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1115Y1 - 자동차용 비상신호 현출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비상신호 현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1115Y1
KR970001115Y1 KR2019940024288U KR19940024288U KR970001115Y1 KR 970001115 Y1 KR970001115 Y1 KR 970001115Y1 KR 2019940024288 U KR2019940024288 U KR 2019940024288U KR 19940024288 U KR19940024288 U KR 19940024288U KR 970001115 Y1 KR970001115 Y1 KR 97000111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emergency signal
processing unit
auxiliary brake
amplif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2428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0642U (ko
Inventor
현준희
Original Assignee
현준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준희 filed Critical 현준희
Priority to KR2019940024288U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1115Y1/ko
Publication of KR96001064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064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111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1115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5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 B60Q1/5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for indicating emergenc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5/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 B60Q5/005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automatically actu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larm Systems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동차용 비상신호 현출장치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비상신호 현출장치의 회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충격 감지기 2 : 제1증폭기
3 : 비교기 4 : 중앙처리 장치
5 : 멀티플랙서 6 : 보조브레이크등
7 : 타이머 8 : 제2증폭기
9 : 확성기 10 : 소정속도감지기
본 고안은 자동차용 비상신호 현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자동차 실내 뒷부분 중앙에 설치된 보조브레이크등을 이용하여 뺑소니 자동차의 뺑소니 사실을 현출하는 자동차용 비상 신호 현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뺑소니 사고는 인적이 드문 심야에 주로 일어나 목격자가 많지 아니하고 목격자가 있다 하더라도 귀찮고, 범인 오인우려 등의 이유로 신고를 기피하는 경향이 있어 다른 어느 범죄보다도 검거율이 낮아 커다란 사회문제로 되고 있다.
이러한 뺑소니 차량 방지를 위하여 종래에 여러장치가 제안되었으나 뺑소니 방지장치는 그것이 아무리 사회, 공익적으로 유용하다 할지라도 운전자 개인으로서는 불이익을 주는 것이기 때문에 실제로 누구라도 자동차에 설치할 수 없는 것이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차량앞 범퍼에 충격이 있을 경우 소정시간동안 보조브레이크등에 충돌, SOS 등의 문자를 현출하게 함으로써 뺑소니 범죄의 검거내지 방지케하는 것이다.
자동차 운행중 소정의 속도이상 출격시 통상 운전자는, 그 충격이 물체나 차의 충돌에 의한 것이라면 당연 차에서 내려 일정시간 차체를 점검하거나 충돌의 시비를 따질 것이고, 사람을 친 충격이라면 운전자의 심리상태에 따라 도주할 수도 있을 것이나 그 도주하고 있는 일정시간동안 충돌 등의 신호는 주위 차량이나 사람들에게, 혹은 치안 당국의 홍보에 의하여 일응 뺑소니 차량으로 구분케 되고 나아가 사후 경찰의 뺑소니 사고 수사대상의 단서로서 제공되기 때문에 운전자는 아예 뺑소니 칠 생각을 포기하게 될 것이다.
특히 요즘에는 휴대전화가 많이 보급되어 있기 때문에 뒤따라오는 차량이나 주위 사람들은 손쉽게 충돌 신호 차량을 경찰에 알릴 수 있어 결국 본 장치는 뺑소니 사고의 신고율과 검거율을 높일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그 실용성을 높이기 위하여 본 출원인의 계류중인 실용출원 제93-25958호 및 제94-2572호의 자동차 강도, 도난 등의 표시를 현출하는 보조브레이크등에 뺑소니(충돌) 표시도 낼 수 있도록 추가함으로써 종전의 뺑소니 신호 단독기능 장치의 설치에 따른 운전자의 불이익과 비실용성을 극복하고 운전자로 하여금 저항감 없이 설치하도록 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비상신호 현출장치는 뺑소니 사고 발생시 이를 감지하는 차량의 범퍼에 내장된 충격감지기(1)와, 감지된 신호를 증폭하는 제1증폭기(2)와, 신호를 비교하는 비교기(3)와 상기 충격감지기(1)가 발생한 제어신호를 판단하고 이에 따른 명령을 발하는 중앙처리 장치(CPU, 4)와 상기 중앙처리장치(4)의 제어신호에 따라 복수의 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멀티플렉서(5)와, 상기 멀티플렉서(5)의 신호에 의해 선택적으로 구동되는 LED 등으로 구성된 보조브레이크등(6)을 구비하며,
중앙처리장치(4)에서 나온 신호를 받으며 보조브레이크등(6)의 파손시 이를 감지하여 음성비상 신호를 발생하고 그 신호로 동작되는 확성기(9)를 구비하여 비상신호를 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을 하기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를 보면, 본 고안에 따른 비상신호 현출장치의 회로도가 도시되어 있다.
중앙처리장치(4)는 내장된 ROM에 입력된 소정의 프로그램에 의해 제어되며 중앙처리 장치(4)의 인터럽트 신호 INT0, INT1, INT2에 대하여는 본 출원인의 계류중인 상기 출원에서 설명한바 있다.
차량이 소정속도로 운행중 충돌하였을 경우, 차량 범퍼의 일정부분에 1개 이상의 충격감지기(1)가 설치되어 충격을 감지하고, 감지된 충격신호는 일반적으로 미약하므로 제1증폭기(2)를 거쳐 증폭된 신호로 비교기(3)에 보내진다. 비교기(3)는 감지된 충격속도와 자동차의 소정속도 감지기(10)의 속도를 비교하여 중앙처리장치(4)에 인터럽트 신호(INT3)를 입력하게 된다.
중앙처리장치(4)에는 타이머(7)가 접속되어 있어 소정시간 본 장치의 회로를 동작하게 할뿐만 아니라 차량의 시동을 꺼도 비상신호가 소정시간 나타나게 된다. 상기 중앙처리장치(4)에서 출력된 신호는 멀티플렉서(5)를 거쳐 보조브레이크등(6)에 전달되고 내장된 LED 등을 선택적으로 발광시켜 소정의 문자, 예를 들면, 충돌, SOS 등과 같은 문자를 현출한다. 이때 그 표시는 프로그램에 따라 점멸을 연속시킨다든가 일정한 문자의 순차적 배열 혹은 눈에 쉽게 뛸 수 있는 색채를 발할 수 있게 하는 등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본 장치는 운전자가 임의로 상기 보조브레이크등(6)을 파손시 보조브레이크(6)을 대신하여 신호 현출장치가 내장된 후미등(도시안함)에 상기 문자를 현출하게 할 수도 있다.
중앙처리장치(4)에는 문자신호 발생회로 이외에도 음성신호를 발할 수 있는 회로가 내장되어 있으며 보조브레이크등(6) 또는 현출장치를 내장한 후미등이 제거 또는 파손되었을 때 이를 감지하여 음성비상신호를 발할 수 있는 회로를 내장하고 있다. 이때 발령된 신호는 미약하므로 제2증폭기(8)로 증폭한 후 증폭된 신호를 확성기(9)로 보낸다. 확성기(9)에서는 발령된 신호를 음성으로 확대시켜 비상신호를 발하므로 제2의 안전장치가 되며 이를 듣고 주위에 있는 사람들이 경찰서에 신고하면 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충돌, SOS 등의 표시는 물체나 차에 의한 충격시에는 추돌등의 사고예방 신호로, 사람을 친 경우에는 운전자의 뺑소니 심리를 위축시키는 예방효과는 물론 검거도 용이하게 할뿐만 아니라, 하나의 보조브레이크등으로 자동차의 도난, 강도, 뺑소니 등 소위 자동차의 3대 범죄를 현출할 수 있기 때문에 실로 실용성이 크고 사회적으로 큰 기여를 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3)

  1. 소정속도를 감지하는 소정속도감지기(10)와 차량 충돌시 충격을 감지하는 충격감지기(1)와, 충격감지기(1)로 부터의 신호를 증폭하는 제1증폭기(2)와, 상기 소정속도와 충격감지 신호를 입력하여 비교하는 비교기(3)와, 비교된 신호를 받아 이에 상응하는 비상신호를 발령하며, 보조브레이크등 또는 현출장치를 내장한 후미등이 제거, 파손시 음성비상 신호를 발령하는 중앙처리 장치(4)와, 중앙처리장치(4)에서 발령된 신호를 받는 멀티플렉서(5)와, 멀티플렉서(5)의 신호에 의해 현출되는 보조브레이크등(6)과, 중앙처리장치(4)와 접속되어 있어 일정시간 및 차량 시동 정지시에도 일정시간 현출장치를 작동시키게 하는 타이머(7)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비상신호 현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보조브레이크등(6)이 제거, 파손시 안전장치로서 작동되게 하기 위하여, 중앙처리장치(4)에서 보조브레이크등(6)의 존재 여부를 판단한 신호를 받아 증폭하는 제2증폭기(8)와, 상기 증폭기(8)의 신호를 받아 음성비상신호를 발하는 확성기(9)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비상신호 현출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브레이크등(6) 대신에 현출장치가 내장된 후미등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비상신호 현출장치.
KR2019940024288U 1994-09-17 1994-09-17 자동차용 비상신호 현출장치 KR97000111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24288U KR970001115Y1 (ko) 1994-09-17 1994-09-17 자동차용 비상신호 현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24288U KR970001115Y1 (ko) 1994-09-17 1994-09-17 자동차용 비상신호 현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0642U KR960010642U (ko) 1996-04-12
KR970001115Y1 true KR970001115Y1 (ko) 1997-02-18

Family

ID=193935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24288U KR970001115Y1 (ko) 1994-09-17 1994-09-17 자동차용 비상신호 현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111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0642U (ko) 1996-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9555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ar-end collision warning and accident mitigation
US5495243A (en) Emergency vehicle alarm system for vehicles
US6271747B1 (en) Method for adjusting the trigger threshold of vehicle occupant protection devices
US9008896B2 (en) System for detecting run over accident
MXPA06013662A (es) Notificacion de localizacion de accidentes.
ES2132463T3 (es) Procedimiento para la activacion de bolsas de aire laterales de un dispositivo de seguridad pasiva para vehiculos.
EP1610986A1 (en) A pedestrian detecting system
JPH1081198A (ja) 車両の搭乗者を保護する装置を起動する装置
KR101109279B1 (ko) 보행자 보호 장치용 트리거 신호의 생성 방법 및 장치
KR102034285B1 (ko) 감지 장치와 경보 수단을 이용한 안전 보행 시스템
KR970001115Y1 (ko) 자동차용 비상신호 현출장치
CN108791193B (zh) 检测接触事件的方法和具有检测接触事件的传感器的车辆
JP2011106978A (ja) 歩行者安全対応器
SE517812C2 (sv) Säkerhetssystem
JPH11147441A (ja) 自動車事故の衝撃により作動する事故表示スイッチ
KR200301804Y1 (ko) 차량 충돌 표시 시스템
CN204309681U (zh) 机动车碰撞自动报警装置
KR100405357B1 (ko) 차량간 및 장애물과의 추돌 방지장치
US20200223357A1 (en) Vehicle safety alert system
KR19980060969A (ko) 뺑소니 방지용 번호판 조명장치
KR20230171015A (ko) 레이저 센서를 사용해 교통사고 시 후방 차량에게 경고를 할 수 있는 장치
KR101319861B1 (ko) 광신호를 이용한 차체 보호장치
JP3014753U (ja) 車両の衝突損傷防止装置
KR19980018175U (ko) 차량의 추돌시 경고장치
KR100260156B1 (ko) 보행자 보호를 위한 차량 경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21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