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2882B1 - 무선전화장치 - Google Patents

무선전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2882B1
KR930002882B1 KR1019890011150A KR890011150A KR930002882B1 KR 930002882 B1 KR930002882 B1 KR 930002882B1 KR 1019890011150 A KR1019890011150 A KR 1019890011150A KR 890011150 A KR890011150 A KR 890011150A KR 930002882 B1 KR930002882 B1 KR 9300028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body apparatus
call
signal
tele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111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4126A (ko
Inventor
마사유끼 다나까
고오이찌 이또오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아오이 죠이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아오이 죠이찌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9000041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41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28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28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5Cordless telephones
    • H04M1/72502Cordless telephones with one base station connected to a single line
    • H04M1/72505Radio link set-up proced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무선전화장치
제 1 도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전화장치의 한 실시예를 나타낸 블록도.
제 2 도 및 제 3 도는 유선회로로부터 착신호출신호가 온 경우 본체장치 및 무선전화기의 동작을 나타낸 플로우챠트.
제 4 도 및 제 5 도는 무선전화기로부터 발신호출신호를 보낸 경우 본체장치 및 무선전화기의 동작을 나타낸 플로우챠트.
제 6 도 및 제 7 도는 호출음에 따른 본체장치 및 무선전화기의 동작을 나타낸 플로우챠트.
제 8 도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전화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블록도.
제 9 도 및 제10도는 제 8 도에 나타낸 실시예의 호출음 발생동작을 나타낸 블록도.
제11도는 음성메모리가 사용된 본 발명에 따른 무선전화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블록도.
제12도는 표시기가 사용된 본 발명에 따른 무선전화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블록도.
제13도는 본체 장치와 무선전화기의 각각에 내장된 제어회로에 내용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본체장치 2 : 무선전화기
3 : 유선전화회선(가입자선) 5 : 송신기
6 : 안테나공용기 10, 11 : 검출회로
12 : 제어회로 21 : 신세사이저
34 : 표시기
본 발명은 유선회선과 접속된 본체장치와, 이 본체장치와 무선회선으로 접속된 무선전화기로 구성된 무선전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본체장치와 무선전화기와의 사이에 서로 호출기능이 설치된 것에 관한 것이다.
유선회선과 접속된 본체장치와 이 본체장치와 무선회선으로 접속된 무선전화기로 구성된 것으로서 복수의 통화채널중 빈 통화채널을 통하여 무선전화기와 유선회선간에 통화회로를 만들어서 유선회선과 접속된 상대방전화기와 무선전화기를 통화가능하게 한 멀티채널방식의 무선전화장치가 알려져 있다.
이러한 전화기에 있어서, 예를들어 유선회선에 호출신호가 도착해서 이를 본체장치와 함께 설치된 일반전화기로 받았으나 전화를 건 사람이 원하는 통화상대방이 본체장치와 떨어진 곳에 있는 무선전화기의 이용자인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 종래의 무선전화장치에 있어서는 본체장치로부터 무선전화기를 호출할 수 없으므로 예를들면 본체장치와 함께 설치된 일반전화기의 이용자가 무선전화기가 있는 곳에 가서 무선전화기 이용자에게 알려주어 무선전화기를 오프훅함으로써 통화를 교환한다는 너무 복잡한 절차를 밟아야 했다.
또한 마찬가지로 유선회선에 호출신호가 도착하여 이를 무선전화기로 받았으나 전화를 건 사람이 원하는 통화상대방이 본체장치가 있는 곳에 있는 일반전화기의 이용자인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도 종래의 무선전화기에 있어서 무선전화기로부터 본체장치를 호출할 수 없으므로 무선전화기 이용자가 본체장치가 있는 곳에 가서 본체장치에 설치된 일반전화기 이용자에게 알려주어 일반전화기를 오프훅함으로써 통화를 교환해야 되며, 복잡한 조작이 필요했다.
그래서 본체장치 및 무선전화기의 한쪽 또는 양쪽에 설치된 스위치조작에 의해 호출신호음을 송신시키는 기능을 별도로 부가한 것이 제안되어 있지만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본체장치쪽 또는 무선전화기 쪽에서 다른쪽을 단순하게 호출하고 있는 것만 알수 있으며, 예를들면 무선전화기 주변에 이용자가 두명있는 경우 어느 사람에 대한 호출신호인지 몰기 때문에 불편하였다. 이러한 문제는 본체장치와 무선전화기간에 별도로 통화기능을 부가하면 해결되지만, 이렇게 구성하면 회로규모의 증대를 초래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은 위와같은 사정을 해결하여 본체장치 또는 무선전화기의 주변에 복수의 이용자가 있는 경우에도 간단한 구성으로 어느 한사람을 선택적으로 호출할 수 있는 무선전화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본체장치 및 무선전화기의 한쪽 또는 양쪽에 무선회선을 통해 복수종류의 호출신호를 송신하는 송신장치를 설치함으로써 위 목적을 성취하려고 한 것이다.
본체장치 또는 무선전화장치에서 스위치조작하면, 스위치조작의 방법, 또는 조작한 스위치에 따라 복수종류의 다른 호출신호가 상대쪽으로 송신된다. 따라서 가령 A씨를 호출하려는 경우 미리 A씨에게 할당된 호출신호를 송신함으로써 A씨만을 특정하여 호출할 수 있다.
이와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본체장치 또는 무선전화기로부터 다른 쪽으로 복수종류의 호출신호를 송출할수 있도록 구성하므로 무선전화기 또는 본체장치 주변에 복수의 이용자가 있는 경우라도 어느 한사람만 특정하여 호출할 수 있다. 더우기 스위치를 부가할 뿐이기 때문에 회로구성이 복잡하게 되지 않는다는 잇점도 있다.
제 1 도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전화장치의 한 실시예를 블록도로 나타낸 것이다. 동도면에 있어서 본체장치(1)는 무선전화기(2)와 무선회선을 통해 접속되어 있음과 동시에 유선전화회선(가입자선)(3)과 접속되어 있다. 유선전화회선(3)으로부터 보내온 신호는 하이브리드회로(4)를 통해 송신기(5)에 변조입력된다.
송신기(5)에서 변조된 전파는 안테나공용기(6)를 통해 안테나(7)로부터 무선전화기(2)에 송신된다. 한편 무선전화기(2)로부터 송신된 전파는 안테나(7)에서 수신되어 안테나공용기(6)를 통해 수신기(8)에서 복조된다. 복조된 신호는 하이브리드회로(4)를 통해 유선전화회선(3)에 송출된다. 신세사이저(9)는 무선채널(통화채널 및 제어채널)에 대응된 주파수의 신호를 송신기(5) 및 수신기(8)에 출력한다. 수신기(8)의 출력의 하나는 수신전계 검출회로(10)에 입력되어 전계강도를 판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 회로(10)는 일반적으로 캐리어 스켈치회로 또는 노이즈 스켈치회로라고 한다.
또한 수신기(8)의 또 하나의 출력은 수신복조파에 포함된 데이터신호로서 출력되어, 본체장치(1)와 무선전화기(2)의 조합에 따라 결정되는 식별신호를 식별하는 식별신호 검출회로(11)에 입력된다. 이 식별번호는 일반적으로 ID코드라고 한다. 이들 검출회로(10), (11)의 출력 및 데이터신호의 복조출력은 제어회로(12)에 입력되어 접속통일 제어하는데에 사용된다.
여기에서 제어회로(12, 24)는 제13도에 나타난 바와같이 통화회선의 접속제어를 행하는 통화회선 확립제어부(121, 241)와, 스위칭(S11, S12)의 조작에 대응하는 호출신호를 무선전화기(2)에 대하여 송신하는 호출신호 제어부(122, 242)와, 무선전화기(2)로 부터 수신한 호출신호에 대응하는 호출음을 발생함에 의해 스피커(25)를 제어하는 통지신호제어부(123243)로 구성되어 있다.
제어회로(12)의 통화회선확립제어부(121)는 신세사이저(9)를 제어함으로써 무선채널의 변경제어를 하거나 송신기(5)에 송신데이터 신호를 변조입력으로서 송출하는 등의 제어를 행한다.
착신호출 검출회로(14)는 유선회선으로부터의 16Hz의 착신호출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것이다. 이 착신호출 검출회로(14) 제어회로에 입력된다. 사운더(13)는 호출음을 발생하기 위한 것이고 스위치(S11), (S12)는 각각 다른 호출신호를 무선전화기(2)에 송신하기 위한 것이다. 표시기(34)는 이 장치가 통화상태인지 보류상태인지를 표시하는 것이다. 이 표시기(34)는 예를들어 LED로 구성되어 통화상태 또는 자기보류상태에 있으면 연속점등되고 완전보류 상태에 있으면 점멸되고 수신대기상태에 있으면 소등된다.
한편 무선전화기(2)에도 마찬가지로 안테나(15), 안테나공용기(16), 수신기(17)가 설치되어 있고 수신기(17)의 복조출력은 수화기(18)에 출력된다. 또 송화기(19)로부터 입력된 음성은 송신기(20)의 변조입력이 되어 안테나(15)로부터 송신된다. 신세사이저(21) 수신전계 검출회로(22) 식별신호 검출회로(23)는 본체장치(1)내에 있는 것과 같으며, 제어회로(24)가 무선전화기(2)의 제어를 행한다. 스피커(25)는 착신호출시 및 본체장치(1)와 스위치(S11), (S12)가 조작되었을때 호출음을 발생하는 사운더이다. 다이얼유닛(26)은 발신호출, 통화종료를 조작하거나 다이얼번호를 입력하는 것이다. 또한 스위치(S21), (S22)는 각각 다른 호출신호를 본체장치(1)에 송신하기 위한 것이다.
다음에 본 장치의 동작을 제 2 도 내지 제 7 도의 플로우챠트에 따라서 설명한다.
먼저 이 장치가 통화상태가 될때까지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이 장치가 통화상태가 될때는 유선회선(3)으로부터 착신호출신호가 온 경우와, 무선전화기(2)로부터 발신호출신호가 온 경우가 있다. 유선회선(3)으로부터 착신호출신호가 온 경우의 본체장치(1)의 동작을 제 2 도에 나타내고 무선전화기(2)의 동작을 제 3 도에 나타낸다.
유선회선(3)으로부터 16Hz의 착신호출신호가 오면, 이 착신호출신호는 본체장치(1)의 착신호출 검출회로(14)에서 검출되어 이 검출출력을 제어회로(12)에 가해진다. 이로써 제어회로(12)의 통화회선확립제어부(121)는 착신호출신호가 온 것으로 판단하여(스텝 101), 송신기(5)를 제어함으로써 착신호출신호를 안테나공용기(6), 안테나(7)를 통해 송출시킨다(스텝 102). 이 착신호출신호의 송출은 제어채널에서 행해진다.
이 착신호출신호에는 ID코드와 통화채널을 지정하기 위한 채널지정신호가 포함되어 있다. 한편 무선전화기(2) 안테나(15), 안테나공용기(16)를 통해 수신기(17)에서 이 착신호출신호를 수신한다. 제어회로(24)의 통화회선확립제어부(241)는 수신전계 검출신호(22)의 출력에 의거하여 이 착신호출신호 수신을 검출한다(스텝 111).
이어서 식별신호 검출신호(23)의 출력을 기초로 이 착신호출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ID코드가 자기 ID코드와 일치되는지를 조사하고(스텝 112), 일치되어 있으면 송신기(20)를 제어함으로써 착신호출 응답신호를 안테나공용기(16), 안테나(15)를 통해 송출한다(스텝 113).
이 착신호출 응답신호중에서도 ID코드가 포함되어 있다. 그후 제어회로(24)의 통화회선확립제어부(241)는 신세사이저(21)를 제어하여 송신기(20), 수신기(17)의 무선채널을 상기 착신호출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채널지정신호에 따라서 지정된 통화채널로 바꾼다(스텝 114).
본체장치(1)의 제어회로(12)의 통화회선확립제어부(121)는 무선전화기(2)로 무선전화기(2)로부터의 착신호출 응답신호의 수신을 수신전계 검출회로(10)의 출력에 의거하여 검출하면(스텝 103), 식별신호 검출신호(11)의 출력에 의거하여 이 착신호출 응답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ID코드가 자기 ID코드와 일치되는지를 조사하고(스텝 104), 일치되어 있으면 제어회로(12)의 통화회선확립제어부(121)는 신세사이저(9)를 제어하여 송신기(5), 수신기(8)의 무선채널을 착신호출신호와 함께 송출된 채널지정신호에 의해 지정된 통화채널로 바꾼다(스텝 105). 그리고 통화채널에서 호출신호를 송출한다(스텝 107).
무선전화기(2)는 이 호출신호를 수신하면(스텝 116), 제어회로(24)의 통지신호제어부(243)가 스피커(25)를 제어하여 호출음을 올리게한다(스텝 117). 이 호출음에 따라 다이얼유닛(26)의 통화스위치(26a)가 조작되면(스텝 118), 본체장치(1)에 대해 오프훅신호를 송출한다(스텝 119). 본체장치(1)는 이 오프훅신호를 수신하면(스텝 108), 혹은 함께 설치된 전화기(28)에서 오프훅되면(스텝 106) 호출신호송출을 정지시킨다(스텝 109).
이에따라 무선전화기(2)는 스피커(25)로부터의 호출음을 정지시켜서(스텝 120) 본체장치(1)와 무선전화기(2)는 통화상태가 된다. 무선전화기(2)로부터의 발신호출신호가 온 경우의 본체장치(1)의 동작을 제 4 도에서 나타내고 무선전화기(2)의 동작을 제 5 도에 나타낸다. 무선전화기(2)에서 통화스위치(26c)가 조작되면(스텝 211) 무선전화기(2)로 부터 발신호출신호가 송출된다(스텝 212). 여기서 이 발신호출신호에서 ID코드가 포함되어 있다.
본체장치(1)는 이 발신흐출신호를 수신하면(스텝 201), 이 발신호출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ID코드가 자기 ID코드와 일치되어 있는지를 조사한다(스텝 202). 일치되어 있으면 발신호출 응답신호를 무선전화기(2)에 대해 송출한다(스텝 203). 이 발신호출 응답신호에는 ID코드 및 통화채널을 지정하기 위한 채널지정신호가 포함되어 있다.
그후 본체장치(1)는 채널지정신호에 의해 지정된 통화채널로 바꾼다(스텝 204). 무선전화기(2)는 본체장치(1)로부터의 발신응답신호를 수신하고(스텝 213). 포함되어 있는 ID코드가 자기 ID코드와 일치되면(스텝 214) 발신호출 응답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채널지정신호로 지정된 통화채널로 바꾼다(스텝 215).
이어서 무선전화기(2)의 다이얼유닛(26)에서 상대방에 대해 다이얼조작되면(스텝 217)이 다이얼신호를 본체장치(1)에 송출한다(스텝 218). 본체장치(1)는 이 다이얼신호를 수신하면(스텝 206) 유선회선(3)의 통화 루우프를 형성하여 유선회선(3)에 대해 다이얼신호를 송출하여 상대방을 호출하는 소정의 발신호출 처리를 실행한다(스텝 207), 이에따라 상대방이 응답하면 본체장치(1) 및 무선전화기(2)는 통화상태가 된다.
제 6 도, 제 7 도는 전술한 통화상태에 있어서 본체장치(1)로부터 무선전화기(2) 주변의 특정된 이용자를 호출하는 경우 및 무선전화기(2)로부터 본체장치(1)에 설치된 일반전화기(28) 주변의 특정된 이용자를 호출하는 경우 본체장치(1) 및 무선전화기(2)의 처리동작을 나타낸 것이다.
예를들어 유선회선(3)으로부터 착신호출신호가 와서, 이에 응답하여 본체장치(1)에 설치된 일반전화기(28)가 오프훅됨으로써 통화상태가 되었으나 상대방이 원하는 통화자가 무선전화기(2)의 이용자 A인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이런 경우 일반전화기(28)의 이용자는 이용자 A에 대응된 본체장치의 호출스위치(S11)를 온한다. 스위치(S11)가 온되면(스텝 301) 본체장치(1)의 제어회로(12)의 호출신호제어부(123)는 송신기(5)를 제어함으로써 이 송신기(5)로부터 안테나공용기(6), 안테나(7)를 통해 스위치(S11)온신호를 송출한다(스텝 302).
그때의 스위치(S11) 온신호는 통화채널을 사용해서 전달되어진다.
무선전화기(2)는 이 스위치(S11) 온신호를 안테나(5), 안테나공용기(16)를 통해 수신기(17)로 수신한다. 무선전화기(2)의 제어회로(24)의 통지신호제어부(243)는
스위치(S11) 온신호의 수신을 검출하면(스텝 315) 스피커(25)를 구동함으로써 예컨대 「피이. 피이」라는 제 1 의 호출음을 발생시킨다(스텝 316).
또한 상대방이 원하는 통화자가 무선전화기(2)의 다른 이용자 B인 경우는 일반전화기(28)의 이용자는 이용자 B에 대응된 본체장치(1)의 호출스위치(S12)를 온한다. 스위치(S12)가 온되면(스텝 303), 본체장치(1)의 제어회로(12)의 호출신호제어부(122)는 송신기(5)를 제어함으로써 이 송신기(5)로부터 안테나공용기(6), 안테나(7)를 통해 스위치(S12) 온신호를 송출한다(스텝 304). 그때 스위치(S12) 온신호는 통화채널을 사용해서 전달된다.
무선전화기(2)는 이 스위치(S12) 온신호를 안테나(15), 안테나공용기(16)를 통해 수신기(17)로 수신한다. 무선전화기(2)의 제어회로(24)의 통지신호제어부(243)는 이 스위치(S12) 온신호의 수신을 검출하면(스텝 317) 스피커(25)를 구동함으로써 에컨대 「핏. 핏」라는 제 2 의 호출음을 발생시킨다(스텝 318).
다음에 유선회선(3)로부터 착신호출신호가 음에 따라 무선전화기(2)가 응답하여 통화상태가 되었으나 상대방이 원하는 통화자가 본체장치(1)에 설치된 전화기(28)의 이용자 C인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이런 경우 무선전화기(2)의 이용자는 이용자 C에 대응된 무선전화기(2)의 호출스위치(S12)를 온한다. 스위치(S12)가 온되면(스텝 311) 무선전화기(2)의 제어회로(24)의 호출신호제어부(242)는 송신기(20)를 제어함으로써 이 송신기(20)로부터 안테나공용기(16), 안테나(15)를 통하여 스위치(S21) 온신호를 송출시킨다(스텝 312).
그때의 스위치(S21) 온신호는 통화채널을 사용해서 전달된다. 본체장치(1)는 이 스위치(S21)신호를 안테나(7), 안테나공용기(6)를 통해 수신기(8)로 수신한다. 본체장치(1)의 제어회로(12)의 통지신호제어부(123)는 이 스위치(S21) 온신호의 수신을 검출하면(스텝 305) 스피커(13)를 구동함으로써 예컨대 「피이. 피이」라는 제 1 의 호출음을 발생시킨다(스텝 306).
한편 그때 상대방이 원하는 통화자가 본체장치(1)의 다른 이용자 D인 경우는 무선전화기(2)의 이용자는 이용자 D에 대응된 무선전화기(2)의 호출스위치(S22)를 온한다. 스위치(S22)가 온되면(스텝 313) 무선전화기(2)의 제어회로(24)의 호출신호제어부(242)가 송신기(20)를 제어함으로써 이 송신기(20)로부터 안테나공용기(16), 안테나(15)를 통해 스위치(S22) 온신호를 송출한다(스텝 314).
그때의 스위치(S22) 온신호는 통화채널을 사용해서 전달된다. 본체장치(1)는 이 스위치(S22) 온신호를 안테나(7), 안테나공용기(6)를 통하여 수신기(8)로 수신한다.
본체장치(1)의 제어회로(12)는 이 스위치(S22) 온신호의 수신을 검출하면(스텝 607) 스피커(13)를 구동함으로써 예컨대 「핏. 핏」이라는 제 2 의 호출음을 발생시킨다(스텝 308).
이상과 같이 본체장치(1)에서 무선전화기(2)의 특징된 이용자를 호출하고 싶을때에는 본체장치(1)의 스위치(S11) 또는 (S12)를 조작함으로써 이를 실시할 수 있으며, 또한 무선전화기(2)에서 본체장치(1)의 특정된 이용자(본체장치(1)에 설치된 일반전화기(28)의 특정된 이용자)를 호출하고 싶을때에는 무선전화기(2)의 스위치(S21) 또는 (S22)를 조작함으로써 이를 실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본체장치(1)와 무선전화기(2)와의 사이에 통화채널이 설정된 후에 스위치(S11), (S12) 또는 (S21), (S22)가 조작되었을 때의 동작에 대해 설명했지만, 본체장치(1)와 무선전화기(2)와의 사이에 통화채널이 설정되지 않는 상태에서 스위치(S11), (S12) 또는 (S21), (S22)가 조작된 경우는, 먼저 본체장치(1)와 무선전화기(2)와의 사이에 통화채널이 설정된 후 스위치(S11)온신호, 스위치(S12)온신호 또는 스위치(S21)온신호, 스위치(S22)온신호가 송출되도록 한다.
또한 호출음은 제 1 의 호출음과 제 2 의 호출음의 2종류에 한정되지 않고 3종류 이상으로 할 수도 있다.
그런 경우 이에따라 본체장치(1) 및 무선전화기에 설치되는 호출용 스위치의 갯수도 늘려야되는 것이다.
더우기 호출용의 스위치에 관련되어 전화기능에 사용하는 다이얼 키이패드가 여유있게 구비되어 있는 경우는 이를 이용해도 되고, 또 별도로 설치하는 경우에도 신호의 종류만큼 설치하지 않고 스위치가 온/오프되는 방법(온시간의 장단등)에 따라 발생시키는 호출음을 구별할 수 있다.
또한 본체장치(1)에서 무선전화기(2)로만, 또는 무선전화기(2)에서 본체장치(1)로만 등의 한방향으로만 호출하는 구성으로해도 된다.
또한 호출음은 음색, 소리의 고저, 소리의 발생형태중 어느 하나 또는 2종류 이상으로 이용하여 구별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호출방법에 대해서도 소리발생체와 표시소자를 함께 사용해서 알려주도록 해도 된다.
제 8 도는 스피커와 발광소자(LED)를 사용하여 호출하도록 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제 8 도에 나타난 실시예는, 제 1 도에 나타낸 구성에다 본체장치(1)에 발광소자(L11)(L12)를 설치하고, 무선전화기(2)에 발광소자(L21)(L22)를 설치한 것이다.
이 실시예의 호출동작을 제 9 도, 제10도에 플로우챠트로 나타내었다.
이 실시예의 동작은 제 6 도, 제 7 도에 나타낸 것과 기본적으로 동일하지만, 이 실시예의 경우 본체장치(1)에서 스위치(S11)가 온되면(스텝 401)본체장치(1)로부터 무선전화기(2)로 스위치(S11) 온신호가 송출되어(스텝 402) 무선전화기(2)에서 이스위치(S11)온신호가 수신되면(스텝 415) 발광소자(L21)가 접등됨과 동시에(스텝 416) 호출음이 발생되며(스텝 419), 또 본체장치(1)에서 스위치(S21)가 온되면(스텝 403), 본체장치(1)로부터 무선전화기(2)에 스위치(S12) 온신호가 송출되어(스텝 404) 무선전화기(2)에서 이 스위치(S12) 온신호가 수신되면(스텝 417), 발광소자(L22)가 점등됨(스텝 418)과 동시에 호출음이 발생된다(스텝 419).
이런 경우 온조작에 의한 스위치(S11)와 스위치(S12)의 호출음을 다르게 할 필요가 없다.
또한 무선전화기(2)에서 스위치(S21)가 온되면(스텝 411) 무선전화기(2)로 부터 본체장치(1)에 스위치(S21) 온신호가 송출되어(스텝 412) 본체장치(1)에서 이 스위치(S21) 온신호가 수신되면(스텝 405) 발광소자(L11)가 점등됨(스텝 406)과 동시에 호출음이 발생되며(스텝 409), 또한 무선전화기(2)에 스위치(S22)가 온되면(스텝 413), 무선전화기(2)로부터 본체장치(1)에 스위치(S22) 온신호가 송출되어(스텝 414) 본체장치(1)에서 이 스위치(S22) 온신호가 수신되면(스텝 407) 발광소자(L12)가 점등됨(스텝 408)과 동시에 호출음이 발생된다(스텝 409).
이런 경우 온조작에 의한 스위치(S21)와 스위치(S22)의 호출음을 다르게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이 실시예에 있어서 점등된 LED를 확인함으로써 호출사용자를 구별할 수 있다.
또한 제11도에 나타낸 것처럼 본체장치(1)와 무선전화기(2)에 각각 음성메모리(30), (31)를 설치하고 호출스위치의 조작에 대응하여 각각 다른 음성을 이들 음성메모리(30)(31)에서 리드함으로써 발음시키도록 구성해도 된다.
예를들어서 무선전화기(2)의 음성메모리(31)에는 본체장치(1)의 스위치(S11)에 대응되도록 "A"씨 전화왔읍니다."라는 음성이 기억되어지고 스위치(S12)에 대응되도록 "B씨 전화왔읍니다."라는 음성이 기억되어진다.
또한 본체장치(1)의 음성메모리(30)에는 무선전화기(2)의 스위치(S21)에 대응되도록 "C씨 전화왔읍니다."라는 음성이 기억되어지고 스위치(S22)에 대응되도록 "D씨 전화왔읍니다."라는 음성이 기억되어지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예를들어 본체장치(1)의 스위치(S11)를 조작하면 이 정보가 본체장치(1)로부터 무선전화기(2)에 송출되어 무선전화기(2)에서는 이에따라 음성메모리(31)에서 「A씨 전화왔읍니다」라는 음성이 리드되어 이 음성이 스피커(25)에서 발음된다.
또한 본체장치(1)의 스위치(S12)를 조작하면 이 정보가 본체장치(1)로부터 무선전화기(2)에 송출되어 무선전화기(2)에서 이에따라 음성메모리(31)에서 「B씨 전화왔읍니다」는 음성이 리드되어 이 음성이 스피커(25)에서 발음된다.
또한 무선전화기(2)의 스위치(S21)를 조작하면 이 정보가 무선전화기(2)로부터 본체장치(1)에 송출되어 본체장치(1)에서 이에따라 음성메모리(30)에서 「C씨 전화왔읍니다」라는 음성이 리드되어 이 음성이 스피커(13)에서 발음된다.
마찬가지로 무선전화기(2)의 스위치(S22)를 조작하면 이 정보가 무선전화기(2)로부터 본체장치(1)에 송출되어 본체장치(1)에서 이에따라 음성메모리(30)에서 「D씨 전화왔읍니다」라는 음성이 리드되어 이 음성이 스피커(13)에서 발음된다.
제12도는 본체장치(1) 및 무선전화기(2)에 대해 각각 호출사용자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기(32)(33)를 설치하고 이 표시기(32)(33)의 표시내용에 따라 특정된 사용자를 호출하도록 구성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표시기(32)(33)는 예를들어서 액정표시기로 구성되며, 예를들어 「A씨 전화왔읍니다」라는 문자가 표시된다.
구체적으로 무선전화기(2)의 표시기(33)의 표시내용이 본체장치(1)의 스위치(S11)(S12)에 대응되도록 제어회로(24)에 미리 기억되어 있고 본체장치(1)의 표시기(32)의 표시내용이 무선전화기(2)의 스위치(S21)(S22)에 대응되도록 제어회로(12)에 미리 기억되어 있다.
제12도의 구성에 따르면, 본체장치(1)에서 스위치(S11)가 온되면 무선전화기(2)의 스피커(25)로부터 호출음이 발생됨과 동시에 표시기(33)에 「A씨 전화왔읍니다」라는 표시가 나타난다.
또한 본체장치(1)에서 스위치(S12)가 온되면 무선전화기(2)의 스피커(25)로부터 호출음이 발생됨과 동시에 표시기(33)에 「B씨 전화왔읍니다」라는 표시가 나타난다.
또한 무선전화기(2)에서 스위치(S21)가 온되면 본체장치(1)의 스피커(13)로부터 호출음이 발생됨과 동시에 표시기(32)에 「C씨 전화왔읍니다」라는 표시가 나타난다.
마찬가지로 무선전화기(2)에서 스위치(S22)가 온되면 본체장치(1)의 스피커(1)의 스피커(13)로부터 호출음이 발생됨과 동시에 표시기(32)에 「D씨 전화왔읍니다」라는 표시가 나타난다.
한편 제12도의 구성에 있어서 표시기(32)(33)의 표시는 소정의 키를 누름으로써 필요에 따라 하도록해도 된다.
이런 경우 예를들어 본체장치(1)의 스위치(S11)를 온조작하여 스피커(25)에서 호출음이 발생되어 있는 상태에 있어서 예를들어 다이얼유닛(26)의 「#」키이를 누르면 이에 응답되어 표시기(33)에 「A씨 전화왔읍니다」라는 표시가 나타나도록 구성된다.

Claims (18)

  1. 유선회선에 접속된 본체장치(1)와, 이 본체장치(1)에 무선회선으로 접속된 무선전화기(2)와, 본체장치(1)와 무선전화기(2)와의 사이에 통화를 위한 무선회선을 확립시키는 무선회선 확립장치(5, 6, 7, 8, 9, 12, S11, S12, 15, 16, 17, 20, 21, 24)와, 본체장치에 설치되어, 복수의 호출신호중 한개의 호출신호를 선택적으로 상기 무선회선을 통해 무선전화기(2)에 송출하는 송출장치(5, 6, 7, 12, S11, S12)와, 무선전화기(2)에 설치되어 본체장치(1)로부터 송출된 호출신호에 대응하여 각각 다른형태로 통지하는 통지장치(25, L21, L22)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화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송출장치(5, 6, 7, 12, S11, S12)는 복수의 스위치(S11, S12)와, 이들 복수의 스위치(S11, S12)중 어느 스위치가 조작되었는지를 검출하는 제어회로(12)와, 이 제어회로(12)에 의해 검출된 스위치에 대응하여 각각 다른 호출신호를 무선회선을 통하여 무선전화기(2)에 송신하는 송신장치(5, 6, 7, 9, 12)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화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통지장치(25, L21, L22)는 수신된 호출신호에 대응하여 각각 다른 호출음을 발생하는 호출음 발생장치(25)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화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통지장치(25, L21, L22)는 호출음 발생장치(25)와, 복수의 표시장치(L21, L22)를 구비하며, 수신된 호출신호에 대응하여 호출음 발생장치(25)를 구동함과 동시에 복수의 표시장치(L21, L22)중 대응된 것을 선택적으로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화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통지장치(25, L21, L22)는 호출음 발생장치(25)와, 표시장치(L21, L22)를 구비하며, 수신된 호출신호에 대응하여 호출음 발생장치(25)를 구동함과 동시에 표시장치(L21, L22)에 각각 다른 표시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화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통지장치(25, L21, L22)는 복수의 음성을 기억한 음성메모리(31)를 구비하며, 수신된 호출신호에 대응하여 음성메모리(31)에서 하나의 음성을 선택적으로 리드하여 이 음성을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화장치.
  7. 유선회선에 접속된 본체장치(1)와, 이 본체장치(1)에 무선회선으로 접속된 무선전화기(2)와, 본체장치(1)와 무선전화기(2)와의 사이에 통화를 위한 무선회선을 확립시키는 무선회선 확립장치(5, 6, 7, 8, 9, 12, S11, S12, 15, 16, 17, 20, 21, 24)와, 무선전화기(2)에 설치되어, 복수의 호출신호중 한개의 호출신호를 선택적으로 무선회선을 통해 본체장치(1)에 송출하는 송출장치(15, 16, 20, 21, 24, S21, S22)와, 본체장치(1)에 설치되어 무선전화기(2)로부터 송출된 호출신호에 대응하여 각각 다른형태로 통지하는 통지장치(13, L11, L12)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화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송출장치(15, 16, 20, 21, 24, S21, S22)는 복수의 스위치(S21, S22)와, 이들 복수의 스위치(S21, S22)중 어느 스위치가 조작되었는지를 검출하는 제어회로(24)와, 이 제어회로(24)에 의해 검출된 스위치에 대응하여 각각 다른 호출신호를 무선회선을 통하여 본체장치(1)에 송신하는 송신장치(15, 16, 20, 21, 24)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화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통지장치(13, L11, L12)는 수신된 호출신호에 대응하여 각각 다른 호출음을 발생하는 호출음 발생장치(13)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화장치.
  10. 제 7 항에 있어서, 통지장치(13, L11, L12)는 호출음 발생장치(13)와, 복수의 표시장치(L11, L12)를 구비하며, 수신된 호출신호에 대응하여 호출음 발생장치(13)를 구동함과 동시에 복수의 표시장치(L11, L12)중 대응된 것을 선택적으로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화장치.
  11. 제 7 항에 있어서, 통지장치(13, L11, L12)는 호출음 발생장치(13)와, 표시장치(L11, L12)를 구비하고, 수신된 호출신호에 대응하여 호출음 발생장치(13)를 구동함과 동시에 표시장치(L11, L12)에 각각 다른 표시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화장치.
  12. 제 7 항에 있어서, 통지장치(13, L11, L12)는 복수의 음성을 기억한 음성메모리(30)를 구비하고, 수신된 호출신호에 대응하여 음성메모리(30)에서 하나의 음성을 선택적으로 리드하여 이 음성을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화장치.
  13. 유선회선(3)에 접속된 본체장치(1)와, 이 본체장치(1)에 무선회선으로 접속된 무선전화기(2)와, 본체장치(1)와 무선전화기(2)와의 사이에 통화를 위한 무선회선을 확립시키는 무선회선 확립장치(5, 6, 7, 8, 9, 12, S11, S12, 15, 16, 17, 20, 21, 24)와, 본체장치(1)에 설치되어, 적어도 한개의 제 1 의 호출신호를 무선회선을 통해 무선전화기(2)에 송출하는 제 1 의 송출장치(5, 6, 7, 9, 12, S11, S12)와, 무선전화기(2)에 설치되어 적어도 한개의 제 2 의 호출신호를 무선회선을 통해 본체장치에 송출하는 제 2 의 송출장치(15, 16, 20, 21, 24, S21, S22)와, 무선전화기(2)에 설치되어, 본체장치(1)로부터 송출된 제 1 의 호출신호에 대응하여 각각 다른형태로 통지하는 제 1 의 통지장치(25, L21, L22)와, 본체장치(1)에 설치되어 무선전화기(2)로부터 송출된 제 2 의 호출신호에 대응하여 각각 다른 형태로 통지하는 제 2 의 통지장치(13, L11, L12)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화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제 1 의 송출장치(5, 6, 7, 9, 12, S11, S12)와 제 2 의 송출장치(15, 16, 20, 21, 24, S21, S22)는 복수의 스위치(S11, S12, S21, S22)와, 이들 복수의 스위치(S11, S12, S21, S22)중 어느 스위치가 조작되었는지를 검출하는 제어회로(12, 24)와, 이 제어회로(12)에 의해 검출된 스위치에 대응하여 각각 다른 호출신호를 무선회선을 통해 송신하는 송신장치(5, 6, 7, 9, 12, 15, 16, 20, 21, 24)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화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제 1 의 통지장치(25, L21, L22) 및 제 2 의 통지장치(13, L11, L12)는 수신된 호출신호에 대응하여 각각 다른 호출음을 발생하는 호출음 발생장치(13, 25)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화장치.
  16. 제13항에 있어서, 제 1 의 통지장치(25, L21, L22)및 제 2 의 통지장치(13, L11, L12)는 호출음 발생장치(13, 25)와, 복수의 표시장치(L11, L12, L21, L22)를 구비하고, 수신된 호출신호에 대응하여 호출음 발생장치(13, 25)를 구동함과 동시에 복수의 표시장치(L11, L12, L21, L22)중 대응된 것을 선택적으로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화장치.
  17. 제13항에 있어서, 제 1 의 통지장치(25, L21, L22)및 제 2 의 통지장치(13, L11, L12)는 호출음 발생장치(13, 25)와, 표시장치(L11, L12, L21, L22)를 구비하며, 수신된 호출신호에 대응하여 호출음 발생장치(13, 25)를 구동함과 동시에 표시장치(L11, L12, L21, L22)에 각각 다른 표시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화장치.
  18. 제13항에 있어서, 제 1 의 통지장치(25, L21, L22) 및 제 2 의 통지장치(13, L11, L12)는 복수의 음성을 기억한 음성메모리(30, 31)를 구비하며, 수신된 호출신호에 대응하여 음성메모리(30, 31)에서 하나의 음성을 선택적으로 리드하여 이 음성을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화장치.
KR1019890011150A 1988-08-04 1989-08-04 무선전화장치 KR93000288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8-194849 1988-08-04
JP63194849A JPH0243854A (ja) 1988-08-04 1988-08-04 無線電話装置
JP63-194849 1988-08-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4126A KR900004126A (ko) 1990-03-27
KR930002882B1 true KR930002882B1 (ko) 1993-04-12

Family

ID=163313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11150A KR930002882B1 (ko) 1988-08-04 1989-08-04 무선전화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5058151A (ko)
JP (1) JPH0243854A (ko)
KR (1) KR93000288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60986A (en) * 1991-04-23 1993-11-09 Bell Atlantic Network Services, Inc. Group notification service and system
US6324404B1 (en) * 1991-12-26 2001-11-27 Sycord Limited Partnership Cellular telephone system that uses position of a mobile unit to make call management decisions
US5235633A (en) * 1991-12-26 1993-08-10 Everett Dennison Cellular telephone system that uses position of a mobile unit to make call management decisions
DE69725578T2 (de) 1996-07-11 2004-07-29 British Telecommunications P.L.C. Telefonvorrichtung
KR100228911B1 (ko) * 1997-08-14 1999-11-01 윤종용 시분할 방식의 무선전화기에서 휴대장치간 인터컴 방법
KR100241783B1 (ko) * 1997-12-19 2000-02-01 윤종용 복합무선단말기의 서비스 옵션에 따른 수신경고음 및 표시문구발생 방법
JP2968794B1 (ja) * 1998-09-29 1999-11-02 静岡日本電気株式会社 ワイヤレスローカルループ用システム端末
US6879828B2 (en) * 2002-09-09 2005-04-12 Nokia Corporation Unbroken primary connection switching between communications services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81821A (ja) * 1985-10-04 1987-04-15 Fujitsu Ten Ltd 無線通話方式
JPH0738744B2 (ja) * 1987-03-23 1995-04-26 株式会社東芝 無線電話装置
JPH0650839B2 (ja) * 1987-06-30 1994-06-29 日本電気株式会社 無線電話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058151A (en) 1991-10-15
KR900004126A (ko) 1990-03-27
JPH0243854A (ja) 1990-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00814B1 (en) Telephone with ringer silencer screening feature
EP0284324B1 (en) Radio telephones
KR0164372B1 (ko) 무선전화기에서 자동 통화 구현방법
KR930002882B1 (ko) 무선전화장치
SE9601364L (sv) Anordning och förfarande för generering av ring-röst- meddelande hos automatisk telefonsvarare
GB2298552A (en) Cordless radio telephone system with a plurality of portable units
KR960003104B1 (ko) 키폰시스템의 착신 호 연결 방법
JPH01221046A (ja) 無線電話装置
KR100602627B1 (ko) 사설 교환기에서 내선 전환방법
KR20010001043A (ko) 발신 전화번호 확인시스템 및 그에 따른 호 처리방법
KR20010090057A (ko) 발신자 번호 표시 기능을 이용한 무선 전화기의 휴대장치착신벨 발생 장치 및 그 방법
KR0167378B1 (ko) 구내 무선전화 시스템
KR0149703B1 (ko) 음성및데이터를송수신하는장치의음성통화모드절환회로및그제어방법
KR100498913B1 (ko) 키폰시스템에서 다이얼톤 안내 방법
KR200254223Y1 (ko) 발신자 번호 표시 기능을 이용한 무선 전화기의 휴대장치착신벨 발생 장치
KR100205866B1 (ko) 팩시밀리 혼용 전화기의 통화상태 인식 장치 및 그 방법
KR970056572A (ko) 회선자동선택장치 및 그 방법
JP2568669B2 (ja) 自動ダイヤル装置
JP2002009944A (ja) 通信装置
KR19980050191U (ko) 무선호출자동수신기능이 구비된 전화기
JPH01223868A (ja) ファクシミリ装置
KR19990000162A (ko) 선별이 가능한 유/무선 전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19990000164A (ko) 자동응답 전화기를 이용한 메시지 전달장치 및 방법
JPS63185238A (ja) 無線電話装置
JPH1169124A (ja) 迷惑防止fax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328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