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8122B1 - 칼라명함판 생산용 쉬트조성물 및 칼라명함판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칼라명함판 생산용 쉬트조성물 및 칼라명함판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8122B1
KR960008122B1 KR1019930007989A KR930007989A KR960008122B1 KR 960008122 B1 KR960008122 B1 KR 960008122B1 KR 1019930007989 A KR1019930007989 A KR 1019930007989A KR 930007989 A KR930007989 A KR 930007989A KR 960008122 B1 KR960008122 B1 KR 9600081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ceramic powder
powder
sheet
pri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079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원문
Original Assignee
박용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용훈 filed Critical 박용훈
Priority to KR10199300079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81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81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8122B1/ko

Links

Landscapes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칼라명함판 생산용 쉬트조성물 및 칼라명함판 제조방법
본 발명은 칼라명함판을 생산하기 위한 쉬트조성물 및 그 조성물에 생산한 쉬트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명함은 자신의 직위, 소속, 전화번호 등을 소개하는 소개서로 주로 사용되고 있으나, 최근에는 이들 명함에 자신의 얼굴, 상품 등의 실물산진들을 총천연색으로 표시하여 주는 명함이 널리 이용되어 오고 있다. 이같은 명함은 주로 고급인화지에 사진을 이용하여 오프셋인쇄, 사진인화 또는 스크린인쇄기법 등이 활용되어 지고 있으며 소비자들에 대한 자기소재·명함으로 호평을 받고 있다.
이상의 명함들은 자신의 모습이나 상품들을 소개한다는 면에서는 좋으나 종이재질이 갖는 단점으로 쉽게 구겨지거나 변색이 되는 단점이 있다.
이상의 단점을 개선하고자 플라스틱재질을 이용한 명함판의 제작도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은 이상의 칼라명함판을 제작함에 있어서 단순한 칼라 명함판이 아닌고 원적외선이 방출가능하며 PVC 플라스틱재질의 약한 내구성과 탄성의 단점을 개선한 새로운 PVC재 조성물과 그 조성물에 의하여 제작한 쉬트의 제공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PVC 쉬트조성물은 경실 PVC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DOP, DBP, DIDP와 같은 프탈산 에스테르계, TCP, TOP와 같은 인산에스테르계, DOS, DOA와 같은 세바신산, 아디핀산에스테르계, 폴리에스테르계의 등의 하나 또는 2이상의 혼합물로 되는 가소재 0~3중량%, ABS 수지 3~10중량%, 세라믹분말 2~15중량% 그리고 천연향 1~10중량%를 배합하여 구성된다.
상기한 조성물에 있어서 가소제는 혼합작업이 용이하도록 하며, ABS 수지는 내부에 부타디엔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내충격성을 상화하여 준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세라믹분말은 규산과 아루미나가 약 2 : 1의 비율로 배합하여 1300℃ 이상의 고온에서 소성시킨 것으로 특히, 주목할 특성은 다량의 원적외선이 방출된다는 것이다. 이 세라믹분말은 500~700 메쉬의 입도를 갖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상의 조성물에 사용되는 천연향은 적어도 180℃ 이하의 온도에서도 불변인 것이 사용에 적합하다. 즉, PVC 레진의 가소화 온도에서 충분히 혼련되는 과정중 열변성등으로 본래의 향이 사라지는 것은 사용에 적합하지 않기 때문이다.
이상의 조성비에 근거하여 구체적 실시예를 예시한다.
명함판 제조공정
1. 혼합공정
통상의 혼합기에 경질 PVC 50kg, Bio-Ceramic 파우더 2.5kg을 일차로 균질혼합한다. 이어서 계속 혼합중에 천연향(Cinole)(1.8-Epoxy-β-methane)의 건조분말 1.05kg, ABS 수지분말 2.15kg 그리고 세라믹분말(입도 600메쉬) 3kg을 첨가하여 300~500rpm의 속도로 5~7분간 균질 혼합한다.
2. 훈련공정
1차 공정에서 생산된 혼합분말을 통상의 혼련기가 있는 압출기에 넣고 가소상태를 유지하면서 혼련시킨다. 온도는 140~160℃로 유지한다.
3. 압출성형공정
가소화된 혼련조성물은 0.15~2.4mm의 두께로 조정하여 다이를 통하여 압출하면서 동시에 냉각롤러로 냉각시켜 소정의 캘린더링 고정까지 완성하여 목적한 필름을 얻는다.
4. 인쇄공정
상기한 공정을 통하여 제조한 쉬트에 식자직업, 도안과 편집, 원색분해, 제판작업, 교정, 소부, 인쇄, 불변코팅, 제단의 공정을 거쳐 명함판을 제작한다.
[시험예]
이상의 방법으로 제조한 명함판 쉬트를 1cm2단위로 원적외선 방사능을 측정한 도표는 다음과 같다.
이상의 실험예에 나타나듯이 적외선의 파장대인 1~100um중 5um에서 14um까지가 원적외선이며, 본 발명의 제품은 5~14um의 파장대에 광이 집중되어 특히 8um 파장대에서 피크치를 보이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우리 몸이나 생활에 가장 유익한 6~14um 파장대에 집중된 원적외선으로 효율이 극대화 되었음을 알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필요하다면 상기 인쇄공정 중 인쇄잉크에 천연향을 함께 섞어서 인쇄하여 보다 향발산이 다량 방출되도록 할 수도 있다.

Claims (3)

  1. 경질 P·V·C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가소제 0~3중량%, ABS 수지 3~10중량%, 고온소성된 세라믹분말 2~15중량% 및 천연향 분말 1~10중량%를 배합하여서 구성되는 칼라명함판 제조용 쉬트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세라믹분말이 500~700메쉬의 입도를 갖으며, 천연향의 내열온도가 적어도 100~180℃인 것을 특징으로하는 칼라명함판 제조용 쉬트조성물.
  3. 경질 P·V·C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가소제 0~3중량%, 500~700 메쉬입도의 세라믹분말 2~15중량%를 일차 혼합하고 이어서 ABS 수지 3~10중량%, 천연향분말 1~10중량%를 첨가하여 균질혼합 하는 공정, 상기한 혼합공정에서 얻은 조성물은 140~180℃로 유지되는 압출기를 통하여 0.15~2.4mm 두께로 압출하는 압출성형공정, 상기 압출성형공정에서 제조한 쉬트에 식자, 도안, 편집, 원색분해, 제판, 교정, 소부, 인쇄, 불변코팅, 제판의 인쇄공정으로 구성되는 칼라명함판 제조방법.
KR1019930007989A 1993-05-10 1993-05-10 칼라명함판 생산용 쉬트조성물 및 칼라명함판 제조방법 KR9600081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07989A KR960008122B1 (ko) 1993-05-10 1993-05-10 칼라명함판 생산용 쉬트조성물 및 칼라명함판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07989A KR960008122B1 (ko) 1993-05-10 1993-05-10 칼라명함판 생산용 쉬트조성물 및 칼라명함판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8122B1 true KR960008122B1 (ko) 1996-06-20

Family

ID=193551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07989A KR960008122B1 (ko) 1993-05-10 1993-05-10 칼라명함판 생산용 쉬트조성물 및 칼라명함판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8122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2448596C3 (de) Schlagfeste Formmasse auf Basis eines Acrylnitril-Butadien-Styrol-Polymerisates
KR960008122B1 (ko) 칼라명함판 생산용 쉬트조성물 및 칼라명함판 제조방법
JPH0693189A (ja) 色材およびそれを含む樹脂組成物
EP0042627B1 (en) Improved color pigment for use in the production of thermoplastic articles
KR102380992B1 (ko) 정수 슬러지를 활용한 꺾임강도가 높은 흑색 도자기용 소지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H0331663B2 (ko)
JPH03221571A (ja) 顔料インクの製造方法
JPS6281448A (ja) サ−モトロピツク液晶ポリマ−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3106976A (ja) 非焼成色鉛筆芯
KR100760447B1 (ko) 소성 연필심의 제조방법
KR950003377A (ko) 열변색성 카드제조용 조성물 및 열변색카드
JP2698409B2 (ja) 非焼成鉛筆芯
JP2628347B2 (ja) 弗化ビニリデン樹脂組成物の製造方法
EP0720921A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kontrastreichen beschrifteten, aus Silicon bestehenden Gegenständen
JPH0517679A (ja) 着色剤組成物
JP3729611B2 (ja) 耐光性樹脂組成物
JPH09235154A (ja) アルミナセラミックス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15742410A (zh) 一种在鞋材加工彩色图案的方法
JPH11228177A (ja) セラミックカラー組成物
CN1280143A (zh) 橡胶制品转移贴花印膜(纸)
CN1200055C (zh) 印刷肥皂用油墨组合物
JPH04236276A (ja) 鉛筆芯の製造方法
JPH0429819A (ja) 模様付き押出板の製造方法
DE2742928C2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schulkreideartigen Zeichen- und Malkörpers zur Erzeugung von durch Wärmeanwendung fixierbaren Bildern
JPH0240100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