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9492B1 - 휴대용 단말기와 공중전화간의 접속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단말기와 공중전화간의 접속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9492B1
KR0139492B1 KR1019940015909A KR19940015909A KR0139492B1 KR 0139492 B1 KR0139492 B1 KR 0139492B1 KR 1019940015909 A KR1019940015909 A KR 1019940015909A KR 19940015909 A KR19940015909 A KR 19940015909A KR 0139492 B1 KR0139492 B1 KR 01394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mission
telephone
public telephone
portable terminal
recep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159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6419A (ko
Inventor
주남식
박희봉
Original Assignee
이헌조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헌조,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헌조
Priority to KR10199400159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9492B1/ko
Publication of KR9600064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64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94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949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6Simultaneous speech and data transmission, e.g. telegraphic transmission over the same conductors
    • H04M11/066Telephone sets adapted for data transmi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5Cordless telephones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와 공중전화간의 접속장치에 관한 것으로, 종래에 휴대용 단말기를 통한 정보의 송수신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휴대용 단말기(100)에서의 데이터를 송신과 수신으로 분리하는 송수신 분리부(20)와, 공중전화(10)가 번호를 인식 하도록 일정주파수를 발생하는 DTMF수신부(40)와, 상기 송수신 분리부(30)에서의 정보를 제어하는 라인제어 분리부(50)와, 전화의 상태를 알려 모뎀(20A)이 데이터를 송수신하게 하는 전화제어부(60)와, 공중전화(10)가 송수신 상태인지 전화를 걸기 위한 상태인지를 제어하는 전송제어부(70)로 구성된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휴대용 단말기 소유자가 이동시 긴급히 데이터를 주고 받을 필요가 있을 경우 본부나 상사등에게 전달 혹은 수신힐 수가 있다.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와 공중전화간의 접속장치
제1도는 종래 휴대용 단말기와 전화 콘센트의 연결을 나타낸 개략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주변장치와의 접속을 나타낸 개략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접속장치의 볼록 구성도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송수신 분리부의 실시예의 호로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공중전화20:모뎀영역
20A:모뎀20B:DAA
30:송수신 분리부40:DTMF수신부
50:라인제어 분리부60:전화제어부
70:전송제어부80:롬(ROM)
90:신호음 발생부100:휴대용 단말기
CP1, CP2:비교기R1 - R4:저항
T:트랜스포머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와 공중전화간의 접속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산업사회에서 정보통신분야에 종사하는 사람들은 장소에 구애를 받지 않고서도 각 분야에 필요한 정보들을 용이하게 송수신할 수 있는 통신기기들을 필요로 하고 있다.
이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의 일종으로서, 공중전화, 휴대폰, 노트북, PDA, PIC, 팜탑류(Palmtop)등을 이용하여 소유자는 이동시 긴급히 데이터를 주고 받았었다.
이러한 휴대용 단말기중에서도 도시 내 및 한적한 곳에서 설치되어 있는 공중전화를 이용하면 소유자가 손쉽게 사업본부나 상사등에게 데이터를 전달 혹은 수신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일반 사용자가 공중전화기에 일정금액의 돈을 투입하여서 음성만을 이용하였기 때문에 유용하지 못했다.
이러한 휴대용 단말기로 단지 시스템 자체로 사용자가 키의 입력이나 펜 입력만을 하거나 통신을 할 경우 모뎀을 연결하고 전화선을 찾아서 연결하여야만 데이터를 송수신 하였다.
즉, 휴대용 단말기는 제1도의 종래 휴대용 단말기와 전화콘센트의 연결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에서와 같이 항상 전화선이 있는 내부에서만 사용이 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와 공중전화간에 연결하여 전화기의 신호로 동작을 하도록 하기 위한 휴대용 단말기와 공중전화간의 접속장치를 제고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그 상세한 설명을 한다.
먼저,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주변장치와의 접속을 나타낸 개락도로서, 일반적인 공중전화(10)와, 모뎀이 내장되어 있는 휴대용 단말기(100)와, 이 장치들을 상호 연결하는 접속장치(15)로 구성되어 있다.
공중전화에 전화를 시험하기 위해 공중전화 하측에 일반적으로 설치되는 포트를 사용하거나 그렇지 않을 경우 밸, 다이얼, 마이크, 스피커, 통화, 대기 등의 신호와 연결될 수 있는 별도의 포트를 구비한 공중전화기에 본 발명이 적용된다.
상기 전화기의 신호들은 공중전화기에서 사용되는 신호이므로 접속장치와 포트만 연결하면 포트 신호들을 특별히 정의하지 않아도 상기 신호들을 동작되어 사용이 가능한 것이다.
즉, 공중전화와 접속장치는 포트를 통해 연결되며 상기 포트로는 벨, 다이얼, 마이크, 스피커, 통화, 대기의 신호가 열결된다.(제3도 참조)
이에 따라, 본 발명인 제3도의 블록 그성도를 통하여 그 구성 및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있어서 송수신 분리부(Tx/ Rx 분리부)(30)는 상술한 휴대용 단말기(100)와 연결된 모뎀(Modem)(20A)으로부터 출력된 송수신 데이터 신호를 분리한다.
이때, 송수신 데이터 신호는 상기 모뎀(20A)에 연결된 DAA(20B)에 의해서 흔재되어 있으므로 송수신 분리부(30)에 의해 나누어져 전송된다.
DTMF수신부(40)는 상기 송수신 분리부(30)로부터 송신된 전화번호의 데이터(또는 정보)신호들을 공중전화(10)가 인식할 수 있도록 상기 번호에 상용하게 발생된 일정주파수의 다이얼 정보를 출력한다.
이와같이 출력된 다이얼 정보는 마이크로 콘트롤러를 이용한 전화제어부(60)에 의해 받아들여져 공중전화(10)에 입력된다.
라인 제어분리부(50)는 상기 송수신 분리부(30)에 의해서 분리된 각 신호 내용을 공중전화(10)가 인식할 수 있도록 제어하여 나누어 준다.
상기 라인 제어분리부(50)에는 공중전화(10)의 마이크와 스피커를 통해서 출력된 음성신호와 휴대용 단말기(100)로 부터의 데이터 신호를 선택 전환하기 위해서 토글(toggle)스위치를 접속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화제어부(60)는 공중전화(10)로부터 벨(Bell)에 의한 링(Ring) 신호를 받아서 모뎀영역(20)내의 모뎀(20A)으로 전달하여 공중전화에 대기 또는 준비 상태를 알려주어서 모뎀(20A)이 데이터를 송수신하게 한다.
이 전화제어부(60)는 휴대용 단말기(100)에 연결된 모뎀(20A)으로부터 전화선과 공중전화(10)사이를 연결하기 위한 온/오프 후크 제어정보를 받아서 출력한다.
상기 전화제어부(60)에 입력된 다이얼 정보 및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 롬(Rom)(80)을 연결한다.
이와 같이 출력된 온/오프 후크제어 정보를 받은 전송제어부(70)는 공중전화(10)가 송수신 상태인지 전화를 걸기 위한 상태인지를 제어(또는 판별)한다.
그리고, 상기 전화제어부(60)의 제어에 따라 신호음 발생부(90)는 휴대용 단말기(100)소유자에게 발신신호 또는 통화중 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송수신 분리부(30)에 전송한다.
상기 송수신 분리부(30)의 실시예의 회로 구성은 제4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Rx) 및 송신(Tx)단자에 각각 비교기(CP1, CP2)를 연결하고, 비교기(CP1)의 출력신호를 송신단자에 연결된 비교기(CP2)의 (+)(-)입력단자에 저항(R2 및 R3)을 거쳐서 입력되도록 하고, 상기 DAA(20B)로부터 트랜스포머(T)를 거쳐 송수신 신호를 분리한다.
만약, 송신(Tx)의 경우 보내려는 데이터가 Tx일 때 DAA(20B)에 의해서 송수신 신호가 흔재되어 있기 때문에 배교기(CP2)를 거치면서 비교기(CP1)의 데이터 Rx와 비교하여 Tx만 분리하고, 수신(Rx)의 경우는 그대로 거쳐서 오게된다.
데이터 송신절차를 설명하면, 사용자가 송신모드를 선택하여 상대방의 전화번호를 입력하면 송신모드에 따른 온/오프 후크제어정보는 전화제어부(60)와 전송제어부(70)을 거쳐 공중전화를 통화 가능한 상태로 만들면, 전화번호데이터는 DTMF수신부(40)에서 일정주파수의 다이얼 정보로 변화되어 전화제어부(60)을 거쳐 다이얼신호로 공중전화(10)에 전달된다.
이와같이 하여 데이터 송신시 공중전화를 통해 상대방과 호를 연결할 수 있다.
그후 송수신 분리부(30)에 의해 나누어진 송신 데이터는 라인제어 분리부(50)를 거쳐 공중전화의 마이크 단자로 입력되어 상대방으로 전송이 된다.
데이터 수신의 경우는 휴대용 단말기와 공중전화가 연결되어 있는 상태에서 공중전화(10)의 벨에 의한 링신호를 받아 전화제어부(60)를 거쳐 모뎀에 전달하여 모뎀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도록 해준다. 수신되는 데이터는 송수신분리부(30)을 거쳐 모뎀으로 수신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공중전화와 휴대용 단말기를 연결하는데 적용할 수 있고, 공중전화의 포트 접속장치에 붙이도록 정의 하지 않아도 기본적으로 전화기에 있는 신호로 동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최근 증가하는 휴대용 제품에 접속장치를 용이하게 연결하여서 이동시 공중전화를 이용하여 데이터르 어느 장소에서도 받을 수 있는 다른 효과가 있다.

Claims (2)

  1. 휴대용 단말기(100)와 연결되어 모뎀(20A)을 통하여 출력된 데이터 신호를 송신과 수신으로 분리하는 송수신 분리부(30)와, 공중전화(10)가 전화번호를 인식하도록 상기 출력된 데이터 신호에 상용한 주파수를 발생하는 DTMF수신부(40)와, 상기 송수신 분리부(30)의해서 분리된 각 신호 내용을 공중전화(10)가 인식하도록 제어하여 나누어주는 라인제어분리부(50)와, 상기 송수신 분리부(30)에 의해서 분리된 각 신호를 제어하여 공중전화(10)의 상태를 모뎀(20A)에 알려서 모뎀이 데이터를 전송 및 수신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DTMF수신부(40)로부터 발생한 데이터 신호를 상기 공중전화(10)로 입력하는 전화제어부(60)와, 상기 전화제어부(60)의제어에 의해서 상기 송수신 분리부(30)에 발신 또는 통화중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신호음 발생부(90)와, 상기 모뎀(20A)으로부터 출력된 데이터를 받아서 공중전화(10)가 송수신 상태인지 전화를 걸기위한 상태인지를 판별하는 전송제어부(70)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와 공중전화간의 접속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라인 제어분리부(50)에는 공중전화(10)의 음성신호 인지 또는 휴대용 단말기(100)의 데이터 신호인지를 선택전환하기 위한 토글스위치가 접속된 휴대용 단말기와 공중전화간의 접속장치.
KR1019940015909A 1994-07-04 1994-07-04 휴대용 단말기와 공중전화간의 접속장치 KR01394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15909A KR0139492B1 (ko) 1994-07-04 1994-07-04 휴대용 단말기와 공중전화간의 접속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15909A KR0139492B1 (ko) 1994-07-04 1994-07-04 휴대용 단말기와 공중전화간의 접속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6419A KR960006419A (ko) 1996-02-23
KR0139492B1 true KR0139492B1 (ko) 1998-07-01

Family

ID=193871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15909A KR0139492B1 (ko) 1994-07-04 1994-07-04 휴대용 단말기와 공중전화간의 접속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949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7497A (ko) * 2002-06-21 2003-12-31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무선통신을 위한 국선 전화기와 이에 접속되는 이동통신단말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7497A (ko) * 2002-06-21 2003-12-31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무선통신을 위한 국선 전화기와 이에 접속되는 이동통신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6419A (ko) 1996-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47567A (en) Portable-to-portable talk system for cordless telephone
US4575584A (en) Fail-safe digital phone
US6681117B2 (en) Switching control device for transmitting cellular phone calls to fixed-network telephone
US5259020A (en) Portable-to-portable call transfer system for cordless telephone
US4408102A (en) Two-wire exchange telephone system
KR0139492B1 (ko) 휴대용 단말기와 공중전화간의 접속장치
KR930002882B1 (ko) 무선전화장치
JP3529283B2 (ja) 回線選択装置
US6002938A (en) Mobile telephone which inhibits an operation of an indication for a calling telephone requesting communication
AU682163B2 (en) Call management in a telecommunication system
KR100754642B1 (ko) 디지털 전화기에서 스피커폰 장치 및 방법
KR930002581B1 (ko) 무선 전화기의 인터컴 통화회로
KR100205866B1 (ko) 팩시밀리 혼용 전화기의 통화상태 인식 장치 및 그 방법
KR200171096Y1 (ko) 경박형 전화기
JP3162468B2 (ja) 遠方監視制御装置における電話装置
KR960004723B1 (ko) 무선전화기의 통화예약 방법
JPH01314040A (ja) 無線電話装置の発着呼制御方式
JPH06152709A (ja) 電話装置
EP0683590A1 (en) Telephone exchange system
JPS6313532A (ja) 無線ネツトワ−ク制御方式
JPH09135305A (ja) 専用回線伝送方式
JPS63252031A (ja) コ−ドレス電話装置
JPH04176249A (ja) Isdn複合端末装置
JPH07307812A (ja) データ通信機
KR940008325A (ko) 키폰 시스팀과 일반전화기 또는 무선 전화기와의 접속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