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8693Y1 - 신축식 원간구조 - Google Patents

신축식 원간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8693Y1
KR960008693Y1 KR2019910003734U KR910003734U KR960008693Y1 KR 960008693 Y1 KR960008693 Y1 KR 960008693Y1 KR 2019910003734 U KR2019910003734 U KR 2019910003734U KR 910003734 U KR910003734 U KR 910003734U KR 960008693 Y1 KR960008693 Y1 KR 96000869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te
intermediate body
trunk
fishing rod
dr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1000373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16161U (ko
Inventor
다께시 고비야마
Original Assignee
시마노 고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시마노 쇼오조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마노 고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시마노 쇼오조오 filed Critical 시마노 고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91001616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616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869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8693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7/00Fishing rods
    • A01K87/02Connecting devices for parts of the rods
    • A01K87/025Connecting devices for parts of the rods telescopic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ishing Rod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신축식 원간구조
도면은 본 고안의 신축식 원강구조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제1도는 전체측면도.
제2도는 전후간체를 중간간체에 대하여 신장시킨 상태를 도시한 종단측면도.
제3도는 전후간체를 중간간체에 대하여 수축시킨 상태를 도시한 종단측면도.
제4도는 후간체를 수축시킨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제5도는 전후간체를 모두 신장시킨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제6도는 후간체를 수축시킨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제7도는 전후간체를 수축시킨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중간간체 3 : 전간체
9A, 9B : 끼워맞춤지지부
본 고안은 신축식 원간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는 원간의 길이는 일정하다. 그러나 낚시조작에 있어서 마음대로 사용하기에 더 편리하게 하기 위하여 원간에 한 연구를 부가한 것으로서 일본국 실개소64-49071호 공보에 개시된 것이 있다. 이것은 손잡이쪽 간체에 대하여 후간체로서의 보조간체를 밖에서 끼워 보조 간체를 후방으로 돌출시킴으로써 신장상태로 하는 신축구조를 취하고 있었다.
상기 구성의 것은 낚시를 던져넣는 경우에 보조간체를 신장상태로 고정시켜 오른손으로 손잡이쪽 간체를 잡고, 왼손으로 보조간체를 잡아 행할 수 있으므로 던져넣는 조작성을 양호하게 행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그와 동시에 낚시조작시에는 보조간체를 손잡이 간체내에 수납하여 낚싯대의 취급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만으로는 사용형태로서 낚시를 던져넣는 경우 등을 상정할 수 있을 뿐이므로, 낚시조작 전반에 걸쳐 더욱 호용이 높고, 사용하기에 좋은 형태를 취할 수 있는 구조를 채용하는 것이 요망되고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원간구조를 합리적으로 구성함으로써 낚시조작전반에 걸쳐 사용성이 높은 구조를 채용할 수 있는 신축식 원간구조를 제공하는점에 있다.
본 고안의 이러한 신축식 원간구조의 특징구성은 중간간체에 대하여 대끝쪽에 위치하는 전간체와, 손잡이쪽에 위치하는 후간체를 각각 상기 전간체가 앞쪽으로 돌출이동하고 상기 후간체가 후방으로 돌출이동한 상태를 신장상태로 하여, 출퇴가 자유롭게 안으로 끼움과 동시에, 상기 전후간체의 출퇴상태에 있어서 그 상태를 고정시키는 끼워맞춤지지부를 상기 전후간체와 중간간체에 걸쳐 형성하고 있는 점에 있다.
그 작용·효과는 다음과 같다.
즉, 전간체를 중간간체에 대하여 앞쪽으로 돌출이동시키면 신장상태를 실현 할 수 있고, 그 신장상태로 끼워맞춤지지부가 작용하여 전간체를 신장상태로 고정한다. 그 신장상태로부터 후방으로 이동시키면, 중간간체에 수납하는 수축상태를 실현할 수 있고, 그 수축상태에서 끼워맞춤지지부를 작용시켜서, 상기 전간체를 수축상태로 고정한다. 똑같이 후간체를 후방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신장상태로 고정할 수 있고, 신장 상태에 의하여 앞쪽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수축상태로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양간체를 수축시킨 상태, 어느 한쪽의 간체를 신장시킨 상태, 및 양간체를 신장시킨 상태, 의 4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따라서, 후간체를 신장상태로 설정함으로써 낚시를 던져넣을 때에 가볍게 낚시대를 내뽑을 수 있다. 더욱이 전간체를 출퇴조작할 수 있으므로, (a) 바람이 강한 상태에서는 전간체, 후간체를 수납하여 전체길이를 짧게하여 바람의 저항을 적게하도록 한다. (b) 고기의 강인한 당김질에 대해서는 전간체를 신장하면 간전체의 탄성이 증대하여, 낚싯대가 그 탄성복귀력에 의하여 곡률이 작은 직선상태에 복귀하려고 하므로 필연적으로 고기를 바로 앞으로 끌어올 수가 있다. (c) 전간체를 신장시키면 낚싯대의 상태를 동(胴) 상태 경향쪽으로 변경할 수 있고, 전간체를 수축시키면 끝상태 경향쪽으로 변경할 수 있다. (d) 또, 고기를 낚아 낚싯대를 세워 고기를 앞으로 끌어올 때에는 고기가 낚싯군의 발보다 더 아래쪽에 있을때, 전후간의 한쪽 또는 양쪽을 신장 상태로 함으로써 낚싯대 전체를 들어올리는 조작을 하지 않고도 고기를 발밑 또는 손까지 끌어올릴수 있다. (e) 중간간체에 대하여 전후간체를 안으로 끼우는 구성을 취하고 있으므로, 종래와 같이 중간간체에 대응하는 손잡이쪽 간체의 간직경을 후간체로서의 보조간체의 간직경보다 작게 하지 않으면 안 되는 경우에 비하여, 중간간체를 간체 중에서 최대직경의 것으로 할 수 있다. 따라서, 낚시를 던질때 또는 낚아올릴때에 가장 굽힘응력이 크게 작용하는 중간간체의 간직경을 잡기 쉬운 직경으로 유지하는 제약내에서 강도가 높은 것으로 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따라서, 사용상태를 4상태로 전환함으로써 낚시상황에 따라 임으로 선택사용할 수 있으므로, 실제의 낚시현장에서 유효한 기능을 가진 낚시대를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더욱이, 이러한 신축구조를 취하는데 비하여 중간간체에 전후간체를 안으로 끼우는 간단한 개조에 의하여 강도면에 있어서도 뛰어난 것을 제공하게 되었다.
본 고안의 신축식 원간구조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즉, 본 실시예의 신축식 낚싯대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스피닝릴(1)을 부착한 중간간체(2)에 대하여 후방으로 향하여 신장하는 후간체(3)가 출퇴가 자유롭게 안으로 끼워져 있음과 동시에, 전방을 향하여 신장하는 전간체(4)가 출퇴가 자유롭게 안으로 끼워져 있어서, 이 전간체(4)에 대하여 간중자(竿中子 : 5)가 출퇴가 자유롭게 안으로 끼워져 있다.
중간간체(2)는 릴시이트(2a)를 가지는 대직경 중간부(2A)의 전후에 일체적으로 원추대형상 앞부분(2B)과 원추대형상 뒷부(2c)이 연이어 설치되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중간간체(2)는 상기 대직경중간부(2A)의 중간정도에서 앞중간간체와 뒷중간간체로 분할되어 다. 이 앞중간 간체와 뒷중간 간체와의 각각의 전후단부에 나사결합가능한 나사부(2b)가 형성되어 있어서, 앞중간간체와 뒷중간간체와의 나사결합에 의하여 중간간체(2)가 일체 형성된다. 그리고, 나사결합전에 전간체(4)를 앞중간간체에, 후간체(3)를 뒷중간간체에 삽입관통 지지시킬 수 있는 구성이 채용되고 있다. 앞중간간체와 뒷중간간체를 결합하는 수단으로서는, 단순히 인용식(印龍式)의 끼워맞춤면에 접착제를 발라 결합하는 수단을 사용하여도 좋고, 도시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후간체(3)의 후단에 끝마개(6)가, 상기 전간체(4)의 전단부에 라인가이드(7)가 부착되어 각각의 기능을 발휘시키는 구성이 채용되어 있다.
한편, 상기 전간체(4)의 후단에 대직경팽출부(4A)가 설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중간간체(2)의 중공공간내에 수지제(폴리에틸렌 등)의 받이고정부(8)가 정착되어 있다. 상기 대직경팽출부(4A)가 원추대형상의 완만한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간체(4)를 신장상태로 인출한 상태에서, 상기 원추대형상 앞부분(2B)에 있어서의 선단내면에 상기 대직경팽출부(4A)를 밀착끼워맞추어 전간체(4)의 자세를 고정할 수 있다. 또, 상기 전간체(4)를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직경 중간부(2A)내에 수축시킨 상태에서, 상기 대직경팽출부(4A)를 상기 받이고정부(8)의 중간내주면에 있어서의 끼워맞춤부(8a)에 밀착끼워맞추어 전간체(4)를 빠짐방지 고정시킬 수 있다. 여기에, 대직경팽출부(4A), 중간간체(2)의 선단내주면 끼워맞춤부, 상기 받이고정부(8)의 끼워맞춤부(8a)를 전간체(4)의 출퇴 양상태에 있어서 그 상태를 고정시키는 끼워맞춤지지부(9A)라고 총칭한다.
후간체(3)에 대하여도 똑같이 대직경팽출부(3A)가 설치되어 있다. 후간체(3)의 후방으로의 신장상태에서 대직경팽출부(3A)를 원추대형상후부(2c)의 후단내주면의 끼워맞춤부에 밀착끼워맞추어, 후간체(3)의 자세를 고정시킴과 동시에,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간체(3)를 수축시킨 상태에서 상기 받이고정부(8)의 내주면 끼워맞춤부(8b)에 대직경팽출부(3A)를 밀착하여 안으로 끼워 후간체(3)를 빠짐없이 고정한다.
여기에 대직경팽출부(3A), 중간간체(2)의 후단내주면 끼워맞춤부, 상기 받이 고정부(8)의 내주면 끼워맞춤부(8b)를 전간체(4)의 출퇴 양상태에 있어서 그 상태를 고정시키는 끼워맞춤지지부(9B)라고 총칭한다.
다음에, 전후간체(4, 3)의 출퇴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4도 및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간체(3)를 후방으로 신장시키면 중간간체(2)를 오른손으로 잡고, 후간체(3)를 왼손으로 잡아 낚시를 던져넣는 던질 낚시형태를 취할 수 있다. 낚시조작중에는 제6도 및 제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간체(3)를 중간간체(2)에 수납한다. 제5도 및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간체(4)를 신장상태로 하면, 낚싯대 상태를 동(胴) 상태 경향쪽으로 할 수 있고, 수축상태로 하면 끝상태 경향쪽으로 할 수 있어서 구별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다음에, 상기한 바와 같이 고기를 끌어당길때나 발밑까지 끌어올릴때에는 전후간체(4, 3)의 적어도 한쪽을 신장시킴으로써 낚시대 전체의 조작을 하지 않고 조작할 수 있다. 상기 구성의 것은 냇물낚싯대, 은어낚싯대 등의 가이드, 릴시이트가 붙어있지 않는 낚싯대에도 적용 가능하다.
그리고,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의 항에 도면과의 대조를 편리하게 하기 위하여 부호를 붙이나, 그 기입으로 인하여 본 고안은 첨부도면의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Claims (3)

  1. 중간간체(2)에 대하여 낚싯대 끝쪽에 위치하는 전간체(4)와, 손잡이쪽에 위치하는 후간체(3)를 각각 상기 전간체(4)가 앞쪽으로 돌출이동하고 상기 후간체(3)가 뒷쪽으로 돌출이동한 상태를 신장상태로 하여, 출퇴가 자유롭게 안으로 끼움과 동시에, 상기 전후간체(4, 3)의 출퇴상태에서 그 상태를 고정시키는 끼워맞춤지지부(9A, 9B)를 상기 전후간체(4, 3)와 중간간체(2)에 걸쳐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식 원간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간체(4)의 출최상태에서 그 상태를 고정하는 상기 끼워맞춤지지부(9A)가 상기 전간체(4)의 후단에 설치되어 있는 대직경팽출부(4A), 상기 중간간체(2)의 선단내주면 끼워맞춤부, 상기 중간간체(2)의 중공공간내에 정착되어 있는 받이고정부(8)의 끼워맞춤부(8a)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식 원간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간체(3)의 출퇴상태에서 그 상태를 고정하는 상기 끼워맞춤지지부(9B)가 상기 후간체(3)의 전단에 설치되어 있는 대직경팽출부(3A), 상기 중간간체(2)의 후단내주면 끼워맞춤부, 상기 중간간체(2)의 중공공간내에 장착되어 있는 받이고정부(8)의 내주면 끼워맞춤부(8b)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식 원간구조.
KR2019910003734U 1990-03-27 1991-03-20 신축식 원간구조 KR960008693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32101 1990-03-27
JP1990032101U JP2526008Y2 (ja) 1990-03-27 1990-03-27 伸縮式元竿構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6161U KR910016161U (ko) 1991-10-26
KR960008693Y1 true KR960008693Y1 (ko) 1996-10-07

Family

ID=123495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10003734U KR960008693Y1 (ko) 1990-03-27 1991-03-20 신축식 원간구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526008Y2 (ko)
KR (1) KR96000869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04687A1 (ko) * 2018-06-27 2020-01-02 주식회사 피싱랩 낚싯대용 임팩트 웨이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18711B2 (ja) * 2004-09-07 2011-01-26 株式会社シマノ 伸縮式釣り竿
JP5142259B2 (ja) * 2007-10-18 2013-02-13 株式会社シマノ 釣り竿用竿体及び釣り竿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63049A (ja) * 1984-09-04 1986-04-01 Agency Of Ind Science & Technol Soi形成方法
DE19535338A1 (de) * 1995-09-22 1997-03-27 Patent Treuhand Ges Fuer Elektrische Gluehlampen Mbh Hochdruckentladungslamp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04687A1 (ko) * 2018-06-27 2020-01-02 주식회사 피싱랩 낚싯대용 임팩트 웨이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6161U (ko) 1991-10-26
JP2526008Y2 (ja) 1997-02-12
JPH03122661U (ko) 1991-1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TE287747T1 (de) Führungsdraht
MX173309B (es) Aplicador de tampon catamenial del tipo de tubo telescopiante
US3975855A (en) Telescopic spin/fly combination fishing rod
KR960008693Y1 (ko) 신축식 원간구조
ES2149915T3 (es) Un palo de golf.
DK2532229T3 (en) Handle for fishing rod
US4839981A (en) Fishing rod
US4015360A (en) Fiberglass fishing rod with carbon filament insert
KR890001609A (ko) 완구우산
JP2001157533A (ja) 釣 竿
DE68906297D1 (de) Elektrodenhalter fuer das lichtbogenschweissen mit schnellem ausstoss der verbrauchten elektrode.
JP3985920B2 (ja) 釣竿
KR100316325B1 (ko) 중공형낙ㄱ싯대
KR900017625A (ko) 가요성 자루를 갖는 골프체
JPH0750925Y2 (ja) 振出し式釣り竿
JP2531742Y2 (ja) 伸縮式元竿
CN217119277U (zh) 一种老年人康复训练用回弹球训练装置
US5769065A (en) Bow-attached, arrow launching apparatus
JP4845387B2 (ja) 振出式の玉の柄
JP2001136872A (ja) 釣 竿
KR950007431Y1 (ko) 굴렁쇠
KR930000110Y1 (ko) 봉상물 조출용기
JP2529124Y2 (ja) 釣り用振出し竿
KR200398550Y1 (ko) 헤어브러시
JP2529267Y2 (ja) 釣 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924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