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14009B1 - 탁상 시험 장치용 벨트 지지 구조물 - Google Patents

탁상 시험 장치용 벨트 지지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14009B1
KR960014009B1 KR1019900003133A KR900003133A KR960014009B1 KR 960014009 B1 KR960014009 B1 KR 960014009B1 KR 1019900003133 A KR1019900003133 A KR 1019900003133A KR 900003133 A KR900003133 A KR 900003133A KR 960014009 B1 KR960014009 B1 KR 9600140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discharge ports
fluid medium
ports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031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4874A (ko
Inventor
히데오 가이쯔
기미히꼬 가네꼬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메이덴샤
이노구마 도끼히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057572A external-priority patent/JP2737212B2/ja
Priority claimed from JP1059278A external-priority patent/JP2789652B2/ja
Priority claimed from JP1073218A external-priority patent/JP2874177B2/ja
Priority claimed from JP1073219A external-priority patent/JP2737221B2/ja
Priority claimed from JP3966989U external-priority patent/JPH0645869Y2/ja
Priority claimed from JP1989039670U external-priority patent/JPH02131644U/ja
Priority claimed from JP1989040257U external-priority patent/JPH02131646U/ja
Priority claimed from JP1989040256U external-priority patent/JPH02131645U/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메이덴샤, 이노구마 도끼히사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메이덴샤
Publication of KR9000148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48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140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40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7/00Testing of vehic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7/00Testing of vehicles
    • G01M17/007Wheeled or endless-tracked vehicles
    • G01M17/02Tyres
    • G01M17/022Tyres the tyre co-operating with rotatable rol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7/00Testing of vehicles
    • G01M17/007Wheeled or endless-tracked vehicles
    • G01M17/0072Wheeled or endless-tracked vehicles the wheels of the vehicle co-operating with rotatable rolls
    • G01M17/0074Details, e.g. roller construction, vehicle restraining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7/00Testing of vehicles
    • G01M17/007Wheeled or endless-tracked vehicles
    • G01M17/02Tyr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vestigating Strength Of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AREA)
  • Testing Of Devices, Machine Parts, Or Other Structures Thereof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탁상 시험 장치용 벨트 지지 구조물
제1도는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예들이 적용될 수 있는 순환벨트식 탁상 시험 장치의 대략 구조를 도시한 개략 측면도.
제2(a)도는 본 발명의 적합한 제1실시예에 따른 순환벨트식 탁상 시험 장치의 주요부분의 평면도.
제2(b)도는 제2(a)도에 도시한 방출 포트의 형상을 도시하는 사시도.
제2(c)도는 제2(a)도의 선 A-A에 따른 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순환벨트식 탁상 시험 장치의 주요부분의 평면도.
제4(a)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순활벨트식 탁상 시험 장치의 주요부분의 평면도.
제4(b)도는 각기 경사면을 갖는 방출 포트들의 배치를 도시하는 제4(a)도의 단면도.
제5도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순환벨트식 탁상 시험 장치의 주요부분의 평면도.
제6(a)도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순환벨트식 탁상 시험 장치의 주요부분의 평면도.
제6(b)도는 제6(a)도의 선 A-A에 따른 단면도.
제7도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순환벨트식 탁상 시험 장치의 주요부분의 단면도.
제8(a)도는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순환벨트식 탁상 시험 장치의 주요부분의 단면도.
제8(b)도는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순환벨트식 탁상 시험 장치의 주요부분의 단면도.
제9(a)도는 본 발명의 제9실시예에 따른 순환벨트식 탁상 시험 장치의 주요부분의 단면도.
제9(b)도는 제9(a)도의 제9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장착 볼트를 도시하는 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6 : 회전 드럼 12 : 순환벨트
14 : 지지 베이스 20 : 방출 포트
G : 간격 26 : 공급경로
40 : 경사면
본 발명은 순환벨트식 탁상 시험 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예를 들어 차량의 타이어와 차량 성능을 시험하기 위한 탁상 시험 장치용 순환벨트 지지 구조물로서, 순환벨트와 그 지지 베이스 사이에 동압이 효과적으로 발생될 수 있도로 개량된 것에 관한 것이다.
순환벨트식 탁상 시험 장치에서, 1조의 회전 드럼 사이로 신장하는 가요성 순환벨트는 실제 도로상에서 수행되는 시험과 균등한 상사 도로 시험을 수행하기 위해 그 위에 차량의 타이어가 배치되는 상사 도로로서 사용된다. 예를 들어, 차량 타이어 시험의 경우, 타이어는 다양한 슬립각 또는 캠버각을 갖는 다양한 타이어 부하 하에서의 타이어 도는 타이어 트레드의 변형을 측정하고 드럼에 작용하는 토오크 등을 측정하기 위해 순환벨트상에 배치된다. 한편, 섀시 동력계상의 차량 탁상 시험의 경우, 연료 절약 시험, 엔진 성능 시험, 내구 시험등이 순환벨트상에 차량의 모든 타이어를 배치함으로써 수행된다.
순환벨트식 탁상 시험 장치는 타이어 부하에 대해 순환벨트를 지지하며 타아이어에 의해 구동되는 벨트의 원활한 이동을 위해 유압 지지 구조물을 사용한다. 2개 형식의 유압 벨트 지지 구조물이 공지되어 있는데, 하나는 액체 윤활제의 동압을 이용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의 액체 윤활제의 정압을 이용하는 것이다.
일본 특허 공개(소) 56-129836호는 지지 약제의 동압을 이용하는 순환벨트식 탁상 시험 장치를 게재하고 있다. 게재된 구조물에서, 지지 베이스는 순환벨트와 지지 베이스 사이에 작은 간격을 한정하도록 순환벨트 하방 및 1조의 드럼들 사이에 마련된다. 타이어 부하에 대해 벨트를 지지하도록 지지 베이스와 순환벨트 사이에서 얇은 액체층 형태의 동압을 발생시키기 위해 물과 같은 액체가 간격으로 공급된다.
특히, 벨트를 향하는 지지 베이스의 상면은 순환벨트의 폭에 걸쳐 순환벨트의 주행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각기 신장하는 가늘고 긴 홈 형태의 다수의 급수 포트들로 형성된다. 급수 포트들은 벨트 주행 방향을 따라 예정된 간격으로 배치되며 인접 포트들 사이에 랜드부를 한정한다. 각 포트는 그 저부에 지지 베이스에 형성된 급수 경로를 통해 급수원과 연통하는 급수공을 구비한다. 순환벨트상에서 장착된 차량 타이어가 급수 포트들로 공급된 압력수로 구동될때, 얇은 액체층 형태의 동압은 타이어 부하에 대해 순환벨트를 지지하도록 지지 베이스 상면의 랜드부와 순환벨트 사이의 간격에서 발생된다.
한편, 일본 특허 공개(소) 55-128140호는 액체 윤활제의 정압을 이용하는 순환벨트식 탁상 시험 장치를 게재하고 있다. 게재된 구조에서, 각기 평면도에서 원형을 이루는 다수의 급수 포트들이 전술한 가늘고 긴 홈들 대신에 지지 베이스의 상면에 마련된다. 원형 포트들에 고압수를 공급함으로써 지지 베이스 상면과 순환벨트 사이의 간격에 정압이 발생된다. 정압은 상승하여 타이어 부하에 대해 순환벨트를 지지한다.
동압을 이용하는 탁상 시험 장치에는, 타이어에 대해 벨트를 효과적으로 지지하는데 소량의 물로 충분한 이점이 있는 반면, 벨트를 지지하기 위해 필요한 동압은 벨트가 어떤 고속도에 도달한 후 물의 전단 작용에 의해 발생되는 응력에 의해 형성되므로 벨트가 어떤 고속도에 도달할 때가지 지지 베이스 상면과 벨트 사이에 동압이 발생되지 않거나 단지 불충분한 동압만이 발생되는 결점이 있다. 따라서, 가해진 타이어 부하에 기인하여 벨트가 압력하에 지지 베이스와 접촉함으로서, 벨트와 지지 베이스를 손상 또는 파손시킨다.
그리고, 각 가늘고 긴 포트는 벨트 주행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속적이므로, 벨트에 가해진 타이어 부하의 편향 또는 편위에 기인하여 주행 벨트가 경사지면, 가해진 타이어 부하가 벨트의 타측부에서의 그것보다 작은 1측부에서 주행 벨트가 상승함으로써, 물이 누설되어 동압이 강하하므로 벨트를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없게 한다.
또한, 상기 일본 특허 공개(소) 56-129836호에서, 각 가늘고 긴 포트가 평면저부를 가지므로, 각 가늘고 긴 포트로 공급된 물은 주행 벨트의 하류측에 존재하는 각 가늘고 긴 포트의 직립벽에 기인하여 지지 베이스 상면의 랜드부와 주행 벨트 사이의 간격 내료 주행 벨트에 의해 효과적으로도 도입되지 않음으로써, 주행 벨트와 랜드부 사이에 충분한 동압이 발생되지 못하게 한다.
또한, 지지 베이스 상면의 상류 단부에 랜드부, 즉 인접한 가늘고 긴 포트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랜드부가 불가피하게 마련되므로, 이 랜드부와 주행 벨트 사이에 동압이 발생되지 않아서 벨트와 지지 베이스가 손상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일본 특허 공개(소) 55-128140호는 상술한 문제들이 해결된 물의 정압을 이용하는 것을 게재하고 있다. 그러나, 주행 벨트가 지지 베이스 상면과 벨트 사이의 간격내에 발생된 물의 정압에 의해 지지되므로, 다량의 고압수를 원형 포트들로 마련하고, 대형 급수 장치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 또한, 다량의 물이 급수회로를 통해 순환되므로, 수온을 조절하기 위해 대형 장치도 요구된다. 또한, 고압수가 사용되므로, 물은 지지 베이스 상면과 주행 벨트 사이의 간극 밖으로 소산되기 쉽다. 따라서, 신뢰도가 높은 시일 구조도 요구된다.
그리고, 물의 동압을 이용하는 탁상 시험 장치에서는 제1부분과 제2부분으로 구성되는 지지 베이스가 제안되고 있다. 제1부분은 그 사이에 예정된 간격을 두고 벨트를 향해 배치되며 특히 주형 벨트의 속도가 전술한 것과 같은 어떤 고속도 이하인 동안 타이어 부하에 기인한 압력하에 제1부분과 벨트가 접촉할때 벨트의 손상을 방지하도록 주행 벨트와 원활하게 접촉할 수 있게 하기 위해 테플론과 같은 재료로 제조된다. 제2부분은 다수의 볼트에 의해 제1부분의 하측에 고정된다. 각 볼트는 제1부분을 통해 수직으로 형성된 제1장착공과 제2부분에 형성된 제2장착공으로 삽입되어 제1부분과 제2부분을 견고히 연결한다. 제1장착공은 볼트의 두부를 수용하기 위한 상부 대경 부분과 하부 소경 부분을 갖는 단이진 형상을 갖는다. 볼트 두부의 상단부와 랜드부의 표면 레벨 사이에 약간의 수직거리를 갖게 볼트헤드가 대경 부분내에 있도록 볼트가 삽입된다.
그러나, 이 장착 구조에서, 랜드부가 요부(제1장착공의 대경 부분)를 포함하므로, 주행 벨트에 의해 발생된 수류는 요부의 존재에 기인하여 방해되어 물의 동압을 충분하게 발생시키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기술의 상술한 것과 같은 결함들을 제거할 수 있는 순활벨트식 탁상 시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액체 매체의 동압과 정압을 이용함으로써 주행 벨트가 어떤 고속도에 도달하기 전과 벨트의 주행 개시시를 포함하는 벨트의 모든 작동속도중 순환벨트를 효과적으로 지지하기에 충분한 압력이 확보되는 순환벨트식 탁상 시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그 누설에 기인한 액체 매체의 동압 강하에 기인한 주행 벨트의 불충분한 지지가 주행 벨트상의 타이어 부하의 편향 도는 편위가 발생할때에라도 효과적으로 방지되는 순환벨트식 탁상 시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액체 매체의 동압이 순환벨트의 주행이동에 의해 효과적으로 발생되는 순환벨트식 탁상 시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순환벨트의 하방에 마련된 지지 베이스의 상단부에서도 액체 매체의 동압이 효과적으로 발생되는 순환벨트식 탁상 시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비교적 소량의 액체 매체 공급이 액체 매체의 동압과 정압을 이용함으로써 순환 벨트를 효과적으로 지지하기에 충분한 순환벨트식 탁상 시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지지 베이스가 볼트에 의해 서로 견고히 연결된 제1 및 제2부분으로 구성될 때에도 액체 매체의 동압이 효과적으로 발생된 순환벨트식 탁상 시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들과 다른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1면에 따른, 순환벨트식 탁상 시험 장치는 그 사이에 예정된 거리를 두고 배치된 1조의 회전 드럼, 회전 드럼들 위에 감기며 그들 사이로 신장하고 제1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된 가요성 순환벨트, 및 회전 드럼들 사이에 배치되며 그들 사이에 예정된 간격을 두고 벨트의 일부를 향하는 작동 표면을 갖는 지지 베이스로 구성된다.
작동 표면은 간격에 액체 매체층의 형태로 압력을 형성하기 위해 지지 베이스에 형성된 제1수단을 통해 액체 매체 공급원과 연통하는 다수의 제1방출 포트로 형성된다. 간격에 액체 매체층 형태로 동압을 효과적으로 발생시키기 위해 액체 매체와 연관하여 제2수단이 마련된다.
제2수단은 각 방출 포트의 원호형상의 저부를 포함하며, 저부는 제1방향으로 원호 형태로 신장한다. 방출 포트들은 제1방향 및 제1방향과 직교하는 제2방향으로 배치되어 작동 표면상에 방출 포트의 매트릭스를 형성한다.
제2수단은 각 방출 포트의 경사 표면을 포함하며, 경사 표면은 제1방향에 대해 각 방출 포트의 하류측에 형성되고 액체 매체를 간격대로 원활하게 안내하기 위해 제1방향을 따라서 상향 경사진다.
제2수단은 방출 포트들이 제1방향과 직교하는 제2방향으로 정렬되지만 제1방향을 따라 보았을 때 적어도 1개의 방출 포트가 제2방향의 작동 표면의 대향 단부를 제외한 작동 표면상에 마련되도록 방출 포트들이 제1방향으로 교대로 위치를 바꾸게 방출 포트들이 작동표면상에 배치되는 것을 포함한다.
각 방출 포트는 제1방향을 따라 신장하는 제1측부와 제1방향과 직교하는 제2방향을 다라 신장하는 제2측부를 갖는 평면도에서 보아 장방향 또는 정방향의 형상을 가지며, 방출 포트들은 제1방향 및 제2방향과 정렬되게 배치되어 작동 표면상에 방출 포트의 매트릭스를 형성하고, 제2수단은 제1측부의 길이가 인접 방출 포트들 사이에 제1방향의 거리보다 작지 않으며 인접 방출 포트들 사이의 제2방향의 거리가 제2측부의 길이의 1/2 내지 1/3의 되도록 작동표면상에 방출 포트들이 배치되는 것을 포함한다.
제1방출 포트들은 제1방향 및 제1방향과 직교하는 제2방향으로 정렬 배치되어 작동 표면상에 제1방출 포트들의 매트릭스를 형성하며, 제2수단은 각기 제2방향의 작동 표면의 대향 단부들을 제외한 작동 표면을 가로질러 제2방향으로 신장하는 다수의 제2방출 포트들을 포함하며, 제1 및 제2방출 포트들은 제1방향으로 엇갈려 배치된다.
제2수단은 작동 표면의 상류단과 벨트 사이에서 동압을 발생시키기 위해 제1방향에 대해 작동면의 상류 단에서 액체 매체를 공급하는 추가적인 액체 매체 공급 장치를 포함한다.
제2수단은 작동 표면의 상류단에 형성된 경사면을 포함하며, 경사면은 제1방향으로 따라 상향하여 경사진다.
지지 베이스는 제1부분 및 제2부분을 포함하며, 제1부분은 작동 표면을 가지고 제2부분을 제1부분 하방에 배치되며, 제1수단은 제2부분에 형성되며 액체 매체 공급원과 연통하는 액체 매체 공급 경로를 포함하며, 제1수단은 또한 제1부분에 형성되며 각 방출 포트의 저부로부터 신장하는 제1구멍과 제2부분에 형성되며 액체 매체 공급결로부터 신장하는 상응하는 제2구멍을 포함하며, 제1 및 제2구멍들이 서로 정렬되고 방출 포트들과 액체 매체 공급 경로를 협동하여 연통시키며, 제2수단이 제1부분과 제2부분을 견고히 고정하기 위해 각기 제1 및 제2구멍으로 삽입되는 다수의 장착볼트를 포함하며, 각 볼트가 액체 매체가 액체 매체 공급경로로부터 제3구멍을 통해 방출 포트로 유동할 수 있게 하기 위해 관통하여 형성된 제3 구멍을 갖는다.
본 발명은 단지 예로서 주어지고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이 아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첨부 도면과 하기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히 이해될 것이다.
우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순환벨트식 탁상 시험 장치가 제1 내지 9(B)도를 참고로 하여 설명된다.
제1도는 후술하는 본 발명의 모든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적용되는 순환벨트식 탁상 시험 장치의 개략적인 구조를 도시한다. 제1도에서, 순환벨트식 탁상 시험 장치(2)는 각 드럼축(8,10)에 대해 회전할 수 있는 1조의 회전 드럼(4,6)을 갖는다. 회전 드럼(4,6)은 그 사이에 예정된 거리 또는 공간을 한정하기 위해 서로 떨어져 배치된다. 1개 이상의 회전 드럼(4,6)이 그 회전에 대한 저항으로서 작용하는 하중에 연결되며, 또한 회전 드럼위에 감기거나 씌워진 가요성 금속 순환벨트(12)를 통해 연관된 드럼상에 작용하는 힘 또는 토오크를 측정하기 위해 동력계에 연결된다. 1조의 회전 드럼(4,6) 사이의 벨트(12) 하방에 지지 베이스(14)가 마련된다. 지지 베이스(14)의 상면(16)은 그 사이에 작은 간격을 두고 벨트를 향하고 있다. 지지 베이스(14)와 순환벨트(12)의 연관된 부분은 도로 상사 부분을 형성하며 그 위에 시험될 차량 타이어(18)이 장착된다.
벨트의 원활한 이동을 위해 지지 베이스(14)의 상면(16)에 대해 벨트(12)를 윤활 및 지지하기 위해 간격(C)내에 액체 윤활층이 형성된다. 물, 윤활유 등과 같은 어떤 적당한 액체 윤활 매체가 액체 윤활층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하더라도 후술하는 실시예들은 윤활 매체로서 물을 사용한다. 간격(T)내에 윤활층을 형성하기 위해 제1도에는 도시하지 않은 급수 장치가 이 장치내에 마련된다. 급수 장치는 지지 베이스(14)내에 한정된 급수 경로를 포함한다. 급수 경로는 압력수로 공급될 급수원에 연결된다. 급수 경로는 소경의 연관된 방출 도는 분출공을 통해 지지 베이스(14)의 상면상에 형성된 다수의 물 방출 포트들과 연통된다. 물 방출 포트는 지지 베이스(14)의 상면(16)과 벨트 사이에 한정된 간격(G)로 열려진다. 따라서, 물은 급수원으로부터 물 방출 포트로 급수경로 및 연관된 방출공을 경유하여 공급되어 지지 베이스(14)와 벨트(12) 사이의 간격(G)내에 수층을 형성한다.
제2(a),(b) 및 (c)도는 본 발명에 따른 순환벨트식 탁상 시험 장치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다. 이들 도면에서, 중복을 피하기 위해 제1도에서와 같은 부재들에는 같은 부호를 사용하였다.
제2(a)도에서, 지지 베이스(14)의 상면(16)상에는 다수의 물 포트(20)이 형성된다. 각 포트(20)은 화살표 X로 표시된 벨트 주행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 Y로 신장하는 긴 측부(B)와 벨트 주행 방향 X로 신장하는 짧은 측부 H를 갖는 평면도에서 보아 대략 장방향의 형상을 갖는다. 물 방출 포트(20)은 그 사이에 랜드부들을 한정하기 위해 매트릭스 형태로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정렬 배치된다. 특히, 포트(20)들은 예정된 간격(G)를 두고 X방향으로, 예정된 간격(d)를 두고 Y방향으로 배치된다.
제2(b) 및 (c)도와 같이, 각 포트(20)은 X 방향에서 신장하는 원호형상 저부(22)와 원호 형상 저부(22)의 대략 중심에 형성된 소경의 방출 또는 분출공(24)를 갖는다. 방출공(24)는 급수 경로(26)과 연통되며, 급수 경로(26)은 연관된 포트(20)에 압력수를 공급하기 위해 급수원(도시하지 않음)과 연통된다.
집수홈(28)은 물방출 포트(20)을 둘러싸는 지지 베이스(14)의 상면상에 형성된다. 그리고, 1조의 내측 및 외측 펠트시일(30,32)가 홈(28)에 모인 물을 흡수하기 위해 홈(28)내에 마련된다. 내측 펠트시일(30)은 Y방향으로 신장하며 지지 베이스(14)의 상면(16)의 하류단에 배치되지만, 외측 펠트시일(32)는 지지 베이스 상면(16)의 원주를 따라 배치된다. 이 실시예에서, 벨트(12)는 화살표 X에 의해 표시된 양 대향 방향으로 주행하도록 설계되므로, 내측 벨트시일(30)는 지지 베이스 상부면(16)의 양 대향 단부들에 배치된다. 홈(28)과 내측 및 외측시일(30,32)는 간격(G)로부터 방출되는 물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작동한다. 전술한 제1실시예의 작동은 하기와 같다.
고압수가 벨트(12)의 시동시와 벨트 주행속도가 예정된 고속도 이하인 동안 물 방출 포트(20)에 공급된다. 이 고압수는 간격(G)에 도입되며 물의 정압에 의해 벨트(12)를 원활하게 지지하기 위해 랜드부 e와 벨트 사이에 수층을 형성한다. 벨트 주행속도가 물의 전단작용에 의해 요구되는 응력이 발생되는 예정된 고속도에 도달할때 포트(20)에 공급된 물의 압력과 양은 감소되도록 제어된다. 각 포트(20)이 벨트주행 방향 X로 신장하는 원호형상 저부를 가지므로, 공급된 물은 벨트(12)를 지지하기 위한 수층의 형태로 요구되는 동압을 발생시키기 위해 랜드부 e와 벨트 사이의 간격(G)내로 효과적으로 도입된다. 각 물 방출 포트(20)은 같은 길이의 4개 측부를 갖는 평면도에서 정방형의 형상을 갖는다.
제1실시예에서, 정압과 동압이 벨트를 지지하기 위해 효과적으로 저합되므로, 벨트와 지지 베이스 상면(16) 사이의 접촉은 벨트의 시동시 및 벨트 주행속도가 예정된 고속도에 도달하기 전에도 방지된다. 따라서, 벨트와 지지 베이스 상면의 마찰손상은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그리고, 마찰 토오크 손실에 기인한 측정 오차도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또한, 물 방출 포트(20)들이 매트릭스 형태로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배치되고, 각 포트(20)에 다른 것과 독립적으로 입력수가 공급되므로, 벨트가 횡방향으로 경사질 때에도 공급된 물이 누설에 기인한 압력 강하는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또한, 벨트 주행속도가 예정된 고속도에 도달한 후 벨트가 동압에 의해 지지되므로, 물의 공급량은 감소될 수 있으므로, 물탱크 및 물 펌프와 같은 급수 장치가 보다 소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그리고, 순환수의 양이 감소될 수 있으므로, 수온 제어 장치도 보다 소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순환벨트식 탁상 시험 장치의 적합한 제2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제2(a)도 내지 2(c)도의 부분과 동일한 부분들에는 동일번호를 부기하였다.
제2실시예에서, 인접한 포트(20)들 사이의 종방향 간격(C)와 포트(20)의 측면(H)의 길이 사이는 C≤H인 관계로 되어 있고, 인접 포트(20)들 사이의 측방향 간격(d)와 포트(20)의 측면 길이(B) 사이는 D=B/2 내지 2B/3의 관계로 되어 있다. 여러 실험을 통해, C≤H인 관계로 치수를 설정하면, 수류층 형태의 동압 발생이 효율적으로 되고, 치수 관계를 d=B/2 내지 2B/3의 관계로 하면, 인접 포트(20)들 사이의 정압 간섭이 효율적으로 차단되므로 해서 벨트는 정압에 의해 균등하게 지지됨을 알았다.
제2실시예의 다른 구조 및 이에 따른 작동 상태는 제1실시예의 그것과 동일하다. 각각의 포트(20)은 평면 형태가 4변의 길이가 동일한 정방향일 수 있다.
제4(a) 및 4(b)도는 본 발명에 따른 순환벨트식 탁상 시험 장치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여기에서도 제2(a), 2(b) 및 2(c)도의 부분과 동일한 부분들에는 동일반호를 부기하였다.
제3실시예에서, 각각의 포트(20)은 하류측 벨트 진행 방향에 대한 하류측변에서 경사면(40)을 갖는 평행 6면체형으로 되어 있다. 경사면(40)은 하류측변에 위치한 포트(20)의 변(B)를 절췌하여 형성하는데, 이 면은 벨트 진행 방향(X)를 따라 상향으로 경사져서 벨트(12)의 이동에 의해 벨트와 랜드부 사이의 간극(G)내로 공급수가 유연하게 유입되도록 한다. 벨트를 양방향으로 구동할 수 있게 설계하면, 경사면(40)은 포트(20)의 양측면(13) 모두에 마련하여야 한다.
제4(a)도 및 4(b)도에 도시한 제3실시예에서, 동압은 경사면에 의해 효율적으로 발생되는데, 상기 경사면은 벨트(12)의 구동에 의해 벨트와 랜드부(e) 사이의 간극(G)내로 물이 유연하게 진입될 수 있도록 한다.
제3실시예의 다른 구조 및 작동 상태는 제1실시예의 그것과 동일하다. 각각의 포트(20)은 4변의 길이가 동일한 정방향의 평면 형태를 갖는다.
제5도는 본 발명에 다른 순환벨트식 탁상 시험 장치의 제5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여기에서도 제2(a)도 내지 2(c)도의 부분과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번호를 부여하였다.
제5실시예에서, 다수의 포트(20)들은 벨트 주행 방향(X)에 수직인(Y) 방향으로 간격(d)로 배설되는데, 이는 하나의 횡방향 도는 측방향 유니트를 형성한다. 다수의 측방향 유니트들이 벨트 진행 방향(X)를 따라 간격(C)인 상태로 배설하되, 하나의 횡간 유니트를 구성하는 포트(20)의 위치들이 벨트 진행 방향을 따라 교호로 변위되도록 함으로써, 벨트 진행 방향에서 볼때 지지기부의 상부면(16)의 양 측단부들을 제외하고 상부면(16)의 전체 폭에 걸쳐 적어도 하나의 포트(20)이 위치되도록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포트(20)들을 배설함으로써, 랜드부(e)에 걸쳐 균일한 동압이 형성된다. 포트(20)들의 특정 구조에 기인한 제4실시예의 특징면에서 볼때 각각의 포트(20)의 바닥은 호형으로 하거나 평면으로 할 수도 있다.
제4실시예의 다른 부분 및 기타 작동 상태는 제1실시예와 동일하다. 각각의 포트(20)은 4변의 길이가 동일한 정방향의 평면으로 할 수 있다.
제6(a)도 및 6(b)도는 본 발명에 다른 순환밸트식 탁상 시험 장치의 제5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며, 여기에서도 제2(a)도 내지 2(c)도의 부분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번호를 부기하였다.
제5실시예에서, 다수의 포트(20)들은 벨트구동 방향에 직각인(Y) 방향으로 설정된 간격으로 배설되어, 하나의 횡간 유니트 또는 측방향 유니트를 형성한다. 다수의 횡간 유니트들은 벨트 구동 방향(X)를 따라 설정된 간격으로 배설된다. 포트(20)들에 부가해서, 지지기부의 상부면(16)상에 다수의 연신된 방수구(50)들이 형성된다. 연산된 방수구(50)은 벨트 구동 방향(X)를 따라 배설되며 그 각각은 지지기부 상부면(16)의 전체 폭에 걸쳐(Y) 방향으로 연장된다. 각각의 연산된 방수구(50)은 V-형 바닥 중심에서 방수 또는 사출공(24)를 갖는데, 이는 다시 물 공급통로(26)과 연통되어 가압수를 연신된 방수구(50)내로 유입시켜 포트(20)내로 유입되도록 한다.
횡간 유니트 및 방수구(50)들은 벨트 구동 방향을 따라 설정된 간격으로 교호로 배설되어, 랜드부(e)에 걸쳐 균일한 동압이 형성되도록 한다.
포트(20) 및 방수구(50)의 특성에 다라 각각의 포트(20)의 바닥을 제6(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호형으로 하거나, 또는 다른 형태로 할 수 있으며, 각각의 방수구(50)은 제6(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V-형 바닥으로 하거나 도는 다른 형태로 할 수도 있다. 포트(20)은 그 평면 형상은 4변의 길이가 동일한 정방향으로 할 수도 있다.
제5실시예의 잔여부분 및 기타 작동 상태는 제1실시예와 동일하다.
제7도는 본 발명에 따른 순환벨트식 시험 장치의 제6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제2(a)도 내지 2(c)도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번호를 부여하였다.
제6실시예에서, 보조수 공급통로(60) 및 보조 방출 도는 사출장치(62)는 상류단에서 지지기부(14)에 형성된다. 특히, 보조 방출 장치(62)는 지지기부(14)의 전체 폭에 걸쳐 벨트 구동 방향(X)에 대해 수직으로 연장되는 연신된 요홈형태로서, 집수홈(28)을 보조수 공급통로(60)과 연통시키거나, 또는 벨트 구동 방향 X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설정된 간격으로 배설된 다수의 구멍 형태로서 각각 집수홈(28과 보조수 공급통로(60) 사이에서 연장된 형태일 수도 있다. 연신된 요홈 도는 구멍(62)는 벨트 구동 방향(X)를 따라 상향으로 경사져서 가압수를 랜드부(T)를 향해 집수홈(28)내로 사출하는데, 상기 랜드부(T)는 인접 포트(20)들에 의해서는 형성되지 않는다. 즉, 랜드부(T)는 그 상류측에서는 포트(20)의 부분이 아니다. 따라서, 필요한 동압은 랜드부(T)와 벨트(12) 사이에서 발생되어 이 부분에서 벨트를 지지하여, 벨트 및 랜드부의 마찰 손상 내지는 마찰 토크 손실이 방지된다. 포트(20) 내로 공급되는 물에 비해 상당한 고압수를 보조수 공급통로(60)을 통해 연신된 보조 요홈 도는 구멍(62)들 내로 공급함으로써 랜드부(T)에서 벨트를 신뢰할 수 있게 지지하게 된다.
벨트가 양방향으로 구동가능하게 설계되며, 보조수 공급통로 및 보조수 방출 장치(62)는 지지기부(14)의 양 종단부들에 마련된다. 다른 구조 및 기타 작동 상태는 제1실시예와 동일하다. 포트(20)은 지지기부(14)의 전체 폭에 걸쳐 벨트 구동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된 연신된 포트 형태로 될 수 있으며 포트(20)은 보조수 공급 시스템의 특정 구조에 따른 제6실시예의 특성에 따라 제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호형 바닥, 또는 다른 형태의 바닥으로 될 수 있다.
제8(a)도는 본 발명에 따른 순환벨트식 탁상 시험 장치의 제7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제7도의 부분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번호를 부기하였다.
제7실시예는 제7도에 도시한 제6실시예를 변형시킨 것이다. 제7실시예에서, 경사면(70)은 랜드부(T)의 상류단에 형성된다. 경사면(70)은 벨트 구동 방향(X)를 따라 상향으로 경사져서 보조수 공급통로(60) 및 보조수 방출장치(62)를 통해 경사면(90)을 향해 분사된 물을 벨트(12)와 랜드부(T) 사이로 유연하게 안내하여 그 사이의 수류층 형태의 필요한 동압을 효율적으로 발생시킨다.
포트(20)이 벨트 구동 방향(X)에 대해 수직으로 연장된 연신 포트형일 경우에, 경사면은 연신 포트(20)의 측방향 길이와 동일한 측방향 길이를 갖거나 또는 더 길게 할 수 있다. 한편, 방출 도는 분사 장치(62)는 경사면(70)의 측면길이와 동일한 길이를 갖는 연신 요홈 형태이거나, 설정된 간격으로 측방향으로 배설된 다수의 노즐공들의 형태일 수 있다. 나아가서, 포트(20)들이 제1실시예에서와 같이 배설되는 경우에는, 경사면(70)을 다수의 경사면들로 분할하여 측방향으로 정렬시켜 대응된 포트(20)들에 대해 종방향으로 정렬되게 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 보조 방출공(62)들은 물을 대응된 경사면들로 효율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상태로 정렬된다. 벨트(12)가 양방향으로 구동되도록 설계되면, 경사면(70)은 지지기부(14)의 양 종단부들에 제공한다.
제7실시예의 다른 부분 및 기타 작동상태는 제6실시예와 동일하다.
제8(b)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8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제8(a)도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번호를 부가하였다.
제8실시예는 제7실시예의 변형이다. 제8실시예에서는 내외부 펠트 밀봉부(30) 및 (32)에 부가해서, 또는 내부 펠트 밀봉부(30) 대신에 펠트(felt)와 같은 다공성 물질로 되어진 댐부재(dam means)(80)을 마련하여 보조수 공급 시스템을 통해 공급된 물을 임시로 저장한다. 임시로 저장된 물은 벨트 구동에 의해 경사면(70)을 통해 벨트와 랜드부(T) 사이로 유입되어, 벨트와 랜드부(T) 사이에 수류층 형태의 동압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제7실시예에서와는 달리, 보조수 방출 장치(62)는 경사면(70)에 대해 직접 물을 분사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보조 방출 장치(62)는 접수 요홈(28)을 향해 수직으로 연장되도록 설계한다. 나아가서, 다공성 댐부재(80)은 벨트에 물이 흡수되게 하여 이에 의해 구동되는 벨트에 윤활작용을 하도록 함으로써 구동시 벨트의 접촉 마찰을 감소시키게 된다. 다른 부분 및 기타 작동 상태는 제7실시예와 동일하다.
제9(a)도 및 제9(b)도는 본 발명에 따른 순환벨트식 탁상 시험용 장치의 제9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제2(a)도 내지 2(c)도의 부분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번호를 부기하였다.
제9실시예에서, 지지기부(14)는 제1부분(90) 및 제2부분(92)를 포함한다. 제1부분(90)은 설정된 간극(G)로 벨트(12)와 대면되도록 위치하며 예컨대 테플론(teflon)과 같은 재료로 성형하여 접촉 상태를 유연하게 함으로써, 발생된 수류층의 압력이 약하여 벨트가 제1부분(90)의 상부벽과 접촉되어 발생되는 벨트(12)의 마찰손상 또는 마찰 토크 손실을 방지한다. 제2부분(92)는 탁상 시험 장치의 지지기부로서 유효하게 작용할 수 있으면 임의의 재료로 제조하여도 좋다. 제1 및 제2부분(90) 및 (92)들은 다수의 볼트(94)들에 의해 고정된다. 각각의 볼트(94)는 포트(20)의 바닥으로부터 제1부분(90)을 통해 수직으로 연장된 계단형 장착 구멍(96)내로 삽입되고, 제2부분(92)내에 형성되고 수공급 통로(26)내로 개구된 나사구멍(98)내로 체결된 계단형 장착 구멍(96)은 작은 직경 부분과 대직경부를 가지는데, 대직경부는 포트(20)내로 개방되며 볼트(94)의 두부를 수납한다. 볼트 두부는 계단형 장착 구멍(96)의 계단상에 착좌되어 제1부분(90)을 제2부분(92)를 향해 압압함으로써 제1 및 제2부분(90) 및 (92)를 강하게 고정시키게 된다.
제9(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의 볼트(94)에는 소구경부(102)와 대구경부(104)를 갖는 계단형 관통공(100)이 형성된다. 따라서, 각각의 포트(20)은 볼트(94)를 통해 형성된 계단형 관통공(100)을 통해 공급통로(26)과 연통된다.
제9실시예에서는 선행 기술에서 언급한 볼트를 수납하는데 필요한 장착 구멍들이 필요치 않기 때문에 수류층 형태의 동압은 벨트(12)와, 지지기부(14)의 제1부분(90)의 상부면(16) 사이에 효율적으로 발생된다. 나아가서, 볼트(94)의 길이(L) 직경(D)를 적절히 선택함으로써, 벨트(12)와 지지기부(14) 사이에 필요한 수압 수준을, 동일한 제1 및 제2부분을 사용하여서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다른 부분 및 기타 작동 상태는 제1실시와 동일하다.
볼트(94)는 제1 및 제2부분(90) 및 (92)를 확실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한 각각의 포트(20)에 모두 제공할 필요는 없다. 나아가서, 포트(20)은 제1실시예에서와 같이 매트릭스 형태로 배설되거나, 또는 측방향으로 연신된 형태로 하거나, 또는 제9(a)도에 도시한 형태 이외의 형태로 할 수 있는데, 이는 제1 및 제2부분(90) 및 (92)의 특정 장착 구조에 내재하는 제9실시예의 특성을 수행할 수 있어야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으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 청구 범위로 정의되는 발명의 분야 및 정신을 이탈하지 않는 변형 및 수정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

Claims (12)

  1. 설정된 간격으로 배설된 1조의 회전 드럼들, 상기 회전 드럼들 주위로 권취되고 회전 드럼들 사이에서 연장되어 제1방향으로 이동되는 가요성 순환벨트, 상기 회전 드럼들 사이에 배설되고 상기 벨트와 설정된 간극을 두고 대면하는 작동면을 갖는 지지기부, 상기 작동면에 성형되고 상기 지지기부내에 성형된 제1장치를 통해 유체 매질 공급원과 연통되어 상기 설정된 간극에서 유체 매질층 형태의 수압을 형성하게 하는 제1방출 포트들, 및 상기 유체 매질과 협력하여 상기 간극에서 상기 유체 매질층 형태의 동압을 효율적으로 발생시키도록 하는 제2장치로 구성되는 순환벨트식 탁상 시험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장치가 상기 각각의 배출 포트의 호형 바닥으로 되어지고, 상기 바닥은 상기 제1방향으로서 호로 연장되는 순환벨트식 탁상 시험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방출 포트들이 상기 제1방향으로 정렬되고 또한 상기 제1방향에 대해 직각인 제2방향으로 또한 정렬되어 상기 작동면상에 상기 방출 포트들의 매트릭스를 형성하는 순환벨트식 탁상 시험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장치가 상기 각각의 방출 포트들의 경사면으로 되어지고, 상기 경사면은 상기 제1방향에 대해 각각의 방출 포트의 하류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1방향을 따라 상향으로 경사져서 상기 유체 매질을 상기 간극 내로 유연하게 안내하는 순환벨트식 탁상 시험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방출 포트들이 상기 제1방향의 열 및 상기 제1방향에 수직인 제2방향의 열로 정렬되어 상기 작동면상에 상기 포트들의 매트릭스를 형성하는 순환벨트식 탁상 시험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장치가 상기 작동면상의 방출 포트들의 열로 이루어지고, 상기 방출 포트들은 상기 제1방향에 대해 수직인 제2방향으로 정렬되되 상기 제1방향에서 교호로 그 위치가 변위되어, 상기 제1방향에서 볼때, 상기 제2방향으로의 상기 작동면의 양 단부들을 제외하고는 상기 작동면상에 적어도 하나의 방출 포트들이 위치되는 순환 벨트식 탁상 시험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출 포트들이 제1변은 상기 제1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제2변은 상기 제1방향에 직각인 제2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정방형 또는 장방형의 평면 형상을 갖고 있으며, 상기 방출 포트들은 상기 제1방향과 상기 제2방향으로 각각 정렬되어 상기 작동면상에 상기 방출 포트들의 매트릭스를 구성학소, 상기 제2장치는 상기 작동면상의 상기 방출 포트들의 열에 의해 이루어지되, 상기 제1변의 길이는 인접한 방출 포트들 사이의 상기 제1방향으로의 간격보다 작지 않으며 인접한 방출 포트들 사이의 상기 제2방향으로의 간극은 상기 제2변의 순환벨트식 탁상 시험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방출 포트들이 상기 제1방향 및 상기 제1방향에 직각인 제2방향으로의 열들로 정렬되어 상기 작동면상에 상기 제1방출 포트들의 매트릭스를 형성하고, 상기 제2장치는 상기 제2방향으로의 상기 작동면의 양단부들을 제외하고는 상기 작동면을 가로지르는 상기 제2방향으로 각각 연장되는 다수의 제2방출 포트들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및 제2방출 포트들은 상기 제1방향으로 교호로 정렬되는 순환벨트식 탁상 시험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장치가 부가 유체 매질 공급 시스템으로서 이는 상기 제1방향에 대해 상기 작동면의 상류단에서 유체 매질을 공급하여 상기 벨트 및 상기 작동면의 상기 상류단 사이에 동압을 발생시키는 순환 탁상 시험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장치가 상기 작동면의 상기 상류단에 형성된 경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경사면은 상기 제1면을 따라 상향으로 경사지는 순환벨트식 탁상 시험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장치는 다공성 물질로 성형된 램 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램 부재는 작동면의 상기 상류단의 상류에 배설되어 벨트와 작동면의 상기 상류단 사이에 유입될 유체 매질을 임시로 저장하는 순환벨트식 탁상 시험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기부는 제1 및 제2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1부분은 상기 작동면을 가지고 상기 제2부분은 상기 제1부분 저부에 정렬되며, 상기 제1장치는 상기 제2부분내에 성형되고 상기 유체 매질 공급원과 연통되는 유체 공급 통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1장치는 상기 제1부분내에 형성되고 각각의 방출 포트의 바닥으로부터 연장된 제1구멍 및 상기 제2부분내에 형성되고 상기 유체 매질 공급 통로로부터 연장되는 대응된 제2구멍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구멍들은 상호 정렬되고 상호 협력하여 상기 방출 포트들 상기 유체 매질 공급통로와 연통시키고, 상기 제2장치는 상기 제1 및 제2부분들을 상호 확실하게 고정시키도록 상기 제1 및 제2구멍들 내로 삽입되는 다수의 장착 볼트들로 이루어지고, 각각의 볼트는, 상기 유체 매질 공급 통로로부터 유체 매질을 상기 배출 포트로 통과시킬 수 있도록 볼트 자체를 관통하는 관통 구멍을 갖는 순환 벨트식 탁상 시험 장치.
KR1019900003133A 1989-03-09 1990-03-09 탁상 시험 장치용 벨트 지지 구조물 KR9600140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39670 1989-02-20
JP1-57572 1989-03-09
JP1057572A JP2737212B2 (ja) 1989-03-09 1989-03-09 ベルト走行路用荷重支持装置
JP1059278A JP2789652B2 (ja) 1989-03-10 1989-03-10 ベルト走行路用荷重支持装置
JP1-59278 1989-03-10
JP1-73219 1989-03-24
JP1073218A JP2874177B2 (ja) 1989-03-24 1989-03-24 ベルト走行路用荷重支持装置
JP1073219A JP2737221B2 (ja) 1989-03-24 1989-03-24 ベルト走行路用荷重支持装置
JP1-73218 1989-03-24
JP3966989U JPH0645869Y2 (ja) 1989-04-04 1989-04-04 ベルト走行路用荷重支持装置
JP1-39669 1989-04-04
JP1989039670U JPH02131644U (ko) 1989-04-04 1989-04-04
JP1989040257U JPH02131646U (ko) 1989-04-05 1989-04-05
JP1-40257 1989-04-05
JP1989040256U JPH02131645U (ko) 1989-04-05 1989-04-05
JP1-40256 1989-04-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4874A KR900014874A (ko) 1990-10-25
KR960014009B1 true KR960014009B1 (ko) 1996-10-11

Family

ID=275722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03133A KR960014009B1 (ko) 1989-03-09 1990-03-09 탁상 시험 장치용 벨트 지지 구조물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4998436A (ko)
EP (1) EP0386774B1 (ko)
KR (1) KR960014009B1 (ko)
DE (1) DE69020191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41854A (en) * 1989-01-24 1993-09-07 Kabushiki Kaisha Meidensha Testing apparatus for bench testing vehicular driving performance
JPH09126953A (ja) * 1995-11-01 1997-05-16 Bridgestone Corp 平板循環装置及び力測定装置
US6907781B2 (en) * 2002-11-05 2005-06-21 Snap-On Incorporated Wheel balancing system with integrated wheel lift, loaded mode testing, and wheel imaging system
US7213449B2 (en) * 2003-08-07 2007-05-08 Avl North America Inc. Flat track chassis dynamometer
DE102010044058B4 (de) * 2010-11-17 2018-06-28 Aip Gmbh & Co. Kg Bandeinheit und Windkanalwaage mit Bandeinheit
ITMO20110136A1 (it) * 2011-05-26 2012-11-27 Sicam Srl Macchina equilibratrice per l'equilibratura di ruote di veicoli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20180A (en) * 1967-11-08 1970-07-14 Gen Motors Corp Road simulator facility
US4324128A (en) * 1980-02-14 1982-04-13 Mts Systems Corporation Hydrodynamic support bearing for a belt on a tire testing machine
US4458527A (en) * 1981-11-27 1984-07-10 Eagle-Picher Industries, Inc. Apparatus for measuring the rolling resistance of tires
JPS6144337A (ja) * 1984-08-07 1986-03-04 Sumitomo Rubber Ind Ltd タイヤのコーナリング特性試験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020191D1 (de) 1995-07-27
EP0386774A3 (en) 1992-02-19
DE69020191T2 (de) 1995-11-02
EP0386774A2 (en) 1990-09-12
EP0386774B1 (en) 1995-06-21
US4998436A (en) 1991-03-12
KR900014874A (ko) 1990-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14009B1 (ko) 탁상 시험 장치용 벨트 지지 구조물
US4324128A (en) Hydrodynamic support bearing for a belt on a tire testing machine
CA1065910A (en) Shaft seal system for a rotary machine
US7004309B2 (en) Vacuum belt conveyor system
KR20070087589A (ko) 슬라이드 레일 및 안내 레일에 대한 오일 공급 시스템
US498679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uidance and actuation of flat belt drive under external load
RU2242549C1 (ru) Держатель пластинки шабера
JP2789652B2 (ja) ベルト走行路用荷重支持装置
KR960014008B1 (ko) 탁상 시험 장치를 위한 도로 상사 순환 벨트용 지지 구조물
JP2737221B2 (ja) ベルト走行路用荷重支持装置
JP2874177B2 (ja) ベルト走行路用荷重支持装置
JP2789730B2 (ja) フラット面走行路用荷重支持装置
KR920004453B1 (ko) 무한궤도식 연속주조기
KR860003377A (ko) 제트 염색기의 에어(Air)소면 배열장치
CA2435181C (en) Vacuum belt conveyor system
US4076335A (en) Hydrostatic bearing methods and structures
JP4328821B2 (ja) タイヤ走行試験装置及びタイヤ走行試験方法
JPH0645868Y2 (ja) ベルト走行路用荷重支持装置
JPH0146349B2 (ko)
PT91331B (pt) Aparelho para aplicacao de liquidos a um substrato em movimento
JPS63128237A (ja) ベルト支承パレツト
SU1597274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термообработки полимерного материала
SU386798A1 (ru) Движитель для волотоходных машин
JPH10169759A (ja) グリース潤滑式プーリのダストカバー構造
US3104954A (en) Apparatus for flash aging printed fabric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904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