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05866B1 - 팩시밀리 혼용 전화기의 통화상태 인식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팩시밀리 혼용 전화기의 통화상태 인식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05866B1
KR100205866B1 KR1019960045670A KR19960045670A KR100205866B1 KR 100205866 B1 KR100205866 B1 KR 100205866B1 KR 1019960045670 A KR1019960045670 A KR 1019960045670A KR 19960045670 A KR19960045670 A KR 19960045670A KR 100205866 B1 KR100205866 B1 KR 1002058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lephone
facsimile
audio information
user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456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27017A (ko
Inventor
안원남
김형태
Original Assignee
유기범
대우통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기범, 대우통신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기범
Priority to KR10199600456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05866B1/ko
Publication of KR199800270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70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58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586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27Initiating, continuing or ending a single-mode communication; Handshaking therefor
    • H04N1/32704Establishing a communication with one of a facsimile and another telecommunication apparatus sharing a single line
    • H04N1/32715Detecting
    • H04N1/32728Detecting an off-hook condition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9/00Logic circuits, i.e. having at least two inputs acting on one output; Inverting circuits
    • H03K19/20Logic circuits, i.e. having at least two inputs acting on one output; Inverting circuits characterised by logic function, e.g. AND, OR, NOR, NOT 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281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telecommunication apparatus, e.g. a switched network of teleprinters for the distribution of text-based information, a selective call terminal
    • H04N1/00302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telecommunication apparatus, e.g. a switched network of teleprinters for the distribution of text-based information, a selective call terminal with a telephonic apparatus, e.g. telephone answering machine or videotex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77Types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04N2201/0093Facsimile machi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팩시밀리 또는 팩시밀리에 장착된 제1 전화기와, 이와 별도로 비가시적인 위치에 설치된 제 2 전화기를 하나의 국선에 공용으로 사용하고자 병렬 접속한 통신시스템에서 있어서, 팩시밀리 혼용 전화기의 통화상태 인식 안내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는 제 1 전화기와 병렬 접속된 제 2 전화기가 시각적으로 확인이 안되는 장소에 설치되어 있을 경우 어느 한쪽의 전화기를 사용중일 때 다른 전화기는 송,수화기를 들어도 전혀 동작이 이루어지지 않는 것처럼 폐쇄음 상태로 동작 유지되어 폐쇄음 상태에 있는 전화기 사용자는 사용하고자 하는 전화기가 다른 전화기의 사용중에 의해 동작이 금지된 것인지 아니면 전화기 자체의 고장에 의해 환선(LOOP)을 잡지 못하는 것인지를 명확히 알 수가 없는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안출된 것이다.
이에 따른 본 발명은 제1 또는 제2 전화기의 사용여부를 각각 감시하는 복수의 훅스위치검출부와, 상기 복수의 검출부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정합하여 인식정보의 출력여부에 관한 논리신호(게이트신호)를 결정하는 논리합부정회로부와, 상기 논리 합부정회로부에서 출력되는 논리신호의 형태에 따라 음성정보를 제1 및 제 2 전화기 측으로 출력하거나 또는 음성정보를 기억상태로 대기하는 음성정보저장부와, 상기 음성정보저장부에서 출력되는 음성정보를 제 1 및 제 2 전화기에서 인식가능하도록 변조, 전송하는 음성신호전송부로 이루어진 모뎀을 설치하여, 시각적으로 확인이 안되는 위치에 병렬접속된 다수의 전화기를 설치한 상태에서도 선사용자의 통화중임을 후사용자가 청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병렬접속 통신 시스템의 서비스 향상은 물론, 전화기 운용상의 효율적인 측면에서 사용자 상호간의 통화시도에 대한 불필요한 행동을 줄일 수가 있고, 아울러 폐쇄음에 따른 사용자 확인절차 등의 제반적인 문제점을 해소할 수가 있다.

Description

팩시밀리 혼용 전화기의 통화상태 인식 장치 및 그 방법
본 발명은 팩시밀리 또는 팩시밀리에 장착된 제1 전화기와, 이와 별도로 비가시적인 위치에 설치된 제 2 전화기를 하나의 국선에 공용으로 사용하고자 병렬 접속한 통신시스템에 있어서, 어느 하나의 전화기가 통화중인 상태에서 타방의 전화기를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선사용자의 통화중임을 후사용자에게 청각적으로 알려 주도록 함으로서 사용자 상호간의 통신 서비스를 향상시킬수 있도록 한 팩시밀리 혼용 전화기의 통화상태 인식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화회선을 이용하여 원격지에서도 신속하게 문서정보를 전송, 교환 가능하게 하는 팩시밀리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전화기와 겸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바, 이러한 팩시밀리 겸용 전화기는 비교적 규모가 작은 사무실 또는 일반 가정에도 많이 보급되어 사용되고 있다.
더욱이 규모가 작은 사무실 및 일반 가정이라 하여도 전화 사용자가 다수인 일 때에는 사용자의 편리를 위해 팩시밀리 겸용 전화기의 국선에 또 다른 전화기를 병렬접속하여 사용하는 기술이 일반화 되어 있다.
즉, 상기와 같은 경우의 일예시로서,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국선(L1)(L2)에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외부와 팩시밀리 또는 전화기의 통신이 가능하게 회선을 전환하는 회선전환부(10)를 두고, 이 회선전환부(10)를 통해 선택된 회선에 대응하게 국선(L1)(L2)이 교호적으로 연결되어 팩시밀리(20)를 통해 문서정보를 송,수신하거나, 또는 제1, 제2 전화기(30)(40)를 통해 외부와 통화가 이루어 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와같은 팩시밀리 겸용 전화기에 또 다른 전화기를 병렬접속 방식에 의해 이루어지는 동작관계에 있어서는 사용자가 회선전환부(10)를 통해 국선(L1)(L2)을 전화기(30)(40)로 사용하고자 선택된 경우에는 팩시밀리(20)의 사용이 제한되고,
반대로 팩시밀리(20)를 사용하고자 선택된 경우에는 전화기(30)(40)로 연결되는 국선(L1)(L2)은 팩시밀리(20)로 접속되어 전화기(30)(40)의 사용이 제한 되도록 실행된다.
그러면서 회선전환부(10)를 통한 국선(L1)(L2)이 전화기(30)(40)측으로 선택되어 전화기로만 사용하고자 한 경우에 있어서도 제1 전화기(30)가 통화중일 때에는 제2 전화기(40)는 송,수화기를 들어도 전혀 동작이 이루어지지 않는 것처럼 폐쇄음(MUTE)상태로 유지하도록 동작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팩시밀리 겸용 전화기에 또 다른 전화기를 병렬접속한 경우에 있어 각각의 전화기가 사용자 상호간에 시각적으로 확인 가능한 위치에 있을 경우에는 사용자 상호간의 시각적인 확인에 의해 통화시도를 위한 불필요한 행동은 줄일 수 있으나, 예컨대 제1 전화기와 병렬 접속된 제2 전화기가 각기 다른 장소 즉, 시각적으로 확인이 안되는 장소에 위치되어 있을 경우에는 어느 한쪽의 전화기를 사용중일 때 다른 전화기는 송,수화기를 들어도 전혀 동작이 이루어지지 않는 것처럼 폐쇄음 상태로 유지됨으로서, 이로 인해 폐쇄음 상태로 있게 되는 전화기 사용자는 사용하고자 하는 전화기가 다른 전화기가 다른 전화기의 사용중에 의해 동작이 금지된 것인지 아니면 전화기 자체의 고장에 의해 환선(LOOP)을 잡지 못하는 것인지를 명확히 알 수가 없게 되어 그럴때마다 전화기의 고장여부를 확인한다거나 또는 어느 한쪽에서 전화기를 사용하는 것인가를 매번 확인해야 하는 번거로운 불편이 뒤 따른다.
따라서 본 발명은 시각적으로 확인이 안되는 위치에 병렬접속된 다수의 전화기를 설치한 상태에서도 선사용자의 통화중임을 후사용자가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통신 서비스의 향상은 물론, 사용자 상호간의 통화시도에 대한 불필요한 행동을 줄이고, 아울러 폐쇄음에 따른 확인절차 등의 제반적인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한 팩시밀리 혼용 전화기의 통화상태 인식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1은 일반적인 팩시밀리 혼용 전화기의 병렬접속 상태를 도시한 일 예시도.
도2는 본 발명에 의한 팩시밀리 혼용 전화기의 통화 상태 인식 장치의 제1실시예 구성도.
도3은 본 발명에 의한 팩시밀리 혼용 전화기의 통화 상태 인식 장치의 제2실시예 구성도.
도4는 본 발명에 의한 팩시밀리 혼용 전화기의 통화 상태 인식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챠트.
도5는 본 발명장치에 적용되는 논리회로부(30)의 입출력 신호를 나타내는 진리표.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회선전환부 20 : 팩시밀리
30 : 제1 전화기 40 : 제2 전화기
50 : 제1 전화기 훅스위치 검출부 60 : 제2전화기 훅스위치 검출부
70 : 논리합부정회로부 80 : 음성정보 저장부
90 : 음성신호 전송부 A : 모뎀.
M : 마이크로 프로세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장치의 구체적인 수단으로 제1 실시예의 바람직하게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회선을 변경하는 전환수단이 포함되고, 이 수단에 의해 국선이 팩시밀리 또는 제1, 제2 전화기가 연결되어 외부와 통화가 가능하도록 한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전화기의 사용유무에 따라 그에 대응한 신호를 형성하고 이 신호의 판별에 따라 다시 제1 또는 제2 전화기의 사용자에게 사용상태 인식정보를 출력하는 모뎀을 구비하여서 달성된다.
이때 상기에서의 모뎀은 제1 또는 제2 전화기의 사용여부를 각각 감시하는 복수의 훅스위치검출부와, 상기 복수의 검출부에서 출력되는 각각의 신호를 정합하여 인식정보의 출력여부에 관한 논리신호(게이트신호)를 결정하는 논리합부정회로부와, 상기 논리합부정회로부에서 출력되는 논리신호의 형태에 따라 음성정보를 제1 및 제2 전화기측으로 출력하거나 또는 음성정보를 기억상태로 대기하는 음성정보저장부와, 상기 음성정보저장부에서 출력되는 음성정보를 제1 및 제2 전화기에서 인식 가능하도록 변조, 전송하는 음성신호전송부를 구비하여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장치로서 제2 실시예의 구체적으로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회선을 변경하는 전환수단이 포함되고, 이 수단에 의해 국선이 팩시밀리 또는 제1, 제2 전화기가 연결되어 외부와 통화가 가능하도록 한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1 또는 제2 전화기의 사용여부를 감시하는 검출수단과, 이 검출 수단에서 출력되는 로직값을 읽어 들여 입력신호의 판별 과정을 통해 음성정보메모리에 저장된 음성정보를 출력 결정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구비하여서 달성된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방법의 구체적으로는, 국선에 제1 및 제2 전화기가 전환되어 외부와 통화가 가능한 유휴단계에서 전화기의 고유기능에 관한 제반적인 동작상태를 체크하는 검사단계와, 훅스위치검출부로 부터 제1및 제2 전화기의 동시 또는 개별 사용여부를 확인하는 판별단계와, 제 1 및 제 2 전화기의 동시 사용으로 판별될 경우에는 쌍방 사용자에게 통화중에 있음을 알리는 음성정보 송출단계로 이루어 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도 2 는 본 발며에 관한 제 1 실시예로서 팩시밀리 혼용 전화기의 통화 상태 인식 안내장치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즉 회선전환부(10)는 사용자의 선택적인 조작에 따라 국선(L1)(L2)을 팩시밀리(20) 또는 모뎀(A)을 통해 제1, 제2 전화기(30)(40)와 통전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에서의 모뎀(A)은 1 또는 제2 전화기(30)(40)의 사용여부를 각각 감시하는 복수의 훅스위치검출부(50)(60)와, 상기 복수의 검출부(50)(60)에서 출력되는 각각의 신호를 정합하여 인식정보의 출력여부에 관한 논리신호(게이트신호)를 결정하는 논리합부정회로부(70)와, 상기 논리합부정회로부(70)에서 출력되는 논리신호의 형태에 따라 음성정보를 제1 및 제2 전화기(30)(40)측으로 출력하거나 또는 음성 정보를 기억상태로 대기하는 음성정보저장부(80)와, 상기 음성정보저장부(80)에서 출력되는 음성정보를 제1 및 제2 전화기(30)(40)에서 인식가능하도록 변조, 전송하는 음성신호전송부(90)를 상호 연결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에서 제1 또는 제2 전화기의 사용여부를 검출함에 있어서는 각각의 전화기에 설치된 훅 스위치의 온/오프신호를 입력원으로 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훅 스위치 검출부(50)(60)는 제1 또는 제2 전화기의 사용여부를 검출함에 있어 각각의 전화기에 설치된 훅 스위치의 온/오프신호를 입력원으로 함을 특징으로 하며, 제1 또는 제2 전화기(30)(40)의 훅스위치의 온/오프상태를 감시하여 각 전화기(30)(40)의 훅스위치가 온상태(통화중인 상태)에서는 '로우' , 훅스위치가 오프 상태(대기중인 상태)일 경우에는 '하이' 신호가 출력되도록 구성된 것으로, 이는 전화기의 수에 비례하게 다채널로 확보된 하나이거나, 또는 전화기 수에 대응한 복수개로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에서 논리합부정회로부(70)는 상기 훅 스위치 검출부(50)(60)의 두 출력이 모두 '로우' 신호인 경우에는 '하이' , 훅 스위치 검출부(50)(60)의 두 출력중 어느 하나의 출력이 '로우' 이거나, 또는 모두 '하이' 신호이면 '로우' 신호를 출력하는 노어게이트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에서 음성정보저장부(80)는 멜로디 또는 통화중이라는 음성메시지가 저장된 불휘발성메모리로서, 이는 논리합부정회로부(70)의 출력이 '하이'인 경우에만 저장된 음성정보를 출력하고, 그 출력이 '로우'인 경우에는 음성정보를 기록상태로 대기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에서 음성신호전송부(90)는 일차측과, 이차측이 코일로 권선된 트랜스포머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며, 일차측에는 음성신호저장부(80)의 출력을, 그리고 이차측은 일차측에서 유도되는 음성신호를 훅스위치검출부(50)(60)를 통해 제1 및 제2 전화기 (30)(40)에 인가되도록 상호 연결 구성된다.
한편, 첨부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관한 제 2 실시예로서 팩시밀리 혼용 전화기의 통화 상태 인식 안내 장치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이 실시예 구성중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회선을 변경하는 전환수단과, 이 수단에 의해 국선이 팩시밀리 또는 제1, 제2 전화기가 연결되어 외부와 통화가 가능하도록 한 통화수단과, 제1 또는 제2 전화기 (30)(40)의 사용여부를 각각 감시하는 복수의 훅스위치검출부(50)(60)과, 음성정보를 제1 및 제2 전화기 (30)(40)에 인식가능 하도록 변조, 전송하는 음성신호전송수단(90)에 있어서는 도 2로 도시된 제 1실시 예의 모뎀(A)에 포함된 구성과 동일하게 구성된다.
제2 실시예의 특이하게는 훅스위치검출수단(50)(60)으로 부터 출력되는 신호 판별과, 이 신호의 판별에 따라 멜로디 또는 통화중임을 알리는 음성신호 출력여부를 결정하는 수단은 팩시밀리(20)를 총괄 제어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M)에서 처리 하도록 구성됨이 다르다.
이 마이크로 프로세서(M)에는 본 발명에 기인하여 기본적으로는 멜로디 또는 통화중임을 알리는 음성메시지 정보가 기억되어 있는 음성정보메모리와, 훅스위치검출부(50)(60)로 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판별하여 음성정보를 출력할 것인가를 결정, 실행하는 프로그램메모리와, 출력되는 음성정보를 아날로그신호로 변환하는 디지탈-아날로그변환기가 내장되어 있다.
이 실시예는 조작에서 이상상태에 대한 음성안내 서비스기능이 부여된 팩시밀리에 적용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방법에 의한 팩시밀리 혼용 전화기의 통화 상태인식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챠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즉, 본 발명방법은 국선(L1)(L2)에 제1 및 제2 전화기(30)(40)가 전환되어 외부와 통화가 가능한 유휴(Idle)단계(M1)에서 전화기의 고유기능에 관한 제반적인 동작상태를 체크하는 검사단계(M2)(M3)와, 훅스위치검출부(50)(60)로 부터 제1 및 제2 전화기(30)(40)의 동시 또는 개별 사용여부를 확인하는 판별단계(M4)(M5)와, 제1 및 제2 전화기(30)(40)의 동시 사용으로 판별될 경우에는 쌍방 사용자에게 통화중에 있음을 알리는 음성정보송출단계(M6)(M7)(M8)로 이루어 진다.
또한 도 5 는 제1 실시예의 본 발명장치에 적용되는 논리합부정회로부(70)의 입출력 신호를 나타내는 진리표로서, 이하에서 참조하기로 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장치의 제1 실시예에 관한 동작관계에 있어서는 도2 에서와 같이 사용자의 선택적인 조작에 의해 국선(L1)(L2)이 회선전환부(10)를 통해 전화기측으로 접속되어 외부와 전화사용이 가능하도록 한 상태에서 제1 및 제2 전화기(30)(40)의 송수화기(핸드셋)를 들었을 경우에는 도시 생략된 훅스위치는 온되어 통화가능한 상태로 전환되면서 '로우' 신호를 출력시키고, 송수화기(핸드셋)를 내려 놓았을 경우에는 상기와 반대로 훅스위치는 오프되어 대기 상태로 전환되면서 '하이' 신호를 출력시킨다.
그리고 제1 및 제2 전화기(30)(40)의 훅스위치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원으로 하는 모뎀(A)의 제1 및 제2 전화기 검출부(40)(50)는 이 또한 입력신호와 동일한 신호를 출력하도록 동작한다.(도 5 참조)
이와 같은 상태에서 만약, 제1 전화기(30)만 통화중인 경우에는, 제1 전화기 검출부(50)는 '로우', 제 2 전화기 검출부(60)는 '하이' 신호를 출력하게 되므로, 노어게이트로 구성된 논리합부정회로부(70)는 도 5 의 진리표에 기재된 바와 같이 '로우'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이에 따라 음성정보저장부(80)는 음성정보의 송출조건을 만족시키지 못하게 되므로 부동작하여 음성정보를 대기상태로 있게 한다.
이는 제2 전화기(40)만 통화중인 경우에도 전술한 동작과 동일하게 이루어져 음성정보 출력이 제한된다.
그러나, 제1 전화기(30)가 통화중인 상태에서 제2 전화기(40)의 송수화기를 들면, 제1 및 제2 전화기 검출부(40)(50)에서는 모두 '로우' 신호를 출력하게 되고,
동시에 이들의 신호를 입력원으로 하는 논리합부정회로부(70)는 '하이'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이에 따라 음성정보저장부(80)는 음성정보의 송출조건을 만족시키지 못하게 되므로 부동작하여 음성정보를 대기상태로 있게 한다.
이는 제2 전화기(40)만 통화중인 경우에도 전술한 동작과 동일하게 이루어져 음성정보 출력이 제한된다.
그러나, 제1 전화기(30)가 통화중인 상태에서 제2 전화기(40)의 송수화기를 들면, 제1 및 제2 전화기 검출부(40)(50)에서는 모두 '로우' 신호를 출력하게 되고, 동시에 이들의 신호를 입력원으로 하는 논리합부정회로부(70)는 '하이'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이때의 음성정보저장부(80)는 음성정보의 송출조건을 만족하는 관계에 있게 되므로 이에 저장된 통화중에 있음을 알리는 음성정보를 송출하게 된다.
따라서 음성정보저장부(80)로 부터 출력되는 음성정보는 음성신호전송부(90)를 통해 제1 및 제2 전화기(30)(40)(수화유니트)에 적합한 신호로 변조하여 전송하고, 변조된 음성신호는 다시 제1 및 제2 전화기 검출부(50)(60)를 통해 제1 및 제2 전화기(30)(40)의 사용자에게 전달되어 후 사용자 스스로 선사용자가 있음을 인식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장치의 제2 실시예 및 이 실시예와 관련한 본 발명방법의 동작 관계에 있어서는 먼저 도 3 에서와 같이 사용자의 선택적인 조작에 의해 국선(L1)(L2)이 회선전환부(10)를 통해 전화기측으로 접속되어 외부와 전화사용이 가능하도록 한 동작과; 제1 및 제2 전화기(30)(40)이 송수화기(핸드셋)를 들었을 경우에는 도시 생략된 훅스위치는 온되어 통화가능한 상태로 전환되면서 '로우' 신호를 출력시키고, 송수화기를 내려 놓았을 경우에는 상기와 반대로 훅스위치는 오프되어 대기 상태로 전환되면서 '하이' 신호를 출력시키는 동작과; 제1 및 제2 전화기(30)(40)의 훅스위치로부터 생성되는 신호와 동일한 신호를 출력하는 제1 및 제2 전화기 검출부(40)(50)의 동작 또한 제1 실시예의 동작과 동일하게 이루어 진다.
그리고 이와 관련하는 팩시밀리(20)의 마이크로프로세서(M)에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국선(L1)(L2)에 제1 및 제2 전화기(30)(40)로 연결되어 외부와 통화가 가능한 유휴단계(M1)에서 전화기의 고유기능에 관한 제반적인 동작상태를 체크하는 검사과정을 반복적으로 실행하게 된다.(M2, M3, 단계)
이와같은 상태에서 마이크로 프로세서(M)는 제1 및 제2 전화기 검출부(50)(60)를 통해 해당 전화기 사용여부에 대한 출력신호를 순차적으로 판별하게(M4, M5, 단계) 되는데, 이때 만약 두 전화기(30)(40)중 제1 전화기(30)는 사용하지 않고 제2 전화기(40)만을 사용할 경우, 또는 상기 예의 반대로 사용할 경우에는 각각 제1 및 제2 전화기 검출부(50)(60)를 통해 '하이'/'로우', 그리고 '로우'/'하이' 신호가 출력된다.
이에 따라 마이크로 프로세서(M)는 두 전화기중 어느 하나의 전화기만을 사용하고 있거나, 또는 모두 사용하지 않는 것으로 인식하여 자체적으로 보유하고 있는 음성정보메모리의 음성정보를 송출하지 않도록 제어하게 된다.
한편, 이와는 다른 경우 즉, 제1 전화기(30)가 통화중인 상태에서 제2 전화기(40)의 송수화기를 들었을 경우, 또는 이와 반대로 제2 전화기(40)가 통화중인 상태에서 제1 전화기(30)의 송수화기를 들었을 경우에는 제1 및 제2 전화기 검출부(40)(50)에서는 모두 '로우'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마이크로 프로세서(M)는 제1 및 제2 전화기 검출부(40)(50)의 출력이 모두 '로우' 신호로 판별(M4, M5, 단계)되면 두 전화기를 모두 사용하는 것으로 인식하고 자체적으로 보유하고 있는 음성정보메모리를 구동시켜 통화중에 있음을 알리는 음성정보를 송출하도록 제어한다.(M6, M7, M8단계)
따라서 마이크로 프로세서(M)의 음성정보메모리에서 송출되는 '통화중에 있음을 알리는 음성정보'는 음성신호전송부(90)에서 제1 및 제2 전화기(30)(40)(수화유니트)에 적합한 신호로 변조하여 전송하고, 변조된 음성신호는 다시 제1 및 제2 전화기 검출부(50)(60)를 통해 제1 및 제2 전화기(30)(40)의 사용자에게 전달되어 후 사용자 스스로 선사용자가 있음을 인식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에 관련하여 제1 및 제2 실시예 설명의 전반적으로 '통화중에 있음을 알리는 수단' 에 있어서는 선, 후 사용자 모두가 음성메시지로 인식할 수 있도록 설명되었으나, 반드시 그러하지는 않고, 일예로서 멜로디와 같은 음향적 수단으로도 활용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 장치의 중요하게는 모뎀(A)을 독립적으로 하여 사용자가 확보하고 있는 통신시스템에는 물론, 새롭게 설치하고자 하는 통신 시스템에도 적용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시각적으로 확인이 안되는 위치에 병렬 접속된 다수의 전화기를 설치한 상태에서도 선사용자의 통화중임을 후사용자가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병렬접속 통신 시스템의 서비스 향상은 물론, 전화기 운용상의 효율적인 측면에서 사용자 상호간의 통화시도에 대한 불필요한 행동을 줄일 수가 있고, 아울러 폐쇄음에 따른 사용자 확인절차 등의 제반적인 문제점을 해소 할 수가 있다.

Claims (3)

  1.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회선을 변경하는 전환수단이 포함되고, 이 수단에 의해 국선이 팩시밀리 또는 제1, 제2 전화기와 연결되어 외부와 문서교환 또는 전화통화가 가능하도록 한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제1 또는 제2 전화기의 사용여부를 각각 감시하는 복수의 훅스위치검출부와, 상기 복수의 검출부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정합하여 인식정보의 출력여부에 관한 논리신호(게이트신호)를 결정하는 논리합부정회로부와, 상기 논리 합부정회로부에서 출력되는 논리신호의 형태에 따라 음성정보를 제1 및 제 2 전화기 측으로 출력하거나 또는 음성정보를 기억상태로 대기하는 음성정보저장부와, 상기 음성정보저장부에서 출력되는 음성정보를 제 1 및 제 2 전화기에서 인식가능하도록 변조, 전송하는 음성신호전송부로 구비하여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팩시밀리 혼용 전화기의 통화상태 인식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음성신호전송부는 1차측과, 2차측이 코일로 권선된 트랜스포머로 이루어 짐을 특징으로 하는 팩시밀리 혼용 전화기의 통화상태 인식 장치.
  3. 국선에 제 1 및 제2 전화기가 전환되어 외부와 통화가 가능한 유휴단계에서 전화기의 고유기능에 관한 제반적인 동작상태를 체크하는 검사단계와, 훅스위치검출부로 부터 제1 및 제2 전화기의 동시 또는 개별 사용여부를 확인하는 판별단계와, 제1 및 제2전화기의 동시 사용으로 판별될 경우에는 쌍방 사용자에게 통화중에 있음을 알리는 음성정보송출단계로 이루어 짐을 특징으로 하는 팩시밀리 혼용 전화기의 통화상태 인식 방법.
KR1019960045670A 1996-10-14 1996-10-14 팩시밀리 혼용 전화기의 통화상태 인식 장치 및 그 방법 KR1002058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5670A KR100205866B1 (ko) 1996-10-14 1996-10-14 팩시밀리 혼용 전화기의 통화상태 인식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5670A KR100205866B1 (ko) 1996-10-14 1996-10-14 팩시밀리 혼용 전화기의 통화상태 인식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7017A KR19980027017A (ko) 1998-07-15
KR100205866B1 true KR100205866B1 (ko) 1999-07-01

Family

ID=194773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45670A KR100205866B1 (ko) 1996-10-14 1996-10-14 팩시밀리 혼용 전화기의 통화상태 인식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0586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7017A (ko) 1998-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00814B1 (en) Telephone with ringer silencer screening feature
EP1139684A1 (e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switching operation mode of portable mobile communication unit
US5317624A (en) Cordless automatic answering telephone set
KR930002882B1 (ko) 무선전화장치
KR100205866B1 (ko) 팩시밀리 혼용 전화기의 통화상태 인식 장치 및 그 방법
JPH0388468A (ja) 通信装置及び通信方法
JPH0661935A (ja) デジタルコードレスボタン電話装置
KR100228908B1 (ko) 자동응답 전화기의 예약메시지 안내장치 및 방법
KR20010001043A (ko) 발신 전화번호 확인시스템 및 그에 따른 호 처리방법
JP4207057B2 (ja) 電話装置
KR0149703B1 (ko) 음성및데이터를송수신하는장치의음성통화모드절환회로및그제어방법
JP3042819B2 (ja) 電話装置
KR0139492B1 (ko) 휴대용 단말기와 공중전화간의 접속장치
KR20010090057A (ko) 발신자 번호 표시 기능을 이용한 무선 전화기의 휴대장치착신벨 발생 장치 및 그 방법
KR100498913B1 (ko) 키폰시스템에서 다이얼톤 안내 방법
KR940009770B1 (ko) 무선전화기의 톤 경보회로 및 방법
JPH07110025B2 (ja) 多数共同加入電話機装置
JP3243815B2 (ja) 電話交換機
KR970006780B1 (ko) 무선전화기 핸디의 발신음 포착표시장치 및 그 방법
KR20000067091A (ko) 휴대폰의 음성인식 조작 방법 및 시스템
JPH0646749B2 (ja) 無線電話装置
JP2002009944A (ja) 通信装置
CA2130111A1 (en) Telecommunications
KR19990000162A (ko) 선별이 가능한 유/무선 전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960009554A (ko) 음성안내기능을 갖는 전화.팩시밀리의 자동절환장치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