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2508B1 - 밀폐형 압축기 - Google Patents

밀폐형 압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2508B1
KR101452508B1 KR1020080105645A KR20080105645A KR101452508B1 KR 101452508 B1 KR101452508 B1 KR 101452508B1 KR 1020080105645 A KR1020080105645 A KR 1020080105645A KR 20080105645 A KR20080105645 A KR 20080105645A KR 101452508 B1 KR101452508 B1 KR 1014525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ston
main body
head portion
body portion
hermetic compres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56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46688A (ko
Inventor
박성운
안재우
정원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056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2508B1/ko
Publication of KR201000466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66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25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25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0027Pulsation and noise damping means
    • F04B39/0055Pulsation and noise damping means with a special shape of fluid passage, e.g. bends, throttles, diameter changes, pipes
    • F04B39/0072Pulsation and noise damping means with a special shape of fluid passage, e.g. bends, throttles, diameter changes, pipes characterised by assembly or moun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5/00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means to their working members, or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4B35/04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means to their working members, or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the means being electric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000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adaptations of pist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000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adaptations of pistons
    • F04B39/002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adaptations of pistons piston ro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60/00Function
    • F05B2260/96Preventing, counteracting or reducing vibration or noi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80/00Materials; Properties thereof
    • F05B2280/10Inorganic materials, e.g. metals
    • F05B2280/102Light metals
    • F05B2280/1021Aluminiu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80/00Materials; Properties thereof
    • F05B2280/40Organic materials
    • F05B2280/4003Synthetic polymers, e.g. plast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ressor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밀폐형 압축기는, 인가된 전원에 의해 구동되어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와, 구동부의 회전력을 직선력으로 변환시키는 커넥팅 로드와, 커넥팅 로드에 의해 직선 왕복 운동하고, 헤드부와 본체부로 구성되되, 헤드부의 비중이 본체부보다 낮은 피스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압축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밀폐형 압축기{HERMETIC COMPRESSOR}
본 발명은 밀폐형 압축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 비중이 적은 피스톤을 구비한 밀폐형 압축기에 관한 것이다.
압축기는 압축 방식과, 사용되는 냉매의 종류에 따라 여러가지 형태가 있다. 밀폐형 압축기는 내부에 구비되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 내부를 왕복 직선 운동하는 피스톤에 의해 냉매를 압축하며, 일반적으로 냉장고 등의 냉각시스템에 주로 사용된다. 상기 밀폐형 압축기는 전체적으로 왕복 직선 운동에 의해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부와, 상기 압축부에 동력을 공급하는 구동부, 그리고 상기 압축부와 구동부를 밀폐되도록 수용하는 쉘로 구성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밀폐형 압축기의 측단면도이다. 소정의 밀폐공간을 가지는 쉘(1)의 내부에는 고정자(2)와 회전자(3)로 이루어진 구동부(4)가 설치되며, 상기 쉘(1) 내부로 냉매를 유입하는 흡입관(19)과 냉매를 토출하는 토출관(미도시)이 쉘(1)에 관통되게 설치된다.
회전자(3)의 중앙에는 회전축(5)이 압입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축(5)의 상단부는 실린더 블록(6)에 형성되어 있는 축지지부(6a)에 의해 회전 가 능하도록 삽입되어 있다. 고정자(2)의 하부에는 회전자(3)의 회전시 고정자(2)로 전해지는 진동을 흡수하기 위한 복수 개의 스프링(S)이 지지되어 있다.
회전축(5)의 상단부에 편심되도록 형성되는 편심부(5a)에는 슬리브(7)가 결합되어 있고, 상기 슬리브(7)의 외주에는 회전축(5)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시키는 커넥팅 로드(8)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편심부(5a)의 하부에는 균형추(5b)가 형성되어 있다.
실린더 블록(6)의 상부 일측에는 실린더(9)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실린더(9)의 내부에는 피스톤(10)이 삽입 설치되어 있다. 상기 피스톤(10)은 일체로 형성되고, 금속재질로 제작되며, 피스톤(10)의 일단에는 데드 볼륨을 최소로 하는 볼륨 스페이서(10c)가 형성된다. 상기 볼륨 스페이서(10c)는 피스톤(10) 일단에 편향되게 형성되되, 토출공(12a) 보다 직경이 좁게 형성되어 피스톤(10)이 상사점으로 이동시 토출공(12a)과 끼움된 형태는 되지 않으며, 상기 볼륨 스페이서(10c)는 토출공(12a)에 삽입된다.
피스톤(10)의 타단은 개방되어 커넥팅 로드(8)의 일단과 연결된다. 상기 피스톤(10)의 중앙에서 편향되게 형성된 관통홀(10b: 도 2에 도시)에 피스톤 핀(11)을 삽입하여 커넥팅 로드(8)와 피스톤(10)을 연결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종래 기술에 따른 밀폐형 압축기는 외부에서 전원이 인가되어 구동부(2)에 의해 회전자(3)가 회전하면, 상기 회전자(3)에 압입된 상태의 회전축(5)이 회전자(3)와 함께 회전하게 된다. 상기 회전축(5)의 회전은 편심부(5a)에 연결된 커넥팅 로드(8)에 의해 직선운동으로 변환되며, 피스톤(10)이 실 린더(9) 내부를 왕복 직선 운동하게 된다.
실린더(9)의 일단에는 냉매가 실린더(9)의 압축공간으로 흡입과 토출을 제어하기 위한 밸브 어셈블리(12)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밸브 어셈블리(12)의 일단에는 흡입 냉매와 토출 냉매를 분리시키기 위한 헤드 커버(13)가 설치되어 있다.
헤드 커버(13)의 하부에는 흡입되는 냉매의 소음을 저감하기 위한 흡입 머플러(14)가 결합된다. 실린더 블록(6)의 상부에는 토출되는 냉매의 소음을 저감시키기 위한 토출 머플러(15)가 구비된다.
회전축(5)의 하부에는 쉘(1)의 저부에 저장되어 있는 오일(16)을 흡상하기 위한 오일 피드(Oil feed, 17)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축(5)의 내부에는 상기 오일 피드(17)에 의해 흡상되는 오일(16)을 상기 회전축(5), 커넥팅 로드(8), 실린더(9), 피스톤(10) 등으로 공급하기 위한 오일 유로(18)가 형성되어 있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밀폐형 압축기의 사시도이다. 피스톤(10)은 원통 형상의 본체부(10a)와, 상기 본체부(10a)를 세로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공(10b)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본체부(10a)의 타단은 커넥팅 로드(8)의 일단이 삽입되도록 개방되어 있으며, 본체부(10a)의 일단에는 볼륨 스페이서(10c)가 형성된다. 상기 볼륨 스페이서(10c)는 본체부(10a)의 일단의 편심되게 형성되며, 피스톤(10) 가동시 상사점에서 벨브 어셈블리(12)의 토출공(12a)에서 형성되는 데드 볼륨을 최소화 한다.
피스톤(10)의 관통공(10b)에는 피스톤 핀(11)을 삽입하여 커넥팅 로드(8)와 피스톤(10)을 고정하며, 상기 피스톤 핀(11)은 피스톤(10)에 삽입되는 커넥팅 로 드(8)가 회동가능하도록 고정한다.
Figure 112008074661725-pat00001
Mc 슬리브 그리고 커넥팅 로드의 질량 중 커넥팅 로드와 슬리브와의 연결에 집중된 등가 질량
Mp 피스톤과 피스톤 핀의 질량
R 회전축과 커넥팅 로드- 슬리브 연결 조인트까지의 거리
L 커넥팅 로드의 길이
ω 회전각속도
α 커넥팅 로드의 각도
상기 밀폐형 압축기는 왕복동식으로 가동시 피스톤이 왕복 직선 운동함으로써 언발란스 포스(합력)가 발생되고, 공기 흐름의 맥류 현상 등이 발생한다. 상기 언발란스 포스가 발생하여 진동이 유발되며, 상기 수학식 1에 나타난 바와 같다. ω는 회전축의 회전각속도를 나타내며, α는 커넥팅 로드의 회전 각도를 말한다. 상기 수학식에서 피스톤의 질량을 감소하면 힘이 감소됨을 알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종래기술에 따른 밀폐형 압축기는 금속 재질을 이용하여 일체로 제작되나, 피스톤의 일단의 절곡부분의 제작이 어렵고, 금속 재질이 비중이 큼에 따라 밀폐형 압축기 가동시 언발란스 포스의 발생한다. 따라서, 피스톤의 질량이 줄어들면 언발란스 포스가 줄어들어 진동이 줄어들게 되므로, 피스톤의 질량을 줄이기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발명은 밀폐형 압축기 가동시 진동,소음을 줄이는 밀폐형 압축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피스톤의 결합이 용이하고, 그 결합력이 강한 결합 구조를 지닌 밀폐형 압축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인가된 전원에 의해 구동되어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와, 구동부의 회전력을 직선력으로 변환시키는 커넥팅 로드와, 냉매가 압축되는 압축공관과, 압축공간 내에 구비되어, 커넥팅 로드에 의해 직선 왕복 운동하고, 헤드부와 본체부로 구성되되, 헤드부의 비중이 본체부보다 낮은 피으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압축기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피스톤의 헤드부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또는 알루미늄으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압축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피스톤의 헤드부의 일단에 볼륨 스페이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압축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본체부와 헤드부가 마주보는 각각의 일단에 절곡된 형태의 결합부가 구비되고, 상기 본체부의 결합부는 헤드부의 결합부에 억지끼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압축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헤드부는 본체부를 향하는 일단에 돌기가 형성되고, 본체 부는 헤드부를 향하는 일단에 헤드부의 돌기에 대응하는 복수 개의 삽입홈을 구비하여, 돌기가 삽입홈이 삽입,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압축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본체부와 헤드부가 마주보는 각각의 일단에 절곡된 형태의 결합부가 구비되고, 본체부의 결합부는 본체부의 일단에서 이격되게 고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부의 일단에서 고정홈까지 이어진 가이드홈이 더 구비되고, 헤드부의 결합부는 복수 개의 돌기를 구비하여, 상기 돌기들이 가이드홈을 통과하여 고정홈에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압축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헤드부는 본체부를 향하는 일단에 편향되게 형성되되, 본체부의 일단과 가이드 홈의 간격에 대응하는 단차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압축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본체부 일단의 가이드 홈에 연결되거나 일정 간격 이격되어 고정홈을 막는 차단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압축기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본 발명에 따른 밀폐형 압축기는 헤드부의 비중을 줄여 피스톤 무게를 감소시킴으로써 밀폐형 압축기의 진동이 줄어듦과 동시에 소음이 저감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밀폐형 압축기는 피스톤의 무게가 줄어들어 언발란스 포스가 줄어들어 진동이 감소함에 따라 습동부와 피스톤의 마모를 저감시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피스톤의 결합이 용이하면서도, 그 결합력이 강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의 밀폐형 압축기의 측단면도이다. 쉘(100) 내부에는 인가된 전원에 따라 구동하는 구동부(200)와, 구동부(200)에 의해 냉매를 압축, 토출시키는 압축부(300)가 구비된다.
구동부(200)는 인가된 전원에 따라 자기장을 형성하는 고정자(220)와, 고정자(220)에 내부에 구비되고, 고정자(220) 의해 회전하는 회전자(240)와, 상기 회전자(240)의 중심에 회전축(260)이 압입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자(220)에 의해 회전자(240)와 회전축(260)은 같이 회전한다.
회전축(260)의 상단부에는 실린더 블록(190)이 구비되며, 상기 실린더 블록(190)의 일측에 축지지부(190a)를 구비한다. 상기 고정자(220)의 하부에는 회전자(240)의 회전시 고정자(220)로 전달되는 진동을 흡수하기 위한 복수 개의 스프링(S)이 구비된다. 즉, 상기 회전자(240)의 진동이 스프링(S)에 의해 흡수되어, 상기 쉘(100)는 물론 밀폐형 압축기가 설치되는 냉장고 등으로 전달되는 것이 방지한다.
회전축(260)의 상단에는 편심핀(160a)이 상기 회전축(260) 중심에 대해 편심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편심핀(160a)의 타측에는 균형추(160b)가 형성되어 있 다.
편심부(160a)에는 슬리브(150)가 결합되어 있고, 상기 슬리브(150)의 외주에는 회전축(260)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시키는 커넥팅 로드(130)가 결합되어 있다.
실린더 블록(190)의 상부에는 실린더(310)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실린더(310)의 내부에는 피스톤(400)이 삽입되어 있다. 상기 피스톤(400)의 타단은 개방되어 커넥팅 로드(130)의 일단이 삽입된다. 상기 피스톤(400)의 편향되게 형성된 관통홀(422: 도 4에 도시)이 구비되며, 커넥팅 로드(130)와 피스톤(400)을 연결하기 위해 피스톤 핀(320)을 구비하여 관통홀(422: 도 4에 도시)에 압입된다. 상기 피스톤(400)은 본체부(420: 도 4에 도시)와 헤드부(410: 도 4에 도시)로 형성되며, 피스톤(400)의 일단에는 데드 볼륨을 최소로 하는 볼륨 스페이서(412)가 형성된다. 상기 볼륨 스페이서(412)는 피스톤(400) 일단에 편향되게 형성되되, 피스톤(400)이 가동시 토출공(331)에 삽입된다.
피스톤(400)의 헤드부(410: 도 4에 도시)는 알루미늄(Aluminum) 또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Engineering Plastic)으로 제작되며, 상기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은 강도, 탄성뿐만 아니라, 내충격성, 내마모성, 내열성, 내한성 내약품성 전기절연성 등이 뛰어나 용도에 맞게 여러 분야에 사용되고 있다. 헤드부(410: 도 4에 도시)는 본체부(420: 도 4에 도시)보다 비중이 낮으며, 상기 헤드부(410: 도 4에 도시)의 비중을 저감시킴으로써 밀폐형 압축기의 가동시 진동이 저감된다.
실린더(310)의 일단에는 밸브 어셈블리(330)가 설치되며, 상기 밸브 어셈블 리(330)는 상기 실린더(310)의 압축공간 내부로 흡입되는 냉매와, 압축공간 내부에서 압축된 냉매의 배출을 제어한다. 상기 밸브 어셈블리(330)는 흡입밸브와 토출밸브, 밸브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밸브 어셈블리(330)의 일단에는 헤드 커버(340)가 설치되는데, 상기 헤드 커버(340)는 흡입되는 냉매와 토출되는 냉매를 서로 분리시키며, 상기 헤드 커버(340)의 하단에는 아래에는 흡입 머플러(120)가 결합 고정된다. 상기 흡입 머플러(120)는 흡입되는 냉매의 소음을 저감시키고, 냉매가 헤드 커버(340)를 통해 실린더(310)의 압축공간으로 흡입되는 동안 가열을 방지한다. 물론, 토출되는 냉매의 소음을 저감시키기 위해 실린더 블록(160)의 상부에 토출 머플러(140)가 구비된다.
쉘(100)의 저면에 구비되어 있는 오일은 오일유로(180)를 통해 상부로 이동한다. 상기 회전축(260)의 하부에서는 상기 회전축(260)의 중심에 대해 편심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오일유로(180)는 상기 편심핀(160a)의 상단부를 관통하여 쉘(100)의 내부와 연통된다. 상기 회전축(260)의 하단부에는 상기 오일을 펌핑하여 상기 오일유로(180)로 전달하는 오일피트(170)가 설치되어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의 밀폐형 압축기 피스톤의 분리 사시도이다. 피스톤(400)은 실린더 내부에서 왕복 직선 운동하는 것에 의하여 냉매를 압축하기 위해 구비된다. 상기 피스톤(400)은 원통형인 본체부(420)와, 헤드부(410)로 형성된다.
본체부(420)는 일단과 타단이 개방되게 형성되며, 금속 재질로 제작된다. 상기 본체부(420)에 편향되게 관통홀(422)이 형성된다. 상기 본체부(420)의 타단에는 커넥팅 로드(130)의 일단이 삽입되도록 하며, 상기 관통홀(422)에는 커넥팅 로드(130)의 일단을 고정하도록 피스톤 핀(320)이 삽입된다. 상기 본체부(420)의 일단에는 절곡된 결합부(421)가 더 형성된다
헤드부(410)는 타단이 개방된 형태의 원통형으로, 본체부(420)의 비중보다 작은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또는 알루미늄으로 제작되며, 일단에 편심되게 볼륨 스페이서(412)가 형성된다. 상기 헤드부(410) 타단에 결합부(411)가 형성된다.
결합부(411, 421)는 각각 헤드부(410)와 본체부(420)를 마주보게 형성되되, 각각 절곡된 형태이다. 상기 결합부(411, 421)를 억지끼움하면 피스톤(400)이 완성된다.

진동
X축 Y축 Z축 Vecter
종래 기술 14.1[gal] 10.0[gal] 14.1[gal] 22.3[gal]
본 발명 8.3[gal] 4.4[gal] 5.7[gal] 11.0[gal]
상기 표 1은 종래 기술의 피스톤과 본 발명에 따른 피스톤이 가동시 형성되는 진동의 크기를 측정한 것을 표로 나타내었다. Vecter값은 각 X,Y,Z의 제곱을 더하여 제곱근하여 나타낸 것이다. 종래 기술의 피스톤은 31g이고, 본 발명에 따른 피스톤(400)은 22g으로 9g이 감소 되었으며, 언발란스 포스는 밀폐형 압축기의 가동시 발생되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피스톤(400)의 비중을 종래보다 작게 제작하여 상기 표 1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진동 및 소음이 평균 6 gal 정도 낮춘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피스톤(400)을 적용할 경우 언발란스 포스가 줄어들어 피스톤(400)는 물론 습동부의 마모를 저감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의 밀폐형 압축기의 피스톤 사시도이다. 도 5의 도면은 헤드부(410)와 본체부(420)로 형성되는 피스톤(400)의 결합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다. 상기 헤드부(420)는 본체부(410)보다 비중이 적은 재질을 이용하여 제작하며, 본체부(420)는 금속 재질로 제작된다.
헤드부(410)의 일단에는 볼륨 스페이서(412)가 구비되며, 상기 볼륨 스페이서(412)는 깎은 원뿔 형태로, 일단에서 타단으로 향할수록 직경이 넓어지는 형태이다. 상기 볼륨 스페이서(412)는 피스톤(400) 가동시, 상사점에서 벨브 어셈블리(330: 도 3에 도시)의 토출공(331: 도 3에 도시)에 삽입되며, 상기 토출공(331: 도 3에 도시)에 형성되는 데드 볼륨을 줄이는 역할을 한다.
피스톤(400)의 본체부(420) 타단이 개방되어 타단으로 커넥팅 로드(130)가 삽입되며, 상기 커넥팅 로드(130)와 결합하게 위해서 관통홀(422)이 구비된다. 상기 관통홀(422)에는 피스톤 핀(320)이 삽입되어 피스톤(400)과 커넥팅 로드(130)가 결합되며, 상기 커넥팅 로드(130)에 의해 피스톤(400)이 가동된다. 물론, 피스톤 핀(320)은 커넥팅 로드(130)가 회동가능 하도록 고정시킨다.
도 6a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밀폐형 압축기 피스톤의 분리 사시도이다. 제2 실시예에 따른 피스톤(500)은 헤드부(510)와 본체부(520)로 구성되며, 상기 헤드부(510)와 본체부(520)는 각각 마주보게 결합부(511, 521)를 구비하여 헤드부(510)와 본체부(520)의 결합을 돕는다.
헤드부(510)의 일단에는 볼륨 스페이서(512)가 구비되고, 타단에는 내경방향으로 절곡되게 결합부(511)가 형성되되, 결합부(511)의 일단에서 이격되게 복수 개의 돌기(511a)가 형성되며, 상기 상기 헤드부(510)는 본체부(520)보다 비중이 적은 재질을 이용하여 제작한다.
본체부(520)은 금속재질로 제작되되, 일단에 결합부(521)가 구비되고, 본체부(520) 타단으로 편향되게 형성되되, 본체부(520)를 관통하는 관통홀(524)이 구비된다. 상기 결합부(521)는 일단에 이격되게 형성된 고정홈(522)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홈(522)는 헤드부(510)의 돌기(511a)의 길이에 대응되게 형성된다. 본체부(520)의 일단에는 돌기(511a)가 고정홈(522)에 진입할 수 있도록 돌기(511a)와 동일한 수의 가이드 홈(523)을 구비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헤드부(510)와 본체부(520)의 결합과정을 상세히 설명하면, 헤드부(510)에 형성된 돌기(511a)가 본체부(520)에 일단에 형성된 가이드 홈(523)에서 고정홈(522)으로 진입하고, 상기 고정홈(522)으로 진입한 돌기(511a)는 헤드부(510)를 회전시켜 고정홈(522) 내부에서 이동하여 본체부(520)의 일단에 에 의해 돌기(511a)가 고정되어 피스톤(500)이 완성된다.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제3실시예의 밀폐형 압축기 피스톤의 분리 사시도이다. 제3 실시예의 밀폐형 압축기의 피스톤(500)은 제2 실시예와 동일하나, 본체부(520)의 일단에 차단부(525)를 더 구비하여 고정,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헤드부(510)는 본체부(520)와 마주보는 일단에 결합부(511)를 구비하고, 상기 헤드부(510)의 일단에 복수 개의 돌기(511a)가 구비되며, 상기 돌기(511a)는 본체부(520)의 고정홈(521)에 삽입된다.
본체부(520)는 헤드부(510)와 마주보는 일단에 결합부(521)를 구비하고, 상기 결합부(521)는 본체부(520)의 일단에서 이격되게 형성된 고정홈(522)과, 상기 본체부(520) 일단에서 고정홈(522)까지 이어지는 가이드홈(523)으로 구성된다. 상기 가이드홈(523)의 일측에서 고정홈(522)까지 차단부(525)를 더 구비하여 헤드부(510)의 돌기(511a)가 회전하지 않고 고정되게 한다. 예를 들어, 차단부(525)는 가이드홈(523) 일측에서 연장되게 형성되되, 본체부(520)의 일단에 두 개의 가이드 홈(523)이 마주보게 형성되므로, 상기 가이드 홈(523)에서 연장되게 형성된 차단부(525)도 두 개가 마주보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 하다. 이 차단부(525)는 가이드 홈(523)과 이격되어 고정홈(522) 내에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헤드부(510)의 결합부(511)와 본체부(520)의 결합부(521)는 서로 마주보게 형성되고, 상기 헤드부(510)의 돌기(511a)가 본체부(520)의 가이드홈(523)을 따라 고정홈(522)으로 진입하고, 상기 가이드홈(523)의 타측방향으로 고정홈(522) 내부에서 회전하게되고, 상기 가이드홈(523)의 일측에 형성된 차단부(525)에 의해 돌기(511a)가 고정되도록 한다.
본체부(520)의 고정홈(522)의 또 다른 실시예로, 고정홈(522)의 폭이 가이드홈(523)을 기준으로 하여, 서로 상이하도록 형성되도록 한다. 즉, 고정홈(522)은 헤드부(510)의 돌기(511a)의 회전이 시작되는 부분의 폭은 넓고, 돌기(511a)가 회전 되면 점점 좁아지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돌기(511a)가 고정홈(522)에서 회전하면 고정홈(522)의 폭이 점점 좁아지므로 헤드부(510)의 돌기(511a)가 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제2, 3 실시예의 피스톤(500)은 헤드부(510)의 돌기(511a)는 복수 개로 형성되되, 제2, 3 실시예에서는 두 개가 형성되되, 180도 간격으로 형성된다. 상기 헤드부(510)의 돌기(511a)의 갯수와 간격이 달라진다 하더라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3실시예의 밀폐형 압축기 피스톤의 분리 사시도이다. 제3 실시예에 따른 피스톤(600)은 헤드부(610)와, 본체부(620)로 구성되되, 상기 헤드부(610)는 본체부(620)보다 비중이 작은 알루미늄 또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으로 제작된다.
헤드부(610)의 일단에는 볼륨 스페이서(613)를 구비하여 벨브 어셈블리(330: 도 3에 도시)의 토출공(331: 도 3에 도시)에서 형성되는 데드 볼륨을 저감 시키고, 타단에는 복수 개의 돌기(611)를 형성한다. 헤드부(610)의 타단에는 상기 돌기(611)와 이격되게 형성되되, 본체부(620)의 내경과 동일한 형태로 형성되는 압입부(612)가 형성되며, 상기 압입부(612)는 본체부(620)의 내경보다 조금 더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체부(620)의 일단에서 타단 방향으로 헤드부(610)의 돌기(611)에 대응하는 삽입홈(621)을 구비하고, 본체부(620)의 타단은 개방되게 형성되되, 타단방향으로 편향되게 피스톤 핀(320: 도 3에 도시)이 삽입되는 관통홀(622)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헤드부(610)의 돌기(611)와 압입홈(612)을 본체부(620)의 삽입홈(621)에 끼움하면 피스톤(600)이 완성된다.
제3실시예에 따른 헤드부(610)의 돌기(611)와 본체부(620)의 삽입홈(621)은 각각 네 개씩 원기둥 형태로 제작되었으나, 원기둥 형태의 돌기(611)와 삽입홈(621)은 실시예에 불과하며, 다면체 등 여러가지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돌기(611)와 삽입홈(621)의 갯수와 형태가 달라지더라도 청구항에 따라 본 발명에 범위에 속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3실시예의 밀폐형 압축기 피스톤의 분리 단면도이다. 피스톤(600)은 헤드부(610)와 본체부(620)로 형성된다.
헤드부(610)의 일단에는 볼륨 스페이서(613)가 형성되고, 타단으로는 복수 개의 돌기(611)를 구비한다. 제3 실시예의 돌기(611)는 원기둥으로 형성되되, 삼각기둥 등 다른 형태의 기둥으로 제작될 수 있다.
본체부(620)는 본체부(620)를 관통하는 관통홀(622)이 구비되고, 헤드부(610)와 맞닿는 본체부(620)의 일단에는 헤드부(610)의 돌기(611)와 대응하는 삽입홈(621)이 더 구비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헤드부(610)와 본체부(620)에 형성된 돌기(611)는 본체부(620)의 삽입홈(621)과 내경에 압입되여 헤드부(610)와 본체부(620)가 결합되도록 한다.
또한, 제3실시예에서도, 다른 실시예의 결합부(411, 421) 등이 함께 고려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술된 실시예들 중에서 복수의 실시예가 헤드부와 본체부 간의 결합을 위해 동시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밀폐형 압축기는 헤드부와 본체부로 형성되되, 헤드부는 본체부보다 비중이 적은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또는 알루미늄으로 제작되었다. 상기 헤부드의 비중이 줄어들어 전체적인 피스톤의 비중이 감소되어 밀폐형 압축기 가동시 발생되는 진동/소음 등을 줄일 수 있으며, 종래의 피스톤은 금속재질로, 피스톤의 일단의 절곡부분 제작시 어려움이 있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본체부를 금속 재질로, 헤드부는 비중이 가벼운 재질로 제작하므로 제작이 용이할 뿐 아니라, 피스톤을 비중이 가벼운 재질로만 제작할 경우 생길 수 있는 마모 현상을 줄일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실시예 및 첨부도면에 기초하여 예로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상의 실시 예들 및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에 의해서만 제한될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밀폐형 압축기의 측단면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밀폐형 압축기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의 밀폐형 압축기의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의 밀폐형 압축기 피스톤의 분리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의 밀폐형 압축기 피스톤의 사시도.
도 6a는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의 밀폐형 압축기 피스톤의 분리 사시도.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제3실시예의 밀폐형 압축기 피스톤의 분리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4실시예의 밀폐형 압축기 피스톤의 분리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4실시예의 밀폐형 압축기 피스톤의 분리 단면도.

Claims (8)

  1.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와,
    구동부의 회전력을 직선력으로 변환시키는 커넥팅 로드;와,
    냉매가 압축되는 압축공간과, 압축공간 내에 구비되어, 커넥팅 로드에 의해 직선 왕복 운동하고, 헤드부와 본체부로 구성되되, 헤드부의 비중이 본체부보다 낮은 피스톤을 구비하며,
    헤드부는 본체부를 향하는 일단에 돌기가 형성되고, 본체부는 헤드부를 향하는 일단에 헤드부의 돌기에 대응하는 복수 개의 삽입홈을 구비하여, 돌기가 삽입홈이 삽입,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압축기.
  2. 제1항에 있어서,
    피스톤의 헤드부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또는 알루미늄으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압축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피스톤의 헤드부의 일단에 볼륨 스페이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압축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본체부와 헤드부가 마주보는 각각의 일단에 절곡된 형태의 결합부;가 구비되고, 상기 본체부의 결합부는 헤드부의 결합부에 억지끼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압축기.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본체부와 헤드부가 마주보는 각각의 일단에 절곡된 형태의 결합부;가 구비되고, 본체부의 결합부는 본체부의 일단에서 이격되게 고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부의 일단에서 고정홈까지 이어진 복수 개의 가이드홈이 더 구비되고, 헤드부의 결합부는 복수 개의 돌기를 구비하여, 상기 돌기들이 가이드홈을 통과하여 고정홈 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압축기.
  6. 제5항에 있어서,
    헤드부는 본체부를 향하는 일단에 편향되게 형성되되, 본체부의 일단과 가이드 홈의 간격에 대응하는 단차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압축기.
  7. 제5항에 있어서,
    본체부 일단의 가이드 홈에 연결되거나 일정 간격 이격되어 고정홈을 막는 차단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압축기.
  8. 삭제
KR1020080105645A 2008-10-28 2008-10-28 밀폐형 압축기 KR1014525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5645A KR101452508B1 (ko) 2008-10-28 2008-10-28 밀폐형 압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5645A KR101452508B1 (ko) 2008-10-28 2008-10-28 밀폐형 압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6688A KR20100046688A (ko) 2010-05-07
KR101452508B1 true KR101452508B1 (ko) 2014-10-21

Family

ID=422739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5645A KR101452508B1 (ko) 2008-10-28 2008-10-28 밀폐형 압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250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31315A (ja) * 1991-06-06 1993-09-07 White Consolidated Ind Inc 気密冷蔵コンプレッサ
JP2001099056A (ja) * 1999-09-29 2001-04-10 Toyota Autom Loom Works Ltd 斜板式圧縮機用ピストン
JP2008175163A (ja) * 2007-01-19 2008-07-31 Toyota Motor Corp 内燃機関用のピストンおよ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31315A (ja) * 1991-06-06 1993-09-07 White Consolidated Ind Inc 気密冷蔵コンプレッサ
JP2001099056A (ja) * 1999-09-29 2001-04-10 Toyota Autom Loom Works Ltd 斜板式圧縮機用ピストン
JP2008175163A (ja) * 2007-01-19 2008-07-31 Toyota Motor Corp 内燃機関用のピストンおよ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6688A (ko) 2010-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228551C (zh) 用于减少涡旋式压缩机的噪声和振动的结构
JP4750551B2 (ja) 2気筒回転式密閉型圧縮機の製造方法
US8297957B2 (en) Compressor
US20080247890A1 (en) Recriprocating Compressor
US8171841B2 (en) Detachable connecting rod and compressor having the same
US20080080993A1 (en) Hermetic compressor
JP2005188492A (ja) 水平対向型圧縮機
KR101452508B1 (ko) 밀폐형 압축기
US20070148018A1 (en) Reciprocating compressor
KR102257658B1 (ko) 압축기
US10865784B2 (en) Linear compressor
KR100597299B1 (ko) 왕복동식 압축기의 오일공급장치
KR100550764B1 (ko) 왕복동식 압축기의 오일공급밸브 어셈블리
KR102257470B1 (ko) 리니어 압축기
KR102268253B1 (ko) 압축기
KR102229541B1 (ko) 압축기
KR101366563B1 (ko) 왕복동형 압축기
KR102238359B1 (ko) 리니어 압축기
KR100527580B1 (ko) 왕복동식 압축기의 완충장치
KR100972174B1 (ko) 밀폐형 왕복동 압축기
KR20060041041A (ko) 왕복동식 압축기의 토출밸브 결합체
JP4810885B2 (ja) 密閉型圧縮機
KR20030042815A (ko) 왕복동식 압축기의 피스톤 지지장치
KR101452514B1 (ko) 밀폐형 압축기
KR20090103578A (ko) 왕복동식 압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