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11673A - 온라인 서비스 유실을 극소화하기 위한 프로세서의 이중화 절체방법 - Google Patents

온라인 서비스 유실을 극소화하기 위한 프로세서의 이중화 절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11673A
KR960011673A KR1019940022405A KR19940022405A KR960011673A KR 960011673 A KR960011673 A KR 960011673A KR 1019940022405 A KR1019940022405 A KR 1019940022405A KR 19940022405 A KR19940022405 A KR 19940022405A KR 960011673 A KR960011673 A KR 9600116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cessor
message
transfer
active
lo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224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6012B1 (ko
Inventor
변상구
Original Assignee
박성규
대우통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성규, 대우통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박성규
Priority to KR10199400224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6012B1/ko
Publication of KR9600116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16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60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6012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07Responding to the occurrence of a fault, e.g. fault tolerance
    • G06F11/16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of the data by redundancy in hardware
    • G06F11/20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of the data by redundancy in hardware using active fault-masking, e.g. by switching out faulty elements or by switching in spare elements
    • G06F11/202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of the data by redundancy in hardware using active fault-masking, e.g. by switching out faulty elements or by switching in spare elements where processing functionality is redundant
    • G06F11/2023Failover techniques
    • G06F11/2028Failover techniques eliminating a faulty processor or activating a spar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07Responding to the occurrence of a fault, e.g. fault tolerance
    • G06F11/16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of the data by redundancy in hardware
    • G06F11/20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of the data by redundancy in hardware using active fault-masking, e.g. by switching out faulty elements or by switching in spare elements
    • G06F11/202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of the data by redundancy in hardware using active fault-masking, e.g. by switching out faulty elements or by switching in spare elements where processing functionality is redundant
    • G06F11/2023Failover techniques
    • G06F11/2033Failover techniques switching over of hardware resour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 G06F15/163Interprocessor communication
    • G06F15/173Interprocessor communication using an interconnection network, e.g. matrix, shuffle, pyramid, star, snowfla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ardware Redundanc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티브 프로세서에 장애 발생시 스탠바이 프로세서로 절체하여 통신이 중단되지 않도록 이중화하는 온라인 서비스 유실을 극소화하기 위한 프로세서의 이중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절체과정에서 티 프로세서들이 절체상황을 알지 못하고 절체과정이 수행되고 있는 프로세서에게 송신할 프로세서간 통신용 메세지가 발생할 경우 곧바로 송신함으로 상당량의 메세지가 유실되어 온라인 서비스가 단절되는 현상을 방지하는 온라인 서비스 유실을 극소화하기 위한 프로세서의 이중화 절체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운용자의 요구에 의해서 프로세서의 절체를 수행할시 상기 액티브 프로세서에서 타 프로세서드로 자신의 프로세서가 절체 상황임을 알려주고, 절체중인 프로세서로 수신될 프로세서간 통신용 메세지를 타 프로세서들이 송신하지 않고 저장하며, 상기 스탠바이 프로세서를 액티브 프로세서로 절체한 후 상기 절체된 액티브 프로세서로 프로세서간 통신 메세지를 전송해 줌으로서 절체 기능 수행중에 프로세서간 통신 메세지가 수신되지 않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온라인 서비스 유실을 극소화 하기 위한 프로세서의 이중화 절체방법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교환시스템에서 이중화 장치의 블록 구성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액티브 프로세서에서 절체제어시작을 타프로세서로 알리기 위한 제어 흐름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스탠바이 프로세서가 액티브 프로세서로 절체되어 절체기능의 완료상태를 알려주기 위한 제어 흐름도.

Claims (2)

  1. 액티브 프로세서와 스탠바이 프로세서를 구비한 전전자교환 시스템의 이중화 절체방법에 있어서, 운용자의 요구에 의해서 프로세서의 절체를 수행할시 상기 액티브 프로세서에서 타 프로세서들로 자산의 프로세서가 절체 상황임을 알려주고, 절체중인 프로세서로 수신될 프로세서간 통신용 메세지를 타프로세서들이 송신하지 않고 저장하며, 상기 스탠바이 프로세서를 액티브 프로세서로 절체한 후 상기 절체된 액티브 프로세서로 프로세서간 통신 메세지를 전송해 줌으로서 절체 기능 수행중에 프로세서간 통신 메세지가 수신되지 않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서 이중화 절체방법.
  2. 액티브 프로세서와 스탠바이 프로세서를 구비한 전전자교환 시스템의 이중화 절체방법에 있어서, 운용자의 요구에 의해 프로세서 절체를 수행할시 상기 액티브 프로세서에서 내부 모든 프로세서로 절체기능 시작 메세지를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절체기능 시작 메세지를 전송한 후 절체기능 시작 메세지가 정상적으로 전송되었을시 프로세서간 통신 메세지를 저정하는 과정과, 상기 전송된 절체기능 시작 메세지를 수신하여 상기 절체중인 프로세서로 메세지를 전송하지 못하도록 해당 프로세서를 일시 중단시키는 과정과, 상기 프로세서를 절체한 후 절체기능이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메세지를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절체기능 완료메세지를 수신하여 제반 데이타를 초기화하고 일시 중단된 프로세서들이 메세지를 전송할 수 있도록 연속해서 수행시키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서의 이중화 절체방법.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940022405A 1994-09-07 1994-09-07 온라인 서비스 유실을 극소화 하기 위한 프로세서의 이중화 절체방법 KR9700060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22405A KR970006012B1 (ko) 1994-09-07 1994-09-07 온라인 서비스 유실을 극소화 하기 위한 프로세서의 이중화 절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22405A KR970006012B1 (ko) 1994-09-07 1994-09-07 온라인 서비스 유실을 극소화 하기 위한 프로세서의 이중화 절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1673A true KR960011673A (ko) 1996-04-20
KR970006012B1 KR970006012B1 (ko) 1997-04-23

Family

ID=193921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22405A KR970006012B1 (ko) 1994-09-07 1994-09-07 온라인 서비스 유실을 극소화 하기 위한 프로세서의 이중화 절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601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5539A (ko) * 2002-10-22 2004-04-29 서희동 자화퇴비의 제조방법
KR100455872B1 (ko) * 2001-06-09 2004-11-09 유티스타콤코리아 유한회사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실시간 결함 허용을 위한 이중화 방법
KR100480181B1 (ko) * 2002-10-29 2005-03-31 서희동 자화비료의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5872B1 (ko) * 2001-06-09 2004-11-09 유티스타콤코리아 유한회사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실시간 결함 허용을 위한 이중화 방법
KR20040035539A (ko) * 2002-10-22 2004-04-29 서희동 자화퇴비의 제조방법
KR100480181B1 (ko) * 2002-10-29 2005-03-31 서희동 자화비료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6012B1 (ko) 1997-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43627A (en) Internal communication arrangement for a multiprocessor system
KR960011673A (ko) 온라인 서비스 유실을 극소화하기 위한 프로세서의 이중화 절체방법
JP4352224B2 (ja) 二重化系におけるデータ救済方法およびシステム
KR100336500B1 (ko) 상용 실시간 운영체제와 미들웨어를 통한 아이/오 기반고가용성 구현 방법
JP2776442B2 (ja) 複合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
CN114124680B (zh) 一种文件访问控制告警日志管理方法及装置
JPS6027256A (ja) パケツト交換機の切替方式
JPS625759A (ja) 呼情報救済方式
JP2002373084A (ja) 二重化システムの状態交換・障害検出兼用方法
JP4193754B2 (ja) データ二重化方法とプログラム
JP2772068B2 (ja) 引き継ぎ情報のデータ保証処理方法
JPH0612358A (ja)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の自動停止方式
JPS59180897A (ja) バツテリバツクアツプメモリの二重化方式
KR960025162A (ko) 고도지능망 서비스교환기용 지능망 서비스 호 제어방법
KR20000037618A (ko) 분산 데이터베이스 관리시스템에서의 중복 데이터 일치성 제어방법
KR920014077A (ko) 이중화된 프로세서의 이중화 절체방법
KR0138393B1 (ko) 사설교환기에서의 메세지 전송장치
JPH08139804A (ja) 通信方式
JP2569026B2 (ja) マルチ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のプログラム実行方法
JPH06223017A (ja) 計算機システム
JPH1027159A (ja) 通信回線復旧システム、および通信回線復旧方法
JPS6172456A (ja) システム構成管理方式
JPH0659923A (ja) Cpuを用いた二重化システム
KR100256564B1 (ko) 오엠아이와 에이젼트간의 초기화 처리 방법
JPS58169623A (ja) 通信制御処理装置のプログラムロ−ド方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