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0428Y1 - 코러스 기능이 구비된 컴퓨터 반주기 - Google Patents

코러스 기능이 구비된 컴퓨터 반주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0428Y1
KR970000428Y1 KR2019930020253U KR930020253U KR970000428Y1 KR 970000428 Y1 KR970000428 Y1 KR 970000428Y1 KR 2019930020253 U KR2019930020253 U KR 2019930020253U KR 930020253 U KR930020253 U KR 930020253U KR 970000428 Y1 KR970000428 Y1 KR 97000042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orus
midi data
output
control signal
s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2025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2472U (ko
Inventor
송영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구자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구자홍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30020253U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0428Y1/ko
Publication of KR95001247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247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042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0428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36Accompaniment arrangements
    • G10H1/361Recording/reproducing of accompaniment for use with an external source, e.g. karaoke system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0033Recording/reproducing or transmission of music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0041Recording/reproducing or transmission of music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 coded form
    • G10H1/0058Transmission between separate instruments or between individual components of a musical system
    • G10H1/0066Transmission between separate instruments or between individual components of a musical system using a MIDI interfac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1/00Arrangements for the associated working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with related apparatus
    • G11B31/02Arrangements for the associated working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with related apparatus with automatic musical instru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내용 없슴.

Description

코러스 기능이 구비된 컴퓨터 반주기
제1도는 종래 컴퓨터 반주기의 블록구성도.
제2도는 종래 컴퓨터 반주기 제어과정을 보인 플로우차트.
제3도는 본 고안 코러스 기능이 구비된 컴퓨터 반주기 블럭구성도.
제4도는 본 고안 컴퓨터 반주기의 코러스 발생 제어과정을 보인 플로우차트.
제5도는 코러스 제어신호에 의해 발생되는 MIDI데이타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멜로디 버퍼 12 : 코러스 제어신호 발생부
13 : 코러스 MIDI데이타 발생부 14 : 혼합부
15 : 음원 IC 16 : D/A변환부
본 고안은 코러스 기능이 구비된 컴퓨터 반주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가창자가 원하는 순간 코러스 발생신호를 출력하여 코러스가 추가된 반주음을 얻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종래 컴퓨터 반주기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MIDI데이타와, 키이, 템포 조절등의 신호에 따라 악기음이 발생하는 음원 IC(1)와, 음원 IC(1)에서 발생한 악기음이 스피커(SP)를 통해 외부로 출력되도록 상기 악기음을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출력시키는 D/A변환기(2)로 구성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컴퓨터 반주장치는 제1도와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창자가 MIDI출력시 반주에 변활를 주기 위하여 키이, 템포 조절등의 제어신호를 입력하면, MIDI데이타를 변환하거나 제어신호를 추가하여 음원 IC(1)에 인가한다.
따라서 음원 IC(1)는 인가된 MIDI데이타에 대응한 악기음을 발생시켜 D/A변환기(2)를 통해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 출력시키므로서 조정되어진 악기음을 스피커(SP)를 통해 외부로 출력한다.
한편, 가창자가 MIDI데이타 출력시 키이, 템포 조절등의 제어신호를 입력하지 않으면 음원 IC(1)에는 원래의 MIDI데이타가 인가된다.
따라서 음원 IC(1)는 인가된 원래의 MIDI데이타에 대응한 악기음을 발생시키고 D/A변환기(2)는 이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시켜 조정되지 않은 악기음이 스피커(SP)를 통해 외부로 출력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 컴퓨터 반주기는 MIDI데이타 출력시 가창자와 음에 맞게 반주가 변환되도로 키이, 템포 조절등의 제어신호가 입력될때 가창자의 음에 맞는 반주가 출력되지만 실제로는 가창자의 음을 보강해주지는 못하며, MIDI데이타 자체내에서 고정된 음을 이용하기 때문에 발성습관 또는 능력에 따라 반주를 변화시키지 못하는 단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컴퓨터 반주기 자체에 코러스 발생기능을 구비하여 MIDI데이타 출력시 가창자의 음이 보강되기를 원하는 순간 가창자가 코러스 발생 제어신호를 인가하여 코러스음이 추가된 반주가 출력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으로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곽 같다.
먼저, 본 고안 코러서 기능이 구비된 컴퓨터 반주기는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MIDI데이타가 출력될때 현재 멜로디 채널(Melody Channel)에서 출력되는 MIDI데이타의 노우트 넘버(Note Number)를 저장시키는 멜로디 버퍼(11)와, 멜로디 버퍼(11)에 저장된 노우트 넘버를 이용하여 코러스 MIDI데이타가 발생하도록 코러스 제어신호 및 코러스 크기신호가 발생하는 코러스 제어신호 발생부(12)와, 상기 코러스 제어신호 발생부(12)에서 제어신호가 축력시 멜로디 버퍼(11)에 저장된 MIDI데이타의 노우트 넘버에 의하여 코러스 MIDI데이타가가 발생하는 코러스 MIDI데이타 발생부(13)와, 상기 코러스 MIDI데이타 발생부(13)에서 발생한 코러스 MIDI데이타와 원래의 MIDI데이타를 혼합하는 혼합부(14)와, 혼합출력된 MIDI데이타에 따라 악기음을 발생하는 음원 IC(15)와, 은원 IC(15)에서 발생한 악기음을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출력시키는 D/A변환부()16)와, 변환된 악기음을 외부로 출력시키는 스피커(17)로 구성된 것이다.
한편, 코러스 제어신호에 의해 발생하는 MIDI데이타는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러스 제어신호 입력과 함께 코러스음을 출력시키는 타이밍 바이트(Timing byte)와, 코러스음 출력시 채널 넘버(Channel Number)와 함께 노우트 온(Note On)의 의미를 나타내도록 0×90신호를 0×9n으로 표현하는 스테이터스 바이트(Status byte)와, 멜로디 버퍼(11)에 저장된 노우트 넘버를 사용하는 노우트 넘버 바이트(Note Number byte)와, 가창자의 조절에 의하여 코러스음의 크기에 따라 값을 정하는 멜로시티 바이트(Velocity byte)로 구성된 것이다.
여기서, 노우트 넘버는 MIDI 음원 프로세서에서 일종의 규약으로 사용하고 있는 악보 또는 박자 등을 나타내는 데이타로서, 가창자가 선택한 노래의 반주 (MIDI데이타 생성)에 관련된 정보이다.
그리고, 본 고안에서 코러스음은 음원 IC(15)에 저장된 제너럴 MIDI사운드 세트(General MIDI Sound Set)의 53번 (Choir Aahs) 또는 54번 (Voice Oohs)를 음원으로 사용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한편, 상기의 코러스 제어신호 발생부(12)는 컴퓨터 반주기(노래방 기기 등) 또는 리모콘에 부착된 코러스 기능 선택부와 코러스 볼륨 조절부와 같은, 사용자가 자의에 의해 임의로 조작할 수 있는 기능 선택부로서, 예를 들면 키로서 코러스 기능의 수행 또는 정지를 선택하는 코러스 온/오프 입력부(12a)와, 코러스 크기를 결정하기 위한 코러스 크기 신호-볼륨-입력부(12b)를 둘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는 제3도와 제4도를 참조로 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MIDI데이타가 출력될때 멜로디 버퍼(11)에 현재 멜로디 채널에서 출력되는 MIDI데이타의 노우트 넘버를 저장시킨다.
이후, 코러스 제어신호 발생부(12)를 이용한 가창자의 코러스 기능 선택여부를 계속 검색하여, 코러스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코러스 MIDI데이타를 생성한다.
즉, 가창자의 음이 보강되기를 원하는 순간 상기 가창자가 코러스 제어신호 발생부(12)의 코러스온/오프신호 입력부(12a)를 온하여 코러스음 발생신호를 출력하고 또 코러스 크기신호 입력부(12b)를 조작하여 코러스 볼륨을 결정하면 코러스 MIDI데이타 발생부(13)는 멜로디 버퍼(11)에 저장된 노우트 넘버에 의하여 코러스 MIDI데이타를 발생시킨다.
이때 혼합부(14)는 코러스 MIDI데이타 발생부(13)에서 발생한 코러스 MIDI데이타와 원래의 MIDI데이타를 혼합하여 음원 IC(15)에 전달하면, 상기 음원 IC(15)는 혼합부(14)에서 혼합출력된 MIDI데이타에 대응하는 코러스음이 포함된 악기음을 출력하여 스피커(17)를 통해 외부로 출력한다.
한편, 가창자가 코러스 제어신호, 즉 리모콘의 코러스 기능 선택부 혹은 컴퓨터 기기의 코러스 기능 선택부를 선택하지 않을 경우(코러스 제어신호 발생부(12)의 코러스 온/오프 입력부(12a)를 '오프'로 조작하였을 경우)에는, 코러스 MIDI데이타 발생부(13)에서는 코러스 MIDI데이타가 출력되지 않고 원래의 MIDI데이타만이 음원 IC(15)에 이니가되어 코러스 반주음이 없는 원래의 반주음만이 출력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컴퓨터 반주기 자체에 코러스 발생기능을 구비하여 MIDI데이타가 출력중 가창자의 음이 보강되기를 원하는 순간에 가창자가 코러스 발생 제어신호를 인가하여 코러스음이 추가된 반주가 출력되도록 하므로서 가창자의 발성습관을 변화시킬 수 있으며 음을 보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MIDI데이타가 출력될때 현재 멜로디 채널(Melody Channel)에서 출력되는 MIDI데이타의 노우트 넘버(Note Number)를 저장시키는 멜로디 버퍼(11)와, 멜로디 버퍼(11)에 저장된 노우트 넘버를 이용하여 코러스 MIDI데이타가 발생하도록 코러스 제어신호 및 코러스 크기신호가 발생하는 코러스 제어신호 발생부(12)와, 상기 코러스 제어신호 발생부(12)에서 제어신호가 출력시 멜로디 버퍼(11)에 저장된 MIDI데이타의 노우트 넘버에 의하여 코러스 MIDI데이타가 발생하는 코러스 MIDI데이타 발생부(13)와, 상기 코러스 MIDI데이타 발생부(13)에서 발생한 코러스 MIDI데이타와 원래의 MIDI데이타를 혼합하는 혼합부(14)와, 혼합출력된 MIDI데이타에 따라 악기음을 발생하는 음원 IC(15)와, 음원 IC(15)에서 발생한 악기음을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출력시키는 D/A변환부(16)와, 변환된 악기음을 외부로 출력시키는 스피커(17)로 구성된 코러스 기능이 구비된 컴퓨터 반주기.
KR2019930020253U 1993-10-05 1993-10-05 코러스 기능이 구비된 컴퓨터 반주기 KR97000042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20253U KR970000428Y1 (ko) 1993-10-05 1993-10-05 코러스 기능이 구비된 컴퓨터 반주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20253U KR970000428Y1 (ko) 1993-10-05 1993-10-05 코러스 기능이 구비된 컴퓨터 반주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2472U KR950012472U (ko) 1995-05-17
KR970000428Y1 true KR970000428Y1 (ko) 1997-01-20

Family

ID=193650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20253U KR970000428Y1 (ko) 1993-10-05 1993-10-05 코러스 기능이 구비된 컴퓨터 반주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042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43897B2 (en) 2004-06-08 2009-06-09 Lg Electronics Inc. Door opening prevention device for refrigerato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43897B2 (en) 2004-06-08 2009-06-09 Lg Electronics Inc. Door opening prevention device for refriger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2472U (ko) 1995-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66795A (en) Techniques of using computer keyboard as musical instrument keyboard
JPH07261762A (ja) 自動伴奏情報発生装置
JP3266149B2 (ja) 演奏ガイド装置
US5014586A (en) Chord setting apparatus and electronic wind instrument using the same
KR970000428Y1 (ko) 코러스 기능이 구비된 컴퓨터 반주기
JP3192597B2 (ja) 電子楽器の自動演奏装置
JP3567294B2 (ja) 音声発生装置
US5508471A (en) Automatic performance apparatus for an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JPH02199500A (ja) 電子楽器
JP4244504B2 (ja) 演奏制御装置
JP3667387B2 (ja) 電子楽器
JP3226268B2 (ja) コンサートマジック自動演奏装置
JP2001051681A (ja) 自動伴奏情報発生装置
JP2596121B2 (ja) 電子楽器
JPH0749519Y2 (ja) 電子楽器の音高制御装置
JP4186855B2 (ja) 楽音制御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3109522B2 (ja) 楽音発生装置
JPH0450599B2 (ko)
JPH06337677A (ja) 自動伴奏装置
KR970029663A (ko) 노래 반주기기의 외부 기기에 의한 연주 장치와 연주 제어 방법
JPH1097250A (ja) 楽音発生装置
JPH07152374A (ja) 電子楽器
JPH0736463A (ja) 電子楽器
JPH05265460A (ja) 楽音制御装置
JPH09222886A (ja) 反射音及び残響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92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