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15785B1 - 재성장에 의한 이종접합 계면 형성방법 및 그를 이용한 다이오드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재성장에 의한 이종접합 계면 형성방법 및 그를 이용한 다이오드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15785B1
KR960015785B1 KR1019920026888A KR920026888A KR960015785B1 KR 960015785 B1 KR960015785 B1 KR 960015785B1 KR 1019920026888 A KR1019920026888 A KR 1019920026888A KR 920026888 A KR920026888 A KR 920026888A KR 960015785 B1 KR960015785 B1 KR 9600157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epitaxial
interface
regrowth
ingaal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268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16958A (ko
Inventor
유순재
이두환
Original Assignee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김주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김주용 filed Critical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200268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15785B1/ko
Publication of KR9400169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69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157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578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8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ontrollable only by variation of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only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one or more of the electrodes carrying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scillated or switched
    • H01L29/861Di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Bipolar Transistor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재성장에 의한 이종접합 계면 형성방법 및 그를 이용한 다이오드 제조방법
제1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이오드 제조 공정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n-InGaAlP층 2 : u-InGaAlP층
3 : p-InGaAlP층 4, 7 : p-GaAs층
5 : SiO2층 6 : n-GaAs층
본 발명은 화합물 반도체의 다층 구조 에피택셜층(Epitaxial Layer)의 재성장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재성장에 의한 이종접합 계면 형성방법 및 그를 이용한 다이오드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합물 반도체 산업분야에서 각종 반도체 레이저 다이오드를 제작하는 경우 광전류의 특성을 갖는 에피택셜 적층 구조를 기판으로 사용하게 된다. 이 적층 구조 위에 여러 가지 공정을 처리하여 소자특성을 발휘하는 소자구조를 제작하게 되는데 특성향상이나 제작 효율을 높이는 방법의 일환으로 에피택셜 적층 구조 성장후 별도의 공정을 거친 다음 계면 재성장을 하게 된다.
종래의 이종접합 계면을 형성하기 위한 재성장 방법은 임의의 A재료를 성장시킨 후에[ 리소그라피(Lithography) 공정 및 식각 공정 등과 같은 일련의 반도체 제조 공정을 행한 다음, 노출된 A재료의 표면에 B재료를 성장시켜 왔다.
그러나, 상기 종래와 같은 방법은 A재료 표면이 공정중에 손상 및 오염되어 순수한 B재료를 성장시키기 어렵고, A, B재료 계면 상태를 급격하게 만들 수 없다. 특히 A재료가 알루미늄(Al)을 포함하는 화합물인 경우 알루미늄(Al)은 공기중에서 쉽게 산화되는 특성이 있어, A재료의 표면 손상 더욱 가중시키게 된다. 또한, B재료가 성장시키기 어려운 재료일 경우에는 A재료 표면 형태가 양호하지 못하게 되며 디스로케이션(Dislocation)이나 결정 결함이 필연적으로 따르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급격한 계면을 형성하되 안정된 결정성장을 이루어, 소자의 양호한 특성을 얻을 수 있는 재성장에 의한 이종접합 계면 형성방법 및 그를 이용한 다이오드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에피택셜 A층과 에피택셜 B층의 이종접합 계면을 재성장에 의해 형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에피택셜 A층을 성장한 후 제1에피택셜 B층을 공정의 중단없이 연속의 공정으로 성장하여 계면을 형성하는 단계 ; 소정의 공정을 수행하고, 상기 제1에피택셜 B층상에 제2에피택셜 B층을 재성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 제1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이오드 제조 공정도로서, InGaAlP 가시광 시스템의 적색 레이저 다이오드를 재성장 기술을 이용하여 MOCVD(Metal Organic Chemical Vapor Deposition)법으로 형성하는 방법이다.
먼저, 제1도(a)는 n-InGaAlP층(1)상에 불순물이 주입되지 않은 u-InGaAlP층(2)과 p-InGaAlP층(3)을 차례로 성장시키고 연이어 성장을 중지하지 않고 계면에 영향을 받지 않는 100Å 내지 600Å 두께의 p-GaAs층(4)을 한번의 공정으로 형성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제1도(b)는 상기 p-GaAs층(4)상에 마스크 물질인 SiO2층(5)을 증착하고 리소그라피 공정 및 식각 공정을 통해 패턴을 형성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제1도(c)는 상기 패턴한 SiO2층(5)을 식각장벽으로 하여 상기 p-GaAs(4)층을 선택식각하고, 그로 인해 노출된 p-InGaAlP층(3) 상부에 n-GaAs층(6)을 선택적으로 재성장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제1도(d)는 상기 잔류되어 남아 있는 SiO2층(5)을 제거하고 p-GaAs층(7)을 재성장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이때, p-GaAs층(7)은 1차 성장한 p-GaAs층(4)과 동일한 재질로써, 2차 성장한 p-GaAs층(7)과 p-InGaAlP층(3) 사이의 계면 특성을 향상시킨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급격한 계면을 필요로 하는 재성장 단계에서 발생하게 되는 표면 오염, 기계적 또는 화학적 손상으로 인한 급격한 계면 재성장 형성 불가 등을 극복할 수 있고, 계면에서 발생되는 소자의 특성저하 및 누설전류를 감소시켜, 특히 Ⅲ-Ⅴ족 화합물 반도체의 소자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에피택셜 A층과 에피택셜 B층의 이종접합 계면을 재성장에 의해 형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에피택셜 A층을 성장한 후 제1에피택셜 B층을 공정의 중단없이 연속의 공정으로 성장하여 계면을 형성하는 단계 ; 소정의 공정을 수행하고, 상기 제1에피택셜 B층상에서 제2에피택셜 B층을 재성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성장에 의한 이종접합 계면 형성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에피택셜 B층을 100Å 내지 600Å 두께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성장에 의한 이종접합 계면 형성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피택셜 A층, 제1 및 제2에피택셜 B층은 Ⅲ-Ⅴ족 화합물 반도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성장에 의한 이종접합 계면 형성방법.
  4. 재성장에 의한 이종접합 계면을 갖는 다이오드 제조방법에 있어서 ; 에피택셜 A층을 성장시키고, 상기 에피택셜 A층과 동일한 도정현의 제1에피택셜 B층을 공정의 중단없이 연이어 소정두께로 재성장하여 계면을 형성하는 단계 ; 상기 제1에피택셜 B층상에 마스크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 상기 마스크 패턴을 식각장벽으로 상기 제1에피택셜 B층을 선택식각하는 단계 ; 상기 제1에피택셜 B층의 선택식각으로 인하여 노출된 에피택셜 A층상에 상기 제1에피택셜 B층과 다른 도전형의 에피택셜 C층을 재성장하는 단계 ; 상기 마스크 패턴을 제거하는 단계 ; 상기 마스크 패턴 제거로 인하여 노출된 상기 제1에피택셜 B층상에 제2에피택셜 B층을 재성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오드 제조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에피택셜 A층은 p-InGaAlP층이고, 상기 제1 및 제2에피택셜 B층은 p-GaAs층이고, 상기 에피택셜 C층은 n-GaAs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오드 제조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에피택셜 A층은 n-InGaAlP층과 u(비도핑된)-InGaAlP층 그리고 p-InGaAlP층이 차례로 적층된 구조의 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오드 제조방법.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재성장은 MOCVD 방식에 의해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오드 제조방법.
KR1019920026888A 1992-12-30 1992-12-30 재성장에 의한 이종접합 계면 형성방법 및 그를 이용한 다이오드 제조방법 KR9600157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26888A KR960015785B1 (ko) 1992-12-30 1992-12-30 재성장에 의한 이종접합 계면 형성방법 및 그를 이용한 다이오드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26888A KR960015785B1 (ko) 1992-12-30 1992-12-30 재성장에 의한 이종접합 계면 형성방법 및 그를 이용한 다이오드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6958A KR940016958A (ko) 1994-07-25
KR960015785B1 true KR960015785B1 (ko) 1996-11-21

Family

ID=193480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26888A KR960015785B1 (ko) 1992-12-30 1992-12-30 재성장에 의한 이종접합 계면 형성방법 및 그를 이용한 다이오드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1578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6958A (ko) 1994-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00104A (en) Method for fabricating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bodies
US6156584A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US5424243A (en) Method of making a compound semiconductor crystal-on-substrate structure
JPH1051030A (ja) 3族窒化物半導体発光素子
US5508225A (en) Method for manufacturing semiconductor visible laser diode
JPH11274082A (ja) Iii 族窒化物半導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およびiii 族窒化物半導体装置
JP4315744B2 (ja) 積層体及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2001102668A (ja) 半導体基板の製造方法
KR960015785B1 (ko) 재성장에 의한 이종접합 계면 형성방법 및 그를 이용한 다이오드 제조방법
JP3792041B2 (ja) 半導体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2057142A (ja) 化合物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H1041585A (ja) 3族窒化物半導体レーザダイオードの製造方法
KR100359739B1 (ko) 이종 단결정박막의 접합 및 덧성장방법
JP3089732B2 (ja) 化合物半導体のエピタキシャル成長方法
JPH0434920A (ja) 異種基板上への3―v族化合物半導体のヘテロエピタキシャル成長法
JP2002151409A (ja) 半導体装置及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2000058454A (ja) 横方向エピタキシャル成長用マスクの形成方法および横方向エピタキシャル成長方法
JP3055264B2 (ja) 半導体素子の製造方法
JPH05267175A (ja) 化合物半導体基板
JPH0590612A (ja) 半導体細線形成方法
JP3188931B2 (ja) 薄膜成長方法
JPH05275356A (ja) Iii−v族化合物半導体薄膜選択成長形成用マスク及びそれを用いたiii−v族化合物半導体薄膜選択成長形成法
JP2001274517A (ja) 半導体素子用基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半導体素子用基板を用いた半導体素子
JP3349324B2 (ja) GaN系化合物半導体のエピタキシャル成長方法
KR0146712B1 (ko) 표면방출 레이저 다이오드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24

Year of fee payment: 16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