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9592B1 - 보올 엔드 밀 - Google Patents

보올 엔드 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9592B1
KR960009592B1 KR1019910008435A KR910008435A KR960009592B1 KR 960009592 B1 KR960009592 B1 KR 960009592B1 KR 1019910008435 A KR1019910008435 A KR 1019910008435A KR 910008435 A KR910008435 A KR 910008435A KR 960009592 B1 KR960009592 B1 KR 9600095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ing edge
tool
tip
main cutting
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084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07725A (ko
Inventor
에이쇼오 시라도리
타츠오 아라이
마사유키 오오가와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 마테리알 가부시기가이샤
후지무라 마사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 마테리알 가부시기가이샤, 후지무라 마사야 filed Critical 미쓰비시 마테리알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9200077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77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95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959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5/00Milling-cutters
    • B23C5/02Milling-cutte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cutter
    • B23C5/10Shank-type cutters, i.e. with an integral shaft
    • B23C5/1009Ball nose end mills
    • B23C5/1027Ball nose end mills with one or more removable cutting inserts
    • B23C5/1045Ball nose end mills with one or more removable cutting inserts having a cutting insert, the cutting edge of which subtends substantially 90 degre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5/00Milling-cutters
    • B23C5/02Milling-cutte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cutter
    • B23C5/10Shank-type cutters, i.e. with an integral shaf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lling Processes (AREA)

Abstract

없음.

Description

보올 엔드 밀
제1도 내지 제 5 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표시하는 것으로,
제1도는 공구측방에서의 주절삭날의 측면도.
제2도는 경사면과 직교하는 방향에서의 주절삭날의 평면도.
제3도는 제 2 도의 III 방향에서의 화살표시도.
제4도는 공구저면의 확대도.
제5도는 제 3 도의 V 방향에서의 화살표시도.
제6도 내지 제 8 도는 다른 실시예를 표시하는 도면으로,
제6도는 경사면과 직교하는 방향에서의 주절삭날의 평면도.
제7도는 제 6 도의 VII방향에서의 화살표시도.
제8도는 제 6 도의 VIII-VIII선에 있어서의 단면도.
제9도 내지 제12도는 또 다른 실시예를 표시하는 도면으로,
제9도는 경사면과 직교하는 방향에서의 주절삭날의 평면도.
제10도는 제 9 도의 X 방향에서의 화살표시도.
제11도는 제 9 도의 XI-XI선에 있어서의 단면도.
제12도는 제 9 도의 XII-XII 선에 있어서의 단면도.
제13도 내지 제17도는 종래예를 표시하는 도면으로,
제13도는 공구의 평면도.
제14도는 저면도.
제15도는 제14도의 XV 방향에서의 화살표시도.
제16도는 제14도의 XVI 방향에서의 화살표시도.
제17도는 저면의 확대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6a : 주절석날의 경사면10 : 주절삭날
13 : 부절삭날20 : 공구본체
30 : 브레이커홈γA1: 주절삭날의 축방향경사각
γA2: 부절석날의 축방향경사각Po : 공구회전중심.
본 발명은, 공구본체의 선단부에 대략 원호형상의 절삭날이 형성된 보올엔드밀에 관하며, 상세하게는 공구의 절삭성을 과도하게 열화시키는 일 없이 충분한 공구강성을 확보하여 균열진동을 억제할 수 있는 보울엔드밀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 종류의 보올엔드밀로서는, 예컨대 제13도 및 제14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축형상을 이루는 공구본체(1)의 선단반구부(先端半球部)(1a)에 두개의 포켓(2)(3)이 형성되고, 이들 포켓(2)(3)의 회전방향을 향하는 벽면(2a)(3a)에 형성된 팁부착시트(4)(5)에 1개씩 합계 2개의 드로우어웨이팁(이하, 팁이라 약칭한다)(6)(7)이 볼트(15)로 착탈자재하게 장착된 이른바 드로우어웨이식 보올밀이 알려져 있다.
여기에서, 상기한 팁(6)(7)은, 어느 것이나 초경합금을 두께가 일정한 평판형상으로 형성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한쪽의 메인팁(main tip)(6)의 경사면(6a)과 측면(6b)과의 능선부에는 대략 1/4원호형상의 원호날(8)과, 이 원호날(8)의 후단에 연속하는 직선날(9)로 이루어지는 주절삭날(10)이 팁 중심에 대하여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한 메인팁(6)의 원호날(8)의 선단부에는 팁시트면(6c)으로 향하여 볼록곡선을 그리면서 연장되는 만곡부(8a)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바이스 팁(vice tip)(7)은, 경사면(7a)과 측면(7b)과의 능선부에 대략 1/4원호형상의 원호날(11)과 이 원호날(11)의 후단에 연속하는 직선날(12)로 이루어지는 부절삭날(13)이 형성되는 점에서 상기한 메인팁(6)과 대략 동일한 구성을 가지고 있으나, 원호날(11)의 선단측에 직선날(12)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절결면(14)이 형성되는 점에서 메인팁(6)과 다르게 되어 있다.
그리고, 제15도 내지 제17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한 각 팁(6)(7)은 메인팁(6)의 주절삭날(10) 선단이 공구축선방향에서 저면으로 볼때 공구회전중심(Po)에 일치하고, 다른 한편, 바이스 팁(7)의 부절삭날(13)의 선단이 회전중심(Po)으로부터 회전하도록 각각 위치결정되고, 볼트(15)로 체결되어서 공구본체(1)에 착탈자재하게 장착된다.
이때, 각 절삭날(10)(13)의 축방향 경사각(γA)은 어느 것이나 정각(正角)으로 설정되고, 이 때문에 제17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주절삭날(10) 및 부절삭날(13)은 다함께 공구축선방향으로부터의 저면을 보면 팁착좌면(6c)(7c)축에 중심(P1)(P2)을 보유하는 원호를 그리게 된다.
그런데, 상술한 종래의 보올엔드밀에 있어서는, 주절삭날(10) 및 부절삭날(13)의 축방향경사각(γA)을 어느 것이나 정각으로 설정하고 있으므로, 칩포켓(2)(3)의 회전방향을 향하는 벽면(2a)(3a)이나 팁부착시트(4)(5)의 저면(4a)(5a)을 공구후단측으로 향할수록 점차 공구회전방향과 반대축으로 경사하는 경사면형상으로 형성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칩포켓(2)(3) 배후의 공구본체(1)의 두께(t)(제15도 참조)가 공구후단측으로 향함에 따라서 서서히 감소하고, 이에 따라서 공구강성이 열화함으로써 미세진동을 초래하는 등의 폐해가 생겨, 때로는 특히 절삭하중이 큰 주절삭날(10)의 쪽에서 공구절손이 생기는 일조차 있었다.
이와 같은 결점을 해소하기 위하여는, 주절삭날(10) 및 부절삭날(13)의 축방향경사각(γA)을 다같이 부각(마이너스각)으로 하여 칩포켓(2)(3) 배후의 두께(t)를 증가시키면 좋으나, 이런 경우에는 주절삭날(10) 및 부절삭날(13)에 가해지는 절삭저항이 다같이 증대하여 공구의 절삭성이 열화하고, 절삭시의 소요동력의 증가나 절삭날결손의 발생빈도의 증가 등의 폐해를 초래하게 된다.
본 발명은 이와같은 배경하에 이루어진 것으로, 공구의 절삭성을 과도하게 열화시키는 일없이, 일정한 공구강성을 확보하여 공구의 미세진동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보올엔드밀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이 보올엔드밀은, 주절삭날의 축방향경사각을 마이너스각으로, 상기한 부절삭날의 축방향경사각을 정각으로 설정한 것이다.
이 경우, 주절삭날의 절삭성을 가일층 향상시키려면 주절삭날의 경사면에 브레이커홈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브레이커홈의 홈폭 혹은 홈깊이를 주절삭날의 선단으로부터 후단측으로 향함에 따라 점차 증대시키거나, 혹은 홈폭 및 홈깊이를 다함께 주절삭날 선단측으로 부터 후단측으로 향함에 따라 증대시키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절삭시에 보다 큰 절삭하중이 가하여지는 주절삭날의 축방향 경사각이 마이너스각으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이에 따라서 주절삭날측의 칩포켓이 공구축방향 후단측으로 향함에 따라서 점차 공구 회전방향 측으로 경사지게 된다.
따라서, 특히 강성을 필요로 하는 주절삭날용의 칩포켓 배후의 두께가 공구후단부측에서 증대하여 충분한 강성이 확보된다.
이 경우 축방향경사각을 마이너스각으로 설정하는 것에 의하여, 주절삭날의 절삭저항이 다소 증가하기는 하지만, 공구강성의 증가 정도가 이것을 상회하므로, 미세진동이 오히려 증가하는 등의 폐해가 생길 염려가 없다. 한편, 부절삭날의 축방향경사각은, 종래와 같이 정각으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절삭저항이 작고 이 결과, 공구의 절삭성 저하도 최소한도로 억제된다.
또한, 부절삭날측에 가해지는 절삭하중은 주절삭날측에 비하여 훨씬 적으므로, 부절삭날의 축방향경사각을 정각으로 하여도 공구강성이 부족해지는 일은 없다.
또한, 주절삭날의 축방향경시각의 직각으로 되기 때문에, 주절삭날의 공구축선방향으로 부터의 측면으로 보았을 때, 주절삭날의 후단측이 선단측보다도 공구회전방향측으로 돌출하고, 이에 의하여 주절삭날은 후단측으로 부터 점차 피절삭재로 절입한다.
한편, 부절삭날은 축방향경사각이 정각이기 때문에, 평면으로 보았을때 부절삭날은 그 후단측이 선단측보다도 공구회전방향과 반대측으로 후퇴하고, 이에 의하여, 부절삭날은 그 선단측으로 부터 점차 피절삭재로 절입된다.
이 때문에 주절삭날 및 부절삭날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이 서로 지워지는 방향으로 진동하여, 균열진동의 성장이 저지된다.
또, 주절삭날의 경사면에 브레이커 홈을 형성한 경우에는, 주절삭날의 법선방향의 단면으로 보았을 때 경사각이 정각방향으로 변화하므로 그 만큼 절삭성이 향상된다.
이에 더하여, 원호형상을 이루는 주절삭날로 부터 생성되는 칩은 주절삭날의 선단측에서 얇게, 후단측에서 두껍게 변화하기 때문에, 브레이커 홈의 홈폭이나 홈깊이를 변화시킨 경우에는 칩의 두께에 따라서 필요 최소한의 브레이커홈을 확보하여, 공구강성의 저하를 최소한으로 억제하여 주절삭날의 절삭성이나 칩배출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제 1 도 내지 제 5 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보올앤드밀은 주절삭날의 축방향경사각에 특징을 가지는 것이지만, 그 설명에 앞서서 제 2 도 내지 제 4 도를 참조하여 보올앤드밀의 전체구성을 설명한다.
그리고, 상술한 종래예와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동일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제 2 도 및 제 3 도에 있어서, 부호(20)은 공구본체이다.
공구본체(20)의 선단부에는 대략 반구형상을 이루는 구상부(21)가 형성되고, 이 구상부(21)에는, 당해 구상부(21)의 외주를 대략 1/4둘레 절결하여서 된 두개의 칩포켓(22)(23)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칩포켓(22)(23)의 회전방향으로 향하는 벽면에는, 팁부착시트(24)(25)가 형성되며, 이들 팁부착시트(24)(25)에 메인팁(6), 바이스 팁(7)이 설치되어서 볼트(15)로 착탈자재하게 부착되어 있다. 여기에서, 제 3 도 및 제 4 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한 팁(6)(7)중, 메인팁(6)은 주절삭날(10)의 선단이 공구측선방향으로 부터 저면으로 보아 공구회전중심(Po)와 일치하도록 위치결정되어 있고, 한편 바이스팁(7)은 부절삭날(13)의 선단이 회전중심(Po)으로부터 공구외주측으로 후퇴하도록 위치결정되어 있다.
그리고, 제 1 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메인팁(6)이 장착되는 제 1 팁부착시트(24)의 저면(24a)은 공구축방향선단측으로 부터 후단측으로 향할수록 점차 공구회전방향측으로 경사하는 경사면으로 형성되고, 이에 의하여 주절삭날(10)의 축방향겅사각(γA1)은 마이너스각으로 설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 4 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공구축선방향으로 부터의 저면으로 보아 주절삭날(10)은, 원호날(8)의 만곡부(8a)가 공구회전중심(P1)으로부터 공구외주쪽으로 이간함에 따라서 공구회전방향측으로 돌출하는 원호를 그리는 것이나, 원호날(8)의 나머지 부분으로 부터 직선날(9)의 후단에 걸친 부분이 팁(6)의 경사면(6a)측으로 중심(P1)을 보유하는 원호를 그려서 직선날(9)의 후단이 가장 공구회전방향으로 돌출하고, 팁 시트면(6c)측에 중심(P1)을 보유하는 원호를 그리는 종래예(제17도 참조)와 현저하게 달라져 있다.
한편, 제 5 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바이스 팁(7)이 장착되는 제 2 의 팁부착시트(25)의 저면(25a)은 공구축방향 선단측으로 부터 후단측으로 향할수록 점차 공구회전방향과 반대측으로 경사하는 경사면으로 형성되고, 이에 의하여, 부절삭날(13)의 축방향경사각(γA2)은 종래와 같이 정각으로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공구축선방향으로 부터 저면으로 보아서 부절삭날(13)은 종래와 같이 팁시트면(7c)측에 중심(P2)을 보유하는 원호를 그리고 있다. 여기에서, 상기한 각 절삭날(10)(13)의 축방향경사각(γA1)(γA2)는 공구지름이나 피절삭재의 재질 등에 따라서 적당하게 변경되는 것이나, 되도록이면 주절삭날(10)의 축방향경사각(γA1)을 -5°~-1°의 범위로 하고 부절삭날(13)의 축방향경사각(γA2)을 1°~10°에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주절삭날(10)의 축방향경사각(γA1)이 -1°보다 정각측으로 치우친 경우나, 또는 부절삭날(13)의 축방향경사각(γA2)이 1°에 미치지 않는 경우에는, 이들 축방향경사각(γA1)(γA2)을 정부로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원 발명의 효과를 충분히 발휘할 수 없는 우려가 있고, 또 주절삭날(10)의 축방향경사각(γA1)이 -5°보다 마이너스각 측으로 치우친 경우에는 절삭저항 증가의 정도가 크게 되어서 공구의 절삭성이 현저하게 열화할 우려가 있고, 또한 부절삭날(13)의 축방향경사각(γA2)이 10°를 넘는 경우에는, 부절삭날용 칩포켓(23)의 배후의 두께(t2)가 과도하게 감소하여 공구강성이 부족한 우려가 생기기 때문이다. 덧붙이면, 도시한 예에서는 공구지름 25mm에 대하여 주절삭날(10)의 축방향경사각(γA1)을 마이너스각으로 설정하였으므로, 주절삭날용 칩포켓(22)의 회전방향을 향하는 벽면(22a)이나 제 1 팁부착시트(24)의 저면(24a)이 어느 것이나 공구후단측으로 향함에 따라 점차 공구회전 방향측으로 경사한다.
따라서, 칩포켓(22)배후의 두께(t1)가 종래에 비하여 대폭 증대하고 이 결과 공구강성이 향상하여 미세진동이나 공구절손의 발생이 억제된다. 이 경우, 주절삭날(10)의 축방향경사각(γA2)이 마이너스각으로 되기 때문에 주절삭날(10)에 가해지는 절삭하중이 증가하여 오히려 미세진동을 초래하는 것도 생각하지 않을 수 없으나, 실제로는 공구강성의 증가 정도가 절삭하중 증가의 정도를 훨씬 상회하므로 미세진동의 증대동을 초래할 우려는 없다.
한편, 부절삭날(13)의 축방향경사각(γA2)은 종래와 같이 정각(플러스각)으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부절삭날(13)의 축방향경사각(γA2)도 마이너스각으로 설정한 경우에 비하여 공구전체에 절삭성은 훨씬 양호하게 유지된다.
또, 부절삭용 칩포케(23)의 배후 두께(t2)가 공구후단쪽으로 향할수록 감소하지만, 부절삭날(13)에 가해지는 절삭하중은 주절삭날(10)에 비하여 훨씬 작으므로 공구강성에 미치는 영향이 적고, 따라서 공구 전체로서는 충분한 강성이 확보된다.
또, 본실시예의 보올앤드밀에 있어서는, 주절삭날(10) 및 부절삭날(13)이 피절삭재(미도시)로 절입할 때에 있어서, 주절삭날(10)은 그 직선날(9)의 후단측이 원호날(8)의 선단측보다도 공구회전방향으로 돌출하고 있으므로 직선날(9)측으로 부터 원호날(8)의 선단측으로 향하여 서서히 절입되어 가는 한편, 부절삭날(13)은 직선날(12)측이 공구회전방향과 반대측으로 후퇴하므로, 반대로 원호날(11)측에서 직선날(12)의 후단측으로 서서히 절입해 들어간다.
따라서 주절삭날(10) 및 부절삭날(13)로 부터 입력되는 진동이 서로 해소하는 방향으로 작용하고, 그 결과 미세진동의 성장이 억제된다고 하는 효과도 얻어진다.
덧붙이면, 종래예에서는 주절삭날(10) 및 부절삭날(13)이 다함께 원호날(8)(11)로부터 직선날(9)(12)측으로 절입되어 가기 때문에, 각 절삭날(10)(13)로 부터 전달되는 진동방향이 일치하기 쉽고, 그만큼 미세진동도 크게 성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특히 팁(6)(7)의 경사면(6a)(7a)이 어느 것이나 평면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예컨대, 제 6 도 내지 제 8 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메인팁(6)의 경사면(6a)에 주절삭날(10)에 따라서 미소간격9이하, 랜드폭이라고 칭한다)(a)를 유지하면서 연장하는 홈폭(W)의 브레이커홈(30)을 형성하여도 좋다.
이 경우에는 브레이커홈(30)에 의하여 주절삭날(10)의 법선방향의 단면시에 있어서의 경사각(이하, 팁경사각이라고 한다) γA3가 정각으로 되기 때문에, 주절삭날(10)의 절삭성이 향상함과 아울러, 칩배출성이 향상하여 칩저항이 가일층 감소한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한 렌트폭(a)에 대하여는 공구지름 등에 따라 적당하게 변경하여도 좋으나, 0.01~0.5mm의 범위가 가장 적합하게 사용된다.
여기에서, 상기한 실시예의 보올앤드밀과 같이 원호형상의 주절삭날(10)을 보유하는 것에 있어서는, 주절삭날(10)의 피삭재(도시생략)에 대한 지름 방향의 절입량이, 원호날(8)의 선단측에서 작고, 후단측, 즉 직선날(9)에 잇따르는 측에서 크게 되므로서, 주절삭날(10)에서 생성되는 칩도 주절삭날(10)의 선단에서 얇고, 후단측에서 두껍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브레이커홈(30)을 형성하는 경우, 홈폭(W)이나 홈깊이(h)를 일정하게 하면, 주절삭날(10)의 후단측에서 생성되는 칩의 두께에 따라서 홈폭(W)나 홈깊이(h)을 결정하지 않으면 아니되므로, 주절삭날(10)의 선단측에서는 생성되는 칩에 비하여 브레이커홈(30)이 너무 커서 공구강성을 쓸데 없이 열화시킨다고 하는 불합리가 생긴다.
그래서, 이와같은 경우에는, 제 9 도 내지 제 12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홈폭(W)을 절삭날(10)의 선단측으로 부터 후단측으로 향하여 점차 증대시킴과 아울러, 홈깊이를 그 저부가 공구측면으로 보아서 일정한 경사각(α)으로 경사하도록 점차 증대시키거나, 혹은 이들 홈폭(W)이나 홈깊이(h)의 어느 한쪽만을 상기와 같이 변화시키는 것에 의하여 브레이커홈(30)을 그 선단에서 후단에 이르기까지 칩에 알맞는 크기로 형성하고, 이에 의하여 공구강성이 과도하게 열화하는 것을 방지하면서 칩배출성이나 절삭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이상의 실시예에서는, 특히 팁을 2개 사용하는 보올앤밀을 예로 들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바이스팁(7)을 2개 혹은 그 이상 설정한 것이라도 당연히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 특별히 드로우어웨이식의 보올앤드밀이 아니더라도, 공구본체(10)의 선단측에 팁을 납땜 적합한 구성이나 공구본체를 일체로 성형하는 솔리드식의 구성이라도 주절삭날의 칩포켓 배후의 두께를 증대시켜서 공구강성을 확보한다고 하는 효과가 얻어진다.
실시예
본 발명의 효과를 명백히 하기 위하여, 제 9 도 내지 제12도에 표시하는 보올앤드밀을 실제로 제조하여 절삭시험을 행하였다.
이때, 절삭소요동력을 측정하여 절삭저항의 대소, 즉 절삭성의 양호여부를 확인함과 아울러, 생성되는 칩을 감시하여 절삭배출성을 판단하고, 또한 미세진동의 대소를 확인하도록 절삭음을 감시함과 아울러, 공구강성의 고저도 측정하였다.
이들의 결과를 표1에 표시한다.
그리고 비교예로서, 주절삭날 및 부절삭날의 축 양쪽 모두 정각으로 설정한 종래의 보올앤드밀로 절삭을 행한 때의 결과를 병기한다.
또, 절삭조건이나 각부의 치수는 하기와 같다.
① 절삭조건
·피삭재………………………………………SCM440(HB220)
·절삭속도……………………………………120m/min
·축방향절입량………………………………10mm
·절삭폭………………………………………3mm, 6mm의 단계
·테이블이송량
절삭폭 3mm일때 400mm/min
절삭폭 6mm일때 600mm/min
·한개의 절삭날 당 이송량
절삭폭 3mm일때 0.13mm/rev
절삭폭 6mm일때 0.20mm/rev
② 치수
·공구샹크지름……………………………………………ø32mm
·주절삭날 축방향경사각(γA1)…………………………-2°
·부절삭날 축방향경사각(γA2)………………………… 5°
·랜드폭(d)…………………………………………………0.1mm
·팁 경사각(γ3)……………………………………………15°
비교품
·주절삭날 및 부절삭날 축방향경사각(γ)………………5°
·기타의 치수는 본 발명품과 동일하다.
[표 1]
○=양△=가
표 1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관한 보올앤드밀에서는 절삭저항, 즉, 절삭성면에서 종래품과 거의 동등한 성능을 표시하고, 공구본체의 강성에 관하여는 종래예를 상회하고 있다.
또, 절삭시의 미세음도 종래예에 비하여 충분히 낮고, 또한 칩배출성도 양호하다.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우위성이 명백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발명은 절삭시에 보다 큰 절삭하중이 가하여지는 주절삭날의 축방향경사각만을 마이너스각으로 설정한 것이기 때문에, 특별히 강성을 필요로 하는 주절삭날용의 칩포켓 배후의 두께가 증대하고, 이 때문에 충분한 공구강성을 확보하여 미세진동의 발생이나 공구절손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음과 아울러, 공구의 절삭상의 저하를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는 뛰어난 효과를 거둔다.
또한, 주절삭날 및 부절삭날이 피절삭재에 절입하는 위치가 변화하여 주절삭날 및 부절삭날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이 서로 해소되는 방향으로 작용하므로, 진동의 성장이 저지되어서 미세진동에 의한 가공정밀도의 열화가 미연에 회피된다.
또, 특히 주절삭날의 경사면에 브레이커홈을 형성한 경우에는 칩배출성이나 절삭성을 가일층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브레이커홈의 홈폭이나 홈깊이를 주절삭날의 선단측에서 후단측으로 향해서 변화시킨 경우에는, 주절삭날에서 생성되는 칩의 두께에 따라서 필요최소한의 브레이커홈을 확보하여, 공구강성의 저하를 최소한으로 억제하면서 주절삭날의 절삭성이나 칩배출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4)

  1. 공구본체(20)의 선단외주부에, 적어도 선단측이 대략 원호형상으로 만곡하여 공구회전중심에 도달하는 주절삭날(10)이 설치되고, 주절삭날(10)로 부터 둘레방향으로 이간한 위치에는 선단이 공구회전 중심으로부터 지름방향 외주축으로 후퇴하는 부절삭날(13)이 설치되어서 이루어진 보올엔드밀에 있어서, 상기한 주절삭날(10)의 축방향경사각(γA1)을 미아너스각으로 부절삭날(13)의 축방향경사각(γA2)을 정각(플러스각)으로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올엔드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한 주절삭날의 경사면(6a)에, 주절삭날(10)에 따라서 연재하는 브레이커홈(30)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올엔드밀.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한 브레이커홈(30)의 홈폭을 주절삭날(10)의 선단으로부터 후단측으로 향함에 따라서 점차 확대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올엔드밀.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한 브레이커홈(30)의 홈깊이를 상기한 주절삭날(10)의 선단으로부터 후단측으로 향함에 따라서 점차 증대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올엔드밀.
KR1019910008435A 1990-10-18 1991-05-24 보올 엔드 밀 KR96000959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280109 1990-10-18
JP2280109A JPH04159009A (ja) 1990-10-18 1990-10-18 ボールエンドミル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7725A KR920007725A (ko) 1992-05-27
KR960009592B1 true KR960009592B1 (ko) 1996-07-23

Family

ID=176204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08435A KR960009592B1 (ko) 1990-10-18 1991-05-24 보올 엔드 밀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04159009A (ko)
KR (1) KR96000959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42708B2 (ja) 2012-03-29 2016-01-13 三菱マテリアル株式会社 ボールエンドミル
US8662800B2 (en) * 2012-04-11 2014-03-04 Sandvik Intellectual Property Ab Cutting head with coolant chann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7725A (ko) 1992-05-27
JPH04159009A (ja) 1992-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231004B1 (en) Throw-away tip
US5791832A (en) Throw-away tip for milling cutters
US5460464A (en) Cutting insert
JP2850893B2 (ja) スローアウェイチップ及びスローアウェイ式ドリル
US5322394A (en) Highly stiff end mill
KR20160147038A (ko) 절삭 인서트와 정면 밀링 커터
US5156503A (en) Boring bar tool
EP1155792B1 (en) Circular saw
EP0482512B1 (en) Ball end mill
JP3196566B2 (ja) スローアウェイチップ及びスローアウェイ式カッタ
CN109702259B (zh) 切削刀片以及刀头更换式铣削工具
KR940006566B1 (ko) 버르(burr) 제거용 커터
KR960009592B1 (ko) 보올 엔드 밀
JPH10138033A (ja) スローアウェイチップ
JP3270999B2 (ja) スローアウェイエンドミル
JP2557189Y2 (ja) エンドミル
JP2607746B2 (ja) スローアウェイカッタ
KR920010887B1 (ko) 드로우어웨이식 전삭공구
JPH08141819A (ja) スローアウェイチップ
US5261767A (en) Boring bar tool
JPH06335816A (ja) 極小径エンドミル
JPH1086014A (ja) フライス用ブレーカ付きスローアウェイチップ
JP2002187012A (ja) Cbnボールエンドミル
JP2002283119A (ja) ボールエンドミル用スローアウェイチッップ
JPH0720211U (ja) ボールエンドミ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721

Year of fee payment: 15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