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15950B1 - 화장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화장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15950B1
KR960015950B1 KR1019920016069A KR920016069A KR960015950B1 KR 960015950 B1 KR960015950 B1 KR 960015950B1 KR 1019920016069 A KR1019920016069 A KR 1019920016069A KR 920016069 A KR920016069 A KR 920016069A KR 960015950 B1 KR960015950 B1 KR 9600159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enzyme
inhibitor
hair
dehydrogen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160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05608A (ko
Inventor
존 테렌스 이브린 키리
길리안 이. 웨스트게이트
레베카 윌리암스
Original Assignee
유니레버 엔브이
에이치. 드 로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레버 엔브이, 에이치. 드 로이 filed Critical 유니레버 엔브이
Publication of KR9300056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56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159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595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61K8/66Enzym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3Sulfur; Selenium; Tellurium;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61K8/362Poly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61K8/365Hydroxycarboxylic acids; Keto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4Ami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e.g. aminocarboxylic acids containing sulfur; Salts; Esters or N-acylate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7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7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61K8/4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having 6-membered rings or their condensed derivatives, e.g. coumar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8Preparations for bleaching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7/00Preparations for affecting hair growth
    • A61Q7/02Preparations for inhibiting or slowing hair grow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74Biologic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78Enzyme modulators, e.g. Enzyme agonists
    • A61K2800/782Enzyme inhibitors; Enzyme antagonis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 Jellies, Jams, And Syrup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화장제 조성물
제1도는 본 발명의 글루타민 대사 억제제를 사용하여 9일간 배양시킨 모낭의 누적 길이를 도시한 도표.
본 발명은 털의 성장을 감소시키거나 지연시키기 위하여 또는 포유동물의 체표면에서 원치않는 털을 제거하기 위하여 포유동물의 피부 또는 털에 국소적으로 적용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몇년 동안, 특히 남성형 대머리에서와 같이 모발이 감소하기 시작한 남성, 또는 노화에 따라 모발이 더 가늘어지는 남녀 모두에 있어서, 모발의 성장 촉진, 향상 또는 적어도 정상적 모발 성장을 유지시키는데 중점을 두어왔다. 이러한 이유로, "모발 회복" 또는 "대머리 치료제"의 시장은 증가되고 있다.
또한, 최근 몇년 동안 신체의 다른 부분, 특히 다리, 겨드랑이 및 얼굴 부분으로부터 면도에 의하지 않고 원치않는 털을 제거할 수 있는 제품의 필요성이 대두되어 왔다. 만일 매일 면도할 필요성만 피할 수 있다면, 얼굴로부터 털을 영구적으로 또는 반영구적으로 제거하는 방법이 남성들에 의해 환영받을 것이라는 것은 의심할 여지 조차 없다 하더라도, 남자보다 오히려 여자들이 이를 더 필요로 해왔다.
원치않는 털의 제거에 국소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현재 시판되고 있는 제품의 대부분은 활성 성분으로서 티오글리콜레이트를 사용하고 있다. 예로는 상표명 VEET 및 NAIR로서 시중구입 가능한 것들이다. 티오글리콜레이트는 털이 케라틴화 영역의 위쪽에서 약화된 부위인 모낭관내로 침투한 후 털의 디설파이드 결합을 환원시킴으로써 높은 pH 값에서 환원제로서 기능한다. 그런 다음, 모간은 피부표면 바로 아래에서 끊어져서, 피부에 부드럽고 매끈한 표면 감촉을 남기게 될 수 있다.
그러나, 털이 피부 표면 근처에서 끊어지기 때문에 털의 성장이 중단되는 것은 아니며, 비교적 단시간내에 재성장이 일어나므로 화장 효과는 신속하게 상실된다. 따라서, 처리된 피부를 털이 없는 상태로 유지하려면 티오글리콜레이트 제품으로 다시 처리할 필요가 있다.
때로는 피부 자극 현상이 나타나므로 티오글리콜레이트 털 제거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거부감이 없지 않으나, 털을 제거하고자 하는 다른 방법으로는 면도하거나 일일이 잡아뽑는 방법밖에는 없으므로, 특히 여성들에게 있어서 신체의 원치않는 털을 제거하기 위한 가장 효과적인 방법으로 티오글리콜레이트-함유 제품이 요구되고 있다.
사람을 포함한 대부분의 포유동물에 있어서, 털은 지속적으로 성장하지는 않지만, 성장기와 휴지기를 교대로 갖는 활성 주기를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털의 성장 주기는 다음과 같은 세개의 주요 단계로 나누어진다 :
(ⅰ) 모낭이 진피내로 깊숙히 침투하고 구근 세포가 신속히 분할되고 분화되어 털을 형성하는, 아나겐으로 알려진 활성 단계,
(ⅱ) 유사 분열의 정지에 의해서 예고되며 모낭이 진피를 통해 위쪽으로 복귀하여 털의 성장이 중단되는, 카타겐으로 알려진 퇴화 단계,
(ⅲ) 퇴화된 모낭이 아래쪽에 꽉 찬 진피 돌기 구형 세포를 갖는 작은 이차 생식세포를 함유하는, 텔로겐으로 알려진 휴지 단계,
성장하는 동안의 모낭의 신진대사는 잘 알려져 있지 않다. 글루코오스가 모낭의 정상적인 성장을 위해 요구되는 주요 연료이며, 글루코오스는 과도하게 산화되지 않고 글루코스의 대부분이 락테이트로 전환되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참조 : Adachi k, Uno H, Glucose Metabolism of Growing and Resting Hair Fo1licles. Am J Physiol(1968) 215, 1234-1239 ; 및 Phipott M P, Kealey T, Metabolic Studies on Isolated Hair Follicles. J Invest Derm(1991) 96, 875-879].
보다 최근의 연구에 있어서, 본 발명자들은 지질은 모낭에 의해 거의 대사되지 않는다는 놀라운 사실을 발견하게 되었다. 그 대신에, 글루타민이 글루코오스 만큼 많은 에너지를 내는 주요 연료인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글루타민이 거의 다 락테이트로 대사되며, 글루코오스 및 글루타민 연료가 동시에 존재하는 경우에만 시험관내의 털 성장률이 생체내에서 관찰되는 성장률에 필적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게 되었다.
글루타민이 정상적인 털 성장에 중요하다는 상기 새로운 사실속에서, 본 발명자들은 시험관내 실험에 의한 결과 글루타민이 락테이트로 전환되는 것을 방지하는 특정 억제제를 사용함으로써 모발 성장이 방해받는 것을 발견하게 되었다. 글루타민-락테이트 대사 경로 단계중 적어도 하나, 특히 글루타민이 피루베이트로 전환되는 것과 관련된 억제제를 주의 깊게 선택하여 이를 국소 적용하면 털의 성장을 감소 또는 지연, 심지어는 완전히 제거해 버릴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글루타민 대사에 관여하는 효소중 적어도 하나를 억제함으로써 포유동물의 털 성장을 조절할 수 있는 1종 이상의 물질을 선택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또한, 이들 물질은 신체 표면으로부터 원치않는 털을 제거하거나 또는 적어도 털의 성장률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다단계 처리중 1단계에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 예견되어진다. 즉,
ⅰ) 종래 방법에 의하여 먼저 털을 제거한 다음, 이러한 물질을 도포하여 재성장을 방지 또는 지연시키는 2단계 처리 ; 또는
ⅱ) 예를 들어 수염의 성장에 있어서와 같이, 반드시 동시에 털 제거를 수반하여야 할 필요없이, 이러한 물질을 도포함으로써 털 성장률을 감소시키는 1단계 처리를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털 성장을 지연 또는 제거하는데 있어서, 모낭에서의 글루타민 대사의 억제제를 사용하는 것에 관한 것이기도 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털의 성장을 감소 또는 지연시키거나 피부로부터 털을 제거하기 위하여 포유동물의 피부 또는 털에 국소 적용하기에 적합한,
ⅰ) 모낭에서의 글루타민 대사 억제제 효과량 : 및
ⅱ) 억제제를 위한 화장제용으로 허용가능한 비히클로 이루어진 조성물을 제공힌다.
본 발명은 포유동물의 피부 또는 털에 있어서, 글루타민 대사 억제제를 선택하고, 원치않는 털이 존재하는 포유동물의 신체 부위에서 털의 성장을 감소 또는 지연시키거나 털을 아주 제거해버리기 위한 목적으로 선택된 물질을 국소적용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글루타민 대사 억제제]
글루타민이 피루베이트로 전환되는 과정은 하기 도표에 도시되어 있으며, 이 과정은 일련의 중간체를 포함하며, 이들 중간체 각각은 이후 설명되는 바와 같이 선택적인 효소의 활성에 따른 결과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글루타민의 피루베이트로의 전환에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효소의 억제제를 함유한다.
상기 도표에 나타난 바와 같이, 글루타민의 피루베이트로의 전환에 있어서 각 단계는 특정 효소에 의해 제어되므로, 이들 적어도 하나의 특정 효소에 대한 억제제를 도입시킴으로써 글루타민의 피루베이트로의 전환은 정지되거나 적어도 지연될 수 있으며, 그 결과 털 성장이 감소, 지연 또는 심지어 제거될 수 있다. 이것은 1종 이상의 선택된 억제제를 함유하는 조성물을 관련 부위의 피부 및 털에 국부 적용함으로써 성취될 수 있다.
따라서, 글루타민 신진대사의 억제제는 억제시킬 효소에 따라서 다음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도표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글루타민은 먼저 글루타메이트로 전환되며, 여기에 관련된 효소는 글루타미나제이다. 적당한 글루타미나제 억제제의 예는 6-디아조-5-옥소노르루신이다.
글루타메이트는 이어서 α-케트글루타레이트로 전환되며, 여기에 관련된 효소는 글루타메이트 데히드로게나제이다. 글루타메이트 데히드로게나제 억제제의 예는 3-카르복시-5-브로모푸로산이다. α-케토글루타레이트는 숙시닐 CoA로 전환되며, 여기에 관련된 효소는 α-케트글루타레이트 데카르복실라제이다. α-케토글루타레이트 데카르복실라제 억제제의 예는 구리(Ⅱ) 아세테이트와 같은 구리 이온 공급원이다.
숙시닐 CoA는 이어서 숙시네이트로 전환되며, 여기에 관련된 효소는 숙시닐 CoA 신테타제이다. 숙시닐 CoA 신테타제 억제제의 예는 바나듐 술페이트이다.
숙시네이트는 그 다음 푸마레이트로 전환되며, 여기에 관련된 효소는 숙시네이트 데히드로게나제이다. 숙시네이트 데히드로게나제 억제제의 예는 말론산이다.
푸마레이트는 이어서 말레이트로 전환되며, 여기에 관련된 효소는 푸마라제이다. 적당한 푸마라제 억제제의 예는 메소-타르타르산이다.
말레이트는 이어서 옥살로아세테이트로 전환되며, 여기에 관련된 효소는 말레이트 데히드로게나제이다. 적당한 말레이트 데히드로게나제 억제제의 예는 플루오로말산이다.
옥살로아세테이트는 이어서 피루베이트로 전환되며, 여기에 관련된 효소는 말레이트 효소이다. 적당한 말레이트 효소 억제제의 예는 히드록시말론산이며, 이는 또한 타르트론 산으로서 불리우기도 한다.
말레이트는 또한 피루베이트로 직접 전환될 수 있으며, 여기에 관련된 효소는 말레이트 효소이다. 적당한 말레이트 효소 억제제의 예는 히드록시말론산이다.
언급된 효소 억제제는 글루타민의 피루베이트로의 전환에 있어서 일역을 담당하고 있는 관련 효소의 적당한 억제제의 예이다. 기타 효소 억제제가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사용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글루타민의 필루베이트로의 전환을 방지 또는 적어도 지연시키도록 본 발명에 따라 피부 또는 털에 국소 적용하기 위한 조성물에 사용될 수 있는 선택된 효소 억제제의 양은 당 분야의 숙련가에 의해 결정될 수 있는 효과적인 양이다.
놀랍게도, 작은 양만으로도 억제제로서 효과적이기 충분하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예기치 못한 효능에 대한 증거는 이후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조성물 100용적부당 억제제를 바람직하게는 5.0중량부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0중량부 이하로 함유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화장제용으로 허용가능한 비히클]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이 조성물이 포유동물의 피부 및(또는) 털에 도포될 때 이들의 분포를 촉진시키기 위한, 조성물에 존재하는 기타 물질을 위한 희석제, 분산제 또는 담체로서 작용하는 화장제용으로 허용가능한 비히클을 함유한다.
물 이외의 매개물은 액상 또는 고상 연화제, 용매, 보습제, 증점제 및 분말을 포함한다. 단독으로 사용될 수 있거나 혹은 1종 이상의 매개물의 혼합물로서 사용될 수 있는 이들 매개물 각각의 예는 다음과 같다 :
연화제로는, 예를 들어, 스테아릴 알코올, 글리세릴 모노리시놀레에이트, 밍크오일, 세틸 알코올, 이소프로필 이소스테아레이트, 스테아르산, 이소부틸 팔미테이트, 이소세틸 스테아레이트, 올레일 알코올, 이소프로필라우레이트, 헥실 라우레이트, 데실 올레에이트, 옥타데칸-2-올, 이소세틸 알코올, 아이코사닐 알코올, 베헤닐 알코올, 세틸 팔미테이트, 디메틸폴리실록산과 같은 실리콘 오일, 디-n-부틸 세바케이트, 이소프로필미리스테이트, 이소프로필 팔미테이트, 이소프로필 스테아레이트, 부틸 스테아레이트, 폴리에틸렌 글리콜, 트리에틸렌 글리콜, 라놀린, 코코아 버터, 옥수수유, 면실유, 올리브유, 팜 커넬유, 평지씨유, 잇꽃씨유, 달맞이꽃유, 대두유, 해바라기씨유, 아보카도 오일, 참깨유, 코코넛 오일, 아라키스 오일, 캐스터 오일, 아세틸화 라놀린 알코올, 페트롤륨 젤리, 광유, 부틸 미리스테이트, 이소스테아르산, 팔미트산, 이소프로필 리놀레에이트, 라우릴 락테이트, 미리스틸 락티이트, 데실 올레에이트, 미리스틸 미리스테이트를 사용할 수 있다.
촉진제로서는, 예를 들어, 프로판, 부탄, 이소부탄, 디메틸 에테르, 이산화탄소 산화질소를 사용할 수 있다.
용매로서는, 예를 들어, 에틸 알코올, 메틸렌 클로라이드, 이소프로판올, 아세톤, 에틸렌 글리콜 모노에틸에테르, 디에틸렌 글리콜 모노부틸 에테르, 디에틸렌 글리콜 모노에틸 에테르, 디메틸 술폭사이드, 디메틸 포름아미드, 테트라히드로푸란을 사용할 수 있다.
분말로서는 예를 들어, 쵸크, 탈크, 백토, 카올린, 전분, 검, 콜로이드성 실리카, 나트륨 폴리아크릴레이트, 테트라 알킬 및(또는) 트리알킬 아릴 암모늄 스멕타이트, 화학적으로 개질된 마그네슘 알루미늄 실리케이트, 유기적으로 개질된 몬모릴로나이트 클레이, 수화된 알루미늄 실리케이트, 훈증 실리카, 카르복시비닐 중합체, 나트륨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에틸렌 글리콜 모노스테아레이트, 에틸렌 글리콜 디스테아레이트를 사용할 수 있다.
화장제용으로 허용가능한 비히클은 통상 에멀젼의 10 내지 99.999중량%,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99중량%를 차지하며, 기타 화장제용 보조제가 없는 경우 조성물의 나머지 양을 이룰 수 있다.
[털 광택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임의로는 털 광택제를 함유할 수 있다.
원치않는 털을 제거하기 위하여 조성물을 국소적으로 도포한 다음, 재성장을 방지하기 위해 조성물의 되풀이하여, 재도포하지 않으면 털은 보통 재성장한다. 털의 색깔이 정상적으로 짙은 경우, 처리된 자리에서의 털의 재성장은 보통 밝은 색의 털보다 더 눈에 뛸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에 재성장하는 털의 색깔을 밝게하여 눈에 보다 덜 띄게 하게 하기 위하여 털 광택 또는 표백제를 함유시키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이러한 목적에 사용될 수 있는 특히 바람직한 털 광택제는 코지산이다. 코지산의 적량은 조성물의 0.1 내지 20중량%이다.
[종래의 털 제거 성분]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임의로는 티오글리콜레이트와 같은 종래의 털 제거 성분을 원치않는 털의 제거에 충분한 양 또는 그 보다 작은 양으로 함유할 수 있다. 따라서, 높은 pH의 티오글리콜레이트를 함유하며, 예를 들어 상표명 "VEET" 및 "NAIR"로서 시판되고 있는 것들과 같은 종래의 털 제거 제품의 사용에 대해 일부의 소비자가 저항감을 느낌에도 불구하고, 최선의 결과를 얻기 위하여 종래의 털 제거제로서의 티오글리콜레이트와 본 발명의 효소 억제제를 조합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달리는, 먼저 원치않는 털을 제거하기 위하여 종래의 티오글리콜레이트 털 제거제를 도포한 다음, 추가의 티오글리콜레이트가 함유되어 있거나 그렇지 않은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도포하여 털의 재성장을 제거하는 2단계 과정을 수행할 수도 있다.
[발한 억제제 및 방취제]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임의로 1종 이상의 통상적 발한 억제제 또는 방취제 활성 물질을 함유할 수 있으며, 이는 조성물이 겨드랑이(액와)에 사용될 경우 특별한 가치를 갖는다. 따라서, 이러한 조성물을 정규적으로, 예를 들면, 매일 겨드랑이에 사용함으로써, 원치않는 털의 성장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발한을 감소 또는 제거 및(또는) 신체의 악취를 감소 또는 제거할 수 있다.
통상의 발한 억제제의 예로는 염화 알루미늄, 알루미늄 클로로히드레이트, 활성화(또는 숙성된) 알루미늄 클로로히드레이트(AACH로서도 공지됨)와 같은 수렴성 금속염, 및 발한 억제제 제품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과 같은 지르코늄 염을 포함한다. 또한, 수렴성 금속 염을 사용하지 않는 최근 추세에 따라, 흡수제와 같은 보다 '천연적인 발한 억제제'가 대중의 인기를 얻고 있다. 이러한 '천연 발한 억제제'의 작용은 피지관을 차단함으로써 땀의 발산을 방지하는 것이 아니라 피부 표면으로부터 발산된 땀을 흡수하는 것이다. 흡수발한 억제제 물질의 예로는 적어도 그 자체의 중량과 동일한 양의 수분을 흡수할 수 있는 능력을 갖는 중합체로서, 예를 들면, AKUCELL(상표명)과 같은 화학적으로 개질된 셀룰로오스, AQUALON(상표명)과 같은 교차-결합된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및 FOXSORB(상표명)과 같은 크로복시메틸화 감자전분이 있다.
종래 방취제의 예로는 세틸트리메틸암모늄 브로마이드, 세틸피리디늄 클로라이드, 나트륨 N-라우로일 사르코신, 3,4,4'-트리클로로카바닐리드, 및 2,4,4'-트리클로로-2"-히드록시페닐에테르와 같은 미생물 억제제를 포함한다.
[기타 임의의 피부 유익 물질 및 화장제용 보조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특히 편리한 형태는 에멀젼이며, 이 경우에 오일 또는 오일성 물질이 보통 유화제와 함께 함유되어 사용된 유화제의 평균 친수성-천지방성 평형(HLB)에 크게 좌우되어 유중수 또는 수중유 에멀젼을 제공한다.
[오일 또는 오일성 물질]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임의로는 1종 이상의 오일 또는 오일 특성을 갖는 기타 물질을 함유할 수 있다.
적당한 오일의 예로는 본 명세서에서 이미 연화제로서 제안된 것들과 같은, 미네랄 오일 및 식물성 오일, 및 기타 오일 물질이 있다. 기타 오일 또는 오일성 물질은 폴리디메틸 실록산과 같은 휘발성 및 비휘발성 실리콘 오일을 포함한다.
오일 또는 오일성 물질이, 에멀젼을 형성하기 위해 함유된 경우, 보통 조성물의 90부피%까지,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80부피%를 형성할 수 있다.
[유화제]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임의로 1종 이상의 유화제를 함유할 수 있으며, 이의 선택에 따라 유중수 에멀젼인지 수중유 에멀젼인지가 보통 결정된다.
유중수 에멀젼이 요구되는 경우, 선택된 유화제(들)은 보통 1 내지 6의 평균 HLB값을 가져야 한다. 수중유 에멀젼이 요구되는 경우, 선택된 유화제(들)은 6보다 큰 평균 HLB 값을 가져야 한다.
적당한 유화제는 예가 표 1에 열거되어 있으며, 여기서 시중구입 가능한 상표명, 평균 HLB 값과 함께 유화제의 화학명이 주어져 있다.
[표 1]
유화제의 상기 목록은 한정적인 것이 아니며 단지 본 발명에 따라 사용하기에 적합한 선택된 유화제를 예로 든 것이다.
바람직할 경우, 2종 이상의 유화제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배합되어질 유화제 또는 그 혼합물의 양은 적당하게는 조성물의 1 내지 50중량%, 바람직하게는 2 내지 20중량% 및 가장 바람직하게는 2 내지 10중량%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물을 보통 90부피%까지 바람직하게는 5 내지 80부피%까지 함유할 수 있다. 물은 화장제용으로 허용가능한 비히클로서 작용할 수 있다.
[실리콘 계면활성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임의로는 이미 언급된 임의 선택적인 유화제(들) 대신 또는 그에 대하여 유화제로서 작용할 수 있고 고분자량 실리콘 계면활성제를 함유할 수 있다.
실리콘 계면활성제는 10,000-50,000의 분자량을 갖는 폴리옥시에틸렌 및(또는) 폴리옥시프로필렌 측쇄와 디메틸 폴리실록산의 고분자량 중합체이며, 다음 일반식을 갖는다.
상기식에서, R은 C1-18알킬기이고 ; R'는 -CH3H5O(C2H4O)a(CH3C2H3O)bR" 구조의 폴리에테르기(여기서, R" 는 H 또는 C1-18알킬기이고, a는 9 내지 115의 값을 가지며, b는 0 내지 50의 값을 가진다)이고, x는 133 내지 673의 값을 가지며, y는 25 내지 0.25의 값을 가진다.
a가 10 내지 114의 값을 가지며, b가 0 내지 49의 값을 가지며, x가 388 내지 402의 값을 가지며, y가 15 내지 0.75의 값을 갖는 디메틸폴리실록산 중합체가 바람직하다.
R' 및 R" 중 하나가 라우릴이면, 다른 하나는 1000 내지 5000의 분자량을 갖는다.
특히 바람직한 디메틸 폴리실록산 중합체는 a가 14의 값을 가지고, b가 13의 값을 가지며, x가 249의 값을 가지고, y가 1.25의 값을 갖는 중합체이다.
디메틸 폴리실록산 중합체는 휘발성 실록산내의 분산물로서 제공되는 것이 편리하며, 분산물은 예를 들어 중합체 1 내지 20부피% 및 휘발성 실록산 80 내지 99부피%를 함유한다. 이상적인 것은 휘발성 실록산내에 분산된 중합체 10부피%로 구성된 분산물이다.
폴리실록산 중합체가 분산될 수 있는 휘발성 실록산의 예로는 폴리디메틸 실록산(펜타머 및(또는) 헥사머)이 있다.
특히 바람직한 실리콘 계면활성제는 다우 코닝(Dow Corning)으로부터 시중구입가능한 DC 3225C 포뮬레이션 에이드와 같은 시클로메티콘과 디메티콘 코폴리올이다. 또다른 것은 다우 코닝으로부터 역시 시중구입 가능한 DC Q2-5200과 같은 라우릴메티콘 코폴리올이다.
조성물에 함유될 경우, 실리콘 계면활성제의 양은 에멀젼의 25중량%까지,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5중량%이다.
[계면활성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또한 임의로 음이온성, 비이온성, 양쪽성 계면활성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 계면활성제를 함유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위한 적당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로는 알킬 술페이트, 알킬 에테르 술페이트, 알카릴 술포네이트, 알킬 숙시네이트, 알킬 술포숙시네이트, N-알코일사르코시네이트 및 알파-올레핀 술포네이트, 특히 이들의 나트륨, 마그네슘, 암모늄, 모노-, 디- 및 트리에탄올아민염이 있다. 일반적으로, 알킬기는 C8-C18이며 불포화일 수 있다. 알킬 에테르 술페이트는 분자당 1 내지 10개의 에틸렌 옥사이드 또는 프로필렌 옥사이드 단위, 바람직하게는 분자당 2 내지 3개의 에틸렌 옥사이드 단위를 함유할 수 있다.
적당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예로는 라우릴 황산나트륨, 올레일 숙신산 나트륨, 라우릴 술포숙신산 암모늄, 라우릴 황산 암모늄, 도데실벤젠 술폰산 나트륨, 도데실 벤젠 술폰산 트리에탄올아민 및 N-라우릴 사르코신산 나트륨이 있다. 가장 바람직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로는 라우릴 황산나트륨, 라우릴 에테르 황산나트륨 2EO 및 3EO, 라우릴 황산 암모늄 및 라우릴 에테르 황산 암모늄 1EO, 2EO 및 3EO이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임의 선택적으로 사용하기 적합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알킬렌 옥사이드, 보통은 에틸렌 옥사이드, 일반적으로 6 내지 30EO와 지방족(C8-C18) 1급 또는 2급 선형 또는 분지형 알코올 또는 페놀의 축합 생성물을 포함할 수 있다.
기타 적당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모노 또는 디알킬 알칸올아미드 또는 알킬 폴리글루코시드를 포함한다. 예로는 코코모노 또는 디에탄올아미드, 코코모노이소프로판올아미드 및 코코 디글루코시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임의로 사용하기 적합한 양쪽성 계면활성제로는 알킬 아민 옥사이드, 알킬 베타인, 알킬 아미도프로필 베타인, 알킬 모노- 또는 디알칸올아미드, 알킬 술포베타인, 알킬 글리시네이트 및 알킬 카복시글리시네이트가 있으며, 여기서의 알킬기는 C8-C18이다. 예로는 라우릴 아민 옥사이드, 코코모노에탄올아미드, 코코디에탄올아미드, 코코아미도프로필 베타인, 코코디메틸 술포프로필 베타인 및 바람직하게는 코코베타인이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함유될 경우 계면활성제의 양은 2 내지 40중량%, 바람직하게는 5 내지 30중량% 정도이다.
[기타 화장제용 보조제]
임의로 사용될 수 있는 통상적 보조제의 예로는 부틸 히드록시 톨루엔과 같은 산화방지제 ; 옥틸 메톡시신나메이트 및 부틸메톡시 디-벤조일 메탄과 같은 자외선 차단제 ; 글리세롤, 소르비톨, 2-피롤리돈-5-카르복실레이트, 디부틸프탈레이트, 젤라틴, 폴러에틸렌 글리콜(PEG 200-600)과 같은 보습제 ; 트리에탄올아민이나 수산화나트륨과 같은 염기와 혼합된 젖산과 같은 완충제 ; 밀랍, 오조케라이트(ozokerite) 왁스, 파라핀 왁스와 같은 왁스 ; 알로에베라, 옥수수꽃, 위츠 하젤, 양 딱총나무 꽃, 오이와 같은 식물추출물 ; 농화제 ; 활성 증강제 ; 착색제 및 향료가 있다. 화장제용 보조제는 조성물의 나머지를 구성한다.
[조성물의 보존]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제조후 판매와 사용전까지의 저장 수명을 연장하는 방식으로 보존되는게 바람직하다. 이상적으로는 조성물은 무기한의 저장수명을 갖는다.
특히, 바람직한 조성물로 특징지워지는 피부의 pH와 근접한 pH에서, 효소 억제제는 세균, 곰팡이, 진균류 및 기타 미생물에 의해 공격받기 쉬운 것이 분명하다. 그러므로, 조성물의 저장수명은 조성물에 방부처리 단계가 취해지지 않으면 억제제의 생분해에 기인하여 용납하기 어려우리만큼 그 수명이 짧아질 수 있다.
보존을 위해서, 조성물의 미생물 손상을 초래할 수 있는 생존 미생물 오염 물질이 실질적으로 없고(없거나) 포유동물의 피부나 털에 조성물을 국소 도포하기 전에 억제제의 생분해가 없어야만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또한 본 명세서에 정의한 바와 같이, 보존 조건이 조성물을 사용하기전 미생물의 실질적인 종식을 초래하지 않는다는 전제하에, 생존이 가능하지만 잠복상태인 미생물을 함유할 수 있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조성물의 보존을 성취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방법의 예는 다음과 같다 :
ⅰ) 멸균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실질적으로 모든 생존 미생물 오염물질을 제거 또는 죽이기 위한 멸균법으로 보존될 수 있다. 이것은 예를 들어 감마선을 치사량 사용하는 방사선 요법, 가열 멸균법 또는 의약 공업에서 잘 확립되어 있는 한외여과법에 의하여 멸균시키는 것이다.
ⅱ) 화학 보존제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그 작용이 세균, 곰팡이 또는 기타 미생물의 생육을 방지하거나 치사시킬 수 있는 화학 보존제를 함유시킨 보존될 수 있다.
화학 보존제의 예로는 에탄올, 벤조산, 벤조산 나트륨, 소르브산, 소르브산 칼륨, 프로피온산 나트륨 및 P-히드록시벤조산의 메틸, 에틸, 프로필, 부틸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 혼합될 수 있는 화학 보존제의 양은 일반적으로 0.05 내지 5중량%,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2중량%이며, 선택된 양은 미생물 증식을 억제시키기에 충분하다.
ⅲ) 수 활성도 억제제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글리세롤, 프로필렌 글리콜, 소르비톨, 슈가 및 염류, 예를들면 알칼리 금속 할로겐화물, 술페이트 및 카르복실레이트와 같은 수 활성도 억제제를 함유시켜 보존시킬 수 있다. 수 활성도 억제제가 사용될 경우, 수 활성도(αw)를 1에서 <0.9까지, 바람직하게는 <0.85 및 더욱 바람직하게는 <0.8로 감소되도록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내에 충분히 함유되어야 하며, 이들 값의 최저치는 효모, 곰팡이 및 진균류가 증식할 수 없는 값이다.
털의 성장을 감소 또는 지연시키거나 피부로부터 털을 제거하기 위한 글루타민 대사 억제제의 사용
따라서, 본 발명은 털의 성장을 감소 또는 지연시키거나, 피부 표면으로부터 원치않는 털을 제거하기 위해 포유동물의 피부 또는 털에 국소 적용하기 위한,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글루타민 대사 억제제의 용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주로 사람의 피부, 특히 다리, 겨드랑이 및 얼굴에서 원치않는 털을 제거하거나, 적어도 털의 성장을 감소 또는 지연시키기 위해 국소 적용시키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조성물은 연속적인 털의 재성장을 방지하기 위해 피부에 예방적으로 도포될 수 있다.
피부에 도포하는 조성물의 양과 횟수는 개인적인 필요에 따라 광범위하게 변화될 수 있지만, 예를들면, 선택된 글루타민 대사 억제제를 0.00001 내지 lg 함유하는 조성물을 0.1 내지 5g씩 매일 국소 도포하는 경우 대부분 원치않는 털을 윈하는 대로 제거할 수 있으며 털이 없는 상태로 피부를 유지할 수 있다.
[제품 형태 및 포장]
본 발명의 국소적 피부 및(또는) 털 도포 조성물은 액체 또는 젤로서, 또는 점도가 4,000 내지 10,000mPas인 로션, 점도가 10,000 내지 20,000인 유동 크림, 또는 점도가 20,000 내지 100,000mPas인 크림으로서 제형화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주로 피부로부터 원치않는 털을 제거하기 위한 제품으로서 제제화되지만, 적당한 보조제와 혼합함으로써 예를들어 발한 억제제, 방취제, 자외선 차단제 또는 면도용 무스와 같은 면도용 제품으로서 기능하도록 제제화될 수 있다.
조성물은 그 점도에 맞게 또한 소비자에 의해 사용이 의도되는 대로 적당한 용기에 포장될 수 있다. 예를들면, 액체, 젤, 로션 또는 유동 크림은 병 또는 롤-볼 어플리케이터(roll-ball applicator) 또는 추진제-장착 에어로졸 장치 또는 손가락 작동에 적합한 펌프가 장착된 용기에 포장될 수 있다. 이 조성물은 병 또는 주머니에 포장될 수 있다. 조성물이 크림인 경우, 변형되지 않는 병이나 튜브 또는 뚜껑달린 용기와 같은 짜내서 쓰는 용기에 저장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화장제용으로 허용가능한 조성물을 포함하는 밀봉된 용기도 제공한다.
[제조 방법]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정의한 바와 같은 글루타민 대사 억제제의 효과량과 이 억제제에 적합한 화장제용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탈모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털중 글루타민 대사의 억제를 입증하는 시험관내 중거]
앞서 기재한 바와 같이, 숙시네이트의 푸마레이트로의 전환은 효소 숙시네이트 데히드로게나제에 의해 촉매화되며, 이것의 활성도는 효과량의 말론산의 존재로 인해 억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산은 글루타민의 피루베이트로의 전환을 방해하는 중요한 효소 억제제인데, 이러한 과정은 피루베이트에 이르기 전 푸마레이트 및 말레이트 모두의 생성을 포함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역할에 있어서 말론 산의 효과는 분리된 생존하는 모낭의 성장에 대한 연구를 포함하는 시험관내 기술에 의해 입증되었다.
사용된 기술은 다음과 같다 :
사람의 두피에 있는 모낭은 문헌[Philpott et al., in J Cell Sci 97, 463-471(1990)]에 기재된 바와 같이 분리시켰다. 두명의 환자 각각으로부터 10개의 모낭과 제3의 환자로부터 5개의 모낭을 인슐린(10μg/ml)과 히드로코르티손(10g/ml)으로 보충된 성장 배지[L-글루타민(2mM)와 항생물질을 포함하는 William E. 배지물로서, 이들 모두는 Flow Laboratories로부터 시중구입 가능함]중에서 2.5mM 말론산[0.026%W/V]의 존재 및 부재하에 배양시켰다. 접안렌즈 계수선과 인버터 현미경을 사용하여 0일부터 9일까지 매일 모낭의 길이를 기록하고, 각 처리 그룹에 대하여 평균 누적 성장을 계산하였다. 평균의 표준 오차(3. E. M)를 나타내는 에러 바(error bar)를 갖는 제1도에 그 결과가 도시되어 있다.
제1도에 있어서, 모든 모낭에 대한 평균 누적 모발 성장(mm)이 세로 좌표로, 실험의 기간(보충된 William E. 배지에서 9일간 배양)이 가로 좌표로 도시되어 있다.
제1도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시험관내 모발 성장률은 대조용과 비교하여 볼때 2.5mM 말론산의 존재하에서의 시험기간 동안 상당히 감소되었다.
또한, 두가지 다른 억제제를 상기 기술된 바와 같은 동일한 기법으로 시험하였다. 이들 억제제는, 효소 푸마라제를 억제하고 푸마레이트의 말레이트로의 전환을 억제하는 메소-타르타르산, 및 말릭 효소를 억제하고 옥살로아세테이트의 피루베이트로의 전환을 억제하는 히드록시 말론산이었다. 결과는 이들 억제제가 말론산과 같이 그렇게 효력이 있지는 않지만, 상승적으로 작용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들이 그 효력을 발휘하는 글루타민 대사의 경로에서의 지점이 효능과 관계가 있을 수 있다.
보충된 윌리암 이. 배지에서 7일간 배양된 후 시험된 세가지 억제제의 모든 모발 성장 억제 효과가 표 2에 주어져 있다.
[표 2]
[실시예]
다음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을 예시하며, 각각은 본 발명에 따른 글루타민 대사 특정 효소 억제제를 1종 이상 함유하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실시예 1]
본 실시예는 털의 성장을 제거하기 위하여 피부에 국소 적용하기 적합한 본 발명에 따른 로션을 예시한다.
로션은 다음 조성을 갖는다 :
[실시예 2]
본 실시예는 다리 또는 겨드랑이에 도포하기 적합한 발모 지연 토닉을 예시한다. 발모 지연 토닉은 다음 조성을 갖는다 :
[실시예 3]
본 실시예는 겨드랑이에 국소 적용하기 적합한 로션을 예시한다. 로션은 다음 조성을 갖는다 :
[실시예 4]
본 실시예는 피부에 국소 적용하기 적합한 제모제를 예시한다. 제모제는 다음 조성을 갖는다 :
[실시예 5-7]
다음 조성물은 얼굴, 다리 또는 겨드랑이로부터 털을 제거하기 위해 국소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로션을 나타낸다.
[실시예 8]
본 실시예는 본 발명에 따른 효소 억제제를 함유하는 유중수 에멀젼을 예시하며, 이것은 신체 표면으로부터 털을 제거하는데 유용하다.
에멀젼은 오일상 10부피%와 수상 90부피%로 구성되었다.
오일상과 수상은 다음 조성을 갖는다 :
오일상 10용량부를 취하고, 여기에 수상 90용량부를 교반하에 서서히 가함으로써 에멀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9]
본 실시예는 피부에 국소 적용하기 적합한 로션을 예시한다. 로션은 다음 조성을 갖는다 :
[실시예 10]
본 실시예는 본 발명에 따른 두가지 효소 억제제를 함유하는 유중수 에멀젼을 예시하며, 이것은 체표면으로부터 털을 제거하는데 유용하다.
에멀젼은 오일상 10부피%와 수상 90부피%로 구성되었다.
오일상과 수상은 다음 조성을 가졌다 :
오일상 10용량부를 취하고, 여기에 수상 90용량부를 교반하여 서서히 가하여 에멀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1]
본 실시예는 본 발명에 따른 면도용 무스 제품을 예시한다. 이 제품은 다음 성분을 함유하였다.
[실시예 12]
본 실시예는 본 발명에 따른 롤(roll-on)식 발한 억제제를 예시한다. 롤온식 로션은 다음 성분을 함유하였다.
[공정]
물에 마그네슘 알루미늄 실리케이트와 말론산을 천천히 가하고, 부드러워질 때까지 계속 교반해주면서 70℃로 가열한다. 75℃로 가열시킨 B를 A에 첨가한다. 온도가 50℃로 떨어질 때까지 혼합한다. 50℃로 가열시킨 C를 A+B에 첨가한다. 생성물이 실온(20℃)에 도달할 때까지 혼합한다. D를 첨가하고 15분 동안 교반해준다.
그런 다음 상기와 같이 제조된 로션을 롤-볼 어플리케이터에 분배시켜서 완성된 론-온식 제품을 제공한다.
이러한 로션은 와이프로서 사용하기 위한 직물 또는 티슈를 침지시키는데 적절하다.

Claims (24)

  1. ⅰ) 글루타민을 글루타메이트로 전환시키는 글루타미나제, 글루타메이트를 알파-케토글루타레이트로 전환시키는 글루타메이트 데히드로게나제, 알파케토글루타레이트를 숙시닐 CoA로 전환시키는 알파-케토글루타레이트 데카르복실라제, 숙시닐 CoA를 숙시네이트로 전환시키는 숙시닐 CoA 신테타제, 숙시네이트를 푸마레이트로 전환시키는 숙시네이트 데히드로게나제, 푸마레이트를 말레이트로 전환시키는 푸마라제, 말레이트를 옥살로아세테이트로 전환시키는 말레이트 데히드로게나제, 옥살로아세테이트를 피루베이트로 전환시키는 말산 효소,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포유동물의 피부 또는 털중 글루타민을 락테이트로 전환시키는데 관여된 적어도 하나의 효소를 억제하는 제제인, 효과량의 글루타민 대사 억제제; 및 ⅱ) 화장제용으로 허용되는 상기 억제제를 위한 비히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털의 성장을 감소, 지연 또는 제거하기 위하여 포유동물의 피부에 국소적으로 도포하기에 적절한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효소는 글루타민을 글루타메이트로 전환시키는 글루타미나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글루타미나제 억제제는 6-디아조-5-옥소노르루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효소는 글루타메이트를 α-케토글루타레이트로 전환시키는 글루타메이트 데히드로게나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글루타메이트 데히드로게나제 억제제는 3-카르복시-5-브로모프로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효소는 α-케토글루타레이트를 숙시닐 CoA로 전환시키는 α-케토글루타레이트 데카르복실라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α-케토글루타레이트 데히드로게나제 억제제는 구리(Ⅱ) 아세테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효소는 숙시닐 CoA를 숙시네이트로 전환시키는 숙시닐 CoA 신테타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9. 제8항에 있어서, 숙시닐 CoA 신테타제 억제제는 바나듐 술페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0. 제1항에 있어서, 효소는 숙시네이트를 푸마레이트로 전환시키는 숙시네이트 데히드로게나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1. 제10항에 있어서, 숙시네이트 데히드로게나제 억제제는 말론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2. 제1항에 있어서, 효소는 푸마레이트를 말레이트로 전환시키는 푸마라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3. 제12항 있어서, 푸마라제 억제제는 메소-타르타르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4. 제1항에 있어서, 효소는 말레이트를 옥살로아세테이트로 전환시키는 말레이트 데히드로게나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5. 제14항에 있어서, 말레이트 데히드로게나제 억제제는 플루오로말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6. 제1항에 있어서, 효소는 옥살로아세테이트를 피루베이트로 전환시키는 말레이트 효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7. 제16항에 있어서, 말레이트 효소 억제제는 히드록시말론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8. 제1항에 있어서, 효소는 말레이트를 피루베이트로 전환시키는 말레이트 효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9. 제18항에 있어서, 말레이트 효소 억제제는 히드록시말론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20. 제1항에 있어서, 추가로 털 광택제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21. 제20항에 있어서, 털 광택제는 코지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22. 제1항에 있어서, 추가로 티오글리콜레이트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23. 제1항에 있어서, 조성물 100용량부당 억제제 5.0중량부 이하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24. 제23항에 있어서, 조성물 100용량부당 억제제 1.0중량부 이하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KR1019920016069A 1991-09-04 1992-09-04 화장제 조성물 KR96001595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9118866.4 1991-09-04
GB919118866A GB9118866D0 (en) 1991-09-04 1991-09-04 Cosmetic composi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5608A KR930005608A (ko) 1993-04-20
KR960015950B1 true KR960015950B1 (ko) 1996-11-25

Family

ID=107008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16069A KR960015950B1 (ko) 1991-09-04 1992-09-04 화장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5378455A (ko)
EP (1) EP0532219B1 (ko)
JP (1) JP2525315B2 (ko)
KR (1) KR960015950B1 (ko)
AT (1) ATE137665T1 (ko)
AU (1) AU666123B2 (ko)
BR (1) BR9203450A (ko)
CA (1) CA2077144C (ko)
DE (1) DE69210515T2 (ko)
GB (1) GB9118866D0 (ko)
PH (1) PH31037A (ko)
TW (1) TW221027B (ko)
ZA (1) ZA92671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670554B2 (en) * 1991-11-05 1996-07-25 Gillette Company, The Alteration of rate and character of hair growth
US5648394A (en) * 1993-05-27 1997-07-15 Boxall; Brian Alfred Topical composition for inhibiting hair growth
US6248751B1 (en) 1993-05-28 2001-06-19 Gurpreet S. Ahluwalia Inhibition of hair growth
US6414017B2 (en) 1993-05-28 2002-07-02 The Gillette Company Inhibition of hair growth
US6239170B1 (en) 1993-05-28 2001-05-29 Gurpreet S. Ahluwalia Inhibition of hair growth
JP3566739B2 (ja) * 1993-09-30 2004-09-15 三省製薬株式会社 皮膚外用剤の安定化方法
US5474763A (en) * 1994-03-11 1995-12-12 Shander; Douglas Reduction of hair growth
US5468476A (en) * 1994-03-16 1995-11-21 Ahluwalia; Gurpreet S. Reduction of hair growth
US5455234A (en) * 1994-03-16 1995-10-03 Ahluwalia; Gurpreet S. Inhibition of hair growth
US5554608A (en) * 1994-09-28 1996-09-10 Ahluwalia; Gurpreet S. Inhibition of hair growth
US5874463A (en) 1994-10-24 1999-02-23 Ancira; Margaret Hydroxy-kojic acid skin peel
EP0792144B1 (en) * 1994-11-09 1998-12-2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leaning tissues treated with water-in-lipid emulsion
EP0711541A1 (en) * 1994-11-11 1996-05-15 Harry H. Leveen Use of glucose blockers for inhibiting hair growth
GB2295771B (en) * 1994-12-06 1997-01-22 Sultan Daham Permanentn hair re-growth prevention composition
GB9424828D0 (en) * 1994-12-06 1995-02-08 Daham Sultan D Hair removal preparation
DE69622154T2 (de) * 1995-02-28 2003-02-13 Gillette Co Verwendung von angiogenese-suppressoren zur hemmung des haarwuchses
US5674477A (en) * 1995-02-28 1997-10-07 Ahluwalia; Gurpreet S. Reduction of hair growth
EP0822955B1 (en) * 1995-04-27 1999-03-1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arrier substrate treated with high internal water phase inverse emulsion made with an organopolysiloxane-polyoxyalkylene emulsifier
US5948540A (en) * 1995-04-27 1999-09-0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arrier substrate treated with high internal phase inverse emulsions made with an organopolysiloxane-polyoxyalkylene emulsifier
FR2737119B1 (fr) * 1995-07-25 1997-09-12 Oreal Composition siliconee contenant un actif sensible a l'eau
GB9521101D0 (en) 1995-10-16 1995-12-20 Reckitt & Colmann Sa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organic compositions
US5728736A (en) * 1995-11-29 1998-03-17 Shander; Douglas Reduction of hair growth
US5652273A (en) * 1995-11-30 1997-07-29 Henry; James Reduction of hair growth
US5980922A (en) * 1996-04-30 1999-11-09 Procter & Gamble Company Cleaning articles treated with a high internal phase inverse emulsion
US5763332A (en) * 1996-04-30 1998-06-0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leaning articles comprising a polarphobic region and a high internal phase inverse emulsion
US5908867A (en) * 1996-07-18 1999-06-01 Henry; James P. Reduction of hair growth
US5962523A (en) * 1996-10-25 1999-10-05 Discovery Laboratories, Inc. Methods of using butyric acid derivatives to protect against hair loss
US5840752A (en) * 1996-11-21 1998-11-24 Henry; James P. Reduction of hair growth
US5908707A (en) * 1996-12-05 1999-06-0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leaning articles comprising a high internal phase inverse emulsion and a carrier with controlled absorbency
ZA9711121B (en) * 1996-12-13 1998-06-23 Handelman Joseph H Reduction of hair growth.
US6037326A (en) * 1996-12-31 2000-03-14 Styczynski; Peter Reduction of hair growth
US6248551B1 (en) * 1997-03-28 2001-06-19 Institut Pasteur Helicobacter aliphatic amidase AmiE polypeptides, and DNA sequences encoding those polypeptides
AUPO690297A0 (en) 1997-05-20 1997-06-12 Kahale, Laura Prevention/retardation of hair growth
US6133166A (en) * 1997-07-01 2000-10-1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leaning articles comprising a cellulosic fibrous structure having discrete basis weight regions treated with a high internal phase inverse emulsion
AU8124598A (en) * 1997-07-31 1999-02-22 Procter & Gamble Company, The Wet-like cleaning articles
US6310093B1 (en) 1997-08-29 2001-10-30 Elan Pharmaceuticals, Inc. Method of preventing neuronal death
US5939458A (en) * 1997-09-22 1999-08-17 Henry; James P. Reduction of hair growth
JP3973748B2 (ja) 1998-01-14 2007-09-12 花王株式会社 発毛抑制剤
US5958946A (en) * 1998-01-20 1999-09-28 Styczynski; Peter Modulation of hair growth
US6060471A (en) * 1998-01-21 2000-05-09 Styczynski; Peter Reduction of hair growth
US6020006A (en) * 1998-10-27 2000-02-01 The Gillette Company Reduction of hair growth
US6808716B2 (en) 1999-01-08 2004-10-26 Ruey J. Yu N-acetylamino acids, related N-acetyl compounds and their topical use
US6159485A (en) * 1999-01-08 2000-12-12 Yugenic Limited Partnership N-acetyl aldosamines, n-acetylamino acids and related n-acetyl compounds and their topical use
US6121269A (en) * 1999-02-22 2000-09-19 Henry; James P. Reduction of hair growth
US6375948B1 (en) 1999-07-12 2002-04-23 Kao Corporation Treating method for suppressing hair growth
US6235737B1 (en) * 2000-01-25 2001-05-22 Peter Styczynski Reduction of hair growth
US6299865B1 (en) 2000-05-02 2001-10-09 Peter Styczynski Reduction of hair growth
US6444196B1 (en) 2000-06-30 2002-09-03 Ethnic Magic, Inc. Hair treatment composition and method
DE10048683A1 (de) 2000-09-30 2002-04-11 Beiersdorf Ag Zubereitung von Emulsionstyp W/O mit erhöhtem Wassergehalt auf der Basis niedrigviskoser,gut spreitender Lipidkomponenten,ferner enthaltend ein oder mehrere Alkylmethiconcopolyole und/oder Alkyl-Dimethicopolyole
US7439271B2 (en) 2001-06-27 2008-10-21 The Gillette Company Reduction of hair growth
US6743822B2 (en) 2001-08-10 2004-06-01 The Gillette Company Reduction of hair growth
US7261878B2 (en) 2001-08-10 2007-08-28 The Gillette Company Reduction of hair growth
US7160921B2 (en) 2002-01-29 2007-01-09 The Gillette Company Reduction of hair growth
US20030224023A1 (en) * 2002-05-29 2003-12-04 Unilever Home & Personal Care Usa, Division Of Conopco, Inc. Cosmetic compositions with hydroxy amine salts of malonic acid
US20030228337A1 (en) * 2002-05-29 2003-12-11 Unilever Home & Personal Care Usa, Division Of Conopco, Inc. Personal care compositions with hydroxy amine neutralized polymers
US20030224027A1 (en) * 2002-05-29 2003-12-04 Unilever Home & Personal Care Usa, Division Of Conopco, Inc. Cosmetic compositions with ammonium malonates
US20040185074A1 (en) * 2003-03-17 2004-09-23 Unilever Home & Personal Care Usa, Division Of Conopco, Inc. Odor control in amine salt containing cosmetic compositions
US20040185015A1 (en) * 2003-03-17 2004-09-23 Unilever Home & Personal Care Usa, Division Of Conopco, Inc. Sunscreen cosmetic compositions storage stabilized with malonate salts
US20040202689A1 (en) * 2003-03-17 2004-10-14 Unilever Home & Personal Care Usa, Division Of Conopco, Inc. Terpenoid fragrance components stabilized with malonic acid salts
US20040185073A1 (en) * 2003-03-17 2004-09-23 Unilever Home & Personal Care Usa, Division Of Conopco, Inc. Cosmetic compositions containing salts of malonic acid
US7015349B2 (en) 2003-03-26 2006-03-21 The Gillette Company Reduction of hair growth
US7618956B2 (en) 2005-05-31 2009-11-17 The Gillette Company Reduction of hair growth
US20070059264A1 (en) * 2005-09-13 2007-03-15 Ahluwalia Gurpreet S Reduction of hair growth
US20070203240A1 (en) * 2006-02-27 2007-08-3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Personal care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regulating mammalian hair growth
JP2010520852A (ja) * 2006-10-27 2010-06-17 ジュセッペ・トリジャンテ 除毛(脱毛)のための化合物と方法
GB0704599D0 (en) * 2007-03-09 2007-04-18 Reckitt Benckiser Uk Ltd Depilatory composition
BRPI0818476B1 (pt) * 2007-11-02 2016-05-24 Beiersdorf Ag redução da frequência de barbear.
CN102762185A (zh) * 2010-02-17 2012-10-31 宝洁公司 有效的脱毛剂制品
WO2011119557A2 (en) * 2010-03-26 2011-09-2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Kit and method for removing hair
ATE537808T1 (de) * 2010-03-26 2012-01-15 Procter & Gamble Verfahren zur depilation und depilierausrüstung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79537A (en) * 1973-09-04 1975-04-22 Scott Eugene J Van Treatment of ichthyosiform dermatoses
US4380549A (en) * 1975-07-23 1983-04-19 Scott Eugene J Van Topical treatment of dry skin
US4720489A (en) * 1984-10-15 1988-01-19 Douglas Shander Hair growth modification with ornithine decarboxylase inhibitors
AU1368888A (en) * 1987-04-23 1988-12-02 Upjohn Company, The Hair growth inhibition using substituted amidines or guanidines
US4933175A (en) * 1988-07-28 1990-06-12 De'jeuner, Inc. Process and product for preparing human nail strengthening composition
US5095007A (en) * 1990-10-24 1992-03-10 Ahluwalia Gurpreet S Alteration of rate and character of hair growth
US5158976A (en) * 1990-10-29 1992-10-27 The Children's Medical Center Corporation Controlling glutamine/glutamate related neuronal injur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532219A2 (en) 1993-03-17
JP2525315B2 (ja) 1996-08-21
EP0532219B1 (en) 1996-05-08
AU2211992A (en) 1993-03-11
CA2077144C (en) 1997-11-18
DE69210515T2 (de) 1996-11-07
AU666123B2 (en) 1996-02-01
ZA926719B (en) 1994-03-04
JPH05194163A (ja) 1993-08-03
EP0532219A3 (en) 1993-11-18
US5378455A (en) 1995-01-03
PH31037A (en) 1997-12-29
GB9118866D0 (en) 1991-10-23
BR9203450A (pt) 1993-04-06
ATE137665T1 (de) 1996-05-15
CA2077144A1 (en) 1993-03-05
TW221027B (ko) 1994-02-11
DE69210515D1 (de) 1996-06-13
KR930005608A (ko) 1993-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15950B1 (ko) 화장제 조성물
KR100736842B1 (ko) 에탄올아민 유도체 및 유기 금속 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890002021B1 (ko) 보습 로숀
EP0666729A1 (en) Cosmetic composition
US20050053563A1 (en) Stable compositions containing ethanolamine derivatives and glucosides
CA2031285A1 (en) Cosmetic composition
JP2001511185A (ja) スキンライトニング組成物
JPH0445486B2 (ko)
JP2006502962A (ja) ペルオキシドによる皮膚損傷を防止するための化粧用又は皮膚用製剤
US6255332B1 (en) Use of oxazolidinone derivatives as anti-penetrating agents in a cosmetic and/or dermatological composition
EP0713696B1 (fr) Produit pour application topique contenant une lipase et un precurseur d&#39;hydroxyacide
CA2100910A1 (en) Cosmetic composition
EP3616681A1 (en) Topical compositions comprising pichia anomala and retinol
AU2002256933A1 (en)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he treatment of seborrhea containing 4-hydroxy-5-methoxy-4-[2-methyl-3(3-methyl-2-butenyl)-2-oxiranyl]-1-oxaspiro[2,5]octan-6-one
ES2203716T3 (es) Uso de acidos carboxilicos portadores de una funcion de azufre para favorecer la desescamacion de la piel o estimular la renovacion.
US6271260B1 (en) Prevention/retardation of hair growth
JPH06279231A (ja) 化粧料
JPH11180851A (ja) 皮膚化粧料
JPH0665039A (ja) 化粧料
JP2000264833A (ja) 皮膚化粧料
FR3004641A1 (fr) Composition cosmetique comprenant un compose d&#39;acide cucurbique et une huile polaire (poly)oxyalkylenee
JPH01193205A (ja) 皮膚用の化粧品組成物
WO1999053892A1 (en) Depilatory compositions comprising chelating agents
JP2002087928A (ja) 化粧用保湿剤および化粧料
JPH09510228A (ja) ▲ざ▼蒼の処置および予防のためのegfまたはtgf−アルファの拮抗物質の使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119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