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12769B1 - 프린터 - Google Patents

프린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12769B1
KR960012769B1 KR1019880006735A KR880006735A KR960012769B1 KR 960012769 B1 KR960012769 B1 KR 960012769B1 KR 1019880006735 A KR1019880006735 A KR 1019880006735A KR 880006735 A KR880006735 A KR 880006735A KR 960012769 B1 KR960012769 B1 KR 9600127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roller
photosensitive film
paper
color pa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067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0251A (ko
Inventor
야스지 유이
아키오 히타치
다츠루 사토
아키라 시라쿠라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가이샤
오가 노리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가이샤, 오가 노리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900002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02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127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27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31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heat to a heat sensitive printing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2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using materials containing microcapsules; Preparing or processing such materials, e.g. by pressure; Devices or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therefor
    • G03F7/0022Devices or apparatu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5/00Special procedures for taking photographs; Apparatus therefor
    • G03B15/003Apparatus for photographing CRT-scree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7/00Photographic printing apparatus
    • G03B27/32Projection printing apparatus, e.g. enlarger, copying camera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27/00Photographic printing apparatus
    • G03B2227/32Projection printing apparatus, e.g. enlarging apparatus, copying camera
    • G03B2227/325Microcapsule copi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ojection-Type Copiers In General (AREA)
  • Photographic Developing Apparatuses (AREA)
  • Printers Or Recording Devices Using Electromagnetic And Radiation Means (AREA)

Abstract

요약 없음.

Description

프린터
도면은 본원 발명 프린터의 실시의 일예를 나타내는 것이며, 제1도는 수직 단면도.
제2도는 외부상자체의 일부를 절결하여 나타내는 평면도.
제3도는 요부의 사시도.
제4도는 프린트 및 배지계(排紙係)의 구동부를 제1도의 Ⅳ-Ⅳ선을 따라서 전개한 단면도.
제5도는 프린트 및 배지계의 구동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제6도는 급지 및 필름되감기계의 구동부를 제1도의 Ⅵ-Ⅵ선을 따라서 전개한 단면도.
제7도는 급지 및 필름 되감기계의 구동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프린터4 : 감광필름
6 : 공급측 스풀7 : 현색지
10 : 권취측 스풀11, 12 : 가압롤러
17 : 노광수단
22, 107. 108, 109, 110, 116, 117, 118, 119 : 필름 되감기수단
81, 83, 84, 85 : 롤러구동수단
107, 108, 110, 112, 113, 114, 115 : 현색지 공급수단.
본원 발명은 신규의 프린터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노광면에 감광성의 색소 전구체(前駒체)가 배설된 장척의 감광필름의 상기 노광면을 소정의 화상신호에 따른 빛에 의해서 노광하므로써 인화필름을 형성하는 동시에, 감광필름의 상기 노광이 된 부분을 소정의 현색지(顯色紙)와 맞포 개어서 가압하므로써 이 현색지에 소정의 화상을 프린트하는 동시에 현색지에의 화상의 프린트를 이 현색지 및 감광필름을 주행시키면서 행하는 프린터에 관한 것이며, 감광필름을 허비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도록하여 경제적효율이 높은 신규의 프린터를 제공하려고 하는 것이다.
본원 발명 프린터는 노광면에 감광성의 색소전구체가 배설된 길다란 감광필름의 상기 노광면을 소정이 화상신호에 따른 빛에 의해서 노광하므로써 인화필름을 형성하는 동시에, 감광필름의 상기 노광이 된 부분을 소정의 현색지와 포개서 가압하면서 주행시키므로써 이 현색지에 소정의 화상을 프린트하는 프린터에 있어서, 현색지에 프린트가 된 다음 감광필름을 소정량 되돌리므로써 감광필름의 노광면을 허비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오늘날, 소정의 화상 예를 들면 텔레비전 수상기가 수상한 텔레비전화상 또는 자기테이프나 광디스크등의 기록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기록화상을 소정의 프린트용지에 프린트하는 시스템에는 서멀식, 펜식, 도트식, 잉크젯식등 각종의 방식의 것이 있는데, 그중의 하나로 감광성의 색소전구체가 배설된 감광필름의 노광면을 소정의화상신호에 따른 빛에 의해서 노광하므로써 인화필름을 형성하는 동시에 감광필름의 상기 노광이 된 부분을 소정의 현색지와 포개서 가압하므로써 이 현색지에 소정의 화상을 프린트하는 프린트시스템이 있다.
예를 들면, 일본국 특 개소 59(1984)-30537호 공보에는 소정의 빛으로 노광되므로써 경화되어서 항압접(抗
Figure kpo00001
的)인 비파괴성이 생긴 극히 미세한 캡슬에 소정의 현색지에 배설되어 있는 현상물질과 화합하므로써 소정의 발색을 하는 색소전구물질을 봉입하여 이루어지는 색소전구체가 배설된 감광필름을 사용하여, 이 감광필름의 상기 색소전구체가 배설된 노광면을 예를 들면 자외광에 의해 소정의 화상이 분해된 각 화소에 따락서 노광하므로써 포지티브한 인화필름을 형성하는 동시에, 감광필름의 상기 인화필름이 형성된 부분을 상기 소정의 현색지와 포개서 가압하므로써, 노광되어 있지 않은 색소전구체의 캡슬이 파괴되어서 거기에 봉입되어 있던 색소전구물질이 현색지에 전사되어, 그에 따라 상기 현색지에 소정의 화상이 프린트되도록 한 프린트 시스템이 제안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한 바와 같은 감광필름을 사용하여 프린트를 행하는 경우, 프린트동작을 능률적으로 행하고 또는 필요한 기구를 될수 있는대로 간단하게 하기 위해서, 감광필름으로서 소위 연속지타입의 필름 즉 다수의 인화필름을 형성할 수 있는 길이를 가지고 있어 스풀(Spool)에 롤 형상으로 감겨진 장척의 형태의 감광필름을 사용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그리고 감광필름에 이와 같은 장척의 것을 사용하는 프린터는 통상 감광필름을 항상 일정한 패스를 통과하여 주행시키기 위한 주행경로를 배설하는 동시에 이 주행경로의 일부에 대향하여 노광수단을 배치하고, 또한 이 노광수단의 앞위치에 감광필름을 사이에 끼워 주행시키는 롤러부재를 배치하고, 감광필름을 주행시키면서 노광수단에 의해서 노광하는 도시에 이 노광이 된 부분과 적절한 현색지 공급수단에 의해 공급된 현색지를 포갠상태로 상기 롤러부재로 가압하면서 이송하므로써 프린트가 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런데,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화상의 현색지에의 프린트가 완료된 시점에 있어서, 감광필름의 인화필름이 형성된 부분 즉 노광이된 부분의 후단은 항상 롤러부재에 끼워진 위치 또는 그보다 약간 앞의 위치에 오게되므로, 그 상태에서 다음의 화상에 대한 인화필름의 형성이 개시되면, 감광필름의 노광면중 상기 시점에 있어서 롤러부재에 끼워져 있는 위치와 노광수단에 대향해 있는 위치와의 사이의 부분이 전혀 사용되지 않게된다.
따라서, 감광필름에 허비가 생기게되고, 이 허비는 감광필름의 노광이 하나의 화상전체에 대하여 완료된 후에 프린트가 개시되는 경우에는 해당 감광필름의 1/2 이상의 양에 이르게되어, 매우 불경제적인 문제가 된다.
그래서 본원 발명 프린터는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노광면에 감광성의 색소전구체가 배설된 길다랄 감광필름이 감겨진 공급측스풀 및 이 공급측스풀에서 풀어낸 감광필름을 감는 권취측 스풀과, 감광필름의 노광면을 소정의 화상신호에 따른 빛에 의해서 노광하는 노광수단과, 감광필름 및 소정의 현색지를 맞포개어 가압하면서 주행시키므로써 상기 현색지에 소정의 화상을 프린트하는 가압롤러를 구비한 프린터에 있어서, 상기 공급측스풀을 필름권취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필름되감기수단을 설치하고, 현색지에 프린트가 된후, 상기 플림 되감기수단을 구동하여 감광필름의 노광이 되어있지 않은 부분의 선단부가 노광수단과 대향하는 위치에 되돌아올때까지 강광필름을 되감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본원 발명 프린터에 의하면, 감광필름의 노광면의 노광은 항상 먼저 노광이 된 부분의 바로 뒤의 위치로부터 이루어지게되므로, 감광필름을 허비하지 않고 사용할 수가 있다.
다음에, 본원 발명 프린터의 상세를 첨부도면에 나타낸 실시에에 따라 설명한다.
그리고, 도면에 나타낸 실시예는 본원 발명을 그 노광면에 3종류의 기본색을 각기 따로 갖는 색소전구물질을 가진 복수 종류의 색소전구체가 혼재되어 배설된 감광필름을 사용하여 현색지에의 화상의 프린트를 이른바 올칼러로 행하는 프린터(1)에 적용한 것이다.
먼저, 프린터(1)에 사용하는 감광필름이 수납된 필름카세트와 프린트용지인 현색지의 일예에 대하여 설명하고, 그 다음에 프린터(1)에 대하여 설명한다.
(a) 필름카세트 및 현색지(제1도~제3도).
(a-1) 필름카세트.
(2)는 필름카세트이고, 이 필름카세트(2)는 대략 원통형의 카세트 케이스(3)와, 길다란 감광필름(4)이 대략 롤형상으로 감겨지고, 또한 그 축방향에 있어서의 양단부에 카세트케이스(3)의 외경보다 약간 지름이 큰 차광 플랜지(5), (5')가 형성된 공급측스풀(6)로 이루어지며, 공급측 스풀(6)은 차광플랜지(5), (5')가 카세트 케이스(3)의 양단의 개구면을 폐색하는 상태에서 이 카세트케이스(3)에 상대적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되어 있으며, 또한 공급측 스풀(6)에 감겨져 있는 감광필름(4)의 선단부는 카세트 케이스(3)의 외주부에 형성된 필름출구(3a)를 지나서 카세트 케이스(3) 밖으로 도출되고 있다.
그리고 감광필름(4)은 적절한 필름 기재의 한쪽면에 감광성의 색소전구체를 배설하여 이루어진다. 이 색소전구체는 예를 들면 소정의 파장의 자외광이 조사되므로써 분자결합의 구조가 변화하여 경화된다. 즉 항압적인 비파괴성을 발생하는 극히 미세한 캡슬에 소정의 색소전구물질 즉 후술하는 현색지에 배설된 현상물질과 화합하여 소정의 발색을 이루는 물질을 봉입하여 이루어지는 동시에, 상기 캡슬에는 서로 다른 3종류의 색 예를 들면 현색지상에 있어서 적색, 청색 및 녹색 중 어느 하나의 색에 발색하는 색소를 가진 색소전구물질이 봉입되어 있으며, 상기 한쪽면에 이들 색이 다른 색소전구물질을 가진 색소전구체가 혼재하여 무수히 부착되어 있다.
또한, 이들 캡슬의 상기 광경화 특성은 봉입되어 있는 색소전구 물질의 색소의 상위에 의해서 서로 다르며, 각기 소정의 파장의 자외광이 조사되었을 때만 경화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적색에 발광하는 색소전구물질이 봉입되어 있는 캡슬을 경화시키는 파장의 자의광은 청색 또는 녹색에 발색하는 색소전구물질이 봉입되어 있는 캡슬에 조사되어도, 이들 캡슬을 경화시키는 일은 없다.
그리고, 감광필름(4)의 선단부 및 후단부는 상기 색소전구체로된 면(이하 노광면이라고 함)을 갖지않은 이른바 리더필름부로 되어 있으며, 감광필름(4)의 상기 리더필름부 이외의 부분의 한쪽면은 그 전체가 노광면으로 되어 있다. 즉 노광면은 감광필름(4)의 한쪽면에 연속해서 형성되어 있다.
(a-2) 현색지.
(7), (7)…은 화상이 프린트되는 현색지이다.
이 현색지(7), (7)…는 상기 감광필름(4)의 폭보다 약간 큰 폭을 가진 대략 장방형상의 단표지(單票祗)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한쪽면이 소정의 현상물질 즉 상기 색소전구체의 색소전구물질과 화합하여 소정의 발색을 하는 물질이 배설된 프린트면으로 되어 있다.
이리하여, 이 현색지(7)에 감광필름(4)를 포개어서 가압하면, 감광필름(4)에 배설되어 있는 색소전구체중 그 캡슬이 경화되어 있지 않은 것이 파괴되어서 거기에 봉입되어 있던 색소전구물질이 현색지(7)의 프린트면에 전사되고, 이에 따라 상기 전사가 된 색소전구물질과 상기 현상물질이 화합하여 소정의 발색을 하게된다.
(b) 프린터의 개요(제1도, 제2도).
(8)은 프린터(1)의 외부상자체이며, 이 외부상자체(8)는 좌우방향(제2도에 있어서 왼쪽으로 향하는 방향을 좌측으로하고, 오른쪽으로 향하는 방향을 우측으로 한다. 또는 이 도면에 있어서 아래쪽으로 향하는 방향을 전측으로하고, 위쪽으로 향하는 방향을 후측으로 한다. 다음의 설명에 있어서 방향을 나타낼때는 이 방향에 의한 것으로 한다)으로 긴 상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9)는 상기 필름 카세트(2)가 착탈되도록 장착되는 카세트장착부이며, (10)은 필름카세트(2)에서 끌어낸 감광필름(4)을 감아드리는 권취측 스풀(제3도에 있어서는 그 위치를 약간 좌측으로 어긋나게 하여 도시하였음)이다.
(11) 및 (12)는 외부상자체(8)내의 좌우방향에 있어서의 대략 중앙부에 위치한 1쌍의 가압롤러, (13)은 그 우단이 카세트 장착부(9)의 아래쪽에 위치한 좌단이 가압롤러(11)과 (12)가 접촉하는 부분의 입구측에 근접하여 위치한 필름안내판, (14), (15)는 필름 안내판의 우단에 근접하여 위치한 1쌍의 필름이송롤러, (16), (16')는 가압롤러(11)과 (12)가 접촉하는 부분의 출구측과 권취측스풀(10)과의 사이에 형성된 필름주행로이며, 카세트 장착부(9)에 장착된 필름카세트(2)에서 끌어내어진 감광필름(4)은 필름이송롤러(14)와 (15) 사이를 통과한 후, 필름안내판(13)의 윗면을 따라 뻗어나가는 동시에 가압롤러(11)과(12) 사이를 지나게되고, 이어서 필름주행로(16), (16')를 통과한 다음, 권취측스풀(10)에 감겨지는 통로를 통과하게 되어 있다.
(17)은 감광필름(4)의 노광면을 소정의 화상신호에 따른 패턴으로 노광하기 위한 다수의 옵티컬파이버를 집속하여 이루어지는 광원(이하, FOT(파이버옵티컬튜브)라 함)이며, 감광필름(4)중 카세트장착부(9)와 필름 이송롤러(14), (15)와의 사이의 부분의 대략 중간부분이 상기 FOT(17)의 발광면(17a)과 접촉(제3도에 있어서 필름카세트(2)는 그 위치를 약간 우측으로 어긋나게하여 도시함)하고 있으며, 감광필름(4)은 필름이송롤러(14), (15)에 의해서 일정한 피치씩 주행되면서 그 노광면이 FOT(17)에 의해 노광되고, 그것에 의해서 소정의 영역이 하나의 화상을 구성하는 인화필름에 형성된다.
(18)은 상기 현색지(7), (7)…가 다수 수납된 급지트레이이고, 현색지(7), (7)…는 소정의 타이밍으로 급지롤러(19)에 의해 그 선단이 가압롤러(11), (12)의 접촉부의 입구측에 위치하도록 공급되는 동시에, 감광필름(4)중 상기 인화필름에 형성된 부분과 맞포개진 상태로 가압롤러(11), (12)에 의해서 끼어져 주행되며, 그 동안에 상기 인화필름의 화상이 프린트된다.
그리고 프린트가 종료된 후 현색지(7)는 배지(排紙) 벨트(20)에 의해 이송되어서 배지트레이(21)로 배지되고, 또 이와 거의 동시에 공급측 스풀(6)이 되감기롤러(22)에 의해 필름권취 방향으로 회전되어서 감광필름(4)을 그 노광이 되어있지 않은 부분의 선단부가 FOT(17)의 발광면(17a)에 접촉하는 위치에 되돌아올 때까지 되감게 된다.
(c) 가압부(제1도~제3도, 제6도).
(c-1) 롤러지지체(제1도~제3도, 제6도).
(23), (23') 및 (24), (24')는 가압롤러(11) 및 (12)를 각기 따로 지지하고 있는 롤러지지체이며, 이들 롤러지지체(23), (23'), (24), (24')중 전측의 것(23), (24)과 후측의 것(23'), (24')과는 서로 대략 대칭구조를 가지고 있는 동시에, 외부상자체(8) 내부의 좌우방향에 있어서의 대략 중간부분의 앞벽(8a)에 근접된 위치와 뒤벽(8b)에 근접된 위치에 소정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23), (23'a) 및 (24a), (24'a)는 롤러지지체(23), (23') 및 (24), (24')의 주부(主部)이고, 이 주부(23a), (23'a)와 (24a), (24'a)는 전후방향에서 보아 대략 상하로 대칭인 대형상(대形狀)을 이루는 비교적 두꺼운 판형상으로 형성되는 동시에, 아래측의 롤러지지체(23), (23')의 주부(23a), (23'a)의 우측에지의 상단부와 위쪽의 롤러지지체(24), (24')의 주부(24a), (24'a)의 우측에지의 하단부에서 암(arm)(23b), (23'b) 및 (24b), (24'b)가 우측을 향해서 대략 수평으로 돌출설치되어 있으며, 아래쪽의 롤러지지체(23), (23')의 주부(23a), (23'a)의 좌상우(左上隅)와 위쪽의 롤러지지(24), (24')의 주부(24a), (24'a)의 좌하우(左下隅)가 지지점핀(25), (25')에 의해서 서로 회전할 수 있게 연결되고, 아래쪽의 롤러지지체(23), (23')이 주부(23a), (23'a)의 하단부가 베이스부(26)에 의해 연결되어 있으며, 이 베이스부(26)가 외부상자체(8)의 저판(8c)에 고정되어 있다.
(27), (27')는 아래쪽의 롤러지지체(23), (23')의 암(23b), (23'b)에서 위쪽을 향해서 돌출설치된 스프링 받이축이며, 이 스프링받이 축(27), (27')은 위쪽의 롤러지지체(24), (24')의 암(24b), (24'b)에 형성된 도시하지 않은 구멍에 삽통되어서 그 대부분이 상기 암(24b), (24'b)에서 위쪽으로 돌출되는 동시에 그 상단부에 스프링받이 편(片)(28), (28')이 고정되어 있고, 이 스프링받이편(28), (28')과 위쪽의 롤러지지체(24), (24')의 암(24b), (24'b)와의 사이에 압축코일 스프링(29), (29')이 스프링 받이축(27), (27')에 밖에서 끼워진 상태로 끼워져 있다.
따라서, 위쪽의 롤러지지체(24), (24')에는 항상, 제1도에 있어서의 시계회전 방향으로의 회전력이 탄발적으로 가세되어 있다.
(c-2) 가압롤러(제1도~제3도).
가압롤러(11) 및 (12)는 상기 감광필름(4)의 폭보다 약간 긴 길이를 갖는 동시에, 금속 또는 그것에 가까운 경도를 가진 재료로 형성되어 있으며, 아래쪽의 가압롤러(11)의 축(30)의 전단부(前端部)와 후단에 근접된 위치가 상기 아래쪽의 롤러지지체(23), (23')의 주부(23a), (23'a)와 상단부의 좌우방향에 있어서의 대략 중간부에 회전할 수 있게 지지되고, 위쪽의 가압롤러(12)의 축(30')의 전후 양단부가 위쪽의 롤러지지체(24), (24')의 주부(24a), (24'a)의 하단부의 상기 축(30)과 대응하는 위치에 회전할 수 있게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위쪽의 롤러지지체(24), (24')에는 시계회전 방향으로의 회전력이 가세되어 있으므로, 이 롤러지지체(24), (24')에 지지된 위쪽의 가압롤러(12)에도 제1도에 있어서의 시계회전 방향으로의 이동력이 가세되어 있으며, 따라서 위쪽, 아래쪽의 양 가압롤러(11) 및 (12)는 상기 압축코일 스프링(29), (29')의 탄발력에 의해서 압착되게 된다.
(31), (31')는 아래쪽의 롤러지지체(23), (23') 및 위쪽의 롤러지지체(24), (24')에 각기 따로 회전할 수 있게 지지된 백업롤러이고, 이들 백업롤러(31), (31')는 가압롤러(11), (12)보다 약간 큰 지름으로 형성되는 동시에, 아래쪽의 백업롤러(31)는 아래쪽의 가압롤러(11)에 아래쪽으로부터 접촉하고, 위쪽의 백업롤러(31')는 위쪽의 가압롤러(12)에 위쪽으로부터 접촉되는 상태로 설치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가압롤러(11)와 (12)가 그 축방향에 있어서의 전체에 있어서 대략 균일한 압착력으로 압축하게 된다.
그리고, 아래쪽의 가압롤러(11)가 구동축의 가압롤러이고, 이 아래쪽의 가압롤러(11)는 감광필름(4)에 대한 노광이 행하여질때(이하 노광모드라 함) 및 현색지(7)에의 프린트가 행하여질때(이하 프린트모드라 함)는 제1도에 있어서의 반시계 회전방향으로 회전되며, 또한 감광필름(4)의 되감기가 행하여질때(이하, 필름되감기모드라 함)는 시계회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d) 필름안내부재(제1도).
상기 필름안내판(13)은 아래쪽의 롤러지지체(23), (23')에 지지되어 있으며, 그 우단에 근접된 대략 1/3의 부분이 우단으로 감에 따라 위쪽으로 완만하게 변위하도록 경사지고, 그 나머지부분은 대략 수평으로 뻗도록 위치하고 있다.
(32), (32')는 가압롤러(11), (12)의 접촉부의 출구측과 권취측스풀(10)과의 사이의 대략 중간위치에 설치된 주행보조롤러이며, 이들 주행보조롤러(32), (32')는 외부상자체(8)의 내부중 전측의 롤러지지체(23), (24)의 좌측위치와 후측의 롤러지지체(23'), (24')의 좌측에 배치되 지지샤시(33), (33') 사이에 걸쳐지도록하여 이들 지지샤시(33), (33')에 회전할 수 있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위쪽의 주행보조롤러(32')는 지지샤시(33), (33')에 회전할 수 있게 지지된 도시하지 않은 롤러지지암에 지지되는 동시에, 항상 아래쪽의 주행보조롤러(32)에 압착되어 있다.
그리고, 아래쪽의 주행보조롤러(32)가 구동측의 주행보조롤러로 되어 있으며, 이 주행보조롤러(32)는 노광모드 및 프린트모드에 있어서 제1도에 있어서의 반시계 회전방향으로 회전되며, 또한 필름되감기모드에 있어서 시계회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되어 다.
(34), (34') 및 (35), (35')는 가이드판이며, 이들 가이드판(34), (34') 및 (35), (35')는 상기 지지샤시(33), (33')에 지지되는 동시에, 가압롤러(11), (12)의 접촉부의 출구측과 상기 주행보조롤러(32), (32')의 접촉부의 압구측과의 사이 및 주행보조롤러(32), (32')의 접촉부의 출구측과 권취측 스풀(10)과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며, 이들 가이드판(34), (34') 및 (35), (35')에 의해서 편평한 공간을 이룬 필름주행로(16), (16')가 형성되어 있다.
(e) 필름 주행수단(제1도 내지 제3도).
(e-1) 필름이송롤러, 스테핑모터(제1도-제3도).
필름이송롤러(14), (15)는 노광모드에 있어서 감광필름(4)을 일정한 피치씩 주행시키기 위한 롤러이며, 위쪽의 필름이송롤러(14)는 외부상자체(8) 내부중 전측의 롤러지지체(23), (24)의 우측위치와 그 대부분이 후측이 롤러지지체(23'), (24')의 대략 우측위치에 배치된 지지샤시(36), (36') 사이에 회전할 수 있게 지지되고, 또한 아래쪽의 필름이송롤러(15)는 지지샤시(36), (36')에 회전할 수 있게 지지되고 또한 제1도에 있어서의 시계회전방향으로 가세된 롤러지지암(37), (37')(도면에는 후측의 것만을 표시함)의 회전단부(單部)에 회전할 수 있게 지지되므로써 위쪽의 필름이송롤러(14)에 압착되어 있다.
(38)은 상기 지지샤시(36), (36')의 후측의 것(36')의 좌단부에 고정된 스테핑모터이며, 이 스테핑모터(38)의 회전측(38a)에 부착된 기어(39)가 감속기어(40) 및 (41)(제1도에만 표시함)을 통해서 위쪽의 필름이송롤러(14)의 측(14a)의 후단부에 고정된 기어(42)와 맞물려 있다.
이리하여, 스테핑모터(38)가 회전하면 필름이송롤러(14)가 극히 미세한 피치로 제1도에 있어서의 시계회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e-2) 카세트 장착부(제1도, 제2도)
카세트장착부(9)는 외부상자체(8) 내부의 우상부의 전후방향으로 이간된 위치에 설치된 간막이판(43), (43')와 이 간막이판(43), (43')의 좌단부 사이에 연결된 배판(背板)(44) 및 간막이판(43), (43')의 하단에 근접된 부분 사이에 연결된 재치판(45)과 우측벽(8e)의 일부를 이루는 도어(46)에 의해서 구획되는 동시에, 전측의 간막이판(43)에 착탈조작판(47)이 회전할 수 있게 지지되며, 이 착탈조작판(47)과 후측의 간막이판(43')의 대향면에 스풀지지 돌출부(48), (48')(제2도 참조)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필름카세트(2)는 그 카세트케이스(3)의 필름출구(3a)가 아래쪽을 향하는 방향으로 이 카세트케이스(3)가 배판(44) 및 재치판(45)에 지지되며, 또한 그 스풀(6)의 양단부가 스풀 지지돌출부(48), (48')에 회전할 수 있게 지지되므로써 카세트장착부(9)에 장착된다.
(e-3) 권취측 스풀, 스풀커버(제1도~제3도).
(49)는 스풀축이며, 이 스풀축(49)은 그 후단에 근접된 부분이 외부상자체(8)의 후벽(8b)의 좌단근접 위치에 고정된 베어링하우징(50)에 회전할 수 있게 지지되어 있으며, 이 스풀측(49)의 상기 베어링하우징(50)에서 전방향으로 돌출한 부분에 권취축 스풀(10)이 고정되어 있다.
(51), (51')은 권취측 스풀(10)의 양단부에 설치된 플랜지이다. (52) 및 (53)은 권취측 스풀(10)을 덮고 있는 스풀커버이다. 이 스풀커버(52) 및 (53)은 그 주부(52a), (53)가 권취측스풀(10)과 대략 같은 길이를 가진 대략 통모양으로 형성되는 동시에, 그 전후양단부가 외부상자체(8)의 천판(84)에 가까운 위치에 설치된 상부샤시(54)에 지지되고, 또한 주부(52a), (53a)가 권취측 스풀(10)의 축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좌우 약 절반씩을 그 외주면과 약간 간격을 두고 포위하도록 위치하고 있다.
또한 주부(52a), (53a)의 선단부 또는 선단부에 근접된 위치의 수개소에 롤러지지편(52b), (53b)(도면에서는 각기 1개만 표시하였음)가 대략 절기된 모양으로 형성되는 동시에 이 룰러지지편(52b), (53b)에 필름압박롤러(55) (55')가 회전할 수 있게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스풀커버(52) 및 (53)에만 탄발부재(56)(제1도 참조)에 의해서, 그 주부(52a), (53a)가 권취측 스풀(10)의 외주면에 접촉하는 방향으로의 회전력이 가세되어 있으며, 따라서 상기 필름 압박롤러(55), (55')는 권취측 스풀(10)의 외주면에 탄성접촉되어 있다.
그리고, 좌측의 스풀커버(52)의 주부(52a)의 선단부는 상기 가이드판(35), (35') 중의 아래쪽의 것(35')의 좌단부에 아래쪽부터 접촉하는 위치까지 뻗어있으며, 따라서 상기 필름주행로(16')는 권취측 스풀(10)과 스풀커버(52), (53)과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공간과 연속되어 있다.
(e-4) 세퍼레이트 플랩(제1도).
(57)은 세퍼레이트 플랩(flap)이다. 이 세퍼레이트 플랩(57)은 전후방향에서 보아 우단부를 뾰족한 대략 쐐기모양을 한 전후방향으로 좁고 긴 판형상으로 형성되는 동시에, 가압롤러(11), (12)의 접촉부의 출구측에 근접하여 위치하고, 또한 도면에 실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우단이 위쪽의 가압롤러(12)의 외주면의 바로 아래를 향하고 있는 위치에서 약간 시계회전방향으로 근접된 위치에 접촉하는 세퍼레이트 위치가 도면에 2점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우단이 아래쪽의 가압롤러(11)의 외주면의 바로위를 향한 위치에서 약간 반시계회전 방향으로 근접된 위치에 접촉하는 가이드위치와의 사이를 회전하도록 배설되어 있다.
그리고, 세퍼레이트 플랩(57)은 감광필름(4)의 로딩이 행하여 질때만 상기 가이드 위치에 지지되고, 그 이외일 때는 상기 세퍼레이트위치에 지지되도록 되어 있다.
(e-5) 감광필름의 로딩(제1도, 제3도).
그래서 감광필름(4)의 로딩은 다음과 같이 행하여진다.
즉, 먼저 필름 카세트(2)를 카세트 장착부(9)에 장착하는 동시에 카세트 케이스(3)에서 감광필름(4)을 적당량 끌어내어서 그 리더필름부의 선단부를 필름이송롤러(14), (15) 사이에 꽂아 넣는다. 그리고 필름로딩지령이 떨어지면, 세퍼레이트 플랩(57)이 가이드위치로 이동되고, 필름이송롤러(14)가 시계회전 방향으로, 가압롤러(11)가 반시계회전 방향으로, 주행보조롤러(32)가 반시계회전 방향으로, 또한 권취측 스풀(10)이 제1도에 있어서의 시계회전 방향으로 각기 회전된다. 그리고 감광필름(4)의 로딩이 행하여질때, 스테핑모터(38)는 가압롤러(11), (12)와 거의 같은 회전속도로 회전된다. 따라서 감광필름(4)은 먼저 필름이송롤러(14), (15)에 의해서 주행되는 동시에 필름이송롤러(14), (15)에서 좌측으로 나온 부분이 필름안내판(13)의 상면을 따라서 가압롤러(11), (12) 사이를 향해서 이동되어가고, 그 선단부가 가압롤러(11), (12) 사이에 들어가면 이번에는 이 가압롤러(11), (12)에 의해서 주행되는 동시에 가압롤러(11), (12)에서 좌측으로 나온 부분이 세퍼레이트 플랩(57)에 의해서 가이드판(34), (34') 사이로 인도되어, 필름주행로(16), (16')를 통과하며, 또한 주행보조롤러(32), (32')에 의해서 필름주행로(16), (16')내에서 느슨해지는 것이 방지되면서 주행되며, 이어서 권취측 스풀(10)과 스풀커버(52), (53)과의 사이에 들어가 필름압박롤러(55), (55')에 의해 권취측 스풀(10)에 감겨지게 된다.
또한, (58)은 필름 안내핀(13)의 가압롤러(11), (12)에 근접된 위치에 위쪽에서 대향해서 설치된 필름센서이다.
그리고, 감광필름(4)의 한쪽의 옆에지 근접부분에는 상기 현색지(7)의 길이보다 약간 긴 일정한 피치로 상기 필름센서(58)에 의해서 검출되는 피검출요소가 배설되어 있으며, 감광필름(4)의 주행계로(走行系路)에 있어서의 위치는 이 피검출요소가 필름센서(58)에 의해서 검출되므로써 검출되고, 필름의 로딩동작은 최초의 피검출요소가 검출되므로써 정지하고, 이 상태에 있어서 감광필름(4)의 리더필름부의 선단부가 권취측 스풀(10)에 감겨지고 있는 동시에 최소한 그 노광면의 선단부가 상기 FOT(17)의 발광면(17a)과 접촉하는 위치에 달한다.
또한(59)는 권취측 스풀(10)의 스풀축(49)과 후술하는 구동부와의 사이에 개재된 토크리미터이며, 권취측 스풀(10)에는 가압롤러(11), (12)에 의한 필름주행속도보다 빠른 속도로 감광필름(4)을 감는 회전력이 부여되어 있으며, 감광필름(4)이 감겨진 다음에는 토크리미터(59)가 구동부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슬립하므로써 감광필름(4)을 이것에 이완됨이 발생되지 않고 감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f) 되감기롤러(제1도, 제2도).
(60)은 카세트 장착부(9)의 후측의 간막이판(43')에 회전할 수 있게 지지된 롤러축이며, 이 롤러측(60)의 상기 간막이판(43')에서 전측으로 돌출한 부분에 되감기롤러(22)가 고정되어 있으며, 필름 카세트(2)가 카세트 장착부(9)에 장착되면, 되감기롤러(22)가 스풀(6)의 한쪽의 플랜지(5')의 외주면에 상대적으로 접촉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되감기롤러(22)는 필름되감기모드에 있어서만 후술하는 구동부에 의해 구동되어서 제1도에 있어서의 시계회전 방향으로 회전하여 공급측 스풀(6)을 필름권취방향 즉 제1도에 있어서의 반시계회전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그 이외일 때는 회전하는 공급측 스풀(6)에 의해서 반시계회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9) 노광수단(제1도~제3도).
(g-1) FOT(제1도~제3도).
상기한 바와같이, FOT(17)는 감광필름(4)의 노광면을 노광하기 위한 광원이며, 상기 노광면에 배설되어있는 상기 3종류의 색소전구체의 캡슐의 감광경화 특성에 각기 따로 대응한 3종류의 파장의 빛 예를 들면 자외광을 발하고, 상기 3종류의 파장의 빛은 발광면(17a)의 상하방향으로 분할된 3개의 발광라인(61), (62) 및 (63)(제3도 참조)에서 각기 따로 사출되며, 또한 그 빛은 소정의 화상을 구성하고 있는 개개의 화소의 색성분을 소정의 3종류의 기본색으로 분해하여 이루어지는 색별패턴의 소정의 1라인의 패턴에 대응하여 발광하도록 되어있다.
(g-2) 노광(제1도).
이리하여, 노광동작이 개시되면, FOT(17)의 발광타이밍과 동기하여 스테핑모터(38)가 회전되고, 이에 따라 필름이송롤러(14), (15)가 일정한 피치로 회전하여 감광필름(4)이 일정한 피치씩 포와드방향 즉 공급측 스풀(6)에서 끌어내어져서 권취측 스풀(10)에 감겨져가는 방향으로 주행되는 동시에 그 노광면(감광필름(4)이 상기한 바와 같이 로딩된 상태에 있어서 그 노광면은 FOT(17)와 대향하는 위치에 있어서 FOT(17)의 반대측을 향하는 쪽에 와있음)이 상기 발광라인(61), (62) 및 (63)과 대향하는 위치에 있어서 1의 라인마다 그 전부 또는 소정의 부분이 차례로 노광되게 된다.
또한, 감광필름(4)에 대한 노광이 진행되어 가면 감광필름(4)중 필름 이송롤러(14), (15)와 가압롤러(11), (12)와의 사이의 부분에 이완이 생기게 되는데, 이 느슨해짐이 일정한 양에 달하면 그것이 후술하는 이완센서에 의해 검출되고, 이에 따라 가압롤러(11), (12)가 회전하여 이 느슨해진 것을 바로 잡도록 되어 있다.
이리하여, 이와같은 노광이 이루어지므로써 감광필름(4)에 소정의 화상과 대응한 인화필름이 형성되므로써, 소정의 화상 1개분의 노광이 종료되면, 상기 인화필름에 형성된 부분의 선단부가 가압롤러(11), (12)의 입구 가까운 위치에 도달하고, 이와 거의 동시에 또는 그 직후에 감광필름(4)에 배설되어 있는 상기 피검출 요소가 필름센서(58)에 의해 검출되어서 스테핑모터(38)의 회전이 정지하게 된다.
(g-3) 텐셔널롤러, 이완센서(제1도, 제2도).
(64)는 텐셔널롤러이며, 이 텐셔널롤러(64)는 상기 필름안내판(13)의 좌우방향에 있어서의 중간 위치에서 약간 우측에 근접된 위치에 위쪽에서 대향하는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65), (65')는 지지샤시(36), (36')에 회전할 수 있게 지지된 롤러지지암이며, 이들 롤러지지암(65), (65')의 좌측의 회전단부 사이에 상기 텐셔널롤러(64)가 거쳐진 형상으로, 또한 회전할 수 있게 지지되는 동시에, 롤러지지암(65), (65')에는 도시하지 않은 탄발수단에 의해 제1도에 있어서의 반시계회전 방향으로의 회전력이 탄발가세되어 있다.
따라서, 텐셔널롤러(64)에는 대략 아래쪽으로의 이동력이 탄발적으로 가세되어 있으므로, 항상 감광필름(4)에 위쪽에서 탄성접촉하게 된다.
(66)은 이른바 포토인터럽터구조를 가진 이완센서이며, 이 이완센서(66)는 지지샤시(36), (36')의 후측의 것에 지지되는 동시에, 그 발광소자(66a)와 수광소자(66b)와의 대향부가 상기 롤러지지암(65')의 우측의 회전단부의 회전궤적상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이 이완센서(66)는 발광소자(66a)와 수광소자(66b)와의 사이에 상기 롤러지지암(65')의 우단부가 위치하여 발광소자(66a)로부터의 빛이 수광소자(66b)에 수광되지 않게 되었을 때 가압롤러(11)를 회전시키기 위한 신호가 출력되도록 되어 있다.
그래서, 감광필름(4)의 로딩이 완료된 상태에 있어서 감광필름(4)의 필름 이송롤러(14), (15)와 가압롤러(11), (12)와의 사이의 부분은 제1도에 실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소정의 장력으로 팽팽히 퍼져있으므로, 텐셔널롤러(64)가 감광필름(4)에 의해서 아래쪽에서 가세되어서 이 도면에 실선으로 표시한 위치에 지지되어 있으며, 이 상태에 있어서 롤러지지암(65')의 우단부가 이완센서(66)에서 벗어난 위치에 와 있다.
그리고 상기 노광동작이 진행되어 가면, 감광필름(4)이 필름이송롤러(14), (15)에 의해서 포와드방향으로 이송되어 가기 때문에 감광필름(4)의 필름이송롤러(14), (15)와 가압롤러(11), (12)와의 사이의 부분이 느슨해지고, 또한 이 느슨해짐이 점점 커져가므로, 이 이완의 증가에 따라서 텐셔널롤러(64) 및 롤러지지암(65), (65')가 이 롤러지지암(65), (65')에 가세되어 있는 회전력에 의해 반시계회전 방향으로 회전되어 가고, 감광필름(4)의 이완이 그 감광필를(4)이 필름안내판(13)에 근접하는 정도까지 커졌을 쯤해서, 제1도에 2점쇄선으로 표시하는 바와 같이, 롤러지지암(65')의 우단부가 이완센서(66)의 발광소자(66a)와 수광소자(66b)와의 사이에 위치하게 되고, 이것에 의해 가압롤러(11)를 회전시키기 위한 신호가 출력하게 된다.
이리하여, 가압롤러(11)가 반시계회전 방향으로 회전되고, 이에 따라 감광필름(4)의 필림이송롤러(14), (15)에서 앞의 부분이 포와드방향으로 이송되어서 상기 느슨함을 없애고, 느슨함이 없어지므로써, 탠셔널롤러(64)가 위쪽으로 가세되어서 롤러지지암(65')의 우단부가 이완센서(66)로부터 도피하고, 이에 따라 가압롤러(11)의 회전이 정지된다.
또한 감광필름(4)에 대한 노광이 행하여지고 있는 동안에는 이와 같은 이완제거를 위한 동작이 반복하여 행하여지게 된다.
(h) 급지부(제1도 내지 제3도).
(h-1) 급지롤러, 급지트레이
(67)은 급지롤러(19)의 축이고, 이 축(67)은 그 양단부가 상기 아래측의 롤러지지체 (23), (23')의 암(23b), (23'b) 사이에 회전할 수 있게 지지되어 있으며, 현색지(7), (7)…의 급지가 행하여질때(이하, 급지모드라 함) 제1도에 있어서의 시계회전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급지트레이(18)는 외부상자체(8)의 우측벽(8e)의 하단근접 위치에 형성된 트레이장착구(68)에서 외부상자체(8) 내부로 삽입되는 동시에, 소정의 트레이장착 위치에 장착되며, 그 좌단이 급지롤러(19)의 바로 아래에 위치되는 동시에 도시하지 않은 탄발수단에 의해서 밀어올림판(69)의 좌단부가 위쪽을 향해서 힘이 가해지고, 이에 따라 이 밀어올림판(69) 위에 얹어놓여 있는 현색지(7), (7)…의 제일 위의 것의 선단부가 급지롤러(19)에 압착하게 된다.
(70), (70')는 페이퍼가이드이며, 이 페이퍼가이드(70), (70')는 좌단으로 감에 따라 서로의 대향간격이 좁아지도록 대향한 상태로, 그 우단이 급지트레이(18)의 상면의 선단부에 근접하고, 또한 그 좌단부가 가압롤러(11), (12)의 접촉부의 입구측에 우측약간 비드슴한 아래쪽으로부터 근접하여 설치되어 있다.
(h-2) 급지
그래서, 하나의 화상에 대한 상기한 노광동작이 종료되면, 필름센서(58)에서 소정의 신호가 출력되어서 급지롤러(19)가 시계회전 방향으로 회전되고, 이에 따라, 현색지(7), (7)…의 제일 위에 와있는 것(7)이 급지롤러(19)에 의해서 송출되는 동시에 주행방향을 페이퍼가이드(70), (70')에 의해 안내되어서 그 선단부가 감광필름(4)와 아래쪽의 가입롤러(11)와의 사이에 꽂아지도록 위치하게 된다.
이리하여, 이 상태에서 가압롤러(11)가 반시계회전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공급된 현색지(7)가 감광필름(4)의 상기 인화필름으로 된 부분과 맞포개진 상태로 일체적으로 주행되어, 이에 따라 현색지(7)에의 화상의 프린트가 행하여지게 된다.
(i) 배지부(제1도 내지 제3도).
(i-1) 배지안내판(제1도).
(71)은 가압롤러(11), (12)의 접촉부의 출구측과 배치벨트(20)와의 사이에 상기 세퍼레이트플랜지(57)에 아래쪽에서 근접하여 위치된 제1의 배지안내판이며, 세퍼레이트플랩(57)은 감광필름(4)의 로딩이 행하여질때 이외는 상기 세퍼레이트 위치에 와있으므로, 이 상태에 있어서, 이 세퍼레이트플랩(57)와 상기 제1의 배지안내판(71)과의 사이에 가압롤러(11), (12) 사이에서 나온 현색지(7)의 주행방향을 안내하는 공간이 형성된다.
(72)는 제2의 배지안내판이며, 이 제2의 배지안내판(72)은 그 우단이 상기 제1의 배지안내판(71)의 좌단부와 약간 간격을 두고 위치하고, 또한 그 좌단이 배지트레이(21)의 기단부(基端部)에 위쪽에서 면하도록 위치한 상태로 설치되어 있으며, 우단부는 약간 오른쪽으로 쳐져서 경사져 있다.
(i-2) 배거롤러, 배지벨트(제1도 내지 제3도).
(73), (73') 및 (74), (74')는 배지롤러이며, 우측 배지롤러(73), (73')은 상하방향으로 줄지어 있고, 그 접촉부가 상기 제1의 배지안내판(71)의 좌단에 좌측에서 근접하여 위치하는 상태로 설치되어 있으며, 또한 좌측의 배지롤러 (74), (74')도 상하방향으로 줄지어 있고, 그 접촉부가 제2의 지안내판(72)이 좌단에 좌측에서 근접하여 위치하는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배지롤러(73), (73') 및 (74), (74')중 아래쪽의 것(73), (74)의 축(75), (76)은 상기 지지샤시(33), (33') 사이에 회전할 수 있게 지지되어 있으며, 또한 위쪽의 배지롤러(73') (74')의 축(75'), (76')는 지지샤시(33), (33')에 회전할 수 있게 지지된 롤러지지암(77), (77) 및 (78), (78)(도면에서는 어느 것이나 한쪽의 것만을 나타내고 있음)의 회전단부에 회전할 수 있게 지지되고, 또한 상기 롤러지지암(77), (77) 및 (78), (78)에 탄발적으로 가세된 회전력에 의해서 아래쪽의 배지롤러(73'), (74')에 압착되어 있다.
그리고, 배지벨트(20)는 위쪽의 배지롤러(73'), (74') 사이에 무단(無端) 형상으로 걸쳐져 있으며, 따라서 이 배지벨트(20)의 아래쪽을 향하고 있는 면의 좌우양단부가 아래쪽의 배지롤러(73'), (74')와 접촉되고, 또한 상기 면의 대부분이 제2의 배지안내판(72)의 상면과 가볍게 접촉하고 있다.
또한, 좌측의 배지롤러(74) (74')의 아래쪽의 것(74)이 후술하는 구동부에 의해서 제1도에 있어서의 반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되어 있으며, 이 배지롤러(74)가 상기 방향으로 회전하므로써, 배지벨트(20)중 제2의 배지안내판(72)과 대향하고 있는 부분이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이동하도록 주행시키는 동시에, 우측의 배지롤러(73), (73')의 아래쪽의 것(73)이 반시계회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i-3) 프린트완료센서(제1도).
(79)는 프린트완료센서 즉 가압롤러(11), (12) 사이에서 나온 현색지(7)의 주행방향에 있어서의 후단의 위치를 검출하여 상기 현색지(7)가 가압롤러(11), (12) 사이에서 완전히 나왔다는 것을 검출하는 센서이며, 이 프린트 완료센서(79)는 상기 제1의 배지안내판(71)에 형성된 구멍(71a)에 아래쪽에 근접하여 위치하고 있다.
(i-4) 배지
그래서, 프린트 동작이 개시되면, 배지롤러(74)가 반시계회전 방향으로 회전되는 동시에, 현색지(7)는 감광필름(4)에 착 달라붙은 상태로 가압롤러(11), (12) 사이에서 나오는데, 그 선단에지가 세퍼레이트플랩(57)의 끝이 뾰족한 우단에 맞닿은 곳에서 감광필름(4)에서 박리되어서 세퍼레이트플랩(57)과 제1의 배지안내판(71)과의 사이를 통과하여 주행하도록 주행방향을 안내받고, 이어서 배지벨트(20)와 배지롤러(73)와의 접촉부의 입구측으로부터 배지벨트(20)와 제2의 배지안내판(72)과의 사이에 끌려들어가 배지벨트(20)에 의해서 이송되고, 배지벨트(20)와 배지롤러(74)와의 접촉부의 출구측으로부터 배지트레이(21)위로 송출되어 가게된다.
또한, 현색지(7)의 주행방향에 있어서의 후단이 프린트완료센서(79)의 위쪽을 통과하면, 이 프린트완료센서(79)에서 소정의 신호가 출력되고, 이에 따라 상기한 감광필름(4)의 되감기동작을 개시하게 된다.
(j) 프린트 및 배지계의 구동부(제1도, 제2도, 제4도, 제5도).
(80)은 프린트 및 배지계의 구동부 즉 상기 가압롤러(11), 권취측 스풀(10), 주행보조롤러(32) 및 배지롤러(74)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부이며, 감광필름(4)의 주행 및 권취측 스풀(10)에 의한 감기, 현색지(7)에의 프린트 및 프린트가 된 현색지(7)의 배지등은 이 구동부(80)에 의해 행하여진다. 또한 제5도에 나타내는 화살표 중 실선화살표는 프린트시에 있어서의 주행방향 또는 회전방향을 나타내며, 파선화살표는 필름되감기시에 있어서의 주행방향 또는 회전방향을 나타내는 것이다.
(j-1) 가압롤러의 구동계.
(81)은 감속기부착모터(이하, 프린트모터라 함)이며, 이 프린트모터(81)는 지지샤시(33')의 우단부의 전측에 고정되어 있으며, 그 회전축(81a)의 상기 지지샤시(33')에서 후방으로 돌출한 부분의 전단부에 스프로켓휠(82)이 후단부에 체인기어(83)가 고정되어 있다.
또한, 프린트모터(81)는 프린트시에 있어서 그 회전축(81a)이 제1도에 있어서의 반시계회전 방향으로 회전하고, 필름되감기시에 있어서 시계회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84)는 아래쪽의 가압롤러(11)의 축(30)의 롤러지지체(23')에서 후방으로 돌출한 부분에 고정된 체인기어이며, 이 체인기어(84)와 상기 프린트모터(81)의 회전축(81a)에 고정된 체인기어(83)와의 사이에 무단형상의 체인벨트(85)가 걸쳐져 있다.
이리하여, 프린트모터(81)이 회전하면, 가압롤러(11)가 프린트모터(81)의 회전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가압롤러(11)는 프린트모터에 있어서는 반시계회전 방향으로 회전되고, 필름되감기모드에 있어서는 시계회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j-2) 주행보조롤러의 구동계.
(86)은 제1의 전달축이며, 이 제1의 전달축(86)은 지지샤시(33), (33') 사이에 회전할 수 있게 지지되는 동시에 지지샤시(33')에서 후방으로 돌출한 부분의 전단부에 비교적 지름이 작은 스프로켓 휠(87)이 고정되어 있다.
(88)은 아래측의 주행보조롤러(32)의 축이며, 이 축(88)의 지지샤시(33')에서 후방으로 돌출한 부분에 스프로켓 휠(89)이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스프로켓 휠(89)과 제1의 전달축(86)에 고정된 스프로켓 휠(87)과 프린트모터(81)의 회전축(81a)에 고정된 스프로켓 휠(82)에 무단형상의 타이밍벨트(90)가 걸쳐져 있다.
따라서, 프린트모드에 있어서는 프린트모터(81)가 반시계회전 방향으로 회전하므로, 타이밍벨트(90)가 제5도에 실선화살표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주행되므로써, 이에 따라 제1의 전달축(86)과 주행보조롤러(32)가 반시계회전 방향으로 회전되며, 또한 필름되감기 모드에 있어서는 프린트모터(81)가 시계회전 방향으로 회전하므로, 타이밍벨트(90)가 제5도에 파선활표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주행하게 되고, 이에 따라 제1의 전달축(86)과 주행보조롤러(32)가 시계회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j-3) 배지롤러의 구동계.
(91)은 스프로켓 휠(87)의 후측의 위치에 있어서 상기 제1의 전달축(86)에 원웨이클러치(92)를 통해서 결합된 스프로켓 휠, (93)은 상기 스프로켓 휠(91)의 후측의 위치에 있어서 제1의 전달축(86)에 고정된 제1의 전달기어(86)이고, 상기 원웨이클러치(92)는 제1의 전달축(86)이 상기 스프로켓 휠(91)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반시계회전 방향으로 회전되었을 때만 이 제1의 전달축(86)과 상기 스프로켓 휠(91)을 연결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94)는 상기 배지롤러(74)의 축(76)의 지지샤시(33')에서 후방으로 돌출한 부분에 고정된 스프로켓 휠, (95)는 상기 스프로켓 휠(94)의 후측에 있어서 상기 축(76)에 원웨이클러치(96)을 통해서 결합된 제2의 전달기어이며, 상기 스프로켓 휠(94)과 제1의 전달축(86)에 고정된 스프로켓 휠(91)과의 사이에 무단형상의 타이밍벨트(97)가 걸쳐지는 동시에, 상기 제2의 전달기어(95)와 상기 제1의 전달기어(93)가 맞물려 있다.
또한, 상기 원웨이클러치(96)는 제2의 전달기어(95)가 배지롤러(74)의 축(76)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제5도에 있어서의 반시계회전 방향으로 회전할때만 상기 축(76)과 제2의 전달기어(95)를 연결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래서, 상기한 바와 같이, 프린트모드에 있어서는 제1의 전달축(86)이 반시계회전 방향으로 회전하므로 이 제1의 전달축(86)과 스프로켓 휠(91)이 원웨이클러치(92)를 통해서 연결되고, 이에 따라 타이밍벨트(97)와 제5도에 실선화살표로 표시하는 방향으로 주행되어서 배지롤러(74)가 제1도에 있어서 반시계회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이때 제1의 전달기어(93)는 반시계회전 방향으로 회전되므로 제2의 전달기어(95)가 시계회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는데, 제2의 전달기어(95)가 이 방향으로 회정할 때는 원웨이클러치(96)가 맞물리지 않으므로, 프린트시에 있어서 제2의 전달기어(95)와 배지롤러(74)의 축(76)과는 서로 간섭하지 않는 상태에 있게 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필름되감기모드에 있어서는, 제1의 전달축(86)이 시계회전 방향으로 회전하므로, 제1의 전달기어(93)가 시계회전 방향으로 회전되어서 제2의 전달기어(95)가 반시계회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므로써, 이 상태에 있어서 이 제2의 전달기어(95)와 배지롤러(74)의 축(76)이 원웨이클러치(96)를 통해서 연결되고, 이에 따라 배지롤러(74)가 반시계회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이때 배지롤러(74)의 축(76)에 고정되어 있는 스프로켓 휠(94)도 반시계회전 방향으로 회전되므로 이 회전이 타이밍벨트(97)를 통해서 제1의 전달축(86)에 설치되어 있는 큰쪽의 스프로켓 휠(91)에 전달되어서 이스프로켓 휠(91)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는데, 상기한 바와같이 스프로켓 휠(91)은 전달축(86)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시계회전 방향으로 회전되었을 때만 이 제1의 전달축(86)과 연결되므로, 필름되감기모드에 있어서, 이 스프로켓 휠(91)과 제1의 전달축(86)과는 서로 간섭하지 않는 상태에 있게 된다.
이리하여, 배지롤러(74)는 프린트모드 및 필름되감기모드의 어느것에 있어서나 반시계회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따라서 프린트 동작의 종료직후에 필름되감기동작이 개시되어도 가압롤러(11), (12)에서 나오고 있는 현색지(7)는 확실하게 배지트레이(21)로 송출되어 가게 된다.
(j-4) 권취측 스풀의 구동계.
(98)은 외부상자체(8)의 후벽(8b)의 좌단에 근접된 하단부에 지지된 베어링하우징이며, 이 베어링하우징(98)에 제2의 전달축(99)이 회전할 수 있게 지지되는 동시에, 이 제2의 전달측(99)의 전단부에 상기 제1의 전달기어(93)와 맞물린 제3의 전달기어(100)가 고정되고, 또한 제2의 전달축(99)의 후단부에 원웨이클러치(101)를 통해서 스프로켓 휠(102)이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원웨이클러치(101)는 제2의 전달축(99)이 스프로켓 휠(102)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시계회전 방향으로 회전했을때만 제2의 전달축(99)과 스프로켓 휠(102)을 연결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103)은 상기 권취측스풀(10)의 스풀축(49)의 외부상자체(8)에서 후방으로 돌출한 부분에 고정된 스프로켓 휠이며, 이 스프로켓 휠(103)과 상기 제2의 전달축(99)에 설치된 스프로켓 휠(102)과의 사이에 무단형상의 타이밍벨트(104)가 걸쳐져 있다.
그래서, 상기한 바와 같이, 프린트모드에 있어서는 제1의 전달기어(93)가 반시계회전 방향으로 회전하므로, 이것과 맞물리고 있는 제3의 전달기어 및 제2의 전달축(99)이 제5도에 있어서의 시계회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므로써, 그리고 제2의 전달축(99)에 이 방향으로 회전하면 원웨이클러치(101)를 통해서 스프로켓 휠(102)도 시계회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타이밍벨트(104)가 제5도에 화살표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주행되므로, 권취축 스풀(10)이 제1도에 있어서의 시계회전방향 즉 필름권취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필름되감기모드에 있어서는, 제1의 전달기어(93)가 시계회전 방향으로 회전하므로, 제3의 전달기어(100) 및 제2의 전달측(99)이 반시계회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제2의 전달축(99)이 이 방향으로 회전할때는 원웨이클러치(101)가 제2의 전달축(99)과 스프로켓 휠(102)과의 사이를 연결하지 않기 때문에, 스프로켓 휠(102)은 제2의 전달축(99)으로부터 회전을 전달받는 일은 없다.
또한 권취측 스풀(10)에서 감광필름(4)이 끌어내어지면, 이 권취측 스플(10) 및 그 스풀축(49)과 스프로켓 휠(103)이 일체적으로 반시계회전 방향을 회전되므로, 이 회전력이 타이밍벨트(104)를 통해서 제2의 전달측(99)의 스프로켓 휠(102)에 전달되어서 이 스프로켓 휠(102)이 반시계회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k) 급지 및 필름되감기계의 구동부(제1도, 제2도, 제6도, 제7도).
(105)는 급지 및 필름되감기계의 구동부, 즉 상기 급지롤러(19) 및 되감기롤러(22)는 회전하기 위한 구동부이며, 현색지(7)의 급지나 공급측 스풀(6)에 의한 감광필름(4)의 되감기는 이 구동부(105)에 의해서 행하여진다.
그리고 제7도에 나타내는 화살표중 실선화살표는 급지시에 있어서의 회전방향이나 주행방향을 나타내며, 파선화살표는 필름되감기시에 있어서의 회전방향이나 주행방향을 나타내는 것이다.
(k-1) 기어지 샤시, 급지모터.
(106)은 기어지지샤시이며, 이 기어지지샤시(106)는 위쪽에서 보아 대략 ㄷ자형을 하고 있으며, 상기 지지샤시(36')의 후면에 고정되어 있다.
(107)는 급지롤러(19) 및 되감기롤러(22)를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이하, 급지모터라 함)이며, 이 급지모터(107)는 상기 기어지지샤시(106)에 고정되어 있으며, 그 회전축(107a)의 기어지지샤시(106)에서 후방으로 돌출한 부분에 기어(108)가 고정되어 있다.
또한, 이 급지모터(107)는 급지모드에 있어서는 제1도 및 제7도에 있어서의 시계회전 방향으로 회전하고, 필름되감기 모드에 있어서는 반시계회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k-2) 급지롤러의 구동계.
(109)는 기어지지샤시(106)에 회전할 수 있게 지지된 전달측이며, 이 전달축(109)의 기어지지샤시(106)에서 후방으로 돌출한 부분의 선단부에 제1의 전달기어(110)가 고정되어 있다.
(111)은 기어지지샤시(106)에 고정된 기어지지축이며, 이 기어지지축(111)의 기어지지샤시(106)에 후방으로 돌출한 부분에 상기 제1의 전달기어(110)와 맞물리고 있는 제2의 전달기어(112)가 회전할 수 있게 지지되어 있으며, 이 제2의 전달기어(112)에 스프로켓 휠(112a)이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113)은 급지롤러(19)의 축(67)의 후단부에 원웨이클러치(114)를 통해서 결합된 스프로켓 휠이며, 이 스프로켓 휠(113)과 상기 제2의 전달기어(112)의 스프로켓 휠(112a)과의 사이에 무단형상의 타이밍벨트(115)가 걸쳐져 있다.
또한, 상기 원웨이클러치(114)는 스프로켓 휠(113)이 급지롤러(19)의 축(67)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시계회전 방향으로 회전했을 때만 축(67)과 스프로켓 휠(113)을 연결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래서, 상기한 바와 같이, 급지모드에 있어서는 급지모터(107)가 시계회전 방향으로 회전하므로, 이에 따라 전달축(109) 및 전달기어(110)가 반시계회전 방향으로, 제2의 전달기어(112) 및 그 스프로켓 휠(112a)이 시계회전 방향으로 각기 회전되어서 타이밍벨트(115)가 제7도에 실선화살표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주행하게 된다.
따라서, 스프로켓 휠(113)이 시계회전 방향으로 회전되므로, 이 스프로켓 휠(113)이 원웨이클러치(114)를 통하여 급지롤러(19)의 축(67)과 연결하게되고, 이에 따라 급지롤러(19)가 시계회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또한, 필름되감기모드에 있어서는 급지모터(107)가 반시계회전 방향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제1의 전달기어(110)가 시계회전 방향으로, 제2의 전달기어(112) 및 그 스프로켓 휠(112a)이 반시계 회전방향으로 회전되는 동시에 타이밍벨트(115)가 제7도에 파선화살표로 표시하는 방향으로 주행되므로, 스프로켓 휠(113)이 반시계회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는데, 이 스프로켓 휠(113)이 이 방향으로 회전할때는 원웨이클러치(114)가 공전(空전)하여 그 회전이 급지롤러(19)의 축(67)으로 전달되는 일은 없다.
(k-3) 되감기롤러의 구동계.
(116)은 제1의 전달기어(110)의 전축의 위치에 있어서 전달축(109)에 원웨이클러치(117)를 통해서 결합된 스프로켓 휠, 그리고 (118)은 상기 되감기롤러(22)의 축(60)의 후단부에 고정된 스프로켓 휠이며, 이 스프로켓 휠(118)과 상기 스프로켓 휠(116)과의 사이에 무단형상의 타이밍벨트(119)가 걸쳐져 있다.
또한, 상기 원웨이클러치(117)는 전달축(109)이 스프로켓 휠(116)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제7도에 있어서의 시계회전 방향으로 회전할때만 전달축(109)과 스프로켓 휠(116)과의 사이를 연결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래서, 급지모드에 있어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전달축(109)이 반시계회전 방향으로 회전되므로 원웨이클러치(117)가 공전하여, 전달축(109)의 회전이 스프로켓 휠(116)에 전달되는 일은 없고, 따라서 되감기롤러(22)가 급지모터(107)에 의해서 회전되는 일은 없다.
또한, 필름카세트(2)의 공급측 스풀(6)에서 감광필름(4)이 풀어내어지면, 이 공급측 스풀(6)이 시계회전 방향으로 회전되므로, 이에 따라 되감기롤러(22)가 반시계회전 방향으로 회전되고, 그 회전이 타이밍벨트(119)를 통해서 스프로켓 휠(116)에 전달되어서 이 스프로켓 휠(116)이 반시계회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는데, 되감기롤러(22)의 스프로켓 휠(118)은 스프로켓 휠(116)보다 상당히 작은 지름이기 때문에, 상기 되감기롤러(22)의 회전은 스프로켓 휠(116)에 감속되어서 전달되므로, 스프로켓 휠(116)이 되감기롤러(22)에 의해서 반시계회전 방향으로 회전되어도 그 회전은 반시계회전 방향으로 고속으로 회전하고 있는 전달축(109)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시계회전 방향으로의 회전이 되고, 따라서 원웨이클러치(117)가 공전하는 것은 변함이 없다.
그리고, 필름되감기모드에 있어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전달축(109)이 시계회전 방향으로 회전하므로, 이 전달축(109)이 원웨이 클러치(117)를 통해서 스프로켓 휠(116)과 연결하게 되고, 그에 따라 스프로켓 휠(116)이 시계회전 방향으로 회전되며, 타이밍벨트(119)가 제7도에 파선화살표로 표시하는 방향으로 주행되고, 되감기롤러(22)가 시계회전 방향으로 회전하게되고, 이에 따라 공급측 스풀(6)이 반시계회전 방향으로 즉 감광필름(4)을 감아들이는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ℓ) 동작.
이리하여 이와 같이 구성된 프린터(1)에 의한 감광필름(4)의 노광, 현색지의 급지, 현색지에의 화상의 프린트, 프린트된 현색지의 배지 및 감광필름(4)의 되감기는 다음과 같이 행하여 진다.
즉, 감광필름(4)이 상기한 바와 같이 로딩된 상태에서 프린트 동작 개시지령이 나오면, 감광필름(4)이 플름이송롤러(14), (15)에 의해서 일정한 피치씩 포와드 방향으로 주행시키는 동안에 그 노광면이 FOT(17)에 의해 일정한 라인마다 노광되어서 하나의 화상의 인화필름이 형성된다.
그리고, 이 노광이 완료하는 것과 거의 동시에 또는 그 직후에 필름센서(58)에 의해서 감광필름(4)의 상기 인화필름이 된 부분의 선단이 가압롤러(11), (12)의 접촉부의 입구측 가까이의 소정의 위치까지 왔다는 것이 검출되며, 이에 따라 급지모터(107)가 시계회전 방향으로 회전하여 급지롤러(19)가 시계회전 방향으로 회전되고, 현색지(7)가 1매 가압롤러(11), (12) 사이에 공급된다.
또한, 현색지(7)의 공급이 완료되면, 급지모터(107)가 정지하는 동시에 프린트모터(81)가 반시계회전 방향으로 회전하고, 이에 따라 가압롤러(11)이 반시계회전 방향으로, 주행보조롤러(32)가 반시계회전 방향으로, 배지롤러(74)가 반시계회전 방향으로, 권취측 스풀(10)이 시계회전 방향으로 각기 회전된다.
따라서, 감광필름(4)이 포와드 방향으로 주행되는 동시에 공급된 현색지(7)가 감광필름(4)의 인화필름에 형성된 부분의 노광면과 접촉하여 맞포개진 상태로 가압롤러(11), (12)에 의해 감광필름(4)과 일체로 주행하게되고, 이 사이에 감광필름(4)이 인화필름으로 된 부분의 노광면의 색소전구체중 FOT(17)에 의해서 노광되어 있지 않온 것의 캡슐이 파괴되어서 그 캡술에 봉입된 색소전구물질이 침입하여 현색지(7)에 전사하게되고, 이로써 이 현색지(7)에 소정의 화상이 프린트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와 같이 프린트가된 현색지(7)가 가압롤러(11), (12) 사이에서 나와 그 후단이 상기 프린트완료센서(79)의 위쪽을 통과하면 이 프린트완료세서(79)에서 소정의 신호가 출력된다.
또한, 이 시점에 있어서, 감광필름(4)의 노광이 되어있지 않은 부분의 선단부는 가압롤러(11)와 (12)의 접촉부 또는 그보다 약간 바로앞의 위치까지 와있다.
그리고 프린트완료센서(79)에서 신호가 출력되면, 프린트모터(81)가 역전 즉 시계회전 방향으로 회전되는 동시에 급지모터(107)가 반시계회전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에 따라 가압롤러(11)이 시계회전 방향으로, 주행보조롤러(32)가 시계회전 방향으로, 즉 어느 것이나 앞서의 회전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는 동시에, 배지롤러(74)는 계속해서 같은 방향 즉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며, 그리고 되감기롤러(22)가 시계회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감광필름(4)이 리버스방향 즉 권취측 스풀(10)에서 풀어내어져서 공급측 스풀(6)에 감겨져가는 방향으로 주행되는 동시에 공급측 스풀(6)이 필름권취 방향으로 회전되어서 카세트 케이스(3) 밖으로 끌어내어지고 있는 부분을 감게된다.
또한 권취측 스풀(10)은 여기에 감겨져있던 감광필름(4)이 풀어내어져 가므로써 반시계회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는데, 그 회전에는 상기 토크리미터(59)에 의한 적당한 백텐션이 가해진다.
그리고, 되감기롤러(22)가 소정의 회수 회전하면, 이 되감기롤러(22)의 축(60)에 관계되어 있는 도시하지 않은 회전수센서에서 소정의 신호가 출력되고, 이것에 의해서 급지모터(107) 및 프린트모터(81)의 회전이 정지하게 된다.
이리하여 카세트 케이스(3)에서 끌려나오고 있던 감광필름(40이 소정량 즉 노광이 되어 있지 않은 부분의 선단부가 FOT(17)의 발광면 (17a)과 대향하는 위치에 되돌려지기 까지 공급측 스풀(6)에 되감기게되고, 따라서 다음의 화상에 대한 노광은 앞서 인화필름으로 된 부분 즉 사용이 끝난 부분의 후단에 가까운 위치부터 행하여지게 된다.
그리고 감광필름(4)의 되감기가 이와 같이 행하여지고 있는 동안에, 프린트가 된 현색지(7)가 배지벨트(20)에 의해서 배지트레이(21)로 송출되어 가게 된다.
이상에 기술한 바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본원 발명의 프린터는 노광면에 감광성의 색소전구체가 배설된 장척의 감광필름의 상기 노광면을 소정의 화상신호에 따른 빛에 의해서 노광하므로써 인화필름을 헝성하는 동시에. 감광필름의 상기 노광이 된 부분을 소정의 현색지와 맞포개어서 가압하므로써 이 현색지에 소정의 화상을 프린트하는 프린터이며, 감광필름이 감겨진 공급측 스풀 및 이 공급측 스풀에서 풀어낸 감광필름을 감는 권취축 스풀과, 공급측 스풀을 필름권취 방향으로 회전하는 필름되감기 수단과, 감광필름을 노광하는 노광수단과, 현색지를 공급하는 현색지공급수단과, 감광필름 및 공급된 현색지를 맞포개어서 가압하면서 주행시키는 가압롤러와, 상기 가압롤러를 구동하는 롤러구동 수단을 구비하고, 현색지에 프린트가 된 다음 상기 필름 되감기수단을 구동하여 감광필름의 노광이 되어있지 않은 부분의 선단부가 노광수단과 대향하는 위치에 되돌아갈때까지 감광필름을 되감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원 발명에 의하면, 감광필름의 노광면이 노광은 항상 앞서 노광이 된 부분의 바로 뒤쪽 위치에서 행하여지게 되므로, 감광필름을 허비하지 않고 사용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현색지 공급수단의 구동계를 필름권취 수단의 회전부재와 연계시키는 동시에 상기 구동부의 도처에 원웨이클러치를 개재시켜서 현색시 공급수단의 구동계가 필름권취 수단의 구동계를 겸하도록 하였으며, 이와 같이하므로써, 필름 되감기수단에 전용(專用)구동계를 설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프린터의 구조를 복잡하게 하지 않아도 된다.
더구나 본원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는 필름되감기 수단에 전용구동계를 설치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감광필름에 대한 노광이 하나의 화상전체에 대하여 이루어진 후에 현색지에의 프린트를 개시하도록 하였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감광필름의 노광이 어느 종더 이루어진 후, 즉 하나의 화상의 일부에 대한 노광이 된 다음 감광필름의 노고아을 행하면서 현색지에의 화상의 프린트를 행하고, 하나의 화상 전체에 대한 프린트가 종료된 다음 감광필름을 감아들이도록 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감광필름으로서 감광되므로써 항압적인 비파괴성이 발생하고, 또한 색이 다른 발색을 하는 복수종류의 색소전구체가 혼재하여 배설된 것을 사용하는 동시에, 그 노광을 감광필름의 노광면에 상기 복수종류의 색소전구체에 각기 따로 작용하는 빛을 차례로 조사하여 행하도록 하였으나, 본원 발명에 있어서 사용되는 감광필름이 이와 같은 감광특성을 갖거나, 현색지에 있어서의 발색이 이른바 올칼러로 된 색소전구체가 배설된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감광되므로써 그 색소전구물질이 현색지에 있어서 발색하는 상태 또는 발색하지 않는 상태의 어느 하나의 상태가 되는 감광특성을 가지고 있는 것이면 어떠한 것이라도 좋으며, 또한 그 색소전구물질의 색도 현색지에 있어서의 발색이 올칼러 또는 이른바 모노른(montone)의 어느것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라도 좋다.
그리고 현색지에의 화상의 프린트를 올칼러로 행하는 프린터일지라도, 그 감광필름으로서 각기 색이 다른 복수종류의 색소 전구물질을 각기 따로 갖는 색소전구체가 배설된 복수의 감광필름을 사용하여 현색지에의 프린트를 복수회 행하므로써 화상의 올칼러에 의한 프린트를 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으며, 본원 발명은 이와 같은 프린트방식에 의한 프린터에도 적용할 수 있다.

Claims (1)

  1. 노광면에 감광성의 색소 전구체(前駒체)가 배설된 장척의 감광필름의 상기 노광면을 소정의 화상신호에 따른 빛에 의해서 노광하므로써 인화필름을 형성하는 동시에, 감광필름의 상기 노광이 된 부분을 소정의 현색지와 맞포개어서 가압하므로써 이 현색지에 소정의 화상을 프린트하는 프린터이며, 감광필름이 감겨진 공급측 스풀 및 이 공급측 스풀에서 풀어낸 감광필름을 감아들이는 권취측 스풀과, 공급측 스풀을 필름권취 방향으로 회전하는 필름되감기수단과, 감광필름을 노광하는 노광수단과, 현색지를 공급하는 현색지공급수단과, 감광필름 및 공급된 현색지를 맞포개어서 가압하면서 주행시키는 가압롤러와, 상기 가압롤러를 구동하는 롤러구동 수단을 구비하고, 현색지에 프린트가 된 다음 상기 필름되감기 수단을 구동하여 감광필름의 노광이되어 있지 않은 부분의 선단부가 노광수단과 대향하는 위치에 되돌아갈 때까지 감광필름을 되감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
KR1019880006735A 1987-06-05 1988-06-04 프린터 KR9600127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7-140912 1987-06-05
JP62140912A JPS63303774A (ja) 1987-06-05 1987-06-05 プリン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0251A KR890000251A (ko) 1989-03-13
KR960012769B1 true KR960012769B1 (ko) 1996-09-24

Family

ID=152797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06735A KR960012769B1 (ko) 1987-06-05 1988-06-04 프린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4945382A (ko)
EP (1) EP0294236B1 (ko)
JP (1) JPS63303774A (ko)
KR (1) KR960012769B1 (ko)
DE (1) DE3877830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2653A (ja) * 1988-07-11 1990-01-25 Brother Ind Ltd 画像形成装置
US5080010A (en) * 1988-09-07 1992-01-14 Sharp Kabushiki Kaisha Pressure roller device
US5017958A (en) * 1989-09-14 1991-05-21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control unit for rewinding operation of photosensitive recording medium
US5049919A (en) * 1989-10-24 1991-09-17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Image recording apparatus having reversal sheet feeding device and control means for starting image recording operation in connection with the reversal sheet feed
US5023653A (en) * 1989-10-30 1991-06-11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Image recording apparatus having sheet slack absorbing means
JPH03144628A (ja) * 1989-10-31 1991-06-20 Brother Ind Ltd 画像記録装置
JPH03144566A (ja) * 1989-10-31 1991-06-19 Brother Ind Ltd 画像形成装置
US5016041A (en) * 1989-10-31 1991-05-14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Image recording apparatus having sheet nip releasing mechanism and shutter mechanism
KR920005002Y1 (ko) * 1990-03-24 1992-07-25 주식회사 금성사 칼라 비디오 프린터의 수상지 및 필름지 일체 내장형 카트리지
US5408296A (en) * 1991-04-23 1995-04-18 Fuji Photo Film Co., Ltd. Color proof making apparatus
JPH0829955A (ja) * 1994-07-15 1996-02-02 Fuji Photo Film Co Ltd 画像記録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58256A (en) * 1967-08-14 1969-07-29 Peterson Enterprises Inc Bi-directional film printing apparatus
US3734617A (en) * 1971-04-26 1973-05-22 Scott Paper Co Film depletion detection system
US3768906A (en) * 1971-12-27 1973-10-30 Producers Service Corp Method and apparatus for printing and processing thermal film
DE2205996B2 (de) * 1972-02-09 1975-05-15 Rank Precision Industries Gmbh, 8500 Nuernberg Faseroptische Lichtleiteranordnung, insbesondere Reflexionsschranke
US4149887A (en) * 1974-08-23 1979-04-17 Sidney Levy Photography utilizing micro-capsular materials
JPS61209183A (ja) * 1985-03-14 1986-09-17 Oki Electric Ind Co Ltd プリンタのインクシ−ト走行方法
JPS61219041A (ja) * 1985-03-25 1986-09-29 Seiko Instr & Electronics Ltd ドツトマトリツクス型カラ−プリンタ
US4648699A (en) * 1985-10-31 1987-03-10 The Mead Corporation Point contact development of imaging sheets employing photosensitive microcapsules
US4742374A (en) * 1985-12-24 1988-05-03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Copying apparatus
US4783683A (en) * 1986-04-03 1988-11-08 Fuji Photo Film Co., Ltd. Image recording apparatus
US4699504A (en) * 1986-08-06 1987-10-13 Bell & Howell Company Control system for microimage recorders
US4777513A (en) * 1987-10-09 1988-10-11 The Mead Corporation Web transport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294236B1 (en) 1993-01-27
EP0294236A3 (en) 1989-01-04
US4945382A (en) 1990-07-31
DE3877830T2 (de) 1993-06-17
EP0294236A2 (en) 1988-12-07
JPS63303774A (ja) 1988-12-12
DE3877830D1 (de) 1993-03-11
KR890000251A (ko) 1989-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12769B1 (ko) 프린터
US4875074A (en) Image recording apparatus
US4639739A (en) Thermal transfer recording method and apparatus
JPS58145469A (ja) プリンタ
US4884082A (en) Color image recording apparatus
US4774525A (en) Thermal transfer type multicolor printer
JP5978117B2 (ja) 印刷装置
JP2729052B2 (ja) 画像記録方法
US5049922A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mask original form
JP2506933B2 (ja) 記録装置
US4868602A (en) Imaging device
EP0508892A2 (en) Exposure system for color video printer
JP2575722B2 (ja) 画像記録方法
JPH0419658A (ja) 感光記録媒体カートリッジ用マガジン
JPH02120740A (ja) 画像記録装置
JPH02116846A (ja) カラー画像記録装置
JPH02116845A (ja) カラー画像記録装置
JPH02114261A (ja) 画像形成装置
JPH0419745A (ja) 画像記録装置
JPH0420951A (ja) 露光装置
JPH04128735A (ja) 画像記録装置
JPH012040A (ja) 画像記録方法
JPH0419632A (ja) 画像形成装置
JPH03132756A (ja) 画像形成装置
JPH0852926A (ja) 熱転写プリン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