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10224Y1 - 통합동기시스템 - Google Patents

통합동기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10224Y1
KR960010224Y1 KR2019930030884U KR930030884U KR960010224Y1 KR 960010224 Y1 KR960010224 Y1 KR 960010224Y1 KR 2019930030884 U KR2019930030884 U KR 2019930030884U KR 930030884 U KR930030884 U KR 930030884U KR 960010224 Y1 KR960010224 Y1 KR 96001022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color
countdown
unit
horizo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3088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22039U (ko
Inventor
윤형식
Original Assignee
금성일렉트론 주식회사
문정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성일렉트론 주식회사, 문정환 filed Critical 금성일렉트론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30030884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10224Y1/ko
Publication of KR95002203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2203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1022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0224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04Synchronising
    • H04N5/08Separation of synchronising signals from picture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04Synchronising
    • H04N5/12Devices in which the synchronising signals are only operative if a phase difference occurs between synchronising and synchronised scanning devices, e.g. flywheel synchroni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44Colour synchronisation
    • H04N9/45Generation or recovery of colour sub-carri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rocessing Of Color Television Signa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통합동기시스템
제1도는 종래 색부반송파신호발생회로의 블럭도.
제2도는 종래 수평/수직동기신호발생회로의 블럭도.
제3도는 본 고안 통합동기시스템의 블럭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 : 제1위상검출부 22 : 브이씨오발진부
23 : 제1카운트다운부 24 : 제2위상검출부
25 : 제2카운트다운부 26 : 제3카운트다운부
27 : 제3위상검출부 28 : 제4카운트다운부
29 : 수평/수직동기신호분리부
본 고안은 통합동기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색부반송파신호 및 수평/수직동기신호를 통합적으로 동기시킬 수 있는 통합동기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색부반송파신호발생회로는 제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정발진자에 의한 색부반송파신호를 출력하는 브이씨오(VCO :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발진부(2)와, 외부에서 입력된 버스트 신호와 상기 브이씨오발진부(2)의 각 위상을 비교하여 일정한 위상차를 가질 때 상기 브이씨오발진부(2)로 하여금 색부반송파신호를 출력하게 하는 에이피씨(APC : Auto Phase Control)부(1)로 구성된다.
종래의 수평/수직동기신호발생회로는 제2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복합신호로부터 수평/수직동기신호를 분리하는 수평/수직동기신호분리부(13)와, 외부의 수정발진자에 의한 수평동기신호를 출력하는 수평 브이씨오발진부(15)와, 상기 수평/수직동기신호분리부(13)의 수평동기신호와 상기 수평브이씨오발진부(15)의 수평동기신호의 각 위상을 비교하여 서로간에 일정한 위상차를 가질 때 상기 수평브이씨오발진부(15)로 하여금 수직동기신호를 출력하게 하는 제1위상검출부와, 외부의 수정발진자에 의한 수직동기신호를 출력하는 수직브이씨오발진부(17)와, 상기 수평/수직동기신호분리부(13)의 수직동기신호와 상기 수직브이씨오발진부(17)의 수직동기신호의 각 위상을 비교하여 서로간에 일정한 위상차를 가질 때 상기 수직브이씨오발진부(17)로 하여금 수직동기신호를 출력하게 하는 제2위상검출부(16)로 구성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종래의 기술에 있어서, 먼저 제1도에서 에이피씨부(1)는 버스트신호와 브이씨오발진부(2)로부터 피드백받은 색부반송파신호의 각 위상을 비교하여 서로간에 일정한 위상차를 가질 때 브이씨오발진부(2)로 하여금 색부반송파신호를 출력하게 한다.
다음에, 제2도에서 먼저 복합신호가 입력되면 수평/수직동기신호분리부(13)는 그 복합신호로부터 수평/수직동기신호를 분리하여 수평동기신호는 제1위상검출부(14)에 그리고 수직동기신호는 제2위상검출부(16)에 각각 입력한다.
그러면 제1위상검출부(14)는 상기 수평/수직동기신호분리부(13)의 수평동기신호와 수평브이씨오발진부(15)로부터 피드백받은 수평동기신호의 각 위상을 비교하여 서로 일정한 위상차를 가질 때 수평브이씨오발진부(15)로 하여금 수평동기신호를 출력하게 한다.
그리고 제2위상검출부(16)는 상기 수평/수직동기신호분리부(13)의 수직동기신호와 수직브이씨오발진부(17)로부터 피드백받은 수직동기신호의 각 위상을 비교하여 서로간에 일정한 위상차를 가질 때 수직브이씨오발진부(17)로 하여금 수직동기신호를 출력하게 한다.
결론적으로 색부반송파신호와 수평/수직동기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3개의 브이씨오발진부가 필요한데, 색부반송파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색부반송파의 주파수(fc)에 대응하는 1개의 브이씨오발진부와 수평/수직동기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각각의 주파수(fH, fV)에 대응하는 각각 하나씩의 브이씨오발진부가 필요하다.
이와 같이 종래에는 색부반송파신호 및 수평/수직동기신호를 만들기 위해 3개의 브이씨오발진부를 필요로 함에 따라 그 3개의 브이씨오발진부에 대응하는 3개의 수정진동자를 달아 주어야 하므로 전체회로구성이 복잡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하나의 브이씨오발진부만으로 색부반송파회로와, 수평/수직동기신호를 얻을 수 있는 통합동기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에 따른 본 고안의 통합동기시스템은, 외부에서 입력된 복합신호로부터 수평/수직동기신호를 분리하는 수평/수직동기신호분리부와, 수정발진자에 의한 색부반송파신호(4fc)를 출력하는 브이씨오발진부와, 상기 브이씨오발진부의 색부반송파신호(4fc)를 4분주하여 색부반송파신호(4fc)를 출력하는 제1카운트다운부와, 상기 제1카운트다운부로부터 피드백받은 색부반송파신호(fc)와 외부로부터의 버스트신호의 각 위상을 비교하여 서로간에 일정한 위상차를 가질 때 브이씨오발진부를 통한 제1카운트다운부로 하여금 색부반송파신호를 출력하게 하는 제1위상검출부와, 상기 브이씨오발진부의 색부반송파신호(4fc)를 455분주하여 색부반송파신호(4fc/ 455)를 출력하는 제2카운트다운부와, 상기 제2카운트다운부의 색부반송파신호(4fc/455)를 2분주하여 색부반송파신호(2fc/455)를 출력하는 제3카운트다운부와, 상기 제3카운트다운부로부터 피드백받은 색부반송파신호(2fc/455)와 수평/수직동기신호분리부의 수평동기신호의 각 위상을 비교하여 서로간에 일정한 위상차를 가질 때 제2카운트다운부를 통한 제3카운트다운부로 하여금 수평동기신호를 출력하게 하는 제2위상검출부와, 상기 제2카운트다운부의 색부반송파신호(4fc/455)를 525분주하여 색부반송파신호(4fc/238875)를 출력하는 제4카운트다운부와, 상기 제4카운트다운부로부터 피드백받은 색부반송파신호(4fc/238875)와 수평/수직동기신호분리부(29)의 수직동기신호의 각 위상을 비교하여 서로간에 일정한 위상차를 가질때 제4카운트다운부로 하여금 수직동기신호를 출력하게 하는 제3위상검출부를 포함하고 있다. 이때 상기 모든 카운트다운부는 로직(I2L)를 사용한다.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하나의 구체적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이하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브이씨오발진부(22)가 색부반송파신호(4fc)를 출력하면 제1카운트다운부(23)는 그 색부반송파신호(4fc)를 4분주하여 색부반송파신호(fc)를 출력한다.
그러면 제1위상검출부(21)는 외부로부터 입력된 버스트신호와 상기 카운트다운부(23)로부터 피드백받은 색부반송파신호(fc)의 각 위상을 비교하여 서로간에 일정한 위상차를 가질 때 브이씨오발진부(22)를 통한 제1카운트다운부(23)로 하여금 색부반송파신호를 출력하게 한다.
한편 제2카운트다운부(25)는 상기 브이씨오발진부(22)의 색부반송파신호(4fc)를 455분주하여 색부반송파신호(4fc/455)를 출력하고, 제3카운트다운부(26)는 상기 제2카운트다운부(25)의 색부반송파신호(4fc/455)를 2분주하여 색부반송파신호(4fc/455)를 출력한다.
이때 색부반송파신호(4fc)를 455분주하는 이유는 티브이(TV)영상신호에서 색부반송파신호(fc)와 수평동기신호(fH)가 다음의 관계식(1)으로 나타낸 바와 같은 특성을 갖기 때문이다.
fH= (2fc)/455 ……………………… (1)
그리고 제2위상검출부(24)는 상기 제3카운트다운부(26)로부터 피드백받은 색부반송파신호(2fc/455)와 수평/수직동기신호분리부(29)가 복합신호를 분리하여 얻은 수직동기신호의 각 위상을 비교하여 서로간에 일정한 위상차를 가질 때 제2카운트다운부(25)를 통한 제3카운트다운부(26)로 하여금 수평동기신호를 출력하게 한다.
그리고 제4카운트다운부(28)는 상기 제2카운트다운부(25)의 색부반송파신호(4fc/455)를 525분주하여 색부반송파신호(4fc/238875)를 출력한다.
이때 색부반송파신호(4fc/455)를 525분주하는 이유는 티브이(TV)영상신호에서 수평동기신호(fH)와 수직동기신호(fV)가 다음의 관계식(2)으로 나타낸 바와 같은 특성을 갖기 때문이다.
fV= (2fH)/525 ……………………… (2)
그리고 제3위상검출부(27)는 제4카운트다운부(28)로부터 피드백받은 색부반송파신호(4fc/238875)와 수평/수직동기신호분리부(29)가 복합신호를 분리하여 얻은 수직동기신호의 각 위상을 비교하여 서로간에 일정한 위상차를 가질 때 제4카운트다운부(28)로 하여금 수직동기신호를 출력하게 한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종래에는 3개의 브이씨오발진부로 인해 3개의 수정발진자가 필요함에 반해 본 고안은 1개의 브이씨오발진부만을 가지기 때문에 하나의 수정발진자만 있으면 되므로 외부소자가 줄어 전체회로가 간단해 진다는 효과를 가진다.

Claims (1)

  1. 외부에서 입력된 복합신호로부터 수평/수직동기신호를 분리하는 수평/수직동기신호분리부와, 수정발진자에 의한 색부반송파신호(4fc)를 출력하는 브이씨오발진부와, 상기 브이씨오발진부의 색부반송파신호(4fc)를 4분주하여 색부반송파신호(4fc)를 출력하는 제1카운트다운부와, 상기 제1카운트다운부로부터 피드백받은 색부반송파신호(fc)와 외부로부터의 버스트신호의 각 위상을 비교하여 서로간에 일정한 위상차를 가질 때 브이씨오발진부를 통한 제1카운트다운부로 하여금 색부반송파신호를 출력하게 하는 제1위상검출부와, 상기 브이씨오발진부의 색부반송파신호(4fc)를 455분주하여 색부반송파신호(4fc/ 455)를 출력하는 제2카운트다운부와, 상기 제2카운트다운부의 색부반송파신호(4fc/455)를 2분주하여 색부반송파신호(2fc/455)를 출력하는 제3카운트다운부와, 상기 제3카운트다운부로부터 피드백받은 색부반송파신호(2fc/455)와 수평/수직동기신호분리부의 수평동기신호의 각 위상을 비교하여 서로간에 일정한 위상차를 가질 때 제2카운트다운부를 통한 제3카운트다운부로 하여금 수평동기신호를 출력하게 하는 제2위상검출부와, 상기 제2카운트다운부의 색부반송파신호(4fc/455)를 525분주하여 색부반송파신호(4fc/238875)를 출력하는 제4카운트다운부와, 상기 제4카운트다운부로부터 피드백받은 색부반송파신호(4fc/238875)와 수평/수직동기신호분리부(29)의 수직동기신호의 각 위상을 비교하여 서로간에 일정한 위상차를 가질때 제4카운트다운부로 하여금 수직동기신호를 출력하게 하는 제3위상검출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동기시스템.
KR2019930030884U 1993-12-30 1993-12-30 통합동기시스템 KR96001022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30884U KR960010224Y1 (ko) 1993-12-30 1993-12-30 통합동기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30884U KR960010224Y1 (ko) 1993-12-30 1993-12-30 통합동기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2039U KR950022039U (ko) 1995-07-28
KR960010224Y1 true KR960010224Y1 (ko) 1996-11-28

Family

ID=193738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30884U KR960010224Y1 (ko) 1993-12-30 1993-12-30 통합동기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1022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2039U (ko) 1995-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15246B1 (ko) 디지털 표시 장치용 위상 동기 루프 회로
KR960010224Y1 (ko) 통합동기시스템
EP0899717B1 (en) Phase-locked loop circuit
US5126854A (en) Phase lock circuit for generating a phase synched synchronizing video signal
JPH08149000A (ja) Pll回路
GB2263836A (en) Horizontal synchroization circuit
KR0144885B1 (ko) 액정 프로젝터의 동기 신호 처리 회로
KR960011230B1 (ko) 동기회로
KR910013933A (ko) 디지탈 텔레비젼 수상기의 메인클럭 발생방법 및 회로
JPH09130237A (ja) Pll回路及び転送データ信号処理装置
JPS609284A (ja) 垂直フリ−ラン検出装置
KR100195086B1 (ko) 위상동기 루프 주파수 신서사이저 회로
KR200142415Y1 (ko) 전하결합소자 카메라의 동기장치
KR100219516B1 (ko) 수평 동기 신호용 위상 동기 루프
JPS63203064A (ja) ビデオカメラの同期信号発生装置
JPS62108695A (ja) カラ−テレビカメラの外部同期結合方式
KR19990001545A (ko) 영상처리 시스템에서의 동기신호 발생장치
JPH1117980A (ja) 垂直同期パルス発生回路
JPS6231270A (ja) ビデオカメラの外部同期回路
JPH0482481A (ja) クロック再生装置
JPH06222329A (ja) 液晶用バックライト駆動装置
KR20010075397A (ko) 멀티스탠다드 클록 회복 회로
JPH08336061A (ja) Pll装置
KR980007543A (ko) 위상 동기 루프의 수평동기신호 입력단 보상장치
JPH09284131A (ja) クロック発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116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