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16367B1 - 셀룰러 전화기 및 그 동작방법 - Google Patents

셀룰러 전화기 및 그 동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16367B1
KR960016367B1 KR1019930701907A KR930701907A KR960016367B1 KR 960016367 B1 KR960016367 B1 KR 960016367B1 KR 1019930701907 A KR1019930701907 A KR 1019930701907A KR 930701907 A KR930701907 A KR 930701907A KR 960016367 B1 KR960016367 B1 KR 9600163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cellular
telephone
mode
microcompu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7019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703717A (ko
Inventor
에이. 조글래카 마노하르
에프. 아셀틴 필립
Original Assignee
모토로라 인코포레이티드
안토니 제이. 살리 2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모토로라 인코포레이티드, 안토니 제이. 살리 2세 filed Critical 모토로라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9307037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7037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163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636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7/00Loop antennas with a substantially uniform current distribution around the loop and having a directional radiation pattern in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loop
    • H01Q7/04Screened antenn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 H04M1/274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 H04M1/2745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static electronic memories, e.g. chip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21Terminal devices adapted for Wireless Local Loop ope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 H04M1/274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 H04M1/2745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static electronic memories, e.g. chips
    • H04M1/27463Predictive input, predictive dialling by comparing the dialled sequence with the content of a telephone directory

Abstract

없음.

Description

셀룰러 전화기 및 그 동작방법
제1도는 키패드 제어기(504)가 프러그(plug)될 수도 있는 본 발명을 실시하는 또 다른 셀룰러 전화기(500)의 블럭도.
제2A,2B,2C,2D 및 2E도는 MEM키, END/CLEAR키 및 제어기(504)의 디지트 키에 응답하여, 셀룰러 전화기(500)의 제어 및 동작을 위하여 제1도의 마이크로컴퓨터(508)에 의해 사용된 프로세스의 흐름도.
제3도는 인입한 전화 호출을 처리하기 위하여 제1도의 마이크로컴퓨터 (508)에 의해 사용된 프로세서의 흐름도.
관련 출원
본 발명은 1992년 5월 26일자로 허여되었고, 본 양수인에게 양도되었으며, 기준에 의해 본 원에 통합된 미국 특허 제5,117,450호에 근거한 부분 연속 출원이다.
본 발명의 배경
본 발명은 통상적인 무선 잔화기에 관한 것이며, 특히 키패드(keypad)제어기를 가진 셀룰러(cellular)전화기에 관한 것이다.
셀룰러 전화기는 일반적으로, 집적된, 디스플레이, 키패드, 마이크로폰 및 스피커를 구비하고, 오디오 및 데이타 버스를 통해 셀룰러 전화기 트랜시버(cellular telephone transceiver)에 결합되는 특별 목적의 핸드셋(hardset)과 함께 동작한다. 상기 특별 목적의 핸드셋은 상기 집적된 디스플레이, 키패드, 마이크로폰 및 스피커와, 이들의 관련 제어 회로때문에 소형화될 수도 없다. 다이얼링(dialing)동안 셀룰러 무선 채널의 사용을 피하고, 셀룰러 전화기 호출의 비용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셀룰러 전화기 유저는 전화 번호를 다이얼하고, 그후 셀룰러 전화기 호출을 발주하기 위해서, “SEND”버튼(사전-개시 다이얼링)을 누를 필요가 있다. 상기 “SEND”버튼을 누르면, 상기 셀룰러 전화기 핸드셋이 “SEND”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SEND”신호를 셀룰러 전화기 트랜시버에 전송된 상기 다이얼된 디지트(digit)에 덧붙인다. 이와 반대로 종래의 지상통신선 전화기는 수초의 다이얼링의 중지후에 자동으로 전화기 호출을 한다. 상기 특별 목적의 핸드셋은 또한 복잡한 소프트웨어 및 부가 회로를 필요로 하는 많은 상이한 유저 특성을 제공한다. 따라서, 상기 특별 목적의 핸드셋은 집적된 키패드, 디스플레이, 마이크로폰 및 스피커로 인해 비교적 대형이고, 복잡한 소프트웨어 및 부가 회로 때문에 비교적 값비싸다. 게다가, 상기 특별 목적의 핸드셋은 종래의 지상통신선 전화기 처럼 동작하진 않는다. 전술한 이유에 의해서, “SEND”버튼 및 집적된 디스플레이를 포함하지 않는 값싼 키패드 제어기를 가진 셀룰러 전화기가 필요하다.
본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은 다수의 동작 모드를 구비하고, 셀롤러 무선 채널상에서 동작 가능한 셀룰러 전화기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셀룰러 전화기 장치는 제1 및 제2의 포트(port)를 구비한 데이타 버스와; 상기 동작모드를 제어하고 상기 셀룰러 무선 채널에 셀룰러 전화기 호출을 통신시키는 제1의 마이크로컴퓨터를 포함하는 셀룰러 트랜시버와; 전화 번호를 엔터시키는 10개의 숫자키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 전화기의 상기 동작 모드를 제어하는 메모리 키를 포함하는 다수의 키를 구비하는 제어기와; 메모리를 포함하고 전화번호 디지트 및 메모리 키와 또 다른 키를 포함하는 선정된 키 순서의 동시 동작을 수신하도록 개별 키의 동작을 검출하기 위한 제어기에 결합되어 상기 동작 모드중 한 대응하는 동작 모드를 선택하며, 각각의 수신된 디지트를 메모리에 기억시키는 제2의 마이크로컴퓨터를 포함하는데; 상기 제2의 마이크로컴퓨터는 최종 동작된 키의 검출로부터 경과된 시간이 선정된 시간 간격을 초과하면, 상기 기억된 디지트 또는 상기 동작 모드중 상기 선택된 동작 모드를 셀룰러 트랜시버에 자동으로 전송하는 데이타 버스의 제1의 포트에 또한 결합되어지고 ; 상기 제1듸 마이크로컴퓨터가 상기 동작 모드중 전송된 동작 모드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동작 모드를 셀룰러 트랜시버에 인가하고, 전송된 디지트를 수신하고 셀룰러 무선 채널중 한 채널상의 수신된 디지트를 자동으로 전송하기 위해 데이타 버스의 제2의 포트에 결합되어 전화기 호출을 개시하여 다이얼링이 적어도 선정된 시간 간격동안 중단되면 각각의 전화 번호의 모든 다이얼된 디지트가 자동으로 전송된다.
양호한 실시예 대한 기술
제1도를 참조하면, 캐패트 제어기(504)가 플러그(plug)될 수도 있는 본 발명을 실시하는 또 다른 셀룰러 전화기(500)의 블럭도가 도시된다. 셀룰러 전화기(500)은 오디오 회로(502), 마이크로컴퓨터(508), 표시기(506 및 507) 및 셀룰러 전화기 트랜시버(509)를 포함한다. 그러나, 셀룰러 전화기(500)는 상기 셀룰러 전화기와 같은 전형적인 종래의 셀룰러 전화처럼 정보 디스플레이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에 주의하자. 상기 본 발명을 이용하므로, 셀룰러 전화기(500)가 제어기(504) 및 제어기의 숫자 키(0-9), #과 * 및 기능 키(MEM 및 END/CLEAR)를 이용함에 의해 단독으로 동작되고 제어될 수도 있기때문에, 정보 디스플레이의 필요성이 제거되어 왔다.
셀룰러 전화기(500)의 오디오 회로(502)는 스피커(544)를 무선트랜시버(519)의 무선 수신기에 결합시키고, 마이크로폰(545)을 무선 트랜시버(519)의 무선 송신기에 결합시킨다. 마이크로폰(545)은 되도록이면 제어기(504)의 그릴(gril)형 개구부(543)뒤에 배치된다. 스피커(544)는 제어기(504)에 배치되지 않는다. 제어기(504)가 디스플레이 또는 스피커(544)를 포함하지 않기 때문에, 제어기(504)는 종래기술의 전화기 형태의 핸드셋보다도 더 소형이고 복잡하지 않다.
셀룰러 전화기(500)의 마이크로컴퓨터(508)는 숫자키(0-9)와, # 및 *와 제어기(504)의 기능키(MEM 및 END/CLEAR)에 결합되며, 그외에도 표시기(506 및 507) 및 이에 대응하는 레지스터(532 및 533)에 결합된다. LED 표시기(506)는 셀룰러 전화기(500)가 ROAM 동작 모드에 있다는 것을 표시하기 위하여 흰색으로 리스트되고, LED 표시기(507)는 셀룰러 전화기(500) NO SERVICE 동작 모드에 있다는 것을 표시하기 위하여 적색으로 리시트되거나 또는 셀룰러 전화기(500)가 POWER ON 및 HOME 동작 모드에 있는 것을 표시하기 위해서 녹색으로 리스트된다. LED 표시기(506)는 제어기(504)의 되도록이면 개구구(opening ; 542)에 위치되고, LED표시기(507)는 되도록이면 제어기(504)의 개구부(541)에 위치된다.
셀룰러 전화기 트랜시버(509)는 무선 트랜시버(519) 및 상기 트랜시버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메모리가 내장된 마이크로컴퓨터(529)를 포함한다. 셀룰러 전화기 트랜시버(509)는 예를 들어, Motorola C & E Parts, 1313 East Algonquin Road, Schaumburg, Illinois 60196에 의해 공개되고 입수할 수 있는 명칭이 “DYNATAC Cellular Mobile Telephone 800MHz Transceiver”인 모토로라 취급 설명서 넘버 제68P81066E40호에 도시되고 설명된 종래의 트랜지버와 같이, 무선 송신기, 무선 수신기 및 논리 유닛을 구비한 임의의 종래의 셀룰러 전화기 트랜시버일 수도 있다. 상기 종래의 트랜지시버의 동작 모드는 전술된 모토로라에 설명되고 도시된 것같이, Motorola C & E Parts, 1313 East Algonquin Road, Schaumburg, Illinois 60196에 의해 공개되고 입수할 수 있는 명칭이 “DYNATAC 6800XL Cellular Mobile Telephone USER'S MANUAL”인 모토로라 유저의 메뉴얼 넘버 제68P81116E58호에 기재되었다.
양호한 실시예에선, 셀루러 전화기 트랜시버(509)의 마이크로 컴퓨터(529)는 미국 특허 제4,369,516호에 기재되고 예시된 바와 같이 3선 데이타 버스(511)를 경유하여 마이크로컴퓨터(508)에 결합된다.
마이크로컴퓨터(508)는 연속해서 동작된 숫자 및 제어기(504)의 기능키를 찾는다. 상기 동작된 숫자 키에 대응하는 각각의 전화번호 디지트가 검출되고 마이크로컴퓨터(508)에 의해 상기 마이크로컴퓨터에 누적된다. 4초 간의 중지 후에, 상기 누적된 디지트는 전술된 미국 특허 제4,369,516호에 기술된 바와 같이 코드화 되고, 마이크로컴퓨터(508)에 의해 버스(511)를 경유하여 SEND명령과 함께 마이크로컴퓨터(529)에 전송된다. 마이크로컴퓨터(529)는 버스(511)로부터 다이얼된 디지트를 수신하고, 셀룰러 전화기 호출을 행하기 위해 무선 트랜시버(519)의 무선 송신기에 의하여 상기 다이얼된 디지트를 셀룰러 무선 채널을 통하여 전송한다.
2개 이상의 동시에 동작된 기능키 및 숫자키의 키 순서도 셀룰러 전화기(500)의 동작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마이크로컴퓨터(508)에 의해 또한 검출된다. 상기 검출된 키 순서는 대응하는 명령으로 코드화되고, 버스(511)를 경유하여 마이크로컴퓨터(529)로 전송된다. 셀룰러 전화기(500)의 상기 동작 모드는 파워-온(power-on)모드, 파워-오프(power-off)모드, 전화번호 재다이얼(telephone-number re-dial)모드, 전화번호 재호출(telephone-number re-call)모드 전화번호 기억(telephone-number store) 모드, 로크(lock)모드, DTMF모드, 후크스위치-플래쉬(hookswitch-flash) 모드, 스피커-볼륨 조정(speaker-volume adijust)모드 및 호출-비밀(call-privacy)모드를 포함한다.
그 다음에 제2A,2B,2C,2D 및 2E도로 구성된 제2도를 참조하면, MEM키, END/CLEAR키 및 제어기(504)의 숫자키에 응답하여 셀룰러 전화기(500)의 제어 및 동작에 대해 제1도의 마이크로컴퓨터(508)에 사용된 프로세스를 위한 흐름도가 예시된다. 제2A도의 개시 블럭(602)에 엔터하므로, 상기 프로세스는 제어기(504)의 임의의 2개의 크기가 눌려졌는지를 결정하기 위한 검사가 행해지는 결정블럭(604)으로 진행된다. 만약 그렇지 않다면, 아니오 브랜치(branch)는 대기된다. 제어기(504)의 2개의 키가 눌러진다면, 예 브랜치는 결정 블럭(604)으로부터 마이크로컴퓨터(508)가 셀룰러 트랜시버(519)에 전원을 턴온하여 녹색 LED표시기(507)를 발광시키는 블럭(606)으로 진행된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 상기 전원이 임의의 두개 키의 동시 동작에 응답하여 셀룰러 트랜시버(519)로 턴온되어 상기 파워-온 모드가 엔터된다. 그 다음에, 블럭(608)에선, 다이얼 톤(dial tone)이 마이크로컴퓨터(508)에 의해 발생되어 스피커(544)에 인가된다.
제2A도의 결정 블럭(610)에 앞서, MEM-END 키 순서가 눌러졌는지를 결정하기 위한 검사가 행해진다. 만약 그렇다면, 예 브랜치는 마이크로컴퓨터(508)가 전원을 턴 오프시켜, 프로그램 제어가 블럭(614)에서, 다른 임무로 되돌아간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 전원은 상기 MEM-END 키 순서의 동시 동작에 응답하여 턴온된다. MEM-END 키 순서가 눌려지지 않았다면, 아니오 브랜치는 결정 블럭(610)으로부터 MEM-# 키 순서가 눌러졌는지를 결정하기 위한 검사가 행해지는 결정 블럭(616)으로 진행된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 전화번호 기억모드는 상기 MEM-# 기 순서의 동시 동작에 응답하여 엔터된다. 상기 MEM-# 키 순서가 눌러졌다면, 예 브랜치는 결정 블럭(616)으로부터 블럭(668)에서, 마이크로컴퓨터(508)가 전화번호의 디지트같은 각각의 동작된 키를 수신하는 제2D도의 출구 포인트(G)으로 진행된다. 그 다음에, 제2D도의 결정 블럭(670)에선, MEM-MEM-XX키 순서가 눌러졌는지를 결정하기 위한 검사가 행해지는데, 여기서 XX는 2개의 숫자 0-9를 표시한다. 만약 그렇지 않다면, 아니오 브랜치는 또 다른 디지트를 수신하기 위하여 블럭(668)로 진행된다. MEM-MEM-XX키 순서가 눌러졌다면, 예 브랜치는 결정 블럭(670)으로부터 기존에 수신된 디지트가 장소(XX)에서 마이크로컴퓨터(508)의 메모리에 전화번호로써 기억되는 블럭(672)으로 진행된다. 그후 프로그램 제어는 포인트(B)로 빠져나가 블럭(608)으로 리턴해서 앞서 본원에 기술된 바와 같이 계속된다.
제2A도의 결정 블럭(616)으로 되돌아가, MEM-#키 순서가 눌러지지 않았다면, 아니오 브랜치는 MEM-5키 순서가 눌려졌는지를 결정하기 위한 검사가 행해지는 결정 블럭(618)으로 진행된다. 만약 그렇다면, 예 브랜치는 블럭(674)에서, 마이크로컴퓨터(508)가 셀룰러 전화기 트랜시버(509)를 전기적으로 로크하고, LED 표시기(506)를 발광시키는 제2E도의 출구 포인트(H)로 진행된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 셀룰러 전화기 트랜시버(509)가 상기 MEM-5키 순서의 동시동작에 응답하여 전기적으로 로크되는 로크 모드가 엔터된다.
그 다음에, 제2E도의 결정 블럭(676)에서, 3개의 키 언로크(unlock)순서가 눌러졌는지를 결정하기 위한 검사가 행해진다. 만약 그렇지 않다면, 아니오 브랜치는 블럭(674)로 되돌아가 LED 표시기(506)를 계속 발광시킨다. 상기 적당한 3개의 킨 언로크 순서가 눌러진다면, 예 브랜치는 마이크로컴퓨터(508)가 셀룰러 전화기 트랜시버(509)를 전기적으로 언로크하고, LED표시기(506)의 발광을 중지시키는 블럭(678)으로 진행된다. 그후에 프로그램 제어는 포인트(B)로 빠져나가 블럭(608)으로 리턴해서 앞서 본원에 기술된 바와 같이 계속된다.
제2A도의 결정 블럭(618)으로 되돌아가. MEM-5 키 순서가 눌러지지 않았다면, 아니오 브랜치는 MEM-0키 순서가 눌러졌는지를 결정하기 위한 검사가 행해지는 결정 블럭(620)으로 진행된다. 만약 그렇다면, 예 브랜치는 블럭(622)으로 진행되고, 마이크로컴퓨터(508)는 자신의 메모리의 스크래치 패드(scratch pad)장소로부터 최종 다이얼된 전화번호를 재호출하고, 유저에게 알리기 위하여 스피커(544)로 발신음을 발생한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 상기 최종 다이얼된 전화번호가 상기 MEM-0키 순서의 동시 동작에 응답하여 재다이얼되는 전화번호 재다이얼 모드가 엔터된다. 그후에 프로그램 제어는 포인트(E)러 빠져나가 블럭(640)으로 진행되고 이하 본원에 기술된 바와 같이 계속된다. MEM-0키 순서가 눌러지지 않았다면, 아니오 브랜치는 결정 블럭(620)으로부터 숫자키가 눌러졌는지를 결정하기 위한 검사가 행해지는 결정 블럭(624)으로 진행된다. 만약 그렇지 않다면, 아니오 브랜치는 상기 전술의 프로세스를 반복하기 위하여 결정 블럭(610)으로 진행된다.
한 숫자키가 눌러졌다면, 예 브래치는 제2A도의 결정 블럭(624)으로부터 블럭(626)에서, 마이크로컴퓨터(508)가 자신의 메모리에 동작된 키와 관련된 디지트를 기억시키고, 4초 타이머를 리셋하는 제2B도의 출구 포인트(C)로 진행된다. 그 다음에, 제2B도의 결정 블럭(630)에서, 또다른 숫자 키가 눌러졌지를 결정하기 위한 검사가 행해진다. 만약 그렇다면, 예 브랜치는 마이크로컴퓨터(508)의 상기 메모리의 연관된 디지트를 기억하고, 상기 타이머를 리셋하기 위하여 블럭(626)으로 되돌아간다. 또 다른 숫자키가 눌러지지 않았다면, 아니오 브랜치는 결정 블럭(630)으로부터 4초 타이머가 시간 종료되었는지를 결정하기 위한 검사가 행해지는 결정 블럭(632)으로 진행된다. 만약 그렇지 않다면, 아니오 브랜치는 END키가 눌러졌는지를 결정하기 위한 검사가 행해지는 결정 블럭(634)으로 진행된다. 만약 그렇다면, 예 브랜치는 포인트(B)로 빠져나가 블럭(608)으로 리턴되어 앞서 본원에 기술된 바와 같이 계속된다. END 키가 눌러지지 않았다면, 아니오 브랜치는 결정 블럭(634)으로부터 결정블럭(630)으로 되돌아가 앞서 본원에 기술된 바와 같이 계속된다.
다른 실시예에선, 블럭(626)에서, 각 디지트를 기억시키기 보다는, 마이크로컴퓨터(508)는 검출직후에 각 디지트를 코드화할 수도 있고, 상기 코드화된 디지트를 버스(511)를 경유하여 마이크로컴퓨터(529)로 전송시키는데, 여기서 상기 수신된 디지트를 최종 디지트 수신후 4초 동안 상기 셀룰로 무선 채널 상에 자동적으로 전송되고 누적될 수도 있다. 동작은 1990년 11월 27일자로 출원된 전술된 미국 특허 출원 제07/622.201호에 도시되고 설명되었다.
제2B도의 결정 블럭(632)으로 되돌아가, 4초 타이머가 종료되었다면, 예 브랜치는 하나 또는 두개의 디지트(오퍼레이터가 엑세스하는 “0”은 제외)가 다이얼되었는지를 결정하기 위한 검사가 행해지는 결정 블럭(636)으로 진행된다. 만약 그렇다면, 예 브랜치는 마이크로컴퓨터(508)가 자신의 메모리의 장소(X 또는 xx)로부터 전화번호를 재호출하고, 유저에게 알리기 위하여 스피커(544)로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블럭(638)으로 진행된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 하나 또는 두개의 디지트 번호로 인해 장소(1-99)에 기억된 전화번호가 빠르게 다이얼되게 하는 전화번호 재호출 모드가 엔터된다. 그 다음에, 블럭(640)에서, 마이크로컴퓨터(508)는 전화 호출을 상기 다이얼되거나 또는 재호출된 전화번호로 정한다. 이 시점에, 마이크로 컴퓨터(508)의 메모리에 누적된 상기 전화번호 디지트 또는 상기 재호출된 디지트는 코드화되고 마이크로컴퓨터 (508)에 의해 SEND 코드와 함께 버스(511)를 경유하여 마이크로컴퓨터(529)로 전송되는데, 이들 디지트는 셀룰러 전화기 호출을 행하기 위하여 무선 트랜시버(519)의 무선 송신기에 의해 셀룰러 무선 채널을 경우하여 엔코드되고 전송된다. 그후에, 결정 블럭(642)에선, 또 다른 디지트가 다이얼되었는지를 결정하기 위한 검사가 행해진다. 만약 그렇다면, 예 브렌치는 마이크로컴퓨터(508)가 다이얼된 디지트에 대응하는 DTMF톤을 발생시키는 블럭(644)으로 진행된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 DTMF 톤이 호출 동안 다이얼된 각 디지트에 응답하여 발생되는 DTMF 모드가 엔터된다.
블럭(644) 및 제2B도의 결정 블럭(642)의 아니오 브랜치로부터, 프로그램 제어는 결정 블럭(646)에서, MEM-MEM 키 순서가 눌러졌는지를 결정하기 위한 검사가 행해지는 제2C도의 포인트(D)로 빠져나간다. 만약 그렇다면, 예 브랜치는 마이크로컴퓨터(508)가 후크스위치 플래쉬를 발생시키는 블럭(648)으로 진행된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 후크스위치 플래쉬가 호출 동안 MEM-MEM 키 순서의 동시 동작에 응답하여 발생되는 후크스위치 플래쉬 모드가 엔터된다. 블럭(648) 및 결정 블럭(46)의 아니오 브래치로부터, 프로그램 제어는 MEM-*또는 MEM-# 키 순서가 눌러졌는지를 결정하기 위한 검사가 행해지는 결정 블럭(650)으로 진행된다. 만약 그렇다면, 예 브랜치는 마이크로컴퓨터(508)가 MEM-*키 순서에 대해 선정된 량만큼 끌어올리거나 또는 MEM-# 키 순서에 대해 선정된 량만큼 끌어 내려 스피커(544)의 음량을 변환시키는 블럭(652)으로 진행한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 호출 동안, 상기 MEM-*MEM-#키 순서의 동시 동작에 각기 응답하여 아래 또는 위로 스피커(544)의 음량이 조정되는 스피커 음량 조정 모드가 엔터된다.
제2C도의 블럭(652) 및 결정 블럭(650)의 아니오 브랜치로부터, 프로그램 제어는 MEM-6키 순서가 눌러졌는지를 결정하기 위한 검사가 행해지는 결정 블럭(650)으로 진행된다. 만약 그렇다면, 예 브랜치는 마이크로컴퓨터(508)가 녹색 LED표시기(507)를 발광시키며, 마이크로폰 오디오를 뮤트시키고, 유저에게 알리기 위하여 스피커(544)로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블럭(662)으로 되돌아간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 호출동안 MEM-6키 순서의 동시 동작에 응답하여 마이크로폰(545)으로부터의 오디오가 뮤트되는 호출 비밀 모드가 엔터된다. 그 다음에, 제2C도의 결정 블럭(664)에선, MEM-6키 순서가 재차 눌러졌는지를 결정하기 위한 검사가 행해진다. 만약 그렇지 않다면, 아니오 브랜치는 대기로 진행된다. MEM-6키 순서가 재차 눌러진다면, 예 브랜치는 마이크로컴퓨터(508)가 녹색 LED표시기(507)의 발광을 중지시키며, 마이크로폰 오디오를 뮤트시키지 않고, 유저에게 알리기 위하여 스피커(544)로 두가지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블럭(666)으로 진행된다.
제2C도의 블럭(666) 및 결정 블럭(654)의 아니오 브렌치로부터, 프로그램 제어는 END키가 눌러졌는지를 결정하기 위한 검사가 행해지는 결정 블럭(656)으로 진행된다. 만약 그렇지 않다면, 아니오 브렌치는 END명령이 셀루러 전화가 트랜시버(509)에 의해 수신되었는지를 결정하기 위한 검사가 행해지는 결정 블럭(658)으로 진행된다. 만약 그렇지 않다면, 아니오 브렌치는 포인트(F)로 빠져나가 결정 블럭(642)으로 리턴하여 앞서 본원에 기술된 바와 같이 계속된다. END키가 눌러졌거나 또는 END명령이 셀룰러 전화기 트랜시버(509)에 의해 수신되었다면, 예 브랜치는 현재의 호출을 종료하기 위하여 결정 블럭(656 또는 658)으로부터 블럭(660)으로 각기 진행된다. 그후에, 프로그램 제어는 포인트(B)로 빠져나가 블럭(608)으로 리턴하여 앞서 본원에 기술된 바와 같이 계속된다.
그다음에 제3도를 참조하면, 인입한 전화 호출을 처리하기 위하여 제1도의 마이크로컴퓨터(508)에 의해 사용된 프로세스에 대한 흐름도가 예시된다. 개시 블럭(502)에 엔터하므로, 상기 프로세스는 인입한 호출이 수신되었는지를 결정하기 위한 검사가 행해지는 결정 블럭(704)으로 진행된다. 만약 그렇지 않다면, 아니오 브랜치는 대기로 진행된다. 인입한 호출이 수신되었다면, 예 브랜치는, 결정 블럭(704)으로부터 마이크로컴퓨터(508)가 스피커(544)에 인가된 전기적인 벨울림 신호(116)을 발생시키는 블럭(706)으로 진행된다. 그 다음에, 결정 블럭(708)에선, 임의의 키가 눌러졌는지를 결정하기 위한 제어기(504)의 키에 대한 검사가 행해진다. 만약 그렇지 않다면, 아니오 브랜치는 대기로 진행된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 임의의 키의 동작에 응답하여, 인입한 호출이 응답된다. 제어기(504)의 키가 눌러졌다면, 예 브랜치는 결정 블럭(708)으로부터 블럭(710)으로 진행되어 호출을 접속시키고 그후에 제2B도의 포인트(F)로 빠져나가 앞서 본원에 기술된 바와 같이 계속된다.
개요에 있어서, 한 유일한 셀룰러 전화기는 상기 전화기의 동작 모드를 제어하고, 임의의 패턴으로 다이얼된 셀룰러 전화기 호출을 자동으로 행하고 수신하는 키패드 제어기를 포함한다. 상기 새로운 키패드 제어기는 숫자키(0-9), # 및 *와 기능키(MEM 및 END/CLEAR)를 포함하고, 종래 기술의 셀룰러 전화기 핸드셋에서와 같이 정보 디스플레이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전화번호중 다이얼된 디지트는 기억되고, 본 발명의 유일한 셀룰러 전화기에 의한 4초 중지에 응답하여,“SEND”버튼을 사용하지 않고도 셀룰러 전화기 호출의 배치에 대해 자동으로 전송된다.

Claims (10)

  1. 다수의 동작 모드를 구비하고, 셀룰러 무선 채널상에서 동작가능한 셀룰러 전화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셀룰러 전화기 장치는 제1 및 제2의 포트(port)를 구비한 데이타 버스와; 상기 동작 모드를 제어하고 상기 셀룰러 무선 채널에 셀룰러 전화기 호출을 통신시키는 제1의 마이크로커뮤터를 포함하는 셀룰러 트랜시버와; 전화번호를 엔터시키는 10개의 숫자키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 전화기의 상기 동작 모드를 제어하는 메모리 키를 포함하는 다수의 키를 구비한 제어기와;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에 결합되어져 전화번호 디지트를 수신하도록 개별 키의 동작을 검출하고 상기 동작 모드중 한 대응하는 동작 모드를 선택하도록 메모리 키 및 또 다른 키를 포함하는 선정된 키 순서의 동시 동작을 검출하고, 각각의 수신된 디지트를 메모리에 기억시키며, 상기 데이타 버스의 제1의 포트에 또한 결합되어 최종 동작된 키의 검출로부터 경과된 시간이 선정된 시간 간격을 초과하면, 상기 기억된 디지트 또는 상기 동작 모드중 상기 선택된 동작 모드를 셀룰러 트랜시버에 자동으로 전송하는 제2의 마이크로컴퓨터 및; 상기 데이타 버스의 제2의 포트에 결합되어, 상기 동작 모드중 선택된 동작 모드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동작 모드를 셀룰러 트랜시버에 인가하고, 전송된 디지트를 수신하고 전화기 호출을 개시하기 위해 셀룰러 무선 채널중 한 채널상의 수신된 디지트를 자동을 전송하는 상기 제1의 마이크로컴퓨터를 포함하여, 다이얼링이 적어도 시간 간격동안 중단되며 각각의 전화 번호의 모든 다이얼된 디지트가 자동으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룰러 전화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의 마이크로컴퓨터는 상기 셀룰러 트랜시버에 전원을 제공하기 위하여 임의의 두개의 키의 동시 동작에 응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룰러 전화기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셀룰러 전화기는 파워가 온일시에 가시적인 표시를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제2마이크로컴퓨터에 결합된 표시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룰러 전화기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기는 발광 다이오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룰러 전화기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종료 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의 마이크로컴퓨터 수단은 상기 메모리 키 및 종료 키의 동시 동작에 응답하여 상기 셀룰러 트랜시버로부터 파워를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룰러 전화기 장치.
  6. 다수의 동작 모드를 구비하며, 메모리를 가진 마이크로 컴퓨터에 의해 셀룰러 트랜시버에 결합된 전화번호를 엔터시키기 위한 10개의 숫자 키와 무선 전화기의 동작 모드를 제어하기 위한 메모리 키 및 종료 키를 포함하는 제어기를 포함하고, 셀룰러 전화기 호출을 통신하기 위하여 셀룰러 무선 채널상에 동작 가능한 무선 전화기를 동작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파워-온 모드를 선택하기 위하여 적어도 2개 키의 동시 동작을 검출하고, 파워를 상기 셀룰러 트랜시버 수단에 제공하는 단계와; 전화번호 디지트를 수신하고 상기 동작 모드중 대응하는 한 동작 모드를 선택하기 위하여, 개별 키의 동작을 검출하고 상기 메모리 키 및 또 다른 키를 포함하는 선정된 키 순서의 동시 동작을 검출하는 단계와; 각각의 수신된 전화번호 디지트를 상기 메모리 수단에 기억시키는 단계와; 상기 최종 동작된 키의 검출로부터 경과된 시간이 전화 호출을 시작하기 위한 선정된 시간 간격을 초과할 시에 상기 셀룰러 무선 채널중 한 채널상에 모든 기억된 전화번호 디지트를 자동으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종료키의 동작이 검출될 시에 전화 호출을 종료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무선 전화기 장치 동작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파워-온 모드 동안 표시기를 인에이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화기 장치 동작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파워-다운 모드를 선택하기 위하여 상기 메모리 키 및 종료키의 동시 동작을 검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파워-다운 모드가 선택될 시에 상기 셀룰러 트랜시버 수단으로부터 파워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화기 장치 동작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선정된 키 순서는 재다이얼 모드를 선택하기 위하여 제1의 선정된 숫자키에 뒤이은 메모리 키를 포함하고, 상기 재다이얼 모드가 선택될 시에, 이전에 전송된 전화번호 디지트를 재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화기 장치 동작 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선정된 키 순서는 로크 모드를 선택하기 위하여 제2의 선정된 숫자키에 뒤이은 메모리 키를 포함하고, 상기 로크 모드가 선택될 시에, 상기 셀룰러 트랜시버를 전기적으로 로킹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화기 장치 동작 방법.
KR1019930701907A 1991-10-21 1992-09-28 셀룰러 전화기 및 그 동작방법 KR96001636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779,787 1991-10-21
US07/779,787 US5247565A (en) 1989-05-10 1991-10-21 Cellular telephone with keypad controller
PCT/US1992/008245 WO1993008615A1 (en) 1991-10-21 1992-09-28 Cellular telephone with keypad controll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703717A KR930703717A (ko) 1993-11-30
KR960016367B1 true KR960016367B1 (ko) 1996-12-09

Family

ID=251175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701907A KR960016367B1 (ko) 1991-10-21 1992-09-28 셀룰러 전화기 및 그 동작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5247565A (ko)
KR (1) KR960016367B1 (ko)
BR (1) BR9205507A (ko)
CA (1) CA2097808C (ko)
GB (1) GB2266211B (ko)
MX (1) MX9205994A (ko)
WO (1) WO199300861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258585B (en) * 1991-02-04 1995-06-21 Motorola Inc Radiotelephone operating technique with multifunctional keys
GB2256774A (en) * 1991-06-11 1992-12-16 Nec Technologies Hands free phone set
FI935971A (fi) * 1993-12-31 1995-07-01 Nokia Mobile Phones Ltd Menetelmä puhelinnumeron valitsemiseksi matkapuhelimessa
US5594782A (en) 1994-02-24 1997-01-14 Gte Mobile Communications Service Corporation Multiple mode personal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US6453178B1 (en) * 1994-02-24 2002-09-17 Gte Wireless Service Corporation Radiotelephone operating method with connected NPA dialing analysis
EP0746955A4 (en) 1994-02-24 1999-08-18 Gte Mobile Comm Servinc CELLULAR RADIOTELEPHONE SYSTEM WITH REMOTE PROGRAMMING STATIONS
ATE265127T1 (de) * 1994-02-24 2004-05-15 Gte Wireless Service Corp Zellulares funktelefon mit wahlnummeranalyse
FI96082C (fi) * 1994-04-13 1996-04-25 Ne Products Oy Menetelmä valintavälineellä radiolähetinvastaanottimelle annettavan valintasekvenssin valintojen tulkitsemisessa
WO1996007244A1 (fr) * 1994-08-31 1996-03-07 Sony Corporation Terminal de transmission
US5834747A (en) * 1994-11-04 1998-11-10 Pixel Instruments Universal credit card apparatus and method
JPH08172472A (ja) * 1994-12-19 1996-07-02 Sony Corp 通信端末装置
KR0185613B1 (ko) * 1995-05-27 1999-05-15 김광호 이동 무선전화기의 다이알링방법
US5812954A (en) * 1995-11-27 1998-09-22 Nokia Mobile Phones Ltd. Mobile telephone power key lock function
SE507449C2 (sv) * 1996-03-01 1998-06-08 Ericsson Telefon Ab L M Förfarande och anordning för aktivering och automatisk inaktivering av knappsats till en mobilradioterminal
DE69732747T2 (de) * 1996-07-31 2006-04-13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Fernsprechapparat mit einer begrenzten Betriebsart
US6128514A (en) 1997-01-31 2000-10-03 Bellsouth Corporation Portable radiotelephone for automatically dialing a central voice-activated dialing system
US5926769A (en) * 1997-02-18 1999-07-20 Nokia Mobile Phones Limited Cellular telephone having simplified user interface for storing and retrieving telephone numbers
US6324592B1 (en) 1997-02-25 2001-11-27 Keystone Aerospace Apparatus and method for a mobile computer architecture and input/output management system
KR100251583B1 (ko) * 1997-12-29 2000-04-15 윤종용 단일 기능키 다수 기능 제어 장치
CN1288631A (zh) * 1998-01-20 2001-03-21 夸尔柯姆股份有限公司 阻止意外启动无线通信装置中的键的装置和方法
AU4098199A (en) * 1998-05-27 1999-12-13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user feedback in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JP3125758B2 (ja) 1998-07-23 2001-01-22 日本電気株式会社 携帯通信機及びプログラムを記憶した記憶媒体
AU1743500A (en) * 1998-11-24 2000-06-13 Hughes Electronics Corporation Improved in-call dtmf transport for geostationary mobile satellite communicationsystem
US7010116B1 (en) 1998-12-21 2006-03-07 Micron Technology, Inc. Method of programming telephone numbers and identifiers in a telephone
US6597772B1 (en) 1998-12-21 2003-07-22 Micron Technology, Inc. Method of programming telephone numbers and identifiers in multiple databases
US6697484B1 (en) 1998-12-21 2004-02-24 Micron Technology, Llc Method of programming telephone numbers and identifiers in a telephone
US6868281B1 (en) * 1998-12-31 2005-03-15 Qwest Communications Int'l., Inc. Dual dialing mode wireless telephone
US6625444B1 (en) 1999-02-02 2003-09-23 Micron Technology, Inc. Method of programming a telephone
KR100663544B1 (ko) * 1999-03-30 2007-01-0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폰의 리스트 출력방법
JP2000332881A (ja) * 1999-05-10 2000-11-30 Yili Electronic Ind Co Ltd ハンズフリー受話器に結合して使用可能なディジタル電話ダイヤルシステム
US6704413B1 (en) * 1999-10-25 2004-03-09 Plantronics, Inc. Auditory user interface
US6907273B1 (en) * 2000-07-07 2005-06-14 Openwave Systems Inc. Method and system for processing overloaded keys of a mobile device
US6892081B1 (en) * 2001-05-31 2005-05-10 Nokia Corporation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operation using content sensitive menu keys in keypad locked mode
KR100424475B1 (ko) * 2002-01-10 2004-03-25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의 단축키를 이용한 통신 기능 실행 방법 및 장치
DE10235546A1 (de) * 2002-03-25 2003-10-09 Agere Syst Guardian Corp Automatische Tastaturentriegelung für Mobiltelefone auf der Basis von mehreren Tasteneingaben
KR100498340B1 (ko) * 2003-02-04 2005-07-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수신 방법
US7321781B2 (en) * 2004-08-24 2008-01-22 Moshe Sorotzkin Cellular telephone design for the elderly
KR100632117B1 (ko) * 2005-01-27 2006-10-04 주식회사 팬택 종료키의 제어장치 및, 이를 적용한 휴대용 단말기
US20070259686A1 (en) * 2006-05-08 2007-11-08 Marja-Leena Nurmel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US20080008161A1 (en) * 2006-07-07 2008-01-10 Luis Aldaz Voice communication device for providing cellular and voice over wireless local area network (VoWLAN) communication using a single microprocessor
US20080008142A1 (en) * 2006-07-07 2008-01-10 Luis Aldaz Voice communication device for providing voice over wireless local area network (VoWLAN) communication using a single microprocessor
US8243638B2 (en) 2007-01-08 2012-08-14 Hellosoft, Inc. Passive listening in wireless communication
US9760146B2 (en) 2007-01-08 2017-09-12 Imagination Technologies Limited Conditional activation and deactivation of a microprocessor
US8238278B2 (en) 2007-01-08 2012-08-07 Hellosoft, Inc. Hardware-based beacon processing
KR102555913B1 (ko) * 2018-11-22 2023-07-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37975A (en) * 1984-09-18 1988-04-12 Metrofone, Inc. Programmable system for interfacing a standard telephone set with a radio transceiver
US4775997A (en) * 1984-09-18 1988-10-04 Metrofone, Inc. System for interfacing a standard telephone set with a radio transceiver
US4658096A (en) * 1984-09-18 1987-04-14 Metrofone, Inc. System for interfacing a standard telephone set with a radio transceiver
US4718080A (en) * 1985-12-16 1988-01-05 Serrano Arthur L Microprocessor controlled interface for cellular system
US4745632A (en) * 1985-12-27 1988-05-17 Duffy Anthony G Wireless mobile telephone communication system
DE8807359U1 (ko) * 1988-06-06 1989-10-12 Siemens Ag, 1000 Berlin Und 8000 Muenchen, De
US5086452A (en) * 1988-06-13 1992-02-04 Kabushiki Kaisha Toshiba Radio telephone system and its control method
JPH0243855A (ja) * 1988-08-04 1990-02-14 Toshiba Corp 無線電話装置
US5117450A (en) * 1989-05-10 1992-05-26 Motorola, Inc. Cellular telephone with standard telephone set
US5148471A (en) * 1989-11-20 1992-09-15 Motorola, Inc. Communications device with voice recognition and movable element control interfa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703717A (ko) 1993-11-30
CA2097808C (en) 1998-06-23
GB2266211B (en) 1995-06-07
GB2266211A (en) 1993-10-20
BR9205507A (pt) 1994-04-05
WO1993008615A1 (en) 1993-04-29
US5247565A (en) 1993-09-21
GB9312025D0 (en) 1993-08-18
CA2097808A1 (en) 1993-04-22
MX9205994A (es) 1993-05-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16367B1 (ko) 셀룰러 전화기 및 그 동작방법
US4959851A (en) Dialing features for cellular telephone with standard telephone set
US5117450A (en) Cellular telephone with standard telephone set
JP2528001B2 (ja) セルラ―・コ―ドレス電話機で呼を送受信する方法
US4706274A (en) Cordless telephone system
US5127042A (en) Cellular cordless telephone
JPH04271526A (ja) 遠隔プログラム可能な無線電話機
US6360108B1 (en) System and method for the automatic prepending of digit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JP3058684B2 (ja) 標準電話セットを備えたセルラ電話
KR100247676B1 (ko) 무선전화기용 자동 채널 선택 시스템
US4103107A (en) Paging encoder system utilizing a telephone line link
US6608889B2 (en) Telephone having convenience feature data transfer capability
KR930002882B1 (ko) 무선전화장치
US5243646A (en) Fast redial system for a telephone
JP2752994B2 (ja) 無線電話装置
KR200190801Y1 (ko) 무선전화기를 이용한 전자기기 제어장치
KR930002771B1 (ko) 무선전화기의 다이얼링방법
JPH01259635A (ja) 移動局装置
KR100560920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단축 다이얼링 방법
KR920005048Y1 (ko) 온 후크 자동 다이얼링 장치
KR100321404B1 (ko) 무선가입자망의 후크오프 검출 장치 및 방법
JPS63209252A (ja) 電話装置
JPH04242360A (ja) 携帯通信端末
JPH0338151A (ja) 無線電話装置
JPH11178064A (ja) 携帯電話機とその発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