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11230B1 - 동기회로 - Google Patents

동기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11230B1
KR960011230B1 KR1019930017565A KR930017565A KR960011230B1 KR 960011230 B1 KR960011230 B1 KR 960011230B1 KR 1019930017565 A KR1019930017565 A KR 1019930017565A KR 930017565 A KR930017565 A KR 930017565A KR 960011230 B1 KR960011230 B1 KR 9600112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synchronization
generating
frequency
oscil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175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7416A (ko
Inventor
김성언
Original Assignee
삼성항공산업 주식회사
이대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항공산업 주식회사, 이대원 filed Critical 삼성항공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300175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11230B1/ko
Publication of KR9500074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74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112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123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ynchronizing For Television (AREA)
  • Processing Of Color Television Signals (AREA)
  • Stabilization Of Oscillater, Synchronisation, Frequency Synthesiz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동기회로
제1도는 종래의 동기회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한 일 실시예의 동기회로의 블럭도.
제3도는 본 발명에 의한 다른 실시예의 동기회로의 블록도.
본 발명은 동기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용교류전원 주파수에 동기된 동기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동기회로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감시카메라시스템은 복수의 비디오 카메라를 서로 동기시키기 위하여 외부동기신호를 비디오카메라에 공급하고 있따. 제1도를 참조하면, 종래의 동기회로는 타이밍클럭발생부(10), 동기부(12), 외부동기제어부(14), 동기분리부(16) 및 PLL(18)을 구비한다.
카메라의 외부동기의 제어를 흑백영상신호의 경우에는 수평동기 신호에 대해서먼 행하고 컬러영상신호에 대해서는 휘도신호의 수평동기 신호와 색신호의 색부반송파(fsc)의 양신호에 대하여 외부신호와의 비교에 의한 동기일치를 꾀하고 있다. 즉 종래의 기술은 동기의 기준이 되는 동기신호(또는 복합영상신호)가 외부의 복합영상신호나 동기신호에 의해서 만들어지므로 동기는 두 기기 사이에서 신호의 상호 접속을 통해서만 가능하다. 이러한 동기 방식은 특정의 두 기기의 동기일치에는 효과적이지만 어떤 전체적인 시스템에서 필요할 수 있는 일반적인 기준의 제공이 어렵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일반적인 동기의 기준으로 전원주파수를 이용함으로써 시스템 전체의 동기일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동기회로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발명은 전원으로부터 전원주파수를 가진 구형파를 발생하기 위한 제1동기신호발생부; 상기 제1동기신호와 제2동기신호의 위상을 비교해서 위상차에 따른 에러전압을 발생하는 위상비교기; 상기 에러전압에 따라 주파수가 가변되는 제1발진신호를 발생하는 발진기; 상기 제1발진신호를 입력해서 2분주한 2분주신호를 발생하는 타이밍클럭발생부; 및 상기 2분주신호를 입력해서 상기 제2동기신호를 발생하는 동기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한 동기회로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블록구성도이다.
제2도에서 60Hz의 주파수를 가진 상용교류전원을 스위칭회로(20)에서 입력해서 60Hz구형파를 출력한다. 이어서 60Hz 구형파는 단안정멀티바이브레이터(22)에 입력해서 구형파에 동기되고 소정의 펄스폭을 가진 제1동기신호(VD1)를 출력한다. 위상비교기(24)에서는 제1동기신호(VD1)와 제2동기신호(VD2)의 위상을 비교해서 위상차를 검출하고 검출된 위상차에 대응하는 에러진압(VE)을 출력한다. 발진기(26)에서는 에러전압(VE)에 응답하여 출력신호(Vosc)의 발진 주파수를 변화시킨다. 발진기(26)의 출력신호(Vosc)는 중심주파수가 28.6363MHz이며 에러전압(VE)에 응답해서 가감변화된다.
타이밍클럭발생부(28)는 발진기(26)의 출력신호(Vosc)를 입력 해서 2분주한 신호(Vx)를 동기부(30)에 제공한다. 동기부(30)는 14.318MHz의 주파수를 가진 신호(Vx)를 입력해서 제2동기신호(VD2)와 제3동기신호(HD)를 발생해서 타이밍클럭발생부(28)에 공급한다. 이 제2동기신호(VD2)가 상술한 위상비교기(24)에 제공된다.
한편, 색부반송파의 주파수와 위상은 주파수변동에 민감하므로 수정발지기(32)에서 28.6363MHz신호를 발생하고, 이 신호를 분주기(34)에서 2분주해서 14.31MHz를 발생시켜서 인코더(30)에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는 수직동기신호(VD)는 전원으로부터 얻은 제1동기신호(VD1)의 60Hz 전원 주파수에 록킹되어 동기되며, 색신호는 각 기기별로 수정발진기를 사용해서 기준색부 반송파신호(4fsc)를 얼음으로써 색신호의 주파수변동을 피한면서 기기간의 상호동기를 전원주파수로 용이하게 일치시킬 수 있다.
제3도는 본 발명에 의한 PAL방식 동기회로의 다른 실시예의 블록구성도이다. 제3도에서는 제2도의 일 실시예에 비해 다른점은 발진기(27)의 전원주파수에 록킹된 28.375MHz의 제1발진신호(Vosc1)와 수정 발진기(32)의 제2발진신호(Vosc2)를 선택수단(40)을 통해서 선택적으로 타이밍클럭발생부(28)에 공급하며, 발진기(27)는 내부동기/전원동기 절환신호(S1)에 따라 인에이블되며, 동기부(31)는 17.734MHz의 발진기(38)로부터 발진신호(Vosc3)를 공급받으며, 인코더(36)에 색부반송파(4fsc)신호를 공급한다는 점이 다르다.
선택수단(40)은 내부동기/전원동기 절환신호(S1)가 하이로 액티브될 때 수정발진기(32)의 발진신호(Vosc2)를 게이트출력하는 NAND게이트(G1)와, 상기 NAND게이트(G1)의 출력신호와 발진기(27)의 발진신호(Vosc1)를 각각 입력해서 타이밍클럭발생부(28)에 공급하는 NAND 게이트(G2)로 구성한다.
발진기(27)는 내부동기/전원동기절환신호(S1)의 하이액티브시에 디스에이블되고 로우액티브시에 인에이블되기 위해서 인버터(INV)를 통해서 내부동기/전원동기절환신호(S1)를 공급받는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NTSC 또는 PLA 방식의 동기회로에 있어서 수직동기신호를 가장 일반적인 전원주파수에 동기되도록 함으로써, 복수의 카메라 기기들의 상호 동기를 위해 별도의 외부동기신호를 공급하지 않아도되며, 단지 각 기기에 전원만 공급시킴으로써 상호 동기가 일치되게 된다.

Claims (3)

  1. 전원으로부터 전원주파수를 가진 구형파를 발생하기 위한 제1동기신호발생부; 상기 제1동기신호와 제2동기신호의 위상을 비교해서 위상차에 따른 에러전압을 발생하는 위상비교기; 상기 에러전압에 따라 주파수가 가변되는 제1발진신호를 발생하는 발진기; 상기 제1발진신호를 입력해서 2분주한 2분주신호를 발생하는 타이밍클럭발생부; 및 상기 2분주신호를 입력해서 상기 제2동기신호를 발생하는 동기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회로는 안정된 주파수의 제2발진신호를 발생하는 수정발진기; 상기 제2발진신호를 2분주해서 분주신호를 발생해서 인코더에 색부반송파신호를 제공하는 분주기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회로.
  3. 전원으로부터 전원주파수를 가진 구형파를 발생하기 위한 제1동기신호발생부; 상기 제1동기신호와 제2동기신호의 위상을 비교해서 위상차에 따른 에러전압을 발생하는 위상비교기; 상기 에러전압에 따라 주파수가 가변되는 제1발진신호를 발생하며, 내부동기/ 전원동기 절환신호에 응답해서 인에이블제어되는 제1발진기; 안정된 주파수를 가진 제2발진신호를 발생하는 수정발진기; 상기 내부동기/전원동기 절환신호에 응답해서 상기 제1 및 제2발진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선택수단; 상기 선택된 발진신호를 입력해서 2분주한 분주신호를 발생하는 타이밍클럭발생부; 소정주파수의 제3발진신호를 발생하는 제2발진기; 및 상기 분주신호와 제3발진신호를 입력해서 상기 제2동기신호와 색부반송파 신호를 각각 발생하는 동기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회로.
KR1019930017565A 1993-08-31 1993-08-31 동기회로 KR9600112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17565A KR960011230B1 (ko) 1993-08-31 1993-08-31 동기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17565A KR960011230B1 (ko) 1993-08-31 1993-08-31 동기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7416A KR950007416A (ko) 1995-03-21
KR960011230B1 true KR960011230B1 (ko) 1996-08-21

Family

ID=193627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17565A KR960011230B1 (ko) 1993-08-31 1993-08-31 동기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1123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6351A (ko) * 2001-10-26 2001-11-29 임원일 폐타이어 연료로한 보일러 난방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7416A (ko) 1995-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00023126A (ko) 복합 동기 신호를 사용하는 외부 동기 시스템 및 이 외부동기 시스템을 사용하는 카메라 시스템
KR910010112B1 (ko) 영상신호 합성장치.
KR960011230B1 (ko) 동기회로
US5912714A (en) Clock generator for a video signal processing apparatus
JP2877683B2 (ja) ビデオカメラの外部同期方法
JPH0722380B2 (ja) 映像信号用位相ロツク回路
JPH08265600A (ja) ビデオカメラのフィールド同期装置
JP2945229B2 (ja) 液晶用バックライト駆動装置
JPH0229076A (ja) 周波数切替形電源同期テレビジョン方式
JP4509634B2 (ja) 同期信号発生回路及びこれを備えるカラーテレビジョンカメラ
KR960010224Y1 (ko) 통합동기시스템
KR200321225Y1 (ko) 카메라의 동기 제어 장치
KR0144885B1 (ko) 액정 프로젝터의 동기 신호 처리 회로
KR100468711B1 (ko) 감시용 카메라 시스템의 외부동기 모드 자동 판별 기능을 갖는외부 동기화 장치 및 동기화 방법
JPH0832833A (ja) ビデオシステムパルス生成回路
JP4178684B2 (ja) 外部同期システムおよびこれを用いたカメラシステム
JP2730031B2 (ja) 固体撮像素子の駆動回路
KR0147315B1 (ko) 비디오 카메라의 동기록킹 회로
JPH0898197A (ja) 撮像装置
JPH08294042A (ja) ビデオカメラ装置
KR200142415Y1 (ko) 전하결합소자 카메라의 동기장치
JPH08223444A (ja) テレビジョン機器等の外部同期方法
KR100189052B1 (ko) 팔-엠 방식의 컬러 씨씨디 카메라
JP2577975B2 (ja) 監視システム
JPS58196769A (ja) 同期信号発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724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