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13290B1 - 자동차 충돌 방지 방법 - Google Patents

자동차 충돌 방지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13290B1
KR960013290B1 KR1019930020848A KR930020848A KR960013290B1 KR 960013290 B1 KR960013290 B1 KR 960013290B1 KR 1019930020848 A KR1019930020848 A KR 1019930020848A KR 930020848 A KR930020848 A KR 930020848A KR 960013290 B1 KR960013290 B1 KR 9600132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arm
vehicle
mode
sensor unit
dri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208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1228A (ko
Inventor
정진호
조정식
송제석
조덕상
Original Assignee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김주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김주용 filed Critical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300208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13290B1/ko
Publication of KR9500112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12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132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329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9/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signal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ne of main groups B60Q1/00 - B60Q7/00, e.g. haptic signal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동차 충돌 방지 방법
제1도는 본 발명의 자동차 충돌 방지 장치의 구성도.
제2도는 제1도의 세부구성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자동차 충돌 방지 방법의 동작 순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3 : 제1,2측방 센서부 2 : 전방 센서부
4 : 자동차 제어부 5 : 후방 세서부
6 : 중앙 처리 장치 7 : 속도 센서부
본 발명은 자동차의 주행시 발생 가능한 충돌 위험을 미리 감지하여 자동차의 충돌 사고를 사전에 방지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동차의 주행시 전방에서 주행중인 차량과의 거리를 계속 감시하고, 전방차와의 상대 속도를 계산함으로써 충돌 위험을 감지하여 경보를 하며, 자동차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 충돌 방치 장치 및 그 방지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주행중 발생되는 충돌 사고는 주로 운전자의 조작 잘못이나 부주의에 기인한다. 그러나, 현재의 자동차에는 이런 운전자의 실수를 막아주고 운전에 도움을 주는 보조 장치가 아직 장착되어 있지 않고, 다만 충돌시 운전자나 탑승자의 충격을 완화해 주는 장치인 안전 벨트나 에어백만 있는 상태이다.
따라서, 이런 보조 장치의 장착으로는 충돌 사고를 미리 막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자동차의 주행시 주행 방향에 대한 충돌 위험을 감지하여 경보 및 제거하고, 차선의 변경시 좌/우측방 사각 지대의 위험도 감지하여 경보하며, 주차시나 후진시에는 후방의 충돌 위험도 감지하고, 이와 동시에 측방의 충돌 위험도 감지하여 경보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즉, 전방 센서부를 통해 전방차와의 거리를 감지하여 전방차와의 거리와 전방차의 가감속의 정도에 따라 경보의 여부를 판단하고, 경보를 하여야 할 경우 경보와 함께 차량의 제어를 수행하며, 또한 측방 센서부를 통해 차선의 변경시 사각 지대의 자동차 유무를 판단하여 경보를 수행하고, 후진시에는 감지 범위를 줄여 좌/우측의 충돌 위험을 감지, 경보하도록 하며, 후방부에도 센서를 사용하여 후방의 장애물을 감지하여 경보하고, 차량의 제어를 하도록 한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자동차 충돌 방지 장치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차량의 차선을 변경하고자 할 경우 변경하고자 하는 차선 방향의 사각 지대에 차량 유무를 확인하여 주는 제1,2측방 센서부(1,3)와 : 차량의 주행시 주기적으로 앞차와의 거리를 검출하는 전방 센서부(2)와 ; 경보하여야 할 상황인 경우 경보 신호와 자동차 브레이크 시스템의 제어 등 자동차 제어를 수행하는 자동차 제어부(4)와 ; 차량의 후진시 후방의 장애를 유무를 파악하여 정보를 전송하는 후방 센서부(5)와 ; 각 센서부로부터 입력되는 정보를 받아 경보의 필요 유무를 판단하여 자동차 제어부(4)로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중앙처리장치(6)와 ; 항상 자차의 주행 속도를 제공하는 속도 센서부(7)로 구성한다.
제2도는 제1도의 중앙처리장치(6) 및 자동차 제어부(4)의 세부 구성도로써, 중앙처리장치는 전반 센서부(2)의 데이타를 처리하여 필요시 브레이크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6-1)와, 상기 전방 센서부(2)와 마이크로프로세서(6-1) 사이를 인터페이싱하는 디지탈 인터페이스(6-2) 및 아날로그 인터페이스(6-3)와, 측후방 센서부(5)와 마이크로프로세서(6-1) 사이를 인터페이싱하는 측후방 데이타 인터페이스(6-3)로 이루어지며 ; 자동차 제어부(4)는 LED등과 같은 디스플레이 소자를 이용하여 경보를 가능하도록 한 시각경보장치(4-1)와, 부저등과 같은 소자를 이용하여 경보를 가능하도록 한 청각경보장치(4-2)와, 마이크로프로세서(6-1)의 제어작용으로 엔진의 동작을 제어하는 엔진 전자제어장치(EMS-ECU : Electronic Management System-Electronic Control Unit ; 4-3)와, 마이크로프로세서(6-1)의 제어작용으로 변속장치를 제어하는 변속기 자동제어장치(TMS-ECU : Trans Mission-Electronic Control Unit ; 4-4)와, 마이크로프로세서(6-1)의 제어작용으로 에어백의 동작을 제어하는 에어백 제어장치(A/B-ECU : AirBag Electronic Control Unit ; 4-5)와, 마이크로프로세서(6-1)의 제어작용으로 브레이크 장치를 제어하는 자동브레이크 제어 시스템(ABC : Anti-Break System ; 4-6)과, 마이크로프로세서(6-1)의 제어작용으로 출발시 액셀페달을 제어하는 급출발 방지 시스템(TCS : Traction Control System ; 4-7) 등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하는 본 발명은 먼저 제1,2측방 센서부(1,3) 및 전방 센서부(2)로 차량이 차선을 변경하고자 할 경우 변경하고자 하는 차선 방향의 사각 지대에 차량 유무를 확인하고 주기적으로 앞차와의 거리를 검출하며, 이때 중앙처리장치(6)는 측방 센서부(1,3)와 후방 센서부(5) 그리고 전방 센서부(2)로부터 자동차 주변의 물체와의 거리를 디지탈 또는 아날로그 신호로 입력받아 위험의 판단에 필요한 데이타로 변환하여 위험을 판단하며 속도센서부(7)로부터 입력되는 차속펄스로부터 현재 차속을 계산하여 위험상황이라고 판단이 되면 자동차 제어부의 경보장치(4-1,4-2)를 구동하여 시각적인 경보와 청각적인 경보를 행한다. 또한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엔진전자제어장치(4-3)를 제어하여 엔진 rpm의 회전수를 줄이고, 변속기 자동제어장치(4-4)를 제어하여 차량에 알맞은 변속을 행하도록 한다. 그리고 차간의 거리가 급속히 가까워져 일정충격 이상으로 충돌할 것으로 예상되는 경우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에어백 제어장치(4-6)를 제어하여 차량 사고로 인한 충격전달을 감소시킨다.
상기과 같이 구성하는 본 발명의 중앙처리장치의 제어동작을 살펴보면, 자동차의 시동과 함께 장치는 동작을 수행하고, 우선 자동차 충돌 방지 장치의 각 센서부를 진단하는 자가 진단을 수행한 후, 차량의 주행 상태에 따라 전방 경보 모드로 동작하여야 하는지 판단한다.
만약 전방 경보 모드가 아니라면 측방 경보 모드로 동작하여야 하는지를 판단하고, 이것도 아니라면 후방 경보 모드로 동작하여야 하는가 판단한다. 이들 조건이 모두 아닌 경우에는 다시 전방 경보 모드로 동작하여야 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경보 모드 판단 루프를 수행한다.
이때 어느 일방향에서 경보 모드가 발생하면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해 그 방향에 대한 경보를 행하거나 청각 인식장치를 통하여 운전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하고, 동시에 브레이크 시스템과 엔진전자 제어장치 및 변속기 자동체어장치를 작동시켜 엔진에 무리를 가하지 않으면서 차량 충돌을 피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
그러나 중앙처리장치에서 판단한 결과 차량이 일정충격 이상으로 충돌할 것으로 예상되면 에어백 제어장치를 구동시켜 차량 충돌로 인하여 운전자에게 가해지는 충격을 최소화 시킨다.
제3도는 본 발명의 동작 순서도로써, 자동차 충돌 방지 장치의 각 센서부를 진단하는 자가 진단을 수행하는 단계(S1)와 ; 자가 진단 수행 후 전방 경보 모드인가를 판단하는 단계(S2)와 ; 전방 경보 모드인 경우 전방 센서부로부터 데이타를 입력 받아 처리하고 판단 1을 수행한 후 경보 필요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S3)와 ; 경보가 필요 없는 경우 모드 판단 루프를 수행하고, 경보가 필요한 경우 시청각 신호로 운전자에게 경보를 하고 자동차의 브레이크를 제어하는 단계(S4)와 ; 상기 단계(S2)에서 전방 경보 모드가 아닌 경우 측방 경보 모드인가를 판단하는 단계(S5)와 ; 측방 경모 모드인 경우 측방 센서부로부터 데이타를 입력 받아 처리하고 판단 2를 수행한 후 경보 필요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S6)와 ; 경보가 필요 없는 경우 모드 판단 루프를 수행하고, 경보가 필요한 경우 시청각 신호로 운전자에게 경보를 하는 단계(S7)와 ; 상기 단계(S5)에서 측방 경보 모드가 아닌 경우 후방 경보 모드인가를 판단하는 단계(S8)와 ; 후방 경보 모드인 경우 후방 센서부로부터 데이타를 입력 받아 처리하고 판단 3을 수행한 후 경보 필요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S9)와 ; 경보가 필요없는 경우 경보 모드 판단 루프를 수행하고, 경보가 필요한 경우 시청각 신호로 운전자에게 경보를 하고 자동차의 브레이크를 제어하는 단계(S10)로 순차 동작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주행중 앞차의 상태를 항상 감시하므로 앞차와의 충돌 위험을 줄여 차량 충돌시 발생하는 물적, 인적 손실을 막을 수 있으며, 또한 차선의 변경시 사각 지대의 물체 유무를 자동으로 판단하여 줌으로써 차선의 변경시 측방으로의 충돌 위험도 줄일 수 있고, 후진시에는 차량의 뒤와 좌, 우의 물체의 유무를 좁은 거리까지 검출하여 차량의 주차와 후진시 발생하는 충돌 위험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자동차 충돌 방지 장치의 각 센서부를 진단하는 자가 진단을 수행하는 단계(S1)와 ; 자가 진단 수행 후 전방 경보 모드인가를 판단하는 단계(S2)와 ; 전방 경보 모드인 경우 전방 센서부로부터 데이타를 입력 받아 처리하고 판단 1을 수행한 후 경보 필요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S3)와 ; 경보가 필요 없는 경우 모드 판단 루프를 수행하고, 경보가 필요한 경우 시청각 신호로 운전자에게 경보를 하고 자동차의 브레이크를 제어하는 단계(S4)와 ; 상기 단계(S2)에서 전방 경보 모드가 아닌 경우 측방 경보 모드인가를 판단하는 단계(S5)와 ; 측방 경보 모드인 경우 측방 센서부로부터 데이타를 입력 받아 처리하고 판단 2를 수행한 후 경보 필요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S6)와 ; 경보가 필요없는 경우 모드 판단 루프를 수행하고, 경보가 필요한 경우 시청각 신호로 운전자에게 경보를 하는 단계(S7)와 ; 상기 단계(S5)에서 측방 경보 모드가 아닌 경우 후방 경보 모드인가를 판단하는 단계(S8)와 ; 후방 경보 모드인 경우 후방 센서부로부터 데이타를 입력 받아 처리하고 판단 3을 수행한 후 경보 필요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S9)와 ; 경보가 필요없는 경우 경보 모드 판단 루프를 수행하고, 경보가 필요한 경우 시청각 신호로 운전자에게 경보를 하고 자동차의 브레이크를 제어하는 단계(S10)로 순차 동작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충돌 방지 방법.
KR1019930020848A 1993-10-08 1993-10-08 자동차 충돌 방지 방법 KR9600132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20848A KR960013290B1 (ko) 1993-10-08 1993-10-08 자동차 충돌 방지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20848A KR960013290B1 (ko) 1993-10-08 1993-10-08 자동차 충돌 방지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1228A KR950011228A (ko) 1995-05-15
KR960013290B1 true KR960013290B1 (ko) 1996-10-02

Family

ID=193654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20848A KR960013290B1 (ko) 1993-10-08 1993-10-08 자동차 충돌 방지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1329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45783A (ko) * 1996-12-10 1998-09-15 박병재 주행중 사각지역의 물체 탐지 장치
KR100378006B1 (ko) * 2001-01-15 2003-03-2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저전압용 녹색 형광체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1228A (ko) 1995-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532829B (zh) 防碰撞控制装置及其方法
JP3104463B2 (ja) 車両用追突防止装置
EP0872741B1 (en) Alarm apparatus for alarming driver of vehicle and method of alarming
JP2722746B2 (ja) 自動ブレーキ装置
JP3031119B2 (ja) 車両衝突防止装置
JPH09188234A (ja) 道路交通での衝突状況を回避およびまたは最小限に抑える装置
JP2002526318A (ja) 自動車用警報装置
US20200062246A1 (en) Emergency braking device for vehicle
JP4019948B2 (ja) 車両の接触防止システム
JP2005251200A (ja) 車線逸脱警告技術
JP3115457B2 (ja) 運転者異常事態発生警報装置
JP2001315601A (ja) 車両側面監視装置
JP3900814B2 (ja) 運転支援システム
US20070005213A1 (en) Backward control for automobiles using telematics and method thereof
JP3064770B2 (ja) 車両追突防止装置
KR960013290B1 (ko) 자동차 충돌 방지 방법
JPH10989A (ja) 情報表示システム
JPH03263199A (ja) 車間距離表示器
JP3687156B2 (ja) 自動車用追突警報装置
WO2019035640A1 (ko) 자동차의 안전거리 유지 경고장치
KR20220071560A (ko) 긴급제동 상황에서의 보행자 경고 장치 및 방법
KR100361282B1 (ko) 자동차의 초음파 거리감지센서를 이용한 차선변경방법
KR100405357B1 (ko) 차량간 및 장애물과의 추돌 방지장치
KR19990055636A (ko) 차량충돌 방지장치 및 방법
KR20190000493U (ko) 자동차의 안전거리 유지 경고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92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