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10302B1 - 쉬트급송장치 및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쉬트급송장치 및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10302B1
KR960010302B1 KR1019910013818A KR910013818A KR960010302B1 KR 960010302 B1 KR960010302 B1 KR 960010302B1 KR 1019910013818 A KR1019910013818 A KR 1019910013818A KR 910013818 A KR910013818 A KR 910013818A KR 960010302 B1 KR960010302 B1 KR 9600103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feeding
recording
sheet feeding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138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04174A (ko
Inventor
데쓰히로 닛다
다께히꼬 기요하라
야스히로 우노사와
시게루 요시히라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야마지 게이조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1251590A external-priority patent/JP2902075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212519A external-priority patent/JPH0494342A/ja
Priority claimed from JP2212514A external-priority patent/JP2700353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212520A external-priority patent/JP2750633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212516A external-priority patent/JP2687040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212517A external-priority patent/JPH0494331A/ja
Priority claimed from JP2212518A external-priority patent/JPH0494333A/ja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야마지 게이조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9200041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41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103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030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3/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00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 B65H5/06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by rollers or balls, e.g. between rollers
    • B65H5/068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by rollers or balls, e.g. between rollers between one or more rollers or balls and stationary pressing, supporting or guid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00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 B65H3/02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using friction forces between articles and separator
    • B65H3/06Rollers or like rotary separators
    • B65H3/0661Rollers or like rotary separators for separating inclined-stacked articles with separator rollers above the sta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 Delivering By Means Of Belts And Roller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쉬트급송장치 및 화상형성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1실시예에 의한 자동급지장치를 기록장치에 장착한 자동지급시의 상태를 도시한 모식적 종단면도,
제2도는 제1도의 수동급지시의 상태를 도시한 모식적 종단면도,
제3도는 제1도의 수납시의 상태를 도시한 모식적 종단면도,
제4도는 제1도 중의 기록장치의 가로놓기에서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모식적 사시도,
제5도는 제4도의 기록장치의 내부의 개략구조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일부파단 도시도,
제6도는 제4도의 기록장치의 밑면을 도시한 모식적 밑면도,
제7도는 제1도 중의 자동급지장치를 장착면 쪽에서 본 모식적 사시도,
제8도는 제1도의 기록장치와 자동급지장치와의 훅 결합부의 잠금상태를 도시한 주요부 단면도,
제9도는 제8도에 있어서 잠금해제상태를 도시한 주요부 단면도,
제10도는 제1도의 기록장치와 자동급지장치와의 위치결정 걸림맞춤부를 도시한 주요부 단면도,
제11도는 제10도중의 선 ⅩⅠ-ⅩⅠ에 따른 부분단면도,
제12도는 제1도중의 자동급지장치의 자동급지상태의 모식적 종단면도,
제13도는 제12도의 자동급지장치의 수동급지상태의 모식적 종단면도,
제14도는 제12도의 자동급지장치의 급지카세트부의 일부삭제 정면도,
제15도는 제12도의 자동급지장치의 급지카세트부의 정면도,
제16도는 제12도의 자동급지장치의 급지구동부와 급지카세트부와의 사이의 동작기구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일부삭제 사시도,
제17도는 제12도의 자동급지장치의 급지로울러의 구동기구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일부삭제 사시도,
제18도는 제14도중의 선 ⅩⅧ-ⅩⅧ에 따라 슬라이더의 가이드로울러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종단면도,
제19도는 제17도중의 1방향클러치의 구조를 도시한 종단면도,
제20도는 제19도중의 제어링 및 제어레버를 도시한 정면도,
제21도는 제20도중의 선 ⅩⅩⅠ-ⅩⅩⅠ에서 본 측면도,
제22도는 제20도중의 선 ⅩⅩⅡ-ⅩⅩⅡ에서 본 제어링 측면도,
제23도는 제20도중의 선 ⅩⅩⅢ-ⅩⅩⅢ에서 본 제어링 측면도,
제24도는 급송로울러축의 래칫기구를 도시한 부분측면도,
제25도는 제24도중의 선 ⅩⅩⅤ-ⅩⅩⅤ에 따른 부분단면도,
제26도는 제17도중의 미끄럼 접촉로울러축에 의한 기록쉬트 안내상태를 도시한 부분측면도,
제27도는 제26도의 미끄럼 접촉로울러의 단면도,
제28도는 급지구동부와 급지카세트부와의 사이에 댐퍼기구를 배열설치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제29도는 제28도중의 댐퍼기구의 금지카세트부측의 구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제30도는 제28도중의 댐퍼기구를 도시한 모식적 부분사시도,
제31A도 내지 제31C도는 제28도중의 댐퍼기구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측면도,
제32도는 제17도중의 기어열 및 그 기어열을 축지지하기 위한 축받이판을 도시한 측면도,
제33도는 제32도중의 선 ⅩⅩⅤ-ⅩⅩⅤ에 따른 단면도,
제34도는 제32도중의 선 ⅩⅩⅥ-ⅩⅩⅥ에 따른 단면도,
제35도는 제32도중의 선 ⅩⅩⅦ-ⅩⅩⅦ에 따른 단면도,
제36도는 제32도중의 선 ⅩⅩⅧ-ⅩⅩⅧ에 따른 단면도,
제37도는 제32도중의 선 ⅩⅩⅨ-ⅩⅩⅨ에 따른 단면도,
제38도는 제32도중의 선 ⅩⅩⅩ-ⅩⅩⅩ에 따른 단면도,
제39도는 제32도중의 선 ⅩⅩⅠ-ⅩⅩⅠ에 따른 단면도,
제40도는 제12도의 자동급지장치의 종이경로면을 도시한 부분사시도,
제41도는 제12도중의 압판 및 분리포올을 도시한 부분평면도,
제42A도 및 제42B도는 제41도중 선 ⅩⅩ-ⅩⅩ에 따라 급지대기시 및 압판 상하시의 상태를 도시한 부분 종단면도,
제43A도 및 제43F도는 제41도의 구조에 의하여 기록쉬트를 분리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기록장치14 : 운송로울러
30 : 자동급지장치41 : 급송로울러
42 : 미끄럼 접촉로울러(회전운송수단)
본 발명은 기록장치의 기록부에 기록쉬트를 자동적으로 1장씩 공급이송시키는 쉬트급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프린터, 복사기, 팩시밀리 등의 기록장치는 전송되어오는 화상정보에 의거하여, 기록헤드의 에너지 발생체를 구동함으로써, 종이나 플라스틱박판 등의 기록쉬트상에 도트패턴으로 이루어지는 화상을 기록해 가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기록장치는 기록방식에 의하여 잉크제트식, 와이어도트식, 써어멀식, 레이저빔식 등으로 나눌 수 있다.
또, 기록장치에서 사용되는 기록쉬트에서 보통종이외에 엽서나 봉투 등의 두꺼운 종이나 플라스틱박판 등의 특수쉬트 등이 있다.
기록쉬트의 공급은 1장씩 손으로 삽입하는 외에 자동급지장치에 의하여 자동적·연소적으로 송입하는 것이 행하여지고 있다.
상기 자동급지장치는 일반적으로 급송로울러를 회전시켜서 기록쉬트를 송출하는 급지구동부와 기록쉬트가 장전되는 급지카세트를 갖추고 있으며, 기록장치의 기록쉬트 운송계의 구동력을 이용하여 상기 급송로울러를 구동함으로써, 기록쉬트를 1장씩 분리급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자동급지장치에는 기록장치내에 조립해 넣는 내장형외에, 붙이고 떼기가 자유롭게 장착되는 외장형의 것이 있고, 본 발명은 어느 형식의 자동급지장치에 있어서도 적용가능한 것이다.
또한, 이러한 종류의 자동급지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급지카세트부로부터 송출되는 기록쉬트를 기록부에 안내하기 위한 종이경로면이 설치되어 있다.
이 종이경로면은 수동급지면은 겸하는 경우가 있고, 또 그 종이경로면의 각도는 장치의 콤팩트화 등 때문에, 통상, 상기 급지카세트부로부터 송출되는 기록쉬트의 진입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고 있다. 이 경사각도는 장치의 콤팩트화 등 때문에, 상당히 크게되는(예컨대, 약 60도) 경우가 있다.
이러한 구성의 것에서는 자동급지의 경로와 손으로 하는 급지의 경로와의 합류부에 쉬트를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를 설치하면, 자동급지된 쉬트가 이 부분에서 가이드를 따라 굽혀져서 보내어지므로, 가이드와 쉬트와의 마찰이 커져서, 쉬트의 백텐션(back tension; 쉬트의 이송방향에 대한 저항)이 커져 버린다. 그 때문에, 쉬트의 운송이 불안정하게 되어 버려, 기록 처리부에서의 화상의 어긋남이 생겨 품질을 저하시켜 버리는 염려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자동급지시의 쉬트의 백텐션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킴으로써 기록시의 쉬트운송을 안정화시켜, 화상어긋남이 없는 고품위의 화상기록을 가능하게 하는 쉬트급송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쉬트를 지지하는 쉬트수용수단과, 그 쉬트수용수단으로부터 쉬트를 송출하기 위한 급송수단과, 그 급송수단으로부터 송출된 쉬트를 맞닿게 하여 방향을 바꾸게 하여 그 쉬트를 소정방향으로 안내하는 경로면을 갖춘 쉬트급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급송수단으로부터 송출된 쉬트에 있어서의 상기 경로면에 대향하는 면과는 반대쪽의 면에 미끄럼접촉하여 운송력을 가하기 위한 회전운송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 구성에 의하면, 가이드의 대신에 회전운송수단이 자동급지된 쉬트에 미끄럼접촉하여 급송력을 가하므로, 쉬트의 백텐션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 회전급송수단은 쉬트에 미끄럼접촉하여 급송력을 가하는 것이므로, 전체 또는 쉬크에 미끄럼접촉하는 부분을 마찰계수가 큰 재료로 형성함으로써 보다 큰 급송력을 쉬트에 가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 목적으로서는 자동급지와 수동급지의 어느것도 사용가능하게 하는데 있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쉬트를 지지하는 쉬트수용수단과 그 쉬트수용수단으로부터 쉬트를 송출하기 위한 급송수단과, 그 급송수단으로부터 송출된 쉬트를 맞닿게 하여 방향을 바꾸게 하여 그 쉬트를 소정방향으로 안내하는 경로면과 그 패스면을 따라 쉬트를 손으로 삽입하기 위한 손으로 하는 급송수단을 갖춘 쉬트급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급송수단으로부터 송출된 쉬트에 있어서의 상기 경로면에 대향하는 면과는 반대측의 면에 미끄럼접촉하여 운송력을 가하기 위한 회전운송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 구성에 의하면, 자동급지된 쉬트는 회전운송수단에 의하여 백텐션을 감소시켜 급송되고, 손으로 끼워 넣는 쉬트는 경로면과 회전운송수단 사이에서 안내되어 보내어진다. 즉, 회전운송수단은 쉬트수용수단으로부터 송출된 쉬트에 대해서는 운송력을 가하여 상기 손으로 하는 급송수단에 의하여 삽입된 쉬트에 대해서는 가이드가 되는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4도는 본 발명을 실시하기에 적합하고, 또 본 발명에 의한 자동급지장치를 장착하기에 적합한 가로놓기형의 기록장치(기록장치본체)(10)의 사용시의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제5도는 제4도의 기록장치의 내부의 개략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제4도 및 제5도에 있어서, 기록장치(예컨대, 열에너지 의하여 잉크를 토출시켜 기록을 행하는 잉크제트 기록장치)(10)의 윗면에는 기록쉬트 삽입구(11) 및 기록쉬트 배출구(12)가 형성되고, 삽입구(11)로부터 삽입되는 기록쉬트(13)는 운송로울러(이송로울러)를 겸하는 플래튼로울러(14)의 둘레면에 밀착되고, 대략 U자형으로 형성되는 기록쉬트 운송로를 따라 운송되며, 기록헤드(15)에 대면하는 기록부를 통과하는 동안에 기록되고, 기록후 배출구(12)로부터 윗쪽으로 배출된다.
여기서, 급지트레이(16)는 기록장치(10)의 윗면에 개폐가능하게 피벗부착되어 있고, 사용시(기록시)에는 열어서 급지트레이로서 가능하나, 비사용시(수납보관시등)에는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닫은 위치에 세트되고, 기록쉬트 삽입구(11), 기록쉬트 배출구(12), 스위치류(17), 표시기(18) 등이 배열된 기록장치(10)의 윗면을 덮어 보호하는 커버(16)로서 기능하는 것이다.
제5도에 있어서, 기록헤드(15)는 운송로울러(플래튼로울러)(14)와 평행인 가이드축(21,21)에 따라 왕복이동하는 캐리지(22)상에 탑재되어 있다.
그리고, 도시한 기록헤드(15)는 잉크제트 기록헤드의 경우를 예시하고, 잉크 탱크와 일체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잉크제트 기록헤드(15)는 열에너지를 이용하여 잉크를 토출하는 기록헤드로서, 열에너지를 발생하기 위한 전기열 변환체를 갖춘 것이다.
또, 상기 기록헤드(15)는 상기 전기열 변환체에 의하여 인가되는 열에너지에 의하여 생기는 막비등에 의한 기포의 성장·수축에 의하여 생기는 압력변화는 이용하여 토출구로부터 잉크를 토출시켜 기록을 행하는 것이다.
기록헤드(15)의 운송방향 상류쪽에는 기록쉬트(13)를 운송로울러(14)에 압접하기 위한 누름판(23)이 배치되어 있다. 이 누름판(33)은 판스프링(24)에 의하여 운송로울러(14)의 둘레면에 압접되어 있다. 또, 상기 누름판(23)의 압접력은 반송로울러(14)의 축을 이용하여 축지지된 레버(25)를 조작함으로써 해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출구(12)의 위치에는 기록쉬트(13)의 배출을 보조하기 위한 박차(26) 및 로울러(27)가 배열되어 있다.
제6도는 기록장치(본체)(10)의 밑면(후술하는 세운자세에서는 자동급지장치가 장착되는 배면이 된다)을 도시한 도면이다.
기록장치(10)의 밑면에는 제2의 기록쉬트 삽입구(28)가 형성되고, 이 삽입구(28)로부터 기록헤드(15)와 운송로울러(14)와의 사이의 기록부를 지나 상기 기록쉬트 배출구(12)에 이르는 대략 직선형상의 제2의 기록쉬트 반송로가 대략 상하방향(제1도의 세운상태에서는 대략 수평방향)으로 뻗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제2의 기록쉬트운송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기록장치(10)를 세웠을때(제1도 및 제2도)에 사용 가능한 것이고, 만곡되어 있지 않으므로 엽서나 봉투 등의 두꺼운 쉬트, 혹은 플라스틱쉬트 등의 특수 쉬트와 같이 빳빳한 기록쉬트라도 용이하게 쉬트이송을 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상기의 기록장치(10)는 세운자세에서도 사용할 수 있는 것이고, 세운자세에서는 자동급지장치를 붙이고 떼기가 자유롭게 장착할 수 있고, 배면(세웠을때)의 기록쉬트 삽입구(28)로부터는 자동급지 및 수동급지를 행할 수 있다.
제1도∼제3도는 세운상태의 기록장치(10)의 배면에 자동급지장치(30)를 장착한 상태의 종단면도이고, 제1도는 자동급지장치를 사용하는 상태를, 제2도는 수동급지를 행하는 상태를, 제3도는 수납상태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
제1도∼제3도에 있어서, 기록장치(10)를 세운상태로 하면, 기록부(기록헤드(15)와 운송로울러(14)와의 사이)를 지나 대략 직선형상의 기록쉬트 운송로 즉 제2의 기록쉬트 삽입구(28)로부터 기록쉬트 배출구(12)에 이르는 운송로가 형성된다. 그래서, 자동급지장치(30)는 입구(쉬트삽입구)(26)로부터 이 직선형상의 운송로에 기록쉬트(13)를 송입하도록 위치결정되고, 기록장치(10)의 배면(입구(18)의 개방면)에 붙이고 떼기가 자유롭게 부착되어 있다.
또, 자동급지장치(30)에는 상기 대략 직선형상의 기록쉬트 운송로에 연속가능한 기록쉬트 안내용의 종이경로면(31)이 설치되어 있다.
또, 상기 종이경로면(31)의 바로앞(제1도∼제3도중의 왼쪽)에는 수동급지시에 사용되는 급지대(43)가 축(44)을 중심으로 개폐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상기 수동급지대(43)는 자동급지시(제1도) 및 수납시(제3도)에는 아래쪽으로 접어 수납되고, 손수동급지시(제2도)에는, 수평위치로 돌출되며, 상기 종이경로면(31)과 접촉가능한 기록쉬트 안내면을 형성하는 것이다.
자동급지장치(30)는 기록장치(10)에 고정상태로 결합되는 급지구동부(40)와, 그 급지구동부(40)에 대하여 대략 수직위치(폐쇄위치)와 경사위치(개방위치)와의 사이에서 회전가능하게 부착된 급지카세트부(50)로 구성되어 있다.
제7도는 제1도의 자동급지시의 자동급지장치(30)를 기록장치(10)에의 결합면쪽에서 본 사시도이다.
상기 급지카세트부(50)에는 기록쉬트(13)가 장전되고, 상기 급지구동부(40)는 이 기록쉬트(13)를 1장씩 송출하여 기록장치(10)에 급지한다.
제1도∼제3도 및 제7도에 있어서, 급지카세트부(50)는 급지구동부(40)의 상반부에 대면하는 위치에 지지점(51)을 중심으로 회전(개폐)가능하게 피벗부착되어 있다.
급지구동부(40)의 급지카세트부(50)에 대면하는 위치(상반부)에는 급송로울러(41) 및 미끄럼 접촉로울러(42)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급송로울러(41)는 동축상에 복수개 설치되고, 장전된 기록쉬트(13)에 급속력을 주어 후술하는 분리포올(75,76)과 협동하여 기록쉬트(13)를 1장씩 분리하여 기록장치(10)내에 송입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이 급송로울러(41)는 기록장치(10)의 운송로울러(14)의 구동력을 이용하여 구동된다.
상기 미끄럼 접촉로울러(42)는 상기 급송로울러(41)의 축과 평행한 축상에 복수개 설치되어 있고, 그 급송로울러(41)에 의하여 송출되는 기록쉬트(13)를 기록장치(10)에 안내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이 미끄럼 접촉로울러(42)는 기록장치(10)의 운송로울러(14)의 구동력을 이용하여, 연동구동된다. 급지카세트부(50)에는 접을 수 있는 급지트레이(52)가 장착되어 있고, 사용시에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출되어 트레이를 형성하며, 수납시에는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세트부(50)내에 접을 수 있다.
급지구동부(40)의 케이스 본체의 하부(45)는 기록장치(10)를 세워서 자동급지장치(30)를 장착한 경우의 밑면을 형성하고, 기록장치(10)의 후면(제1도중의 하면)과 함께 장치 전체를 안정되게 세우기 위한 지지면으로 되어 있다.
세운상태에서 자동급지장치(30)가 장착된 기록장치(10)는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커버(배지트레이)(16)을 접고, 다시 급지카세트부(50)를 수직상태로 함과 동시에, 급지트레이(52)를 닫음으로써 수납상태가 된다. 이 수납상태에서는 저면이 편평한 대략 평행육면체인 외형이 되고, 돌출부분이 없는 콤팩트한 직립자세로 축소된다.
급지카세트부(50)내에 기록쉬트(13)를 장전하여 기록가능한 상태로 한 후, 자동급지로 기록하는 경우에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급지카세트부(50)를 열어(경사시켜) 기록동작을 개시시킨다.
한편, 손으로 하는 급지에서 기록하는 경우에는,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급지카세트부(50)는 수직(닫힌)상태인 채로 상기 손으로 하는 급지대(43)를 일으켜 세워 보조안내면을 형성하고, 기록쉬트(13)를 그 손으로 하는 급지대로부터 상기 경로면(31)을 통하여 기록장치내에 공급한다.
그리고, 도시한 예에서는 상기 미끄럼 접촉로울러(42)와 상기 종이경로면(31)과의 사이에, 자동급지 및 수동급지시에 기록쉬트(13)가 통과하는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자동급지장치(30)의 접합면(장착면)에는 기록쉬트(13)의 출구(49)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기록장치(10)의 기록쉬트 운송로의 출구(배출구)(12)쪽에는 상기 커버(16)를 열어서 구성되는 배지트레이가 설치되어 있다. 이 배지트레이(16)는 도시한 바와 같이, 기록쉬트 배출구(12)보다 소정높이(h)만큼 낮은 위치에서 대략 수평방향으로 뻗도록 부착되어 있다.
다음에, 기록장치(10)과 자동급지장치(30)의 결합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8도는 기록장치(10)와 자동급지장치(30)와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수평단면도이고, 제9도는 제8도의 상태에서 잠금부재를 해제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먼저, 기록장치(10)내에 프레임부재(35)에는 운송로울러(플래튼로울러)(14)와 동기회전하는 구동기어(33)가 축지지되어 있고, 한편, 자동급지장치(30)의 장착면 쪽에는 제7도∼제9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구동기어(33)와 맞물리는 피동기어(트랜스퍼기어)(48)가 축지지되어 있고, 이들의 기어(33,38)를 통하여 기록장치(10)의 운송로울러(14)의 구동력이 자동급지장치 쪽으로 전달된다. 상기 운송로울러(14) 및 운송모우터(34) 등은 상기 프레임부재(35)에 형성된 베어링부에 의하여 축지지되어 있고, 또 그 프레임부재(35)는 기록장치(10)의 케이스부분에 결합되어 있다.
자동급지장치(30)의 좌우 2곳에는 레버(36) 및 선단훅(37)을 가진 훅부재(38)가 대략 대칭관계로, 요동가능하고 전후방향으로 소정량 이동가능하게 부착되어 있고, 각 훅부재(38)는 인장스프링(39)에 의하여 안쪽으로 힘이 가해져 있다. 각 훅부재(38)의 훅(37)은 자동급지장치(30)의 장착면으로부터 소정량 돌출하고 있다.
한편, 기록장치(10)의 상기 프레임부재(35)의 상기 각 훅(37)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각 훅(37)이 진입하기 위한 개방구멍(53)이 형성되고, 각 훅(37)은 대응하는 개방구멍(53)의 둘레 가장자리부에 걸어둘 수 있다.
제8도 및 제9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개방구멍(53)의 둘레 가장자리부에는 상기 훅(37)이 용이하고 확실하게 걸릴 수 있는 비이드형상의 가장자리부분이 형성되어 있다.
제3도의 훅(37)을 걸어둔 상태에서는 인장스프링(39)이 신장(예컨대, 1∼2mm)되어, 그 스프링력에 의하여 자동급지장치(30)는 기록장치(10)에 당겨져서 압접상태가 된다.
각 훅부재(38)는 그 레버(36)를 잡고 회전시킴으로써, 제8도의 잠금상태에서 제9도의 해방상태로 잠금이 해제되어, 자동급지장치(30)를 기록장치(10)로부터 이탈시킬 수 있다.
상기 좌우의 훅부재(38)로부터 소정간격 만큼 윗쪽의 좌우 위치에는 기록장치(10)에 대하여 자동급지장치(30)를 위치결정 상태에서 맞닿게 하기 위한 걸어맞춤부가 설치되어 있다. 제10도는 이 걸어맞춤부의 수평방향 단면도이고, 제11도는 제10도중의 선 ⅩⅠ-ⅩⅠ에 따른 부분단면도이다.
제7도, 제10도 및 제11도에 있어서, 상기 피동기어(48)에 가까운 쪽(제10도중의 오른쪽)의 걸어맞춤부는 자동급지장치(30)쪽에 형성된 맞닿음용의 돌기(54)와 기록장치(10)의 프레임부재(35)에 형성된 오목부(55)로 구성되며, 상기 돌기(54)와 상기 오목부(55)를 맞닿게 하여 끼워맞춤으로써 기록장치(10)에 대한 자동급지장치(30)의 간격 및 상하방향의 위치결정을 행하도록 되어 있다. 즉, 상기 돌기(54)와 상기 오목부(55)와의 걸어맞춤부에서 좌우방향으로만 약간의 여유가 마련되어 있다.
한편, 상기 피동기어(48)와 반대쪽(제10도중의 왼쪽)의 걸어맞춤부는 자동급지장치(30) 쪽에 형성된 돌기(56)와 기록장치(10)의 프레임부재(35)에 형성된 오목구멍(57)으로 구성되고, 이들 돌기(56) 및 오목구멍(57)을 맞닿게 하여 끼워맞춤으로써 기록장치(10)에 대한 자동급지장치(30)의 간격 및 상하좌우 방향의 위치결정을 행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도시한 예에서는, 상기 좌우의 맞닿음 및 위치결정을 위한 걸어맞춤부를 상기 좌우의 훅부재(38)(제8도 및 제9도)의 윗쪽에 배열하였으나, 이들은 경우에 따라서는 아랫쪽에 배열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의 구성에 의하여 세워진 상태에서 기록부를 지나 대략 직선으로 형성되는 기록쉬트 운송로를 가지며, 또한 운송수단(14)의 구동력에 의하여 구동가능한 자동급지장치(30)가 장착되는 기록장치(10)에 있어서, 자동급지장치(30)의 장착면의 좌우 2곳에 부착된 스프링가압식의 가동훅(37)을 상기 기록장치 본체의 프레임부재(35)의 좌우 2곳에 설치된 걸림부에 걸어맞출 수 있게 하고, 상기 가동훅(37)의 윗쪽(또는 아랫쪽)의 좌우 2곳에 위치결정 및 맞닿음용의 끼워맞춤부(54,55,56,57)를 설치하는 구성으로 한 기록장치가 제공되고 있다.
이러한 구성의 기록장치에 의하면, 기록장치(10)에 자동급지장치(30)를 장착함에 있어서, 구동력 전달용의 기어(33,48)의 축간거리를 정확히 낼 수 있고, 사용시의 진동이나 외력에 의해서도 축간거리에 변동이 생기지 않고 급송로울러(41)를 정확히 구동할 수 있어서, 안정된 급지동작을 얻을 수 있는 기록장치를 실현시킬 수 있었다.
또한, 도시한 예에서는, 제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동급지장치(30)의 장착면에 보조맞닿음용의 돌기(58,59)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돌기(58,59)는 조립상태에서 기록장치(10)의 장착면과 약간의 간극(예컨대, 약 0.3mm 정도)로 대변하도록 형성되고, 장착된 자동급지장치(30)에 덜그럭거림을 방지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제12도는 자동급지장치(30)의 자동급지상태의 종단면도이고, 제13도는 자동급지장치(30)의 수동급지상태(또는 기록쉬트 장전가능한 상태)의 종단면도이다.
제12도 및 제13도에 있어서, 급지카세트부(50)에는 압판스프링(567)으로 급송로울러(41)를 향하여 스프링 가압되는 압판(68)이 장착되어 있다. 또, 급지카세트부(50)에는 기록쉬트(13)의 폭에 맞추어 간격은 조절할 수 있는 1쌍의 슬라이더(71,72)(제14도에 도시함)가 안내지지되어 있다.
제14도는 상기 압판(68)을 벗겨서 슬라이더(71,72)를 도시한 급지카세트부(50)의 일부파단 정면도이고, 제15도는 슬라이더(71,72)와 함께 압판(68)을 도시한 급지카세트부(50)의 일부파단 정면도이다.
제12도∼제15도에 있어서, 좌우의 슬라이더(71,72)에는 장전된 기록쉬트(13)의 양쪽 가장자리에 맞닿는 사이드가이드(73,74) 및 장전된 기록쉬트(13)의 앞끝 양 모서리부분에 걸어맞출 수 있는 분리포올(75,76)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분리포올(75,76)은 슬라이더(71,72)의 본체에 고정된 분리포올부재(77,78)의 전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이 분리포올부재(77,78)는 일반적으로 강판 등의 금속판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슬라이더(71,72)는 도시한 예에서는 한쪽이 종이폭에 맞추어 크게 좌우 이동이 가능하고, 다른쪽이 작은 범위에서 좌우이동이 가능하게 급지카세트부(50)의 케이스에 장착되어 있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어느 한쪽을 종이폭에 맞추어 이동가능하게 장착할 수도 있다.
제1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전된 기록쉬트(13)는 상기 압판(68)과 상기 분리포올(75,76)의 사이에서 유지되고, 자동급지시에는 D형(또는 반월형)의 급송로울러(41)가 회전하여 기록쉬트(13)에 접촉하여 급지력이 주어진다.
상기 급송로울러(41)가 1회전하는 동안에 최상층의 1장이 분리되고, 미끄럼 접촉로울러(42)를 지나 기록장치(10)내의 머리가 나오는 위치까지 급지된다. 상기 미끄럼 접촉로울러(42)는 상기 종이경로면(31)의 가까이에 상기 급송로울러(41)와 평행으로 배치되어 있고, 상기 기록장치(10)의 운송로울러(14)에 연동하여 그 운송로울러보다 약간(예컨대, 8%) 빠른 원주속도로 회전구동된다.
한편, 상기 급송로울러(41)도 운송로울러(14)의 구동력을 이용하여 구동되나, 이 급송로울러의 쪽은 정전시에 ON·OFF 제어되고, 또한 역전시에 차단(OFF)되는 1방향 클러치형의 스프링클러치(98)(제17도)를 통하여 구동되므로, 기록쉬트(13)의 머리가 나올때까지, 소정의 타이밍에서만 정전방향으로 구동된다.
제16도는 급지카세트부(50)를 급지구동부(40)에 대하여 수직의 폐쇄위치 및 경사진 개방위치(자동급지위치) 사이에서 회전시킬 때에 작동하는 각종의 걸어맞춤부재를 도시한 기구도이다.
먼저, 제12도 및 제16도에 있어서, 급지구동부(40)의 케이스의 양쪽에는 급지카세트부(50)의 하부에 부딪쳐서 그 카세트부를 경사위치(자동급지위치)에 유지하는 스토퍼(79,79)가 설치되어 있다.
또, 양쪽의 상기 슬라이더(71,72)에는 자동급지 위치에서 기록쉬트(13)의 삽입(장전)을 저지하기 위한 쉬트진입방지수단(쉬트진입방지레버)(81)가 설치되어 있다. 이 레버(81)는 슬라이더(71,72)에 핀(82)에 의하여 회동이 자유롭게 축지지되어 있고, 제12도에 자동급지 위치에서는 자중에 의하여 회전하고, 그 상단이 삽입구(83)의 근방에서 기록쉬트(13)의 윗면에 접촉하고 있다.
이 때문에, 새로이 기록쉬트(13)를 삽입하려고 하여도 그 선단이 쉬트진입방지레버(31)에 방해되어 카세트내에 삽입할 수 없다.
한편, 급지카세트부(50)를 수직위치로 회전시키면, 제1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쉬트진입방지레버(81)의 하단이 급지구동부(40) 쪽의 케이스단면에 부딪쳐서 그 레버(81)가 핀(82)을 중심으로 소정량만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그 상단이 들어올려져서 삽입구(83)가 개방되며, 따라서 기록쉬트(13)를 카세트내부에 삽입할 수 있다.
또, 제13도 및 제16도에 있어서, 급지구동부(40)의 케이스의 양쪽에는 카세트부(50) 쪽으로 돌출한 압판밀기부재(84)가 설치되어 있고, 급지카세트부(50)가 수직(닫힘) 위치에 있을때, 압판(68)의 양쪽에 형성된 귀형상 돌출부(85)(제15도)에 부딪쳐서 압판(68)이 밀려내려진다. 이 때문에, 제1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급송로울러(41)와 압판(66)과의 간격이 넓혀지고, 기록쉬트(13)의 삽입공간(86)이 형성되며, 기록쉬트(13)를 새로이 장전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는 상기 좌우의 슬라이더(71,72)에 설치된 고정형의 분리포올(75,76)은 제1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급송로울러(41)와 동등이거나 또는 약간 오우버랩하는 고정위치에 머무는 채이고, 또, 급송로울러(41)의 입구쪽에는 그 급송로울러(41)보다 약간 돌출하는 높이의 가이드 돌기(87)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삽입되는 기록쉬트(13)는 분리포올(75,76)과 압판(68)과의 사이에 확실히 장전할 수 있다.
급지카세트부(50)는 누름버튼(88)(제13도, 제16도)을 눌렀을 때에 해제되는 걸림기구에 의하여 수직위치(닫힌위치)에 유지되고, 그 누름버튼(88)을 눌러서 그 걸림기구를 해제하면, 상기 압판(68)의 가압스프링(67)의 반력에 의하여 경사위치(개방위치)에 자동력으로 회전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걸림기구는 제1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급지구동부(40)의 케이스본체에 설치된 훅레버(89)와 급지카세트부(50)의 케이스 본체에 설치된 걸어맞춤부(91)로 구성되고, 이들을 걸리게 함으로써 급지카세트부(50)가 수직위치에 유지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상기 누름버튼(88)을 눌러 그 선단부(92)(제16도)에서 훅레버(89)를 탄성변형시켜 걸어맞춤부(91)로부터 이탈시킴으로써 걸림이 해제된다.
제17도는 상기 급송로울러(41) 및 상기 미끄럼 접촉로울러(42)의 구동계 및 배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제17도에 있어서, 기록장치(10)의 운송로울러(14)의 회전에 동기하여 구동되는 피동기어(트랜스퍼 기어)(48)의 회전은 일련의 기어열(93,94,95,46,96)을 통하여 급송로울러(41)의 축(7)으로 전달된다. 또, 도중의 상기 기어(95)는 상기 미끄럼 접촉로울러(42)의 축(47)에 고정되어 있다.
또, 상기 기어(93,94,46)는 아이들 기어이다. 여기서, 상기 기어(96)는 급송로울러(41)의 축(97)과 동축으로 장착되어 있으나, 이 기어(96)와 이 급송로울러축(97)은 1방향 클러치(예컨대 스프링 클러치)(98)를 통하여 결합되어 있다. 이 1방향 클러치(98)는 역전방향에는 항상 차단(OFF)이지만, 정전방향에서도 ON·OFF 제어되는 스프링 클러치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1방향 클러치(98)로서는, 예컨대 다음과 같이 동작하는 것이 사용된다.
우선, 급지신호에 의거하여 운송로울러(14)가 소량 역전(반송방향과 역의 방향의 회전)하면, 상기 1방향 클러치(98)는 상기 기어(96)의 역전(클러치트리거)에 의해 ON으로 전환된다. 이 ON상태로는 운송로울러(14)의 정전에 의해 급송로울러(41)가 정전가능한 상태로 된다. 이때, D형(또는 반월형)의 부등변로울러에서 이루어지는 급송로울러(41)는 기록쉬트(13)에서 떨어진 기준위치 또는 초기위치에 있다.
이어서, 운송로울러(14)를 소정량 정전시키면, 여기에 연동하여 급송로울러(41)가 정전하고, 1매의 기록쉬트(13)가 운송로울러(14)의 인입부를 넘은 위치까지 급지된다.
기록쉬트(13)가 상기 인입부에 도달한 것은 센서에 의해 검지되고, 이 센서의 검지신호에 의해 이때의 운송로울러(14)의 정지위치가 제어된다.
이어서, 운송로울러(14)를 소정량 역전시켜, 기록쉬트(13)의 선단을 쉬트인입부로부터 빠져나온 위치까지 퇴피시킨다.
이때의 운송로울러(14)의 역전에 의해, 기록쉬트(13)의 선단부에 루우프를 형성하고 레지스트레이션(registration; 기록쉬트(13)의 선단을 평행으로 하는 동작)이 행하여진다.
상기 1방향 클러치(예컨대 스프링 클러치)(98)는 상기 클러치 트리거에 의해, 아직 ON상태에 있고, 정전방향에는 정전전달가능한 상태에 있다. 그래서 운송로울러(14)를 소정량 정전시켜, 이 운송로울러(14) 및 상기 급송로울러(41)의 정전에 의해, 기록쉬트(13)를 기록개시위치(머리내밀기 위치)까지 반송한다.
이 정전의 도중에서 D형의 급송로울러(41)가 기록쉬트(13)에서 떨어졌을때, 즉, 급송로울러(41)가 대략 1회전하여 상기 기준위치(초기위치)로 돌아왔을때에 상기 1방향 클러치(98)가 OFF로 전환되고 급송로울러(41)는 이 기준위치에 정지한다.
이와 같이 하여, 급송로울러(41)의 1회전 사이에 기록쉬트(13)가 1매만 기록장치(10)내로 급지되고, 머리내밀기 상태로 세트된다. 그후, 화상정보에 의거하여 기록쉬트(13)에 대한 기록이 행하여진다.
이 기록의 사이는, 상기 1방향 클러치(98)는 OFF인 상태이고, 운송로울러(14)의 정전(종이 이송)에도 불구하고, 급송로울러(41)는 상기 기준위치에 정지한 대로이다.
제19도는 상기 1방향 클러치(스프링 클러치)(98)구조를 도시한 종단면도이고, 제20도∼제23도는 제19도중의 제어링 및 이 제어링의 동작을 규제하기 위한 제어레버(131)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급송로울러축(97)에 부착된 1방향 클러치(스프링 클러치)(98)는 상기 기어(클러치 기어)(96)와 일체의 보스부(배럴부)(176)와, 코일형상의 클러치스프링(177)과, 클러치 드럼(178)과, 제어링(179)을 구비하고 있다.
또, 제20도∼제2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링(179)에는 클러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레버(131)가 제어스프링(132)에 의해 반경방향안쪽 및 축방향으로 압접되어 있다.
상기 클러치 드럼(178)은 급송로울러축(97)에 고정되고, 일체적으로 회전한다. 한편, 보스부(176)를 가지는 클러치 기어(96)는 급송로울러축(97)에 회전이 자유롭게 끼워 맞춤되어 있다.
상기 보스부(176) 및 상기 클러치 드럼(178)의 둘레면에는 클러치 스프링 받이부가 설치되어 있고, 코일형상의 클러치 스프링(177)이 쌍방으로 올라타서 환형장착되어 있다.
클러치 스프링(177)의 한쪽 끝은 클러치 드럼(178)에 형성된 구멍(182)에 걸어맞춤되고, 이 클러치 드럼(178)과 상시 연결되어 있다.
클러치 스프링(177)의 다른쪽 끝은 이 클러치 스프링(177)의 바깥둘레에 회전가능하게 끼워맞춤된 제어링(179)에 형성된 노치(183)에 걸려 있다.
제어링(179)은 제20도∼제2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상을 하고 있고, 제20도의 평면도에 있어서의 좌회전이 급송로울러(41)의 급지방향으로 대응하고 있다. 제어레버(131)는 케이스 본체(129)에 설치된 축부(150)에 회동이 자유롭게 끼워맞춤되고 제20도 및 제2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어 스프링(132)에 의해 제어링(179)에 대하여 축방향(제21도중의 우방향) 및 반경방향 안쪽으로 가압되어 있다.
급지대기상태(급송로울러(41)의 기준 비접촉위치)에 있어서는 제어레버(131)는, 제어링(179)의 노치(185)에 걸려서 멈추고 있다.
제어부로부터 급지지령이 있으면, 우선, 운송로울러(14)가 소정량 역전되고, 여기에 동기하여 클러치 기어(96) 및 클러치 스프링(177)을 통하여, 제어링(179)이 역전방향(즉 우회전방향)으로 소정의 스텝수만 회전한다.
이때의 회전은, 상기 운송로울러(14)를 역전시켜서 상기 클러치 기어(96)를 그의 보스부(배럴부)(176)에 감겨있는 클러치 스프링(177)의 이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그러나, 실제로는 급송로울러축(97)은 기록쉬트(13)와의 접촉 등의 부하가 작기 때문에 클러치 스프링(177)의 초기때의 감아죄기 토오크가 활동하여, 클러치 기어(96)의 회동이 전달되고, 클러치 스프링(177)의 스프링 끝이 걸려 있는 제어링(179)은 소정의 스텝수만 역전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제어링(179)의 역방향 회전에 의해 제어레버(131)는 제어링(179)의 노치(185)의 경사면부(186)를 따라서 제어링 반경방향 외측으로 이동하고 면(187,188)에 따라서 미끄러지게 된다.
다음에, 제어링(179)을 정방향으로 대략 1회전시킨다. 즉, 운송로울러(14)의 정전과 동기하여 클러치 기어(96)를 정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그의 보스부(176)에 감겨진 클러치 스프링(177)이 죄이는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이 보스부(176), 이 클러치 스프링(177) 및 클러치 드럼(178)이 일체적으로 회전하고 토오크가 급송로울러축(97) 및 급송로울러(41)로 전달되고, 정방향으로 회전구동된다. 동시에, 상기 클러치 스프링(177)의 한쪽 끝에 걸어맞춤된 제어링(179)도 같은 방향으로 회전되게 된다. 이때의 회전 및 상기 제어스프링(132)의 가압력에 의해, 제어레버(131)는 면(188)위로 이동함과 동시에, 면(187)으로 가압되어, 면(187) 및 면(188)에 따라서 미끄러져 움직인다.
이 정방향 회전(정전)에 의해, 급송로울러(41)가 구동되어서 기록쉬트(13)의 급송이 개시된다.
소정각도의 정전이 행하여지면, 제어레버(131)는 우선 경사면(193)에 의해 면(189)으로 하강하고, 또한 면(194)에 계속해서 면(189)에 접하도록 유도되고, 또한 정전하면, 제어레버(131)의 선단이 제어거리(179)의 노치(185)에 걸려서 이 제어링(179)의 회전이 정지한다.
즉, 상기 소정각도의 정전에 의해 제어레버(131)는 우선 경사면(193)에 의해 면(189)으로 떨어지고, 면(187,189)에 따라서 소정각도 미끄러진다.
또한 정방향으로 회전하면 제어레버(131)는 경사면(194)에 따라서 들어올려진 후, 면(189,190)에 따라서 미끄러진다.
다시 정방향으로 회전하고, 1회전하면, 면(189,190)에서 충돌하여 떨어지는 위치에 형성된 상기 노치(185)에 끼워져서 이 노치(185)내에 걸리고, 제어링(179)의 회전이 정지된다.
이 제어링(179)의 정지에 의해 상기 1방향클러치(98)는 재차 클러치오프(정방향의 회전에서도 토오크가 전달되지 않는 상태)로 된다.
이상의 움직임을 정리하면, 제어링(179)의 초기의 역전(소정의 수 펄프)에 의해 급송로울러(41)를 1회전시키기 위한 급지트리거가 걸리고, 거기에서 제어링(179)을 정방향으로 1회전시키는 사이에 급송로울러(41)가 회전구동되고, 급송로울러(41) 및 제어링(179)이 1회전하여 초기위치로 되돌아온 바에서 상기 제어레버(131)가 재차 노치(185)에 끼워져서 클러치오프의 상태로 되고, 급송로울러(41)가 기준위치에서 정지된다.
이렇게 하여, 운송로울러(14)의 구동력을 이용하여 급송로울러(41)를 1회전시킴으로써 기록쉬트(13)의 급지동작이 종료된다.
제14도 및 제15도 등에 대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슬라이더(71,72)에는 기록쉬트(13)의 폭규제를 행하기 위한 사이드 가이드(73,74) 및 기록쉬트(13)의 전단 양측에 걸어맞춤하는 분리포올(75,76)이 설치되어 있다. 이 분리포올(75,76)은 급송로울러(41)에 의해 밀어내려지는 압판(68) 위에서는 아니고, 상기 슬라이더(71,72)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소위 고정형의 분리포올로 되어 있다.
제14도 및 제15도에 있어서, 각 슬라이더(71,72)는 수동으로 이동조작되고 크램프 레버(101,102)를 도시한 바와 같은 위치에 세트함으로써 끝면 캠수단(도시하지 않음)으로 가이드홈(도시하지 않음)을 양측으로부터 끼움가압하여 소정의 폭위치에 마찰력으로 세트된다.
제17도에 있어서, 상기 급송로울러(41)는 상기 급송로울러축(97)위의 복수위치(도시의 예에서는 2곳)에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상기 급송로울러축(97)에는 또한, 각 급송로울러(41)의 외측의 위치에 유사로울러(103,103)가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이들의 유사로울러(103)는 급송로울러(41)와 대략 같은 윤곽(D형 등)을 가지지만, 재질 및 폭이 상위되어 있고, 기록쉬트(13)와의 마찰저항도 작고 급지시에 미끄럼움직임접촉은 하지만, 급송력은 실질상 발생하지 않는 로울러로 구성되어 있다.
예컨대 급송로울러(41)의 외주면은 큰 마찰력을 발생하는 고무 등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유사로울러(103)의 쪽은 예컨대, 테플론(Teflon:상표)이나 나일론 등의 플래스틱(예컨대, 축(97)과 동재질로 일체성형)으로 형성되고, 바깥둘레는 평활면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간단한 구조의 유사로울러(103)를 추가하여 실시함으로써 급송로울러(41)를 고정하는 경우도 다른 폭의 기록쉬트(13)에 대한 분리포올(75,76)의 분리기능을 항상 적정하게 유지할 수가 있다.
따라서, 급송로울러(41)로서 고가인 슬라이드 구조의 것을 사용할 필요가 없고 원가절감을 도모할 수가 있었다.
한편, 상기 미끄럼 접촉로울러(42)는 미끄럼 접촉로울러축(47)위의 복수위치(예컨대 3∼5곳)에 소정 간격으로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제18도는 제14도중의 선 ⅩⅧ-ⅩⅧ에 따른 부분단면도이고, 다음에 제14도 및 제18도를 참조하여 상기 슬라이더(71,72)의 가이드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4도 및 제18도에 있어서, 급지카세트부(50)의 케이스의 내면에는 소정 간격(b)으로 가이드레일(105,106,107,108)이 설치되고, 가이드레일(105,106)에 의해 좌측의 슬라이더(71)가 안내되고, 가이드레일(107,108)에 의해 우측의 슬라이더(72)가 안내되도록 되어 있다.
각 가이드레일(105∼108)로서는 제1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측으로 도브테일홈(테이퍼면을 가지는 홈)(109)이 형성된 도브테일홈식의 가이드레일이 사용되고 있다.
각 가이드레일(105∼108)은 급지카세트부(50)의 플라스틱계 케이스 본체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각 슬라이더(71,72)에는 상기 각 가이드레일(105∼108)의 도브테일홈(109)에 맞닿아서 전동하는 가이드로울러(110)가 회동자유롭게 축지지되어 있다.
도시의 예에서 각 슬라이더(71,72)는 제1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의 1개와 하측의 2개의 합계 3개씩의 가이드로울러(110)에 의해 안내지지되어 있다.
제17도에 있어서 상기 급송로울러축(97)에는 원호형상의 바깥둘레에 복수의 래칫기어를 가지는 래칫부(111)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한편, 자동급지장치(30)의 케이스 본체측(도시의 예에서는 급지구동부(40)의 케이스본체)에는 상기 래칫부(111)의 래칫기어에 소정의 탄성력으로 압접되어, 이 래칫기어에 걸어맞춤하여 미끄럼 접촉로울러축(47)을 잠그는 판형상의 포올부(112)가 돌출설치되어 있다.
이들의 래칫부(111) 및 포올부(112)는 상기 급송로울러(41)의 역전을 방지하기 위한 래칫기구를 구성하고 있다.
제24도는 상기 래칫기구를 도시한 부분측면도이고, 제25도는 제24도중의 선 ⅩⅩⅤ-ⅩⅩⅤ에 따라 단면도이다.
이 급송로울러 역전방지용의 래칫기구를 설치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자동급지시에 기록쉬트(13)의 머리내밀기를 행하는 순서에 있어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일단 운송로울러(14)로 이 기록쉬트 돌입시킨 후, 이 운송로울러(14)를 소정량 역전시켜서 레지스트레이션을 하는 동작이 행하여진다.
이 운송로울러(14)의 역전사에는 상기 클러치(98)가 1방향이 클러치이기 때문에 상기 급송로울러(41)는 클러치 OFF의 상태로 된다.
그러나, 상기 레지스트레이션 때에 이 급송로울러(41)가 자유회전한 것으로는 기록쉬트(13)에 적정한 루우프를 형성할 수가 없게 되고, 정확한 레지스트레이션을 행할 수 없게 된다.
그래서, 본 발명에 의한 자동급지장치(30)에 있어서는 상기 급송로울러 역전방지용의 래칫기구(111,112)를 설치함으로써, 레지스트레이션시에 급송로울러(41)의 역전을 저지하고, 적정루우프를 용이하게 형성하여 정확한 레지스트레이션을 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 역전방지기구를 설치하는 이유는 자동급지시의 기록쉬트(13)의 머리내밀기 동작을 정확하게 행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상기 머리내밀기 동작시에 운송로울러(14)를 정전시키는 사이 즉, 상기 클러치(98)가 ON상태로 되고, 상기 급송로울러(41)가 정전하는 사이에서는, 소정의 탄성력으로 압접된 상기 판형상의 포올부(112)가 상기 복수의 래칫기어(래칫부(119))를 타고 넘어서 미끄럼이동하게 되고, 그 경우에 래칫 미끄럼 이동음이 발생한다.
그래서, 상기 래칫기구에는 제24도 및 제2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래칫 미끄럼이동음을 방지하기 위한 소음수단이 설치되어 있다.
이 소음수단은 상기 래칫부(111)의 측면에 접착 등으로 첨부설치된 연질의 방진고무(113)와 상기 포올부(112)에 접착 등으로 첨부설치된 판형상의 방진쉬트(114)로 구성되어 있다.
도시의 예에서는 상기 방진고무(113)는 소음기능을 높이기 위해, 래칫기어의 기어끝 가까이까지 첨부설치되어, 상기 포올부(112)가 래칫기어에 맞물릴때에 탄성변형하도록 배열설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 방진고무(113)가 래칫기어 끝까지 첨부설치되어 있으면, 상기 포올부(112)가 상기 방진고무(113)에 맞닿아 넘어짐 등이 생겨서 이 포올부와 래칫기어와의 걸어두기가 불안정하게 되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상기 래칫부(111)의 상기 진공고무(113)와 반대측의 측면에는 래칫기어의 기어바닥과 대략 일치하는 영역으로 비교적 경질(예컨대, 경도가 약 80도 정도)의 고무(예컨대:우레탄고무) 등으로부터 이루어지는 소정두께의 지지부재(115)가 접착 등에 의해 첨부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지지부재(115)를 첨부설치함으로써, 상기 연질의 방진고무(113)를 기어끝까지 첨부설치하는 경우도 상기 포올부(112)를 래칫기어에 대하여 안정한 상태로 걸어두기 할 수가 있고, 확실하게 동작하는 래칫기구가 얻어졌다.
상기 방진고무(113) 또는 방지쉬트(114)를 사용하는 래칫기구의 소음구조는 또는 이 소음구조와 상기 지지부재(115)로부터 이루는 걸어두기 안정화구조와의 병용구조는 자동급지장치내의 역전방지기구에 한하지 않고 널리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래칫기구에 있어도 같이 적용할 수 있는 것이고 같은 작용효과를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 제17도, 제24도 및 제25도로 설명한 구성에 의하면, 장정된 기록쉬트(13)를 급송하는 급송로울러(41)와 기록장치의 운송수단(14)에 동기하여 상기 급송로울러(41)를 구동가능한 구동력 전달기구(33,48,93,94,95,46,96,97)와 이 구동력 전달기구의 도중에 설치된 클러치(98)를 가지는 자동급지장치(30)에 있어서 상기 급송로울러(41)와 일체 회전하는 부분(97)에 역전방지용의 래칫기구(111,112)를 설치하는 구성으로 하였기 때문에 급지시의 기록쉬트(13)의 레지스트레이션을 용이 또한 정확하게 행할 수 있는 자동급지장치가 제공된다.
제17도에 있어서 기어(46)을 통하여 상기 운송로울러(14)와 동기구동되는 축(47)에는 자동급지된 기록쉬트(13)를 안내하기 위한 복수개(도시예에서는 4개)의 미끄럼 접촉로울러(42)가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제26도는 상기 미끄럼 접촉로울러(42)가 기록쉬트(13)를 안내하는 상태로 도시한 부분측면도이고, 제27도는 상기 미끄럼 접촉로울러(42)의 축방향 단면도이다.
제26도 및 제27도에 있어서, 급송로울러(41)에 의해 송출되는 기구쉬트(13)는 상기 종이경로면(31)에 대하여 제법 큰 경사각도(θ)(예컨대, 45도∼75도)를 가지고 진입하여 온다.
상기 미끄럼 접촉로울러(42)는 이와 같이 하여, 송급되는 기록쉬트(13)를 상기 종이경로면(31)을 통하여 기록장치(10)내로 확실하게 보내지도록 이 종이경로면의 근방에 배열설치되어 있다.
그래서, 상기 미끄럼 접촉로울러(42)의 바깥둘레부에는 고무 등의 마찰재(116)가 설치되고, 이 마찰재가 기록쉬트(13)에 접촉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미끄럼 접촉로울러(42)는 상기 운송로울러(14)의 원주속도보다 약간 빠름 원주속도(예컨대, 약 6∼10% 빠른 원주속도)으로 기록쉬트(13)를 안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시의 예에서는, 상기 마찰재(116)로서 미끄럼 접촉로울러 본체부의 바깥둘레에 끼워맞춤(필요에 따라서 접착 등으로 고착된다)된 고무의 O링이 사용되고 있다.
이 마찰재(116)로서는 외주면에 접착 등으로 첨부설치된 고무쉬트 등, 마찰계수가 높은 부재이면, 여러가지의 부재를 사용할 수가 있다. 고무의 경우 예컨대, NBR, 실리콘고무, 우레탄고무, 불소계고무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미끄럼 접촉로울러(42)의 구성에 의하면, 통상의 고정식의 종이가이드를 생략하여, 상기 종이경로면(31)을 통하여, 자동급지시 및 수동급지시의 어느 것에 있어서 기록쉬트(13)를 공급할 수 있는 외에 상기 마찰재(116)를 설치함으로써 자동급지시의 기록쉬트(13)의 이송력을 상승시켜서 백텐션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
또, 기록쉬트(13)의 이송저항으로 되는 상기 백텐션이 크면 상기 운송로울러(14)에 의한 운송시에 이송어긋남이 생겨, 기록화상이 얼룩이 생겨 화상품질이 저하하게 되지만, 상기 구성에 의하면, 약간 빠른 원주속도로 미끄럼접촉하는 미끄럼 접촉로울러(42)의 마찰력을 증가시켰기 때문에, 백텐션을 효과적으로 감소시켜서 이송얼룩을 없게 하고 기록장치(10)에 의한 기록화상이 품위를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
상기 자동급지장치(30)로는 제12도 및 제13도를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급지카세트부(50)가 상기 급지구동부(50)가 상기 급지구동부(40)에 대하여 개폐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그래서, 급지카세트부(50)가 폐쇄위치(제13도의 수납위치)에 있을때에, 상기 래치기구(89,91)(제16도)를 상기 누름단추(88)를 해제하고, 이 급지카세트부(50)를 열기위치(제12도의 사용위치)로 회동시킬때, 상기 압판스프링(67)의 가압력 및 관성력에 의해 스톱시에 충격이 작용하게 된다.
이 충격은 장치의 내구성 열화 및 발음성의 원인으로 되기 때문에 극력방지할 필요가 있다.
그래서, 상기 자동급지장치(30)에 있어서는 급지카세트부(50)를 열때의 충격을 완충하는 댐퍼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제28도는 급지구동부(40) 및 급지카세트부(50) 사이의 상기 댐퍼기구(117)의 부착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제29도는 제28도중의 댐퍼기구(117)의 급지카세트부(50)측의 부분분해사시도이고, 제30도는 제28도중의 댐퍼기구(117)의 분해사시도이다.
제30도에 있어서, 급지카세트부(50)의 케이스 본체(118)의 일단부(예컨대, 제14도중의 우측단부)에는, 전면 및 하단이 개방된 수직홈(121)을 형성하기 때문에, 벽부(119)의 내측으로 수직리브(120)가 설치되어 있고, 그 하단부에는 수직홈(121)을 수평방향으로 가로지르는 축부(122)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래서, 상기 홈(121) 및 상기 축부(122)를 이용하여 미끄럼이동부재(123)가 회전정지된 상태로 고정적으로 부착되어 있다.
상기 미끄럼이동부재(123)에는, 제30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축부(121)에 탄성력으로 빠짐방지끼워맞춤되는 만곡부(124)와 상기 홈(121)에 끼워지는 안내부(125)와, 상기 홈(121)의 양측(상기 벽부(119) 및 상기 리브(120))의 전단면에 걸어맞춤하는 회전방지부(126)와 실제로 급지구동부(40)측의 탄성리브(127)(제28도, 제30도)와 맞닿음가능한 대략 원기둥 형상의 맞닿음미끄럼이동부(128)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급지구동부(40)측에 설치되는 상기 탄성리브(127)는, 도시의 예에서는 이 급지구동부(40)이 케이스 본체(129)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제2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측면형상을 하고 있다.
이 탄성리브(127)는 양단이 본체케이스(129)에 고착되어 있고, 상기 맞닿음 미끄럼이동부(128)가 압접되었을때, 탄성변형할 수 있는 단면형상을 가지고 있다.
또 상기 맞닿음미끄럼이동부(128)(미끄럼이동부재(123)) 및 상기 탄성리브(127)의 재질로서는 마찰계수의 것(일반적으로 플라스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양자의 압접력이나, 탄성변형 등의 정도에 따라서는, 반드시 마찰재를 사용할 필요는 없고, 통상의 재질(플라스틱 등)이라도 충분하다.
또, 상기 탄성리브(127)는, 그의 형상 등에 따라서는, 그의 일단부만으로 케이스 본체(129)에 고착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31A도∼제31C도는, 상기 미끄럼이동부재(123)와 상기 탄성리브(127)의 댐퍼동작(충격흡수동작)을 도시한 설명도이다.
제31A도는 급지카세트부(50)가 폐쇄되었을때(수직위치)의 상태를 도시하고, 이때는 미끄럼이동부재(123)(맞닿음미끄럼이동부(128))는 상기 탄성리브(127)에서 떨어져 있다.
제31B도는 상기 미끄럼이동부재(123)가 상기 탄성리브(127)에 맞닿아 댐퍼 기능을 발휘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다.
즉, 상기 급지카세트부(50)가 상기 래치기구의 해제에 의해 회동하면, 그 도중의 소정범위에서 미끄럼이동부재(123)가 탄성리브(127)에 맞닿아서, 이 탄성리브를 화살표 A방향으로 밀어내려서 도시한 바와 같이 탄성변형시키면서 화살표 B방향으로 미끄럼움직인다.
이 사이의 마찰미끄럼이동에 의해 급지카세트부(50)의 운동에너지가 흡수되고, 댐퍼기능이 얻어진다.
제31C도는 급지카세트부(50)의 회동종기의 상태를 도시하고, 이때에는 미끄럼이동부재(123)의 압접력이 거의 해제되고, 탄성리브(127)는 원래의 상태로 복귀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제31C도의 상태로 된 후, 급지카세트부(50)는 상기 스토퍼(79)(제12도)에 맞닿아서 개방위치(자동급지사의 경사위치)로 유지된다.
또, 이상의 실시예로는 기계적으로 마찰미끄럼이동하는 댐퍼기구를 사용하였으나 여기에 대신하여 오일 등의 유동저항을 이용하는 오일댐퍼, 또는 전자력을 이용하는 댐퍼 등, 다른 종류의 댐퍼를 사용할 수도 있고, 이들에 의하여도 같은 작용효과를 달성할 수가 있다.
이상, 제28도∼제31도로 설명한 댐퍼기구에 의하면 급지카세트부(50)와 급지구동부(50)와 급지구동부(40)와의 사이에, 이 급지카세트부가 회동할 때의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댐퍼(117)를 설치하는 구성으로 하였기 때문에 급지카세트부(50)를 열때의 충격을 방지할 수 있고, 장치의 마모 및 손상을 방지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동급지장치가 제공된다.
제1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급지구동부(10)의 편측에는, 기록장치(10)의 운송로울러(14)에서 상기 피동기어(48)에 전달된 회전력과, 상기 급송로울러(41) 및 상기 미끄럼 접촉로울러(42)로 전달하기 위한 기어열(93,94,95,46,96)이 축지지되어 있다.
제32도는 급지미끄럼이동부(40)의 한쪽에 있어서, 1매의 축지판(130)에 의해, 상기 기어열을 축지지하는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제32도에 있어서, 상기 축받이판(130)은 플라스틱 성형 등에 의한 판형상의 부재이고, 이 축받이판에 의해 아이들기어(93,94)와 미끄럼 접촉로울러기어(95)를 가지는 미끄럼 접촉로울러축(47)의 단부와, 아이들기어(46)와, 급송로울러축(97)에 스프링 클러치(1방향클러치)(98)를 통하여 결합된 급송로울러 기어(96)를 축지지하고 있다.
또, 상기 축받이판(130)에 의해 상기 스프링 클러치(98)의 제어레버(131) 및 이 레버의 제어스프링(132)의 빠짐방지도 행하여지고 있다.
그래서, 상기 축받이판(130)은 급지구동부(40)의 케이스 본체(129)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구조에 의해 붙이고떼기 자유롭게 위치결정고정되어 있다.
우선, 축받이판(130)은 케이스 본체(129)에서 형성된 3곳의 맞닿음부(133,134,135)에 맞닿게 함으로써, 기어열의 각 기어의 축방향 위치를 규제시키고 있다.
또, 축받이판(130)은 2곳의 위치결정끼워맞춤부(136,137)에 의해 제3도중의 좌우 상하방향의 위치를 규제하고 있다.
또, 한쪽의 위치결정끼워맞춤부(137)는 상기 맞닿음부(135)와 같은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이어서, 상기 축받이판(130)은 케이스 본체(129)에 형성된 3곳의 고정포올(138,139,140)에 의해 펀칭고정되어 있다.
이상에 의해, 케이스 본체(129)에 1매의 축받이판(130)을 펀칭 고정하는 것만으로 기어열을 구성하는 복수의 기어나 로울러축 등의 위치결정 및 빠짐 방지가 행하여져 있고, 더욱 이는 근방에 배열설치되는 레버나 가압스프링 등의 위치결정 및 빠짐방지도 행하여지고 있다.
제33도∼제39도, 제32도중의 상기 각부의 구체적 구조를 도시한 부분단면도이다.
제33도는 제32도중의 선 ⅩⅩⅤ∼ⅩⅩⅤ에 따라서 급송로울러 기어(96)의 축받이 구조를 도시하고, 급송로울러축(97)에 스프링 클러치(1방향클러치)(98)를 통하여 결합된 기어(96)는, 그의 축부(141)를 축받이판(130)에 형성된 축받이 구멍(142)에 끼워맞춤시킴으로써 위치결정 및 빠짐방지되어서 회전이 자유롭게 축지지되어 있다.
제34도는 제32도중의 선 ⅩⅩⅥ∼ⅩⅩⅥ에 따라서 상기 맞닿음부(135) 및 위치결정끼워맞추기부(137)의 구조를 도시하고, 축받이판(30)에는 또 한개의 위치결정끼워맞춤부(136)를 연결하는 직선방향의 긴구멍(143)이 형성되어 있다.
이 긴 구멍을 케이스 본체(129)의 맞닿음부(135)의 선단축부(144)에 끼워맞춤시킴과 동시에 축받이판(130)을 이 맞닿음부(135)의 단면에 맞닿음시킴으로써, 상기 축받이판(130)은 제27도중의 좌우방향의 위치를 규제되게 하고 있음과 동시에, 케이스 본체(129)와의 간격(H)을 규제되게 하고 있다.
제35도는 제32도중의 선 ⅩⅩⅦ-ⅩⅩⅦ에 따라서 상기 맞닿음부(133)의 구조를 도시하고 축받이판(130)을 이 맞닿음부(133)의 단면에 맞닿게 함으로써 이 축받이판의 케이스 본체(129)와의 간격(H)이 규제되고 있다.
더욱, 제32도 중의 상기 맞닿음부(134)도 이 맞닿음부(133)와 실질상 같은 구조 및 칫수를 갖고 있다.
따라서, 축받이판(130)은, 3곳의 맞닿음부(133,134,135)에 맞닿은 상태에서 케이스 본체(129)와의 간격(H)을 정확히 규제되게 하고 있다.
제36도는 제32도 중의 선 ⅩⅩⅧ-ⅩⅩⅧ에 따라 상기 축받이판(130)의 위치결정 끼워맞춤부(136)의 구조를 표시하고 케이스 본체(129)에 형성된 단붙이 보스부(145)의 선단면에는 끼워맞춤구멍(146)이 형성되고, 축받이판(130)의 뒷면에 형성된 돌기(147)를 그 끼워맞춤구멍(146)에 끼워맞춤시킴으로써 그 축받이판(130)의 상하좌우방향의 위치가 규제되어 있다.
따라서, 축받이판(130)은, 2곳의 위치결정 끼워맞춤부(137,138)에 의하여 상하 좌우방향 및 회전방향의 위치가 규제되어 있다.
그 위에 상기 단붙이 보스부(145)의 축부(148)의 바깥둘레에는, 상기 아이들기어(46)가 회전이 자유롭게 끼워맞춤되어 있고 따라서 제36도의 위치결정 끼워맞춤부(136)는 그 아이들 기어(46)의 빠짐방지 기능도 갖추고 있다.
제37도는 제32도중의 선 ⅩⅩⅨ-ⅩⅩⅨ에 따라 상기 고정포올(138)의 걸어맞춤구조를 표시하고 케이스 본체(129)에 형성된 고정포올(138)은 굽힘방향으로 탄성변형이 가능하고, 축받이판(130)에 형성된 개방구멍 또는 노치(149)를 통하여 상기 고정포올(138)을 도시한 바와 같이 펀칭고정함으로서 축받이판(130)은 소정위치로 고정되어 있다.
제32도중의 다른 2곳의 고정포올(139 및 140)도 제37도의 고정포올(138)의 경우와 실질상 같은 걸어맞춤구조를 갖고 있고 따라서 축받이판(130)은, 케이스 본체(129)에 대하여, 함께 3곳의 고정포올(138,139,140)에 의하여 소정의 위치(간격(H)의 위치)로 고정되어 있다.
또 제38도는 제32도 중의 선 ⅩⅩⅩ-ⅩⅩⅩ에 따라 상기 제어레버(131) 및 스프링(132)의 빠짐방지 구조를 도시하고 케이스 본체(129)에 형성된 축부(150)에 상기 제어레버(131) 및 비틀림 코일스프링(132)이 장착되고 상기 축받이판(130)을 소정위치(간격(H)의 위치)로 고정함으로써, 상기 제어레버(31) 및 제어 스프링(132)이 소정위치로 유지되고 이들의 빠짐방지가 행하여지고 있다.
더욱 상기 제어레버(131) 및 제어스프링(132)은, 상기 급송로울러(97)에 설치된 상기 스프링클러치(1방향클러치)(98)의 1회전동작(기록쉬트(13)의 머리내밀기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제39도는 제32도중의 선 ⅩⅩⅩⅠ-ⅩⅩⅩⅠ에 따라 상기 미끄럼접촉 로울러축(47)의 축받이구조를 도시하고, 상기 미끄럼접촉 로울러기어(95)는 상기 미끄럼접촉 로울러축에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고, 그 미끄럼접촉 로울러축(47)의 끝부분은 축받이판(130)에 형성된 축받이구멍(151)에 회전이 자유로이 끼워맞춤되어 있다.
이제 제39도의 구조에 의하여, 상기 미끄럼 접촉로울러축(47) 즉, 그 축에 설치된 미끄럼 접촉로울러(42) 및 미끄럼 접촉로울러기어(95)는 위치결정 및 빠짐방지되어, 축지지되어 있다.
이상, 제32도∼제39도에 대하여 설명한 기어열의 축받이 구조에 의하면, 기록장치(10)에 대하여 붙이고 떼기가 자유롭게 장착되고, 기록장치(10)의 운송로울러(14)의 구동기구로부터의 구동력을 급송로울러(41) 및 미끄럼 접촉로울러(42)에 전달하기 위한 기어열을 갖춘 자동급지장치(30)에 있어서, 상기 기어열의 각 기어의 위치결정 및 빠짐방지와 로울러(41,42) 또는 레버(131) 및 스프링(132) 등의 위치결정 및 빠짐방지를 장치본체(40)에 펀칭고정되는 1개의 축받이판(130)으로 행하는 구조의 자동급지장치가 얻어졌다.
이와 같은 축받이구종에 의하면, 1매의 축받이판(130)으로 복수의 기어 또는 로울러 등의 구성부품을, 부품점수가 적은 간단한 구조로, 그리고 용이하게 높은 정밀도로 조립부착할 수 있고, 그리고 기어열의 모듈을 작게 하여 장치의 컴팩트화를 도모할 수 있는 자동급지장치가 얻어진다.
제40도는 상기 종이패스면(31)(제1도 또는 제12도)의 구조를 도시하는 부분 사시도이다. 제40도에 있어서, 상기 종이경로면(31)의 양측, 즉 급송되는 기록쉬트(13)의 양쪽끝 가장자리부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오목부(152,153,154)가 형성되고 있다.
제40도중의 좌측에서는 2곳에 오목부(152,153)가 형성되고, 우측에서는 1곳의 오목부(154)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좌우의 오목부(153와 154)를 B4 사이즈의 용지에 대략 일치시켜, 좌우의 오목부(152와 154)를 A4 사이즈 및 서신사이즈의 용지폭에 대략 일치시켜 용지폭이 상이하는 기록 쉬트(13)에 대응시키기 때문이다. 여기서 각 오목부(152∼154)는 기록쉬트 공급방향 하류측으로 감에 따라 기록쉬트 폭방향의 외측으로 넓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진 부분(155)을 갖고 있다.
이들의 경사부분(155)은 상기 각 오목부의 급지방향 전체영역에 형성할 수도 있지만,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미끄럼 접촉로울러(42)의 아래쪽과 대략 일치하는 범위에 부분적으로 형성하여도 좋다.
또, 각 경사부분(155)의 경사각도(α)는 예를 들면 약 30∼60도의 범위내로 설정된다. 더욱, 상기 오목부(152,153,154)의 깊이(D)는, 예를 들면, 약 4mm 정도로 선정할 수 있다.
더욱 상기 각 경사부분(155)의 상단 가장자리는, 원호형상의 원활한 곡면으로 되도록 라운딩되어 있다.
더욱, 도시된 자동급지장치(30)에서는, 상기 종이경로면(31)은 대략 수평으로 형성되고, 상기 급지카세트부(50)로부터의 기록쉬트(13)는 상기 종이경로면(31)에 대하여 상당히 큰 경사각도(β)(예를 들면, 약 50도∼70도 정도)로 진입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큰 진입각도(β)로 설정하는 이유는, 제1도에서도 이해되는 바와 같이 자동급지장치(30) 자체 또는 기록장치(10)에 장착하였을때의 장치전체를 컴팩트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종이경로면(31)의 구조에 의하면, 급송되는 기록쉬트(13)의 앞끝모서리부가 하향으로 굽어졌을 경우, 또는 상기 종이경로면(31)에 대한 기록쉬트(13)의 진입각도(β)가 큰 경우에도 걸림 또는 종이막힘 등이 생기는 일없이, 항상 원활하게 기록쉬트(13)를 안내하고, 기록장치(10)내로 정확하게 급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
또 상기한 바와 같이 기록쉬트(13)의 진입각도(β)를 크게 설정할 수 있으므로, 자동급지장치(30)을 컴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고 장치의 소형 경량화를 도모하는 것도 가능하게 되었다.
제41도는, 상기 슬라이더(71)에 고정적으로 설치된 분리포올(75)과 장전된 기록쉬트(13)의 선단부를 분리포올(756)에 맞닿게 하기 위한 압판(68)을 도시하는 부분평면도이다.
제42A, 42B도는 제19도 중의 선 ⅩⅩ-ⅩⅩ에 따른 종단면도이고, 제42A도는 급송로울러(41)가 기록쉬트(13)로부터 떨어질때를, 제42B도는 급송로울러(41)가 기록쉬트(13)를 눌러내렸을 때를 각각 표시한다.
제41도 및 제42A, 42B도에서 상기 분리포올(75)은 상기 슬라이더(71)에 고정되어 있고 그 슬라이더(71)와 함께 용지폭 방향으로 이동가능하지만 상기 앞판(68)의 급송로울러(41)에 대한 접근이격방향의 이동에는 좌우되지 않고 고정된 그대로이다.
또 하나의 분리포올(76)도 다른쪽의 슬라이더(72)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분리포올(75)가 실질상 같은 구성의 고정형의 분리포올로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앞판(68)에는, 상기 분리포올(75)과 협동하는 돌기(156)가 설치되어 있는 상기 돌기(156)는, 상기 압판(68)의 반대측 가까이 부분의 상기 분리포올(76)과 협동할 수 있는 영역에도 마찬가지로 설치되어 있다.
즉, 앞판(68)상의 좌우의 돌기(156)는, 상기 분리포올(75 및 76)로부터 소정 거리 후방의 위치이고 기록쉬트(13)의 중간부를 소정량 들어올림으로써 자동급지시에 분리포올(75 및 76)의 후측에 적정한 루프를 형성할 수 있는 위치로 형성되어 있다.
제42B도에 있어서 상기 각 돌기(156)의 높이(m)는 자동급지시의 상기 급송로울러(41)에 의한 기록쉬트(13)의 압하량(n)과 같게 또는 그 이상으로 선정되어 있다.
예를 들면 일례로서 상기 급송로울러(41)에 의한 최대압하량(n)이 0.8∼1.5mm의 경우, 상기 각 돌기의 높이(m)는 예를 들면 약 0.8∼2.5mm 정도의 범위로, 상기 압하량(n) 보다 크게 설정된다.
또 분리포올(75,76)의 포올부의 경사각도(γ)는 일반으로 약 45도 정도이고, 예를 들면, 약 30도∼60도의 범위내에 선정되고, 그 분리포올의 폭(W)은 예를 들면 약 10mm 정도로 선정된다.
상기 각 돌기(156)와 상기 각 분리포올(75,76)과의 전후방향의 간격(P)는, 예를 들면 약 20mm 정도로 선정할 수가 있고 또 각 돌기(156)의 용지폭 방향위치는, 각 분리포올(75,76) 보다 소정거리 만큼 내측에 설정된다.
그 위에 분리포올(75,76)의 판두께로서는, 이들의 고정형의 분리포올인 것으로, 비교적 박판금속(강 또는 스테인레스 등) 판을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약 0.5mm 두께의 강판이 사용된다.
그 위에 또, 분리포올(75,76)의 포올부(157)와 선반부(158)와의 단차(y)도, 상기 판두께가 작은 것으로부터 용이하게 작은 단차(예를 들면 약 0.5mm)로 가공할 수가 있다. 상기 단차(y)를 작게함으로써 기록쉬트(13)의 분리시기를 빠르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43A도 내지 제43F도는 상기 분리포올(75,76)와 상기 압판(68)에 의하여 기록쉬트(13)을 분리급지하는 동작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제43A도는 급지개시전의 상태를 도시하고 압판(68)은 상승위치에 있고 장전된 기록쉬트(13)의 전단을 분리포올(75,76)에 압접시키고 있다. 또 기록쉬트(13)의 중간부는 상기 돌기(156)에 의하여 윗쪽으로 굽어진 상태로 되어 있다.
제43B도는 급지개시시를 도시하고, 압판(68)의 압하량은 약간이고 기록쉬트(13)의 상기 돌기(156)와 상기 분리포올(75)과의 사이의 루프 형성이 시작하는 상태를 도시한다.
제43C도는 급송로울러(41)의 회전에 따라 기록쉬트(13)의 루프형성이 더욱 진행된 상태를 표시한다.
이때 급송로울러(41)의 형상에도 따르지만, 압판(68)의 압하량은 약간씩 증가하고 있다.
제43D도는 루프를 형성한 1매의 기록쉬트(13)가 분리되고 그 선단이 분리포올(75)의 상면에 올라탄 수간의 상태를 도시한다.
제43E도는 분리된 기록쉬트(13)의 선단이 분리포올(75)의 상면을 미끄러지고 있고 루프가 거의 최대로 되었을때의 상태를 도시한다.
이때, 급송로울러(41)에 의하여 앞판(68)은 상당히 압하되어 있는데 아직 최대 압하량에는 도달하지 않고 있다.
제43F도는 기록쉬트(13)의 분리가 완료하고, 급송로울러(41)에 의한 기록쉬트(13)의 이송이 개시된 상태를 표시하는 이때, 급송로울러(41)에 의한 압판(68)의 압하량은 최대로 되고 따라서 장전된 기록쉬트(13)와 분리포올(75,76)와의 간격도 최대로 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에 의하여 스프링(67)으로 가압된 압판(68)상의 기록쉬트(13)를 그 기록쉬트에 급송력을 부여하는 급송로울러(41)와 분리포올(75,76)과의 협동에 의하여 1매씩 분리하여 기록장치(10)로 공급하는 자동급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분리포올(75,76)로서 고정형의 분리포올을 사용함과 동시에 상기 앞판(68)의 상기 분리포올(75,76)로부터 소정거리 후방의 위치에 기록쉬트(13)의 중간부를 소정량(m) 들어올리기 위한 돌기(156)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급지장치(31)가 제공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자동급지시에 기록쉬트(13)를 급송로울러(41)로 눌러 내리는 경우의 그 기록쉬트(13)와 상기 분리포올(75,76)과의 사이의 간극을 감소시킬 수가 있고, 따라서 급지시에 기록쉬트(13)의 선단부에 안정한 적정루프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가 있고 기록쉬트(13)를 정확히 분리급지할 수 있는 자동급지장치가 얻어졌다.
또 분리포올(75,76)로서 분리기능을 저하시키는 일없이 가동형으로 바꾸어 부품점수가 적고 구조가 간단한 고정형을 사용함으로 자동급지장치의 소형경량화 및 원가절감이 가능하게 되는 효과도 얻어졌다.
그 위에 상기 기록장치(10)로서는 기록쉬트(13)에 따라서 이동하는 캐리지 상에 기록헤드를 탑재하는 시어리얼형의 기록장치, 또는 기록쉬트(13)의 용지폭방향 기록영역을 커버하는 기록헤드를 사용하는 라인형의 기록장치 등 어떠한 형식의 기록장치에도 사용할 수가 있다.
또 상기 기록장치(10)로서는 1개의 기록헤드를 사용하는 것외 복수의 색의 기록헤드를 사용하는 기록장치 또는 색채가 같고 농도가 상이하는 복수의 기록헤드를 사용하는 해조(諧調) 기록용의 기록장치 등, 임의의 수의 기록헤드를 갖춘 기록장치를 사용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은 특히 여러가지 기록방식중에도 잉크제트 기록방식의 기록헤드를 사용하는 기록장치에 있어서 우수한 효과를 초래하는 것이다.
그 대표적인 구성이나 원리에 대하여는, 예를 들면, 미국특허 제4723129호 명세서, 동 제4740796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기본적인 원리를 사용하여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방식은 소위 온 디멘드타입(on-demand type) 및 콘티뉴어스 타입(continuous type) 적용가능하지만, 특히 온 디멘드 타입의 경우에는 액체(잉크)가 유지되어 있는 쉬트나 액로에 대응하여 배치되어 있는 전기 열 변환체에, 기록정보에 대응하여 있고 핵비등을 초과하는 급속한 온도상승을 부여하는 적어도 하나의 구동신호를 인가하는 것으로서 전기 열변환체에 열에너지를 발생시켜 기록헤드의 열작용면에 막비등시켜 결과적으로 이 구동신호에 일대일 대응하여 액체(잉크)내의 기포를 형성할 수 있으므로 유효하다.
이 기포의 성장, 수축에 의하여 토출용 개방구멍을 사이에 두고 액체(잉크)를 토출시켜 적어도 하나의 액적을 형성한다.
이 구동신호를 펄스형상으로 하면, 즉시 적절하게 기포의 성장수축이 행해지므로 특히 응답성에 우수한 액체(잉크)의 토출이 달성되고 보다 더 바람직하다. 이 펄스형상의 구동신호로서는, 미국특허 제4463359호 명세서, 동 제4345262호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는 것이 적합하다.
그 위에, 상기 열작용면의 온도상승율에 관한 발명의 미국특허 제4313124호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는 조건을 채용하면 더욱 우수한 기록을 행할 수가 있다.
기록 헤드의 구성으로서는 상기 각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것과 같은 토출구, 액로, 전기열교환체의 조합구성(직선형상 액유로 또는 직각 액유로) 외에 열작용부가 굴곡하는 영역에 배치되어 있는 구성을 개시하는 미국특허 제4558333호 명세서, 미국특허 제4459600호 명세서를 사용한 구성도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이다.
게다가, 복수의 열 변환체에 대하여 공통하는 슬릿을 전기 열변환체의 토출부로 하는 구성을 개시하는 일본국 특개소 59년 제123670호 공보 또는 열에너지의 압력파를 흡수하는 개방구멍을 토출부에 대응시키는 구성을 개시하는 일본국 특개소 59년 제138461호 공보에 입각한 구성으로도 본 발명은 유효하다.
그 위에 기록장치가 기록될 수 있는 최대 기록매체의 폭에 대응한 길이를 갖는 플라인 타입의 기록헤드로서는 상기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것과 같은 복수기록헤드의 조합에 의하여, 그 길이를 만족하는 구성이나 일체적으로 형성된 일개의 기록헤드로서의 구성의 어느것도 좋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효과를 한층 유효하게 발휘할 수가 있다.
더하여, 장치 본체에 장착되는 것으로서 장치본체와의 전기적인 접속이나 장치본체로부터의 잉크의 공급이 가능하게 되는 교환이 자유로운 칩타입의 기록헤드 자체에 일체적으로 설치된 카트리지 타입의 기록헤드를 사용한 경우에도 본 발명은 유효하다.
또 본 발명의 기록장치의 구성으로서 설치되는, 기록헤드에 대한 회복수단, 예비적인 보조수단 등을 부가하는 것은 본 발명의 효과를 한층 안정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한 것이다.
이를 구체적으로 들면, 기록헤드에 대한 캐핑수단, 클리닝수단, 가압 또는 흡인수단, 전기열 변환체 또는 이것과는 별도의 가열소자 또는 이들 조합에 의한 예비가열수단, 기록과는 별도의 토출을 행하는 예비토출모우드를 행하는 것도 안정한 기록을 행하기 위하여 유효하다.
그 위에 기록장치의 기록모우드로서는 흑색등의 주류색만이 기록모우드만이 아니고, 기록헤드를 일체적으로 구성하든가 복수개의 조합에 의하여도 좋지만, 상이하는 색의 복색컬러 또는 혼색에 의한 풀컬러의 적어도 하나를 갖춘 장치에도 본 발명은 극히 유효하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잉크를 액체로서 설명하고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실온에서 고체상인 잉크일지라도, 실온에서 연화상태로 되는 잉크일지라도 사용할 수가 있다.
상술의 잉크제트장치에서는 잉크자체를 30℃ 이상 70℃ 이하의 범위내에서 온조정을 행하더라도 잉크의 점성을 안정토울범위에 있도록 온도제어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사용기록 신호부여시의 잉크가 액상으로 되는 것이면 좋다.
더하여, 적극적으로 열에너지에 의한 승온을 잉크의 고형상태로부터 액체상태로의 상태변화의 에너지로서 사용케 하는 것으로 방지하든가 또는 잉크의 증발방지를 목적으로 하여 방지 상태에서 고화하는 잉크를 사용하든가 하여 어느 것으로 하더라도 열에너지의 기록신호에 따른 부여에 의하여 잉크가 액화하여 잉크액상으로서 토출하는 것이나, 피기록재에 도달하는 시점에서 이미 고화하기 시작하는 등과 같은, 열에너지에 의하여 비로서 액화하는 성질의 잉크사용도 본 발명에는 적용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경우 잉크는 일본국 특개소 54-56847호 공보 또는 동 특개소 60-71260호 공보에 기재되는 것과 같은 다공질쉬트의 오목부 또는 관통구멍에 액상 또는 고형용로서 유지된 상태에서 전기열 변환체에 대하여 대향하는 것과 같은 형태로도 좋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술한 각 잉크에 대하여 가장 유효한 것은 상술한 막비등방식을 실행하는 것이다.

Claims (16)

  1. 내부에 쉬트(13)를 지지하기 위한 쉬트수용수단(50), 상기 쉬트수용수단으로부터 쉬트를 송출시키기 위한 쉬트운송수단(41), 송출된 쉬트를 편향시키기 위한 경로면(31)이며 여기에서 상기 쉬트는 소정의 방향으로 안내되도록 상기 경로면에 대항하여 맞닿는 경로면(31), 상기 경로면에 면하는 상기 쉬트의 표면에 대향하여 있는 표면과 접촉함으로써 송출된 쉬트에 마찰력을 가하기 위한 회전운송수단(42) 및 회전운송수단으로부터 송출된 쉬트를 송출시키기 위한 상기 회전운송수단의 하류쪽으로 배열된 운송수단(14)을 포함하는 쉬트송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회전운동수단(42)은 빠르게 회전하기에 적합하게 되어 있어 그 원주속도는 상기 운송수단(14)의 송출속도보다 빠르며 이에 따라 상기 회전운송수단(42)은 송출된 쉬트에 미끄럼이동하여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쉬트급송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운송수단(42)은 전체 또는 상기 쉬트(13)에 미끄럼 이동하여 접촉하는 상기 회전운송수단의 일부분이 마찰계수가 큰 재료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쉬트급송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운송수단은 미끄럼 접촉로울러(4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쉬트급송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마찰계수가 크며 상기 미끄럼 접촉로울러(42)의 원주표면에 장착되어 있는 부재(116)를 갖추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쉬트급송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면(31)은 상기 쉬트급송수단(41)의 쉬트 송출 방향에 횡단 교차하는 방향으로 향한 평탄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쉬트급송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쉬트급송수단(41)으로부터 송출된 상기 쉬트(13)는 상기 경로면(31)에 의하여 상기 쉬트급송수단(41)의 상기 쉬트송출방향에 대하여 약 45° 내지 75°의 각도만큼 편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쉬트급송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운송수단(42) 및 상기 쉬트급송수단(41)은 동일 구동원(34)에 의해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쉬트급송장치.
  8. 제1항 내지 제7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면(31)을 따라 쉬트(13)를 수동으로 급송시키기 위한 수동쉬트급송수단(43,44)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쉬트급송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수동쉬트급송수단(43,44)에 의해 삽입된 상기 쉬트(13)는 상기 경로면(31)과 상기 회전운송수단(42) 사이로 송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쉬트급송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수동쉬트급송수단(43,44)은 수동쉬트삽입개구와 상기 삽입 개구 부근에 배열된 트레이(4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쉬트급송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운송수단(42)은 운송력을 상기 쉬트수용수단(50)으로부터 송출된 쉬트(13)에 적용시키기에 적합하게 되어 있으며, 상기 수동쉬트급송수단(43,44)에 의해 삽입된 쉬트를 안내하기에 적합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쉬트급송장치.
  12. 내부에 쉬트(13)를 지지하기 위한 쉬트수용수단(50), 상기 쉬트수용수단으로부터 쉬트를 송출시키기 위한 쉬트운송수단(41), 송출된 쉬트를 편향시키기 위한 경로면(31)이며 여기에서 상기 쉬트는 소정의 방향으로 안내되도록 상기 경로면에 대항하여 맞닿는 경로면(31), 상기 경로면에 면하는 상기 쉬트의 표면에 대향하여 있는 표면과 접촉함으로써 송출된 쉬트에 마찰력을 가하여 위한 회전운송수단(42) 및 회전운송수단으로부터 송출된 쉬트를 송출시키기 위한 상기 회전운송수단의 하류쪽으로 배열된 운송수단(14)으로 구성되어 있는 쉬트급송장치로서, 상기 회전운송수단(42)은 빠르게 회전하기에 적합하게 되어 있어 그 원주속도는 상기 운송수단(14)의 송출속도보다 빠르며 이에 따라 상기 회전운송수단(42)은 송출된 쉬트에 미끄럼 이동하여 접촉하는 쉬트급송장치 및 상기 경로면(31)에 의해 안내된 쉬트(13)상에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화상형성수단(10)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운송수단(14)을 구동하기 위한 상기 구동원(34)으로부터 상기 회전운송수단(42) 및 상기 쉬트급속수단(41)까지 구동력을 전달시키기 위한 구동력 전달수단(33,46,48,93-98)을 갖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4.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쉬트수용수단(50), 상기 쉬트급송수단(41) 및 상기 경로면(31)은 상기 화상형성수단(10)으로부터 분리된 쉬트급송부분(30,40)을 구성하며, 상기 쉬트급송부분(30,40)을 상기 화상형성수단에 제거 가능하게 장착시키기 위한 연결수단(38,39)을 더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쉬트급송부분(30,40)은 상기 화상형성수단(10)에 장착되어 있어 상기 쉬트급송부분(30,40)의 길이방향은 수직으로 향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형성수단(10)은 전기/열 컨버터에 의해 발생된 열에너지를 사용하는 잉크를 방출함으로써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잉크분사기록방법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KR1019910013818A 1990-08-10 1991-08-10 쉬트급송장치 및 화상형성장치 KR96001030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212516 1990-08-10
JP21251590A JP2902075B2 (ja) 1990-08-10 1990-08-10 自動給紙装置
JP2212519A JPH0494342A (ja) 1990-08-10 1990-08-10 自動給紙装置
JP2-212520 1990-08-10
JP2-212517 1990-08-10
JP2212514A JP2700353B2 (ja) 1990-08-10 1990-08-10 記録装置
JP2-212514 1990-08-10
JP2212520A JP2750633B2 (ja) 1990-08-10 1990-08-10 自動給紙装置
JP2212516A JP2687040B2 (ja) 1990-08-10 1990-08-10 自動給紙装置
JP2212517A JPH0494331A (ja) 1990-08-10 1990-08-10 自動給紙装置
JP2-212515 1990-08-10
JP2-212519 1990-08-10
JP2-212518 1990-08-10
JP2212518A JPH0494333A (ja) 1990-08-10 1990-08-10 自動給紙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4174A KR920004174A (ko) 1992-03-27
KR960010302B1 true KR960010302B1 (ko) 1996-07-30

Family

ID=275665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13818A KR960010302B1 (ko) 1990-08-10 1991-08-10 쉬트급송장치 및 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238235A (ko)
EP (1) EP0471315B1 (ko)
KR (1) KR960010302B1 (ko)
CN (1) CN1057044C (ko)
DE (1) DE69116258T2 (ko)
ES (1) ES2082061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9031930T2 (de) * 1989-09-18 1998-05-28 Canon Kk Tintenstrahlaufzeichnungsapparat
JPH0597314A (ja) * 1991-10-02 1993-04-20 Canon Inc 記録装置
US5480132A (en) * 1992-06-29 1996-01-02 Canon Kabushiki Kaisha Sheet transport apparatus with disengagement means to allow reverse sheet movement
JP3109924B2 (ja) * 1992-10-29 2000-11-20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搬送装置
EP0832754B1 (en) * 1992-12-28 2003-07-09 Canon Kabushiki Kaisha Sheet convey apparatus
JPH06321379A (ja) * 1993-05-10 1994-11-22 Canon Inc 自動給送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記録装置
US6619795B1 (en) * 1993-11-10 2003-09-16 Canon Kabushiki Kaisha Ink jet recording apparatus
JP3098369B2 (ja) * 1993-12-15 2000-10-16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給送装置及び記録装置
JP3311157B2 (ja) * 1994-07-29 2002-08-05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材給送装置及び記録装置
EP0694490B1 (en) * 1994-07-29 2000-05-31 Canon Kabushiki Kaisha Sheet supply apparatus
CN1091691C (zh) * 1996-09-18 2002-10-02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图像印制装置
JP3281568B2 (ja) * 1997-03-27 2002-05-13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材搬送装置及び画像処理装置
IT1297348B1 (it) * 1997-12-29 1999-09-01 Olivetti Canon Ind Spa Dispositivo per rialimentare un foglio per copiatura in duplex e relativo metodo di funzionamento
JP3697059B2 (ja) * 1998-04-15 2005-09-21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3526209B2 (ja) * 1998-04-15 2004-05-10 キヤノン株式会社 給紙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EP1053961B1 (en) * 1999-05-14 2006-06-14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US6181908B1 (en) * 1999-09-10 2001-01-30 Lexmark International, Inc. Apparatus for corrugating materials
US6550760B1 (en) 2000-10-18 2003-04-22 Eastman Kodak Company Spring nail for a sheet feeding device
JP4571330B2 (ja) * 2001-04-06 2010-10-27 株式会社日本コンラックス 紙葉類収容装置
US8328350B2 (en) * 2002-02-28 2012-12-11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Vertical mount printing device
CN100368207C (zh) * 2002-08-20 2008-02-13 夏普株式会社 送纸装置以及具有该送纸装置的图像形成装置
JP4022765B2 (ja) * 2003-08-12 2007-12-1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自動給送装置を備えた記録装置および自動給送装置
JP4612829B2 (ja) * 2003-12-24 2011-01-12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4415792B2 (ja) * 2004-08-24 2010-02-17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記録装置
JP4612872B2 (ja) * 2005-06-30 2011-01-12 キヤノン株式会社 給紙装置、並びに記録装置及び画像読取装置
US7926934B2 (en) * 2006-02-20 2011-04-19 Canon Kabushiki Kaisha Recording sheet containing cassette and printer apparatus using the same cassette
US7850300B2 (en) * 2007-01-04 2010-12-14 Kabushiki Kaisha Toshiba Image forming apparatus
JP4915524B2 (ja) * 2007-07-20 2012-04-1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被記録材のサポート装置及び記録装置
JP5031653B2 (ja) * 2008-04-24 2012-09-19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5384321B2 (ja) * 2009-12-28 2014-01-08 富士通フロンテック株式会社 紙葉類処理装置及び紙葉類処理方法
JP5577935B2 (ja) * 2010-08-18 2014-08-2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プリンター
CN110255233B (zh) * 2019-06-14 2024-03-22 国网河北省电力有限公司物资分公司 一种两联发票分离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87448A (en) * 1970-12-28 1972-08-29 Xerox Corp Sheet feeding apparatus
US4113244A (en) * 1975-04-15 1978-09-12 Kurt Ruenzi Apparatus for automatically feeding individual sheets from a stack through an office machine
US4202621A (en) * 1977-06-03 1980-05-13 Canon Kabushiki Kaisha Recording device
CA1120982A (en) * 1977-07-07 1982-03-30 George A. Thomson Water lubricated sleeve bearing
CA1127227A (en) * 1977-10-03 1982-07-06 Ichiro Endo Liquid jet recording process and apparatus therefor
JPS5936879B2 (ja) * 1977-10-14 1984-09-06 キヤノン株式会社 熱転写記録用媒体
US4330787A (en) * 1978-10-31 1982-05-18 Canon Kabushiki Kaisha Liquid jet recording device
US4345262A (en) * 1979-02-19 1982-08-17 Canon Kabushiki Kaisha Ink jet recording method
US4463359A (en) * 1979-04-02 1984-07-31 Canon Kabushiki Kaisha Droplet generating method and apparatus thereof
US4313124A (en) * 1979-05-18 1982-01-26 Canon Kabushiki Kaisha Liquid jet recording process and liquid jet recording head
JPS55155366A (en) * 1979-05-24 1980-12-03 Canon Inc Copier having manual paper insertion mechanism
US4326222A (en) * 1980-02-11 1982-04-20 Exxon Research & Engineering Co. Method of and apparatus for facsimile sheet feeding
US4319740A (en) * 1980-06-23 1982-03-16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Sheet feeder
US4558333A (en) * 1981-07-09 1985-12-10 Canon Kabushiki Kaisha Liquid jet recording head
JPS58224948A (ja) * 1982-06-24 1983-12-27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S59203018A (ja) * 1983-04-30 1984-11-17 Toshiba Corp 紙葉類の給送装置
JPS59123670A (ja) * 1982-12-28 1984-07-17 Canon Inc インクジエツトヘツド
JPS59138461A (ja) * 1983-01-28 1984-08-08 Canon Inc 液体噴射記録装置
JPS606540A (ja) * 1983-06-25 1985-01-14 Fuji Xerox Co Ltd 複写機の用紙給紙装置
JPS6071260A (ja) * 1983-09-28 1985-04-23 Erumu:Kk 記録装置
DE3444557C2 (de) * 1983-12-06 1994-11-24 Canon Kk Drucker
JPS61229733A (ja) * 1985-04-05 1986-10-14 Canon Inc シ−ト給送機構を有する画像形成装置
JPH0639297B2 (ja) * 1985-05-30 1994-05-25 三田工業株式会社 反転給紙装置
CH678169A5 (ko) * 1988-03-07 1991-08-15 Rutishauser Data Ag
JPH028444A (ja) * 1988-06-27 1990-01-11 Sanko Metal Ind Co Ltd 屋根の継手構造
JPH0734142B2 (ja) * 1988-09-27 1995-04-12 三田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DE69020670T2 (de) * 1989-09-18 1996-02-22 Canon Kk Automatische Blattzuführvorricht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471315A2 (en) 1992-02-19
US5238235A (en) 1993-08-24
DE69116258T2 (de) 1996-06-13
EP0471315B1 (en) 1996-01-10
ES2082061T3 (es) 1996-03-16
CN1057044C (zh) 2000-10-04
DE69116258D1 (de) 1996-02-22
CN1058747A (zh) 1992-02-19
KR920004174A (ko) 1992-03-27
EP0471315A3 (en) 1992-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10302B1 (ko) 쉬트급송장치 및 화상형성장치
JP4244960B2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US7722182B2 (en) Inkjet recording device and driving unit provided therein
RU2256560C2 (ru) Печата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EP0418793A1 (en) Recording apparatus
US20080048387A1 (en) Recording apparatus
JP5023722B2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KR102283718B1 (ko) 염료 승화형 프린터 및 기록매체
US6921217B2 (en) Gap adjusting device, recording apparatus and liquid ejection apparatus
JP3907535B2 (ja) 印刷装置および用紙カートリッジ
JPH0577507A (ja) 記録装置
JP7056266B2 (ja) シート切断装置、画像形成装置
JPH04288261A (ja) 記録装置
JP2700353B2 (ja) 記録装置
JP2007030195A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H02179759A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2750633B2 (ja) 自動給紙装置
JP2687040B2 (ja) 自動給紙装置
JP2902075B2 (ja) 自動給紙装置
JP2006036516A (ja) 記録装置
JP2515595B2 (ja) 自動給紙装置
JPH04303336A (ja) 自動給紙装置
JP2008188786A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2607154B2 (ja) 記録装置
JP2007254121A (ja) 記録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723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