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13380B1 - 팔걸이를 갖춘 의자 - Google Patents

팔걸이를 갖춘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13380B1
KR960013380B1 KR1019930001148A KR930001148A KR960013380B1 KR 960013380 B1 KR960013380 B1 KR 960013380B1 KR 1019930001148 A KR1019930001148 A KR 1019930001148A KR 930001148 A KR930001148 A KR 930001148A KR 960013380 B1 KR960013380 B1 KR 9600133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rest
attachment
chair
separation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011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05254A (ko
Inventor
카나이 히로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우치다 요우코우
히사다 히도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우치다 요우코우, 히사다 히도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우치다 요우코우
Publication of KR9400052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52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133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338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54Supports for the arms
    • A47C7/546Supports for the arms of detachable typ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4/00Foldable, collapsible or dismountable chairs

Landscapes

  • Chairs Characterized By Structure (AREA)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 Special Chai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팔걸이를 갖춘 의자
제1도는 본 밭명에 따른 의자의 팔걸이가 분리된 상태의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에 도시한 의자의 프레임을 도시한 사시도.
제3도는 시이트부의 양쪽 측방에 구비된 2개의 팔걸이 부착부중의 하나만을 도시한 사시도.
제4도는 제3도에 도시한 팔걸이 부착부에 대한 사시도.
제5도는 제4도의 A-A선을 따른 단면도.
제6도는.본 발명에 따른 의자의 팔걸이에 대한 제1실시예의 사시도.
제7도는 제6도에 도시한 팔걸이의 부착선단부를 아래에서 본 상태의 사시도.
제8도는 제6도에 도시한 팔걸이의 분리사시도.
제9도는 제6도의 부착선단부가 제3도의 팔걸이 부각부에 삽입된 상태의 단면도.
제10도는 제9도의 팔걸이 부착부에 스토퍼가 삽입된 상태의 단면도.
제11도는 제10도의 스토퍼에 대한 사시도.
제12도는 제9도와 비슷한 상태의 것으로서 다른종류의 스토퍼가 삽입된 것.
제13도는 제12도의 스토퍼에 대한 사시도.
제14도는 제9도에 이탈방지걸림판이 부서진 경우 어떻게 할 것인가를 설명하기 위한 제8도의 B-B선을 따른 단면도.
제15도는 이탈방지수단의 다른실시예에 대한 분리사시도.
제16도는 제15도의 조립사시도.
제17도는 제15도의 실시예를 아래에서 본 상태의 사시도.
제18도는 제15도의 실시예에 록킹레버가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
제19도는 팔걸이를 부착시키지 않는 경우의 팔걸이 부착부에 대한 단면도.
제20도는 본 발명에 따른 의자의 팔걸이에 대한 제2실시예의 사시도.
제21도는 제20도의 팔걸이에 따른 부착선만부의 사시도.
제22도는 제21도의 C-C선을 따른 단면도.
제23도는 종래 의자의 정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의자 2 : 팔걸이.
2a : 수직부 2b : 팔꿈치걸이부.
2c : 하단부 3 : 시이트부
4 : 프레임 4a : 수평부
5 : 다리 5a : 캐스터,
5b : 수직부 6 : 등받이부
7 : 팔걸이 부착프레임 8 : 팔걸이 부착부
9 : 상부판 10 : 하부판
11 : 바닥면부 12 : 홈통부
13 : 위치결정구멍 14 : 바닥면
15 : 이탈방지구멍 16 : 측면
17 : 경사안내면 18 : 경사안내면
20 : 부착선단부 21 : 시이팅플레이트
21a : 수평부 22 :스크류
23 : 돌기부 24 : 핀
25 : 위치결정돌기부 26 : 스페이서
27 : 스크류 28 : 삽입부
29 : 돌출부 30 : 돌출부
31 : 이탈방지걸림관 32 : 경사면
33 : 경사면 34 : 걸림돌기
35 : 작동부 36 : 너트
37 : 결합보울트 38 : 밀폐커버
39 : 밀폐커버 40 : 스토퍼
41 : 복귀방지 걸림돌기 42 : 스토퍼
42a : 선단면 43 : 복귀방지 걸림돌기
44 : 스크류 45 : 스크류구멍
46 : 축 47 : 고정레버
48 : 고정걸림돌기 49 : 걸림돌기
50 : 작동부 51 : 걸림판
52 : 스토퍼 53 : 밀폐두껑판
54 : 밀폐부
본 발명은 사무용 등으로 설계된 의자에 관한 것으로, 특히 팔걸이를 필요에 따라 자유로이 붙이고 뗄수 있도록 한 팔걸이를 갖춘 의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무실등에서 사용하는 의자(c)는 제2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이트부(b)와 이 시이트부의 양쪽에 부착되어 팔꿈치를 올려놓을 수 있도록 된 팔걸이(c)를 구비하고 있는바, 이러한 의자의 실예로서는 일본국 특허 공개소화 60-60813호에 게재된 것이 있다.
그런데 이러한 타입으로된 의자(a)의 팔걸이(c)는 의자(a)를 제조하는 단계에서 팔걸이(c)의 바닥부(e)를 시이트부(b)의 아래에 부착된 바닥판(d)데다 보울트(f)로 고정시키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제조과정중에 팔걸이(c)를 제위치에 고정시켜 의자를 완성된 조립상태로 만들게 된다. 따라서 운반하기 전에 일시 처장하거나 이송하는 단계에서 팔걸이가 부착된 상태로 의자를 취급해야만 한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의자는 소비자의 모든 요구조건에 맞추기 위해 팔걸이의 디자인과 색깔을 여러가지로 다르게한 의자를 제조공급해야만 하므로, 제조자가 여러가진 타입의 표준형을 만들어야 하고 제조 및 저장관리를 더욱 복잡하게 하며 이에 따라 붙필요하게 경비가 많이 소요되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팔걸이가 없는 상태로 의자를 공급하고 팔걸이는 소비자의 요구에 따라 여러가지 다른 디자인과 색깔로 된 것을 선택적으로 부착시킬 수 있으며. 팔걸이를 간단하게 부각시킬 수 있도록 한 팔걸이를 갖춘 의자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팔걸이를 자유로이 부착 및 분리할 수있도록 된 의자로서, 다리와 등반이부가 시이트의 아랫면에서 프레임에 연결되고, 시이트부의 측방향을 따른 시이트 아랫면의 양쪽 선단에 팔걸이의 부착부가 구비된 기본적인 의자유니트에서, 각 팔걸이의 하단에 구비된 부착선단부가 팔걸이 부착부중 하나의 내부에 구비된 위치결정구멍속으로 삽입되어질 수 있게된 위치결정 돌출부와, 팔거리 부착부의 안내부를 따라 위치하면서 안내면과 긴밀하게 접촉지지되는 부착바닥부 및. 상기 부착선단부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팔걸이부착부에 구비되어 있는 이탈방지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팔걸이를 부착시키지 않을때에는 팔걸이가 없는 의자, 즉 다리와 시이트부 및 등받이부만을 갖춘 의자가 되는데, 이 의자는 사용하고자 하는 목적에 따라 팔걸이없는 의자로 공급될 수가 있다.
그런데 만약 이 의자에 팔걸이를 부착시키고자 할때는 각 팔걸이의 부착선단부를 시이트부의 각 측방선단에 있는 해당 팔걸이선단부에다 삽입시키고, 상기 위치결정돌출부를 위치결정구멍과 결할시켜 삽입위치를 결정지우는 한편. 부각바닥부를 흔들림없이 확고하게 부착부의 안내면과 접촉하도록 하며. 팔걸이가 의자에서 부터 뜻하지 않게 빠져나오지 않도록 하기 위해 이탈방지수단을 체결시킴으로써 팔걸이를 의자에 확실하게 조립시킬 수가 있다.
그러므로 다른 디자인과 색깔의 팔걸이를 분리하여 공급할 수가 있으므로 생산자는 소비자의 요구에 따라 요구하는 팍걸이를 간단히 선택하여 결합함으로써 해당 팔걸이를 갖춘 다른 의자를 즉각적으로 공급해 줄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의자(1)에서 팔걸이(2)가 분리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제2도는 상기 의자(1)의 프레임을 도시한 사시도로서. 이 의자(1)에는 시이트부(3)와, 측면에서 보아 거의 L자형으로 이루어져 있으면서 상기 시이트부(3) 아래에 배치되는 금속프레임(4), 이 프레임(4)의 수평부(4a)에 부착되어 있는 캐스터(5a)를 갖추고 있는 다리(5) 및, 상기 프레임(4)의 뒷쪽 수직부(4b)에 부착되어 있는 등받이부(6)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4)의 수평부(4a)의 수평부(4a)에는 이 프레임(4)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팔걸이 부착프레임(7)이 갖추어져 있고, 그 각 선단에는 팔걸이 부착부(8)가 구비되어 있으며, 이 팔걸이 부착부(8)는 시이트부(3)의 측방향을 따른 각 측면에서 개구부를 형성시키도록 배치되어 있다.
상기 각 팔걸이 부착부위의 형상을 제3도 내피 제5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부판(9)과 하부판(10)이 형성시키는 공간부를 갖추고 이 공간부속에 팔걸이(2)의 부착선단부(20)가 삽입되어지도록 된 터널형상으로 되어 있다.
상기 하부판(10)의 길이방향을 따른 중심부는 홈통부(12)를 이루도록 움푹들어가 그 양쪽 측방에 베치된 바닥면부(11)보다 한단계 아래쪽에 위치하며서 상기 부착선단부(20)이 안내부를 형성시키도록 되어 있고, 팔걸이 부착프레임(7)의 측방에 있는 상기 홈통부(12)의 안쪽선단에는 위치결정구멍(13)이 관통되어 뚫려져 있다.
상기 홈통부(12)의 개구단 가까이에 있는 바닥면(14)에는 이탈방지수단으로서 사각형의 이탈방지구멍(15)이 뚫려져 있고, 이 홈통부(12)의 개구단쪽에는 측면(16)의 바깥쪽 선단이 바깥쪽으로 점점 벌어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안내면(17)이 갖추어져 있으며, 이 경사안내면의 내측방길이에 부합하는 기준보다 한 단계 높은 바닥면부(11)가 바깥측방을 향해 아랫쪽으로 경사진 경사안내면(18) 안쪽에 형성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각 팔걸이(2)는 인공합성수지와 같은 재질로 만들어져 있으며 제1도와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선단부(20)에서부터 올라온 수직부(2a)에서 먼저 뒷쪽으로 굽혀진 다음 다시 앞쪽으로 뻗어 있는 팔꿈치걸이부(2b)로 이루어져 있는데, 상기 팔걸이(2)의 부착선단부(20)는 제6도의 위에서 본 사시도와 제7도의 아래에서 본 사시도 및 제8도의 분리사시도에서와 같이 측면에서 보아 거의 L자형으로된 금속제의 시이팅플레이트(21)가 팔걸이(2)의 하단부(2c)에 스트류(22)로써 고정되어 있고, 이시이팅 플레이트(21)의 수평부(21a)중심에는 윗쪽으로 돌출된 돌기부(23)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돌기부(23)의 아랫쪽에는 점착제와 같은 수단에 의해 핀(24)이 부착되어 있는 한편, 이 핀(24)의 선단에는 위치결정돌기부(25)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팔걸이(2)의 하단부(2c)의 아랫쪽에는 부착바닥부의 역할을 하는 스페이서(26)가 스크류(27)에 의해 부착되어 있는데, 이 스페이서(26)는 인공합성수지로 만들어져 있으면서, 상기 팔걸이부착부(8)의 홈통부(12)속으로 가능한 긴밀하게 삽입되는 사각형의 삽입부(28)와, 이 삽입부(28)의 양측방에서 수평방향을 따라 뻗어나와 있는 돌출부(29) 및 2개의 평행한 스릿트(30) 사이에서 수직방향을 따라 탄성적으로 자유로이 이동하도록 형성된 이탈방지걸림판(31)을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핀(24)이 스페이서(26)속으로 삽입될때 위치결정돌기부(15)는 스페이서 (26)의 선단에 대해 압착을 받게 되고. 상기 돌출부(29)의 측면은 팔걸이 부착부(8)의 측면(16)에 구비되어 경사안내면(17)과 긴밀하게 결합되게 되는 경사면(32)을 형성시키며, 상기 돌출부(29)의 아랫면은 팔걸이 부착부(8)의 바닥면부(11)에 구비된 경사안내면(18)과 긴밀하게 결합되게 되는 경사면(33)을 형성시킨다.
상기 이탈방지 걸림판(31)의 자유단 가까이의 바닥면에는 걸림돌기(34)가 돌출형성되어 위치결정돌기부(25)가 위치결정구멍 (13)속으로 삽입되어 들어갔을때 상기 이탈방지구멍 (15)과 탄성적으로 결합되게 되고, 상기 걸림돌기(34)의 앞쪽선단면은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스페이서(26)가 하단부(2c)속으로 삽입될때 상기 걸림돌기 (34)가 이탈방지구멍 (15)에 자동적으로 결합되게 한다.
한편, 참조부호 35는 이탈방지 걸림판(31)의 자유단 아랫쪽면에서 부터 돌출되어 나온 작동부를 나타내고, 창조부호 36는 결합보울트(37)와 결합되는 너트를 나타내며, 참조부호 38과 39는 수직부(2a)의 양쪽 측단에 삽입되어 결합보울트(37,38)를 덮어주는 밀폐커버를 나타낸다.
제10도와 제11도는 상기 걸림돌기(34)가 뜻하지 않게 분리되지 않도록 방지해 주는 스토퍼(40)가 구비된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이 스토퍼(40)는 인공합성수지로 만들어지면서 U자형의 양쪽 다리부(40a)의 바깥쪽 선단면에 복귀방지걸림돌기 (41)가 구비되어, 제9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탈방지걸림판(31)의 작동부 선단면과 스페이서 (26)의 후단부(26a) 사이에 자유로이 끼워져 복귀방지걸림돌기 (41)의 선탈이 걸려지면 상기 작동부(35)가 밀려져 나오지 못하도록 하여 이탈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양쪽다리부(40a)를 함께 눌러잡으면 복귀방지걸림돌기(41)의 길림이 해제되어 스토퍼(40)를 빼낼 수 있게 된다.
제12도는 상기 스토퍼(40)와 다른 스토퍼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이 스토퍼(42)는 제1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길다란 박스형태의 인공합성수지로 만들어져 있으면서 그 길이방향의 양쪽 선단에서 부터 돌출되어 올라온 선단면(42a)의 바깥선단면에서 돌출된 복귀방지걸립편(43)을 구비하고 있는데, 이. 복귀방지걸림편(43)은 스페이서(26)의 측방선단부에서 결합부(도시안됨)와 결합되도록 설계되어져 여기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이탈방지걸림판(31)의 걸림돌기(34)는 제1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토퍼(42)속에 숨겨지게 되므로 여기에 외부에서 힘이 가해지게 되는 경우에도 작동부(35)의 바깥으로 밀려나오지 않게 된다.
제14도는 제8도의 B-B선 단면도로서, 이탈방지걸림판(31)이 부서져 나간경우, 스크류 결합시키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이 경우 스페이서(26)에 형성된 튜브형상의 삽입부(26b)를 통해 삽입된 스크류(44)는 팔걸이부착부(8)의 상부판(9)에 형성된 나사구멍속으로 나사결합되어 상기 이탈방지걸림판(31)이 부서져 없어진 경우에도 팔걸이를 부착시킬 수 있게 한다.
제15도에서 제17도까지는 팔걸이(2)의 부착선단부(20)가 록킹레버방법에 의해 고정되어 있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부착선단부(20)의 시이팅 플레이트(21)를 관통하고 있는 축(46)은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게 되어 있고, 이 축(46)의 하단에는 고정레버 (47)가 부착되어 있으며, 그 상단에는 고정걸림돌기(48)가 부착되어 있다. 따라서 고정레버 (47)를 회전시키면 제1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고정걸림돌기 (48)의 아랫면이 이루는 경사면(48a)이 팔걸이 부착부(8)의 상부관(9)의 윗면에 대해 압착을 받게되면 외력이 도움없이도 고정레버 (47)의 원주면 일부분에 형성된 돌출부(47a)가 팔걸이부착부(8)의 하부판(10)위에 위치하게된다.
제19도는 팔걸이부착부(8)를 밀폐시킨 채로 팔걸이(2)없이 의자를 사용하는 경우의 실시예률 도시한 것으로서, 걸림돌기(49)와 작동부(50)를 갖추고서 상기 이탈방지걸림판(31)과 비숫한 구조로된 걸림판(51)에 프레임(4)의 측면과 부딪히게 되는 스토퍼(52)와 팔걸이부착부(8)의 개구선단을 막아주는 밀폐뚜껑판(53)을 갖춘 밀폐부(54)가 구비되어 있다.
이하 상기한 실시예의 작동을 설명한다.
팔걸이(2)를 부착시키지 않으면 이 의자(1)는 다리(5)와 시이트부(3) 및 등받이부(6)로 구성된 팔걸이 없는 의자가 된다. 이 의자를 팔걸이 없는 의자로 사용하고자 할때는 양쪽부착부(8)의 개구단을 밀폐 두껑판(53)으로 밀폐시키는데, 상기 밀폐부(54)를 팔걸이부착부 (8)에다 삽입시킴으로써 이탈방지걸림판(51)의 걸림돌기(49)가 제19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탈방지걸림구멍(15)에 걸려지게 된다. 따라서 팔걸이 부착부(8)는 바깥에서 보이지 않게 밀폐되게 되고 이 의자는 일반적인 팔걸이 없는 의자와 마찬가지로 더이상의 변형을 시키지 않고도 그대로 사용할 수가 있다.
이러한 의자를 팔걸이 갖춘 의자로 셋팅시키고자 할때는 팔걸이(2)의 부착선단부(20)를 시이트부(3)의 양쪽 측면에서 개방되어 있는 팔걸이부착부(8)속으로 삽입시킴으로써 부착선단부(20)의 부착바닥부를 이루고 있는 각 스페이서(26)의 삽입부(28)가 팔걸이부착부(8)의 홈통부(12)속으로 삽입되게 된다.
이러한 삽입동작의 끝과정 가까이에서 위치 결정 돌기부(25)가 위치결정구멍 (13)속으로 삽임됨과 동시에 삽입 깊이가 결정되게 되고, 각 스페이서 (26)의 돌출부(29)의 경사면(32)은 팔걸이부착부 (8)의 해당 경사안내면(17,18)과 긴밀한 전촉을 하게됨과 더불어 이곳에서 흔들리지 않게 고정되고. 또한 이와 동시에 스페이서(26)의 이탈방지걸림판(3)의 걸림돌기 (34)가 위치결정구멍 (13)에 걸려지게 됨으로써 팔걸이 (2)의 부착선단부(20)는 이탈할 수 없게 부착된다.
그리고 팔걸이의 이탈을 확실하게 방지하고자 한다면 제11도 또는 제13도의 스토퍼(40,42)를 삽입시켜 이탈방지걸림판(31)의 작동부(35)가 힘을 받지 않게 함으로써 외부에서 힘이 가하여지는 경우일지라도 팔걸이(2)가 뜻하지 않게 빠져나오지 않게 된다. 이러한 위치결정돌기부(25)와 위치결정구멍(13) 사이의 결합과 스페이서(26)의 경사면(32,33)과 팔걸이부착부(8)의 경사면(17,18) 사이의 확실한 결합이 팔꿈치걸이의 흔들림없는 확실한 결합을 보장하게 된다.
그런데 만약 팔걸이(2)를 분리시킬 필요가 있다면 각 스토퍼(40,42)를 빼내고(사용한 경우에), 이탈방지 걸림판(31)의 작동부(35)를 밀어넣어 걸림돌기(34)가 위치결정구멍(3)에서 빠져나오게 한 다음. 팔걸이(2)의 부착선단부(20)를 간단히 밀어냄으로써 빼낼 수 있게 된다.
제14도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한개의 보울트(44)만을 빼내면 팔걸이(2)를 끌어낼 수 있게 되고, 제15도에서 제18도까지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고정레버(47)를 90' 회전시킴으로써 고정걸림돌기(48)를 팔걸이부착부(8)에서 분리니킬 수 있게 되며, 일단 이러한 고정을 해제시키고 나면 팔걸이(2)를 빼낼 수 있게 된다.
또한 제20도와 제21도 및 제2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의자의 팔걸이에 대한 제2실시예로서 이탈방지걸림판(31)의 양쪽 바깥측면에 보강리브(31a)를 구비시키고 금속시이팅플레이트(21)에 형성된 나사구멍(21a)에다 스크류(27)를 결합시킴으로써 상기 스페이서(26)를 팔걸이(2)의 하단부(2c)에다 고정시킬 수 있다. 그리고 스크류(23)의 머리가 돌출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밀폐커버(38a)에다 노치(38c)를 형성시킨다.
상기한 바와같은 구조로 함으로써 각기 다른 디자인과 색깔 및 재료로된 팔걸이를 별도로 분리하여 공급할 수 있으므로 필요한 갯수의 팔걸이를 갖춘 의자를 주문에 따라 즉시 공급할 수 있으며 저장보관도 간단해지며, 또 팔걸이의 형상은 도면에 도시된 것에만 국한되지 않고 루우프형상으로도 할 수 있을 것이며, 의자에 대하 설계의 일부로서 임의의 원하는 바의 형상을 선택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시이트부와 등받이부만을 갖춘 의자를 공급하고 이 의자에서 소비자의 요구에 따라 간단히 팔걸이를 부착시킴으로써 팔걸이를 갖춘 의자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그러므로 소매상의 재고를 샘플제품만으로 줄일 수가 있고 제조 및 저장관리도 간단해지므로 저장공간과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큰 잇점이 있다. 또 팔걸이의 부착은 팔걸이의 부착 선단부를 시이트부의 한쪽 측면선단에서 개구되어 있는 부착부에다 삽입시킴으로써 이루어지게 되므로 부착을 간단하기 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효과로서는 부착부와 부착선단부사이의 결합 또는 금속조립이 튼튼하므로 강도의 관점에서 보아도 뒤 떨어지지 않고, 또 팔걸이 부착선단부를 안내면으로써 고정지지시킬 수 있으므로 팔꿈치 걸이가 흔들리지 않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의자의 사용감각이 팔걸이를 보울트와 같은 수단으로 결합시킨 종래의 의자와 같게 된다.

Claims (4)

  1. 팔걸이(2)를 자유로이 부착시키고 분리해낼 수 있도록 된 의자에 있어서, 다리(5)와 등받이부(6)가 시이트부(3)의 아랫면에서 포레임(4)에 부착되어 있는 기본적인 의자유니트(1)와, 상기 시이트부(3)의 측방향을 따른 아랫면의 양쪽선단에 구비된 팔걸이부착부(8), 팔걸이(2)의 하단에 구비되면서 상기 팔걸인부착부(8)의 내부에 마련된 위치결정구멍(13)속으로 삽입되는 위치결정돌기부(25)를 갖춘 부착선단부(20), 상기 팔걸이부착부(8)의 안내부(l1,12)를 따라 안내면(17,18)과 긴밀한 접촉을 하면서 지지되는 부착바닥부 및, 상기 부착선단부(2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팔걸이부착부(8)에 마련된 이탈방지수단으로 구성된 팔걸이를 갖춘 의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바닥부가 팔걸이부착부(8)의 홈통부(12)속으로 긴밀하게 삽입되는 사각형의 삽입부(28)를 갖춘 스페이서(26)와, 상기 삽입부(28)의 바닥부 양쪽측면에서 수평으로 뻗어 있는 돌출부(29) 및, 상기 스페이서(26)에 형성된 2개의 평행한 스릿트(30)사이에서 수직방향을 따라 자유로이 탄성적으로 이동하도록 형성된 이탈방지걸림판(31)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걸이를 갖춘 의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수단이 이탈방지걸림판(31)으로 이루어지고, 이 이탈방리걸림판(31)의 자유단에 팥걸리부착부(8)의 바닥면을 관통하여 뚫려 있는 이탈방지구멍(15)에 탄성적으로 걸려지는 걸림돌기(34)가 돌출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팔걸이를 갖춘 의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걸림판(31)의 선단면과 스페이서(26) 사이에 스토퍼(40)가 자유로이 삽입되어지도록 끼워져 이탈방지걸림판(31)이 뜻하지 않게 빠져나오지 못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팔걸이를 갖춘 의자.
KR1019930001148A 1992-08-28 1993-01-29 팔걸이를 갖춘 의자 KR96001338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4230493A JPH0789973B2 (ja) 1992-08-28 1992-08-28 椅 子
JP92-230493 1992-08-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5254A KR940005254A (ko) 1994-03-21
KR960013380B1 true KR960013380B1 (ko) 1996-10-04

Family

ID=169086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01148A KR960013380B1 (ko) 1992-08-28 1993-01-29 팔걸이를 갖춘 의자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368364A (ko)
EP (1) EP0585515B1 (ko)
JP (1) JPH0789973B2 (ko)
KR (1) KR960013380B1 (ko)
DE (1) DE69303782T2 (ko)
TW (1) TW33688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00932Y2 (ja) * 1993-05-12 1996-06-12 株式会社内田洋行 椅 子
DE4437393A1 (de) * 1994-10-19 1996-04-25 Link Wilhelm Kg Befestigungsvorrichtung für eine Armlehne
US6554364B1 (en) 1995-02-17 2003-04-29 Steelcase Development Corporation Articulating armrest
US6882648B2 (en) * 2000-03-29 2005-04-19 Fujitsu Limited Communication device
AU783829B2 (en) * 2000-09-28 2005-12-08 Formway Furniture Limited A reclinable chair
JP5524537B2 (ja) * 2009-08-19 2014-06-18 株式会社イトーキ 椅子
US8376462B2 (en) * 2009-10-09 2013-02-19 PAC Seating Systems, Inc. Aircraft seat with adjustable armrests
JP5112415B2 (ja) * 2009-12-28 2013-01-09 コクヨ株式会社 椅子
KR200470236Y1 (ko) * 2011-04-25 2013-12-06 박윤호 책상 의자
US9883984B2 (en) * 2013-03-15 2018-02-06 Yunga Tart Llc Method and mechanism for securing a removable tray to a walker
DE102015210083A1 (de) * 2015-06-01 2016-12-01 Dauphin Entwicklungs- U. Beteiligungs-Gmbh Stuhl
US11622631B1 (en) * 2022-09-15 2023-04-11 Jay A. Berkowitz Apparatus and method for assembling a modular ergonomic chair without using fasteners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1854A (en) * 1885-02-03 Removable school and church seat
US2865430A (en) * 1957-01-22 1958-12-23 Folkner Frithjof Arrangement in dismountable office swivel chairs
US3036864A (en) * 1960-05-31 1962-05-29 Arai Zentaro Fixing device for back board, elbow rests and legs of a chair
US3989298A (en) * 1975-10-02 1976-11-02 Mohasco Corporation Seating furniture and hardware therefor
US3990745A (en) * 1975-11-03 1976-11-09 Everest & Jennings, Inc. Wheelchair with removable back
US4360281A (en) * 1980-07-24 1982-11-23 Syntex (U.S.A.) Inc. Reversible cam lock assembly
CA1220407A (en) * 1983-09-07 1987-04-14 Paolo Favaretto Adjustable chair
US4707026A (en) * 1986-06-02 1987-11-17 Johansson Paul J Mobile rocking wheelchair with position locking means
US4750784A (en) * 1987-06-26 1988-06-14 Omni Products International, Inc. Chairs having detachable backs
DE8902779U1 (ko) * 1989-03-08 1989-04-20 Mauser Waldeck Ag, 3544 Waldeck, D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303782T2 (de) 1997-03-06
EP0585515A1 (en) 1994-03-09
KR940005254A (ko) 1994-03-21
EP0585515B1 (en) 1996-07-24
JPH0789973B2 (ja) 1995-10-04
US5368364A (en) 1994-11-29
TW336888B (en) 1998-07-21
JPH0670828A (ja) 1994-03-15
DE69303782D1 (de) 1996-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13380B1 (ko) 팔걸이를 갖춘 의자
FR2639688A1 (fr) Collier monobloc de fixation de conducteurs pouvant se monter sur un goujon filete
JPH0842535A (ja) 物品の保持具
EP0182524B1 (en) Hinge arrangement
US4707033A (en) Device for releasably connecting a seat portion to the vehicle body
JPH1156412A (ja) バックル
KR910008178Y1 (ko) 비디오 카세트의 커버 잠금장치
FR2626329A1 (fr) Ecrou en forme de pince et assemblage realise a l'aide de cet ecrou
JP2000316616A (ja) 装身具用連結金具
FR2709614A1 (fr) Dispositif de fixation pour appareillage électrique.
CA1264118A (en) Bezel closure device particularly for eyeglasses frames
KR200250543Y1 (ko) 의자용 등받이
GB1589512A (en) Drawers
US5713230A (en) Gearshift-stick locking assembly with fluorescent shackle-positioning rubber frame
JPH0450201Y2 (ko)
JPH08180933A (ja) コネクタのロック構造
KR970009379B1 (ko) 차량용 콘솔박스개폐용 래치구조
KR910005533Y1 (ko) 모니터의 결합장치
JPH08129620A (ja) Pcカード用コネクタ
JPH06203619A (ja) 照明器具のカバー係止装置
JP2503184B2 (ja) 椅 子
JP4176284B2 (ja) グリルの取手と受け皿の連結装置
JPH0349602Y2 (ko)
KR200143490Y1 (ko) 컴퓨터 확장 모듈 고정 구조
JPH0712810U (ja) 炬燵やぐ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907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