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13545B1 - 정류자 전동기용 고정자 절연장치 - Google Patents

정류자 전동기용 고정자 절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13545B1
KR960013545B1 KR1019920020764A KR920020764A KR960013545B1 KR 960013545 B1 KR960013545 B1 KR 960013545B1 KR 1019920020764 A KR1019920020764 A KR 1019920020764A KR 920020764 A KR920020764 A KR 920020764A KR 960013545 B1 KR960013545 B1 KR 9600135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tor
winding
insulator
stator core
sl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207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11371A (ko
Inventor
유지 다까하시
슈이찌 오다까
Original Assignee
시기 모리야
미쯔비시덴끼 가부시끼가이샤
오꼬끼 에이이끼
미쯔비시덴끼홈끼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기 모리야, 미쯔비시덴끼 가부시끼가이샤, 오꼬끼 에이이끼, 미쯔비시덴끼홈끼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시기 모리야
Publication of KR9300113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13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135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354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00Details of windings
    • H02K3/32Winding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of the insulation
    • H02K3/34Winding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of the insulation between conductors or between conductor and core, e.g. slot ins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Insulation, Fastening Of Motor, Generator Windings (AREA)
  • Manufacture Of Motors, Generato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정류자 전동기용 고정자 절연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1에 의한 권선전의 정류자 전동기용 고정자 절연장치를 도시한 평면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1에 의한 권선전의 정류자 전동기용 고정자 절연장치를 도시한 측면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1에 의한 권선후의 정류자 전동기용 고정자 절연장치를 도시한 평면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1에 의한 권선후의 정류자 전동기용 고정자 절연장치를 도시한 측면도.
제5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1에 의한 권선후의 정류자 전동기용 고정자 절연장치를 도시한 부분확대도.
제6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1에 의한 자동권선기에 의해 고정자코어에 권선을 실행할때의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제7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2에 의한 고정자측 접속단자와 브러시측 접속단자를 접속할때의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제8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3에 의한 정류자 전동기용 고정자 절연장치를 도시한 평면도.
제9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5에 의한 정류자 전동기용 고정자 절연장치를 도시한 평면도.
제10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5에 의한 정류자 전동기용 고정자 절연장치를 도시한 측면도.
제1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6에 의한 정류자 전동기용 고정자 절연장치를 도시한 평면도.
제12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6에 의한 정류자 전동기용 고정자 절연장치를 도시한 측면도.
제13도는 종래의 권선전의 정류자 전동기용 고정자 절연장치를 도시한 평면도.
제14도는 종래의 권선전의 정류자 전동기용 고정자 절연장치를 도시한 측면도.
제15도는 종래의 권선후의 정류자 전동기용 고정자 절연장치를 도시한 평면도.
제16도는 종래의 권선후의 정류자 전동기용 고정자 절연장치를 도시한 측면도.
제17도는 종래의 고정자에 자동권선기에 의해 권선을 실행할때의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제18도는 종래의 고장자에 자동권선기에 의해 권선을 실행할때의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제19도는 종래의 고정자를 회전자 등과 조합했을때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고정자 코어 1a : 폴부
1b : 슬롯 1c : 리테이너 장착부
2 : 권선 3 : 고정자 절연부
3a : 슬롯부 주변부분 3b : 슬롯내면
3c : 경사부 3d : 안둘레리브
3e : 바깥둘레리브 3f : 돌기
3g : 권선고정흠 4 : 리테이너
5 : 폼(form) 6 : 니들
7 : 고정자측 접속단자 8 : 브러시장치
9 : 브러시측 접속단자 10 : 가이드
11 : 모터 프레임 12 : 브래키트
13 : 테이프 14 : 끈
본 발명은 정류자 전동기용 고정자에 있어서의 고정자코어와 권선의 절연에 관한 것이다.
제13도는 예를들면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평성 3-190542호에 개시된 종래의 고정자를 도시한 평면도, 제14도는 그 측면도, 제15도는 권선후의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제16도는 그 측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1)은 전자강판 등에 의해 적층해서 형성된 고정자코어, (2)는 에나멜선 등에 의해 형성된 권선으로서 고정자코어(1)의 폴부(1a) 부근에 마려된 슬롯(1b)에 감겨져 있다. (3)은 고정자코어와 권선을 절연하고 있는 고정자 절연부로서, 통상 고정자코어 끝면의 슬롯부 주변부분(3a)에서 슬롯의 내면(3b)를 피복하도록 일체적으로 절연물로 성형되어 있다.
또, 제17도는 상기 정류자 전동기용 고정자에 자동권선기에 의해 권선을 실행할때의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제18도는 그 측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4)는 리테이너, (5)는 권선을 실행할때의 지그인 폼, (6)은 권선을 하는 니들이다.
제19도는 상기와 같은 정류자 전동기용 고정자를 회전자 등과 조합해서 탑재했을때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11)은 모터 프레임, (12)는 브래키트이다.
다음에,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고정자 절연부(3)은 고정자코어(1)과 권선(2)가 안정된 절연을 유지하기 위해 일정한 절연거리의 두께를 갖고, 고정자코어 끝면에서 권선이 접속하는 슬롯부 주변부분(3a)에서 슬롯내부(3b)에 걸쳐서 일체적으로 절연물에 의해 성형하는 것에 의해서 그 절연성을 향상시키고 있다.
또, 권선(2)은 모터 프레임(11)이나 브래키트(12)의 절연거리를 유지하기 위해서, 코일엔드부근을 고정자코어 끝면의 슬롯부 주변부분(3a)상으로 확장해서 코일엔드를 작게 하고 있다.
이상과 같은 정류자 전동기용 고정자에 있어서는 고정자에 권선을 실행할 때 통상 자동권선기를 사용한다. 먼저, 고정자코어(1)의 측면을 고정시키고 이 고정자코어(1) 끝면에서 폴부(1a) 부근(1c)에 리테이너(4)를 끼워넣는다. 다음에, 권선을 실행할때의 지그인 폼(5)를 고정자코어(1)의 안둘레측으로 넣어 상기 리테이너(4)와 접속한다.
그리고, 폼(5)를 각각 리테이너(4) 방향으로 끌어당겨 고정시키고, 권선을 하기 위해 니들(6)이 돌입방향으로 움직여서 고정자코어(1)에 권선을 실행한다.
이와 같은 방법을 채택하는 이유는 권선(2)의 코일엔드를 고정자코어 끝면의 슬롯부 주변부분(3a)상으로 확장하는 형태로 감기 때문에, 고정지그에 의해 고정자코어 끝면의 절연부(3a)를 누를 수 없기 때문이다.
또, 권선후에는 리테이너(4)를 빼내어 고정자코어(1)과 권선(2)사이에는 공간이 생기게 된다.
종래의 정류자 전동기용 고정자 절연장치는 이상과 같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권선후에 리테이너를 고정자코어와 권선 사이에서 힘을 가해도 빠지지 않아 리테이너를 빼내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리테이너를 무리하게 빼내어 권선에 손상을 입혀버리는 일이 있었다. 또, 리테이너를 빼낸 후 고정자코어와 권선 사이에 공간이 생겨버려 권선이 느슨해지거나 움직이는 일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자동권선기에 의해 고정자 절연부와 권선을 밀착해서 권선을 할 수 있는 정류자 전동기용 고정자 절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정류자 전동기용 고정자 절연장치는 고정자코어 끝면의 슬롯부 주변부분에서 슬롯의 내면을 피복해서 절연물에 의해 일체로 성형한 고정자 절연부를 마련함과 동시에, 이 고정자 절연부에 의해 고정자코어 끝면의 슬롯부측에서 폴부측을 향해 서서히 두꺼워지는 경사부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자코어 끝면이고 또한 상기 경사부 사이에 마련된 부분에서 상기 고정자 절연부가 분리되고, 이 부분에 자동권선기의 리테이너를 장착시키는 리테이너 장착부를 마련한 것이다.
또, 상기 고정자 절연부와 일체로 성형되고 고정자코어 끝면의 슬롯부 주변부분의 안둘레측 및 바깥둘레측에 각각 안둘레리브 및 바깥둘레리브를 마련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정류자 전동기용 고정자 절연장치는 고정자 절연의 고정자코어 끝면에 경사부를 마련하고 고정자코어 끝면의 경사부 사이에서 마련된 부분에서 고정자 절연을 분리하는 것에 의해서, 이 부분에 리테이너를 끼워넣는 공간인 리테이너 장착부를 마련한다. 그리고, 권선을 밀착해서 감아 고정자코어와 권선사이에 안정된 절연공간을 유지한다.
또, 안둘레리브 및 바깥둘레리브에 의해 절연물이 없는 고정자코어 끝면의 리테이너 장착부를 향해 권선을 원활하게 유도하여 좌우 균등하게 양호하게 밀착해서 감을 수가 있다.
[실시예 1]
이하, 본 발명의 1실시예를 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1실시예를 설명한 고정자의 권선전의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제2도는 그 측면도이다. 또, 제3도는 제1도의 권선후의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제4도는 제2도의 권선후의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또, 제5도는 제3도의 부분확대도로서, 고정자코어 끝면의 슬롯부 주변부분의 안둘레리브 및 바깥둘레리브를 강조한 도면, 제6도는 제1도의 상태에 따라 자동권선기에 의해 권선을 실행할때의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로서, 세로로 설치된 고정자코어에 자동권선기가 부착되어 있다.
도면에 있어서 (1)은 전자강판 등을 적층해서 성형된 고정자코어, (2)는 에나멜선 등으로 형성된 권선으로서, 상기 고정자코어(1)의 폴부(1a) 부근에 마련된 슬롯(1b)에 감겨져 있다. (3)은 고정자코어(1)와 권선(2)를 절연하고 있는 고정자 절연부로서, 상기 고정자코어(1) 끝면에서 권선(2)가 접촉하고 있는 슬롯부 주변부분(3a)에서 슬롯내부(3b)에 걸쳐서 상기 고정자코어(1)을 피복하도록 절연물에 의해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3c)는 상기 고정자 절연부(3)과 일체로 성형되고, 상기 고정자코어(1) 끝면의 슬롯부측에서 폴부측을 향해 서서히 두꺼워지는 상기 고정자 절연부(3)의 경사부, (1c)는 상기 고정자코어(1) 끝면이고 또한 상기 경사부(3c) 사이에 마련된 부분에 마련되는 리테이너 장착부로서, 이 부분에는 절연물이 없으며 따라서 이 부분에서 고정자 절연부(3)은 분리되어 있다. (3d),(3e)는 상기 고정자 절연부(3)과 일체로 성형되고, 상기 고정자코어(1) 끝면의 슬롯부 주변부분(3a)의 안둘레측 및 바깥둘레측에 각각 마련된 안둘레리브 및 바깥둘레리브이다. (4)는 리테이너, (5)는 권선을 실행할때의 지그인 폼, (6)은 권선을 실행하는 니들이다.
다음에,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고정자코어(1)과 권선(2) 사이의 절연은 종래의 폴리에스테르등 의 절연막에 의해 형성되어 있던 절연지를 슬롯 내면에 접착하는 방법에서는 자동권선기에 의해 고정자코어(1)에 권선을 실행할때에 절연지가 떨어지거나 절연지와 고정자코어(1) 사이에 권선(2)가 말려들어가는 일이 있었지만, 제1도와 같이 고정자코어(1)의 슬롯부 주변부분(3a)에서 슬롯내면(3b)에 걸쳐서 상기 고정자코어(1)을 피복하도록 일체적으로 절연물에 의해 고정자 절연부(3)을 성형하는 것에 의해서, 상기 고정자코어(1)과 권선(2)의 절연성이 향상되고 권선시의 권선의 말려들어감이나 절연지의 박리에 의한 절연불량을 없앨 수 있게 된다. 단, 절연물은 그 자체가 절연거리를 확보하기 위한 두께를 갖고 있으므로, 자동권선기의 리테이너(4)를 상기 절연물론 성형된 고정자 절연부(3)상에서 중첩해서 삽입하는 방식으로 하면 코일엔드가 커져 버린다. 또, 편평한 고정자 절연부의 고정자코어 끝면 부분상에 중첩해서 리테이너를 삽입한 것에서는 권선후에 리테이너를 빼고 나면 고정자 절연부와 권선 사이에 공간이 생겨 권선이 느슨해지거나 움직이는 일이 있다.
제1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고정자코어(1)의 슬롯부축에서 폴부측에 걸쳐 서서히 두꺼워지는 경사부(3c)를 마련하고, 이 경사부(3c)의 풀부측의 두께를 리테이너(4)의 두께와 동일하게 하거나 또는 그 이상으로 하며 경사부(3c)와 경사부(3c)사이에는 상기 절연물 대신에 그 부분에서 상기 고정자 절연부(3)이 분리된 리테이너 장착부(1c)를 마련해두면, 상기 리테이너(4)를 상기 고정자코어(1) 끝면에 접촉시켜서 삽입할 수 있게 되므로 코일엔드를 작게 할 수 있다. 또, 리테이너(4)를 빼낸 후 경사부와(3c)와 경사부(3c)사이에는 공간이 생기지만, 권선(2)와 고정자 절연부(3)은 밀착된 상태이므로, 종래와 같이 권선(2)와 고정자 절연부(3) 사이에 공간이 생기는 일은 없어 권선후 권선(2)가 느슨해지거나 움직이는 일도 없어진다.
또, 상기 경사부(3c)와 경사부(3c)사이의 리테이너 장착부(1c)에는 절연물이 없지만, 경사부(3c)와 폴부측의 두께를 절연공간의 절연거리를 확보할 수 잇을 정도의 두께로 해두면 권선(2)와 고정자코어(1)의 절연은 확보된다.
제5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고정자코어(1) 끝면의 슬롯부 주변부분(3a)에 상기 고정자 절연부(3)과 일체로 성형된 안둘레리브(3d) 및 바깥둘레리브(3e)를 마련하면 권선을 실행할 때 리브를 따라 권선(2)가 좌우 균등하게 양호하게 감기므로 권선의 밀착도가 향상된다. 또, 품질의 향상에 따라서 코일엔드를 작게 할 수 있으므로, 코스트를 저감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정류자 전동기용 고정자 절연장치에 있어서는 통상 고정자 조립라인상에 설치된 성형기에 의해 고정자코어(1)이 전자강판 등으로 적층된 후 상기 고정자코어(1)을 폴에서 코오킹한다.
다음에, 고정자코어(1) 끝면의 슬롯부 주변부분(3a)에서 슬롯내면(3b)에 걸쳐서 상기 고정자코어(1)을 피복하도록 하여 사출성형기 등을 이용하는 것에 의해 수지 등의 절연물로 고정자 절연부(3)을 일체적오르 성형하고, 브러시장치(8)이나 전원과 전기접속하는 고정자측 접속단자(7)을 삽입한다. 다음에, 권선(2)가 자동권선기에 의해 감겨지지만, 그 공정은 제6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먼저 상기 고정자코어(1)의 측면을 고정하고, 자동권선기의 리테이너(4)를 상기 리테이너 장착부(1c)에 끼워넣는다. 이때, 종래와 같은 고정자코어 끝면에서의 편평한 고정자 절연부에서는 리테이너(4)를 고정자 절연부상에 중첩해서 배치하는 상태로 되어 권선후 권선과 고정자 절연부 사이에 공간이 생기게 된다. 그러나, 리테이너 장착부(1c)에 리테이너(4)를 끼워넣는 것에 의해 권선(2)와 고정자 절연부(3)을 밀착시켜서 권선할 수가 있다. 다음에, 권선을 실행하기 위한 지그인 폼(5)를 상기 고정자코어(1)의 안둘레측에서 삽입해서 상기 리테이너(4)와 접속한다. 그리고, 상기 폼(5)를 각각 리테이너(4) 방향으로 끌어당겨 고정시키고, 권선을 실행하는 니들(6)이 돌입방향으로 움직여서 상기 고정자코어(1)에 권선을 실행한다. 이와 같은 권선방법을 채택하는 이유는 제17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같이, 고정자를 회전자 등과 조합해서 탑재했을 때 모터 프레임(11)이나 브래키트(12)와의 절연거리를 확보하기 위해 권선(2)의 코일엔드의 높이에 규제가 있고, 고정자코어(1) 끝면상로 확장하는 형태로 감기위해 고정지그로 코어끝면의 절연물을 누를 수 없는 것에 기인하지만 권선(2)의 선직경이 0.5~1.0mm 정도로 크기 때문에 권선을 실행하기 위한 스트록량이 상당히 필요하게 되고, 권선(2)를 작고 단단하게 감기 위해서는 권선등의 구성을 상당히 복잡하게 하지 않으면 안되며, 그 결과 자동권선기의 세로방향 치수가 커져 코스트도 높아지므로 고정코어(1)을 세로로 설치해서 리테이너(4)를 고정시키는 방식쪽이 권선(2)를 양호하고 정확하게 감을 수 있기 때문이다.
자동권선기의 코스트를 저감하고 설치공간을 삭감하기 위해서는 상기와 같은 권선의 공정이 좋고, 이와같은 공정에서는 권선(2)와 고정자 절연부(3)을 밀착시켜서 코일엔드를 작게 권선할 수 있는 리테이너 장착부(1c)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에서는 고정자코어 끝면의 슬롯부 주변부분에서 슬롯 및 경사부를 절연물에 의해 일체로 성형하고 있지만, 제1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같이 또 고정자코어 끝면에 브러시장치나 전원과 전기접속하는 고정자측 접속단자(7)를 내장한 돌기(3f)를 상기 절연물에 의해 일체로 성형하고 있다. 또, 제7도에는 고정자와 브러시장치를 접속할때의 상태를 도시하고 있고, (8)은 브러시장치, (9)는 고정자와 브러시를 전기접속할때의 고정자측 접속단자의 접속부분인 브러시장치측 접속단자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정류자 전동기용 고정자 절연장치는 통상 고정자 조립라인상에 설치된 성형기에 의해 고정자코어(1)이 전자강판 등으로 적층된 후 사출성형 등에 의해 고정자 절연부(3)을 일체로 성형하고, 다음 공정에서 고정자코어(1) 끝면에 마련된 돌기(3f)의 홈에 고정자측 접속단자(7)을 삽입한다. 다음에, 권선(2)가 자동권선기에 의해 권선되지만, 권선의 방법은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다. 제7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고정자와 브러시장치 및 전원과의 접속은 상당한 치수정밀도를 필요로 한다 그러나, 전자강판 등으로 적층된 고정자코어(1)은 형상에 자유도가 없어 코어적층의 불균일에 의해서 고정자측 접속단자(7)과 브러시측 접속단자(9)의 치수에 어긋남이 생겨 접속불량을 발생시킬 염려가 있었다.
이것에 대해서, 상기와 같이 고정자측 접속단자(7)을 내장한 돌기(3f)를 절연물의 수지에 의해 상기 고정자 절연부(3)과 일체적으로 성형하는 것에 의해서 코어적층의 불균일을 일체성형의 금형으로 흡수할 수 있게 되었으므로, 상당한 치수정밀도를 필요로 하는 고정자측 접속단자(7)의 설치가 가능하게 되어 고정자측 접속단자(7)과 브러시측 접속단자(9)의 접속불량을 방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고정자측 접속단자(7)을 고정밀도로 자유로운 위치에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실시예 3]
제8도는 상기 실시예 2와 같이 구성된 정류자 전동기용 고정자 절연장치에 있어서 고정자코어(1)에 권선을 실행했을때 권선종료후 권선단말기(2a)를 고정자측 접속단자(7)에 원활하게 연장하는 가이드(10)을 마련해서 공작상 권선하기 쉬운 정류자 전동기용 고정자 절연장치를 얻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정류자 전동기용 고정자 절연장치는 자동권선기로 권선된 후 권선단말기(2a)가 가이드(10)에 의해서 소정의 고정자측 접속단자(7)을 향해 원활하게 안내된다.
[실시예 4]
상기 실시예 2에서는 고정자측 접속단자(7)을 구비한 돌기(3f)가 고정자코어(1) 끝면의 4곳에 배치되어 있었지만, 수지 등의 절연물에 의해 고정자 절연부(3)과 일체로 성형된 돌기(3f)에는 높은 치수정밀도이고 설치의 자유도가 있으므로, 상기 실시예 3의 권선단말부(2a)를 원활하게 연장하는 가이드(10)을 사용해서 제8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돌기(3f)를 배열할 수도 있다.
[실시예 5]
상기 실시예 2에서는 고정자코어(1) 끝면에 마련된 돌기(3f)는 제1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같이 각각 4곳에 배치되어 있지만, 제9도, 제10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고정자코어(1) 끝면의 동일측의 돌기(3f)를 일체로 성형해서 배치할 수도 있다.
[실시예 6]
제11도, 제12도는 실시예 6을 도시한 정류자 전동기용 고정자 절연장치의 평면도와 측면도이다. 본 실시예는 상기 실시예 2와 같이 구성된 정류자 전동기용 고정자 절연장치에 있어서 고정자코어(1)에 권선을 실행할 때 안둘레리브(3d)를 높게 하고 폴끝면의 적어도 한쪽에 마련된 홈에 권선(2)의 권선끝을 고정시키는 것에 의해서, 권선(2)가 안둘레측으로 넘어들어가는 권선 흐트러짐의 방지를 도모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정류자 전동기용 고정자 절연장치는 통상 제3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자동권선기에 의해 권선된 후 권선의 흐트러짐을 방지하기 위해서 권선(2)를 테이프(13) 또는 끈(12)에 의해 고정시킨 상태에서 다음 공정인 권선 융착건조나 모터조립을 실행하고 있었다. 상기와 같이 안둘레리브(3d)를 높게 하고 폴 끝면의 적어도 한쪽에 마련된 권선고정흠(3g)에 권선(2)의 권선끝을 고정시키는 것에 의해서, 권선(2)를 테이프(13) 또는 끈(14)에 의해 고정시키지 않아도 권선의 흐트러짐을 방지할 수 있게 되었다.
본 발명은 정류자 전동기용 고정자 절연장치에 있어서 고정자코어 끝면의 슬롯부 주변부분에서 슬롯의 내부를 피복해서 일체로 절연물에 의해 성형하고, 상기 고정자코어와 권선을 절연한 고정자 절연부, 이 고정자 절연부의 고정자코어 끝면의 슬롯부측에서 폴부측을 향해 서서히 두꺼워지는 상기 고정자 절연부의 경사부, 상기 고정자코어 끝면이고 또한 상기 경사부 사이에 마련된 부분에서 상기 고정자 절연부가 분리되고, 이 부분에 자동권선기의 리테이너를 장착시키는 리테이너 장착부를 마련했으므로, 자동권선기에 의한 권선에 있어서 권선과 고정자 절연부를 밀착시켜 권선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 안둘레리브를 높게 하고 폴끝면의 적어도 한쪽에 마련된 홈에 권선의 권선끝을 고정시킨 것에 의해서, 제조공정을 생략할 수 있음과 동시에 코스트를 저감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Claims (2)

  1. 고정자코어 끝면의 슬롯부 주변부분에서 슬롯의 내면을 피복해서 절연물에 의해 성형하고 고정자코어와 절연시킨 고정자 절연부, 상기 고정자 권선을 절연부의 고정자코어 끝면의 슬롯부측에서 폴부측을 향해 서서히 두꺼워지는 상기 고정자 절연부의 경사부 및 상기 고정자코어 끝면이고 또한 상기 경사부 사이에 마련된 부분으로서 이 부분에서 상기 고정자 절연부가 분리되고, 상기 권선을 자동적으로 감는 자동 권선기의 리테이너를 상기 분리된 부분에 접촉해서 장착시키는 리테이너 장착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류자 전동기용 고정자 절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고정자 절연부와 일체로 성형되고 고정자코어 끝면의 슬롯부 주변부분의 안둘레측 및 바깥둘레측에 각각 마련된 안둘레리브 및 바깥둘레리브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류자 전동기용 고정자 절연장치.
KR1019920020764A 1991-11-15 1992-11-06 정류자 전동기용 고정자 절연장치 KR9600135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1-300479 1991-11-15
JP30047991 1991-11-15
JP4118707A JPH05191941A (ja) 1991-11-15 1992-05-12 整流子電動機用固定子絶縁装置
JP92-118707 1992-05-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1371A KR930011371A (ko) 1993-06-24
KR960013545B1 true KR960013545B1 (ko) 1996-10-07

Family

ID=264565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20764A KR960013545B1 (ko) 1991-11-15 1992-11-06 정류자 전동기용 고정자 절연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05191941A (ko)
KR (1) KR96001354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68187B2 (ja) 2009-01-16 2012-02-01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電動機
JP5862869B2 (ja) * 2011-11-30 2016-02-16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モールドモータ
CN111684184B (zh) * 2017-09-28 2022-03-22 艾默生自动化解决方案终控美国公司 原位垫圈组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5191941A (ja) 1993-07-30
KR930011371A (ko) 1993-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299559B1 (en) Molded motor
JPH0514506B2 (ko)
US5508578A (en) Stator unit of flat motor
EP0612139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making stators for electric motors and the like, and improved terminal boards therefor
US3748511A (en) Stator lead anchoring and splice-insulating slot insulator structure and method
US3862492A (en) Method for production of stator lead anchoring and splice-insulating slot insulator structure
KR960013545B1 (ko) 정류자 전동기용 고정자 절연장치
KR0173163B1 (ko) 전동기
JPH09322439A (ja) 回転電機の固定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6201866A (ja) 固定子およびその固定子の鉄心に取り付けられた絶縁体の製造方法ならびにその固定子を備えた回転電機
US5109173A (en) Rotor insulating core for miniature motors
JP6566896B2 (ja) ステータの製造方法、および巻線装置
EP0570231B1 (en) Stator unit of flat motor
KR0125799B1 (ko) 회전기
JPH0522908A (ja) 回転電機用固定子及びその製造方法
JPS5814580Y2 (ja) 電磁コイル
JP4635323B2 (ja) ステータ製造方法
JPH05199703A (ja) 回転電機
JPH01248937A (ja) 電機子コアのスロット絶縁材およびその装着方法
JP4448372B2 (ja) モールド変圧器の製造方法
JPH0274137A (ja) 界磁組立体
JP2570828Y2 (ja) 回転電機コイル
JPS6012868B2 (ja) 無鉄心形回転子
JPH04364336A (ja) 誘導電動機の固定子
JPH06303745A (ja) 電動機の固定子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00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