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11061B1 - 모노아조 안료, 이의 제조방법 및 용도 - Google Patents

모노아조 안료, 이의 제조방법 및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11061B1
KR960011061B1 KR1019880016688A KR880016688A KR960011061B1 KR 960011061 B1 KR960011061 B1 KR 960011061B1 KR 1019880016688 A KR1019880016688 A KR 1019880016688A KR 880016688 A KR880016688 A KR 880016688A KR 960011061 B1 KR960011061 B1 KR 9600110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gment
cation
salt
active surfactant
ad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166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0119A (ko
Inventor
프뢸리히 하인리히
Original Assignee
훽스트 아크티엔게젤샤프트
베른하르트 벡크, 하인리히 벡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훽스트 아크티엔게젤샤프트, 베른하르트 벡크, 하인리히 벡커 filed Critical 훽스트 아크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8900101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01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110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1061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BORGANIC DYES OR CLOSELY-RELATED COMPOUNDS FOR PRODUCING DYES, e.g. PIGMENTS; MORDANTS; LAKES
    • C09B67/00Influencing the physical, e.g. the dyeing or printing properties of dyestuffs without chemical reactions, e.g. by treating with solvents grinding or grinding assistants, coating of pigments or dyes; Process features in the making of dyestuff preparations; Dyestuff preparations of a special physical nature, e.g. tablets, films
    • C09B67/0025Crystal modifications; Special X-ray patter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BORGANIC DYES OR CLOSELY-RELATED COMPOUNDS FOR PRODUCING DYES, e.g. PIGMENTS; MORDANTS; LAKES
    • C09B67/00Influencing the physical, e.g. the dyeing or printing properties of dyestuffs without chemical reactions, e.g. by treating with solvents grinding or grinding assistants, coating of pigments or dyes; Process features in the making of dyestuff preparations; Dyestuff preparations of a special physical nature, e.g. tablets, films
    • C09B67/0025Crystal modifications; Special X-ray patterns
    • C09B67/0028Crystal modifications; Special X-ray patterns of azo compounds
    • C09B67/0029Crystal modifications; Special X-ray patterns of azo compounds of monoazo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BORGANIC DYES OR CLOSELY-RELATED COMPOUNDS FOR PRODUCING DYES, e.g. PIGMENTS; MORDANTS; LAKES
    • C09B67/00Influencing the physical, e.g. the dyeing or printing properties of dyestuffs without chemical reactions, e.g. by treating with solvents grinding or grinding assistants, coating of pigments or dyes; Process features in the making of dyestuff preparations; Dyestuff preparations of a special physical nature, e.g. tablets, films
    • C09B67/0001Post-treatment of organic pigments or dyes
    • C09B67/0014Influenc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treatment with a liquid, e.g. solvents
    • C09B67/0015Influenc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treatment with a liquid, e.g. solvents of azoic pig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534/00Organic compounds -- part of the class 532-570 series
    • Y10S534/04Azo compounds which are lak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ks, Pencil-Leads, Or Crayons (AREA)
  • Pigments, Carbon Blacks, Or Wood Stains (AREA)
  • Paper (AREA)
  • Pretreatment Of Seeds And Plants (AREA)
  • Coloring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모노아조 안료, 이의 제조방법 및 용도
본 발명은 하기 구조식(Ⅰ)의 안료의 신규한 결정학상 변형체(β-변형체)에 관한 것이다.
Figure kpo00001
독일연방공화국 특허공보 제2,230,094호(미합중국 특허 제3,997,523호)의 실시예 5에 공지된 구조식(Ⅰ)의 안료는 α-변형체로 존재한다. 오늘날 발견된 β-변형체는 부분적으로 다른 유용한 적용특성을 지니며, X-선 회절 스펙트럼을 사용하여 α-변형체와 구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Cu-Kα조사에서, X-선 회절 스펙트럼의 회절각 2θ(정확도 ±0.2°)21.95°에서 고강도 최대치의 반사를, 5.40°,7.30°10.85°, 14.50° 및 27.60°에서 중강도 최대치의 반사를, 10.05°, 12.80°, 16.40°, 17.95°, 24.65° 및 25.80°에서 저강도 최대치의 반사를 나타냄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식(Ⅰ)의 안료를 제공한다.
X-선 반사를 고, 중 및 저강도 최대치 반사로 분류하는 것은 감지기로서 섬광계수기를 사용하고(증가폭 : 0.1°; 증가속도 : 0.7°/분), 가장 높은 최대치에 대해 특정 최대치에서 측정된 카운트 속도의 크기를 평하가는 안료의 X-선 분말 분광사진의 강도 측정을 기본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디아조화된 N-(3-아미노-4-메틸벤조일)설파닐산을 유기용매의 존재 또는 부재하에 수성 매질 속에서 알칼리-용해된 2-하이드록시-4′-메톡시-3-나프트아닐리드에 커프링시키고, 칼슘염을 가하여 [늦어도 레이크화(laking)하기 전에 하나 이상의 양이온-활성 계면활성제를 가해야 한다]커프링 생성물을 레이트화한 다음, 레이크화된 아조 염료의 수성 현탁액을 130 내지 180℃의 온도에서 가열함을 특징으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구조식(Ⅰ)의 안료의 β-변형체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양이온-활성 계면활성제는 디아조 성분, 커플링 성분 또는 두 가지 성분 모두에 아조 커플링시키기 전에 또는 반응 혼합물에 아조 커플링시키는 동안에 또는 아조 커플링 후에 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양이온-활성 계면활성제는 아조 커플링 동안에 미리 존재하며, 생성된 현탁액 또는 커플링 생성물의 용액은 레이크화를 위해 직접 사용된다.
적절한 양이온-활성 계면활성제에는 양이온 구조가 이미 분자내에 존재하는 계면활성제(예 : 4급 암모늄 및 포스포늄염, 3급 설포늄염, N,N-디아킬아미다졸린 및 N-알킬피리디늄염 형태의 계면활성제), 또는 양성자 첨가에 의해 수용액 중에 형성될 때까지는 양이온 구조가 형성되지 않는 계면활성제(예 : 다수의 양이온-활성 중심을 또한 함유할 수 있는 1급, 2급 및 3급 아민 형태의 계면활성제)가 있다. 탄소수 8 내지 24, 특히 10 내지 18의 장쇄 알킬 라디칼을 하나 이상 함유하는 양이온-활성 계면활성제에 의해 바람직한 적합성이 생긴다. 적합한 양이온-활성 계면활성제의 예로는 알킬트로메틸 암모늄염(예 : 데실-. 라우릴-, 미리스틸-, 세틸- 또는 스테아릴-트로메틸 암모늄 클로라이드 또는 이의 혼합물), 및 또한 알킬디메틸벤질 암모늄염(예 : 데실-, 라우릴-, 미리스틸-, 세틸-, 또는 스테아릴-디메틸벤질암모늄클로라이드 또는 이의 혼합물)이 있다. 탄소수 8 내지 18의 지방 아민이 또한 적합하다. 바람직한 양이온-활성 계면활성제는 세틸 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이다. 양이온-활성 계면활성제의 양은 일반적으로 산 형태인 아조 커플링 생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약 1 내지 20중량%,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5중량%이다. 대부분의 경우에 있어서, 안료중에 상기 계면활성제의 잔류량은 최소로 하고, 실질적으로 안료의 견뢰특성에 대한 역효과를 피하기 위해 양이온-활성 계면활성제를 가능한 한 최소량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양이온-활성 계면활성제의 최소 및 최적량은 특정 계면활성제의 구조에 따라 변화될 수 있고, 몇 몇 예비실험을 통해 결정할 수 있다.
아조 커플링은 통상적인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 디아조성분 또는 커플링 성분 또는 두 가지 성분 모두에 또 다른 계면활성제, 특히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첨가하는 것이 유용할 수 있다. 커플링 성분은 알칼리-용해된 형태, 바람직하게는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 용액, 특히 수산화나트륨 용액중에 용해된 형태로 사용된다.
이어지는 레이크화(laking)는 마찬가지로 통상적인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알칼리성 현탁액 또는 수득된 커플링 생성물 용액의 PH는 레이크화 전에 가능한 한 산성 범위내에서 일시적인 교반에 의해 중성으로 조절해야 한다. 그 다음에, 현탁되거나 용해된 알칼리 금속염 형태로 존재하는 커플링 생성물은 고체 또는 용해된 칼슘염을 가하여 레이크화 한다. 레이크화는 일반적으로 현탁액의 비점 이하의 온도에서 아조 염료의 알칼리 금속염의 현탁액에 고체 또는 용해된 염화칼슘을 가하여 수행한다.
특히 연질 형태의 레이크화된 아조 염료를 수득하기 위해, 추가의 분산제(예 : 음이온-활성 또는 비이온성 분산제)의 존재하에 레이크화하는 것이 유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올레일 클로라이드 및 메틸아미노아 세트산의 축합 생성물 또는 2-메틸아미노에탄설폰산 및 또한 글리세롤의 부분적인 지방산에스테르를 소량으로 사용하는 것이 유용하다.
레이크화한 후, X-선 회절 스펙트럼이 안료의 공지된 α-변형체와 현저히 상이하지 않은 결정형 안료가 초기에 수득된다. 본 발명에 따른 α-변형체로 전화시키기 위해, 수득된 안료 현탁액, 또는 안료를 중간 분리하고 물에 안료 압착 케이크를 현탁시킨 후에 수득된 안료 현탁액을 130 내지 180℃, 바람직하게는 135 내지 160℃의 밀봉된 용기 내에서 잠시 가열한다. β-변형체로의 전환은 β-변형체와 α-변형체의 상기 언급된 특징적인 X-선 회절 스펙트럼을 비교하여 효과적인 설명할 수 있다. α-변형체는 Cu-Kα조사에서, X-선 회절 스펙트럼이 회절각 2θ(정확도 ±0.2°) 6.85°, 10.80°, 17.05°, 20.10°, 21.40°, 27.50° 및 27.70°에서 고강도 최대치의 반사를, 9.15°, 11.45°, 21.95° 및 22.75에서 중강도 최대치 반사를, 12.85°, 14.24°, 15.35°, 23.60°, 24.35°, 25.15°, 26.05°, 29.30°, 29.75°및 31.95에서 저강도 최대치의 반사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들 반사 및 강도는 β-변형체의 경우와 같이 측정한다.
β-변형체로의 전환에 이어, 안료의 수성 현탁액을 통상적인 방법으로 추가로 가공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안료는 초기에 수성 압착 케이크 형태로 분리하여, 물로 세척, 건조 및 분말화시킨다. 그 다음에, 수득된 안료 분말은 적용 매체를 착색시키는데 사용된다. 안료 현탁액은 또한 안료 생성물에 분무-건조시키거나 직접 가공시킬 수 있다.
안료의 β-변형체가 본 발명에 따른 공정에 있어서 130℃ 이상의 열처리 과정 동안에만 필수적으로 형성됨에도 불구하고, 양이온-활성 계면활성제의 존재하의 본 발명에 따른 제조과정 동안에 형성된 레이크화된 아조 염료의 특정 형태는 또한 β-변형체 형성의 근거가 된다. 이는 아조 커플링 및 레이크화 후, 본 발명에 따라 수득된 생성물과는 달리, 안료가 독일연방공화국 특허공보 제2,203,094호(미합중국 특허 제3,997,523호)의 실시예 5의 방법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공정시 130 내지 180℃의 열처리 과정에도 불구하고 β-변형체로 전화되지는 않으나 α-변형체의 결정형 격자로 존재하는 형태로 수득되기 때문이다.
구조식(Ⅰ)의 레이크화된 아조 염료의 신규한 α-변형체는 공지된 α-변형체보다는 휠씬 황적색을 띤다. HD(고밀도) 폴리에틸렌에 있어서 색조의 변화는 독일연방공화국 표준 명세서(German Standard Spe-cification) DIN 53235에 따른 스탠다드 딥스 오프 쉐이드(Standard depth of shade) ST 1/3에서 독일연방공화국 표준 명세서 DIN 6174(CIELAB식)에 따른 약 10 내지 11°의 색조 각 이동에 상응한다.
안료는 밝은 황적색이며, 우수한 색농도, 우수한 분산도 및 우수한 견뢰특성(예 : 이동견뢰도 및 내열성)이 주목할만한다. 안료는 우수한 색 농도로의 착색, 색조의 우수한 청결도 및 우수한 뒤틀림(warpage) 특성을 제공하기 위해, 폴리올레핀(예 : 폴리에틸렌)에 용이하게 혼입가능하다. 매스톤(masstone)-착색된 폴리비닐클로라이드는 빛에 노출시 색 안정성 및 암색화에 대한 내성의 측면에 있어서 우수한 결과를 나타낸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천연 및 합성물질을 착색시키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구조식(Ⅰ)의 안료의 β-변형체를 사용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안료는 천연 수지 및 합성 수지(예 : 종합수지, 축합수지, 실리콘 수지 또는 카제인 수지), 폴리스티렌 및 이의 공중합체, 폴리올레핀(특히,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폴리아크릴 화합물, 폴리비닐 화합물(예 :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또는 폴리비닐 아세테이트), 폴리에스테르 및 고무와 같은 프린팅 잉크, 표면 피복물, 연가소성 및 열경화성 조성물, 및 비스코스 또는 셀룰로오즈 에테르의 필라멘트, 셀룰로오즈 에스테르, 폴리아미드, 폴리우레탄, 폴리글리콜 테레프탈레이트 및 폴리아크릴로 니트릴을 착색시키는데 적합하다. 제지의 안료 프린팅 및 습식-말단(wet-end)착색에 또한 적합하다. 우수한 내열성으로 인해, 안료는 특히 폴리스티렌, 폴리스티렌계 공중합체, 폴리올레핀(특히, 폴리에틸렌 및 폴리프로필렌), 및 상응하는 공중합체 및 폴리비닐 클로라이드를 착색시키는데 적합하다.
하기의 실시예에서, 부(part) 및 %는 달리 언급이 없는 한 중량에 대한 것이다. 용적부와 중량부의 관계는 ℓ와 ㎏의 관계와 동일하다.
실시예
1) N(3-아미노-4-메틸벤조일)설파닐산의 나트륨염 19.68부를 교반하면서 알킬폴리글리콜 에테르 3부의 존재하에 물 1000부에 가하고, 이어서 31% 농도의 염산 257.8부를 가한다. 혼합물을 교반한 후에, 38% 농도의 아질산나트륨 수용액 110부를 30분간 20 내지 25℃에서 가하고, 실온에서 다시
Figure kpo00002
시간 동안 교반한다. 설팜산을 가하여 과량의 아질산을 분해시킨 후, 29% 농도의 세틸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알킬라디칼은 90% 이상의 C16-알킬에 상응한다) 수용액 37.3부를 가한다. 그 다음에, 디아조늄 염의 생성된 현탁액을 교반하에 0 내지 20°에서 45분에 걸쳐 2-하이드록시-4′-메톡시-3-나프트아닐리드 181.1부, 물 800부, 소성화된 탄산나트륨 63.6부 및 33% 농도의 수산화나트륨 용액 146.7부로부터 가열에 의해 미리 제조된 커플링 성분의 정화 용액에 가한다. 커플링이 완결된 후, 혼합물에 31% 농도의 염산을 조심스럽게 가하여 PH를 5로 조절하고, 이어서, 10분간 교반한 다음, 묽은 수산화나트륨 용액을 가하여 PH를 다시 7로 만든다. 그 다음에, 올레일 클로라이드와 메틸아미노아세트산의 축합생성물의 나트륨염 6.12부 용액을 가하고, 증기를 통과시킴으로써 현탁액을 가열시킨다. 온도가 85℃에 이르면, 글리세롤의 부분 지방산 에스테르 24부를 가한다. 온도가 90℃가 되었을 때, 시판되는 80% 농도의 염화칼슘 168부를 가하여 레이크화한 다음, 다시 15분간 90℃의 온도로 유지시킨다. β-변형체로 전환시키기 위해, 수득된 안료 현탁액을 교반하에 적합한 밀봉 용기내에서 45분간 155℃로 가열하고, 당해 온도에서 3시간 동안 유지시킨다. 냉각 및 압력을 평형화 시킨후, 안료를 70℃에서 흡인여과하고, 세척 및 건조시킨다. 수득된 안료는 Cu-Kα조사에서, X-선회절 스펙트럼이 안료의 β-변형체의 반사특성을 나타낸다.
황적색 안료는 독일연방공화국 특허공보 제2,203,094호의 실시예 5에서 수득된 α-변형체로 존재하는 안료의 색조보다 더욱 황색인 밝은 색조를 띤다.
2) 실시예 1를 반복 수행하고, 염화칼슘을 첨가하여 레이크화한다. 염화칼슘의 첨가 후, 레이크화된 커플링 생성물의 현탁액을 90℃에서 다시 1시간 동안 가열한 다음, 레이크화된 커플링 생성물을 흡인 여과하고, 물로 세척한다. 수득된 압착케이크 386부(총 압착 케이크의 약
Figure kpo00003
)를 물 1114부에 현탁시키고, 다시 80% 농도의 염화칼슘 4.5부와 혼합하여 밀봉 용기 내에서 145℃로 가열한다. 145℃에서 2시간 동안 가열한 후, 70℃로 냉각시키고, 안료의 흡인여과하여 물로 세척하고 건조시킨다. 수득된 안료의 특성은 실시예 1에서 수득된 β-변형체의 특성과 상응한다.
3) 실시예 2를 반복하되, 단 세틸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대신에 알킬쇄 분포가 C12약 70%, C1425% 및 C165%인 알킬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로 대치시키고, 실시예 2에서와 같이 분리하고 물에 재현탁시킨 압착 케이크를 160℃에서 2시간 동안 가열한다. 이는 또한 상술한 특성을 지니는 β-변형체 안료를 제공한다.
4) 실시예 3을 반복하되, 단 알킬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대신에 알킬쇄 분포가 C10약 2%, C1257%, C1423%, C1611% 및 C187% 알킬디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로 대치한다. 실시예 1에 기술된 특성을 지니는 안료의 β-변형체가 수득된다.
5) 실시예 1을 반복하되, 단 29%농도의 세틸트리메틸 암모늄 클로라이드 용액 37.3부 대신에 29% 농도의 세틸트리메틸 암모늄 클로라이드 53.8부로 대치한다. 생성된 안료는 β-변형체로 존재하며, 실시예 1의 안료의 것과 유사한 특성을 지닌다.
6) 비교실시예
독일연방공화국 특허공보 제2,203,094호(미합중국 특허 제3,997,523호)에 기술된 바와 같이 수득된 구조식(Ⅰ)의 안료의 α-변형체가 본 발명에 따른 β-변형체로 전화될 수 있는지의 여부를 시험하기 위해, 하기의 방법을 채택했다 : N-(3-아미노-4-메틸벤조일)설파닐산의 나트륨염 63.6부를 독일연방공화국 특허공보 제2,203,094호의 실시예5에 기술된 바와 같이 디아조화시키고, 상기의 명시된 비이온성 보조제, 즉 1몰의 올레일 알코올 30몰의 에틸렌 옥사이드와의 축합 생성물의 존재하에 2-하이드록시-4′-메톡시-3-나프트아닐리드와 커플링시킨다. 그 다음에, 독일연방공화국 특허공보 제2,203,094호의 실시예5의 방법을 따르되, 염화칼슘 용액을 첨가한다. 염화칼슘 용액을 가한 후에, 안료 현탁액은 90℃에서 다시 10분간 유지시킨다음, 밀봉 용기내에서 교반하에 155℃로 가열한다. 155℃에서 3시간 후, 현탁액을 70℃로 냉각시키고, 안료를 흡인여과하여 물로 세척하고 건조시킨다. 수득된 안료의 X-선 회절 스펙트럼은 α-변형체의 반사 특성을 나타낸다. 따라서, β-변형체로의 전환이 일어나지 않았다. 155℃에서 가열시킨 결과, 독일연방공화국 특허공보 제2,203,094호(미합중국 특허 제3,997,523호)의 방법과 비교하여, 후처리를 위한 온도가 보다 높고 안료는 단순히 색농도가 감소되며, α-변형체의 색조변화는 없었다.
7) 비교실시예 :
실시예 6을 반복하되, 단 수득된 안료 현탁액은 155℃에서 3시간이 아니라 160℃에서 6시간 동안 가열한다. 수득된 안료는 색조 뿐만 아니라 X-선 회절 스펙트럼에 있어서 α-변형체의 특성을 지닌다. 독일연방공화국 특허공보 제2,203,094호(미합중국 특허 제3,997,523호)의 실시예5의 안료와 비교하여, 안료는 감소된 색농도를 지닌다.
8) 비교실시예 :
실시예6을 반복하되, 단 염화칼슘 용액을 첨가하여 레이크화한다. 90℃에서 10분후, 현탁액을 뜨겁게 흡인여과하고, 안료를 물로 세척한다. 습한 압착 케이크는 독일연방공화국 특허공보 제2,203,094호의 실시예5에 기술된 바와 같이 물 약 2000부에서 페이스트화(pasted)시키고, 2N 수산화나트륨 용액 5용적부 및 2N수산화나트륨 용액 50용적부와 2N 염화칼슘 용액 50용적부와의 혼합물과 혼합시킨다. 안료 현탁액을 80℃로 가열시킨 후, 글리세롤의 부분 지방산 에스테르 4부를 가하고, 배치(batch)를 밀봉 용기내에서 2시간 동안 145℃로 유지시킨다. 안료를 실시예1에 기술된 바와 같이 분리 및 분말시킨 후, 공지된 α-변형체로 존재하는 안료를 수득한다.
9) 비교실시예 :
실시예8을 반복하되, 단 안료 현탁액을 145℃에서 2시간이 아니라 160℃에서 2시간 동안 가열한다. 안료를 실시예1과 같이 분리 및 분말화시킨 후, 공지된 α-변형체를 수득한다. 여기에서도 또한 본 발명의 β-변형체로의 전환이 일어나지 않는다.

Claims (10)

  1. Cu-Kα조사에서, X-선 회절 스펙트럼의 회절각 2θ(정확도 ±0.2°) 21.95°에서 고강도 최대치의 반사를, 5.40°,7.30°, 10.85°, 14.50° 및 27.60°에서 중강도 최대치의 반사를, 10.05°, 12.80°, 16.40°, 17.95°, 24.65° 및 25.80°에서 저강도 최대치의 반사를 나타냄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체(β-변형체)로 존재하는 하기 구조식(Ⅰ)의 안료
    Figure kpo00004
  2. 디아조화된 N-(3-아미노-4-메틸벤조일)설파닐산을 유기 용매의 존재 또는 부재하에 수성 매질 속에서 알칼리-용해된 2-하이드록시-4′-메톡시-3-나프트아닐리드에 커프링시키고, 칼슘염을 가하여 [늦어도 레이크화하기 전에 하나 이상의 양이온-활성 계면활성제를 가해야 한다]커플링 생성물을 레이트화한 다음, 레이크화된 아조 염료의 수성 현탁액을 130 내지 180℃의 온도에서 가열함을 특징으로 하여, 1항에서 정의한 구조식(Ⅰ)의 안료의 β-변형체를 제조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레이크화된 아조 염료의 수성 형탁액을 135 내지 160℃의 온도로 가열하는 방법.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제4급 암모늄염, 4급 포스포늄 염, 3급 설포늄염, N,N-디알킬이미다졸린, N-알칼피리디늄염 및 1급, 2급 및 3급 아민으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양이온-활성계면활성제를 가하는 방법.
  5.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양이온-활성 계면활성제가 탄소수 8 내지 24의 장쇄 알킬 라디칼을 하나 이상 함유하는 방법.
  6.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양이온-활성 계면활성제가 알킬트리메틸 암모늄염 또는 알칼디메틸벤질 암모늄염인 방법.
  7.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양이온-활성 계면활성제의 첨가량이 산 형태의 커플링 생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1 내지 20중량%인 방법.
  8. 천연 및 합성 물질을 착색시키기 위해 β-변형체로 존재하는 제1항에서 정의한 안료를 사용하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프린팅 잉크, 표면 피복물, 플라스틱 조성물, 필라멘트 및 제지를 착색시키기 위한 방법.
  10. 제9항에 있어사, 폴리스티렌, 폴리스티렌계 공중합체, 폴리올레핀, 폴리올레핀 공중합체 및 폴리비닐 클로라이드를 착색시키기 위한 방법.
KR1019880016688A 1987-12-17 1988-12-15 모노아조 안료, 이의 제조방법 및 용도 KR96001106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P3742815.2 1987-12-17
DE19873742815 DE3742815A1 (de) 1987-12-17 1987-12-17 Monoazopigment,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und seine verwendu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0119A KR890010119A (ko) 1989-08-05
KR960011061B1 true KR960011061B1 (ko) 1996-08-16

Family

ID=63428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16688A KR960011061B1 (ko) 1987-12-17 1988-12-15 모노아조 안료, 이의 제조방법 및 용도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5128454A (ko)
EP (1) EP0320774B1 (ko)
JP (1) JP2667236B2 (ko)
KR (1) KR960011061B1 (ko)
AU (1) AU602278B2 (ko)
DE (2) DE3742815A1 (ko)
ES (1) ES2061617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685162A5 (de) * 1991-05-07 1995-04-13 Ciba Geigy Ag Pigmentzusammensetzungen.
WO1995015920A1 (fr) * 1993-12-09 1995-06-15 Catalysts & Chemicals Industries Co., Ltd. Procede et dispositif de production d'oxyde d'aluminium
JP3839932B2 (ja) * 1996-09-26 2006-11-01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及び電子写真感光体ドラム及びカップリング
DE10138770A1 (de) * 2001-08-07 2003-02-20 Clariant Gmbh Neue Azopigmente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573851A (en) * 1947-11-10 1951-11-06 American Cyanamid Co Light fast azoic pigments
US2687410A (en) * 1951-12-26 1954-08-24 Du Pont Azo pigment
US3118870A (en) * 1961-03-29 1964-01-21 Hoechst Ag Water-insoluble monoazo-dyestuffs
US3928315A (en) * 1970-09-02 1975-12-23 Hoechst Ag {65 -Modification of phenyl-azo-naphthol pigment
BE794359A (fr) * 1972-01-22 1973-07-23 Hoechst Ag Pigments monoazoiques et leur preparation
US4002605A (en) * 1974-08-28 1977-01-11 American Cyanamid Company Calcium and magnesium salts of 4-(2-hydroxy-1-naphthylazo)-1-naphthalenesulfonic acid for dyeing fiberglass
DE2521655C2 (de) * 1975-05-15 1983-10-20 Hoechst Ag, 6230 Frankfurt Azoverbindungen,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JPH0230346B2 (ja) * 1981-07-22 1990-07-05 Shiseido Co Ltd Buririantokaamin6bnofukasakukagobutsunoseizoho
US4453944A (en) * 1982-04-07 1984-06-12 Ciba-Geigy Corporation Dye stable to dyeing, processes for producing it, and its use for dyeing and printing synthetic and semi-synthetic fibre materials
DE3223888A1 (de) * 1982-06-26 1983-12-29 Hoechst Ag, 6230 Frankfurt Neue kristallmodifikation von pigment red 53:1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695788A (en) 1989-06-22
DE3742815A1 (de) 1989-07-13
KR890010119A (ko) 1989-08-05
US5128454A (en) 1992-07-07
JP2667236B2 (ja) 1997-10-27
ES2061617T3 (es) 1994-12-16
JPH021767A (ja) 1990-01-08
DE3851130D1 (de) 1994-09-22
EP0320774A2 (de) 1989-06-21
EP0320774A3 (de) 1991-09-18
AU602278B2 (en) 1990-10-04
EP0320774B1 (de) 1994-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04871A (en) Printing inks containing nucleated organic pigments
KR960011061B1 (ko) 모노아조 안료, 이의 제조방법 및 용도
US4720304A (en) Pigment formulations
US4719292A (en) β-modified crystalline red pigment
KR970000737B1 (ko) 불투명한 이치환 퀴나크리돈 화합물의 제조방법
US2556729A (en) Metal-free phthalocyanine of novel color characteristics
US5084106A (en) Monoazo lake pigment
US4195020A (en) Dichloro-phenyl-azo-acetoacetylamino-benzimidazolone pigments
US6191263B1 (en) Crystal modification of C.I. Pigment Red 53:2 (γ-phase)
US2453490A (en) Process of producing a barium lake pigment
KR0163590B1 (ko) 금속화 아조 안료 및 그의 제조방법
US2744027A (en) Azo pigment production
US3997523A (en) Monoazo pigments
US4469515A (en) Production of pigments
US6146455A (en) Crystal modification of C.I. Pigment Red 53:2 (δ-phase)
JPH0662876B2 (ja) モノアゾレーキ顔料の製造方法
US2294306A (en) Yellow pigmentizing composition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US2447394A (en) Preparation of a barium lithol red
EP0259007B1 (en) Process for producing azo pigment
US6913640B2 (en) Single-phase mixed crystals of laked monoazo dyes
US6482257B1 (en) Solid solutions of monoazo pigments
US2727888A (en) Tinctorial form of a red azo lake
GB2031451A (en) Monoazo blue disperse dye
GB2123845A (en) Crystalline monoazo dye and its production
US3898233A (en) Flavanthrone pig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620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