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0232B1 - 단백질의 전해식 경피투여 - Google Patents

단백질의 전해식 경피투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0232B1
KR970000232B1 KR1019880001245A KR880001245A KR970000232B1 KR 970000232 B1 KR970000232 B1 KR 970000232B1 KR 1019880001245 A KR1019880001245 A KR 1019880001245A KR 880001245 A KR880001245 A KR 880001245A KR 970000232 B1 KR970000232 B1 KR 9700002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ein
water
mixture
reservoir
insul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012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9633A (ko
Inventor
시발스 단
로센 센포드
Original Assignee
드러그 델리버리 시스템 인코포레이티드
단 시발스 · 센포드 로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드러그 델리버리 시스템 인코포레이티드, 단 시발스 · 센포드 로센 filed Critical 드러그 델리버리 시스템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8800096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96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02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02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08Use-related aspects
    • A61N1/0428Specially adapted for iontophoresis, e.g. AC, DC or including drug reservoi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0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drug release technique; Application systems commanded by energy
    • A61K9/0009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drug release technique; Application systems commanded by energy involving or responsive to electricity, magnetism or acoustic waves; Galenical aspects of sonophoresis, iontophoresis, electroporation or electroosm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44Applying ionised flui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Immun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단백질의 전해식 경피투여
제1도는 환자에게 단백질을 경피식으로 투여하기 위해 본 발명의 조성물을 사용하는 전자식/전해식 약물 도포구 한 형태의 횡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도포구 12 : 외측덮개
14 : 높혀진 부위 16 : 리브
18 : 피부 22 : 반투과성막
24 : 저장기 26 : 접촉면
32 : 전기접촉 34 : 절연성재질
36 : 전기전도성접착제
본 발명은 미국특허 제4,557,723호, 제4,622,031호 및 제4,640,689호에 그리고 1985년 1월 17일에 출원한 동시 계류중인 출원 제PCT/US85/00080호 ; 1985년 2월 10일에 출원된 S.N. 제702,486호 ; 1985년 1월 10일에 출원한 PCT/US85/01074 및 PCT/US85/01075 ; 1986년 3월 14일에 출원한 S.N. 제839,523 ; 1986년 7월 18일에 출원한 S.N. 제888,151호 ; 1986년 10월 23일에 출원한 S.N. 제922,296 및 1987년 1월 5일에 출원한 S.N. 제554호 및 제555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단백질의 전해직 경피식 투여에 보다 특별히는 환자의 혈액 스트림에 부(負)의 Setschenow 상수를 가진 약제의 존재하에 인슐린의 수용액이나 현탁액을 투여하는데 관한 것이다.
위에서 거론한 특허와 특허출원은 환자의 피부에서 전기적 동력의 첩제로서 약물을 경피투여하는 기본적 특징을 개시한다. 아래와 같은 다른 미국특허와 외국특허도 또한 경피식의 및 의료효과를 개시한다:
미국특허
385,556, 2,267,162, 3,163,166, 486,902, 2,493,155, 3,289,671, 588,479, 2,784,715, 3,547,107, 3,677,268, 4,239,052, 4,367,745, 4,008,721, 4,243,052, 4,367,745, 4,141,358, 4,273,135, 4,406,658, 4,164,226, 4,290,878, 4,419,019, 4,166,457, 4,325,367, 4,474,570, 4,239,046, 4,362,645
외국특허
EPA 58, 920, DE 2,902,021.83, UK 2,104,388, EPA 60,452, DE 3,225,748
그러나, 이러한 참조물의 어느 것도 단백질 약물의 특별히는 인슐린, 리닌, 코르티코트로핀, 칼시토닌 및 약 20의 폴리펩티드 단위와 최고 40,000 달톤의 분자량을 가지는 구조로 된 글루카곤과 같은 고분자량의 단백질의 효과적인 투여를 나타내지 않는다.
Prevention of Insulin Self-Association and Surface Adsorption by Sato, Ebert, and Kim in the Journal of Pharmaceutical Sciences 72 No. 3, 228-232, March 1983의 보문은 물에든 인슐린이 이량체, 사량체, 육량체 및 높은 응집체에 대한 인슐린의 관련성 그리고 리진, 에틸렌 디아민사 초산염 및 요소와 같은 첨가제의 존재하에서 높은 전단력하에서 폴리우레탄, 실리콘, 고무 및 셀룰로오스와 같은 플라스틱 표면에서의 이러한 고분자의 후속적 흡착을 거론한다.
통상적인 시판품 인슐린의 이온전기도입법은 8명의 지원자에 대한 실험에 관한 Stephen, Peterlenz, and Jacobson in Biomedical Biochemical Acta 5, 553-558(1984)에 의한 보문에서 혈존의 단백질 레벨에 현저한 변화가 없는 것으로 무의미로서 정의된다. 한 마리의 돼지를 특이성이 없는, 개조한, 고도로 이온화한, 주로 단량체인, 인슐린유도체로 20분간 처리한 다음에 혈중당분이 떨어졌다. 이 간행물은 이온전기 도입법을 가능케 하기 위하여는 인슐린의 새로이 이온화한 형태는 합성해야 한다라고 기술하고 인체피부의 고분자량 고분자에 대한 투과성을 의문시된다고 기술한다. 이 보문에서 거론된 다른 난점은 시판되는 인슐린의 관련성으로서 거의 확실함으로 된 인체피부에 대한 인슐린의 불투과성을 제공하는 것이고 약물의 성공적인 피부투과성 전자식(Successful transcutaneous electronic(sic) 이동의 경감으로서 인슐린의 약한 이온화를 기술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국부적으로 도포된 전기장의 수단에 의해서 인체 및 다른 동물환자에 정상적인 개조하지 않은 단백질 약물을 투여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단백질에서의 이온하전의 양이나 이온화정도에 관계없이 전기장에서 단백질 약물을 경피식으로 투여하는 것이다.
또다른 목적은 수용액매체에서의 단백질약물의 관련성을 없애거나 또는 최소로 하여서 단백질의 경피식 투여를 최대화하는 것이다.
또다른 목적은 최소의 면적을 차지하고, 환자에게 최소의 불쾌감을 주고, 최소의 크기와 중량으로 충분한 전류밀도를 발생시키고, 그리고 광범위한 피부조건에서 효율적으로 작동하는 전기식 도포기에 의해 단백질 약물을 경피식으로 투여하는 것이다.
또다른 목적은 피부에의 자극이나 발적이 없이 그리고 다끔거림이나 민감성이 없이 전기분해식장치에 의해서 단백질 약물을 경피식으로 투여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본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분명해질 것이다.
본 발명은 다음을 포함하는 전해식수단에 의해서 환자의 혈액 스트림에 경피식 이동을 시키기 위하여 새로운 화학조성물을 사용한다. :
a) 단백질, b) 부정의 Setschenow 상수를 가지는 공용매, 그리고 c) 물.
단백질은 상이한 용해도의 자연식 및 합성식 개조를 포함하고 ; 알부민, 글로블린, 프톨아민 및 상이한 관능기 형태의 ; 효소, 헤모글로빈, 호르몬, 비루스, 유전자, 항체 및 헥산 그리고 약 20 아미노산 단위 이상을 가진 폴리펩티드.
단백질은 그 분자량이 약 2000 달톤의 폴리펩티드로부터 약 5800 달톤인 단사의 인슐린으로부터 약 4천만 달톤인 담배 모자이크 비루스와 같은 거대분자에 이르기까지 가지각색이다.
단백질 응집물을 해리하는 약제는 바람직하게는 평균 펩티드와 평균메틸렌 그룹의 둘 모두에 대한 부의 상호 작용(Setschenow 상수), 이들의 합계 그리고 또한 물에서부터 이 약제의 용액으로의 이동의 부의 표준 자유에너지를 가진다.
물은 정상적인 실온, 압력 및 기타 혼란이 없이(예로 복사, 건기, 자기 또는 어떤 가능한 장이 없이) 가능한 조건(예로 중력)에서의 액체물을 의미한다.
또한 완충제, 살균제, 방부제 또는 안정제와 같은 다른 유용한 첨가제가 존재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신규의 화학 조성물은 다음을 포함하는 경피식 전해식 도포구에서 사용되도록 의도된다 :
도포구를 형성하고 장벽 수단에 의해서 분리된 최소한 두 개의 전극, 본 발명의 화학 조성물을 포함하는 저장기 수단, 전극과 저장기에 전기동력을 공급하기 위한 동결원을 포함하는 하나의 전자식/전해식 회로, 최소한 하나의 저장기수단을 부분적으로 감싸는 덮개수단, 그리고 환자의 피부에 도포구를 유지하기 위한 접착제 수단, 여기서 단백질은 피부를 통하여 환자의 혈액 스트림으로 이동될 수도 있다.
단순한 단백질은 한 아미노산의 아미노그룹과 다른 아미노산의 카르복시산 그룹으로부터의 아미드결합의 형성에 의해서 결합된 아미노산의 단축합 중합체 또는 헤테로 축합중합체이다. 공액 단백질은 또한 아미노산 성분에 헥산, 탄수화물, 지질 또는 기타 화합물류를 합친 것을 포함한다. 단백질은 섬유상의 구상의, 금속으로 색소를 넣은, 가교결합된 또는 응집성일 수도 있다.
포유동물 생명에 필요한 이 20 알파아미노산은 단백질 거대분자의 모든 형성불럭을 필수적으로 구성한다.
단백질은 그 분자량이 글루카곤(29 펩티드단위)와 같은 2,3천 달톤에서부터 육-사의 인슐인에서처럼 만달톤선을 걸쳐 비루스와 같이 백만달톤에 이르기까지 각양각색이다.
큰 단백질을 피부를 통해 이동시키기 위하여는 단백질을 해리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일 단백질 단열사이면, 선형 거대분자의 단면은 심지어 전체의 포개지고, 회선의 또는 무작위 중합체가 회전반경이 클지라도 단지 2,3 평방옹스트론에 불과하다.
1987년 2월에 동시에 출원된 동시 계류중인 출원 S.N. - 는 폴리펩티드의 전해식 경피식투여라는 제목의 또다른 발명을 개시하며, 여기서는 3 내지 약 20 펩티드 성분을 가지고, 대부분이 호르몬으로 된, 폴리펩티드의 처리된 경우가 된다.
인슐린은 비해리의 중요성을 설명하는 고도로 연구된 단백질이다. 인슐린의 다중-고리롤 만든 사상체는 약 5800 달톤의 분자량을 가지는 51 아미노산 단위로 된 폴리 펩티드이다.
사람, 소 및 돼지인 경우의 정상적인 시판되는 인슐린은 약 35,000 달톤의 분자량만을 가자는 여섯 개의 이러한 다중-고리로 된 사상체의 하나의 회합이다. 인슐린을 조절된 의미심장한 양으로 경피투여하기 하여, 이것을 전해식 경피 장치에서 전체적으로 비회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이 있기까지는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조성물과 장치가 발견되지 않았다. 환자에 경피식으로 투여할 수도 있는 다른 단백질은 글루카곤, 칼시토닌, 프로타민, 부시피질호르몬 및 각종 글로블린 분설 그리고 그 유사체가 된다.
물에서의 단백질의 비회합에서 수득되는, 본 발명의 중요성을 이해하기 위하여는 단백질과 액체물의 구조를 이해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물은 예로서 액체 아르곤과 같이 단순한 액체가 아니다. 이 HOH 분자는 104.52°의 중심각으로 된 이등변 삼각형이고; H-O 거리는 약 1.41 옹스트롬이다. 액체물은 O-O 거리가 2.76 옹스트롬이고, 각도가 109.40°이고 그리고 고도로 교잡된 2s 및 2p궤도로 된 사면체 구조를 가진다. 사실은 얼음구조에 아홉 개의 상이한 형태가 있어서, 물액체에 대해 가능한 각종 구조를 설명한다. 얼음은 0 내지 4℃ 사이에서 녹을 때 수축하기 때문에, 물은 개방구조(녹을 때 역시 수축하는, 게르마늄을 참조)를 가진다. 물은 그의 비이상적 구조에 대해 높은 비유전율로 이르게 하는 강한, 지향성 힘을 가진다. 물과 유사한 분자량을 가지는 암모니아와 메탄은 실온에서 액체가 아니고 가스이어서, 높은 비점, 융점, 높은 증발엔탈피 그리고 높은 증발엔트로피를 가지는 액체물에서의 강한 쌍극자 쌍극자 상호작용과 정상적인 물간에 차이를 나타낸다.
2 옹스트롬이하의 상하투과(interpenetration) 거리에서 물분자가에 강한 배척이 있다. 2-5옹스트롬의 중간 거리에는 배위수가 4인 물분자간에 강한 수소결합이 있다.
얼음의 승화의 엔탈피는 11.65kcal/mol이고, 이는 단순한 쌍극자 상호작용보다는 매우 높고, 화학결합의 그것보다는 매우 낮다. 아래와 같은 액체물의 구조에 대해서 제시된 많은 설명모델이 있다 :
a) 공동이 물로 채워진 얼음의 개재성 모델에서,
b) 석영 같은 입자에서,
c) 그 자체의 수화물과 같은 물
d) 협동성 H-결합의 깜박이는 덩어리,
e) 두-구조의 혼합모델.
화학자들은 수십년간 물이 크세논, 염소, 메탄 및 기타 분자로서 포접화합물을 형성하는 것으로 알고 있다.
액체물의 구조는 H-결합의 거리와 각도에 따라 변한다.
2차원의 견지에서, 물은 방향족 구조의 6각형 배치이다.
구조화한 물에 대한 아르곤의 용해도는 알코올에 대한 아르곤의 그것의 약 10분의 1이 된다. 온도가 0°에서 30℃로 상승하면, 물에 대한 아르곤의 용해도는 감소하고 반면에 알코올에 대한 것은 상승한다. 물에서의 메탄의 엔트로피의 변화는 약 -3000cal/분자가 되지만, 같은 유기물에서는 200-500cal/분자가 된다. 용해의 과정은 공동을 형성하고 다음에 이 공동속으로 용질이 주입되는 것으로 모델화할 수도 있다. 정상적인 유체에서 공동을 형성하는 에너지는 +가 되고 다음에 공동을 채우는 에너지는 -(견인성)가 된다. 물은 이미 존재하는 공동을 가지므로, 이렇게 공동을 형성하고 에너지가 대략 0이 되고 공동에 용질을 용해시키는 (채우는)데는 -의 에너지가 된다.
에테르, 초산메틸과 같은 몇몇 비극성의 비전해질을 첨가하면 디메틸설폭시드 구조의 물은 예로서 물구조를 보강하고 그 압축성을 감소시킨다. 리튬 및 불화물과 같은 몇몇의 작은 이온도 또한 물의 구조를 보강한다.
역으로, 요오드, 할로겐화메틸, 작은 아미노산, 요소 및 기타 극성의 비전해질의 대부분의 이온은 물의 구조파괴제가 된다.
물의 구조를 정밀하게 분석은 복잡한 문제일 수도 있지만, 또한 이것은 단 하나의 구조의 설명이 된다. 이미 용해시켰으면 해리하는 단백질의 상세한 설명은 많은 광범위한 현상을 취급하는데, 그 이유는 물과 공동 작용하는 많은 단백질, 많은 공용매 또는 해결합제가 있기 때문이다.
현상을 명명하기 위해 사용한 용어의 몇몇의 한 연속으로 단백질/약제/물의 상호작응을 상세하게 설명하는 문제점에서 다음과 같은 힌트를 준다.
화합/해리, 자체-회합, 중합/해중합, 겔라틴화, 세포내의 응집, 결합, 다중영역 주름형성, 소수성안정화, 나선촉진, 무작위 코일촉진, 변성, 동결전조, 섭동, 탈금속화, 소수성상호작용, 소단위접촉, 집합체 및 분자량전이.
용액중의 단백질의 형태는 단백질의 농도, pH, 용매조성, 이온력, 단백질에 공용질의 존재, 전단응력 및 용기, 입자 및 그 유사체의 표면과 같은 이질성의 제3물질의 존재에 최소한 의존된다.
일반적으로 용인되는 것은 수용액매체에서의 단백질의 형태가 중앙의 코아를 형성하는 소수성영역과 수용액 주위를 향하도록 배열된 친수성 영역으로 포개진 거대분자를 포함한다. 용해의 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는 어렵지만, 용해화 과정의 에너지틱스는 간단한 방법으로 측정할 수가 있다. 소위 제3 및 제4구조에서의 용해, 해리, 변성, 회선, 젤라틴화, 펼침 및 소위 제3 및 제4구조에서의 다른 변화에 대해 많은 정보를 물에 폴리펩티드가 든 용액 및/또는 젤라틴 그리고 다른 공용매나 또는 약제를 포함하는 물의 상세한 연구로부터 수득할 수가 있다.
단백질의 제1구조는 이들이 거대분자의 사슬을 따라서 나타날 때 아미노산의 배열순서를 위해 사용되는 용어가 된다. 예로서 나선형태, 무작위회선, 포개짐과 같은 사슬의 국부적 조직은 제2구조라고 한다. x-선결정학이 나타나는 원자레벨에서의 단백질의 총괄 공간배치는 제3레벨의 구조가 된다. 인슐린에 대해서 이것은 Hodgkin et al in Nature, vol. 224, November 1, 1969(Centenary issue) at pp. 491-495). 제4구조는 이를테면 유연한 중간로드와 두 개의 단단한 끝을 가진 아령과 같은 구조의 상이한 성질을 가지는 상이한 대역을 형성할 수도 있는 여러 가지 사슬이 된다. 이 대역의 기능은 변할 수도 있다.
헤모글로빈에서, 네 개의 미오 글로빈이 그룹을 이루어서 중간위치에서 유연하게 부분이 아니고 끝부분에서 두 개의 단단한 구와 관련된 산소를 나르는 기능을 가지고 약 17,000 달톤의 분자량을 가진 아령형태를 형성한다.
본 발명의 해리제는 제4구조에 큰 영향을 미치고, 제3구조에 무관계하고, 제2구조에는 영향을 미칠 수도 있으며 그리고 폴리펩티드의 제1구조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단백질에 대한 물과 같은 용매의 영향은 단백질이 예로서 육량체로부터 이량체 또는 예로서 물에든 인슐린과 같이 단일사의 소단위로 해리할 때, 평형상수 Kp와 해리의 표준자유에너지 F△의 용어로서 기술할 수 있다. 종종 이러한 상이한 단편은 일련의 평형에 공존할 수 있으며, 예로서, 어스워엄(earthworm) 헤모그로빈은 십이량체, 육량체, 사량체, 이량체 및 단일 단편을 가질 수 있고, 동시에 순수한 용매나 또는 프로필요소 또는 과염소산 나트륨과 같은 해리제를 가진 하나의 중간농도에서 존재한다.
이렇게 첨가된 해리공용매가 존재할 때는 두 개의 해리상수 KDW및 KDAW가 있으며, 여기서 DW는 순수한 물을 나타내고 DAW는 첨가된 약제와 물을 가르킨다. 첨가된 약제와 폴리펩티드의 상호작용은 상수 KB를 결합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단백질에 대한 결합상수 KB는 아래의 두 용어를 합친 것이 된다 : 펩티드결합 -NHCOO-와 관련되는 극성성분 KP및 각 아미노산에 대해 상이하지만 평균치로 할 수 있는 평균 소수성 성분 -CHR-과 관련된 소수성 성분이 상수는 Nernst식에 의한 에너지틱스에 관련된다.
그리하여
DW=F°DAW-mNRT(KP+KH)[da]
이 식에서, m는 단편의 수이고, N는 결합상태의 수이고 [da]는 해리공용매의 농도가 된다.
고체의 단백질이 물과 같이 교반이 잘되는 용매와 장시간(예로 1주일)접촉될 때, 평형된 포화용액이 형성된다.
Keq=-RTlnCsat
물에 전해질 또는 비전해질과 같은 또다른 화합물을 첨가할 때, 상이한 Csat가 평형에서 형성된다. 이러한 다른 값은 순수한 물에 대한 Csat와는 정상적으로 상이하다. 첨가한 약제의 농도가 높을수록, 폴리 펩티드의 포화농도는 더높게(더낮게)된다. 첨가된 약제의 물농도에 대해 logCsat를 작도하면, 직선이 된다. 이 직선의 기울기는 이 약제에 대해서 Setschenow 상수로서 알려져 있다.
상기한 식이 그속에 -를 가지기 때문에, 예로서 요소 또는 과염소산나트륨과 같은 용해도와 해리에 도움을 주는 이러한 약제는 부의 Setschenow 상수를 가지고 그리고 예로서 황산나트륨이나 암모늄과 같이 용해도와 해리를 감소시키는 이러한 약제는 정의 Setschenowz 상수를 가진다.
KS
Figure kpo00001
-KB/2.303이 Setschenow 상수 Ks는 펩티드와 소수성 성분을 가진다.
위에서 표시한 것같이 이 Setschenow 상수는 log 변형 상수 2.303으로 부의 KB를 나누어서 대략치를 구할 수 있다.
전이의 부의 표준 자유에너지가 자발적인 반응을 나타내기 때문에, 물로부터 물의 혼합물로의 이동과 공용매에 대한 부의 F°값은 해리를 나타낸다. 부가 커지면 더욱 해리가 된다.
표 1은 평균펩티드 및 소수성 그룹은 물론 여러 가지 공용매에 대한 이동값의 자유 에너지에 대한 Setschenow 상수를 제공하며, 이는 Herkovits et al., Journal of Colloid and Interface Science, vol. 63, No. 2, p. 232 of February 1978의 보고서에서 취한 것이다. 표 2에서 위치가 낮아지면 더 좋은 해리제가 된다.
열역학이 궁극적인 실제성을 설명하기 때문에, 이동의 마지만 칼럼에 있는 자유에너지는 본 발명을 실시하는데 바람직한 약제를 나타내며, 이러한 약제는 부의 표준 자유 에너지를 가진다. 그러나 Setschenow 상수는 이 약제가 얼마나 유용한가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된다.
폴리펩티드에서의 펩티드 결합과의 상호작용과 소수성 성분과의 상호작용을 합친 총계(sum)항은 Nernst 식에 의한 자유에너지항에 직접 연결된다. 이것은 어떻게 해리제가 작용하는가를 나타내는 펩티드 상호작용수와 소수성 또는 메틸렌수가 된다.
Figure kpo00002
Figure kpo00003
요소, 구아니딘 하이드로클로라이드, 또는 두 개의 부의 매개변수를 가지는 어떤 다른 화합물은 전체 거대분자와 상호작용하여 어떤 제4구조의 결합을 풀고 어쩌면 제2구조는 풀어주고 본 발명에 특별히 바람직하다.
과염소산나트륨, 옥화칼륨 및 그 유사품은 펩티드 결합과 매우 강하게 작용하여서 단백질의 소수성 결합과의 상호 작용의 부족이 전체 단백질의 해리를 현저하게 억제하지 않는다.
이러한 약제는 본 발명을 실시하는데 유용하다.
에탄올, 디옥산 및 기타 유기물은 통상적으로 단백질의 핵이 되는 소수성 면과는 강하게 반응하지만 유기용제의 비극성성질을 충분히 극복하지는 않는다. 그러나 에탄올에 대한 데이터는 갈린다. 이러한 약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한된 용도를 가진다. 이들의 Setschenow 상수에 대해서 두 개의 정의 성분을 가져서 이동의 정의 표준 자유에너지를 가지는 약제는 표 1에는 표시하기 않는다.
전기영동작용은 전기장에서의 용질과 용매의 둘 모두의 이동이다. 이온전기도입법(ionophoresis)은 전기장에서의 쿠울롬식 견인/반발에 의해 하전된 이온의 이동이 된다.
전기 삼투작용은 전기장에서의 용매의 이동이다.
선행기술에서는 많은 연구자들이 전기분해식 수단에 의한 약물의 경피식 투여와 관련된 최고의 방식과 문제점의 분석에서 이온전기도입은 과대평가하고 전기삼투식은 과소평가하였다. 사실은 약물의 경피식의 전기-동력식 투여의 요체는 약물이 조절과 최고화가 쿠울롬식 견인/배척 또는 전기삼투식 용매에 의해 이동되는 여부에 관계없이 중심이 된다. 본 발명에 잇어서는 선행기술과는 달리 파라레이의 법측이 무관하다.
많은 상황에서 특별히 인슐린과 같은 단백질의 투여에서 보다 많은 약물이 이온전기 도입법보다는 전기삼투식으로 이동되어서 폴리펩티드의 이온화 정도 또는 하전의 양이 중요치 않다. 본 발명의 이전에는 이 사실을 알지 못하였다. 선행 연구자들은 산화나 또는 가수분해에 의해서 폴리펩티드 하전밀도를 증가시켜 이온전기도입을 개량하는 것을 시도하였다. 본 발명을 위하여는 약물에 대한 하전밀도의 값은 투약을 조절하지 않는다. 전자식 전도는 전장에서의 전자의 이동이다.
전기분해식 전도는 전장에서의 이온의 이동이다. 본 발명의 이전에는 많은 연구자들이 전자의 흐름과 이온의 흐름에 대한 혼돈 때문에 그들의 결과를 잘 전달하거나 그들의 아이디어를 잘 설명하는데 실패하였다. 본 발명의 도포기에서 전극에서의 전류흐름은 전자식이고 저장기에서의 피부를 통한 전류의 흐름은 전기분해식이지만, 물이나 수용액매체에서의 전기장에서 단백질의 사슬을 따라서 얼마의 전자식 흐름을 가지는 것이 가능하다.
생체조직에서의 본 발명의 실시에서 전기적 변수의 값은 전기삼투식에 관한 것이지 이온전기 도입식에 관한 것은 아니다. 전류밀도는 이온전기 도입식과 관련된 1밀리암페어/cm2내지 5ma/cm2가 아니라 약 0.5μa/cm2내지 약 1ma/cm2범위로 바람직하게는 0.5ma/cm2내지 10μa/cm2가 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도포기를 조작하기 위해 걸리는 전압은 이온전기도입법에서의 50 내지 100 또는 그 이상의 볼트가 아니라 약 1 내지 약 40 볼트 범위가 된다.
같은 식으로 전기분해장에서의 몰의 유주흐름은 이온만을 몰라내는 파라레이의 법측에 따르는, 이온전기도입법에 대한 대표적인 우연한 값이 아니고 전기삼투식의 약 0.001ml/cm2/hr 내지 약 0.005ml/cm2상수의 훨씬 높은 값이 된다.
극히 바람직한 것은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전류밀도가 환자의 피부에서의 어떤 자극, 발적, 염증, 홍반을 방지하기에 충분할 정도로 낮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화학 조성물은 다음의 세 성분을 포함한다. : 단백질약물, 부의 Setschenow 상수를 가진 공용매 그리고 물, 또한 공용질로서 공용매를 고려할 수 있다.
또한 이 조성물은 생리학적 균형을 위한 염, 완충제, 살균제, 항생제, 방부제 또는 기타 첨가제를 포함할 수도 있다.
단백질의 탈금속화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화학조성물에 킬레이트를 첨가하는 것도 때때로 유용하다. 탈금속화는 폴리펩티드 사슬과 함께 결합하는 금속양이온을 제거하여 단백질의 제4구조를 변화시킨다. 단백질구조의 완전한 부분인 몇몇 금속이온은 마그네슘, 아연, 동, 크롬, 코발트, 니켈, 철, 에틸렌디아민테트라초산(EDTA)와 같은 많은 통상적인 킬레이트제를 사용할 수도 있다. 다른 통상적인 킬레이트제도 또한 사용할 수도 있다.
제1도는 환자의 피부(18)에 접촉되게 바깥-가장자리 리브(16)과 올려진 부위(14)를 가지는 외측덮개(12)를 포함하는 약물도포구(10)를 일반적으로 나타낸다. 이 약물도포구(10)의 층이진 구조물은 직사각형, 타원형, 원형 또는 몸체부위의 계면에서의 균열에 맞게 분무된 형태와 같은 어떤 편리하고 효과적인 크기와 모양이 될 수 있다.
이 도포구의 크기는 용도와 그리고 환자의 종류, 년령 및 체격에 따라서 약 10cm 내지 약 200cm2의 범위로 될 수도 있다.
도포구(10)은 종종 수평층의 구조를 일반적으로 가진다.
제1도에서 피부(18)에 대해 가장 가깝게 된 막이 반투과성막(22)이며 이를 통하여 약물이 피부(18)위에 석출하기 위해 확산된다. 임의의 막(22)은 반투과성의 초산셀룰로오스, 폴리(염화비닐) 또는 재생한 셀룰로오스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한 염의 반투과식만(22)는 약물의 공급이 전해식으로 투여되도록 유지시키기 위한 저장기, 대역, 또는 작은 주머니 그리고 다른 전극을 위한 저장기가 된다.
바람직하게는 저장기(24)는 바람직하게는 폐쇄된 공간을 한정하고 유연하게 되어 있다. 작은 주머니(24)를 형성하는데 사용된 대표적인 재질은 레이온 응집입자 폴리우레탄 스폰지 및 라텍스형태의 친수성 접착제가 된다.
이 저장기는 또한 친수성 젤로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단백질 용액이나 현탁액을 함유하기 위하여, 제장기(24)는 용적이 0.01ml 내지 약 15ml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환자의 체격, 종 및 년령에 따라서 일당 약 500 나노그램 내지 1mg범위의 양으로 단백질 약물을 약 1주일간 연속적으로 투여하기 위한 약 0.15ml 내지 약 0.9ml가 된다. 저장기(24)의 겔, 작은 주머니 또는 벽은 전기장에서 단백질의 용질, 용액 또는 현탁액을 이동시키기에 충분한 미세다공성이어야 하지만 단백질 약물의 현탁액이나 용액의 누세를 허용할 정도로 너무 다공성이어서는 아니된다. 임의의 반투과성막(22)의 설계와 재질의 선택과 상호간련이 되는데, 그 이유는 이들의 기능이 중복되기 때문이다.
제1도에서 나타내는 것 같이 저장기(24)위의 다음의 보다 높은 층은 바람직하게 전지(28)의 아래쪽 면이 되는 연장된 접촉면(26)을 포함한다. 접촉면(26)은 바람직하게는 피부의 표면에 적응되기에 충분할 정도로 유연하며, 또한 전자식 전도성이 있다. 접촉면(24)을 위해 바람직한 재질은 전기전도성 고분자, 탄소화한 플라스틱 필름 또는 고도의 전도성의 분말이나 고체탄소 또는 흑연으로 충전된 플라스틱 표면이 된다.
다음 층을 포함하는 전지(28)은 특별한 단백질로서 전기영동작용을 얻는데 필요한 소요의 전압을 얻기 위하여 내부에 직렬로 연결된 한 그룹의 전지로서 만들어진다.
전지(28)의 배열은 통상적으로 양극으로부터 오는 내방삼투식 흐름의 방향에 따라 변한다. 전지(28)과 관련하여, 숙지할 사항은 현재 시판되는 통상적인 축소된 전지를 사용하고 배열하고 소요의 작동 전압을 얻기 위하여 직렬로 연결할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이 기술은 적절한 전류 밀도를 제공하기 위하여 그의 두께에 비해서 높은 표면적을 가진 전기전도성 고분자로 된 얇고, 유연한 시트로 만들어진 전지용으로서 현재 존재한다. 이러한 소위 플라스틱 전지의 하나는 Batteries Today, Autun 1981, pages 10, 11 and 12에 기술되어 있다. 이러한 전지를 사용할 때, 전지를 직렬로 놓도록 층이 되고 다수의 시트와 시트의 표면 사이의 효과적인 조화는 제1도에서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 같이 이들을 대각선으로 층을 지게 함으로서 성취된다. 물론, 전지의 선택은 소요의 조화성의 정도, 전압 및 특이한 도포에 소요되는 전류밀도, 그리고 배출시간과 같은 인자에 따라 변한다.
제1도에서 상기한 전지(28)은 전기적 접촉(32)가 되고, 이는 바람직하게는 전기적접촉(26)과 그 설계와 재질이 유사하고 전지의 반대축을 형성한다.
덮개(12)는 약물도포구(10)의 앞서 열거한 층의 전부를 감싸며, 탄소로 함침된 것으로서 그 자체가 전기 전도성이나 그 자체가 전기전도성인 또는 그 표면에 금속으로 입힌 플라스틱 고분자와 같은 유연하고, 전도성재질로 만든다.
절연성재질(34)를 높혀진 부위(14)의 측면벽과 전해질을 포함하는 각종 수용액 층간의 공간에 채운다. 적합한 절연체 물질은 폴리에스테르, 실리콘 및 어떤 다른 약물-상용하는 플라스틱이 된다. 또한 전체적으로 절연하는 덮개로 앞에서 명명한 작동 요소의 전부를 감쌀 수도 있다.
약물도포구(10)이 환자의 피부(18)에 잘 접촉되어서 붙게 하기 위하여 전기전도성 접착제(36)을 리브(16)의 가장자리 밑에 도포한다. 적합한 전도성 물질을 탄소 또는 흑연과 같은 분말 전도체로 채운 것이 된다.
알 수 있는 것은 위에 기술한 배열이 전지(28), 덮개(12), 접착물질(36), 피부(18), 미세다공성막(22), 액체 저장기(24)의 한쪽으로부터 다시 전지(28)로 완전한 전기 회로를 형성한다는 것이다. 또한 이 저장기는 별개의 격실에든 전기사이에 절연체로 양극과 음극의 격실로 각각 분할할 수도 있다.
약물도포구의 전기적 작동은 균일한 직류의 형태를 위시하여 많은 방식으로 실시할 수도 있다. 동력원으로부터의 전압을 올려서 맥막의 폭과 진동을 광범위하게 맥박시킬 수도 있다. 또한 톱날 전압 또는 다른 형태의 역의 꾸불꾸불한 또는 교류도 본 발명의 개시물내에 있다.
전지의 형태와 이들의 배열은 미국특허 제4,557,723호 및 제4,640,689호에 개시되어 있다. 사용할 수 있는 회로의 형태도 또한 위에서 거론한 것과 관련된 각종 출원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의해서 투여할 바람직한 단백질은 인슐린, 프로타민, 글루카곤, 칼시토닌, 단백질성 부신호르몬 및 그 유사체와 같은 화합물이 된다. 알부민과 같은 다른 단백질도 전해식 장치로 경피식 투여할 수도 있다.
글로블린, 파상풍, 광견병 및 기타 단백질이나 항체와 같은 혈액 분실과 관련된 단백질도 또한 효소나 다른 단백질성 성분처럼 사용할 수도 있다.
완전히 인공적으로 본 개시물은 단백질로서 약 20 알파 아미노산 이상을 가지는 어떤 폴리펩티드를 정의한다.
이와 같이 글루카곤(29 단위), 칼시토닌(32 단위) 및 코르티코르트롭신(39 단위)를 여기서 해리된 인슐린(51 단위)처럼, 단백질로 정의한다. 약 3 내지 약 20 알파 아미노산 단위의 폴리펩티드를 폴리펩티드라 하고 그리고 이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의 단백질, 물의 구조-와해 용접 및 수용성 전해지로 된 조성물을 기술하고 그리고 폴리펩티드를 경피식 투여하기 위한 전해식 약물도포구를 기술하여 본인들은 이제 아래의 실시예에서 본 발명을 설명한다.
그러나 이러한 실시예들은 설명의 목적일 뿐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며, 이는 다른 수단에 의해서도 실시될 수도 있으며 또한 본 개시물의 교시에 의해서 극복된다.
[실시예 1]
본 실시예는 측면 대측면의 저장기와 전극을 가진 작은 전해식 경피장치의 조작을 설명한다. 또다른 가능한 설계는 제1도에서 나타내는 것 같이 절연된 프레임-형태의 음극으로 둘러싸인 약물저장기 양극을 가진 매트된 사진(matted-photograph)이 된다.
이 측면 대측면 저장기와 전극은 피부 다음에 레이온 가아제를 가진다(johnson & Johnson Co., New Brunswick, New Jersey). 두 개의 매트된 레이온 패드 5cm×8cm×0.5cm는 0.2mm layer 폴리에스테르 필름(duPont Co., Wilmington, Delaware)를 둘러싸는 0.02mm 층의 전도성 측면 페인트(Bertek Corp., St. Albans, Vermont)로 피복된 0.1mm 두께의 U-형태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의해서 덮혀 있다. U-형태의 흑연을 입힌 폴리에스테르필름의 상부표면에는 9V(El Power Corp., Santa Anna, California)에 연결된다. 펠트된 저장기와 패드드와 전극 그리고 이들 사이에 있는 가아제 기제에 있는 절연 밴드의 주위는 RTV 실리콘수지(Dow Corning Co., Midland, Michigan)이 있다.
이 장치의 상부와 측면을 감싸는 것은 외과용 접착제 테이프(Hy-Tape Surgical Hosiery corp., New York, New., York)가 된다. 각 저장기는 6ml의 수용성 유체를 담을 수 있다.)
[실시예 2]
본 실시예(86702)는 요소를 사용하여 토끼에 본 발명의 조성물에 의하 인슐린의 경피식 투여를 설명한다.
8마리의 건강한 백변증 토끼를 표준임상 조건하에서 24시간동안 평형화하였다. 이들의 등을 하루전에 깨고 시험일에 캐스틸비누로 세척하고, 그리고 실시예 1에서처럼 두 개의 6ml 저장기를 포람하는 7.5cm×10cm 전해식 첩제를 도포하였다. 부의 저장기는 500IU의 정규 인체 인슐린(Lilly, Humilin R)과 1%(0.16%M) 요소를 6ml 포함하였다. 정의 저장기는 5ml의 0.9% 식염수를 포함하였다. 이 첩제를 찢겨진 피부위에 탄력성 테이프로 유지시키고, 이 토끼를 10신간의 시험기간에 유지하였다. 이 혈액을 0, 4, 5, 6, 7, 8, 9 및 10시간의 시험에서 각 토끼의 귀의 동맥으로부터 취하였다. 혈액포도당을 Accu-CheckⅡ 혈액 포도당 감지기(Boehringer Manheim Co., Ridgefield, Conn)로 측정하였다. 방사성 면역 검사법(RIA)을 Pharmacia Corp.(Piscataway New Jersey) Insulin 100 RIA Kit로서 실시하였다.
방사성 활성도 값을 포함하고 Tracor Corp.(Austin, Texas)감마 계수기에서 개량하였다. 첩제 모형 Y는 첩제 모형 X와 같이 2배의 전류밀도를 제공하였다.
8마리 토끼 모두에 대한 인슐린 데이터는 본 실시예에 대한 표 2a에 표시한다. 첩제 Y모형을 부착한 한 마리의 토끼가 인슐린 과잉 투여로부터 8시간 전에 죽었다. 표 2a의 검사로서 경피식 투여가 이 시험기간에 대해 8마리 토끼중 다섯 마리에서 효과가 있었고 한 마리에서 최저치이었다.
표 2b는 여러 가지 시험점에서 8마리 토끼 모두에 대해서 혈액 포도당 값을 나타낸다. 표 2b의 검사로 포도당 레벨이 8마리 토끼중 7마리에서 변하는 정도로 낮아졌다.
당뇨병 토끼에 대해서는 페이지 37 및 페이지 38의 그래프를 참조한다.
ml당 mg의 요소를 포함하는 인슐린의 경피식 투여 후 혈청속의 인슐린 농도의 요약
Figure kpo00004
8시간에 죽은 동물
ml당 1mg의 요소를 포함하는 인슐린의 경피식 투여 후 혈액 포도당레벨의 요약
Figure kpo00005
a 본래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반복한 시료
Figure kpo00006
Figure kpo00007
비교실시예 1
본 비교실시예는 인슐린과 같은 단백질을 환자의 혈액 스트림에 감지할 저아도로 투여하기 위하여 약물 저장기의 조성물에 부의 Setschenow 상수를 가진 화합물을 가질 필요성을 설명한다. 약제의 해리없이 단지 소량의 인슐린만이 전기삼투식에 의해서 투여된다.
실시예 1의 방법과 실시예 2에서와 같은 인슐린 시험에 의해서 제조한 첩제를 사용하여, 네 마리의 백변종 토끼를 그의 양극 저장기가 500IU의 Humilin R(Lilly Co., Indianapolis, Ind.)을 포함하지만 해리제는 포함치 않는 5ml를 유지하지만 그의 음극 격실 0.9% 식염수를 포함하는 첩제로서 시험하였다.
표 3은 지시된 시간점에서 토끼 혈액 시료에서의 인슐린 값을 나타낸다. 인슐린 이동은 본 발명의 해리제 없이는 너무 느리기 때문에, 혈액 포도당 데이터는 얻지 못했다.
두 가지의 돌연한 값을 무시하고, 표 3을 살피면 단지 두 마리의 토기(367번과 547번)만이 인슐린의 측정 가능한 투약을 받았음을 나타낸다.
Figure kpo00008
h는 표시된 용혈현상이 있는 시료를 나타낸다.
모형 실시예
모형 실시예 1
이 실시예는 일련의 주사를 사용하는 것을 배제하고 하나나 그 이상의 거환을 주사하는 외상이 없이 환자의 혈액 스트림에 단백질 약물을 주입하기 위하여 전해식 경피식 도포구에서 본 발명의 단백질 조성물을 사용하는 것을 설명한다.
6ml의 정의 약물저장기를 사용하며 실시예 1에서와 같은 12개의 전해식 첩제는 ml당 2mg의 활성있는 황산 프로타민(Lilly, Injection USP), 1.5% 옥화나트륨 그리고 시판되는 USP 프로타민에서 발견되는 0.9% 염화나트륨을 포함한다. 부의 저장기는 0.9% 식염수를 포함한다.
실시예 2에서처럼 준비된 12마리의 백변증 토끼의 각각의 표준 혈액 응결시간을 측정한다. 0시간에서 12마리의 토끼에 실시예 2에서 전해식 경피식 첩제를 부착한다. 6개의 기준 첩제는 전지가 없다.
3시간점에서, 12마리 토끼 모두를 500단위의 Heparin Sodium Injection USP(Upjohn Co., Kalamazoo, Mich.)로서 정맥내로 주사한다. 3시간 20분 점에서 12마리의 토끼 모두에서 취한 혈액의 1ml 시료의 응고 시간을 측정한다.
본 발명의 프로타민 단백질의 전해식 경피식 첩제를 조작하게 부착된 토끼가 황산트로타민 경피식 첩제가 작동 안되게 한 기준 토끼의 엄김시간이 보다는 현저히 짧게 가진 것이 발견되었다.
숙지하는 것은 프로타민의 급속한 주사가 인체에서 호흡곤란, 조흥, 서맥 및 저혈압증을 유발할 수도 있다.
모형 실시예 2
본 실시예는 하나의 32-단위 폴리펩티드인 칼시토닌을 사람성인의 혈액에서 칼슘레벨을 낮추고 뼈의 흡수(페재트유암)을 억제하기 위하여 성인 인체에 투여하기 위한 대형의 전해식 첩제의 사용을 설명한다. 하나의 유익한 부작용으로서 칼시토닌을 서서히 투여하면 손상된 청각 신경을 개선하고, 심장의 높은 박출량을 낮추고, 폐경기후의 골다공증을 치료한다.
실시예 1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전해식 첩제를 12cm×8cm×0.6cm로 펠트된(felted) 레이온 패드를 기재로 하여 제조한다. 세 개의 3-볼트, 니켈-카드뮴, 수의 전지를 상부에 직렬로 사용한다. 전체의 측면 주위와 덮개는 0.15mm PVC 필름으로 만든다. 두 개의 측면-대-측면 저장기의 바닥과 피부의 사이에 반투과성 한외여과막을 사용하지는 않는다.
이 약물 저장기 격실은 ml당 200IU 칼시토니-연어, 5mg의 페놀 살균제 및 미량의 염화나트륨, 초산나트륨, 초산 및 완충제용 수산화나트륨을 포함하고 그리고 부의 Setschenow 상수를 가지는, 모두 0.2M 과염소산나트륨에서 탄력성을 유지하는 12ml의 Calcimar의 합성된 연어-칼시토니(USV, Tarrytowm, New York)를 포함한다. 이의 전류밀도는 5ua/cm2이고 이는 시간당 50IU를 배출한다.
20일에 걸쳐서 네 사람의 성인남자 피검자를 추적한바 일반적으로 9%만의 혈액 칼슘레벨을 낮추는 반복식 주사에 비해서 뚜렷한 평균치인, 평균 12%의 칼슘저하를 피검자에서 나타낸다.
모형 실시예 3
본 실시예는 카테콜아민의 배출의 가능성을 줄이면서 과혈당증을 조절하고 인슐린 및/또는 호크롬성세포종을 피하기 위하여 반복성 주사를 할 필요없이 환자에 전해식 및 경피식으로 글루칸을 투여하는 본 발명의 조성물을 사용하는 것을 설명한다. 글루카곤을 29 펩티드 단위를 가진 단백질이고 아미노산 33 내지 61의 글리센틴(Glicentin)을 포함한다. 생체조직에서 글루카곤은 약 18,000의 분자량을 가진 합성된 다중 사상체이다. 소와 돼지의 췌장에서 취한 시판되는 추출물은 분자량이 3483인 단일 사이다.
모형 실시예 1에서처럼, 여섯 마리의 토끼를 준비하고 실시예 2에서 같이 전해식 경피식 첩제를 부착한다.
회수저장기는 0.9% 식염수 용액을 포함한다. 이 약물 저장기는 0.2mm 프로필우레아에서 주사 USP를 위한 Lilly Co. 688호의 글루카곤의 100단위를 포함한다. 3ua/cm2의 전류밀도는 충분히 낮아서 혈중 설탕값에서 조절된 상승이 허용된다. 4일간에 8-, 16-, 24- 등의 시간 값으로서 0시간 혈증 설탕값의 비교는 약 12%의 혈증 설탕값의 증가를 나타낸다.
모형 실시예 4
본 모형 실시예는 본 발명의 조성물에 의해서 연속적인 낮은 레벨로 코르티코트롭신을 경피식 투여를 설명한다.
사람, 양, 돼지 및 소의 아드레노코르티코트로핀 호르몬(ACTH)은 모두가 39- 단위의 폴리펩티드로서 25, 31 및 33 위치에서의 아미노산에서의 조성물과는 약간 상이한다.
모형 실시예 3에서 사용한 것과 같은 방법으로 ACTHAR-40(Armour Co., Tarrytown, New York)을 8마리의 토기에 주입하고 이들의 코르티솔, 코르티코스테론 및 알도스테론의 혈중레벨을 8일간 매 6시간마다 추적한다.
5ua/cm2의 전류밀도를 1.5USP단위/시간의 율로서 경피식 약물에 도입된다. 이 약물 저장기는 400 단위의 0.25M 옥화칼륨을 포함하며, 이는 부의 Setschenow 상수를 가진다. 이러한 토끼에서의 코르티솔, 코르티코스테론 및 알도스테론레벨의 비교로서 전해식 경피식 장치의 8일간의 시험전의 값에 비교하여 ACTHAR의 투여중에 약 15%의 평균증가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많은 다른 구체예도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분명해질 것이지만, 이러한 것도 다음의 청구범위에 근거한 본 발명의 범위내에 든다.

Claims (12)

  1. 20 이상의 폴리펩티드 단위로 된 단백질, 물 그리고 음수의 Setschenow 상수를 가지는 해리제로 구성된 혼합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조성물을 사용하기 위한 경피식 첩제에 있어서, 첩제내에는 상기 조성물을 수용하는 반투과성의 셀룰로오스와 같은 친수성 저장기가 포함되고 이때 저장기의 용량은 0.01 내지 15ml 조성물을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피식 첩제.
  2. 제1항에 있어서, 하나의 전지와 두 개의 연장된 접촉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피식 첩제.
  3. 제1항에 있어서, 저장기의 피부측에 반추과성막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피식 첩제.
  4. 제1항에 있어서, a) 전지, 양극, 음극, 단백질약물 저장기 그리고 전구 사이에 장벽수단을 포함하는 전해식 수단, 그리고 b) 단백질, 물 그리고 부의 Setschenow 상수를 가진 해리체를 포함하며 경피식 이동을 위한 화학 조성물을 포함하며 약 0.5μA/㎠ 내지 약 10mA/㎠의 전류밀도에서 첩제가 작동하게 되고, 환자의 혈류에 최소한 하나의 단백질 약물을 투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피식 첩제.
  5. 제1항에 있어서, 단백질이 약 20폴리펩티드 단위 이상을 가지는 폴리펩티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피식 첩제.
  6. 20 이상의 폴리펩티드 단위로 된 단백질, 물 그리고, 음수의 Setschenow 상수를 가지는 해리제로 구성된 혼합물의 용도에 있어서, 전해식 수단에 의해서 1 내지 40 볼트의 상태에서 0.5μA/㎠/ 내지 10mA/㎠의 전류밀도로, 그리고 0.001ml/㎠/hr의 유주하는 물의 용적의 값으로 환자의 피부가 자극되거나 홍반이 없이, 환자의 혈류를 통하여 경피식 이동을 시키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물.
  7. 제6항에 있어서, 전류밀도가 0.5μA/㎠ 내지 1mA/㎠ 범위이고, 전압이 3 내지 10볼트의 범위이고, 유주하는 물의 용적이 0.002 내지 0.005ml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물.
  8. 제6항에 있어서, 해리제를 요소, 요소의 알킬유도체, 구아니딘염, 부탄올, 2-부탄올, 3이상의 탄소 원자를 가진 수용성 아미드, 음수 Setschenow 상수를 가진 임의 수용성염 및 이들의 혼합물에서 선택되고, 특별하게는 해리제는 요소, 프로필우레아 그리고 구아니딘 하이드로클로라이드에서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물.
  9. 제6항에 있어서, 20 이상의 폴리펩티드 단위로 된 단백질은 글루카곤, 프로타민, 아드레날 코르텍스 단백질성 호르몬, 갈리토닌, 알부민, 글로블린, 인슐린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하고 특별하게 단백질이 인슐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물.
  10. 제6항에 있어서, 킬레이트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물.
  11. 제6항에 있어서, 완충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물.
  12. 제6항에 있어서, 혼합물을 방부하는 살균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물.
KR1019880001245A 1987-02-10 1988-02-10 단백질의 전해식 경피투여 KR97000023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89887A 1987-02-10 1987-02-10
US012,898 1987-02-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9633A KR880009633A (ko) 1988-10-04
KR970000232B1 true KR970000232B1 (ko) 1997-01-08

Family

ID=217572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01245A KR970000232B1 (ko) 1987-02-10 1988-02-10 단백질의 전해식 경피투여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EP (1) EP0278473B1 (ko)
JP (1) JP2670794B2 (ko)
KR (1) KR970000232B1 (ko)
AT (1) ATE79036T1 (ko)
AU (1) AU609769B2 (ko)
CA (1) CA1319608C (ko)
DE (1) DE3873366T2 (ko)
ES (1) ES2033349T3 (ko)
MX (1) MX16898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11449B1 (ko) * 1988-01-29 1997-07-11 더 리전트 오브 디 유니버시티 오브 캘리포니아 이온전기 영동형 비침입 검체 채취 또는 이송 장치 및 방법
US5362307A (en) 1989-01-24 1994-11-08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Method for the iontophoretic non-invasive-determination of the in vivo concentration level of an inorganic or organic substance
IE64891B1 (en) 1990-03-15 1995-09-20 Becton Dickinson Co Composition for increased skin concentration of active agents by iontophoresis
ES2208633T3 (es) * 1990-03-30 2004-06-16 Alza Corporation Dispositvoo de administracion iontoforetica.
CA2087087C (en) * 1992-01-22 2000-07-18 Burton H. Sage, Jr. Molecules for iontophoretic delivery
EP0683668A4 (en) * 1993-01-27 1997-12-29 Affymax Tech Nv PREPARATIONS AND METHODS FOR TRANSDERMAL DRUG ADMINISTRATION.
US5533971A (en) * 1993-09-03 1996-07-09 Alza Corporation Reduction of skin irritation during electrotransport
US5505715A (en) * 1994-02-25 1996-04-09 Bristol-Myers Squibb Company Iontophoretic transdermal delivery of deoxyspergualin compounds
ATE258452T1 (de) * 1994-06-17 2004-02-15 Hisamitsu Pharmaceutical Co Elektrode für iontophorese und vorrichtung dafür
AU5274196A (en) * 1995-04-07 1996-10-23 Novartis Ag Transdermal system with electrodes as initialization system
US5624415A (en) * 1995-04-24 1997-04-29 Alza Corporation Reduction of skin irritation and resistance during electrotransport
US5990179A (en) * 1995-04-28 1999-11-23 Alza Corporation Composition and method of enhancing electrotransport agent delivery
IT1285405B1 (it) 1995-06-06 1998-06-03 Alza Corp Modificazione di farmaci polipeptidici per accrescere il flusso per elettrotrasporto.
US5747453A (en) * 1995-06-06 1998-05-05 Alza Corporation Method for increasing the electrotransport flux of polypeptides
US6333189B1 (en) 1996-06-06 2001-12-25 Alza Corporation Method of making an electrotransport device
US6119036A (en) * 1997-03-26 2000-09-12 The Board Of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Oklahoma Iontophoretic transdermal delivery device
IL159273A0 (en) * 2003-12-09 2004-06-01 Transpharma Medical Ltd Transdermal delivery system for sustained release of polypeptides
CA2587657A1 (en) * 2004-11-30 2006-06-08 Transcutaneous Technologies Inc. Iontophoresis device
CA2619665A1 (en) 2005-09-15 2007-03-22 Tti Ellebeau, Inc. Rod type iontophoresis device
FR2950802B1 (fr) 2009-10-02 2012-02-03 Sartorius Stedim Biotech Sa Elaboration et/ou conservation d'un produit biopharmaceutique.
NZ707160A (en) * 2012-12-19 2016-08-26 Wockhardt Ltd A stable aqueous composition comprising human insulin or an analogue or derivative thereof
CN113087787B (zh) * 2021-05-19 2023-03-21 广西医科大学第二附属医院(广西医科大学第二临床医学院) 一种蚯蚓血红蛋白分离及纯化方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K140801B (da) * 1975-01-15 1979-11-19 Nordisk Insulinlab Fremgangsmåde til fremstilling af et stabilt langtidsvirkende insulinpræparat.
JPS5810066A (ja) * 1981-07-10 1983-01-20 株式会社アドバンス イオントフオレ−ゼ用プラスタ−構造体
EP0092015A1 (fr) * 1982-04-16 1983-10-26 Roland Brodard Dispositif d'ionisation
JPS59118167A (ja) * 1982-12-24 1984-07-07 株式会社アドバンス イオントフオレ−ゼ用導子並びに同プラスタ−構造体
US4622031A (en) * 1983-08-18 1986-11-11 Drug Delivery Systems Inc. Indicator for electrophoretic transcutaneous drug delivery device
US4640689A (en) * 1983-08-18 1987-02-03 Drug Delivery Systems Inc. Transdermal drug applicator and electrodes therefor
JPS61259679A (ja) * 1985-05-14 1986-11-17 日東電工株式会社 イオントフオレ−ゼ生体電極用基剤組成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609769B2 (en) 1991-05-09
CA1319608C (en) 1993-06-29
DE3873366T2 (de) 1992-12-10
AU1098688A (en) 1988-08-11
DE3873366D1 (de) 1992-09-10
JPS63200774A (ja) 1988-08-19
MX168981B (es) 1993-06-16
EP0278473A1 (en) 1988-08-17
ES2033349T3 (es) 1993-03-16
KR880009633A (ko) 1988-10-04
EP0278473B1 (en) 1992-08-05
JP2670794B2 (ja) 1997-10-29
ATE79036T1 (de) 1992-08-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70000232B1 (ko) 단백질의 전해식 경피투여
US4940456A (en) Electrolytic transdermal delivery of proteins
KR970004037B1 (ko) 폴리펩티드의 전해식 경피투여
Jue-Chen et al. Blood glucose control in diabetic rats by transdermal iontophoretic delivery of insulin
Kari Control of blood glucose levels in alloxan-diabetic rabbits by iontophoresis of insulin
US5032109A (en) Electrolytic transdermal delivery of polypeptides
AU59286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ontophoretic drug-delivery
US5668170A (en) Composition and method enhancing transdermal electrotransport agent delivery
JP4049389B2 (ja) 電気的移送式作用剤投与のための組成物、デバイス及び方法
Chien et al. Facilitated transdermal delivery of therapeutic peptides and proteins by iontophoretic delivery devices
JP2002501794A (ja) 電子搬送装置用の電気化学的反応性カソード
JPH05506165A (ja) イオン導入用送出装置
US20070081944A1 (en) Iontophoresis apparatus and method for the diagnosis of tuberculosis
JP2009509685A (ja) 損傷組織の治癒を増強するための血管新生因子の送達のためのイオントフォレーシス装置及び方法
KR20080058432A (ko) 활성 약제의 전신 전달을 위한 이온삼투 방법 및 장치
CN101316623A (zh) 系统输送活性剂的离子电渗方法和装置
JPH10509072A (ja) 電気的移送式作用剤投与を強化するための組成物と方法
Singh et al. Topical iontophoretic drug delivery in vivo: historical development, devices and future perspectives
Parasrampuria et al. Percutaneous delivery of proteins and peptides using iontophoretic techniques
Chantraine et al. Is cortisone iontophoresis possible?
USH1160H (en) Iontophoretic delivery of peptides
Chang et al. Stability of a transdermal salmon calcitonin formulation
Asai et al. Topical administration of prostaglandin E1 with iontophoresis for skin flap viability
Sage et al. Technological and developmental issues of iontophoretic transport of peptide and protein drugs
Smith Electrochemical transdermal drug deliver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22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