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9493B1 - 쌀의 품질 보존제 - Google Patents

쌀의 품질 보존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9493B1
KR960009493B1 KR1019930021469A KR930021469A KR960009493B1 KR 960009493 B1 KR960009493 B1 KR 960009493B1 KR 1019930021469 A KR1019930021469 A KR 1019930021469A KR 930021469 A KR930021469 A KR 930021469A KR 960009493 B1 KR960009493 B1 KR 9600094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ce
component
container
breathable
qual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214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까다이 오오구보
Original Assignee
다까다이 오오구보
이재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까다이 오오구보, 이재승 filed Critical 다까다이 오오구보
Priority to KR10199300214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94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94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9493B1/ko

Links

Landscapes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Storage Of Fruits Or Vegetable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쌀의 품질 보존제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품질 보존제를 분해한 사시도이고
제2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품질 보존제의 단면도이고
제3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품질 보존제를 분해한 사시도이고
제4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나타내는 품질 보존제의 사시도이고
제5도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를 나타내는 품질 보존제의 분해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세라믹스제 통기성 용기 2 : 세리믹스제 베이스부재
3 : 세라믹제 커버 부재 4 : 저착제
5 : 수용공간 6, 20 : 통기성 포대
11 : 칼릭 입자 12 : 고추 입자
13 : 야자 껍질 활성탄 15 : 세라믹 입자
50 : 통기성 포대 60 : 수지제 케이스
61 : 수지제 베이스 부재 62 : 수지제 커버
65 : 통기공 67 : 혼합입자
67 : 통기성 포대
[산업상 이용 분야]
본 발명은, 쌀과 함께 쌀 뒤주나 쌀 수용 포대 등에 수용되는, 쌀의 방충, 방균, 탈치 및 제습 작용 등에 의해, 상기 수용된 쌀을 장기간에 걸쳐서 양호한 품질로 보존하는 쌀의 품질 보존제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
벼는 벼과의 일년생 초목이고, 일본에서는 쌀은 수확이 1년에 한번이다. 이 때문에 수확한 쌀은 적어도 1년간은 품질이 변하지 않도록 저장 보존할 필요가 있다.
쌀을 보존하는 경우, 현미의 상태로 건조하여 저장하면 품질의 저하가 작고, 특히 우리나라는 건조 저장 기술이 진보하여 수년에 걸쳐 저장이 가능하다. 이 때문에 1년 묵은 쌀이나 2년 묵은 쌀(古米)의 제공이 가능하다.
그렇지만 현미는 품질 변화가 적기는 하지만 완전하게 품질이 저하하지 않는 것은 아니고, 새로운 쌀에 비하면 1년 묵은 쌀의 현미나 2년 묵은 쌀의 현미는 미감이 떨어진다.
현미는 미감이 떨어진다고 알려져 있다.
더구나 정미를 한 경우는 품질의 저하가 빠른 것이 알려져 있다. 특히 판매점에서 정미를 비닐계 합성 수지 등의 포대에 밀봉하여 보존하거나, 이를 가정에서 보존하거나 쌀 뒤주에 수용하여 저장하여 두는 경우 보통 1개월 일지라도 품질은 급속히 저하된다.
[발명이 해결하려 하는 과제]
그렇지만 종래 판매점이나 일반 가정에서 구입한 정미를 손쉽게 품질 유지하는 수단이 없었다. 본 발명자는 이와 같은 배경에 의거하여, 판매점이나 일반 가정에서 구입한 쌀의 품질이 저하되지 않는 수단을 연구 중이다.
일반 가정에서 판매점으로부터 구입한 정미는 쌀 뒤주에 수용하거나 판매 당시부터 포장되어 있는 비닐계 수지의 포대에 수용하여 보존된다.
이와 같은 보존상태의 경우, 느리게이지만 습도가 증가하거나 오래된 쌀의 냄새가 발생하거나, 곰팡이를 포함한 미생물이나 저곡 해충(貯穀害蟲)이 발생한다.
습기에 대한 정부가 정한 규격에는 쌀의 저장에 적합한 수분은 15%로 하고 있다.
또 오래된 쌀의 냄새가 발생하는 원인은, 저장중에 리파아제나 아밀라제가 작용하는 쌀에 함유되어 있는 유리지방산의 분해가 진행되어, 환원당이 증가하여, 펜타날이나 헥사날 등의 알데히드가 발생한 결과라고 생각되고 있다.
더욱, 쌀에서 발생하기 쉬운 곰팡이 등의 미생물로서는 백취미균, 벨지모스미균, 황변미균 등이알려져 있고, 쌀의 습도가 높거나 반대로 습도가 부족한 경우에 번식하기 쉽다.
그리고 저곡해충으로서는 바구미, 작은 바구미 등이 알려져 있다.
그러므로 저장미의 품질저하는 이들의 영향에 의해 또 이들의 복합적인 작용에 의해 진행되고, 시간의 경과에 따라 저하가 현저해진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으로 하는 것은 쌀 뒤주나 수지제의 포대에 수용, 저장하고 있는 쌀의 품질이 저하하지 않도록 보존할 수 있는 품질 보존제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청구범위 제1항의 발명은, 통기성 용기에 적어도 아리신 성분 및 캡사이신 성분을 포함하는 향신료 성분을 수용하고, 이 용기를 쌀과 함께 쌀 뒤주나 쌀 포장 포대 등의 쌀 용기내에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범위 제2항의 발명은, 상기한 통기성 용기가 다공성 세라믹스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범위 제3항의 발명은, 상기한 통기성 용기가 상기한 아리신 성분 및 캡사이신 성분을 포함하는 향신료 성분에 더해져 활성탄 및 칼슘 성분의 적어도 1종을 수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범위 제4항의 발명은, 상기한 통기성 용기가 통기공을 갖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케이스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범위 제5항의 발명은, 상기한 통기성 용기가 통기성의 포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범위 제6항의 발명은, 상기한 통기성 용기에서 상기한 아리신 성분 및 캡사이신 성분을 포함하는 향신료 성분에 더해져, 활성탄 및 칼슘 성분과 함께 다공성 세라믹스의 적어도 1종을 수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범위 제7항의 발명은, 상기한 향신료 성분 등의 피수용물이, 상기한 통기성 용기에 입자 또는 분말의 형태로 수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범위 제8항의 발명은, 상기한 통기성 용기에 수용된 상기한 피수용물이 이 용기의 내부에서 더욱 통기성 포장에 수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작용]
본 발명의 품질 보존제는, 저장미와 함께 쌀 뒤주나 쌀 포장포대 등에 수용되어 있으면, 통기성 용기에 수용된 아리신 성분이 방충, 방균, 방곰팡이 작용을 조절하기 때문에 쌀에 저곡해충이나 미생물 및 곰팡이의 발생을 방지한다. 또 캡사이신 성분은 살균 및 살충작용을 조절하고, 곰팡이, 미생물 및 저곡해충의 발생을 억제하고, 더욱 강한 항산화성을 갖으며 리파아제나 아밀라제의 작용을 억제하고 쌀에 함유되어 있는 유리 지방산의 분해를 억제하고, 환원당의 증가를 방지하는 것에 의해 알데히드의 생성을 방지하고, 그에 따라 지방산의 발생을 억제하여 산화를 방지한다. 그러므로 이와 같은 품질 보존제는 쌀의 보존 환경을 곰팡이나 미생물 및 저곡해충 등이 발생하기 어려운 상황으로 유지하여 쌀의 산화를 억제하고 이들의 복합작용에 의해 저장미를 장기간에 걸쳐, 정미한 직후와 같은 양호한 품질로 보존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을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한 제1실시예에 따라 설명한다.
도면에서 1은 통기성 용기이고, 본 실시예의 경우 다공성 세라믹스로 이루어져 있다. 이 세라믹스제의 통기성 용기 1은 두 개로 분할되는 하나의 베이스부재(2)와 다른 하나의 커버부재(3)를 접착체(4)로 접합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세라믹제 베이스부재(2) 및 커버부재(3)는 각각 얇은 접시 모양을 이루고 있고 평면적인 외형이 의장적 효과를 갖고 있는 쌀의 형상으로 디자인되어 있다. 이들 세라믹제 베이스부재(2)와 커버부재(3)는 주변부를 결합하여, 이 결합면을 상기한 접착제(4)에 의해 접착하여 상호 접합할 수 있다.
또 세라믹스는 흙이나 암석에 함유되어 있는 성분을 함유하고 있는 것은 물론이고, Si나 Al, Fe, Mg 및 알카리 금속, 알카리 토류금속 등을 포함하고 있다. 그래서 이것은 물과 함께 점토상으로 반죽하고 소정의 형에서 성형하고 이를 소성에 의해 형성하고 있다. 이와 같이 소성한 세라믹스는 다공질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통기성을 갖고, 또 흡습성, 흡취성의 기능이 있다. 상기의 접합에 의해 이들 세라믹스제 베이스부재(2)와 세라믹스제 커버부재(3) 사이에는 수용공간(5)이 형성되어 있다.
이 수용공간(5)에는 아리신 성분(11) 및 캡사이신 성분(12) 등의 향신료 성분 및 활성탄(13)과 칼슘성분(14)이 수용되어 있다. 이들의 피수용물에 대해서 설명한다.
아리신 성분을 칼릭(마늘)에 다량으로 함유되어 있고, 따라서 실질적으로 칼릭을 정제하여 분말로 하여 이를 2∼5mm 정도의 큰 입자(11)로 하여 이 칼릭성분의 입자(11)를 상기 세라믹스제의 통기성 용기(1)에 수용하고 있다.
캡사이신 성분은 고추에 다량으로 함유되어 있고, 고추를 건조처리하여 적당한 크기의 입자(12)로 하여 이 고추성분의 입자(12)를 상기 세라믹스제의 통기성 용기(1)에 수용하고 있다.
활성탄은 야자껍질 활성탄 등의 입자(13)를 사용하고 있다.
탄산칼슘은 화학적으로 합성한 것도 좋지만 조개껍질이나 산호를 분쇄하여 적당한 입자(14)나 분말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각 칼릭성분의 입자(11), 고추성분의 입자(12), 야자껍질 활성탄의 입자(13) 및 조개 껍질로 이루어진 칼슘 입자(14)는 각각 복수개, 상기 세라믹스제 용기(1)의 수용공간(5)에 수용되어 있다. 이 경우 만일 세라믹스제 용기(1)가 파손된 경우 쌀중에 칼릭성분의 입자(11), 고추성분의 입자(12), 야자껍질 활성탄의 입자(13) 및 탄산 칼슘 입자(14) 등이 혼입되지 않도록, 이들 칼릭성분의 입자(11), 고추성분의 입자(12), 야자껍질 활성탄 입자(13) 및 칼슘 입자(14)를 통기성 포대(6)에 수용하여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통기성 포대(6)는, 종이, 베, 통기성 수지 시이트, 다공질 필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품질 보존제는 정미와 함께 쌀 뒤주중에 수용될 수 있다. 이 경우 바람직하게는 쌀 중에 매립하는 것이 좋다. 이에 따라 쌀의 품질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즉 세라믹스제 용기(1)는 구워서 만든 것이기 때문에 다수의 미세한 구멍을 갖으며, 외부와 내부의 수용공간(5)의 통기성을 갖고 있다. 게다가 미세한 구멍은 흡습, 흡취작용을 갖는다. 이 때문에 세라믹제 용기(1) 자체가 쌀 뒤주 내 및 주위의 쌀에 포함되어 있는 여분의 습기를 취하여 쌀의 눅눅함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수용공간(5)에 수용된 조개 껍질이나 산호 등의 칼슘 입자(14)는 세라믹스제 용기(1)의 미세한 구멍을 통하여 침입한 주위의 쌀로부터 방출된 에틸렌 가스등의 냄새를 흡착하고 또 습기를 흡착한다.
그리고 야자 껍질 활성탄(13)은 세라믹스제 용기(1)의 미세한 구멍을 통하여 주위의 쌀의 습기를 흡수한다. 또 쌀로부터 방출된 냄새도 흡착한다.
더욱, 칼릭성분 입자(11)는 화학물질인 아리신 성분이 방충, 방균, 방곰팡이 작용을 조절하기 때문에 쌀에 저곡해충이나 미생물 및 곰팡이의 발생을 방지한다. 또 고추성분의 입자(12)는 화학물질인 캡사이신 성분에 의해 살균 및 살충작용을 조절하고, 곰팡이, 미생물 및 저곡해충의 발생이 억제하고, 더욱 강한 항산화성을 갖으며, 리파아제나 아밀라제의 작용을 억제하고, 쌀에 함유되어 있는 유리지방산의 분해를 억제하며, 환원당의 증가를 방지하는 것에 의해 알데히드의 생성을 방지하고 이에 따라 지방산의 발생을 억제하여 산화를 방지한다.
이와 같은 것에서,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한 품질 보존제를 쌀과 함께 쌀 뒤주 속에 넣어두면, 주로 칼릭성분의 입자(11)… 및 고추성분의 입자(12)에 함유되는 화학물질의 아리신 성분 및 캡사이신 성분의 작용에 의해, 백취미균, 벨지모스미균, 황변미균등과 같은 곰팡이의 발생을 방지함과 동시에, 바구미, 작은 바구미 등과 같은 저곡해충의 발생을 방지한다. 또 강한 항산화성 때문에 지방산의 발생을 억제하고, 따라서, 알레히드가 생성되는 것을 방지하여, 쌀의 산화취를 방지한다.
또, 주로 세라믹스 용기(1), 활성탄(13) 및 칼슘 입자(14)의 작용에 의해 쌀의 건조도를 적당히 유지하여, 쌀의 눅눅해짐을 방지하여 주위환경을 상기한 곰팡이, 미생물 및 저곡해충 등이 발생하기 어려운 상황을 유지한다.
게다가 이들 세라믹스제 용기(1), 활성탄(13)이나 칼슘 입자(14)는 불쾌한 냄새를 흡착하여, 묵은 쌀 냄새의 발생을 억제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저장 쌀의 품질을 정미하였을 때와 같은 신선 상태로 유지하고, 묵은 쌀 냄새의 발생이나 미각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어 장기간에 걸쳐 양호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제약받는 것은 아니다.
즉 제3도에 도시한 제2실시예에 있어서는, 칼릭성분의 입자(11), 고추성분의 입자(12), 활성탄(13) 및 칼슘 입자(1)를 각각 통기성 포대(20)에 나누어 싸고, 나누어 싼 것들을 세라믹스 용기(1)의 수용공간(5)에 수용한 것이다. 각 피수용물을 따로 따로 나누어 싸 두면, 각 입자 분량을 미리 소정량으로 계량해 둘 수 있고, 이들 따로 나누어 싸둔 것을 수용공간(5)에 수용할 수 있다. 이 경우도, 만에 하나 세라믹스제 용기(1)가 파손되었을 경우, 쌀 속에 칼릭성분의 입자(11), 고추성분 입자(12), 야자껍질 활성탄 입자(13) 및 칼슘 입자(14) 등이 혼입될 염려가 없다.
또한, 본 발명은 통기성 용기로서 세라믹스제 용기(1)를 사용하는 것에 제약받지 않는다. 즉, 제4도에 도시한 제3실시예에서는 통기성이 큰 포대(50)에, 각 칼릭성분의 입자(11), 고추성분 입자(12), 야자껍질 활성탄 입자(13) 및 칼슘 입자(14)를 수용하고, 이들 외에 또한 세라믹스 입자(15)를 수용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조의 것이라도, 상기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의 기능을 가진다.
특히 통기성 포대(50)는, 이것 자체에 흡습, 흡취작용이 없기 때문에 세라믹 입자(15)를 함께 수용해 둠으로써, 이 세라믹 입자(15)가 그 미세한 구멍에 습기나 냄새를 흡수하여, 흡습, 흡취 작용을 도와줄 수 있다.
또한, 각 실시예에서는 칼릭성분의 입자(11), 고추성분의 입자(12)외에 야자곡 활성탄 입자(13) 및 칼슘 입자(14)를 함께 혼입하도록 하고, 이들의 복합적 작용에 의해, 쌀의 품질을 양호하게 유지하도록 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적어도 칼릭성분, 고추성분, 즉 적어도 아리신 및 캡사이신 성분을 향유한 향신료 성분을 수용해 두면, 곰팡이나 미생물 및 저곡해충 등의 발생을 방지하고, 또는 저감하여 쌀의 품질을 양호하게 보존할 수 있다. 따라서, 활성탄이나 칼슘 또는 세라믹스 성분은 반드시 병용하지 않아도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은 예를 제5도에 도시한 제4실시예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제5도에 있어서, (60)은 합성수지제 케이스이고, 이 합성수지제 케이스(60)는, 2개로 분할된 한쪽의 베이스부재(61)와, 다른 쪽의 커버부재(62)를 서로 결합시켜 구성하고 있다. 이들 베이스부재(61)와, 커버부재(62)는, 충합면에서 접착제로 접착시켜도 되나, 본 실시예의 경우 한쪽에 형성한 계지 클릭(63)을 다른쪽에 형성한 계합구멍(64)에 계착시킨 것으로 케이스(60)를 구성하고 있다. 상기한 베이스부재(61)와 커버부재(62)는, 적어도 한쪽에 통기구멍(65)을 형성하고 있다. 통기 구멍(65)은, 원형구멍이어도 되나, 본 실시예에서는 좁고 길은 구멍을 다수개 형성하고 있다. 이 통기구멍(65)에 의해 케이스(60)는 내외의 통기가 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기 케이스(60) 내에는, 아리신 성분 및 캡사이신 성분으로 이루어진 향신료 성분(66)이 수용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는, 칼릭성분과 고추성분을 각각 입자로 하고, 이것을 섞어 이겨서 정제와 같은 입자로 하고, 이와 같은 혼합입자(66)를 다수개 수용하고 있다. 이 경우 아리신 성분과 캡사이신 성분의 혼합입자(66)는 통기성 포대(67)에 수용하고, 이 포대(67)가 케이스(60) 내에 수용되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경우, 통기성 용기, 즉 통기구멍(65)을 개설한 수지제 케이스(60)에 수용한 아리신 성분 및 캡사이신 성분의 혼합입자(66)가, 곰팡이나 미생물 및 저곡해충 등의 발생을 방지하고, 또는 저감하여, 쌀의 품질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칼릭성분이나 고추성분 외에, 와사비, 시나몬, 정향나무(클로브), 박하, 산초나무, 후추나무등의 향신료를 병용하면, 이들이 가진 항균, 살균, 방충작용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품질 보존제는, 뒤주에 수용하는 것에 한하지 않고, 쌀 도매상이나 쌀집등에서는 정미를 비닐계 수지 포대 등에 수용하여 보존할 경우가 있어, 이와 같은 보존 형태의 경우에도 비닐계 수지 포대에 쌀과 함께 수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대로 본 발명에 의하면, 본 보존제를 저장미와 함께 뒤주나 수지 포대에 넣어두면, 아리신 성분 및 캡사이신 성분의 항균, 방충, 항곰팡이 작용에 의하여, 곰팡이, 미생물 및 저곡해충의 발생을 억제하고, 또, 항산화성 때문에 쌀에 함유되어 있는 유리지방산의 분해를 억제하고, 환원당의 증가를 방지함으로써 알데히드의 생성을 저감하고, 쌀의 산화를 방지한다. 따라서 쌀의 주위 환경을 상기 곰팡이, 미생물 및 저곡해충 등이 발생하기 어려운 상황 및 산화되기 어려운 상황으로 유지할 수 있으며, 쌀을 장기간에 걸쳐, 정미한 직후와 같은 양호한 품질 상태로 보존할 수 있다.

Claims (8)

  1. 통기성 용기에 적어도 아리신 성분 및 캡사이신 성분을 포함하는 향신료 성분을 수용하고, 이 용기를 쌀과 함께 쌀 포장포대 등의 쌀 용기내에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쌀의 품질 보존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통기성 용기는 다공성 세라믹스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쌀의 품질 보존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한 통기성 용기에는 상기 아리신 성분 및 캡사이신 성분을 포함하는 향신료 성분 이외에 활성탄 및 칼슘 성분의 적어도 1종을 수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쌀의 품질 보존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통기성 용기는 통기공을 갖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케이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쌀의 품질 보존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통기성 용기는 통기성 포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쌀의 품질 보존제.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한 통기성 용기에는, 상기 아리신 성분 및 캡사이신 성분을 포함하는 향신료 성분 이외에 활성탄 및 칼슘 성분과 함께 다공성 세라믹스의 적어도 1종 이상을 수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쌍의 품질 보존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향신료 성분 등의 피수용물을 상기한 통기성 용기에 입자 또는 분말 형태로 수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쌀의 품질 보존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한 통기성 용기에 수용된 상기한 피수용물은 이 용기의 내부에서 더욱 통기성 포장으로 수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쌀의 품질 보존제.
KR1019930021469A 1993-10-15 1993-10-15 쌀의 품질 보존제 KR9600094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21469A KR960009493B1 (ko) 1993-10-15 1993-10-15 쌀의 품질 보존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21469A KR960009493B1 (ko) 1993-10-15 1993-10-15 쌀의 품질 보존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9493B1 true KR960009493B1 (ko) 1996-07-20

Family

ID=193659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21469A KR960009493B1 (ko) 1993-10-15 1993-10-15 쌀의 품질 보존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949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58580A2 (ko) * 2011-10-18 2013-04-25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쌀벌레 방제용 소형 패치 및 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58580A2 (ko) * 2011-10-18 2013-04-25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쌀벌레 방제용 소형 패치 및 젤
WO2013058580A3 (ko) * 2011-10-18 2013-06-13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쌀벌레 방제용 소형 패치 및 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645417B1 (en) Methods of packaging and preserving mollusks
US8771770B1 (en) Long life dough package
JP2660196B2 (ja) 米の品質保存剤
CN1374920A (zh) 由不透液的盛肉盘和插入的吸收分离层构成的组件
KR960009493B1 (ko) 쌀의 품질 보존제
JP2000038309A (ja) 穀類の殺虫、忌避剤
JP2660196C (ko)
JP2001321141A (ja) 食品保存剤
US20220039415A1 (en) Methods for packaging and preserving berry products
KR100767915B1 (ko) 안정화된 겨자 및/또는 고추냉이 추출물을 포함하는 곡물품질 보존제 및 그 수용팩
KR101787947B1 (ko) 왕겨숯을 이용한 냉장고 탈취제 제조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냉장고 탈취제 및 냉장고 탈취포장체
KR100656938B1 (ko) 기능성 포장 용기
JP2005178823A (ja) 乾燥剤包装袋
JP2543011Y2 (ja) 抗菌性パック材
JP2020189808A (ja) 多機能防除剤
US20210380325A1 (en) Methods for packaging and preserving cut mushroom products
US10300163B2 (en) Moisture absorbent and decontaminant
CA3099907A1 (en) Methods for packaging and preserving zucchini spirals
JP2868674B2 (ja) 抗菌性を有する食品用間仕切材
JP2857544B2 (ja) 抗菌性を有する食品用間仕切材
ES2331385T3 (es) Dispositivo microbiestatico asi como envase que encierra un dispositivo de este tipo.
KR20210062237A (ko) 식품 포장용에 특화된 맥반석 등이 포함 포장제품 및 그 제조방법
JP3087920U (ja) 包装食品の品質保持剤
JPH11171200A (ja) 収穫物等の保管収納用具
JPH0471779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IN ENTIRETY REQUESTED 19980731

Effective date: 19990123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19980924

Effective date: 19990123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1998100001264;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19980924

Effective date: 19990123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1998100000947;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IN ENTIRETY REQUESTED 19980731

Effective date: 19990123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INVALIDATION IN ENTIRETY

Free format text: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1999200001881; INVALIDATION IN ENTIRETY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1999200001874;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19990305

Effective date: 19991224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1999200001874; JUDGMENT (PATENT COURT)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19990305

Effective date: 19991224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IN ENTIRETY REQUESTED 19990305

Effective date: 19991224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1999200001881;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IN ENTIRETY REQUESTED 19990305

Effective date: 1999122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