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10648B1 - 형상화된 피스톤을 지닌 냉각 콤프레서 - Google Patents

형상화된 피스톤을 지닌 냉각 콤프레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10648B1
KR960010648B1 KR1019920009829A KR920009829A KR960010648B1 KR 960010648 B1 KR960010648 B1 KR 960010648B1 KR 1019920009829 A KR1019920009829 A KR 1019920009829A KR 920009829 A KR920009829 A KR 920009829A KR 960010648 B1 KR960010648 B1 KR 9600106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ston
valve plate
cylinder
outlet
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098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00829A (ko
Inventor
레이 리페 델마
Original Assignee
화이트 컨솔리데이티드 인더스트리즈, 아이엔씨.
스탠리 알. 밀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화이트 컨솔리데이티드 인더스트리즈, 아이엔씨., 스탠리 알. 밀러 filed Critical 화이트 컨솔리데이티드 인더스트리즈, 아이엔씨.
Publication of KR9300008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08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106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0648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10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distribution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000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adaptations of pist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ressor (AREA)
  • Compressors, Vaccum Pumps And Other Relevant Syste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형상화된 피스톤을 지닌 냉각 콤프레서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밀폐 냉각 콤프레서의 부분적으로 단면화된 입면도이고,
제2도는 콤프레서의 피스톤 및 실린더 헤드의 부분적 단면도이고,
제3도는 제2도의 선 3-3을 따라 본 피스톤 헤드의 단면도(end view)이고,
제4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라 밸브판 및 피스톤 헤드의 부분적 단면도이고,
제5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제4도와 유사한 부분적 단면도이고,
제6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제4도 및 5도와 유사한 부분적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외피 14 : 실린더 블록
18 : 베어링 부재 20 : 크랭크 샤프트
31 : 모터 회전자 24 : 정지자
26 : 크랭크 28 : 구멍
29 : 피스톤 30 : 단부면
31 : 연결 막대 33 : 단부면
36 : 밸브판 38 : 배출구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콤프레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냉장고나 냉동기와 같은 가전제품에서 사용되는 얼마안되는 마력을 사용하는 타입의 밀폐 콤프레서에 관한 것이다.
가전제품의 에너지 효율이 향상되어야할 필요성은, 상기 제품이 통상의 가전제품에서 소비되는 전체 전기 에너지의 상당량을 사용하기 때문에 이 타입의 제품에 대해서는 특히 크다.
이러한 장치에서 많은 개선이 이루어진 분야들중 하나는 밀폐 콤프레서이며, 최근에 에너지 효율이 상당히 개선되었다. 콤프레서의 전기 모터 부분에서는 많은 개선이 이루어진 반면, 왕복 피스톤 콤프레서의 체적과 압축 효율 분야에서는 개선의 여지가 여전히 존재한다.
이러한 콤프레서의 체적 효율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중 하나는 펌핑 실린더의 간극 또는 재 팽창 체적이며, 이것은 피스톤이 상사점에 있거나 펌핑 행정의 마지막에 있을 때 펌핑 실린더내 공간 체적으로서 한정된다. 이러한 공간은 본질적으로 피스톤면과 밸브판 사이의 공간으로 이루어지며, 밸브판 위에는 밸브판내 배출구의 체적뿐만 아니라 흡입 및 배출 리이드 밸브가 장착되는데, 이는 흡입구의 체적이 간극 체적의 외측에 있도록 흡입밸브가 밸브판의 내측에 있는 반면 배출 밸브 리이드 밸브는 밸브판의 외측에 있기 때문이다. 이상적인 콤프레서는 간극 체적을 지니지 아니하며, 일반적으로 간극 체적이 클수록 콤프레서의 효율은 낮아진다. 간극체적이 효율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이유는, 이러한 체적에 피스톤의 작동 행정에서 압축에 대한 부가적인 일 또는 에너지를 필요로 하는 개스가 들어 있고 이러한 에너지는, 실린더가 흡입구를 통해 재 충전될때 흡입 행정에서 부분적으로만 만회되기 때문이다. 그리하여, 간극 체적을 감소시키면 다른 인자들이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아니하는 한 콤프레서의 효율은 증가된다.
간극 체적은 대체로 상기에 기술한 2성분으로 이루어지므로, 이러한 체적을 감소시키려는 노력은 피스톤면과 밸브판 사이의 거리, 보다 구체적으로는 흡입 밸브 리이드와 일체로된 밸브 시이트(valve sheet)를 최소화하는 형태이었다. 배출구의 체적에 관해서는, 배출 유동에 대한 제한이 증가되기 때문에 직경이 어떤 최소점 이하로 감소될 수 없으며, 배출구의 길이는 압축된 냉매의 힘에 저장하는데 필요한 힘에 대한 밸브판 두게에 관하여 충분해야만 한다. 일부 배출구 길이의 감소는, 1988년 2월 9일 제이. 에프. 프리츠만에게 허영되어 본 발명 출원인에게 양도된 미국 특허 제4,723,896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밸브판내 배출 밸브를 오목하게 함으로써 이루어졌지만, 힘 요구조건에 따라, 배출구가 전체적인 간극 체적의 상당 부분에 있게 되는 충분한 밸브판 물질을 여전히 필요로 한다.
다양한 부품들의 공차 문제 때문에, 피스톤 단부면과 밸브 시이트 사이의 간격으로 부터의 간극 체적은, 실린더 블록위에 있는 단부표면 또는 단부면과 밸브 시이트사이에 위치한 개스킷(gasket)에 대한 선택적인 두께의 끼워 맞춤으로써 조심스럽게 제어되어 왔다. 이러한 간격이 과도하게 감소되면 압축 효율이 실질적으로 감소된다는 것이 밝혀졌다. 이것은 배출구가 실린더 구멍 크기의 일부일 뿐만아니라 보통 실린더 축의 중심에서 이탈하여 위치된 결과인 것으로 밝혀졌다. 그리하여, 피스톤이 압축 행정의 마지막에 도달하고 간극 공간이 최소에 접근하면, 압축된 냉매 개스는 피스톤면을 가로질러 배출구에 도달하도록 측면으로 흘러야 한다. 피스톤면과 밸브 시이트 사이의 간격이 너무 줄어들면, 콤프레서 효율은 사실상 줄어드는데, 이는 압축 개스의 일부가 간극 공간내에 효과적으로 포획되는 때문인데, 포획되는 이유는 고 속의 콤프레서에서 개스가 피스톤이 방향을 역전시키기 이전에 배출구를 향해 흐르거나 도달할 수 있는 시간을 갖지 못하기 때문이다. 결과적으로 피스톤면에서 어떠한 최소치 이하로 간극 공간을 감소시키면 간극 체적내에서 압축되고 재 팽창된 개스의 질량을 증가시킴으로써 콤프레서의 압축 효율이 실질적으로 감소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압축 행정의 마지막에서도 효율적인 개스 흐름을 유지하면서, 콤프레서의 간극 체적을 감소시킴으로써 콤프레서의 체적 효율을 실질적으로 개선한다.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르면, 배출구로부터 멀리 있는 피스톤 헤드 부분들이 그렇지 않았다면 이 부분들로부터 배출구까지 개스 흐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던 것보다 밸브판과 밸브시트에 가깝게 움직이게 하면서 이 지역에서 개스 흐름을 개선시키도록 배출구에 인접한 지역에서 피스톤 헤드내에 얕게 형상화된 요부를 제공함으로써, 피스톤이 압축 행정의 마지막에 있을 때, 피스톤의 면을 가로지르면서 부터 배출부까지의 개스 흐름이 효율적으로 유지된다. 상기 요부의 형상은 피스톤과 밸브 시이트사이의 간격이 배출구 또는 이에 근접한 지점에서 최대로 배출구에 근접하게 증가되도록 형상화된다. 실린더 벽에 가장 근접한 피스톤 헤드의 외부 부분이 밸브판에 평행한 평면에 있는 반면 피스톤 헤드의 중앙 부분에 이 형상회된 부분이 한정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압축 행정의 마지막에서 배출구로 들어가는 피스톤 면상의 돌출부를 제공함으로써 간극 체적이 더욱 줄어든다. 돌출부는 배출구의 형상에 일치되도록 횡단면적으로 형성되는 반면 돌출부의 측부는 직선이거나 끝이 가늘어질 수 있어서 돌출부가 배출구로 들어가면 피스톤이 운동의 마지막에 이를 때 배출구 간극 체적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게 된다. 돌출부의 형상은, 행정의 마지막에서 배출구를 통한 개스의 흐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아니하고 배출구 자체에 의해 구성되는 간극 체적의 실질적인 부분을 돌출부가 차지하도록 되어 있다.
실린더 헤드위의 형상화된 요부 및 배출구내로 들어가는 돌출부라는 이 두 특징이 같은 콤프레서에서 조합될 때, 각각의 정확한 형상 및 크기는, 간극 체적을 최대로 감소시키고 포획된 개스의 질량을 최소로 하도록 최적화될 수 있다. 그리하여, 배출구로 들어가는 플러그(plug) 또는 피스톤 돌출부의 환치때문에 피스톤 외측 모서리 둘레의 밸브 시이트와 피스톤 헤드 사이의 공간을 감소시키면서, 형상화된 요부가 크기와 체적에 있어 증가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피스톤 돌출부의 크기 및 형상은, 형상화 요부로부터 흐름을 수용하도록, 행정의 마지막에서 배출구를 통해 최적의 흐름을 유지하게끔 만들어질 수 있다.
도면을 보다 상세히 참조하면, 제1도는 가정용 냉장고 및 냉동기에서 사용되는 밀폐 냉각 형태의 콤프레서(10)을 도시한다. 이러한 콤프레서는 단일 왕복 피스톤 형태이며, 공칭속도가 3600rpm이고 동력이 대부분의 경우 1/6과 1/4 마력 사이인 2극 유도 모터에 의해 구동된다. 콤프레서는, 필요한 전기적인 연결뿐만 아니라 냉매 개스의 공급 및 방출선을 제외하고는 완전히 밀봉되는 강철 외피(11)내에 완전히 장착되어 있다. 외피(11)는 일반적으로 2개의 조각으로 형성되고 장착용 기부(12)를 포함하여, 제품내의 적절한 프레임레일(frame rail)위에 선호적으로 탄성의 고무 장착부를 사용하여 콤프레서가 장착된다. 외피(11)는 증발기의 유출부 압력에 해당하는 유입부 압력 상태에 있는 내부를 지녀 외피(11)의 내부는 시스템 콘텐서내로 유입되는 콤프레서의 배출 압력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압력 상태에 있다.
스프링(17)에 의해 지지 블랙킷(16)과 같은 알맞은 수단이 탄성적으로 장착되는 실린더블록(14)은 외피(11)내에 장착된다. 그리하여 실린더 블록(14)은 외피(11)내로 제한된 거리만큼 자유로이 움직일 수있는데 이것은 구동 모터의 시동 및 정지중에 발생되는 평형화되지 못한 힘 때문에 필요한 것이다.
실린더 블록(14)은 구멍을 지니는 중앙의 베어링 부재(18)를 포함하는데 구멍내에는 수직으로 연장된 크랭크샤프트(20)가 저널(journal)되어 있다. 베어링 부재(18)위에는 크랭크샤프트(20)가 모터 회전자(21)를 재탱하고 있으며 회전자는 적절한 추력 베어링(23)에 의해 베어링 부재(18)의 단부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회전자(21)는 실린더 블록(14) 상부의 정위치에 고정되게 보지되어 있는 정지가(24)내에 끼워진다. 그 하부 단부에서는 크랭크샤프트(20)가 베어링 부재(18) 아래에 있는 편심 크랭크(26)를 지니며, 상기 베어링 부재는 실린더 블록내에 형성되어 있는 수평으로 연장된 실린더 구멍(28)과 일반적인 정렬을 이루고, 연결막대(31)에 의해 크랭크(26)에 연결되는 피스톤(29)을 저널시키는 역할을 하여, 크랭크샤프트(20)의 회전은 피스톤(29)으로 하여금 공지의 방법으로 구멍(28)내에서 왕복 운동하게 한다.
크랭크(26)로부터 멀리있는 측부에는 실린더 블록(14)이 평탄한 단부면(33)으로 형성되며, 단부면은 피스톤(29)의 단부면(30)에 대해 평행하지만 이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된 평면에 있는 실린더 구멍(28)의 축에 수직으로 연장된다. 이에 대해서는 이후에 보다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적절한 개스킷(34)은 단부면(30)상부에 놓여지며, 그위에는 밸브판(36)가 놓여진다. 흡입 밸브와 일체로 되어 있는 얇은 박판 금속 밸브쉬트는 판(36)과 개스킷(34)사이에 놓여질 수 있지만, 밸브쉬트는 본 발명에 관련된 것이 아니므로 도시되지 않았으며 더 기술되지도 않을 것이다. 그러므로 밸브판(36)의 내부면(37)은, 피스톤 단부면(30)에 평행한 실린더 구멍(28)의 단부를 가로질러 평탄하게 연장된다. 밸브판(36)는 배출구(38)를 포함하며, 배출구는 피스톤 단부면(30)으로부터, 적절한 리이드(reed) 형태의 배출 밸브(41)에 의해 닫혀지는 밸브판(36)의 외부면(39)까지 밸브판(36)을 통해 연장된다. 배출 밸브(41)는 피스톤(29)이 밸브(36)로부터 멀리 움직이므로 피스톤의 흡입행정동안에 밸브판과 정상적으로 밀봉 정합되며 개스를 배출구(38)를 통해 밖으로 강제시킴으로써 배출 밸브판(41)를 개방시키므로 피스톤의 압축 행정에서는 개방된다. 실린더 헤드(43)는 밸브판(36)위로 연장되어 배출구(38)를 통해 실린더의 내부로부터 개스를 수용하는 배출 개스 층만 공간(44)을 한정한다. 실린더 헤드(43)는 (도시되지 아니한) 볼트와 같은 적절한 수단에 의해 실린더 블록(14)에 단단히 고정되며, 배출 개스 충만 공간(44)은 적절한 머플러를 통해 배출관으로 연결된다. 상기 배출관은 외부의 외피(11)에 연결되어 배출 개스 충만 공간(44)으로부터의 개스가 콤프레서 외피의 외부로 닫힌 회로 안에서 가게된다.
피스톤(29)이 실린더 구멍(28)내에서 왕복할 때, 피스톤이 상사점으로부터 하사점을 향해 움직이므로 펌핑주기는 흡입 또는 하향 행정을 이루며, 이러한 주기중에(도시되지 아니한) 흡입 밸브는 냉매 개스가 실린더에 들어가도록 열린다. 피스톤이 하사점을 통과한 이후에 이것은 밸브판(36)를 향하는 압축행정에서 다시 움직인다. 콤프레서의 밸브는 능동적으로 작동되지 않기 때문에, 실린더 구멍내의 압력이 배출 개스 충만 공간(44)내의 입력을 초과하는 이흐에만 배출 밸브(41)가 개방될 수 있다. 그러므로, 피스톤이 압축 행정의 상당부분을 움직인 후에야 비로소 배출 밸브(41)가 개방된다. 그러나, 일단 배출 밸브(41)가 개방되면, 실린더 구멍(28)내의 개스는 피스톤(29)에 의해, 배출구(38)를 통해 배출 개스 충만 공간(44)내로 흐르도록 강제되며, 단부면(30)이 밸브 플레이트(36)에 가장 근접하게되는 행정의 마지막 또는 상사점에 도달하면, 피스톤이 방향을 역전하여 실린더 구멍(28)내 압력이 강하한 이후에 배출 밸브(41)가 다시 폐쇄될때까지 배출 밸브(41)는 마지막의 개스까지도 실린더 구멍(28)을 떠나도록 개방상태로 유지되는 경향이 있다. 제2도에도시된 바와 같이 피스톤(29)이 상사점에 있을 때 피스톤 단부면(30)과 밸브판(36) 사이에 남아있는 '간극공간'이라 불리우는 공간(47)이 필연적으로 존재한다.(논의 목적으로 밸브판(36)의 일체화 부분으로서 간주될 수 있는 흡입용 밸브 시트는 무시하기로 한다)이러한 간극공간은, 배출 포트(38)의 체적과 함께, 콤프레서의 전체 간극 체적을 구성하며, 압축되었지만 실린더를 떠나지 않고 배출 개스 총만 공간(44)을 통과하지 않는 개스를 나타낸다. 그후, 개스는 피스톤이 흡입 행정의 초기에 움직일 때 다시 팽창하며, 맹매 개스의 압축 및 팽창은 진정한 단열 과정이 아니기 때문에, 열 형태로 잔류된 에너지 일부가 필연적으로 존재하는데 이것은 둘러싸고 있는 매카니즘에 의해 흡수된다. 이러한 에너지 손실은 간극 체적내에 포획된 개스의 양에 비례하므로, 간극 체적을 최소화하는 것이 콤프레서의 에너지 효율을 증가시키는 방법이라는 것이 오래전부터 알려져 있다.
이제까지는 이러한 형태의 콤프레서가 피스톤상에 평탄한 단부면을 지니도록 만들어졌으며, 콤프레서가 조립될때에는 실린더 블록 단부면(33)에 대해서 단부면(30)의 정확한 위치를 결정하는데 측정용 계기가 사용된후 개스켓(34)이 선택적으로 끼워맞춰짐으로써 피스톤의 단부면과 밸브판 사이의 간극 거리는 소정의 범위내로 유지된다. 이러한 거리가 너무 크면, 명백히 전체적인 간극의 체적이 증가되어 콤프레서의 효율은 감소된다. 간극의 거리가 너무 작으면, 콤프레서의 다양한 부품 온도 및 열 팽창에서의 변이에 따라 피스톤이 밸브판과 실질적으로 접촉하여 많을 손산을 주게 되는 가능성이 존재하는 명백한 위험이 있다. 일반적으로 인식되어오지 않았던 사항으로는, 콤프레서의 치수 인자에 따라, 간극의 거리가 특정 최소치 이하로 감소될 때 간극 거리가 더 감소되더라도 실질적인 냉매의 실제 질량은 거의 일정하게 유지된다는 것인데, 이것은 냉매가 피스톤 면의 가장 먼거리에 있는 부분으로부터 배출구까지 흐를 수 없기 때문이다. 흡입 차압(suction differential pressure)이 각각의 밸브에 걸친 배출 차압보다 훨씬 낮다는 사실에 비추어, 큰 흡입구 및 밸브를 제공하여야 할 필요성은, 배출구(38)가 실린더 보어의 중심선에서 상당히 이탈하여 위치되고 실린더 보어의 벽에 그리고 제3도에 명백히 도시된 바와같이 피스톤 면(30)의 모서리에 상당히 근접하게 위치될 것을 일반적으로 요구한다는 사실에 의해 상기 문제들이 복잡해진다. 이 개구부가 개방되는 구멍의 한쪽 모서리에 근접해있기 때문에, 배출구로부터 가장 먼 지점에 있는 냉매 개스는 배출구(38)를 통해 배출되기 위해 피스톤이 상사점에 도달할 때 측면상으로 상당한 거리를 흘러가야만 한다. 그리하여, 간극 거리가 더 감소하면 효율이 증가하지 않으나 이러한 지역에 포획된 개스는 보다 큰 압축 및 재팽창을 겪기 때문에 사실상 효율이 약간 감소되는 지점이 있다.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라, 피스톤 단부면(30)이, 배출구(38)에 근접한 피스톤 면상에 형성된 얕은 요부(49)를 첨가함으로써, 정상적인 평탄 형상과 달라지게 된다. 요부(49)는 얕게 경사진 원추형 부분(51) 및 펑탄하며 홈이난 원형의 중심부(52)를 갖는 원형의 형태다. 바람직스럽게는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 부분(52)의 최소한 일부가 배출구(38)의 일부와 중첩되어, 피스톤과 밸브 플레이트사이의 최대 간극이 배출구의 위치와 일치하도록 한다.
요부(30)는 깊이에 있어, 밸브판으로부터의 피스톤면의 정상적인 간극 거리정도로 상당히 얕게 만들어진다. 피스톤 단부면(30)의 나머지 부분과 밸브판 사이의 간극 거리는 정상적으로 사용되는 거리이하로 감소되어 피스톤과 밸브판 사이의 전체적인 간극 공간은 체적에 있어 충분히 감소된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1인치 구멍을 지니는 콤프레서에 있어서, 정상적인 간극거리는 약 0.006인치이고 약 0.002인치로 감소될 수 있어 요부 깊이가 약 0.005인치가 된다. 그러나, 요부(49)는 피스톤 단부면의 다른 부분에 있는 개스를 상사점에서 조차도 배출구(38)를 향해 보다 용이하게 흐르게하여 압축된 개스의 질량이 감소된다. 모든 다른 인자가 일정하게 유지된다면, 피스톤 단부면에 요부(49)를 부가하는 것만으로써 콤프레서의 에너지 효율을 약 1.5% 개선시킬 수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제5도 및 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구 체적에 의해 만들어진 간극 체적의 실질적인 부분을 차지하도록 배출구(38)내로 연장된 피스톤 면상의 돌출부 또는 포스트(post)의 부가함으로써 간극 체적이 더 감소될 수 있다. 이러한 포스트 또는 돌출부는 단독으로 사용될 수 있는 반면, 요부(49)와 조합되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스럽다.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스트(54)가 피스톤(29)과 일체로 만들어지는 것도 가능한 반면, 생산의 관점에서 보면, 특히 요부(49)를 기계 가공하여야 하는 필요성으로 인해 포스트를 일체로 만드는 것은 타당치 못하므로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된 것으로서 만드는 것이 편리한다. 포스트(56)는 감소된 직경의 쉥크(shank)(57)를 지니며 쉥크는 프레스 끼워맞춤과 같은 수단에 의해 피스톤(29)내에 형성된 구멍(58)내로 적절히 고정되어 포스트의 바닥면(59)이 피스톤 단부면(30)에 대해 연접한다. 포스트(56)는 배출구(38)와 동축선상에 있도록 중심이 잡히거나, 배출구가 원형이 아니라면, 피스톤이 상사점에 있을 때 포스트(56)의 어떤 부분도 밸브 플레이트(36)의 어떤 부분과도 접촉하지 않도록 하는 적절한 형상을 갖도록 중심 잡힌다. 포스트(56)가 직선의 측부를 지닌 원통형일 지라도, 원추형의 측부(61)와 평탄한 단부면(62)과 함께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단부면(62)은 배출 밸브(41)로부터 적절한 간극을 지니게끔 이격된다. 포스트(56)의 측부(61)가 원추형이면, 피스톤이 상사점에 도달하기 이전에, 포스트(56) 위의 작은 단부면(62)만이 실제로 밸브판(36)의 내부면(37)을 넘어 배출구(38)내로 들어간다.
이 감소된 직경 때문에, 배출구는 실린더내의 잔류 개스가 배출구(38)로 들어갈 수 있는 충분한 면적을 계속 보유하며, 흐름 속도뿐만아니라 체적도 피스톤이 정확히 상사점에 접근함에 따라 감소되므로, 원추형의 측부(61)는, 간극 체적에 기여하는 배출구의 일부를 충분히 채울 수 있도록 배출구(38)의 벽에 점진적으로 근접하게 된다. 더욱이, 요부(49)는 배출구에 여전히 근접해 있기 때문에 피스톤의 외면 둘레에 개스를 모으는 것을 보조하여 개스가 포스트(56)를 지나 배출구(38)내로 그리고 배출 밸브(41)를 지나 흐를 수 있게 한다. 포스트가, 요부없는 평탄면 피스톤과 함께 사용될 수 있을지라도, 피스톤 헤드상의 요부 및 배출 밸브내로 연장된 포스트의 특징들을 조합함으로써, 행정의 마지막에서의 배출 개스를 위한 개선된 흐름 통로 및 감소된 간극 체적의 결과, 콤프레서의 에너지 효율이 더 증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가지 실시예가 도시되고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청구범위에서 한정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다른 변형예 및 재배열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Claims (12)

  1. 단부 표면을 지니는 실린더 블록, 상기 단부 표면으로부터 상기 실린더 블록을 통해 연장되고 상기 단부 표면에 수직인 축을 한정하는 실린더 구멍, 상기 단부 표면에 고정되고 상기 실린더 구멍을 가로질러 연장되는 밸브판, 상기 실린더 구멍내에서 왕복하도록 장착된 피스톤, 상기 밸브판까지 그리고 밸브판으로부터 상기 실린더 구멍내에서 상기 피스톤을 왕복시키는 수단, 상기의 밸브판을 통해 연장되고 상기 실린더 구명내로 열리는 배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피스톤은 상기 밸브판에 근접하게 연장되는 단부면을 지니며, 상기 단부면은 요부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요부 부분의 최소한 일부가 상기 배출구의 최소한 일부와 정렬되고, 상기 요부 부분 둘에의 상기 피스톤 단부면의 잔여부가 평탄하고 상기 밸브 플레이트 표면과 평행한 밀폐형 상기 콤프레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요부가, 상기 피스톤 단부면 잔여부와 상기 밸브판사이의 최소 간격보다 큰 깊이를 지니는 밀폐형 냉각 콤프레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요부는 원형 형상이며 상기 실린더 구멍의 중심측으로부터 편기(offset)되어 있는 밀폐형 냉각 콤프레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요부가 원추형의 외부 부분과 평탕한 중심부분을 지니는 밀폐형 냉각 콤프레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 부분의 최소한 일부가 상기 배출구의 최소한 일부와 정렬되는 밀폐형 냉각 콤프레서.
  6. 단부 표면을 지닌 실린더 블록, 상기 단부 표면으로부터 상기 실린더 블록을 통해 연장되고 상기 단부 표면에 대해 수직인 축을 한정하는 실린더 구멍, 상기 단부 표면에 고정되고 상기 실린더 구멍을 가로질러 연장되는 밸브판, 상기 실린더 구멍내에서 왕복되게끔 장착되며 상기 밸브판에 인접하여 연장되는 단부면을 갖는 피스톤, 상기 밸브 플레이트까지 그리고 밸브판으로부터 상기 실린더 구멍내에서 상기 피스톤을 왕복시키는 수단, 상기 밸브판을 통해 연장되고 상기 축으로부터 편기된 지점에서 상기 실린더 구멍내로 열리는 원통형 배출구, 및 상기 피스톤이 상기 밸브 플레이트에 근접한 상사점에 있을 때 상기 단부면으로부터 상기 배출구내로 외부로 연장되는 상기 피스톤상의 원추형 포스트(post)를 포함하는 밀폐형 냉각 콤프레서.
  7. 단부 표면을 지닌 실린더 블록, 상기 단부 표면으로부터 상기 실린더 블록을 통해 연장되며 상기 단부 표면에 수직인 축을 한정하는 실린더 구멍, 상기 단부 표면에 고정되고 상기 실린더 구멍을 가로질러 연장된 밸브판, 상기 실린더 구멍내에서 왕복되게끔 장착된 피스톤, 상기 밸브판까지 그리고 밸브판으로부터 상기 실린더 보어내에서 상기 피스톤을 왕복시키는 수단, 상기 밸브판을 통해 연장되고 상기 축으로부터 편기된 지점에서 상기 실린더 구멍내로 열리는 배출구를 포함하며, 상기 피스톤은 상기 밸브판에 인접하여 뻗어있는 단부면을 갖고, 상기 단부면이 요부화된 부분을 포함하여 상기 요부화된 부분의 최소한 일부가 상기 배출구의 최소한 일부와 정렬되고 상기 피스톤이 상기 밸브판에 근접한 상사점에 있을 때 상기 피스톤 단부면으로부터 상기 배출구내로 상기 피스톤 상의 포스트가 외부로 뻗어있는 밀폐형 냉각 콤프레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판은 상기 실린더 구멍을 가로질러 연장된 평탄한 표면을 지니며, 상기 요부 부분둘레의 상기 피스톤 단부면의 잔여부는 평탄하고 상기 밸브판 표면에 평행하며 상기 포스트는 상기 요부내에 위치하는 밀폐형 냉각 콤프레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가 상기 피스톤 면에 고정된 분리 부재인 밀폐형 냉각 콤프레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요부는 원형 형상이며 상기 실린더 구멍의 중앙입구로부터 편기되어 있는 밀폐형 냉각 콤프레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요부는 원추형의 외부 부분 및 평탄한 중심부를 지니는 밀폐형 냉각 콤프레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는 원통형이며 상기 포스트는 원추형인 밀폐형 냉각 콤프레서.
KR1019920009829A 1991-06-06 1992-06-05 형상화된 피스톤을 지닌 냉각 콤프레서 KR96001064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7/711,337 1991-06-06
US91-07/711,337 1991-06-06
US07/711,337 US5149254A (en) 1991-06-06 1991-06-06 Refrigeration compressor having a contoured pist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0829A KR930000829A (ko) 1993-01-15
KR960010648B1 true KR960010648B1 (ko) 1996-08-07

Family

ID=248576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09829A KR960010648B1 (ko) 1991-06-06 1992-06-05 형상화된 피스톤을 지닌 냉각 콤프레서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5149254A (ko)
JP (1) JPH086689B2 (ko)
KR (1) KR960010648B1 (ko)
CA (1) CA2069208C (ko)
DE (1) DE4218631C2 (ko)
GB (1) GB2259335B (ko)
IT (1) IT1259478B (ko)
MX (1) MX9202648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46373A (en) * 1993-06-17 1994-09-13 White Consolidated Industries, Inc. Refrigeration compressor having a spherical discharge valve
US5584676A (en) * 1994-10-27 1996-12-17 Tecumseh Products Company Compressor discharge valve having a guided spherical head
DE19515217C2 (de) * 1995-04-28 1999-03-11 Danfoss Compressors Gmbh Kältemittelverdichter
IT1292289B1 (it) * 1997-04-28 1999-01-29 Embraco Europ Srl Motocompressore ermetico per macchine frigorifere.
IT243422Y1 (it) 1997-05-26 2002-03-04 Zanussi Elettromecc Compressore dotato di pistone perfezionato
CN1089137C (zh) * 1997-11-11 2002-08-14 Lg电子株式会社 密封式压缩机的轴承连接结构
US5909967A (en) * 1997-11-12 1999-06-08 Lg Electronics Inc. Bearing engagement structure for hermetic compressor
JP2000120533A (ja) * 1998-10-14 2000-04-25 Sanden Corp 容量可変型斜板式圧縮機
JP3896712B2 (ja) * 1998-12-09 2007-03-22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圧縮機
WO2000071896A1 (de) 1999-05-25 2000-11-30 Danfoss Compressors Gmbh Axialkolben-kältemittelverdichter
JP4242990B2 (ja) 1999-11-25 2009-03-25 サンデン株式会社 斜板式圧縮機
US20040202562A1 (en) * 2003-04-14 2004-10-14 Grassbaugh Walter T. Reciprocating compressor
KR100922213B1 (ko) * 2003-06-13 2009-10-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밀폐형 압축기
KR100774485B1 (ko) 2005-08-26 2007-11-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압축기
KR101452508B1 (ko) * 2008-10-28 2014-10-21 엘지전자 주식회사 밀폐형 압축기
JP5533061B2 (ja) * 2009-06-12 2014-06-2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密閉型圧縮機および冷凍装置
JP5617402B2 (ja) * 2010-07-15 2014-11-0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往復式圧縮機およびこれを用いた冷蔵庫
JP6065192B2 (ja) * 2011-05-09 2017-01-2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密閉型圧縮機
DE102014225412A1 (de) * 2014-12-10 2016-06-16 Robert Bosch Gmbh Kolbenpumpe mit einem Kolben mit profilierter Kolbenvorderseite
US9994207B2 (en) 2015-08-07 2018-06-12 Bendix Commercial Vehicle Systems Llc Autolift-resistant piston assembly for an unloader valve of an air compressor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764953A (en) * 1926-01-06 1930-06-17 Delos P Heath Compressor
US1719572A (en) * 1928-01-23 1929-07-02 Stoll Albert Valve construction for compressors and refrigerating pumps
US2626102A (en) * 1949-04-06 1953-01-20 Frick Co Cylinder head
DE847513C (de) * 1951-06-07 1952-08-25 Aluminiumwerke Nuernberg G M B Kolben, insbesondere fuer Brennkraftmaschinen und Kompressoren
AT245710B (de) * 1964-10-20 1966-03-10 Hoerbiger Ventilwerke Ag Saugventil für Kolbenverdichter
US3505934A (en) * 1967-09-22 1970-04-14 Richard L De Biasse Piston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3906923A (en) * 1973-12-10 1975-09-23 Cummins Engine Co Inc Piston and cylinder construction
JPS53104856U (ko) * 1977-01-27 1978-08-23
JPS6135744Y2 (ko) * 1979-04-19 1986-10-17
JPS6135745Y2 (ko) * 1979-04-20 1986-10-17
DD150925A1 (de) * 1980-05-23 1981-09-23 Paul Will Saugarbeitsventil fuer hubkolbenverdichter
US4401418B1 (en) * 1981-04-29 1998-01-06 White Consolidated Ind Inc Muffler system for refrigeration compressor
JPS60209674A (ja) * 1984-04-02 1985-10-22 Toyoda Autom Loom Works Ltd 往復式圧縮機
US4723896A (en) * 1987-04-30 1988-02-09 White Consolidated Industries, Inc. Compressor discharge valve assembly
CH678881A5 (ko) * 1989-03-23 1991-11-15 Sulzer Ag
JP3082867B2 (ja) * 1991-07-09 2000-08-2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密閉形圧縮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IT1259478B (it) 1996-03-20
GB9211128D0 (en) 1992-07-08
ITUD920106A0 (it) 1992-06-04
CA2069208A1 (en) 1992-12-07
KR930000829A (ko) 1993-01-15
JPH05231315A (ja) 1993-09-07
MX9202648A (es) 1992-12-01
GB2259335B (en) 1995-02-22
JPH086689B2 (ja) 1996-01-29
DE4218631C2 (de) 1996-12-19
CA2069208C (en) 1996-04-23
DE4218631A1 (de) 1992-12-10
US5149254A (en) 1992-09-22
GB2259335A (en) 1993-03-10
ITUD920106A1 (it) 1993-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10648B1 (ko) 형상화된 피스톤을 지닌 냉각 콤프레서
US5266016A (en) Positive stop for a suction leaf valve of a compressor
KR100723104B1 (ko) 밀폐형 압축기
US5887622A (en) Valve assembly of a compressor
KR20070085071A (ko) 밀폐형 압축기
KR970006893A (ko) 압축기
KR20040022320A (ko) 왕복동식 압축기의 가스 압축장치
US20040009077A1 (en) Reciprocating compressor having a discharge pulsation reducing structure
US20090116985A1 (en) Hermetic compressor
KR101245024B1 (ko) 밀폐형 압축기 및 그를 이용한 냉동 냉장 장치
JP3996827B2 (ja) 密閉形圧縮機
KR20020071667A (ko) 토출 맥동 저감구조를 갖는 압축기
US20030198565A1 (en) Cylinder assembly and hermetic compressor having the same
JP2002089450A (ja) 冷媒圧縮機
US6374943B1 (en) Baffle plate of discharge muffler for hermetic reciprocating compressor
US6835050B2 (en) Reciprocating compressor
US20050129548A1 (en) Suction valve and reciprocating compressor having the same
US20040013552A1 (en) Valve assembly in hermetic compressor
JP5810273B2 (ja) 密閉型圧縮機および冷凍装置
KR100228857B1 (ko) 압축기의 플랩퍼형 밸브구조
KR100451240B1 (ko) 왕복동식 압축기의 스프링 지지구조
KR0134144Y1 (ko) 왕복동형 압축기
KR0130213Y1 (ko) 밀폐형 전동압축기의 냉매가스 흡입구조
JP2012102610A (ja) 密閉型圧縮機および冷凍装置
KR100308646B1 (ko) 밀폐형 압축기의 흡입머플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71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