소의 어떤 한점에서도 정전하량은 조사되는 활성선의 강도에 반비례된다.
정전하를 띠고 있는 화상요소에 전하 패턴의 흡인되는 착색입자들을 이용하여 현상(development)하므로써 잠상은 투시가능하게 될 수 있다. 원하는 결과에 따라서, 착색 입자등은 화상요소에 있던 원래 전하와 동일한 극성의 전하를 띨 수도 있고, 또는 그 반대 극성의 전하를 띨 수도 있다. 전하 입자들이 동일하고 적당한 바이어스(bias)전극이 사용되면, 착색입자 등은 원래의 전하가 누출되어 버린 지역에 우선적으로 흡인되어, 본래의 노출 강도에 비례하는 강도의 어두운(darked)지역 또는 착색된(colored) 지역을 생성한다.
만약 전하 입자들이 반대이면, 활성선에 최소로 노출된 지역에 최대량의 입자들이 흡입된다. 첫번째 경우에는 상기 역전이 일어나, 밝은 색조가 어둡게 되고, 어두운 색조가 밝아진다. 두번째 경우에는, 상 색조들이 원래의 것과 동일하게 복사된다.
착색입자들은 건조한 형태일 수 있고, 또는 운반액에 분산되어 공급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안료, 착색입자, 또는 분산액과 같은 것들은 본 기술분야에 널리 공지되어 있다. 안료액은 해상도가 더 높은 경향을 보이기 때문에, 널리 선호되어 있다.
본 기술분야에 공지된 것처럼 상은, 조색된 다음 건조되고 융합되거나 수용 요소상에 전달되어서 보여질 수도 있고 또는 그 이상의 것들을 조합하여 보여질 수도 있다.
이러한 타입의 전자사진 시스템을 이용해서 상을 복사하는데 발생되는 문제점은 밴딩(banding)이다. 상기 밴딩은 일반적으로 상의 폭이나 길이 전체를 가로질러 그 밀도가 더 어둡거나 더 밝은 수평 또는 수직의 띠이거나 또는 수평 및 수직 띠 모양을 취한다.
화상요소가 횡방향 비임에 거의 수직방향으로 구동되는 동안 화상요소 표면에 걸쳐 강도 조절식 활성선 비임이 이동중인 정보를 반복해서 가로지르는 주사 노출원에 밴딩이 특히 문제가 된다.
이러한 밴드들에 대한 원인은 2가지가 있다. 수평 밴드들, 즉 화상요소가 움직이는 방향에 가로질러 연장되는 밴드들은 일반적으로, 구동의 불규칙성에 기인한다. 구동의 불규칙성 때문에 화상요소의 속도에 약간의 변화가 발생되어 비임이 일부 겹치게 되고 그 결과, 활성선에 더 높이 노출되거나, 더 낮게 노출되는 화상요소 지역들이 발생된다. 수직 밴드들, 즉 화상요소의 이동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밴드들은 일반적으로 활성선원의 불규칙성에 기인한다. 음극선관(CRT)이 노출원으로서 사용되는 경우, 이러한 불극칙성들을 통상적으로 광출력을 생성시키는 CRT에 이응된 형광층의 불균일성에 기인된다. 두가지 문제점들은 연속색상이 복사되고 있을때 가장 가시적인 것이며 불필요한 것이다.
따라서, 밴딩 결함이 감소된 상을 생성하는 주사 노출원을 필요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자사진 복사 시스템에서 잠상을 생성시킬 때 밴딩을 감소시키는 장치가 제공된다. 이러한 장치는 그에 관련된 무질서한 잡음 및/또는 주기적 잡음을 갖는다. 본 발명은 제1 및 제2이격위치들 각각에 있어서 동일한 소정 잠상의 제1 및 제2화상비임을 발생시킨다. 각 화상비임의 강도는 소정의 화상선 강도 크기의 대략 절반이다. 화상요소들은 제1 및 제2위치들을 통과하도록 이송되어 그 요소의 동일한 소정부분이 화상비임에 연속적으로 노출되게 한다. 그 결과 상기 장치의 잡음으로 인한 밴딩 효과가 감소된다.
본 발명을 상세히 서술하면, 노출된 화상요소의 전체 노출지역을 덮는 피주사 패턴을 발생시키기 위하여 변조된 주사 화상비임을 이응하는 선 주사 장치에서 발생되는 화상방향 변조식 활성선에 이동중인 화상요소를 노출시키는 장치에 있어서, 화상요소의 노출된 지역중 주사될 각각의 부위는 각가의 주사 비임이 동일한 상 정보를 가진채 주사 장치의 서로 다른 지역에서 발생되는 주사 비임을 이용해서 적어도 두번 주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가 제공된다. 각각의 비임의 강도는 소정의 화상선 강도 크기는 약 1/2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가 하기에 상세히 서술될 것이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라 화상요소를 화상선에 노출시키는데 유효한 전자사진 복사장치(10)의 사시도이다. 상기 복사장치(10)의 드럼(12)은 회전축선(16)을 중심으로 화살표(14)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장착된다. 드럼(12)에는 또한 도전 로울러 열(array)이 제공되고, 그들중 3개의 로울러(18A,l8B,18C)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로울러(18)는 접지부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드럼(12)의 표면(12S)에는 필름시이트를 설치하는 수단이 제공되며, 이러한 설치 수단으로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것이 드럼(12)의 표면(12S)에 배치된 다수의 구멍들(22)과 유체 연결되는 작동가능하게 연결된 진공 펌프(20)로 이루어지는 진공설치 시스템이다. 이러한 시스템외에 클립 장치와 같은 다른 적당한 수단도 이용될 수 있음을 인식하여야 한다.
시이트 필름 공급기(24)는 드럼(12)의 근방에 설치된다. 필름공급기(24)는 필름시이트로 언급되는 전자사진 화상요소(26)를 드럼(12)의 표면(12S)에 분배하는데 이용된다. 필름시이트(26)이 상면은 화상면(26I)이다.
필름시이트(26)는, 복사장치(10)에 의한 이송로(27)를 따라 드럼(12)의 필름시이트(26)를 이송할때, 화상면(26I)이 드럼 표면(12S)의 바깥쪽을 향하도록 상기 설치수단에 의하여 정위치에 유지된다. 필름시이트(26)는 지지 기부상에서 2개의 층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지지기부는 그 두께가 일반적으로 1.78×10-2cm(0.007 )인 폴리에스테르 기부이다. 2개의 층중 화상면(26I)이 있는 외층은 광도전중이다. 다른 층은 전기적으로 도전된다. 외층의 일부는 도전층 스트립이 형성되도록 적어도 한쪽 모서리를 따라 제거된다. 노출된 도전층 스트립에 도전충 안료가 칠해져서 필름시이트(26)가 이송로(27)를 따라 이송됨에 따라, 상기 도전층은 로울러 (18A,18B,18C)와 접촉된다.
필름공급기(24)로부터 화살표(14)방향의 하류에서 드럼(12)의 근방에는 스코로트론이나 코로나 형태의 하전기구(28)가 설치된다. 상기 스코로트론 하전기구(28)는 필름시이트(26)의 전체 화상면(26I)에 걸쳐 균일한 정전하를 인가하는 기능을 한다.
하전기구(28)에는 화살표(14)방향의 하류쪽으로 드럼(12)의 근방에는 노출부(32)가 설치된다. 하기에 상세히 서술되는 노출부(32)는 변조된 활성선 형태의 복사 에너지원을 포함한다. 활성선이라는 용어는 광화학적 기능뿐만 아니라 여기서 설명되는 광전효과 등도 범용한다고 해석된다.
노출부(32)에 이어서 화살표(14)방향으로는 조색부(40)가 설치된다. 상기 조색부(40)는 드럼(12)곡면에 일치하도록 제작된 통상적으로 안료액 도포기(liquid toner applicator)에 의하여 양호하게 작동되며, 상기 도포기는 부품 번호 AG3-0054-020으로서 이메즌 꼬오포레이션에 의해 판매되고 있다. 4.D.C. 모우터는 본래의 AC 구동 모우터를 대신하며, 구동 드라이브에는 수동 로울러가 제공된다. 통상적으로, 공기 송풍기로 구성되는 건조부(44)가 조색부(40)의 근방에 설치된다.
드럼(12)의 표면(12S)으로부터 노출 및 투영된 필름시이트(26)를 벗겨서 융합부(50)로 안내하는 제거수단(48)이 필름시이트(26)의 이송로(27)를 따라 작동위치에 설치된다. 상기 제거수단(48)은 진공 해제 메카니즘 형태를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융합부(50)는 통상적으로 1쌍의 압착 로울러(52A,52B)로 구성된다.
사용되는 특정 안료에 따라서, 로울러(52A,52B)쌍중 적어도 하나의 로울러는 안료의 융합에 도움이 주기 위하여 가열될 수도 있다. 융합부(50)로부터 방출되는 투영된 필름시이트(26)를 수용하기 위하여 필름시이드 수용접시(56)가 제공된다.
이송로(27)를 따라 전진하는 필름시이트(26)의 위치를 모니터하기 위하여 드럼(12)과 작동가능하게 결합된 필름시이트 위치감지기(60)가 제공된다. 상기 필름시이트 위치감지기(60)로 사용하기에 적당한 것은 광원과 그에 관련된 광트랜지스터이다. 상기 필름시이트 위치감지기(60)는 스코로트론 하전기구(28)의 상류쪽에 이송로(27)를 따라서 편리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노출부(32)의 작동요소를 조절하기 위하여, 전자식 주사 제어 시스템(62)이 제공된다.
제1도 및 제2도에는 복사장치(10)의 작동이 상세히 도시되어 있고, 상기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라 필름시이트(26)의 표면인 화상표면(26I)에 상을 발생시킬 때 사용되는 장치의 주요 요소들의 개략적인 블록다이아그램이다.
작동시, 입력 라인(64)을 통한 지령에 따라, 필름시이트(26)는 공급기(26)로부터 회전드럼(12)의 표면(12S)위로 배출된다. 상기 필름시이트(26)는 구멍(22)을 통해 진공펌프(20)의 작동에 의하여 드럼(12)상에 유지된다. 그후 필름시이트(26)는 스코로트론 하전기구(28)의 작동에 의하여 그 표면인 화상면(26I)이 균일하게 하전된다. 하전된 필름시이트(26)는 이송로(27)를 따라 노출부(32)의 근방에 위치된 소정의 제1 및 제2주사위치선(66A,66B)을 통과한다. 노출부(32)에서 필름시이트(26)는 후술되는 바와 같이 강도가 변하는 활성선 화상방향으로 노출된다. 상기 노출부(32)는 활성선원(68)과, 활성선의 화상비임(69A,69B)을 각각의 주사위치선(68A,66B)쪽으로 편향시키는 조향수단(70)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화상방향의 노출에 따라, 필름시이트(26)의 표면인 화상면(26I)은 입사선 에너지 강도에 비례하여 선택적으로 하전되며, 잠상을 표현하는 다양한 강도의 전하패턴을 남긴다.
상기 잠상은 조색작업에 의하여 가시화된다. 조색공정은 필름시이트 표면이 안료액 푸울(pool)에 양호하게 잠겨있는 조색부(40)에서 실시도니다. 필름시이트 표면인 화상면(26I)의 전하강도에 비례하여 안료 입자들이 상기 화상면(26I)에 하전 패턴으로 흡입된다. 조색된 필름시이트의 표면인 화상면(26I)은 건조부(44)에서 어떠한 잔류 액체라도 건조되어 제거수단(48)에 의하여 드럼에서 벗겨진 후, 유합부(50)에서 그 표면(26I)위로 색상이 영구히 고착된다.
전자식 주사 제어 시스템(62)은 그 출력 변조기(76)에 연결되는 데이터 기억장치(74)를 포함한다. 변조기(76)는 라인(78)을 통해 활성선원(source of actinic radiation)(68)에 연결된다. 데이타 기억장치(74)는 입력라인(64)을 거쳐 명령을 지령하여 상 데이터를 디지탈 형태로 기억하고 검색한다. 상기 데이터 기억장치(74)는 재생될 상에 소정 갯수의 화소들인 각각은 픽셀(Pixel) 강도를 디지탈로 표시한다. 이런 표시에는 소정 갯수의 픽셀이 포함되어 있다.
각각의 강도 수준은 변조기(76)에서, 활성선원(68)으로부터의 활성선 출력비임의 강도 수준을 조절하는 라인(78)상의 신호로 변환된다. 데이터 기억장치(74)는 또한 원격 소오스로부터 상을 표시하는 디지탈 데이터를 수용할 수 있게 하는 기능적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기억장치는 작동자가 조절하는 입 출력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동기화 수단(80)은 라인(82)을 거쳐 위치 감지기(60)에 연결되고, 라인(84)을 거쳐 노출원(32)의 조향수단(70)에 자동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동기화 수단(80)은, 화상비임이 주사위치선들(66A,66B)중 어느 하나를 향할때 화상비임을 변조하기 위해 데이터 기어장치(74)에 기억된 적절한 픽셀의 라인을 선택하도록 작동된다. 동기화 수단(80)의 제어하에 있는 조향수단(70)에 의하여, 화상비임은 적절한 주사위치선(66A 또는 66B)을 향하게 된다. 실제로 동기화 수단(80)은 라인(82)상의 필름시이트 위치 표시 신호에 반응하여 동기화 수단(80)에 내장된 클럭(clock)에 의하여 측정된대로 라인(84)을 거쳐 출력 제어 신호를 생성함으로써, 비임을 희망의 주사위치선(66A 또는 66B)을 향하게 한다.
이러한 시스템의 작동은 제3도에 도시된 노출부(32)의 양호한 실시예와 관련되어 하기에 상세히 서술될 것이다. 제3도의 노출부(32)는 광섬유 면판(92)을 갖는 통상적인 음극선관(90)형태를 취한다. 상기 면관(92)의 내부는 형광층(94)으로 덮인다. 상기 형광층(94)에 있는 형광층(phosphor)는 캐소우드(cathode)(100)에서 방출되는 전자 비임(98)에 의하여 여진된다. 여진 비임(98)은 라인(84)에 있는 동기화수단(80)으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응하여 요오크(yoke)시스템(102)에 의해 편향되어 면관의 형광층(94)의 2개의 2개의 이격된 지역들(106A,106B)을 선택적으로 주사한다. 여진 비임(98)이 지역들(106A,1068)중 하나를 향할때, 비임의 수평 소인은 통상적인 수평 편향 요오크들(그리고 도시안된 관련의 제어회로)에 의하여 방향(107A 또는 107B)으로 각각 제어된다. 상기 지역(106A,106B)은 소정갯수의 비임폭만큼 서로 이격되어 있고 거의 평행하다. 전자비임(98)에 의해 그 지역들을 주사하면, 형광층(94)에서 방사된 빛은 광섬유 면판(92)을 통해 전달된다. 상기 면판(92)을 통해 전달된 빛은 제1 및 제2주사위치선(66A,66B)에서 제1 및 제2화상비임(69A,69B)을 각각 생성한다. 각각의 화상비임(69A,69B)은 서술되는 바와 같이 주로 필름시이트(26)의 광반응 특성에 따라 소정의 화상비임 강도 크기의 일정한 비율(약 50%)을 포함한다.
화상요소(26)는 주사위치선(66A,663)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이송로(27)를 따라 일정 속도로 전진되어, 필름시이트(26)의 제1소정 부위(26P-1)를 제1주사선위치(66A)의 하부로이동시킨다. 필름시이트(26)의 제1소정 부위(26P-1)가 제1주사위치섬(66A)의 하부에 위치되면, 전자비임(98)이 형광층(94)의 지역(106A)을 가로질러 주사될 때, 화상비임(69A)은 정보를 갖는 상으로 변조된다. 화상비임(69A)은, 필름시이트의 제1부위를 적절히 노출시키는데 필요한 소정의 화상비임 강도 크기의 절반을 함유한다. 따라서, 필름시이트(26)의 제1소정 부위(26P-1)에 제1중간 피주사선이 생성된다.
필름시이트(26)가 이송로(27)를 따라 계속 전진하면, 필름시이트(26)의 제2소정 부위(26P-2)는 제1주사 위치선(66A)의 하부에 위치된다. 그후, 제1화상비임(69A)은 전자비임(98)이 형광층(94)의 제1지역(106A)에 다시 주사될 때, 필름시이트(26)의 제2부위(26P-2)에 제2피주사선을 생성시키기 위하여 정보를 갖는 상으로 다시 변조된다. 이러한 화상비임(69A) 역시, 필름시이트의 제2부위를 적절히 노출하는데 필요한 소정의 화상비임 강도 크기의 절반을 함유한다.
필름시이트(26)가 계속해서 더 전진하면 제1주사위치선(66A)의 하부에 일련의 부위[26P-3,26P-4,…,26P-M, …26P-(N-1),26P-N]가 위치된다[N은 필름시이트(26) 부위들의 총 갯수, M≤N]. 필름시이트(26)의 제1부위(26P-1)가 제2주사위치선(66B)에 이송될 때까지, 전자비임(98)은 꺼져 있으며, 지역(106B)에서 형광층(94)을 여진시키지 않는다.
필름시이트(26)가 이송로(27)를 따라 전진함에 따라, 필름시이트(26)의 제1부위(26P-1)는 결국 제2주사 위치선(66B)의 하부에 위치된다. 이때, 필름시이트의 부위들중 26P-M 부위와 같은 기타 부위가 제1주사위치선(66A)의 하부에 위치될 수도 있다. 따라서 동기화 수단(80)에 의해, 필름시이트(26)의 M번째 부위에 해당되는 상 정보는 주사위치선(66A)의 하부에 위치된 부위(26P-M)를 가로질러 주사되고, 제1중간 피주사선에 해당되는 정보, 즉 제1부위(26P-1)가 주사위치(66A)의 하부에 위치될 때, 그 부위에 사용된 것과 동일한 상 정보는 주사위치선(66B)을 가로질러 주사하는 화상비임(69B)을 변조시킨다. 각각의 화상비임(69A,69B)은 각각의 부위(26P-M,26P-1)에서 상을 적절히 노출하는데 필요한 필수 강도 크기의 절반을 함유한다. 그 결과, 부위(26P-M)에는 제1중간 퍼주사선이 생성되고, 부위(26P-1)에는 최종 퍼주사선이 생성된다. 필름시이트(26)가 이송로(27)를 따라 전진하고, 필름시이트(26)의 적절한 부위들이 적절한 주사위치선(66A 또는 66B)에 위치될 때, 적당한 정보가 그 부위들을 가로질러 주사되면서,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정이 반복된다. 이러한 방법에 의해 필름시이트(26)의 각 부위에는 최종 퍼주사선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필름시이트(26)의 각 부위(26P-1‥‥‥26P-N)가 동일한 상 정보로 2번 주사됨을 알 수있다. 그러나, 설명되는 바와 같이, 화상비임이 형광층의 서로 다른 부위에 생성되기 때문에, 형광체의 불규칙성으로 인하여(형성될) 비임의 잡음요소가 각각의 화상비임에서 다르게 된다. 또한 필름시이트의 각각의 부위가 두번 주사되기 때문에, 필름시이트 구동의 불규칙성으로 인한 잡음성분도 서로 다르게 된다. 필름시이트의 동일 부위는 두번 이상 주사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것은 본 발명의 범위내에 있음을 인식하여야 한다.
제4도에는 활성선원(68)이 헬륨-네온 레이저(110)와 같은 간섭선 소오스 형태를 취하는 노출부(32)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레이저(110)는 라인(78)을 거쳐 변조수단(76)에 연결되는 음향변조기(112)를 포항한다. 렌즈(114)는 레이저(110)에서 방출되는 변조된 복사비임(116)을 집중시키고, 이를 제1진동거울(120A)을 향하게 한 다음에 제2진동거울(120B)을 향하게 한다. 거울(120A,120B)과 이들에 대한 각각의 구동수단(122A,122B)은 본 실시예의 노출부(32)의 조향수단(70)을 형성한다. 상기 진동 거울(120A,120B)의 상대위치는 반대로 될 수도 있음을 인식하여야 한다. 2개의 거울(120A,120B) 대신에 1개의 반사 거울이 사용될 수도 있음을 인식하여야 한다. 각각의 주사위치선(66A,66B)을 향하는 화상비임(69A,69B)은 제2거울(120B)면에 있는 각각의 지역(106A,106B)으로부터 반사되어 형성된다. 상기 화상비임(69A,69B)은 제3도에 도시된 것과 같은 화상선 강도로 나타난다. 제4도의 비임(69A,69B)은 제3도를 참조로 설명된 것과 같은 방식으로 이송로(37)를 따라 이동하는 필름시이트(26)를 주사하는 역할을 한다.
이상의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필름시이트의 동일 부위를 가로질러 각각 주사되는 화상비임의 강도는 필름시이트의 그 부위가 주사되는 횟수에 반비례한다. 예를 들어, 필름시이트가 S개의 이격된 각각의 주사위치에서 화상비임에 의해 주사되면, 각각의 화상비임은 주로 필름시이트의 광반응 특성에 기초하여 필름시이트 부위의 노출에 필요한 비임 강도 크기의 약 1/S을 함유한다. 제3도 및 제4도에 따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2개의 주사위치선(66A,66B)이 있기 때문에, 각각의 화상비임(69A,69B)은 각각의 필름시이트의 일정부위 전체를 노출시키는데 필요한(즉, 필름시이트의 그 부위에 최종 피주사선을 생성하는데 필요한) 소정의 화상선 강도 크기의 약 1/2을 함유한다.
작동시 도면에서 설명된 장치(10)는 최종 색상에 관련된 잡음을 갖게 된다. 여기서 사용된 잡음이라는용어는 전자사진 노출장치에 의하여 발생된 불규칙 섭동(perturbation)과 주기적 섭동 모두를 포함한다. 주기적 잡음은 필름시이트 이송 구동의 불극칙에 의해 발생된다. 불규칙 잡음은 예를 들어 형광층(94)[제3도의 실시예에서는 광섬유 면판(92)]의 지역(106A,106B)의 결함에 의해, 또는 레이저 광학적 변조 시스템(제4도의 실시예의 경우)의 결함에 의해 발생될 수도 있다. 그러나, 잡음의 원인이 어떻든간에 소정 갯수(그 강도가 각각 동일하게 감소된)의 화상비임으로 필름시이트(26)의 동일 부위를 주사하므로써 이들 각각은 동일한 상 정보를 함유하여 최종 상의 잡음 영향을 줄이는 경향이 있다. 불극칙 잡음은 필름시이트의 동일 부위가 주사되는 횟수의 제곱근 즉
Figure kpo00001
에 비례하여 감소된다. 주기적 잡음은 상기 잡음의 주파수 증가에 기인하여 감소된다. 이러한 주파수는 필름시이트의 동일 부위가 주사되는 횟수 S에 직접 비례하여 증가된다. 주기적 잡음성분의 주파수가 증가하고 감소된 강도(1/S)로 주사가 실행되기 때문에, 관찰자에게는 주기적 잡음의 영향이 점점 더 보이지 않게 된다. 이러한 성분들 모두가 협동하여 실질적으로 밴딩을 감소시키는 양호한 효과를 발생하고, 그 결과 색상이 개선된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서 기능적 요소들(74,76,80)은 중앙처리장치에서 모토롤라 M68000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사용하는 컴퓨터 시스템에서 작동된다.
상기 M68000 조립체에 있고 C 소오스언어로 구성된, 이러한 기능들이 수행되는 18페이지(A-1 내지 A-18)로 구성된 컴퓨터 프로그램이 하기에 첨부되었으며 이것은 본 발명의 일부를 구성한다.
상술한 바에 따라 본 기술분야의 숙련자라면, 본 발명에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으며, 이러한 변경에 따른 실시예는 첨부된 청구범위로부터의 일탈없이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자명한 것이다.
Figure kpo00002
Figure kpo00003
Figure kpo00004
Figure kpo00005
Figure kpo00006
Figure kpo00007
Figure kpo00008
Figure kpo00009
Figure kpo00010
Figure kpo00011
Figure kpo00012
Figure kpo00013
Figure kpo00014
Figure kpo00015

Claims (7)

  1. 노광시 잡음이 수반되며 화상 요소를 소정강도의 화상선에 노출시키는 장치에 있어서, 단임의 비임의 방향을 변화시키므로써 화상 요소의 이송방향을 따라 복수인 S개소의 이격된 각각의 위치에서 소정의 복수 S개의 화상비임의 하나를 발생시키고, 그 각각의 화상비임을 상기 화상 요소의 이송방향과 직각인 방향으로 주사하는 수단과, 상기 각각의 화상비임에 동일한 상 정보를 지지하고 또한 상기 각각의 화상비임의 강도를 소정 크기의 화상선 강도 1/S로 하는 수단과, 상기 S개소의 이격된 위치를 통하여 상기 화상 요소를 이송하고, 상기 화상 요소와 동일한 소정의 부분이 상기 S개의 전부 화상비임을 순차적으로 수납하도록 하고, 이에 의해 장치의 잡음의 영향을 감소시키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벤딩을 감소시키기 위한 선 주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비임의 발생수단은 소정의 면직을 갖는 형광체층과, 여기 비임을 발생시키고 이를 변조하여 상기 형광체층의 적어도 2개의 개소의 영역으로 이송시키고 이에 의해 상기 S개의 화상비임을 발생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벤딩을 감소시키기 위한 선 주사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형광체층과 상기 화상 요소의 사이에 삽입설치된 광섬유 면관을 부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벤딩을 감소시키기 위한 선 주사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비잉의 발생수단은 반사부재와, 간섭성 방사선 비임을 변조하는 변조된 상기 비임을 상기 반사부재와 적어도 2개의 각각의 영역에 이송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벤딩을 감소시키기 위한 선 주사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간섭성 방사선의 비임의 촛점을 집중시키는 수단을 부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벤딩을 감소시키기 위한 선 주사 장치.
  6. 제1항, 제2항, 제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비임의 발생수단에 작동상태로 연결되어 상기 화상 요소의 이송수단에 응답하고, 상기 화상 요소의 소정 부분이 상기 S개소중의 제n의 위치에 있을 때에 제n의 화상비임을 발생시키는 위치센서수단을 부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벤딩을 감소시키기 위한 선 주사 장치.
  7. 작동시 잡음이 발생되며 화상 요소를 소정강도의 화상선에 노출시키므로써 연속한 색조의 전자사진 상을 발생시키는 장치에 있어서, (a) 화상 요소를 지지하면서 상기 화상 요소를 복수의 S개소의 이격된 위치를 포함하는 소정경로를 따라 이송하는 이송수단을 갖는 회전드럼과, (b) 상기 회전드럼의 표면에 인접하여 설치된 상기 화상 요소를 이송하기 위하여 이송장치 및 상기 이송장치로부터 상기 회전들머상에 화상면을 갖는 화상 요소를 한번에 1매씩 이송하는 수단과, (c) 상기 회전드럼의 회전방향에서 상기 이송장치에 연속하여 상기 회전드럼에 인접하여 설치되고 상기 화상 요소의 표면에 균일한 전하를 부여할 수 있는 하전수단과, (d) 상기 화상면에 정전 잠상을 발생시키는 수단과, (e) 상기 화상면상의 정전 잠상에 정전 안료를 부여하여 상기 잠상을 가시화하는 조색수단과, (f) 상기 화상면상의 토너상의 정착하는 정차수단을 포함하며, (g) 상기 정전 잠상을 형성하는 수단 그 자체가 상기 S개소의 이격된 위치의 각각에서 복수 S개의 화상비임중 하나를 발생시키고 각각의 화상비임에 동일한 상 정보를 갖게 하는 동시에 그 강도를 소정 크기의 화상선 강도의 1/S로 하는 수단을 포하하며, 상기 회전드럼에 조립되고 상기 이송수단에 응답하여 상기 화상 요소의 소정부분이 상기 S개소중의 제1의 위치에 있을 때 제1의 화상비임을 발생시키고, 이에 의해 장치의 잡음의 영향을 감소시키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벤딩을 감소시키기 위한 선 주사 장치.
KR1019870013263A 1986-11-25 1987-11-24 벤딩을 감소시키기 위한 선 주사 장치 KR9700013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934,827 1986-11-25
US06/934,827 US4746940A (en) 1986-11-25 1986-11-25 Line scanner to reduce banding
JP934827 1986-11-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6576A KR880006576A (ko) 1988-07-23
KR970001388B1 true KR970001388B1 (ko) 1997-02-06

Family

ID=254661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13263A KR970001388B1 (ko) 1986-11-25 1987-11-24 벤딩을 감소시키기 위한 선 주사 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4746940A (ko)
EP (1) EP0269034B1 (ko)
JP (1) JPH07118766B2 (ko)
KR (1) KR970001388B1 (ko)
AU (1) AU609430B2 (ko)
BR (1) BR8706316A (ko)
CA (1) CA1282819C (ko)
DE (1) DE3777765D1 (ko)
HK (1) HK51392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43251A (en) * 1990-06-29 1996-08-06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Method of recording plural holographic images into a holographic recording material by temporal interleaving
US6025922A (en) * 1998-12-18 2000-02-15 Electronics For Imaging Reduction of banding in printed images
US7911652B2 (en) * 2005-09-08 2011-03-22 Xerox Corporation Methods and systems for determining banding compensation parameters in printing systems
US7564475B1 (en) 2008-03-28 2009-07-21 Xerox Corporation Compensation of high frequency banding in printing systems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00955A (en) * 1970-09-01 1972-10-24 Honeywell Inc Cathode ray tube display apparatus with extended tube life
DE2644953A1 (de) * 1975-10-09 1977-04-21 Coburn Technologies Inc Kopiergeraet mit zusaetzlicher bilderzeugungseinrichtung
DE2822639A1 (de) * 1978-05-24 1979-11-29 Messerschmitt Boelkow Blohm Einrichtung zur erzeugung fotografischer belichtungen mit hilfe eines digital gespeicherten bildinhaltes und eines relativ zu einem lichtempfindlichen material bewegten reproduktionskopfes
JPS5515122A (en) * 1978-07-18 1980-02-02 Toshiba Corp Electronic printer
US4201996A (en) * 1978-10-05 1980-05-06 Tektronix, Inc. Cathode ray tube having image transfer means
GB2051679B (en) * 1979-06-02 1983-04-07 Konishiroku Photo Ind Electrophotographically recording information
DE3041132A1 (de) * 1979-11-06 1981-05-21 Fujitsu Ltd., Kawasaki, Kanagawa Bildaufzeichnungsverfahren
US4355891A (en) * 1980-03-06 1982-10-26 Xerox Corporation Reduction of lamp strobing effects in a reproducing apparatus
US4367943A (en) * 1980-03-21 1983-01-11 Konishiroku Photo Industry Co., Ltd. Apparatus for providing recording compensation for rotating drum speed fluctuations in an information recording apparatus
US4350435A (en) * 1980-04-04 1982-09-21 Eastman Kodak Company Copy contrast and density control
DE3027194A1 (de) * 1980-07-18 1982-02-18 Olympia Werke Ag, 2940 Wilhelmshaven Elektrofotografisches schreib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durchfuehrung des verfahrens
US4359745A (en) * 1980-07-30 1982-11-16 Honeywell Inc. Cathode ray tube display apparatus
DE3108115A1 (de) * 1981-03-04 1982-09-16 Philips Patentverwaltung Gmbh, 2000 Hamburg Verfahren und andordnung zur elektrophotografischen darstellung von informationen
US4445125A (en) * 1982-04-19 1984-04-24 Xerox Corporation Diode laser array system for printing and copying applications
ATE26622T1 (de) * 1982-05-18 1987-05-15 Comtech Res Unit Elektrophotographie.
JPS59135488A (ja) * 1983-01-24 1984-08-03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US4554561A (en) * 1983-04-11 1985-11-19 Xerox Corporation Multi-channel electro-optic printer for printing plural image lines at once
US4551732A (en) * 1983-06-20 1985-11-05 Tektronix,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odulating the recording rate of an image on the recording media of a line scan graphic recorder with the velocity of the recording media
US4578331A (en) * 1983-07-11 1986-03-25 Ricoh Company, Ltd. Color image forming method
US4627712A (en) * 1983-08-06 1986-12-09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density control apparatus
JPS60158698U (ja) * 1984-03-30 1985-10-22 沖電気工業株式会社 ライン光源
US4560989A (en) * 1984-04-23 1985-12-24 Tektronix,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ccelerating the recording rate of a CRT graphic recorder
JPS6163870A (ja) * 1984-09-05 1986-04-02 Fuji Xerox Co Ltd 電子写真式プリンタ用光書込み装置
JPS61182966A (ja) * 1985-02-08 1986-08-1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画像記録装置
JPS62265859A (ja) * 1986-05-13 1987-11-18 Fujitsu Ltd 電子プリンタ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S63144369A (ja) 1988-06-16
CA1282819C (en) 1991-04-09
EP0269034A3 (en) 1989-01-04
DE3777765D1 (de) 1992-04-30
KR880006576A (ko) 1988-07-23
EP0269034A2 (en) 1988-06-01
BR8706316A (pt) 1988-07-19
AU609430B2 (en) 1991-05-02
AU8165387A (en) 1988-05-26
JPH07118766B2 (ja) 1995-12-18
HK51392A (en) 1992-07-24
EP0269034B1 (en) 1992-03-25
US4746940A (en) 1988-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269033B1 (en) Exposure control system for continuous tone electrophotographic film
EP0047180B1 (en) Reproduction apparatus
US4660961A (en) Copying apparatus for synthesizing images
US4801978A (en) Image bar printer compensated for vibration-generated scan line errors
JPS6326389B2 (ko)
KR970001388B1 (ko) 벤딩을 감소시키기 위한 선 주사 장치
JP3221500B2 (ja) 半透明素材のコピー方法
US4044671A (en) Duplicating apparatus employing modulator screen cylinder
US4783680A (en) Halftone screening system for printer/copier
JP5260568B2 (ja) 光受容体画像形成装置内のバンディング欠陥を修正するための方法、電子写真機および画像形成装置
EP0320915B1 (en) An image forming apparatus
JPS5993469A (ja) 電子写真装置
US4072413A (en) Electrostatographic reproduction methods and machines
JPS5993468A (ja) 電子写真装置
JPS61138266A (ja) 画像形成方法
JP3401686B2 (ja) 画像形成装置
JP3386231B2 (ja) 画像形成装置
JPS60164773A (ja) 自動露光調整装置
JP2529553B2 (ja) 多色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H04165371A (ja) 画像形成装置
JPS6023843A (ja) 原稿露光装置
JPS63208071A (ja) プリンタ装置
JPH02201468A (ja) 縦横両方向のアナモフィック拡大/縮小能力を有する像形成装置
JPS6349778A (ja) 画像濃度補正装置
JPH0614217B2 (ja) 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207

Year of fee payment: 15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