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15079B1 - 곡물탱크의 교반장치 - Google Patents

곡물탱크의 교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15079B1
KR960015079B1 KR1019930025447A KR930025447A KR960015079B1 KR 960015079 B1 KR960015079 B1 KR 960015079B1 KR 1019930025447 A KR1019930025447 A KR 1019930025447A KR 930025447 A KR930025447 A KR 930025447A KR 960015079 B1 KR960015079 B1 KR 9600150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gie
grain
drive mechanism
driving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254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10909A (ko
Inventor
사또루 아까다
세쓰오 사까끼
사또시 우스이
Original Assignee
호오고꾸 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가나야 도시무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31727792A external-priority patent/JP3246967B2/ja
Priority claimed from JP19729993A external-priority patent/JP3246982B2/ja
Application filed by 호오고꾸 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가나야 도시무네 filed Critical 호오고꾸 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9400109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09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150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507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2/00Parts or details of threshing apparatus
    • A01F12/60Grain tank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25/00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Hanging-up harvested fru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05Stirr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 Storage Of Harvested Produce (AREA)
  • Filling Or Emptying Of Bunkers, Hoppers, And Tank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곡물탱크의 교반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곡물탱크의 교반장치의 일실시예의 사시도.
제2도는 실시예의 교반장치가 설비된 곡물탱크를 나타낸 사시도.
제3도는 실시예의 교반장치의 좌측면도(제1도의 화살표(A)방향에서 본).
제4도는 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하는데 유용한 부분우측면도(제1도의 화살표(B)방향에서 본).
제5도는 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하는데 유용한 부분우측면도(제1도의 화살표(B)방향에서 본).
제6도는 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하는데 유용한 부분우측면도(제1도의 화살표(B)방향에서 본).
제7도는 교반장치의 실시예의 구성과 동작을 설명하는데 유용한 정면도.
제8도는 실시예의 경사검출수단의 구성을 설명하는데 유용한 도면.
제9도는 실시예의 경사검출수단의 동작을 설명하는데 유용한 도면.
제10도는 실시예이 경사검출수단을 구성하는 수은스위치의 동작을 설명하는데 유용한 도면.
제11도는 실시예의 제어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제12도는 실시예의 오거(augers)의 이동패턴의 예를 설명하는 도면.
제13도는 실시예에 있어서 대차가 측벽근방에 있을때의 오거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
제14도는 실시예에 있어서 대차가 측벽들간에 멈춰있게 되었을때의 오거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
제15도는 실시예에 있어서 상대 차륜변위 검출수단의 구성과 동작을 설명하는 개략도.
제16도는 주행구동기구등에 발생되는 고장 및 오동작에 대한 대책용으로 사용하는 감지수단(리미트스위치)과 작동수단(작동핀)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도면.
제17도는 실시예에 있어서 주행구동기구의 고장과 오동작에 대한 대책용 제어프로그램의 일예를 나타낸 플로우챠트.
제18도는 실시예에 있어서 주행구동기구의 고장과 오동작에 대한 대책의 다른예를 설명하는데 유용한 교반장치의 개략평면도.
제19도는 제18도의 실시예에 있어서 감지수단(인덱스 정지스위치)과 작동수단(작동핀)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도면.
제20도는 제18도의 실시예에 있어서 주행구동기구의 고장 및 오동작에 대한 대책을 위한 제어프로그램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
제21도는 제2주행구동기구의 고장을 검지하는 수단의 일예를 설명하는데 유용한 도면.
본 발명은 4각빈(sguar bin)이라고 칭하는 4각형 곡물탱크내에 저장된 곡물을 균일하게 수직교반가능한 교반기를 갖는 교반장치에 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저장된 곡물이 탱크내에서 직교되는 2방향으로 동시에 또는 선택적으로 왕복이동하는 교반기에 의해서 교반하는 교반장치에 관한 것이다.
곡물들 특히 쌀, 보리 또는 밀을 품질을 유지하여 맛등의 저하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소정의 수분을 갖도록까지 건조하여 저류 및 저장하는 것이 요구된다. 이때문에 많은 처리장비가 제안되어 이용되고 각종 곡물탱크가 사용되고 있다.
곡물탱크중에서도 비교적 적은 용량의 4각 곡물탱크가 단지 예비건조 또는 단지 1차 탱크로써 사용되었으나 최근 비교적 소용량의 4각 탱크로 주건조능의 처리도 행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규칙적으로 저장된 곡물을 균일하게 교반할 수 있는 교반장치를 곡물탱크내에 설비하는 것이 강하게 요구되어 왔다.
이와 같은 요구에 응하기 위하여 본원의 출원인은 앞서 4각 곡물탱크에 적합한 교반장치를 제안하였다.
이 교반장치에 있어서 저장된 곡물을 균일하게 수직교반 가능한 오거(오거스크류)라고 칭하는 교반구가 4각 곡물탱크내에서 교차된느 2방향으로 동시에 또는 선택적으로 왕복이동하고 이 교반장치가 기본적으로 4각 곡물탱크의 좌우측벽을 교락하여 (다리놓아)두 측벽위를 주행 가능하게 탑재된 제1대차, 제1대차위에 횡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탑재되어 있는 제2대차, 제2대차에 매달려서 곡물탱크내에 삽입되어 회전가능한 교반구, 4각 곡물탱크의 전후 측벽들을 가로질러 제1대차를 왕복 이동시키는 제1주행구동기구 및 좌우측벽들을 가로질런 제2대차를 왕복이동시키는 제2주행구동기구를 구비하고 전형적으로 이 교반장치는 무인 자동운전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교반장치를 실제로 4각 곡물탱크내에 설치하고 실험을 행하여 주행중에 대차가 탈선되거나 평면도에서 볼 수 있는 것과 경사짐으로 인하여 불규칙적으로 주행하는 등의 불편이 자주 발생함을 알았다.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차륜을 갖는 제1대차는 좌우측벽들위에 놓인 레일들의 위를 구조적으로 이들 두측벽들을 교락하여 전후 측벽들을 가로질러 주행한다. 통상의 대차에 비해서 전후방향의 길이보다도 훨씬 긴 좌우방향의 길이(대차폭)를 갖고 있다. 예를 들면 제1대차용 주행구동기구로써 탱크의 좌우측벽들의 각각에 체인형 동력 전달장치가 설비되어 제1대차가 아암에 의해서 이 체인과 연결되고 체인의 회전(순환이동)에 의해서 끌리는 견인형이 채용되거나 또는 동력원이 제1대차에 탑재되어 있고 차륜들이 이 동력원에 의해서 구동되는 자기주행형(self-running type)이 채용된다. 어느형에 있어서도 좌우차륜들이 동일속도로 회전하여야 한다.
그러나 제2대차는 제1대차위에 탑재되어 횡방향으로 이동하고 교반구와 함께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제2대차가 제1대차의 좌측단 가까이 위치될 경우 저장된 곡물에 의해서 교반구에 가해지는 저항은 제1대차의 좌측단에 가해지게 편중된다. 제1대차의 좌우측중의 어느 한쪽에 편중되는 외력이 가해지면 좌우차륜중의 한쪽 차륜이 크게 미끌린다. 좌우측의 차륜의 회전속도가 다르고 좌우측의 체인들이 상이한 량으로 느슨해지고 최악의 경우에는 차륜으로의 동력전달기구가 파손되거나 체인이 절단된다. 그 결과 좌우 차륜간에서 주행위치에 큰 상대변위가 생긴다. 다시말하면 좌우차륜들중의 한쪽 차륜이 앞서서 다른쪽 차륜을 뒤지게하여 제1대차가 평면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후방향으로 크게 경사져 비정상적으로 주행하거나 또는 제1대차가 탈선되어 대차전체가 탱크내로 낙하한다.
바람직하지 않게 대차의 탈선이 발생된 경우에 대체로 장치가 정지되고 탱크밖으로 저장된 곡물을 옮긴 후에 귀찮은 수리작업을 하지 않으면 않되고 이외에도 저장된 곡물이 오일등과 혼합되어 그 상품가를 저하시키기 쉽다. 또한 장시간동안 저장곡물이 교반되지 않은채 방치되고 그 기간중에 저장된 곡물의 건조가 진행되지 않아 저장된 곡물의 품질이 상당히 저하된다.
상기 문제점들 이외에도 주행 구동기구를 구성하는 부재에 고장이 생길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말하면 예를 들어 동력원으로 작용하는 전동기, 동력을 전달하는 체인(대차견인을 위하여) 및 체인과 대차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로 구성되고 교반구를 탱크의 전후방향 및 좌우방향으로 왕복이동시키는 제1 및 제2주행구동기구들의 부재들을 탱크내에 삽입하여 그 안에서 회전하는 교반구에 작용하는 저장된 곡물에 의한 저항이 가해져서 이들 부재들에 예를 들어 동력전달용 벨트 또는 체인 또는 연결부재의 절단 및 전동기의 소손등의 고장이 생길 수 있다.
상기 고장의 발생시에 탱크내로 대차가 낙하하여 부품을 파손시키고 저장된 곡물에 오일이 혼합된다는 문제들이 생긴다. 또 본원 출원인에 의한 일본국 특허출원평 4-295189호 및 특허출원평 4-315155호에 개시된 교반장치에 있어서는 제1주행구동기구의 대차주행을 위하여 사용되는 동력의 일부가 제2대차의 횡방향이동을 위한 동력으로도 사용되도록 제2주행구동기구로 전달된다. 그리하여 제1주행구동기구에 발생한 고장은 제1대차뿐만 아니라 제2대차까지도 정지시켜 교반구의 이동을 전적으로 불가능하게 하여 그결과로 탱크내의 특정부에 놓인 곡물만 교반될 수 있고 남은 대부분의 곡물이 장시간 교반되지 않은채로 방치되어 저장된 곡물의 건조가 진행되지 않아 저장된 곡물의 품질을 크게 저하시키게 된다.
상기 문제점에 더하여 전술한 일본국 특허출원평 4-315155호에 기재된 교반장치에서는 하기 문제점들이 생긴다. 제2대차와 제2대차가 탑재된 제1대차의 본체와 함께 교반구가 예를 들면 제1대차의 주행방향의 제1대차의 차륜체에 대해서 상대 용동을 할 수 있다.
수은스위치들을 포함한 경사검출수단이 설비되어 교반구가 연직면에 대해서 소정의 각도 이상 경사진것뿐만 아니라 경사진 교반구가 연직면에 연하여 그 자세를 복귀하는 것을 검출하고 이 검출수단으로부터 얻은 신호에 따라서 즉 연직면에 대해서 교반구의 경사가 소정각 이상일때에 제1 및 제2대차의 주행을 정지시키고 연직면에 연하여 교반구의 자세가 복구됨을 검출할때에 제1 및 제2대차를 다시 주행시킨다.
더 구체적으로 말하면 수은스위치들을 포함하는 경사검출수단에 오동작이 생긴 경우에 특히 연직면에 대하여 소정각 이상의 교반구의 경사에 응답하여 오동작이 생긴 경우에 경사도 검출수단은 예를 들어 "ON"상태로부터 "OFF"상태로 절환하여 대차의 주행이 정지될때까지 정상동작을 하게 한다. 그러나 그후에 교반구가 연직면에 연하여 그 자세를 복구되었을때에도 경사도 검출수단을 "OFF"상태로 남아있어 "ON"상태로 복구되지 않아 대차가 정치된채로 있어 교반구가 이동되지 않게 한다. 그결과 주행구동기구의 고장시와 같이 탱크내의 대부분의 저장된 곡물이 장시간동안 교반되지 않은채로 방치되어 저장된 곡물의 품질을 크게 저하시킨다.
주행 구동시스템의 고장발생여부 즉 전동기가 회전하고 있는지 또는 동력전달용체인이 절단되었는지의 여부는 직접 검출함으로써 비교적 용이하게 처리할 수 있으나 경사도 검출수단의 오동작으로 인하여 장시간동안 정지하게 되는 고장은 검출하기 어렵다. 그리고 이에 대한 효과적인 대책은 취해지지 않고 있었다.
상기 문제점들에 비추어 본 발명의 목적은 제1대차와 교반구를 장착한 제2대차를 교차되는 2방향으로 동시에 또는 선택적으로 왕복이동하고 대차의 좌우차륜간에 탈선을 가져오는 대단히 큰 주행위치의 큰 상대 변위발생전에 적합한 대책을 취할 수 있고 대차의 주행구동기구뿐만 아니라 경사도 검출기구에 고장 및 오동작이 생긴 경우에 이 고장과 오동작이 합리적으로 지속적으로 검출될 수 있고 경보등을 하는 등 고장에 대한 조치를 자동적으로 취하여 장시간동안 저장된 곡물이 교반되지 않은채 방치되는 상태를 방지할 수 있어 장치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탱크내에 저장된 곡물을 교반하기 위한 곡물탱크의 교반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곡물탱크의 교반장치는 기본적으로 하기 구성을 갖는다.
4각 곡물탱크의 좌우측벽들을 교락하여 주행이 가능하도록 이 두측벽들위에 탑재된 제1대차, 횡방향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제1대차위에 탑재된 제2대차, 제2대차에 매달려 회전가능하게 곡물탱크내에 연직으로 삽입된 교반구, 곡물탱크의 전후측벽들간을 제1대차를 왕복시키는 제1주행구동기구 및 좌우측벽들간을 제2대차를 왕복시키는 제2주행구동기구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기본구성에는 하기의 신규구성이 추가되어 구체적으로 말하면 (1) 제1대차의 좌우차륜간에 소정치를 초과할 주행위치의 상대변위를 검출하는 상대 차륜변위 검출수단을 포함하고, 이 검출수단에서 생성되는 신호에 따라서 소정의 안전조치가 취해지는 본 발명의 제1태양에 의한 교반구, 상기 구성에 있어서 안전조치로는 경보를 발하거나 적어도 제1대차를 정지시키는 것이고 특히 야간에 무인운전이 진행되므로 기계실에만 있는 경보기는 불충분하다. 따라서 경보장치등을 주거처에 설치하여 취침중인 관리인에게도 장치의 이상을 알리게 한다.
(2) 본 발명의 제2태양에 의한 교반장치에 있어서는 적어도 제1 및 제2대차가 소정시간이상 정지되어 있는 것을 검출하여 경보를 발하는 고장에 대한 대책이 취해진다.
구체적인 예로는 ① 곡물탱크상에 설치된 제1검출지점 또는 별개로 설치된 제2검출지점에 제1주행구동기구에 의해서 왕복되는 제1대차가 제1검출점을 통과한 후에 사전설정시간이상 경과해도 도착하지 않은것이 검출될때에 고장에 대한 대책이 취해지고 또는 ② 제1주행구동기구의 대차주행용 동력의 일부가 제2대차의 횡방향의 이동을 위한 동력으로 사용되도록 제2주행구동기구로 전달되는 경우에 제1대차상에 설치된 제1검출지검 또는 제1대차상에 별개로 설치된 제2검출지점에 제2대차가 제1검출점을 통과한 후에 제1검출점으로부터 사전 설정시간이상이 경과해도 도착되지 않음이 검출될때에 경보를 발하는 고장에 대한 대책이 취해진다.
본 발명의 제1태양의 교반장치에 있어서 상대 차륜변위 검출수단이 제1대차의 좌우차륜들간의 주행위치의 상대변위가 소정치를 초과한 것을 검출하고 다시말하면 좌우차륜중의 한쪽 차륜이 앞서서 다른쪽 차륜을 뒤지게 하여 평면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대차가 전후방향으로 크게 경사지고 상대 차륜변위 검출수단으로부터 신호가 제어부등으로 공급되어 경보등을 점등시키거나 경보부저를 울리거나 대차 또느 교반구를 정지시키는 소정의 안전조치가 취해진다.
이에 의해서 대차의 탈선과 같은 불편이 방지될 수 있고 그 결과 장치의 신뢰도가 향상될 수 있고 정비비용등이 절감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태양의 교반장치의 동작을 예를 참조하여 이하에 설명하겠다. 제1주행구동기구의 대차 주행용 전력의 일부가 제2주행구동기구로 전달되어 제2대차의 횡방향이동을 동력으로 사용된다.
교반장치에 있어서 제1주행구동기구, 제2주행구동기구 및 경사검출기구에 고장 및 오동작이 발생되지 않은 경우에 제2대차가 검출지점을 통과한 후에 다시 그점(검출지점)으로 되돌아오는데 소요되는 시간 또는 제2대차가 검출지점을 떠나 다른 검출지점에 도착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약간 불규칙하지만 일정시간내가 된다.
이점을 고려하여 최대 소요시간의 2~3배로 긴 시간이 제어부에 사전설정시간으로써 기억되어 있다.
예를 들면 제2대차가 어느 검출지점을 통과한 후에 다른 검출지점으로 돌아가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약 10~20분인 경우에 사전 설정시간은 40~50분이다. 약 반날~하루동안 수분을 함유한 저장된 곡물이 교반되지 않은채 방치되면 저장된 곡물의 품질은 악화되기 시작한다. 그러나 약 1~2시간 교반하지 않은채 저장된 곡물을 방치하는 것은 문제가 되지 않는다.
제2대차가 4각 탱크에 설치된 검출지점들중의 하나에 도착할때 이 제2대차에 설비된 감지수단(스위치 또는 수광부)의 동작상태는 제1대차에 설비된 작동수단(작동핀 또는 발광부)에 의해서 예를 들어 "OFF"상태에서 "ON"상태로 절환된다. 그리고 제어부에 설비된 타이머가 감지수단에서 생성된 신호에 의해서 기동되어 그 이후의 경과시간을 측정한다.
마찬가지로 제2대차가 다음 검출지점(동일 검출지점에 되돌아가는 것도 포함)에 도착할 때에 감지수단의 동작상태가 감지수단에서 생성된 신호에 의해서 절환된다. 타이머등으로 측정했던 이전의 경과시간이 리세트되고 새롭게 기동되어 그후부터의 경과시간을 측정한다.
이 경우에 제2대차가 정상으로 주행될때에 다시말해서 제1주행구동기구, 제2주행기구 및 경사검출기구에 고장 및 오동작이 발생되지 않았을때에 제2대차가 인접하는 검출지점들간을 공간을 거쳐서 이동하는 시간은 제어부에 기억된 사전설정시간보다도 짧다. 따라서 통상의 교반작업이 자동적으로 계속된다. 이에 대해서 제1주행구동기구와 경사검출기구에 고장 및 오동작이 발생한 경우에는 제1대차뿐만 아니라 제2대차가 장시간동안 정지되고 그 이외에도 제2주행구동기구에만 고장이 발생한 경우에는 제1대차는 주행할 수 있으나 제2대차가 정지된채로 있어 제2대차가 하나의 검출지점을 통과한 후의 타이머에 의해서 측정된 시간이 사전설정시간을 초과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교반장치에 있어서는 경과시간이 사전설정시간을 초과할때에 경보를 발하는등의 고장에 대한 대책이 취해진다. 이렇게하여 관리자로 하여금 고장난 결함동작 부분들을 즉시 수리하여 교반구가 회전하면서 대차들이 주행하는 교반작업을 다시 행할 수 있다. 제1주행구동기구의 대차주행용 동력의 일부가 제2대차의 횡방향이동동력으로 사용되는 교반장치의 제1주행구동기구 및 경사검출수단은 물론 제2주행구동기구에 고장 및 오동작이 발생할때에도 제2대차가 소정시간이상 정지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검출함으로써 합리적이고 지속적으로 고장 및 오동작을 검출할 수 있다. 그결과 저장된 곡물이 장시간동안 교반되지 않은 채 방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서 장치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 설명에 있어서 본 발명에 의한 곡물탱크의 교반장치의 일실시예의 기본구성과 동작 및 효과들(실질적으로 전술한 일본국 특허원평 4-315155호와 동일)을 먼저 차례로 설명한 후에 상대 차륜변위에 대한 대책들 및 주행구동기구의 고장 및 오동작에 대한 대책등을 설명하겠다.
[1] 기본구성 : 제1~7도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곡물탱크의 교반장치의 일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참조번호 100으로 나타낸 교반장치는 제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4각 횡단면(길이와 폭을 각각 약 4m로함)의 4각 곡물탱크(1)에 설치되고, 곡물탱크(1)는 전후측벽들(3,2), 좌우측벽들(4,5)(격벽들) 및 하부벽(6)으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세망재료(fine mesh material)로 형성된 하부벽(6)은 곡물배출구(8)를 형성하며, 또한 도시안된 수많은 미세통풍공 또는 통풍구들을 형성한다. 이 통풍공들은 곡물배출구(8)로 지향된 건조가스(공기등)를 송풍시킬 수 있어 곡물배출시 기류의 영향하에서 배출구(8)로 곡물이 수집 방출될 수 있다.
교반장치(100)는 쌍으로 된 차륜들(10a)이 각각 장착된 양단부들을 갖는 협폭 프레임형의 제1대차(10)를 갖는다. 제1대차(10)는 좌우측벽들(4,5)을 교락하고(다리를 놓고) 또한 레일들(14,15)상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측벽들(4,5)상에 배치된 장방형으로된 레일을 설비한 프레임(12)형태로 좌우레일쌍(14,15)위에 탑재된다. 제1대차(10)에서, 제7도의 정면도에서 가장 잘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한쌍의 차륜(10a)이 각각 장치된 한쌍의 L형 좌우 차륜 지지체(10f)가 좌우측 단부들에 설비되고, 지지벽들(10d)이 본체(10A)의 양단부들에 설비되고, 또한 후술되는 스프로켓휠(sproker wheel)(53,54)의 회전축(53a,54a)은 지지벽(10d)과 차륜 지지체(10f)내에 구비된 베아링(75,76)에 각각 삽입됨으로써 제1대차(10)의 본체(10A) 전체가 회전축들(53a,54a)을 지지축들로하여 주행방향으로 굴러갈 수 있다.
제1도의 부호들(81,82)로 표시한 선 지지체들과 부호(85) 로 표시한 선은 후술하는 상대 차륜변위에 대한 대책을 위하여 설비되어 있고 이들은 이하에 참조될 제3~6도 및 제8도, 제9도에는 생략했다.
한쌍의 전후레일들(18.19)은 제1대차(10)상에 설비되고, 제2대차는 레일(18,19)상에 탑재되어 이동할 수 있다. 이동방향에서 볼때 제2대차(20)의 양단 부근에는 서로 대향하여 한쌍의 차륜(20a,20a)이 설비되고 양단 가까이 탱크(1)내에서 곡물을 수직방향으로 교반하기 위한 2개의 오거(23,24)가 배치된다. 오거들(23,24)은 곡물탱크(1)내에 수직으로 자연스럽게 현수되도록 제2대차(20)의 보디 프레임(17)(제3도)에 배치된 베아링(17a)에 보지되어 있고 제2대차(20)상에 탑재된 교반용 모터들(21,22)에 의해 벨트/풀리(belt/pully)동력전달기구(28,29)를 거쳐서 회전구동될 수 있다.
[2] 주행구동기구 : 제1~7도
그다음, 본 실시예에는 곡물탱크(1)의 전후측벽돌(3,2)을 가로질러 제1대차(10)를 왕복이동시키기 위한 제1주행구동기구(30)와 좌우측벽들(4,5)를 가로질러 제2대차(20)를 왕복이동시키기 위한 제2주행구동기구(40)가 구비되어 있다.
제1주행구동기구(30)는 곡물탱크(1)의 좌측벽(4)의 양단 상부코너들에 배치된 한쌍의 스프로켓휠(31A,32A)과 상기 스프로켓휠상에 장착한 전후회전(순환이동)되는 무한체인(33)을 포함하며 프레임(12)에 대해 설비되는 좌측 래핑트랜스미숀부(30A)와, 체인형 동력전달기구(49)를 거쳐서 래핑트랜스미숀부(30A)를 구동시키기 위한 기어모터(36)와, 곡물탱크(1)의 좌측벽(5)의 양단 코너들에 배치된 한쌍의 스프로켓휠(31B,32B)과 상기 스프로켓휠상에 장착한 전후회전(순환이동)되는 무한환형체인(34)을 포함하며 프레임(12)에 대해 설비되는 우측 래핑트랜스미숀부(30B)와, 좌우스프로켓휠(32A,32B)을 결합하기 위한 구동축(48)과, 주행체인들(33,34)을 제1대차(10)의 양단에 연결하기 위한 제1회동아암들(45,46)로 구성된다.
제1회동아암들(45,46)은 동일하게 구성되며, 또한 좌측(제1도에서 화살표 A방향에서 볼때)을 나타내는 제3도와 우측(제1도에서 화살표 B방향에서 볼때)을 나타내는 제4도에서 가장 잘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회동아암들 각각은 그의 일단 가까이 긴 구멍(42)을 갖고 있으며 또한 제1대차(10)에 고정된 핀(44)이 긴구멍(42)내에 느슨하게 삽입되어 있고 또한 다른단은 핀(47)에 의해 주행체인(33,34)의 특정부위에 상대적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각각의 제1회동아암은 지점으로서 작용하는 핀(44)둘레를 회전할 수 있고 또한 핀(44)에 의해 안내되면서 세로방향으로 미끌여갈 수 있다.
주행체인(33,34)의 각각은 체인가이드(73)에 의해 그의 상반부(전진부분)에 지지안내되고 또한 일정한 장력을 얻기 위해 후술하는 아이들러(idler)로서 작용하는 스프로켓휠(54) 또는 동력 취출용 스프로켓(53)과 제1대차(10)의 전술한 차륜 지지체상에 회전가능하게 장치되는 아이들러(38,39)상에 장착된다.
한편, 상기한 제7도에 가장 잘 나타낸 것과 같이 제2주행구동기구(40)는 주행체인(33)에 대한 상대속도차에 따라 회전되도록 제1대차(10)의 좌측 단부의 지지벽(10d)과 차륜 지지체(10f)를 통과하는 회전축(53a)(회전축53a)(제8 및 9도 참조)은 전술한 바와같이 본체(10A)를 지지하는 축으로서 작용함)에 고정되며 또한 좌측 주행체인(33)과 맞물리는 스포로켓휠(53)과, 조인트를 거쳐서 스프로켓휠(53)에 연결되는 입력축(55)와 이 입력축(55)으로부터 전달되는 회전력을 받으며 또한 제1대차(10)의 좌단에 배치되는 시이트(10c)상에 위치되는 출력축(56)를 갖는 감속용 기어박스(57)와, 출력축(56)에 고정된 스프로켓휠(51), 제1대차(10)에 장착된 브라켓(10e)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스프로켓휠들(52,59) 및 곡물탱크(1)의 좌우방향으로 회전(순환이동)하도록 스프로켓휠들(51,52,59)에 가해진 횡방향 이동을 위한 무한체인(58)을 포함하는 제2래핑트랜스미숀부(40A)와, 일단이 제2대차(20)의 격벽안내판(67)에 상대적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다른 단이 횡방향 이동용체인(58)의 특정부위에 상대적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회동아암(65)으로 구성된다.
제2대차(20)에서는 격벽 안내판(67)이 제2회동암(65)과 횡방향 이동용체인(58)간에 개재되어 있고, 제2회동아암(65)의 중심부 근처로부터 돌출된 핀(68)이 제2회동아암(65)내에 형성된 활모양의 긴구멍(69)내에 삽입되어 있다. 긴구멍(69)는 제2회동아암(65)을 제2대차(20)에 연결하는 지점 둘레에서 제2회동아암(65)의 수직요동을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3] 경사검출수단 : 제8도~11도
상기 기본구성이외에도, 본 실시예의 교반장치(100)는 대차의 경사를 검출하기 위한 수단인 제1대차(10)의 본체(10A)상에 탑재된 제2대차(20)상에 설비되는 경사검출기구(60)를 포함한다. 제7, 8 및 9도에 가장 잘 나타낸 바와 같이, 경사검출기구(60)는 제2대차(20)의 폭을 교락하는 결합판에 볼트들(63a,63b)에 의해 고정되는 한쌍의 수은스위치들(61,62)을 포함한다. 각각의 수은스위치들(61,62)은 2풀(pool)(61A,61B 또는 62A,62B)로서 작용하는 스커트(skirt)을 갖는 저면이 안쪽으로 오목한 낮은 언덕형태를 취하는 용기(66A 또는 66B)를 갖고 있다(제10도에서는 수은스위치(62)를 대표적으로 나타냄). 용기들(66A,66B)은 그들의 양단부들이 아래로 경사져서 용기를 수평면에 대해 약간 기울은 자세를 취하는 식으로 제1대차(10)의 본체(10A)의 요동축으로서 작용하는 스프로켓휠들(53,54)의 회전축들(53a,54a)의 중심을 통과하는 연직면(g)에 대칭으로 배치된다. 따라서 용기들(66A,66B)에는 수은(64)이 풀들(61A,62A)내에 낮게 담겨있다.
들어있는 수은(64)의 측면과 접촉하도록 제1전극들(61a,62a)이 설비되어 있고, 또한 수은(64)의 바닥과 접촉하도록 제2전극들(61b,62b)이 제1전극들(61a,62a)로부터 각각 격리되어 있다.
수은스위치(61 또는 62)에서는 오거(23,24)가 수직으로 현수될때, 풀(62A)또는 (61A)이 풀(62B)보다 약간 낮게 위치되어 제10A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풀(62a)내에 수은(64)이 담겨있으며, 이 상태가 오거(23,24)가 장치된 제2대차(20)를 탑재하는 제1대차(10)의 전체 본체(10A)의 연직면(g)에 대한 용기(66A 또는 66B)의 경사각(흔들림)(θ)이 제10D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정값을 초과하면 수은이 풀(62A 또는 61A)로부터 풀(62B 또는 61B)로 이동하여 전극들(62a,62b 또는 61a,61b)이 전기적으로 차단(OFF)된다. 전극간의 차단은 오거(23,24)를 포함하는 제1대차(10)의 본체(10A)가 제10E, 10F 및 10A도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연직상태를 다시 회복할때까지 계속된다.
[4] 제어장치 : 제11도
제11도에 개략적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수은스위치들(61,62)의 제1전극들(61a,62a)은 배선(69a,69b)을 거쳐서 대차 주행용 모터(36)와 오거들(23,24)의 구동용 모터들(21,22)에 동력을 공급하는 제어부(50)에 접속되어 있고, 제2전극들(61b,62b)은 배선(69c)에 의해 상호 접속되어 있다. 다시말해, 이러한 접속형은 동력원을 포함하는 제어부(50)와 수은스위치들(61,62)을 직렬로 접속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수은스위치들(61,62)이 모두 ON되면 제어부(50)로부터의 신호(전류)는 차례로 배선(69a), 수은스위치(61)의 제1전극(61a), 용기(66A)내의 수은(64), 수은스위치(61)의 제2전극(61b), 배선(69c), 제2전극(62b), 용기(66B)내의 수은(64), 수은스위치(62)의 제1전극(62a) 및 배선(69b)를 거쳐서 흐르고, 수은스위치들(61,62)중 적어도 하나가 OFF되면, 상기 신호전류는 중단된다.
수은스위치들(61,62)은 수평면에 대해 약간 경사진 자세를 취하면서 결합판(63)에 장치되며, 결합각도는 볼트(63a,63b)를 풀어 용기들(66A,66B)를 돌려줌으로써 원하는대로 변경할 수 있으므로 수은스위치들(61,62)을 ON상태에서 OFF상태로 전환하는데 필요한 경사각(θ)과 OFF상태에서 ON상태로 회복하는데 필요한 경사각을 원하는대로 설정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수은스위치들(61,62)을 포함하는 경사검출기구(60)로부터 얻은 ON-OFF신호에 따라 제어부(50)는 대차이동용모터(36)에 전원공급을 선택적으로 공급 및 차단한다.
[5] 동작 : 제1~7도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교반장치(100)를 설정할때에, 제1대차(10)는 예를 들어 후측벽(2)에 가까운 위치로 또한 제2캐리지(20)는 예를 들어 제1캐리지(10)이 최좌단으로 부쳐서 체인(33)과 연관된 제1회동아암(45)의 선회부분은 예를 들어 스프로켓휠들(32A,32B)부근의 측단부에 위치되며, 체인(58)과 연관된 제2회동아암(65)이 선회부분은 예를 들어 스프로켓휠(51)부근의 측단부에 위치된다. 이러한 조건하에서, 오거들(23,24)은 제12도에 부호(S)로 나타낸 바와 같이 탱크(1)를 좌우부분으로 나누는 수직구획면상의 후측벽(2)의 좌측코너부근에 그들의 초기위치들을 갖는다.
준비완료후, 주행용모터(36)와 교반용모터들(21,22)을 동작시킨다. 그다음, 제1 및 3도에 보인 바와 같이 (제1도에서 화살표 A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제1래핑트랜스미숀부들(30A,30B)은 제1대차(10)가 제1회동아암들(45,46)을 통해 주행체인(33,34)에 의해 당겨져서 체인들(33,34)과 동일속도로 전후측벽들(3,2)을 가로질러(전방으로)이동하도록 작동할 뿐만 아니라 오거들(23,24)이 회전하여 저장곡물의 교반작업을 하면서 제1 및 제2대차들(10,20)이 이동하도록 작동한다.
그경우에, 제1회동아암들(45,46)을 주행체인들(33,34)에 연결하는 연결부들은 각 체인들(33,34)의 상반부(전진부분)에 있고, 하반부(복귀부분)는 반대방향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동력취출용 스프로켓휠(53)은 제1대차의 전진속도와 각 체인들(33,34)의 주행속도의 합 즉, 각 체인(33 또는 34)이 주행속도의 2배인 회전속도로 회전된다.
동력취출 스프로켓휠(53)이 회전할때, 그의 회전력은 기어박스(57)를 통해 제2래핑트랜스미숀부(40)로 전달되며, 제7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대차(20)는 좌우측벽돌(4,5)을 가로질러 체인(58)과 동일속도로 주행(횡이동)하도록 제2회동아암(65)을 통해 횡이동용 체인(58)의 상반부(전진부분)에 의해 밀린다. 이경우에, 동력취출 스프로켓휠(53)의 회전이 기어박스(57)에 의해 상당히 감소되기 때문에 제2대차(20)의 횡이동속도는 제1대차(10)의 주행속도에 비해 상당히 감소된다.
결국, 제1대차(10)가 각각의 주행체인들(33,34)의 전진부분에 의해 당겨지는 동안 제2대차(20)상에 배치된 오거들(23,24)의 각각은 제1 및 제2대차들(10,20)(제12도 참조)간의 속도비에 맞는 경사각을 갖도록 좌우측벽들(4,5)에 대해서 위에서 볼때 경사진 경로를 따라 궤적을 그린다.
제1대차(10)가 상술한 방식으로 주행할때(후술되는 전진이동과 복귀이동중 어느 경우에) 오거들(23,24)은 저장곡물에 의해 주행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저향을 받으며, 이 저항에 따라 제1대차(10)의 본체(10A)가 제3도와 제9도에서 쇄선으로 나타낸 것과 같이 제2대차(20) 및 오거들(23,24)과 함께 아이들러로서 작용하는 스프로켓횔들(53,54)의 회전축들(53a,54a)을 나타내는 선회축들 둘레에서 요동되어 연직면에 대해 기울어지므로 오거(23 또는 24)의 하단 부가 진행방향에서 볼때 질질끌리게 된다. 따라서, 본체(10A)가 기울어져서, 제1대차(10)가 주행하고 그위에 탑재된 제2대차(20)도 주행한다.
제1대차(10)의 본체(10A)는 그의 전체중량(제2대차(20)와 오거들(23,24)의 중량포함)과 저장곡물을 하층에서 상층으로 뒤집기 위한 오거(23,24)의 교반작용의 반작용을 받는다. 그결과로, 본체(10A)에는 연직하향으로 비교적 큰 부하를 받으므로 저장곡물에 의한 저항력이 올때, 제1대차(10)는 그다지 기울어지지 않는다. 또한, 제2대차(20)는 전술한 바와 같이 감소된 속도로 횡으로 이동하므로 오거(23,24)에 작용하는 저장곡물에 의한 저항력중에서 제2대차의 횡이동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작용하는 성분이 아주 작으므로 무시될 수 있다.
상술한 것이외에, 본 실시예에서는 오거(23 또는 24)(제1대차(10)의 본체(10A)와 제2대차(20))는 연직면(g)에 대한 경사각(θ)이 예를 들어 15°이상 될때는, 수은스위치들(61,62)중 어느 하나가 OFF된다. 제어부(50)는 이 OFF상태를 검출하여 소정시간 기간내에 제어부(50)로부터 대차주행용 전동기(36)로의 전원공급을 중지하므로 제1 및 제2대차들(10,20)이 정지위츠들(후술됨)에 정지되게 된다.
제4 및 5도의 측면도(제1도에서 화살표 B방향에서 볼때)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1대차(10)에 주행체인들(33,34)을 연결하기 위한 제1회동아암들(45,46)을 체인들(33,34)에 연결해주는 연결부들은 스프로켓휠들(31A,31B)부근의 측단부에 근접할때, 체인들(33,34)에 의한 당기는 힘이 제1대차(10)에 작용하지 않아 제1대차(10)가 정지한다. 이 경우에, 제1대차(10)가 정지하고 있는 동안 체인들(33,34)은 이동하고 결국, 제1회동아암들(45,46)이 체인들(33,34)에 의해 당겨지므로 제5도에 쇄선으로 나타낸 것과 같이 지점역할을 하는 핀(44)주위에서 회전하면서 핀(44)에 의해 안내된 긴구멍(42)을 갖는 제1회동아암이 하향으로 미끌려 내려간 다음 회전하면서 상향으로 미끌린 후 결국 제5도에서 실선으로 나타낸 것과같이 제1대차(10)가 제1회동아암(45,46)을 거쳐서 체인(33,34)에 의해 다시 당겨진다.
제1회동아암들(45,46)만 체인들(33,34)에 의해 당겨지지만 제1대차(10)가 정지해 있는 동안의 기간내에 오거(23,24)는 전방 측벽(3)에 가장 근접한 위치들로부터 떨어져가지 않는다. 따라서, 제1대차(10)의 상기 정지기간내에 탱크(1)의 전방측벽(3)부근에 있는 곡물이 제1대차(10)의 정지시간에 따라 수직방향으로 충분히 교반될 수 있다.
그다음 제1회동아암들(45,46)이 제5도에서 실선으로 보인 자세를 취하도록 회전되어 긴구멍(42)의 하부가 핀(44)에 접촉해 있을때, 제1대차(10)는 각 체인들(33,34)의 하반부(복귀부분)에 의해 당겨져서 그의 주행방향을 전환하여 후방측벽(2)으로 주행한다. 그때에, 체인들(33,34)의 주행속도가 제1대차(10)의 주행속도와 동일하기 때문에, 동력취출 스프로켓휠(53)과 체인들(33,34)간의 상대속도차가 0이 되어 동력취출 스프로켓휠(53)이 회전하지 않으므로 제2대차(20)의 횡이동이 방지되어 정지를 유지한다. 그결과 제2대차(20)상에 배치된 오거들(23,24)은 각각 위에서 볼때(제12도 참조) 좌우측벽들(4,5)이 평행한 직선을 그린다.
이어서, 제1대차(10)가 상술한 스프로켓들과 반대쪽의 스포로켓휠들(32A,32B)부근에 도달할때 체인들(33,34)이 제6도에 나타낸 것과같은 제1회동아암들(45,46)을 거쳐서 제1대차(10)상에 당기는 힘으로 작용하지 않아 제1대차(10)가 정지한다.
이경우에도 역시 체인들(33,34)은 제1대차가 정지하고 있는 동안에도 이동하므로 체인들(33,34)에 의해 제1회동아암들(45,46)이 당겨져서 제6도에 쇄선으로 나타낸 것과같이, 핀(44)에 의해 안내된 긴구멍(42)을 갖는 제1회동아암이 지점 역할을 하는 핀(44)둘레에서 회전하면서 미끌려 내려간 다음 회전하면서 상향으로 미끌려 이동한 후, 마직막으로 제6도에서 실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제1대차(10)가 제1회동아암들(45,46)을 거쳐서 체인들(33,34)에 의해 다시 당겨진다.
체인들(33,34)에 의해 제1회동아암들(45,46)을 당기기만 하고 제1대차는 정지해 있는 동안의 기간내에 제2대차(20)는 동력취출 스프로켓휠(53)이 회전되지만 오거(23,24)는 후방측벽(2)에 가장 가까운 위치들로 부터 떨어지지 않기 때문에 약간 횡으로 이동한다. 따라사, 이 경우에도, 후방측벽(2)에 가장 가까운 곡물이 대차(10)의 상기 정지기간내에 오거들(23,24)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충분히 교반될 수 있다.
이어서 제1 및 제2대차(10,20)는 전술한 방식으로 다시 주행하며 또한 오거(23,24)는 지그자그 궤적을 그리면서 좌/우방향으로 이동한다. 이경우에, 제2회동아암(65)을 횡이동용 체인(58)에 연결하는 연결부가 제1대차(10)의 중간부분에 배치된 스프로켓휠(52)의 측단에 도달할때, 그것은 횡이동용 체인(58)의 하반부(복귀부분)에 있게 되므로 제2대차(20)의 상태가 제2회동아암(65)을 거쳐서 미는 상태에서 당기는 상태로 바뀌므로, 제2대차(20)의 주행방향을 반전시킨다.
이러한 반전 즉시, 오거들(23,24)은 탱크(1)의 중심과 우측벽(5)의 중간부근에 예를 들어 제12도에서 부호(e,e')로 나타낸 위치들에 각각 위치되므로 종전궤적(실선)과 대칭인 제12도에서 쇄선으로 나타낸 것과 같은 궤적을 그리면서 이동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2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오거들(23,24)이 좌우측벽들(4,5)로부터 La 및 Lb(약 20cm)만큼 떨어진 위치에 도달하고, 전후측벽들(3,2')로부터 Lc 및 Ld(약 20cm)만큼 떨어진 위치들에 도달하도록 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그에 머물게하고, 또한 제1대차(10)가 전후측벽들(3,2)을 횡단하여 이동하는 동안 Le 및 Lf(약 30cm)만큼 좌우방향으로 이동하게 한다. 상술한 궤적은 일예를 나타낸 것이며 오거들(23,24)의 이동패턴은 저장곡물의 건조조건등의 인자에 따라 원하는대로 변경할 수 있다.
[6] 기본구성 및 동작효과 : 제13 및 14도
상술한 구성을 갖는 본 실시예의 교반장치(100)에서, 제1주행구동기구(30)용 모터(36)의 동력의 일부는 동력취출 스프로켓휠(53)을 거쳐서 제2대차(20)의 횡이동용 제2주행구동기구(40)로 전달되므로 제1 및 제2대차를(10,20)은 공동 동력원에 의해 서로 직교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제2대차(20)상에 배치된 오거들(23,24)은 탱크(1)의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단일 동력원(36)에 의해 좌우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어 탱크내의 곡물을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수직방향으로 교반할 수 있다.
또한 제1주행구동기구(30)가 제1대차(10)를 소정시간기간내에 전후벽들(3,2)부근에 정지하도록 하기 때문에 교반기들(23,24)이 들어가기 어려운 탱크(1)의 내벽면 부근의 곡물일지라도 충분히 교반할 수 있다(이점에 대해서는 후술됨).
제1주행구동기구(30)가 래핑트랜스미숀부들(30A,30B)과 특정형태의 회동아암들(45,46)로 구성되기 때문에, 제1대차(10)가 전후측벽들(3,2)가까이에 소정기간내에 멈춰있게 할 수 있고 또한 2대차들(10,20)의 이동방향을 리미트스위치들과 같은 제어부품들을 사용하지 않고서도 반전시킬 수 있으므로 동력원을 공용할 수 있어 전체 구성을 간략화하고 제조비를 줄일 수 있다. 회동아암(45,46)대신 체인과 같은 연결부재를 사용해도 동일한 동작효과를 얻을 수 있다(일특원평 5-186207참조).
또한 본 실시예의 교반장치(100)에서, 제1대차(10)의 본체(10A)는 전술한 바와 같이 주행방향으로 제2대차(20)와 오거(23,24)과 함께 굴러갈 수 있다. 따라서 제1대차(10)는 제1대차(10)는 제1대차(10)의 전진방향의 반대방향으로 굴러 오거들(23,24)의 베아링들(17a)(제3 및 7도)등에 과부하가 걸리기 전에 연직면에 대해 경사진다. 따라서, 베아링들(17a)등 뿐만 아니라 오거들(23,24) 자체에 작용하는 외력이 경감될 수 있으므로 결국 이들 부품들이 손상되지 않아 장치의 신뢰도가 향상될 수 있다.
제1대차(10)가 전술한 바와 같이 전후측벽들(3,2)에 가장 가까운 정지위치에 근접할때 제1대차(10)의 본체(10A), 제2대차(20) 및 오거(23 또는 24)들은 제13도에 실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연직면에 대해 경사진다.
그러나 제1대차(10)는 자동으로 소정기간내에 측벽(2)에 가장 가까운 위치에 정지하도록 되고 또한 회전중의 오거들(23,24)은 정지기간중의 교반작용의 반작용과 그들의 자중에 의해 흰색화살표(P)의 방향으로 저장곡물(K)을 옆으로 밀어주므로 제13도에서 쇄선으로 나타낸 것과 같이 연직선에 연하여 그들의 자세를 회복한다.
따라서, 제1대차(10)가 소정기간내에 측벽들(2,3)부근에 자동으로 정지하도록된 상기 실시예에서는 오거(23 또는 24)의 하단과 측벽(2 또는 3)간의 공간거리(G)를 최소화한다.
이에 대해서, 제1대차(10)이 정지해 있지 않고 즉시 이동을 위해 반전되며, 오거(23 또는 24)의 하단은 그렇게 많이 이동하지 않고, 또한 상단은 오거(23 또는 24)의 하단과 측벽(2 또는 3)간의 간격(H)을 최소화하기 위해 제13도에서 2중쇄선으로 나타낸 것과 같이 흰화살표(Q)방향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제1대차(10)가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측벽들(2,3)부근에서 소정기간내 정지하게 될때, 전체로서 오거(23 또는 24)(특허 그의 하단)는 제1대차가 주행을 위해 즉시 반전될때보다 더욱 가깝게 측벽(2 또는 3)에 근접할 수 있어 건조가 지체되기 쉬운 측벽(2 또는 3) 근처에 있는 곡물(k)이 연직방향으로 확실하게 충분히 교반될 수 있다.
그밖에도 본 실시예에서도 오거(23 또는 24)가 수직면(g)에 대해 경사각(θ)이 소정치 이상일때, 수은스위치들(61,62)중 어느 하나가 OFF되고, 제어부(50)는 이 OFF상태를 검출하여 전동기(36)로의 전원공급을 경지하여 수은스위치들(61,62)이 둘다 다시 ON되기까지 제1 및 제2대차들(10,20)이 정지되게 한다.
대차들(10,20)이 주행할때 오거(23 또는 24)는 저장곡물(k)에 의해 저항받아 요동되어 경사지고 그결과 제14도에서 실선으로 나타낸 것과 같이 탱크(1)의 하부벽(6)과 오거(23 또는 24)의 하단간에 큰 간격(h)이 생긴다. 그러나 대차(10)의 정지중 대차가 측벽(2 또는 3)에 가장 가깝게 근접하는 경우에서와 같이 회전중의 오거(23 또는 24)는 저장곡물을 수직으로 혼합하기 위한 교반작용의 반작용과 그의 자중의 영향하에 저장곡물을 옆으로 밀어내고 또한 제14도에서 쇄선으로 나타낸 것과 같이 연직면을 연하여 자세를 회복하도록 요동된다. 그와 동시에 수은스위치들(61,62)은 자동으로 ON상태를 회복한다.
결과적으로 경사상태에서 오거(23 또는 24)에 의해 들어갈 수 없는 하부벽(6)(하층) 부근의 곡물일지라도 상층으로 이동될 수 있으므로 저장곡물의 균일한 교반이 보장될 수 있다.
연직면(g)에 대하여 오거(23 또는 24) 소정각도이상 경사지는 것과 연직위치로의 회복은 수은스위치들(61,62)에 의해 자동으로 검출되고 또한 제1및 제2대차들(10,20)의 주행정지와 주행재개는 제어부(50)에 의해 자동으로 실행된다. 그경우에, 오거(23 또는 24)가 경사위치에서 연직위치로 회복하는데 필요한 시간은 저장곡물의 특성들과 축적높이에 따라 좌우된다. 그러므로, 최적 대차 정지기간은 타이머등에 의존하지 않고 자동으로 결정될 수 있다. 이것은 오거(23 또는 24)가 소정이상의 각도로 경사진 위치로부터 수직위치를 회복하는데 필요한 시간 즉, 대차들(10,20)이 정지하게 되는 동안의 기간을 저장곡물의 특성과 축적높이를 고려하여 미리 설정할 필요가 없음을 의미한다.
실제에 있어서, 저장곡물의 특성들과 축적높이는 경우마다 균일하지 않으므로 현재 대차 정지기간을 개별적으로 설정할 목적으로 정확히 파악하기는 아주 어렵다. 그러므로 최적 정지기간의 상술한 자동달성을 통해 저장곡물의 교반능력을 개선할 수 있고 또한 장치의 신뢰도를 충분히 향상시킬 수 있다.
그밖에도, 오거(23 또는 24)의 연직면에 대한 소정이상각도의 경사가 수은스위치들(61,62)로 구성된 경사검출기구(60)에 의해 검출되고 또한 대차들(10,20)의 주행정지/주행재개가 자동으로 실행될 수 있기 때문에 하층에 있는 교반되지 않는 곡물량이 전술한 바와 같이 감소될 수 있고 또한 대차들(10,20)의 지나친 흔들림으로 인한 불규칙적인 주행과 탈선이 방지될 수 있으므로, 수은스위치들(61,62)로 구성된 경사검출기구(60)와 제어부(50) 또한 안전장치로서 작용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수은스위치들(61,62)중 어느 하나가 ON상태에서 OFF상태로 변경되는 경사각(θ)과 ON상태에서 OFF상태로 변경되는 각도 즉, 오거(23 또는 24)의 최대 허용가능 요동각과 대차(10,20)의 정지시간을 수은스위치들(61,62)의 부착각을 조정함으로써 원하는대로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오거들(23,24)은 대차 주행용 전동기(36)의 속도를 변경함이 없이 저장곡물의 특성들과 쌓인 높이에 맞는 속도로 측벽들(2,3)간에서 이동될 수 있으므로 대차(10)의 주행속도가 가변되게 할때 얻은 효과와 실제로 동일한 효과가 얻어질 수 있다. 단부에 위치하는 차륜지지체들에 부착된 수직으로 세워진 선지지체들(81,82)간을 대차(10)의 본체(10A)위를 가로질러 당겨서 "X"자 형태로 처 있는 단선으로 된 선(85)을 갖고 있다. 제15도에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과 같이 이 선(85)의 대향하는 끝들(85a,85b)은 수평방향으로 소정거리를 두고 사이 떨어져 제1대차(10)의 좌측 선지지체(81)에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선(85)의 중간부는 수평방향으로 소정거리로 서로 떨어져 제1대차(10)의 우측지지체(82)에 장착된 2개의 지지롤러(86,87)상에 2지점에 이동가능하게 걸쳐 있다. 지지롤러들(86,87)간에 위치한 선(85)에 선지지체(82)에 고정된 리미트스위치(90)의 동작봉(90a)이 연결되어 있다. 이 리미트스위치(90)는 이 동작봉(90a)이 연결되어 있다. 이 리미트위치(90)는 이동작봉(90a)이 중립위치(본체에 대해서 수직인 위치)로부터 소정각도 이상으로 좌우로 변위되었을때에 ON상태로부터 OFF상태로 절환한다.
위와 같이 구성된 상태차륜변위검출기구(80)에 있어서는 선(85)의 중간부는 제1대차(10)의 주행위치의 상대변위에 따라 이동되고 리미트스위치(90)의 동작봉(90a)이 선(85)의 이동방향으로의 이동에 의해서 변위되어 리미트스위치(90)의 동작상태로 절환한다.
예를 들면 제15도에 쇄선으로 나타낸 것과 같이 제1대차(10)의 좌측차륜이 뒤지고 우측차륜이 앞서 상대변위가 소정치를 초과하게 될때에 선(85)의 한쪽끝과 지지롤러(87)간의 거리가 선(85)의 다른쪽 끝과 지지롤러(86)간의 거리보다 짧아진다. 그결과 선(85)의 중간부가 도면의 중공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고 리미트 스위치(90)의 동작봉(90a)이 제1대차(10)의 전방방향(제1대차(10)의 주행방향)으로 변위되어 리미트스위치(90)를 예를 들어 ON-상태로부터 OFF-상태로 절환한다. 이에 대해서 좌측차륜(10a)이 앞서고 우측차륜이 뒤질때에는 선(85)의 중간부는 반대방향으로 이동되고 그결과 리미트스위치(90)의 동작봉(90a)이 반대방향으로 변위되어 스위치(90)를 예를 들어 ON-상태로부터 "OFF"-상태로 절환한다.
리미트스위치(90)에서 이와 같이 생성된 신호가 제11도에 나타낸 것과 같이 제어부(제어파넬)(50)로 공급되고 이 신호에 따라서 제어부(50)는 이 대차들(10,20)의 주행용전동기(36), 오거들(23,24)의 회전구동용 전동기들(21,22)의 전력공급을 차단하는 동시에 예를 들어 관리실 또는 숙직실에 배치된 경보램프, 경보부저(94)의 동작을 제어한다.
제1 및 제2대차들(10,20)이 교차되는 방향으로 주행이동하는 이 실시예의 교반장치(100)에 있어서는 오거들(23,24)이 제2대차(20)에 장착되어 있으므로 제2대차가 예를 들어 제1대차의 좌측단 가까이 위치할 때에 오거들(23,24)에 가해지는 저장된 곡물에 의한 저항이 제1대차(10)의 좌측단에 편중되어 가해진다. 이와 같이 외력이 좌우로 편중되어 제1대차(10)에 가해질때에 좌우차륜들(10a,10a)중의 하나의 차륜이 크게 미끌리거나 체인이 절단되어 그 결과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대차(10)의 좌측차륜(10a)과 우측차륜(10a)간에 주행위치에 큰 상대변위가 생긴다. 다시말하면 좌우차륜들(10a,10a)중의 한쪽 차륜이 앞서서 다른쪽 차륜을 뒤지게 하여 제1대차(10)가 평면도에 나타낸 것과 같이 전후방향으로 크게 경사진다.
제1대차(10)가 평면도에 나타낸 것과 같이 전후방향으로 크게 경사진 경우에 다시말하면 제1대차(10)의 좌우측 차륜들(10a,10a)간에 소정치를 초과한 주행위치의 상대변위가 생기면 그 결과로 좌우측 차륜들(10a,10a)중의 한쪽 차륜이 앞서서 다른 차륜을 뒤지게 하여 상대차륜변위검출기구(80)의 리미트스위치(90)를 예를 들면 ON-상태로부터 OFF-상태로 절환하고 이와 같이 생성된 신호에 따라서 제어부(50)는 대차주행용 전동기(36)와 오거구동용 전동기(21,22)로의 전력공급을 차단하여 제1 및 제2대차들(10,20)의 주행이동을 정지시키는 동시에 경보램프를 점등하고 경보부저(94)를 울리는 제어를 행한다.
이렇게 하여 상기한 대차의 탈선등 바람직하지 않는 일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결과 장치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정비비등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대차륜변위검출수단은 상기한 바와 같이 선(85)과 리미트스위치(90)를 각종 방법으로 상이하게 구성할 수 있다. 즉, 전후방향의 경사각 또는 제1대차(10)의 비틀림을 직접 검출, 좌측차륜(10a)과 전후측벽들(3,2)간의 거리, 우측차륜(10a)과 전후측벽(3,2)간의 거리를 측정하여 비교하는 방법등의 상이한 방법등으로 구성된다. 좌우의 레일들(14,15)에 일정한 간격으로 표식을 하여 이들 레일(14,15)위를 좌우차륜들(10a,10a)이 주행하고 있는 위치를 읽는다.
[8] 주행구동시스템의 고장과 오동작에 대한 대책과 경사검출수단 : 제7, 16 및 17도
실시예의 교반장치(100)에 있어서 제1대차(10)를 주행시키는 제1주행구동기30)에 설비된 전동기(36)용 동력의 일부가 전술한 바와 같이 파워테이크오프(power take-off)용 스프로켓휘일(53)을 거쳐서 제2대차(20)의 횡방향이동용 제2주행구동기구(40)로 전달된다. 따라서 제2주행구동기구(40)가 고장났을때 뿐만 아니라 제1주행구동기구(30)가 고장나고 경사검출기구(60)가 오동작하고 있을 경우에 제2대차(20)는 소정시간이상 동안 정지되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제2대차가 소정시간이상동안 정지하여 제1주행구동기구(30), 제2주행구동기구(40) 및 경사검출기구(60)의 고장 및 오동작 발생을 검출한 것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예를 들면 제2대차(20)의 이동방향에 있는 복수의 검출지점을 제1대차(10)의 본체(10A)에 설비하고 제2대차가 검출지점들중의 어느 하나의 지점을 통과한 후에 다음 검출지점에 사전 설정한 시간이상 경과해도 제2대차가 도작하지 않을때에 경보를 울리는 고장에 대한 대책이 취해진다.
더 구체적으로 말하면 제7도에 나타낸 것과 같이 감지수단 역할을 하는 리미트스위치(96)는 제2대차(20)의 보디 프레임(17)의 한쪽 측면에 그 동작봉(96a)이 아래로 돌출되게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각각 작동수단 역할을 하는 작동핀들(97,97,…), 예를 들면 리미트스우치(96)의 동작봉(96a)에 교차되는 방향(즉 수평방향)으로 연장되게 제2대차의 주행방향으로 소정간격을 두고 제1대차(10)의 본체(10A)의 좌측절반의 보디 프레임쪽의 특정위치에 8개의 핀이 설비되어 있다. 제2대차(20)의 이동방향에서 보아 리미트스위치(96)와 작동핀(97)간의 위치관계는 제2대차(20)가 좌우로 횡방향이동을 했을때, 다시말하면 제2대차(20)에 부착된 리미트스위치(96)가 최좌측 또는 최우측에 위치되었을때(제7도에 쇄선으로 그린위치)에 리미트스위치(96)의 동작봉(96a)은 좌우단에 있는 작동핀(97)으로부터 인접하는 2개의 작동핀들(97,97)간의 이격거리의 1/2만큼 떨어진다.
제12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대차(10)는 6회의 왕복동작을 하고 적은 주행(1/4왕복)을 하는 동안에 제2대차(20)가 1/2왕복(일방으로)을 한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8개 지점에 설비된 작동핀들(97)으로 제1대차가 1회 왕복동작을 하는 동안에 제2대차(20)에 장착된 리미트스위치의 작동봉(96a)은 작동핀(97)과 적어도 1회 접촉하여 변위된다.
더 구체적으로 말하면 제2대차(20)와 함께 이동하는 리미트스위치(96)의 동작봉(96a)의 둥근 끝이 제16도에 나타낸 것과 같이 작동핀(97)위에 부딪쳐 동작봉(96a)이 도면의 실선으로 나타낸 위치(중립위치=OFF-상태)로부터 쇄선으로 나타낸 위치(ON-상태)로 절환된다. 이어서 동작봉(96a)이 작동핀(97)으로부터 떠나갈때에 동작봉(96a)은 중립위치로 복귀된다.
따라서 제2대차(20)의 리미트스위치가 각각의 작동핀(97,97,…)을 통과할때마다 리미트스위치에서 검출신호가 생성되어 제11도에 나타낸 것과 같이 제어부(50)로 공급된다.
타이머가 제어부(50)에 장치되고 리미트스위치(96)로부터의 검출신호에 따라서 제어부(50)는 교반용 전동기들(21,22)과 대차주행용 전동기로의 출력 및 경보램프(92)와 부자(94)로된 경보부로의 출력을 제어한다.
고장 및 오동작이 제1주행구동기구(30), 제2주행구동기구(40) 및 경사검출기구(60)에 발생되지 않고 제2대차(20)에 장착된 리미트스위치(96)의 동작봉이 하나의 작동핀(97)으로 부터 다음 작동핀(97)으로 주행하는데(또는 양단에 있는 작동핀(97)으로 돌아가는데)소요되는 시간이 근소한 불규칙을 갖는 일정시간내인것에 근거를 두고 있다.
이점을 고려하여 예를 들면 소요시간의 최대치보다 2~3배로 긴 시간(여기서는 40~50분)이 본 실시예내의 제어부(50)의 내장메모리내의 사전설정시간(Tx)으로써 기억된다. 그리고 제17도내의 플로우챠트에 나타낸 제어프로그램에 따라서 제어부(50)는 리미트스위치(96)로부터 검출신호를 받아들일때마다 교반작업개시(전동기들(211,22,36)의 기동)를 행한다(스텝 222).
이 상태하에 제2대차에 장착된 리미트스위치(96)의 동작봉(96a)이 하나의 작동핀(97)에 도착할때 리미트스위치(96)의 동작상태는 전술한 바와 같이 OFF-상태로부터 ON-상태로 절환된다( 스탭 223에서 예(YES)). 그리고 리미트스위치로부터의 검출신호가 제어부(50)로 공급된다. 이 검출신호에 응답하여 제어부(50)는 거기에 설비된 타이머를 기동하여 그 이후의 경과시간(T)을 측정한다(스텝 222,223 및 225).
마찬가지로 제2대차(20)에 장착된 리미트스위치(96)의 동작봉(96a)이 이동방향에 배치된 각 작동핀(97)에 도달할때(또는 양단의 작동핀(97)으로 되돌아갈때)마다 타이머에 의해서 측정된 앞서의 경과시간(T)이리세트(T←0)되는 동시에 타이머가 새롭게 기동되어 그 이후의 경과시간(T)을 측정한다(스텝 222,223 및 225).
이 경우에 제2대차(20)가 정상으로 주행 다시 말해서 제1주행구동기구(30), 제2주행구동기구(40) 및 경사검출기구(60)에 고장 및 오동작이 발생되지 않은때에 인접하는 작동핀들(97,97)간의 간격에 대응하는 거리를 거쳐서 제2대차(20)가 이동하는 시간 즉 경과시간(T)이 제어부(50)에 기억된 사전설정시간(Tx)보다도 짧다(T≤Tx)(스텝 226의 아니오(NO)). 따라서 통상의 교반작업이 자동적으로 계속된다.
이와 반대로 제1주행구동기구(30), 제2주행구동기구(40) 및 경사검출기구(60)에 고장 및 오동작이 발생된 경우에는 제2대차(20)는 장시간동안 정지하므로 타이머에 의해서 측정한 경과시간(T)이 사전 설정시간(Tx)을 초과한다(T>Tx)(스텝 226의 예).
경과시간(T)이 사전설정시간(Tx)을 초과할 경우에 이 실시예의 프로그램은 스텝 226으로 부터 스텝 227 및 228로 진행되어 관리실에 배치된 경보부자를 울려 또는 경보램프를 점등시켜 경보를 발하고 모든 전동기들(21,22,36)을 정지시킨다. 따라서 고장 및 오동작이 합리적으로 지속적으로 검출되어 저장된 곡물이 장시간동안 교반되지 않고 방치되는 상황이 방지되어 장치의 신뢰도가 향상될 수 있다.
작동핀들(97)의 수 및 위치와 사전설정시간(Tx)은 제1 및 제2대차들(10,20)의 주행이동속도, 특성 및 실질적인 저장된 곡물의 쌓인 높이를 고려하여 바람직하게 설정할 수 있다. 장시간동안 교반되지 않은채 저장된 곡물이 방치되어 질이 저하되는 상황이 사전에 검출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작동핀들(97)이 감지수단으로써 사용되고 다른 방법으로는 작동수단이 예를 들면 제2대차(20)에 장착된 발광부와 제1대차(10)에 장착되는 수광부(87)로 구성되기도 한다. 작동수단 및 감지수단의 위치들은 서로 바꾸어 놓을 수 있다.
[9] 고장 및 오동작에 대한 대책의 다른예 : 제18~21도
전술한 고장 및 오동작에 대한 대책에 있어서는 제2대차가 인접하는 검출지점(인접하는 핀들(97,97))간의 거리에 걸쳐서 이동하는 시간이 측정되어 제1주행구동기구(30) 및 경사검출기구(60)는 물론 제2주행구동기구(40)에 고장 및 오동작의 발생의 유무를 판정한다. 제1주행구동기구(30), 경사검출기구(60)의 고장 및 오동작의 유무 및 제2주행구동기구의 고장 및 오동작의 유무는 별개로 판정한다. 그리고 이에 대한 효과를 이하에 설명하겠다.
이 예에서는 제1주행구동기구(30) 및 경사검출기구(60)에 고장 및 오동작이 발생하여 장시간동안 제1대차(10)를 정지한 채로 두는 상황을 방지하기 위하여 검출수단이 제1대차(10)가 곡물을 부어 놓는 동안에 곡물을 부어 넣는 구멍을 벗어난 위치에 대기시키게 하는 검출수단이 제1대차(10)가 정상적으로 주행할 것인지 장시간동안 정지된채 둘것인지를 판정하는데 이용되는 대책이 취해진다.
더 구체적으로 말하면 제18도에 쇄선으로 나타낸 것과 같이 곡물을 부어 넣는 구멍(T)이 탱크(1)의 중앙부에 형성되어 있고 탱크(1)위에 있는 패키트 콘베이어등의 콘베이/피드(convey/feed)수단(도시하지 않음)으로부터 이 곡물을 부어 넣는 구멍(T)으로 곡물을 부어 넣는다. 감지수단역할을 하는 인덱싱 정지스위치들(리미트스위치)(74,75)이 탱크(1)의 안쪽 측벽(4)의 상부의 탱크의 전후방향으로 보아 곡물을 부어 넣는 구멍의 전단과 전측벽(3)간의 위치와 곡물을 부어 넣는 구멍(T)의 후단과 후측벽(2)간에 각각 장착되어 있다. 작동수단 역할을 하는 작동핀(76)은 측벽(4)가까이 제1대차(10)의 차륜지지체(10f)에 대해 수직으로 차륜지지체(10f)로부터 연장되어 있다. 인덱싱 정지스위치들(74,75)의 동작봉들(74a,75a)는 작동핀(76)이 제1대차(10)와 함께 이들 동작봉을 통과할때에 변위된다. 더 구체적으로 말하면 제1대차(10)와 함께 이동하는 작동핀(76)이 제19도에 나타낸 것과 같이 인덱싱 정지스위치(74)의 동작봉(74a) 또는 인덱싱 정지스위치(75)의 동작봉(75a)이 도면의 실선위치(중립위치=OFF-상태)로부터 쇄선 또는 2점쇄선위치(ON-상태)로 절환되고 이어서 작동핀(76)이 지나가면 동작봉(74a 또는 75a)이 중립위치로 복귀된다.
따라서 제18도의 실선 또는 쇄선으로 나타낸 것과 같이 작동핀(76)이 인덱싱 정지스위치(74)의 동작봉(74a) 또는 인덱싱 정지스위치(75)의 동작봉(75a)과 접촉되어 변위되는 곡물을 부어 넣는 구멍(T)의 전후 단 가까운 위치에 제1대차가 주행하여 도착할때에 검출신호가 인덱싱 정지스위치(74 또는 75)에서 생성되어 전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50)로 공급된다(제11도의 쇄선으로 나타냄).
제어부(50)에는 곡물을 추가로 공급할때에 동작을 위하여 눌리는 부어 넣는 모드스위치(77)가 설비되고 전술한 타이머가 장치되고 부어 넣는 모드스위치(77)의 동작상태와 인덱싱 정지스위치(74 또는 75)로부터의 검출신호에 따라서 제어부(50)는 제20도의 플로우챠트에 나타낸 프로그램에 따라 교반용 전동기(21,22)로의 출력과 대차주행용 전동기(36)로의 출력 및 부저등 경보부로의 출력을 제어한다.
더 구체적으로 말하면 이미 곡물이 탱크(1)내에 부어 넣어져 오거들(23,24)에 의해서 교반작업이 행해지고 있는 동안에 곡물이 추가로 부어 넣어지는 경우에 제어부(50)에 설비된 부어 넣는 모드스위치(77)가 동작을 위하여 눌린다. 그때에 곡물은 추가로 부어 넣어지지 않고 제1 및 제2대차들(10,20)은 주행이동을 계속하고 오거들(23,24)은 회전한다.
그런후 제1대차(10)에 장착된 작동핀(76)이 인덱싱 정지스위치들(74,75)의 동작봉들(74a,75a)중의 하나의 동작봉과 접촉하게 되는 위치에 도달하여 변위될때에 인덱싱 정지스위치(74 또는 75)는 그 동작상태를 OFF-상태로부터 ON-상태로 절환하고 검출신호를 스위치로부터 제어부(50)로 발생한다. 이 검출신호를 수신하면 제어부(50)는 오거들(23,24) 구동용 전동기들(21,22)과 제1 및 제2대차주행용 전동기(36)으로의 전력공급을 중단한다. 그리하여 오거들(23,24)의 회전을 정지하고 제1 및 제2대차들(10,20)의 주행이동을 정지한다(제20도의 플로우챠트의 스텝 201~스텝 206).
이와 같이 오거들(23,24)과 제1 및 제2대차들(10,20)이 정지된 후에 패키트콘베이어등 콘베이/피드수단은 동작되어 탱크(1)의 곡물을 부어 넣은 구멍(T)내로 필요량만큼 추가로 부어 넣는다. 제18도에 실선 또는 쇄선으로 나타낸 것과 같이 추가로 부어 넣을때에 탱크(1)의 전후 방향으로 보아 곡물을 부어 넣는 구멍(T)의 전후단 가까이에 제1대차(10)가 정지된다. 따라서 곡물이 추가로 부어 넣어지는 동안에 대차들(10,20에 부딪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곡물을 부어 넣는 이외의 작업중에 인덱싱 정지스위치들(74,75)중의 하나의 스위치로부터의 검출신호(여기서 인덱싱 정지스위치(74)로 나타냄)는 제1대차(10)가 정상 주행중인지 장시간 정지중인지를 판정함으로써 고장에 대한 대책을 취하는데 이용된다(제20도의 플로우챠트의 스텝 207~스텝 211).
더 구체적으로 말하면 고장 및 오동작이 제1주행구동기구(30)와 경사검출기구(60)에 발생되지 않은 때에 제1대차(10)가 인덱싱 정지스위치(74)를 통과한 후에 제1대차용 검출지점을 위하여 서있는 인덱싱 정지스위치(74)로 되돌아가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근소한 불규칙성을 갖는 일정시간내가 되는 것이 기대된다.
이점을 고려하여 전술한 실시예와 같이 예를 들어 소요시간의 최대치의 2~3배로 긴 시간(여기서는 40~50분)이 사전설정시간(Tx)으로써 본 실시예의 제어부(50)의 내장메모리에 기억된다.
이 조건하에 제1대차(10)의 작동핀(76)이 검출지점(인덱싱 정지스위치(74)의 위치)에 도달할때에 인덱싱 정지스위치(74)의 동작상태가 전술한 바와 같이 제1대차(10)에 장착된 작동핀(76)에 의해서 OFF-상태로부터 ON-상태로 절환되고 스위치(74)로부터의 검출신호가 제어부(50)로 공급된다. 이 검출신호에 응답하여 제어부(50)는 거기에 설비된 타이머를 기동시켜 그 이후의 경과시간(T)을 측정한다(스텝 209).
그런후에 제1대차(10)가 인덱싱 정지스위치(74)가 위치되어 있는 검출지점으로 되돌아 왔을때에 타이머에 의해서 측정된 앞서의 경과시간(T)이 리세트되고(T←0) 그와 동시에 타이머가 새롭게 기동되어(스텝 208) 그 이후부터의 경과시간(T)을 측정한다.
이 경우에 제1대차(10)가 정상적으로 주행할때 다시말해서 제1주행구동기구(20)와 경사검출기구(60)에 고장 및 오동작이 발생되지 않은때에 제1대차(10)가 인덱싱 정지스위치(74)의 위치를 떠나서 그 위치에 되돌아가 도착할때까지의 주행소요시간 즉 경과시간(T)이 제어부(50)에 기억된 사전설정시간(Tx)보다도 짧다(T≤Tx). 따라서 통상시의 교반작업이 자동적으로 계속된다(스텝 210, 스텝 202, 스텝 203, 스텝 207, 스텝209). 이에 대해서 제1주행구동기구(30) 및 경사검출기구(60)에 고장 및 오동작이 발생된 경우에는 제1대차(10)는 장시간동안 정지되므로 타이머에 의해서 측정된 경과시간(T)이 사전설정시간(Tx)를 초과한다(T>Tx).
초과시간(T)이 이와 같이 사전설정시간(Tx)를 초과할때에 이 예의 프로그램은 스텝 210으로부터 스텝 211 및 스텝 206으로 전진하여 관리실에 배치된 경보부지(94)를 울리거나 경보램프를 점등하여 경보를 발하고 모든 전동기들(21,22,36)을 곡물을 부어 넣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정지시킨다. 그후에 즉시 고장부분을 수리한 후에 오거들(23,24)을 회전시키면서 대차들을 주행 이동시켜 교반작업이 재개된다.
이와 같이 경사검출기구(60)뿐만 아니라 제1대차(10)용 주행구동기구(30)에 고장 및 오동작이 발생했을때에도 그것들이 합리적으로 지속적으로 검출될 수 있어서 곡물이 교반되지 않은채 방치되는 상황이 방지될 수 있어서 장치의 신뢰도가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상기에서는 탱크(1)의 전후방향으로 보아 인덱싱 정지스위치(74)는 곡물을 부어 넣는 구멍(T)의 전단과 전측벽(3)간에 배치되고 인덱싱 정지스위치(75)는 곡물을 부어 넣는 구멍(T)의 후단과 후측벽(2)간에 배치되어 있다. 스위치들이 반드시 2개소에 배치될 필요는 없고 단일 스위치를 측벽(3)가까이 배치하여도 좋다. 또 인덱싱 정지스위치들(74,75)중의 하나만이 고장배제용으로 사용되나 둘다 사용해도 좋다. 이 경우에 각 스위치(74 또는 75)의 동작상태가 절환된다. 경과시간(T)이 측정될 수 있고 측정된 경과시간(T)에 따라서 위에서와 마찬가지로 제2대차(10)가 정상주행인지 장시간동안 정지중인지가 판정될 수 있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 작동핀(76)이 작동수단으로 사용되고 리미트스위치들(74,75)이 감지수단으로 사용되나 이와 달리 발광부 및 수광부가 작동수단 및 감지수단으로 각각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제2주행구동기구(40)의 고장검출을 위하여 제1대차(10)가 제1주행구동기구(30) 및 경사검출기구(60)의 고장 및 오동작을 판정하는 경우에서와 같이 제2대차(20)가 단일 검출지점을 통과하는 시간 또는 복수의 검출지점간의 거리를 통과하는 시간을 측정함으로써 장시간동안 정지하고 있는지가 판정될 수 있다. 그러나 이동체인(58)의 절단과 체인(58) 및 회동아암(65)간의 연결부가 제2주행구동기구(40)에 발생되는 고장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다른 부분들에는 파손이나 고장이 거의 생기지 않는다는 사실을 고려하여 판정한다. 고장의 유무는 하기 방법으로 판정한다.
더 구체적으로 말하면 이동체인(58)이 절단되거나 체인(58)과 회동아암(65)간의 연결부가 파손된 때에도 회동아암(58)의 요동가능한 끝이 제21도의 쇄선으로 나타낸 것과 같이 무한환형체인(58) 아래로 낙하한다. 따라서 회동아암(58)의 낙하를 검출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가동접점(98a)과 고정접점(98b)을 갖는 스위치(98)가 제2대차(20)의 회동아암(58)바로 알의 개소에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이동체인(58)이 절단되거나 체인(58)과 회동아암(65)간의 연결부가 파손된 경우에 스위치(98)의 가동접점(98a)이 회동아암(65)에 의해서 눌려 고정접점(98b)에 접촉하여 스위치(98)를 OFF-상태로부터 ON-상태로 절환하여 제2주행구동기구(40)의 고장발생이 스위치(98)에서 생성된 검출신호에 의해서 검출되어 우선적으로 경보를 발하여 고장에 대한 대책이 취해진다.
회동아암(65)의 낙하를 검출하기 위하여 제2대차(20)에 장착된 리미트스위치(98)대신인 제8도에 나타낸 수은스위치들(61,62)중의 하나가 회동아암(65)이 수평면에 대해서 일정각이상 기울렀을때에 수은스위치가 ON-상태로부터 OFF-상태로 절환되게 회동아암(65)에 장착한다.
[10] 변형
전술한 실시예들에서 체인구동형을 예로 설명하였으나 교반장치는 이 종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어 이전에 본 출원인에 의해서 제안된 원통형 프레임형(일본국 특허출원평 5-22806). 제1대차 및 제2대차가 별개로 구동되는 형(예 : 일본국 특허원평 4-22805)등을 포함하는 각종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들에서는 2개의 오거가 설비된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오거들의 수는 분명히 탱크의 크기에 따르는 것중의 하나이고 요망하는대로 선택할 수 있다.
연직면(8)에 대해서 소정치 이상의 각도로 오거(23) 또는 오거(24)가 경사됨을 검출하는 경사검출수단은 전술한 수은스위치들을 사용한 검출수단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각종 공지의 센서들 또는 스위치들을 사용할 수 있다.
또 모든 전동기들(36,21,22)이 정지되고 경보램프(92)와 경보부저가 작동되는 상대차륜변위에 대한 대책에 더하여 기타 대책들도 취할 수 있는 것은 명백하다.
상기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곡물탱크의 교반장치에서는 탱크내에 저장된 곡물을 제1대차 및 교반구가 설비된 제2대차를 교차되는 2방향으로 동시에 또는 선택적으로 왕복이동시켜 교반한다. 대차의 좌우측 차륜들의 주행위치들이 크게 서로 바뀌거나 고장 및 오동작이 주행구동기구 및 경사검출수단에 생긴 경우에 고장 및 오동작이 합리적으로 또 지속적으로 검출되고 경보를 발하는 고장에 대한 대책이 취해지므로 대차가 탈선되어 교반작업을 중단하거나 저장된 곡물이 장시간동안 교반되지 않은채 방치되는 상황 다시말하면 저장된 곡물의 품질의 저하가 초래되는 상황을 가능한 억제할 수 있어서 장치의 신뢰도가 유리하게 향상될 수 있다.

Claims (1)

  1. 4각 곡물탱크의 좌우측벽들 사이를 교락하여 상기 2축벽들위에 주행할 수 있게 탑재된 제1대차, 상기 제1대차위에 횡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탑재된 제2대차, 상기 제2대차에 매달려 상기 곡물탱크중에 연직 삽입되어 회전할 수 있는 교반구와, 상기 제1대차를 상기 곡물탱크의 전후측벽들을 가로질러 왕복이동시키는 제1주행구동기구, 및 상기 제2대차를 상기 좌우측벽들을 가로질러 왕복이동시키는 제2주행구동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제1대차의 좌우차륜의 진행위치가 소정치 이상의 상대변위가 발생된 것을 검출하는 상대차륜변위 검출수단을 더 포함하여 상기 검출수단에서 생성되는 신호에 따라서 미리 안전조치를 취하도록 구성한 곡물탱크의 교반장치.
KR1019930025447A 1992-11-26 1993-11-26 곡물탱크의 교반장치 KR9600150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1727792A JP3246967B2 (ja) 1992-11-26 1992-11-26 穀物用貯溜槽の攪拌装置
JP92-317277 1992-11-26
JP19729993A JP3246982B2 (ja) 1993-08-09 1993-08-09 穀物用貯溜槽の攪拌装置
JP93-197299 1993-08-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0909A KR940010909A (ko) 1994-06-20
KR960015079B1 true KR960015079B1 (ko) 1996-10-24

Family

ID=265102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25447A KR960015079B1 (ko) 1992-11-26 1993-11-26 곡물탱크의 교반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960015079B1 (ko)
CN (1) CN1088382A (ko)
TW (1) TW226969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8941B1 (ko) * 2006-08-04 2007-06-14 전부남 퇴비 교반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717601B (zh) * 2016-12-25 2019-03-12 山东蓬能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农业粮食存储发霉粮食精准排出搅拌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8941B1 (ko) * 2006-08-04 2007-06-14 전부남 퇴비 교반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26969B (en) 1994-07-21
KR940010909A (ko) 1994-06-20
CN1088382A (zh) 1994-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15079B1 (ko) 곡물탱크의 교반장치
CN209835093U (zh) 自动装车机水泥袋连包处理装置
KR100758429B1 (ko) 리크레이머 밸트의 운송물 편적 교정장치
JPH08337317A (ja) 管糸供給装置
CN109607245A (zh) 自动装车机水泥袋连包处理装置
JP2004083160A (ja) 空容器の三つ組装置
JP3246967B2 (ja) 穀物用貯溜槽の攪拌装置
JP4046531B2 (ja) 穀物貯留設備における穀物攪拌装置
KR960015078B1 (ko) 곡물탱크의 교반장치
JP2766778B2 (ja) 穀物用貯溜槽の攪拌装置
CN221419796U (zh) 运输皮带下料口堵塞监测装置
EP0662433B1 (en) Handling-switching apparatus
JP3560993B2 (ja) 穀物乾燥処理施設
CN112170718A (zh) 一种钢筋自动切割设备
JPH09315588A (ja) 連続式アンローダ
JP4189063B2 (ja) 穀物用貯溜槽の攪拌装置
JP3546280B2 (ja) 連続式アンローダの定量掘削制御方法
JPH0750919A (ja) 穀物用貯溜槽の攪拌装置
KR0125433Y1 (ko) 벨트 콘베이어의 낙광 검출장치
JPH07308118A (ja) 穀物用貯溜槽の攪拌装置
JPH06197624A (ja) 穀物用貯溜槽の攪拌装置
JP3499586B2 (ja) 穀物用貯溜槽の攪拌装置
JP3660001B2 (ja) 穀物乾燥処理施設
JP3660000B2 (ja) 穀物用貯溜槽の攪拌装置
JP2582024B2 (ja) 縁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