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11499B1 - 주화분리기 - Google Patents

주화분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11499B1
KR960011499B1 KR1019880000074A KR880000074A KR960011499B1 KR 960011499 B1 KR960011499 B1 KR 960011499B1 KR 1019880000074 A KR1019880000074 A KR 1019880000074A KR 880000074 A KR880000074 A KR 880000074A KR 960011499 B1 KR960011499 B1 KR 9600114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n
coins
passage
group
separ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000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9322A (ko
Inventor
유끼치 하야시
요네조 후루야
이찌로 후꾸다
가와 마사끼 아까
오사무 고바야시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니쁜 콘럭스
오까다 마사하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니쁜 콘럭스, 오까다 마사하루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니쁜 콘럭스
Publication of KR8800093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93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114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14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3/00Sorting a mixed bulk of coins into denominations
    • G07D3/12Sorting coins by means of stepped deflectors
    • G07D3/121Sorting coins by means of stepped deflectors arranged on inclined path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3/00Sorting a mixed bulk of coins into denomin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5/00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coins, e.g. for segregating coins which are unacceptable or alien to a currency
    • G07D5/02Testing the dimensions, e.g. thickness, diameter; Testing the deformation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주화분리기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화분리장치의 수직단면을 도시한 개략도.
제2도는 제1도의 선B-B를 따라 절단한 주화분리장치의 수직확대 단면도.
제3도는 제1도의 선G-G를 따라 절단한 주화분리장치의 수직확대 단면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주화분리장치용 주화판별수단의 블록도.
제5도에서 제8도는 각각 주화분리장치의 주요부분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수직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주화분리장치 2 : 주평판(maim plate)
5 : 센서부 6,32 : 진동코일
7 : 제1레버 11 : 제2레버
14 : 제1주화선택수단 18 : 스프링
19 : 제2주화선택수단 30 : 주화판별수단
31 : 진동자 34 : 제어부
40 : 제1솔레노이드 플런저 41 : 제1솔레노이드 플런저
본 발명은 자동판매기, 주화교환기 및 기타 서비스장치에 사용되는 주화분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화를 선택분리하는 정확도를 높이기 위하여 지금까지는 소위 전자식 주화분리장치가 사용되어 왔으며 이러한 분리장치는 크래들(cradle)이나 편향기 (deflector)등과 같은 기계식 분리수단을 사용하지 않고서 전자식 분리수단을 이용하여 주화가 분리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종래의 주화분리장치는 진동코일과 수신코일을 포함하는 주화판별기를 구비하고 있다. 이 주화판별장치는 상술한 진동코일과 수신코일로 된 센서부와 제어부로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말해서 상기 제어부는 주화들이 센서부를 통과할 때 각 주화들간의 서로 감쇠전압(attenuated voltage)이 서로 다르다는 기술적인 지식을 기본으로 하고 있으며, 각각의 주화들에 대하여 미리 측정되고 지정된 허용범위가 마련된 감쇠전압은 센서부로부터 공급된 수신전압과 비교되며, 주화의 종류에 관련한 판별신호뿐만 아니라 주화가 진짜인지 가짜인지에 대한 판별신호는 상기 비교결과를 참고로 하여 출력되는 방식으로 작동한다. 종래의 주화분리장치는 제어부의 판별결과를 참고로 하여 출력된 신호에 따라 주화통로를 선택하기 위한 다수의 솔레노이드를 동작시키며, 주화의 진위여부에 대한 분리동작과 주화의 종류에 대한 분리동작을 수행하여, 가짜주화는 미리 정해진 주화통로로 보내고, 진짜주화는 진짜주화의 종류에 따라 별도로 마련된 미리 정해진 주화통로로 이송시킨다.
예를 들면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주화분리장치를 사용하여 네개의 C1,C2, C3 및 C4 주화를 서로 분리시키고자 할 때에는 진짜주화와 가짜주화를 분리하기 위한 솔레노이드와, 주화의 종류별로 주화를 분리하기 위한 솔레노이드를 포함하여 주화판별 수단으로부터 전달된 판별신호에 응답하여 작동되는 솔레노이드가 최소한 네개 필요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주화분리장치를 구성하는 부품의 수가 증가하고 주화분리장치의 크기가 커지며 가격이 상승한다. 또한 종래의 주화분리장치는 조립과정이 너무 복잡하며 더구나 주화판멸장치용 회로구조가 작동될 솔레노이드의 수로 인하여 복잡하게 되어 그 결과 보수 및 유지에 특별한 지식을 필요로 하는 다른 문제점도 안고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솔레노이드 플런저(solaenoid plunger)의 수를 줄일 수 있고 소형이면서 제조비용이 저렴한 주화분리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주화분리장치로 공급되는 주화의 종류는 전자식 주화판별수단에 의해 감지되며 주화는 분리된 주화통로 중 하나에 할당된 주화통로로 별도로 유입될 수 있도록 제1분리수단을 작동시키므로써 다수의 그룹으로 분리되며, 상기 제1주화분리수단에 의해 분리된 어떤 그룹에 속하는 주화통로내에 있는 주화는 기계적이 분리수단에 의해 추가 분리되어진다. 주화를 여러 그룹으로 분리하는 것은 추후 기계적인 분리동작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예를 들어 어떤 그룹에 속하는 주화의 직경이 다른 그룹에 속하는 주화의 직경과 비교하여 실제로 크다라고 판단하는 것과 같은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된 주화분리장치에 의거 주화분리장치로 공급된 주화의 분리정확도를 감소시킴이 없이 사용되어질 솔레노이드 플런저의 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고로 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예시한 실시예에서 C1, C2, C3 및 C4의 네개의 주화가 유효한 주화로 사용되는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화분리장치(1)의 수직단면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상기 주화분리장치(1)는 주평판(main plate)(2)의 상부면 좌측에 주화삽입구(3)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주평판(2)은 단단한 고분자 물질로 성형된 것이다. 도면에서 명백히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주화삽입구(3)는 아래쪽으로 갈수록 일정한 경사각을 가지고 우측방향으로 뻗어 있는 제1주화통로(4)와 통하고 있다. 이하에 설명하는 주화판별수단의 센서부(5)는 가짜주화들로부터 진짜주화를 구별하고, 나아가 구별된 주화의 종류를 판별하기 위하여 제1주화통로(4)의 양측벽상에 미리 정해진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센서부(5)는 진동코일(6)과 수신코일(도시하지 않음)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진통코일(6)과 수신코일은 미리 정해진 거리만큼의 간격을 유지하면서 서로 마주보게 위치하고 있다. 제1주화통로(4)는 그의 단부(4a)에서 두개의 통로로 분기되어 있으며, 그들 중 하나는 제1도의 선B-B를 따라 절단한 수직확대단면도인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주화통로(8)이고, 다른 하나는 제1주화통로(4)의 단부(4a)의 아래쪽에 마련되어 있는 제3주화통로(9)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 보면 제2주화통로(8)는 가짜주화를 제2주화통로(8)로 선택적으로 분배하게 하는 제1레버(lever)(7)로부터 가짜주화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것이며 제3주화통로(9)는 진짜주화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것이다.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레버(7)는 제1주화통로(4)를 통하여 전달된 주화들이 주화판별수단으로부터 전달된 판별신호에 따라 제1레버(7)를 선회시키기 위하여 부착된 제1솔레노이드 플런저(40)에 의해 제2주화통로(8)에 전달되는 위치에 정상적으로 놓이게 된다. 제2주화통로(8)는 주평판(2)의 배면을 덮는 별도의 커버(10)로 이루어져 있다. 한편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3주화통로(9)의 단부 (9a)는 두개의 주화통로로 분기되어 있으며 이들 중 하나는 C3 및 C4 주화들을 포함하는 제2주화그룹에 속하는 주화들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하여 제2주화통로(9)의 단부(9a)의 아래쪽에 형성된 제4주화통로(12)이고, 다른 하나는 C1 및 C2 주화들을 포함하는 제1주화그룹에 속하는 주화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하여 아래쪽으로 갈수록 일정한 경사각을 가지면서 좌측방향으로 뻗어 있는 제5주화통로(13)가 된다. 제2레버(11)는 제3주화통로(9)로부터 전달된 진짜주화들을 제1주화그룹과 제2주화그룹으로 분리하기 위하여 제4주화통로(12)와 제5주화통로(13) 사이의 교차지점에 설치되어 있다. 아울러 제2레버(11)는 제3주화통로(9)로부터 전달된 진짜주화가 주화판별수단으로부터 전달된 판별신호에 응답하여 제2레버(11)를 선회시키기 위하여 부착된 솔레노이드 플런저(41)(제5도 참조)에 의해서 제4주화통로(12)로 유입되는 위치에 정상적으로 놓이게 된다. 또한 제4주화통로(12)는 C3주화 C와 C4주화 D의 직경의 차이에 따라 주화를 선택하도록 하기 위하여 제1레일형 주화선택수단(14)을 경유하여 제6주화통로(15)와 제7주화통로(16)로 분기되어 있다. 상기 제1레일형 주화선택수단(14)은 제4주화통로(12)의 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수직으로 연장된 구멍(17)과 상기 수직으로 연장된 구멍(17)을 통하여 하방으로 떨어지는 C3주화 C를 밀어 넣기 위한 판스프링(18)으로 구성되어 있다. 구멍(17)의 폭(W1)은 C3주화 C를 직경보다는 다소크고, C3 주화 D의 직경보다는 작게 결정되며, 반면에 제4주화통로(12)의 폭(W2)은 C4주화 D의 직경보다는 다소 크게 결정된다. 따라서 C3주화 D와 C3주화 C가 제4주화통로(12)로 유입될 때 C3주화 C는 구멍(17)과 스프링(18)의 결합으로 제7주화통로(16)로 들어가며, C3주화 D는 스프링(18)의 밀치는 힘에 따라 하방으로 떨어져 제6주화통로(15)로 들어간다.
한편, 제5주화통로(13)는 제1주화그룹에 속하는 C2주화 E가 제2레일형 주화선택수단(19)을 경유하여 투입되는 제8주화통로(20)와 C1주화 F가 투입되는 제9주화통로(21)로 분기되어 있다. 제1도는 선 G-G를 따라 취한 수직확대단면도인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레일형 주화선택장치(19)는 미리 정해진 각에 의해 오른쪽으로 기울어진 상태로 형성되어 있는 제5주화통로(13)의 측벽(13a)상에 형성된 윈도우(window)(13b)로 구성되어 있으며, 제5주화통로(13)의 바닥(13c)에서부터 윈도우(13b)의 상단부(13d)까지의 측정높이가 C2주화 E의 직경보다는 다소 크고 C1주화 F의 직경보다는 다소 작게 결정된다. 따라서 C1 및 C2주화가 제5주화통로(13)를 들어갈 때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C1주화 F는 제9주화통로(21)로 들어가도록 제5주화통로(13)를 통하여 직선으로 이동한다. 그 이유는 C1주화 F의 직경이 제5주화통로(13)의 바닥(13c)에서부터 윈도우(13b)의 상단부(13d)의 상단부(13d)까지의 측정높이보다 더 크기 때문이다. 한편 C2주화 E의 직경이 상술한 높이보다 더 작기때문에 C2주화 E는 윈도우(13d)쪽으로 더 기울어지게 되며, 그 다음에 상기 주화는 제5주화통로(13)와 제8주화통로(20)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수평연장구멍(22)을 경유하여 제8주화통로(20)로 들어간다.
이하에서는 주화판별수단이 작용 중 진짜주화와 가짜주화의 판별, 판별된 진짜주화의 종류의 판별 및 판별된 주화가 제1주화그룹에 속하는지 아니면 제2주화그룹에 속하는지 판별하는 작용에 대하여 보다 자세하게 설명한다.
제4도는 주화판별수단(30)을 도시한 블록도이고 제1도 내지 제3도에 도시한 것과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동일한 도면부호로 도시하였다. 주화판별수단(30)은 진동차(31), 진동코일(6) 및 수신코일을 포함하는 센서부(5)와 제어부(34)로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34)는 각각의 주화를 위하여 미리 측정되고 저장되며 허용번위가 추가된 감쇠전압과 센서부(5)에서 발생한 감지신호에 따라 센서부(5)로부터 전달된 수신전압 사이에 비교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있어서 판별은 센서부(5)를 지나 이동하는 주화가 진짜인지 아니면 가짜인지에 대한 비교결과를 근거로 하여 이루어지며, 주화가 가짜인 경우에 제1솔레노이드 플러저(40)와 제2솔레노이드 플런저(41)의 작동이 방해되고, 진짜주화라고 판별된 주화가 C1 및 C2를 포함하는 제1주화그룹에 속하는 경우에는 제1솔레노이드 플런저(40)와 제2솔레노이드 플러저(41)가 작동되고, 진짜주화라고 판별된 주화가 C3 및 C4를 포함하는 제2주화그룹에 속하는 경우에는 제1솔레노이드 플런저(40)만이 작동된다.
이하 상술한 주화분리장치(1)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도에 도시한 주화투입구(3)를 통하여 투입된 주화 A가 제4도에 도시한 주화 판별수단(30)에 의해 가짜라고 판별될 때 제1 및 제2솔레노이드 플런저(40)(41)를 작동하기 위한 신호는 제어부(34)로부터 출력되지 않으며 제1 및 제2레버(7)(11)를 제1도 및 제2도에서 실선으로 도시한 위치에 놓이게 한다. 따라서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주화통로(4)를 통하여 이동하는 가짜주화 H는 제1레버(7)를 경유하여 제2주화통로(8)로 전달되고 그 후에 도면에 도시하지 않는 주화반환구로 반환된다.
이하에는 제1도에 도시한 주화투입구(3)를 통하여 투입된 주화 A가 주화 판별수단(30)에 의해 진짜주화라고 판별되고, 더우기 상기 주화가 C3 및 C4를 포함하는 제2주화그룹에 속하는 것으로 판별될 때 제1솔레노이드 플런저(40)만을 작동하기 위한 신호가 제어부(34)로부터 출력되며 제6도 및 제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레버(7)를 미리 정해진 각으로 시계방향으로 돌게하고 이렇게 하므로써 제1도는 주부품을 도시한 수직단면도인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주화통로(4)를 통하여 이동하는 주화 A는 제3주화통로(9)로 유입된다. 주화 판별수단(30)으로부터 제2솔레노이드 플런저(41)를 작동하기 위한 신호가 출력되지 않기 때문에 제2레버(11)는 제5도에서 실선으로 도시한 위치에 움직이지 못하게 되고 이렇게 하므로써 C3 및 C4 주화는 제4주화통로(12)로 유입된다. 제4주화통로(12)로 유입된 주화가 C3주화 C이면 이 주화는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프링(18)과 구멍(17)을 경우하여 제7주화통로(16)로 전달되며, 그 다음에 C3 및 C로 할당되어 있고 제7주화통로(16)의 하방에 배치되어 있는 주화수집상자(도시하지 않음)에 수납된다. 또한 제4주화통로(12)로 유입된 주화가 C4주화 D인 경우에 상기 주화는 제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레일형 주화선택수단(14)를 구성하는 스프링(18)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하방으로 떨어지며 그 다음에는 C4주화 D로 할당되어 있고 제6주화통로(15)의 하방에 배치되어 있는 주화수집상자(도시하지 않음)에 수납된다. 아울러 C4주화와 C3주화간의 직경의 차이가 예를 들어 C4주화와 C2주화간의 직경의 차이보다 매우 큰 것으로 결정되기 때문에 제1레일형 주화선택수단(14)를 사용하더라도 판별이 매우 정확하게 확실히 이루어진다.
이하에는 제1도에 도시한 주화투입구(3)를 통하여 투입된 주화 A가 제4도의 주화 판별수단(30)에 의해 진짜주화라고 판별되고 아울러 상기 주화가 C1 및 C2를 포함하는 제1주화그룹에 속한다고 판별될 때 제어부(34)로 부터 제1도 및 제2솔레노이드 플런저(40)(41)를 작동하기 위한 신호가 출력되고,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레버(7)를 미리 정해진 각으로 시계방향으로 돌게하고 이렇게 하므로써 제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주화통로(4)를 통하여 이동하는 주화 A는 제3주화통로(9)로 들어가고, 그다음에는 제2솔레노일드 플런저(41)를 작동시키므로써 제8도에 실선으로 나타낸 위치로 돌아가 있는 제2레버(11)에 의해 제5주화통로(13)로 전달된다. 제5주화통로(13)로 전달된 주화가 C2주화 E인 경우에 상기 주화는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레일형 주화선택수단(19)을 구성하는 윈도우(13b)쪽으로 기울어지게 된다. 결과적으로 C2주화 E는 구멍(22)을 통하여 제8주화통로(20)로 들어가고 그 후에 제8주화통로(20)의 하방에 배치되어 있는 주화수납상자(도시하지 않음)에 수집된다. 더우기 제5주화통로(13)로 유입된 주화가 C1주화 F인 경우에 상기 주화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레일형 주화선택수단(19)을 구성하는 윈도우(13b)의 존재와 무관하게 전방으로 이동한다. 그 결과 상기 주화는 제1도에 도시한 제9주화통로(21)로 들어가고 나서 C1주화 F로 할당되어 있고, 제9주화통로(21)의 하방에 배치되어 있는 주화수납상자(도시하지 않음)에 수집된다. 아울러 C1주화 및 C2주화간의 직경의 차이가 매우 큰 것으로 결정되기 때문에 레일형 주화선택수단(14)를 사용하더라도 편별이 아주 정확하게 확실히 이루어진다.
상술한 내용으로부터 명확하게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예시한 실시예는 C4주화 및 C3주화 사이의 직경의 차이뿐만 아니라 C1주화 및 C2주화 사이의 직경의 차이가 크다는 사실과, 진짜주화를 C1주화 및 C2주화를 포함하는 제1주화그룹과 C4주화 및 C3주화를 포함하는 제2주화그룹으로 분리하고, 단일 레일형 주화분리수단을 사용하여 C2주화로부터 C2주화를 분리하고 C3주화로부터 C4를 분리하므로써 분리의 정확도가 결코 감소되지 않으면서 실시가능하다는 사실을 뒷받침한다. 결론적으로 상기 실시예는 전자식 주화판별수단으로 작동되는 단 두개의 솔레노이드 플런저만으로써 주화선택수단으로 공급된 주화가 진짜이냐 가짜이냐를 판별하고 어떠한 종류에 속하는 주화인가를 판별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높은 주화분리 정확도를 유지하면서 필요한 솔레노이드 플런저의 수를 줄일 수 있기 때문에 장치를 소형이면서 염가로 제작할 수 있는 것이다. 더우기 작동될 솔레노이드 플런저는 2개만이 필요하므로 솔레노이드 플런저를 작동하기 위한 주화판별수단의 회로는 구조면에서 매우 간단하게 되고 아울러 특별한 지식이 없어도 보수 및 검사를 매우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Claims (7)

  1. 투입된 주화를 안내하는 제1주화통로(4)를 포함하고, 상기 제1주화통로(4)를 지나가는 주화들의 진위여부 및 진짜주화로 판별된 주화의 종류를 판별하고, 판별된 주화가 속하는 그룹에 나타내는 주화의 종류와 관련한 그룹신호와 마찬가지로 주화의 진위여부와 관련한 신호를 출력하는 상기 제1주화통로(4)에 설치된 주화탐지수단(5)를 포함하고, 상기 제1주화통로(4)와 각기 연결된 진짜주화통로(9)와 가짜주화통로(8)를 포함하고, 상기 제1주화통로를 통과하여 지나가는 주화를 상기 주화탐지수단(5)으로부터 출력된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진짜주화통로(9) 또는 가짜주화통로(8)내로 유입하기 위한 제1분리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진짜주화통로에 연결된 다수의 제2주화통로들을 포함하고, 상기 진짜주화통로를 통과하여 지나가는 주화를 상기 주화탐지수단(5)으로 부터 출력된 그룹신호에 응답하여 다수의 제2주화통로들 중 하나내로 유입하기 위한 제2분리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각 제2주화통로들을 통과하여 지나가는 주화들을 다수의 그룹으로 분리하기 위하여 상기 각 제2주화통로에 공급된 제3분리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화분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미리 결정된 주파수를 가지는 전류를 흐르도록 상기 제1주화통로(4)를 따라 설치된 진동코일(6)을 포함하고, 상기 제1주화통로(4)를 따라 설치된 진동코일(6)에 대향되게 설치한 수신코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화분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제1주화통로(4)가 주화의 진유여부에 따라 상기 주화탐지수단(5)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 응답하여 작동하는 제1솔레노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솔레노이드에 의해 작동하는 제1플런저(40)를 포함하고, 상기 제1주화통로(4)를 통과하는 주화를 진짜주화통로 또는 가짜주화통로를 분리하기 위하여 상기 제1플런저(40)에 의해 작동하는 제1레버(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화분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분리수단이 상기 주화탐지수단(5)으로부터 출력된 그룹신호에 응답하여 작동하는 제2솔레노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2솔레노이드에 의해 작동하는 제2플런저(41)를 포함하고, 상기 진짜주화통로를 통과하는 주화들을 다수의 제2주화통로들로 각기 분리하기 위한 제2플런저(41)에 의해 작동하는 제2레버(1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화분리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분리수단이 상기 제2주화통로를 지나 이동하는 주화들을 주화직경의 차이에 따라 종류별로 분리하는 레일형 주화분리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화분리장치.
  6. 주화분리장치내로 투입된 주화의 지위여부 및 진짜주화로 판별된 주화의 종류를 판별하고, 상기 판별결과에 근거한 주화종류에 관련한 판별신호와 마찬가지로 주화의 진위에 관련한 판별신호를 전달하는 전자식 주화판별수단을 포함하고, 주화진위여부에 관련한 판별신호와 상기 전자식 주화판별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판별신호에 응답하여 작동하는 제1솔레노이드 플런저(40)를 포함하고, 진짜주화와 가짜주화들이 각기 마련된 주화통로(8,9)내로 각기 유입되도록 상기 제1솔레노이드 플런저(40)에 의해 작동되는 제1레버(7)를 포함하고, 상기 전자식 주화판별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판별신호에 응답하여 작동하는 제2솔레노이드 플런저(41)를 포함하고, 상기 제1레버(7)에 의해 분리되어진 진짜주화가 제2솔레노이드 플런저(41)의 작동에 의해 제1그룹과 제2그룹으로 분리하여 제1그룹에 속하는 주화와 제2그룹에 속하는 주화를 위해 각기 따로 마련된 주화통로로 유입되도록 하는 제2레버(11)를 포함하고, 각기 별도로 유입된 주화들을 상기 제2레버(11)에 의해 상기 각 그룹에 따로 할당된 각 주화통로로 각기 유입되게 하고, 또한 주화의 직경의 차이에 따라 각 주화종류별로 마련된 다수의 주화통로로 유입되게 하는 상기 주화종류별로 마련된 주화통로에 각기 설치된 레일형 주화분리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화분리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주화그룹과 제2주화그룹의 주화들의 직경차이는 동일그룹내의 주화들의 직경차이 정도로 서로 분명하게 차이가 나도록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화분리장치.
KR1019880000074A 1987-01-12 1988-01-08 주화분리기 KR9600114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2-4426 1987-01-12
JP62004426A JPH07118030B2 (ja) 1987-01-12 1987-01-12 硬貨選別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9322A KR880009322A (ko) 1988-09-14
KR960011499B1 true KR960011499B1 (ko) 1996-08-23

Family

ID=115839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00074A KR960011499B1 (ko) 1987-01-12 1988-01-08 주화분리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4850469A (ko)
JP (1) JPH07118030B2 (ko)
KR (1) KR96001149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98880B2 (en) 2006-10-06 2010-04-20 Laurel Precision Machines Co., Ltd. Coin wrapping machin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009643A1 (de) * 1990-03-26 1991-10-02 Nsm Ag Vorrichtung zum pruefen und sortieren von muenzen unterschiedlicher wertigkeit
US5542880A (en) * 1990-05-14 1996-08-06 Cummins-Allison Corp. Coin handling system with shunting mechanism
US5507379A (en) * 1990-05-14 1996-04-16 Cummins-Allison Corp. Coin handling system with coin sensor discriminator
JP2553561Y2 (ja) * 1990-08-14 1997-11-05 株式会社日本コンラックス 硬貨選別装置
JP2890071B2 (ja) * 1991-04-05 1999-05-10 株式会社日本コンラックス 硬貨処理装置
US5184709A (en) * 1990-08-14 1993-02-09 Kabushiki Kaisha Nippon Conlux Coin selector
US5236339A (en) * 1990-08-14 1993-08-17 Kabushiki Kaisha Nippon Conlux Coin selector
EP0477722B1 (en) * 1990-09-20 2000-03-22 Kabushiki Kaisha Nippon Conlux Coin processing apparatus
JP2958723B2 (ja) * 1991-09-17 1999-10-06 株式会社日本コンラックス 硬貨処理装置
US5427220A (en) * 1992-03-13 1995-06-27 Kabushiki Kaisha Nippon Conlux Coin processing apparatus
US5865673A (en) * 1996-01-11 1999-02-02 Cummins-Allison Corp. Coin sorter
US5997395A (en) 1998-03-17 1999-12-07 Cummins-Allison Corp. High speed coin sorter having a reduced size
JP3507839B2 (ja) * 1998-10-09 2004-03-15 旭精工株式会社 コイン転動式のセレクタ
US20040092222A1 (en) * 2002-11-07 2004-05-13 Bogdan Kowalczyk Stationary head for a disc-type coin processing device having a solid lubricant disposed thereon
ES2737499A1 (es) * 2018-07-06 2020-01-14 Ezio Panzeri Separador de monedas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453437A (en) * 1944-12-11 1948-11-09 Wurlitzer Co Coin selecting device
JPS5550775U (ko) * 1978-10-02 1980-04-03
US4220234A (en) * 1979-03-20 1980-09-02 Sheltra Russell G Sr Supplemental coin acceptor/rejector mechanism for coin operated machines
US4286703A (en) * 1979-05-11 1981-09-01 Umc Industries, Inc. Coin testing and sorting apparatus
US4385684A (en) * 1979-07-17 1983-05-31 Kabushiki Kaisha Nippon Coinco Coin selection device
JPS5960588A (ja) * 1982-09-30 1984-04-06 株式会社日本コンラックス 硬貨振り分け装置
KR900007890B1 (ko) * 1983-08-25 1990-10-22 가부시기가이샤 닛본 곤락스 경화 선별기
US4666027A (en) * 1986-02-07 1987-05-19 Validation Systems, Inc. Coin valid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stringing of coins and distinguishing valid tokens or coins from slug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98880B2 (en) 2006-10-06 2010-04-20 Laurel Precision Machines Co., Ltd. Coin wrapping ma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S63172390A (ja) 1988-07-16
US4850469A (en) 1989-07-25
KR880009322A (ko) 1988-09-14
JPH07118030B2 (ja) 1995-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11499B1 (ko) 주화분리기
KR920020365A (ko) 화폐정리장치
CA1294509C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parating and rejecting coins
US4503961A (en) Coin handling device
US5052538A (en) Coin handling apparatus
US5496212A (en) Coin sorting device
US5676234A (en) Coin/token sorting method
JP2958723B2 (ja) 硬貨処理装置
GB2105893A (en) A coin segregator
US5112275A (en) Coin separator with means for detecting an erroneously separated coin
KR20010052005A (ko) 경화처리장치
KR950014080B1 (ko) 주화 분리 장치
US5535872A (en) Coin/token separator
US5564549A (en) Switch for the distribution of coins
KR940004218B1 (ko) 주화선별장치
KR930020320A (ko) 경화처리장치
US20020153223A1 (en) Coin sorter
US2446510A (en) Coin device
JPH01311396A (ja) 硬貨選別装置
JPH0766465B2 (ja) 硬貨選別装置
JP2981798B2 (ja) 硬貨処理装置
JP2981799B2 (ja) 硬貨処理装置
AU660061B2 (en) Coin/token separator
AU679327B2 (en) Coin/token separator
JPH05346982A (ja) 硬貨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811

Year of fee payment: 15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