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0920B1 - 이동 통신 단말기의 단축 다이얼링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통신 단말기의 단축 다이얼링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0920B1
KR100560920B1 KR1019990040785A KR19990040785A KR100560920B1 KR 100560920 B1 KR100560920 B1 KR 100560920B1 KR 1019990040785 A KR1019990040785 A KR 1019990040785A KR 19990040785 A KR19990040785 A KR 19990040785A KR 100560920 B1 KR100560920 B1 KR 1005609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me
call
speed dial
speed
cont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07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28516A (ko
Inventor
김홍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900407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0920B1/ko
Publication of KR200100285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85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09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09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 H04M1/272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only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by keyboard or di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축 다이얼링에 의한 통화 연결 전에 단축 다이얼링 내용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의도하지 않은 통화 연결을 방지하고 지정된 단축 다이얼 내용을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단축 다이얼링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단축 다이얼링 방법에 있어서, 숫자키 입력이 있으면 상기 숫자키가 눌려 있는 시간을 카운트하는 과정과; 상기 카운트한 시간이 단축 다이얼 개시 시간을 초과한 경우 상기 숫자키에 대응하여 기저장된 단축 다이얼 내용을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과정과; 상기 단축 다이얼 내용이 화면에 디스플레이된 후 상기 숫자키가 눌려 있는 시간을 카운트하여 상기 단축 다이얼 개시 시간에 더함으로써 상기 숫자키가 눌려 있는 시간을 산출하는 과정과; 상기 산출된 시간이 통화 개시 시간을 초과하는 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판단결과 상기 산출된 시간이 통화 개시 시간을 초과한 경우에는 상기 단축 다이얼 내용에 포함된 해당 전화 번호로 통화 연결을 시도하고, 상기 산출된 시간이 통화 개시 시간을 초과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화면에 디스플레이된 단축 다이얼 내용을 유지시키는 과정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동 통신 단말기의 단축 다이얼링 방법{method for abbreviated dialing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 1은 종래 이동 통신 단말기의 단축 다이얼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단축 다이얼링 방법이 적용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보인 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단축 다이얼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단축 다이얼링 방법에 따라 제공되는 화면을 예시적으로 보인 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키입력부, 20. 무선 처리부,
30. 송수화기부, 40. 디스플레이부,
50. 메모리부, 60. 타이머,
70. 통보부, 80. 전원 공급부,
90. 제어부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의 단축 다이얼링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단축 다이얼링에 의한 통화 연결 전에 단축 다이얼링 내용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의도하지 않은 통화 연결을 방지하고 지정된 단축 다이얼 내용을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단축 다이얼링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 통신 단말기라 함은 상대방에게 전화를 걸어 상대편이 응답하면 통화중 상태로 진입하여 상대방과 통화를 하게 되는 데, 상대방에게 전화를 거는 방법으로는 키패드를 이용하여 전화 번호 전체를 입력하는 방법과, 임의의 숫자키 하나 또는 두 개를 2~3초 가량 눌러 입력하는 방법과, 전화 번호의 끝자리 네 자리 숫자를 입력하는 방법과, 음성 인식을 통해 전화 번호를 입력하는 방법 등이 존재한다.
전술한 방법 중에서 임의의 숫자키 하나 또는 두 개를 2~3초 가량 눌러 전화를 거는 단축 다이얼링 방법은 수신 대기 상태에서 숫자키를 하나 또는 두 개를 눌러 전화 번호를 입력하는 데, 도 1에서, 수신 대기 상태에서 임의의 숫자키를 누르면 스피커 또는 부저를 통해 해당 DTFM(dual tone multifrequency) 톤을 발생하고 해당 숫자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한다(a).
이때, 해당 숫자키를 기설정된 시간보다 짧게 눌렀을 경우에는 해당 숫자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한 상태를 유지하고 다음 키입력을 기다린다(d).
반면에, 해당 숫자키를 기설정된 시간 이상 눌렀을 경우에는 단축 다이얼 개시 톤을 스피커 또는 부저를 통해 발생함과 동시에 해당 숫자키에 대응하여 기저장된 단축 다이얼 내용, 즉, 전화 번호와 해당 이름을 화면에 디스플레이하고 통화 연결을 시도한다(b). 통화 연결을 시도한 결과 상대방이 응답하여 호가 연결된 경우에는 통화 연결을 알리는 통화 연결 화면을 제공한다(c).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종래 이동 통신 단말기의 단축 다이얼링 방법은 단축 다이얼 내용 확인없이 곧바로 통화 연결을 시도하므로 의도하지 않은 통화 연결 가능성이 높고, 단말기별 메모리 용량에 따라 제한된 수의 단축키만을 사용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단축키에 대응하여 저장된 내용을 보기 위해서는 메뉴 화면을 포함한 여러 단계를 거쳐 내용을 확인해야 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단축 다이얼링에 의한 통화 연결 전에 단축 다이얼링 내용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의도하지 않은 통화 연결을 방지하고 지정된 단축 다이얼 내용을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단축 다이얼링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단축 다이얼링 방법에 있어서, 숫자키 입력이 있으면 상기 숫자키가 눌려 있는 시간을 카운트하는 과정과; 상기 카운트한 시간이 단축 다이얼 개시 시간을 초과한 경우 상기 숫자키에 대응하여 기저장된 단축 다이얼 내용을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과정과; 상기 단축 다이얼 내용이 화면에 디스플레이된 후 상기 숫자키가 눌려 있는 시간을 카운트하여 상기 단축 다이얼 개시 시간에 더함으로써 상기 숫자키가 눌려 있는 시간을 산출하는 과정과; 상기 산출된 시간이 통화 개시 시간을 초과하는 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판단결과 상기 산출된 시간이 통화 개시 시간을 초과한 경우에는 상기 단축 다이얼 내용에 포함된 해당 전화 번호로 통화 연결을 시도하고, 상기 산출된 시간이 통화 개시 시간을 초과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화면에 디스플레이된 단축 다이얼 내용을 유지시키는 과정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산출된 시간이 통화 개시 시간을 초과하지 않아 상기 화면에 단축 다이얼 내용을 유지시키는 중에 상기 단축 다이얼 내용에 포함된 해당 전화 번호로 통화 연결을 시도하기 위한 명령이 있는 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판단결과 통화 연결을 시도하기 위한 명령이 있는 경우에는 상기 전화 번호로 통화 연결을 시도하고, 통화 연결시 통화 연결 화면을 제공하는 과정을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단축 다이얼링 방법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단축 다이얼링 방법이 적용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보인 도이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단축 다이얼링 방법이 적용되는 이동 통신 단말기는 키입력부(10)와, 무선 처리부(20)와, 송수화기부(30)와, 디스플레이부(40)와, 메모리부(50)와, 타이머(60)와, 통보부(70)와, 제어부(90) 및 전원 공급부(80)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키입력부(10)는 다이얼링에 필요한 전화번호 및 각종 설정 값 입력을 위한 각종 키코드를 발생시키고, 무선 처리부(20)는 기지국과 무선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송수화기부(30)는 사용자가 응답하고 들을 수 있도록 하고, 디스플레이부(40)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각종 상태 및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제공하는 정보 등을 표시하고, 메모리부(50)는 시스템 동작 프로그램 및 본 발명의 단축 다이얼링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고, 통보부(70)는 전화가 걸려온 것을 벨, 진동 또는 램프를 이용하여 통보해주고, 타이머(60)는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제어부(90)로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했음을 알리고, 제어부(90)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체 동작을 제어하고, 전원 공급부(80)는 시스템 전체에 전원을 공급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단축 다이얼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단축 다이얼링 방법에 따라 제공되는 화면을 예시적으로 보인 도이다.
먼저, 수신 대기 모드에서 임의의 숫자키가 눌려졌는 지를 판단한다(S10). 상기한 과정 S10의 판단결과 임의의 숫자키가 눌려지지 않은 경우에는 해당 기능키 의 동작을 수행하고(S12), 임의의 숫자키가 눌려진 경우에는 스피커 또는 부저를 통해 해당 DTFM 톤을 발생함과 동시에 도 4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해당 숫자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하고, 해당 숫자키가 눌려 있는 시간(t)을 카운트한다(S14).
상기한 과정 S14에서 카운트한 숫자키가 눌려 있는 시간(t)이 기설정된 시간(i)을 초과했는 지를 판단한다(S16). 상기한 과정 S16의 판단결과 숫자키가 눌려 있는 시간(t)이 기설정된 시간(i)을 초과하지 않은 경우에는 도 4의 (e)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한 과정 S14에서 제공된 화면을 유지하고, 다음 키입력을 기다린다(S18).
한편, 숫자키가 눌려 있는 시간(t)이 기설정된 시간(i=단축 다이얼 개시 판단 시간)을 초과한 경우에는 스피커 또는 부저를 통해 단축 다이얼 디스플레이 톤을 발생하고, 도 4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해당 숫자키에 대응하여 저장된 단축 다이얼 내용, 즉, 전화 번호 및 이름을 화면에 디스플레이한다(S20).
상기한 과정 S14에서 단축 다이얼 내용을 화면에 디스플레이한 후에는 통화 개시 시간을 판단하기 위하여, 단축 다이얼 내용이 화면에 디스플레이된 직후부터 해당 숫자키가 눌려 있는 시간을 카운트하여 단축 다이얼 개시 판단 시간(i)에 더함으로써, 숫자키가 눌려 있는 시간(t)를 산출한다(S22).
이후, 상기한 과정 S22에서 산출된 숫자키가 눌려 있는 시간(t)이 기설정된 시간(i+k;i=단축 다이얼 개시 판단 시간, k=단축 다이얼 표시 후 통화 개시 시간)을 초과했는 지를 판단한다(S24). 상기한 과정 S24의 판단결과 숫자키가 눌려 있 는 시간(t)이 기설정된 시간(i+k)을 초과하지 않은 경우에는 이동 통신 단말기 사용자가 단축 다이얼 내용을 확인할 수 있도록 도 4의 (f)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한 과정 S20에서 제공된 화면을 유지한다(S30). 그리고, 숫자키가 눌려 있는 시간(t)이 기설정된 시간(i+k)을 초과한 경우에는 도 4의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해당 전화 번호로 통화 연결을 시도하고(S26), 통화 연결 시도 결과 상대방이 응답하여 호가 연결된 경우에는 도 4의 (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통화 연결을 알리는 통화 연결 화면을 제공한다(S28).
한편, 상기한 과정 S30에서 이동 통신 단말기 사용자가 단축 다이얼 내용을 확인할 수 있도록 제공된 전화 번호로 통화 연결을 시도하기 위한 키입력(예를 들어, 'SEND')이 있는 지를 판단한다(S32). 상기한 과정 S32의 판단결과 해당 전화 번호로 통화 연결을 시도하기 위한 키입력이 있는 경우에는 도 4의 (g)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해당 전화 번호로 통화 연결을 시도하고(S26), 통화 연결 시도 결과 상대방이 응답하여 호가 연결된 경우에는 도 4의 (h)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통화 연결을 알리는 통화 연결 화면을 제공한다(S28).
본 발명의 이동 통신 단말기의 단축 다이얼링 방법은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이동 통신 단말기의 단축 다이얼링 방 법에 따르면, 단축키가 눌려지는 시간에 따라 곧바로 통화 연결을 시도하거나, 단축 다이얼링 내용을 확인할 수 있게 하여 단축 다이얼링에 의한 통화 연결 전에 단축 다이얼 내용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의도하지 않은 통화 연결을 방지하고 지정된 단축 다이얼 내용을 쉽게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단축 다이얼링 방법에 있어서,
    숫자키 입력이 있으면 상기 숫자키가 눌려 있는 시간을 카운트하는 과정과;
    상기 카운트한 시간이 단축 다이얼 개시 시간을 초과한 경우 상기 숫자키에 대응하여 기저장된 단축 다이얼 내용을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과정과;
    상기 단축 다이얼 내용이 화면에 디스플레이된 후 상기 숫자키가 눌려 있는 시간을 카운트하여 상기 단축 다이얼 개시 시간에 더함으로써 상기 숫자키가 눌려 있는 시간을 산출하는 과정과;
    상기 산출된 시간이 통화 개시 시간을 초과하는 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판단결과 상기 산출된 시간이 통화 개시 시간을 초과한 경우에는 상기 단축 다이얼 내용에 포함된 해당 전화 번호로 통화 연결을 시도하고, 상기 산출된 시간이 통화 개시 시간을 초과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화면에 디스플레이된 단축 다이얼 내용을 유지시키는 과정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단축 다이얼링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산출된 시간이 통화 개시 시간을 초과하지 않아 상기 화면에 단축 다이얼 내용을 유지시키는 중에 상기 단축 다이얼 내용에 포함된 해당 전화 번호로 통화 연결을 시도하기 위한 명령이 있는 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판단결과 통화 연결을 시도하기 위한 명령이 있는 경우에는 상기 전화 번호로 통화 연결을 시도하고, 통화 연결시 통화 연결 화면을 제공하는 과정을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단축 다이얼링 방법.
KR1019990040785A 1999-09-21 1999-09-21 이동 통신 단말기의 단축 다이얼링 방법 KR1005609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0785A KR100560920B1 (ko) 1999-09-21 1999-09-21 이동 통신 단말기의 단축 다이얼링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0785A KR100560920B1 (ko) 1999-09-21 1999-09-21 이동 통신 단말기의 단축 다이얼링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8516A KR20010028516A (ko) 2001-04-06
KR100560920B1 true KR100560920B1 (ko) 2006-03-14

Family

ID=196125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0785A KR100560920B1 (ko) 1999-09-21 1999-09-21 이동 통신 단말기의 단축 다이얼링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60920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8516A (ko) 2001-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491516B1 (en) Multiple-mode cellular telephone control device
US6804507B2 (en) Mobile paging telephone with an automatic call back function
CA2153240A1 (en) Wireline interface for cellular telephone
KR0166660B1 (ko) 자동 메모리 다이얼링 회로 및 방법
GB2317784A (en) A telephone for automatically dialling a telephone number at a predetermined time
KR100560920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단축 다이얼링 방법
RU2162277C1 (ru) Способ автоматического набора номера в телефонном терминале
KR100506246B1 (ko) 통신단말기의발신자이름을포함한발신자정보표시방법
GB2340338A (en) A telephone arranged to generate a waiting message
KR100269766B1 (ko) 전화기에서의 단축 다이얼 방법
KR100895157B1 (ko) 휴대용 전화기의 부재상황 알림 방법
JP3221438B2 (ja) 移動体電話装置
KR100276812B1 (ko) 통신 단말기에서 라스트콜 차단방법
JP3425031B2 (ja) 位置検索方式
KR100225257B1 (ko) 셀룰라폰에서 전화번호 발신 방법
KR960003104B1 (ko) 키폰시스템의 착신 호 연결 방법
KR100400268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응답신호를 이용한 통화 연결정보표시장치 및 그 방법
KR0184504B1 (ko) 무선전화기에 병렬연결된 전화기의 발신잠금방법
KR100268671B1 (ko) 자동응답기에저장된전화번호에대한자동다이얼링가능한자동응답전화기
KR100277069B1 (ko) 전화기에서 통화자 호출 방법
JP2001230849A (ja) 誤発呼防止機能付き電話機
JP2002077371A (ja) 電話機
KR20030070210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발신제한 방법
JPH11178064A (ja) 携帯電話機とその発信方法
KR19980013824A (ko) 휴대폰에 있어서 페이징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4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