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14320B1 - 팩시밀리의 자동절체 시스템 - Google Patents

팩시밀리의 자동절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14320B1
KR960014320B1 KR1019920025411A KR920025411A KR960014320B1 KR 960014320 B1 KR960014320 B1 KR 960014320B1 KR 1019920025411 A KR1019920025411 A KR 1019920025411A KR 920025411 A KR920025411 A KR 920025411A KR 960014320 B1 KR960014320 B1 KR 9600143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facsimile
communication
switching
mod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254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17700A (ko
Inventor
우상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구자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구자홍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200254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14320B1/ko
Publication of KR9400177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77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143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432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46Colour picture communication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 Facsimile Transmission Control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팩시밀리의 자동절체 시스템
제1도는 종래 G3/G4 팩시밀리의 통신제어 시스템 블럭 구성도.
제2도는 본 발명을 적용시킨 팩시밀리의 자동절체 시스템 블럭 구성도.
제3도는 제2도의 망제어부 상세 블럭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통신제어부 3 : 모뎀
5 : 망제어부
본 발명은 팩시밀리의 자동절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G3/G4팩시밀리를 실시간(Real Time)으로 제어하여 통신 모듈을 분리하지 않고도 자동으로 G3/G4팩시밀리를 절체시켜 통신하도록 한 팩시밀리의 자동절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주지와 같이 G3 팩시밀리는 1980년 CCITT(국제전신전화 자문 위원회)의 권고에 따라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itwork)에 접속 사용할 수 있는 단말기기로서 일반적으로 독취/기록 해상도(㎜), 독취화소 압축기능(MH,MR,MMR), 통신기능으로서 PSTN에 접속하여 변복조기, 망제어기등을 통해 상대기기와 통신 수순을 거쳐(G3 protocol)정보 송수신 수행, 독취화소 분해능력으로서 16~32레벨의 중간조기능을 갖는 것을 G3 기능이라고 하며, 이러한 기능이 수행되는 팩스를 G3팩스라고 한다.
한편, G4팩시밀리는 1984년 CCITT의 권고에 따라 1) 독취/기록 해상도(400×400, 200×200,200×100, DPI:Dot Per Inch)2) 독취화소 압축기능(G3의 MMR을 이용하여 송/수신)3) 통신기능:총 1,2,3,4,5,6,7,단계로 구분 ISDN(Integrated Service Digital Network:종합 서비스 디지탈 망)에 접속되어 G2 팩스(아날로그 송/수신)와는 달리 디지탈 송/수신을 수행하며 D(제어정보), B1,B2(화상 데이타)의 3개의 채널을 갖는 팩스기능을 G4팩스는 G3팩스의 기능을 겸하고 있다.
이러한 배경하에 종래의 G3/G4 겸용 팩시밀리의 통신제어 시스템은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PSTN회선을 제어하는 제1망제어부(100)와, G3 팩시밀리 신호를 처리하는 모뎀(101)과, 상기 모뎀(101)을 제어하는 모뎀제어부(102)와, ISDN망을 제어하는 제2망제어부(103)와, 통신시스템 전체동작을 제어하는 통신제어부(104)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G3/G4팩시밀리의 통신제어 시스템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면, 먼저G3팩시밀리의 송신일 경우 통신제어부(104)는 모뎀제어부(102)를 활성화시켜 모뎀(101)을 송신모드로 세팅시키고 이후 데이타를 출력하게 되면 이 출력된 데이타는 콜세트업(call setup)된 제1망제어부(100)를 통해 PSTN 라인으로 정송된다.
아울러 G3팩시밀리의 수신일 경우에는 콜 세트업 신호가 PSTN라인을 통해 제1망제어부(100)에 입력되며 상기 제1망제어부(100)에 입력된 신호는 모뎀(101) 및 모뎀 제어부(102)를 순차통해 통신제어부(104)에 전달된다.
여기서 모뎀(101)은 수신모드가 된다.
또한 G4팩시밀리의 송신일 경우에는 통신제어부(104)는 제어망제어부(103)를 콜세트업시켜 송신 데이타를 ISDN 라인으로 송출하게 되며 아울러 G4 팩시밀리의 수신일 경우에는 수신된 데이타는 제2망제어부(103)를 통해 통신제어부(104)로 인가됨으로써 송수신을 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G3/G4팩시밀리의 통신제어 시스템은 통신을 제어하기 위해서는 2개 이상의 제어 보드가 필요하며 또한 동시서비스를 하기 위해서는 2개 이상의 로직이 필요하기 때문에 시스템 구성이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G3,G4 팩스를 하나의 모듈 안에서 복ㅎㅂ 통신을 할수 있도록 한 것으로 망절체 및 G3,G4 절체 회로를 두어 서로 다른망(PSIN, ISN)의 팩스 서비스와 복합통신을 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특히 통신 모듈을 분리하지 않고도 자동으로 G3,G4팩시밀리는 절체시켜 통신하고자 함에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호신호를 인지하여 호접속제어신호를 출력하는 호접속제어부와, 상기 호접속제어부로부터 출력된 신호에 의해 G3/G4팩시밀리를 절체하는 G3/G4절체부와, 상기 호접속제어부에서 출력된신호에 의해 회선을 절체하는 회선절체부로 구성된 망제어부를 구성함으로써 달성되는 것으로 이하 본 발명을 첨부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는 본 발명을 적용시킬 팩시밀리의 자동절체 시스템 블럭 구성도로서, G3/G4모드를 판별하고 상기모드에 맞는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팩시밀리의전체 동작을 제어하는 통신제어부(1)와, 상기 통신제어부(1)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의해 G3 통신시 모뎀(3)을 제어하는 모뎀제어부(2)와, 상기 모뎀제어부(2)의 제어에 의해 G3통신기능을 수행하는 모뎀(3)과, 상기 모뎀(3)을부터 출력된 신호 및 PSIN라인으로부토 입력되는 신호를 G3팩스 신호로 변환하는 코딩부(4)와, 상기 통신제어부(1)의 제어신호에 의해 G3/G4모드 절환 및 해당모드에 따라 회선을 절체하는 망제어부(5)로 구성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팩시밀리의 자동절체 시스템의 작용 및 효과를 첨부한 도면 제3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통신을 하기 위해 통신제어부(1)는 G3모드 또는 G4 모드를 판단한다.
상기 판단에서 G3송신 모드일 경우에는 모뎀제어부(2)를 활성화시켜 모뎀(3)을 송신 모드로 변환시킨다.
이후 송신신호를 출력하게 되고 이 신호는 모뎀제어부(2)를 통한 후 모뎀(3)에 인가되어 변조된다.
이와 같이 변조된 신호는 코딩부(4)를 통해 G3팩시밀리 신호(MR,MH등)로 변환되어 망제어부(5)내의 G3/G4절체부(7)에 인가된다.
이때 통신제어부(1)에서 호접신호가 출력되어 망제어부(5)에 입력되며 이에 따라 망제어부(5)내의 호접속제어부(6)는 이 신호를 받아들여 G3/G4 절체부(7)를 G3 모드로 절체시키고, 아울러 회선절체부(8)를 PSTN회선으로 절체시킨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코딩부(4)에서 출력된 신호 G3/G4절체부(7)에 입력된 후 G3팩시밀리를 통해 회선절체부(8)에 인가되고 절체된 PSTN회선을 통해 PSTN라인으로 송출된다.
또한 G3수신일 경우에는 상기한 방법과 역으로 PSTN라인을 통해 입력된 신호는 회선절체부(8), G3/G4절체부(7)를 통해 코딩부(4)에 인가되며 이후 모뎀(3)을 통해 복조되며 이와 같이 복조된 신호는 모뎀제어부(2)를 통해 통신제어부(1)에 인가된다.
이때 회전절체부(8) 및 G3/G4절체부(7)는 모드 G3 모드로 절체된다.
한편 G4송신모드일 경우에는 통신제어부(1)는 G4모드용 신호를 출력하고 아울러 호접속신호를 망제어부(5)에 입력하게 된다.
이에 따라 망제어부(5)는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신제어부(1)에서 출력된 호접속신호를 호접속제어부(6)로 인가받은 후 상기 호접속 제어부(6)는 G3/G4절체부(7) 및 회선절체부(8)를 G4 모드로 절체시킨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통신제어부(1)에서 출력된 데이타는 G3/G4 절체부(7)를 통한 후 회전절체부(8)의 ISDN망을 통해 ISDN라인으로 송출된다.
또한 G4수신모드일 경우에는 통신제어부(1)는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호접속신호를 망제어부(5)에 출력하게 되고 이에 따라 망 제어부(5)내의 호접속제어부(6)는 G3/G4절체부(7) 및 회선절체부(8)를 G4모드로 절체시킨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ISDN라인을 통해 데이타가 인가되면 상기 데이타는 회선절체부(8), G3/G4 절체부(7)를 순차통해통신제어부(1)에 인가됨으로써 수신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G3/G4팩시밀리를 실시간으로 제어하므로 통신모듈을 분리하지 않고도 G3/G4팩시밀리를 절체시켜 간단히 사용할 수 있는 것이어서 통신이 간편화 되는 효과가 있으며, 아울러 G3/G4팩시밀리의 단독모드 뿐만 아니라 실시간 처리에 의해 혼합모드로도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있다.

Claims (2)

  1. G3/G4모드를 판별하고 상기 모드에 맞는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팩시밀리의 전체를 동작하는제어하는 통신제어부(1)와, 상기 통신제어부(1)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의해 G3통신시 모뎀을 제어하는 모뎀제어부(2)와, 상기 모뎀제어부(2)의 제어에 의해 G3통신기능을 수행하는 모뎀(3)과, 상기 모뎀(3)으로부터 출력된 신호 및 PSIN라인으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G3팩스 신호로 변환하는 코딩부(4)와, 상기 통신제어부(1)의 제어신호에 의해 G3/G4 모드 절환 및 해당 모드에 회선을 절체하는 망제어부(5)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팩시밀리의 자동절체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망제어부는 상기 통신제어부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G3/G4 모드의 절체신호를 출력하며, 공중데이타망에 맞는 호접속신호를 출력하는 호접속제어수단과, 상기 호접속제어수단에서 얻어진 제어신호에 의해 G3또는 G4팩시밀리를 절체하는 G3/G4절체수단과, 상기 호접속제어수단에서 출력된 제어신호에 의해 회선을 절체하는 회선절체수단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팩시밀리의 자동절체 시스템.
KR1019920025411A 1992-12-24 1992-12-24 팩시밀리의 자동절체 시스템 KR9600143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25411A KR960014320B1 (ko) 1992-12-24 1992-12-24 팩시밀리의 자동절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25411A KR960014320B1 (ko) 1992-12-24 1992-12-24 팩시밀리의 자동절체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7700A KR940017700A (ko) 1994-07-27
KR960014320B1 true KR960014320B1 (ko) 1996-10-15

Family

ID=193465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25411A KR960014320B1 (ko) 1992-12-24 1992-12-24 팩시밀리의 자동절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14320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7700A (ko) 1994-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89525A (en) Facsimile apparatus
US5199071A (en) Modem mode matching method with pbx dial-in
JPS61200763A (ja) 複合フアクシミリ装置
KR960014320B1 (ko) 팩시밀리의 자동절체 시스템
JP2640464B2 (ja) 内線・外線両用フアクシミリ装置
JPH0683353B2 (ja) フアクシミリ装置
JP2886647B2 (ja) ファクシミリの回線切替装置
NO175698B (no) Fremgangsmåte til overföring av videobildeinformasjon over et faksimile-abonnentapparat
JP2773749B2 (ja) ファクシミリ装置
KR930000010B1 (ko) Pc 및 fax 통신용 어댑터 장치
JPS6333067A (ja) フアクシミリ伝送方式
JPS6354052A (ja) 画像伝送装置
JP3170884B2 (ja) ファクシミリ応答装置
JPH03296347A (ja) データ伝送装置
KR100285733B1 (ko) 인터넷을통한팩스데이터전송장치
JP2629599B2 (ja) ファクシミリ同時同報機能付きボタン電話装置
KR940005253B1 (ko) 컴퓨터-팩시밀리 접속 시스템에서의 컴퓨터 화일 송신을 위한 팩시밀리측 제어방법
JPH01200794A (ja) 画像通信方式
JPH0611159B2 (ja) ファクシミリ装置
JPS61206363A (ja) フアクシミリ装置
JPH0427290A (ja) 静止画像伝送装置
JPH0256148A (ja) データ伝送装置
JPH0465581B2 (ko)
JPH03270553A (ja) ファクシミリ装置
JPH06133079A (ja) Isdn通信装置用ターミナルアダプ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