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7295B1 - 고 탄성률 필름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고 탄성률 필름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7295B1
KR960007295B1 KR1019880001622A KR880001622A KR960007295B1 KR 960007295 B1 KR960007295 B1 KR 960007295B1 KR 1019880001622 A KR1019880001622 A KR 1019880001622A KR 880001622 A KR880001622 A KR 880001622A KR 960007295 B1 KR960007295 B1 KR 9600072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temperature
stretching
draw ratio
stretch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016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9772A (ko
Inventor
힌-모리
제임스 로스카 프레드
Original Assignee
미네소타 마이닝 앤드 매뉴팩츄어링 컴패니
도날드 밀러 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21768879&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960007295(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미네소타 마이닝 앤드 매뉴팩츄어링 컴패니, 도날드 밀러 셀 filed Critical 미네소타 마이닝 앤드 매뉴팩츄어링 컴패니
Publication of KR8800097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97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72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729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5/0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 B29C55/0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 B29C55/1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multiaxial
    • B29C55/1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multiaxial biax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5/0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 B29C55/005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hoice of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5/0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 B29C55/0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5/0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 B29C55/0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 B29C55/1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multiaxial
    • B29C55/1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multiaxial biaxial
    • B29C55/14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multiaxial biaxial successively
    • B29C55/143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multiaxial biaxial successively firstly parallel to the direction of feed and then transversely thereto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7/00Producing flat articles, e.g. films or sheets
    • B29D7/01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67/00Use of polyester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07/00Flat articles, e.g. films or she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haping By String And By Release Of Stress In Plastic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고 탄성률 필름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은 한쪽 방향 또는 양쪽 방향으로 높은 영률(Young's moduli)을 갖는 이축 연신(biaxizlly oriented) 필름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축 연신은 플라스틱중의 중합체 사슬이 필름의 평면과 평행하게, 그러나 그 평면내에서 다소간 랜덤하게 배향되도록 하는 바와 같은 방식으로 플라스틱 필름 또는 시이트를 연신시키는 방법이다. 이축 연신 필름은 우수한 인장 특성, 개선된 가요성 및 인성, 그리고 증대된 수축성을 보유한다. 이 개선된 물리적 특성들은 또한 필름의 전기적 및 광학적 특성에 대한 보다 광범위한 응용을 가능하게 한다.
이축 연신 필름은 양쪽 방향으로 동시에 연신시키거나 한쪽 방향으로 연신시켜 제조된다. 텐터링(tentering) 은 오븐내에서 텐터프레임에 대해서 가로방향으로 형성된 편평한 시이트를 연신시킬 수 있다. 버블 블로우 연신(bubble blowing orientation)은 종 방향 및 횡단 방향의 양 방향으로 필름을 동시에 연신시킬 수 있다. 종 방향 및 횡단 방향의 양 방향으로 동시에 필름을 연신시키는 다른 방법이 영국 특허제GB2,038,705A호에 설명되어 있다. 유리 전이 온도(이후, Tg)이상의 온도에서 종 방향 또는 횡단 방향으로 필름을 연신시키는 것은 필름을 배향시키며, 그 방향으로 높은 영률 또는 인장 계수로 귀결된다. 전형적으로, 필름에 수축성이 요구되지 않는다면, 필름은 아닐링(annealing)(가열 고정) 목적을 위한 후배향 가열 사이클로 처리된다.
한쪽 또는 양쪽 방향으로 높은 탄성률(modulus)을 갖는 필름에 대해서는 수많은 용도가 존재한다. 그러한 용도로서는, 필름상에 기능층(functional layer), 예컨대, 접착층, 연마층 또는 자기층을 사용하는 것을 들 수 있다. 증대된 종 탄성률(longitudinal modulus)을 갖는 포장용 테이프는 그 테이프중에 강화 성분들을 필요로 하지 않으면서도 강한 밀봉을 제공할 수 있다. 자기 또는 연마 입자에 대한 백킹으로서 사용되는 필름, 예컨대, 비디오 테이프 또는 연마 벨트는, 테이프나 벨트의 파단을 방지하기 위해 종 방향으로, 또 커핑(cupping) 또는 컬링(curling)을 막기 위해 횡단 방향으로 높은 탄성률을 필요로 한다.
종래 기술은, 필름의 Tg보다 10℃ 이상이며 융점(Tm)보다 40℃ 이하인 온도 사이에서 일련의 연신(drawing)단계를 통해 한쪽 또는 양쪽 방향으로 증대된 탄성률을 갖는 필름을 제조하고 있다. 예컨대, 미국 특허 제4,497,865호를 참조하기 바란다. 다수의 연신 단계는, 각 연신 단계에서 필름이 파단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으므로, 종종 더 낮은 수율로 귀결된다. 다수의 연신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은 또한, 보다 작은 연신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보다 전형적으로 더 높은 비용을 요구한다.
그러므로, 다수의 연신 단계를 거칠 필요없이, 두단계의 방법으로 필름의 탄성률을 증대시키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은 대단히 바람직할 것이다.
본 발명은, Ⅰ) 유리 전이 온도 Tg와 용융 온도 Tm을 갖는 열가소성 필름을 제공하고 ; Ⅱ) Tg보다 약 10℃ 이상이고 Tm보다 약 40℃ 이하(바람직하게는 Tg보다 20℃ 이상, Tm보다 100℃ 이하) 사이의 온도를 갖는 매질중에서 1.05 내지 5.5(바람직하게는 2.8 내지 3.8 또는 4.0 내지 5.5)의 연신 비율로 적어도 한쪽 방향으로 필름을 연신하며 ; Ⅲ)Tm 밑으로 5℃ 내지 35℃ 사이의 온도를 갖는 매질중에서 약 1.05 내지 2.5(바람직하게는 1.05 내지 1.8)의 연신 비율로, 적어도 상기와 동일한 한쪽 방향으로 그 필름을 연신시키는 단계들로 구성되는, 원하는 방향에서의 필름의 탄성률을 크게 증대시키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방법으로 제조되는 필름과 그것에 코팅된 기능층을 가지는 필름을 제공한다.
모던 플라스틱류 백과사전(Modern Plastics Encyclopedia)에서 정의된 바에 의하면, 필름은 0.25mm 이하의 대단히 작은 두께를 가지며 그 넓이와 길이에 비해 매우 얇은, 예컨대, 열가소성 수지나 재생 셀룰로오스와 같은 재료로된 편평한 박편이다. 보다 큰 두께를 갖는 비슷한 재료들은 전형적으로 시이트로서 정의된다. 본 명세서중에서 사용되는 필름이라는 용어는 모던 플라스틱류 백과사전 정의의 필름과 시이트를 모두 포함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0.13mm 이하의 두께를 갖는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종 방향은 제조중의 이동 방향과 평행한 필름의 방향이며, 횡단 방향은 필름 평면에서 그에 대한 직각 방향으로 정의된다. 필림이 이동에 대한 바람직한 방향을 가지지 않는 방법으로 제조되는 경우, 종 방향과 횡단 방향은 필름의 평면에 이동에 대한 바람직한 방향을 가지지 않는 방법으로 제조되는 경우, 종 방향과 횡단 방향은 필름의 평면에 놓이는 두개의 직각 방향으로 정의된다.
본 발명의 필름은 반결정성 중합체 물질, 예컨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나일론, 폴리(페닐렌 설파이드)와, 방향족 디카르복실산과 에틸렌 글리콜 또는 1,4-사이클로헥산 디카르비놀의 폴리에스테르로 형성될 수 있다. 테레프탈산 또는 2,6-나프날렌 디카르복실산이 주된 디카르복실산인 폴리에스테르가 바람직하며,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가 가장 바람직한 폴리에스테르이다.
필름의 영률 또는, 인장 계수는 필름 강성에 대한 척도이며, ASTM D-882-11.7에 정의된 표준 방법인 외삽법에 따라 측정된다. 인장 계수는 응력-변형도 곡선의 초기 직선상 부분에서 변형에 대한 응력의 비율이며, kg/㎟나타낸다. 인장 계수는 커브로부터 1% 신장시킨 외삽된 힘에 100을 곱한후 그 샘플의 원래의(공정) 단면적으로 나누어 계산한다.
본 발명의 필름-형성 중합체는, 통상적인 방식으로 노즐 또는 다이 슬릿을 통해 용융되어 압출될때까지 가열되어 필름을 형성한 후, 냉각 드럼 사이에 유연(流延 : casting)되어 고화된다. 용융 온도는 일반적으로 약 255℃ 내지 3000178이며 냉각드럼은 바람직하게는 5°내지 75℃로 냉각된다. 필름은 또한 통상의 용매 유연 기술로도 얻어질 수 있다.
일단, 유연 필름(cast film)이 얻어지면, 그 필름이 Tg보다 약 10℃ 이상이며 Tm보다 40℃ 이하 사이의 온도를 갖는 매질, 바람직하게는 공기중으로 통과시키는 것에 의해서 종 방향 및/ 또는 횡단 방향으로 일차로 연신된다. 필름을 종 방향으로만 연신시키기 위해서는, 전형적으로 상이한 주행 속도의 로울러상에 필름을 통과시키는 것으로 연신시킨다. 필름을 횡단 방향으로만 연신시키기 위해서는, 전형적으로, 텐터 프레임으로 필름을 연신시킨다. 필름을 양 방향으로 동시에 연신시키기 위해서는, 영국 특허 GB 2,078,705A에 기재된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이 일차 연신의 연신비는 약 1.05 내지 5.5가 일반적이다. 일차 연신은 연신 방향(들)으로(이후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언급함) 필름에 인장 계수를 증대시키게 된다.
일반적인 실시에서, 필름의 파단은 일차 TD(transverse directon : 횡단 방향) 연신비가 5.4배 이상일때 일어나기 시작하며, 710kg/㎟ 이상의 TD 탄성률을 갖는 필름은 단일 TD 연신에 의해서는 얻어질 수 없다. 종래 기술은, 정형적으로, Tg보다 10℃ 이상이며 Tm보다 40℃ 이하 사이에서의 몇 단계의 연신이 필름에 대한 인장 계수를 더욱 증대시킨다는 것을 가르쳐주고 있다. 이 방법들은 다-단계의 연신이며, 때때로 두 연신 단계 사이에서의 열 고정 단계를 포함한다. 각 수부적 단계는, 필름의 파단으로 귀결될 수 있고, 고 탄성률 필름의 제조 비용을 증가시키게 된다.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인장 계수의 상당한 증가를 단독적으로 유도하는 이차 연신 단계를 제공한다. 이 이차 연신 단계는 종 방향 및/또는 횡단 방향으로 실시되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이차 연신 방향(들)은 일차 연신 방향에 따라야만 한다. 이 이차 연신 단계는 종 방향 및/또는 횡단 방향으로 인장 계수를 20-40% 증가시킨다. 이 이차 연신 단계는 또한, 다른 연신 방법으로부터 결과되는 인장 계수를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차 연신 단계에서, 필름은 Tm 밑으로 5℃ 내지 35℃ 사이의 온도를 갖는 매질, 바람직하게는 공기중에서 약 1.05 내지 2.5의 연신 비율로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연신된다. 적어도 한쪽 방향의 연신에서 약 28 내지 56kg/㎟의 인장 강도를 갖는 필름이 일반적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을 하기의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상세히 기재하기로 하며,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15]
10미크론, 13.3미크론, 19.8미크론의 최종두께를 갖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이후, PET로 언급함)을 약 290℃에서 용융 압출시키고 냉각 드럼상에 유연시킨후, 실온으로 급히 냉각시켜 실질적으로 무정질의 시이트를 얻었다. 그 필름을 85-90℃ 범위의 온도에서, 3.2배의 연신 비율로 상이한 속도로 주행하는 한 세트의 로울러들을 통하여 통과시키는 것에 의해서 3.2배의 연신 비율로 종 방향으로 연신시켰다. 그 필름을 95°-100℃ 범위의 온도에서 3.1 내지 5.4배의 연신 비율로 텐터 프레임을 사용하여 횡단 방향으로 연신시켰다. 필름의 일부(실시예 1-3, 6-8과, 11-13)를 0.96-1.0 범위로 완화(relaxation)시키면서 220℃ 내지 240℃에서 열고정시켰다. 이것은 통상의 종래 방법이다. 필름의 파단은 일차 TD 연신 비율이 약 5.4배 이상일때 일어나기 시작하며, 710kg/㎟ 이상의 TD 탄성률을 갖는 필름은 단일 TD 연신에 의해서는 얻어질 수 없다.
본 발명의 필름(실시예 4,5,9,10,14,15)을 220℃ 내지 240℃의 온도에서 텐터 프레임으로 1.09 내지 1.15의 연신 비율로 횡단 방향으로 2차 연신시켰다. PET의 Tg는 75℃이며, Tm은 256℃이다. TD 탄성률에 대한 최종적인 횡단 방향 연신의 큰 효과를 보여주는 이들 실시예의 결과를 표 1-3에 기재한다. 일차 MD(machime direction : 종 방향) 연신 단계에 이어서 이차의 MD 연신, 즉, 종 방향 연신시킨 경우에도, 필름의 MD 탄성률에 대해서 유사한 결과가 얻어진다.
[표 1]
Figure kpo00001
[표 2]
Figure kpo00002
[표 3]
Figure kpo00003

Claims (16)

  1. 유리 전이 온도 Tg와 용융 온도 Tm을 갖는 열가소성 필름의 탈성률(modulus)을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증대시키는, 본질적으로 다음으로 이루어지는 연신 단계들로 구성되는 방법 : ⅰ) Tg보다 약 10℃ 이상이고 Tm 보다 약 40℃ 이하 사이의 온도에서 1.05 내지 5.5의 연신비로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상기 필름이 일치 연신되고; ⅱ) Tm 밑으로 약 5℃내지 35℃ 사이의 온도에서 약 1.05 내지 2.5의 연신비로 적어도 하나의 상기한 방향으로 상기 필름이 이차 연신된다.
  2. 제 1 항에 있어서, 필름이 Tg보다 20℃ 이상이고 Tm보다 100℃ 이하 사이의 온도에서 일차 연신되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필름이 횡단 방향으로 이차 연신되는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필름이 ⅰ) Tg보다 약 20℃ 이상이고 Tm 보다 약 100℃ 이하 사이의 온도에서 약 2.8 내지 3.8의 연신비로 종 방향으로 일차 연신 및, Tg보다 20℃이상이고 Tm보다 100℃ 이하 사이의 온도에서 약 4.0 내지 5.5의 연신비로 횡단 방향으로 일차 연신되고 ; ⅱ) Tm 밑으로 약 5℃와 Tm 밑으로 약 35℃ 사이의 온도에서 약 1.05 내지 2.5의 연신비로 상기의 횡단 방향으로 이차 연신되는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필름이 약 1.5 내지 2.5의 연신비로 상기의 횡단 방향으로 이차 연신되는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필름이 종 방향으로 이차 연신되는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필름이 ⅰ) Tg보다 20℃ 이상이고 Tm보다 100℃ 이하 사이의 온도에서 약 2.8 내지 3.8의 연신비로 종 방향으로 일차 연신 및, Tg보다 20℃ 이상이고 Tm보다 100℃ 이하 사이의 온도에서 약 4.0 내지 5.5의 연신비로 횡단 방향으로 일차 연신되고 ;ⅱ) Tm 밑으로 약 5℃와 Tm 밑으로 약 35℃ 사이의 온도에서 약 1.05 내지 2.5의 연신비로 상기의 종 방향으로 이차 연신되는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필름이 약 1.05 내지 1.8의 연신비로 종 방향으로 이차 연신되는 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필름이 각 방향으로 약 1.05 내지 1.8 사이의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연신비로 이차 이축 연신되는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이축 연신이 동시에 수행되는 방법.
  11. 제 1 항에 있어서, 필름이 반결정질 중합체 필름과 폴리에스테르 중합체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
  12. 제 1 항에 있어서, 필름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또는 폴리(2,6-에틸렌 나프탈레이트)로 구성되는 방법.
  13. 제 1 항에 있어서, 필름이 적어도 하나의 연신 단게 이후에 적어도 200℃의 온도로 열고정(heat set)되는 방법.
  14. 제 1 항에 있어서, 필름이 종 방향으로 일차 연신되고, 별도로 횡단 방향으로 일차 연신되며, 각각의 상기 일차 연신 사이에 실온으로 냉각되는 방법.
  15. 제 1 항에 있어서, 필름이 각 방향으로 약 1.05 내지 5.5 사이의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연신비로 종 방향 및 횡단 방향의 양 방향으로 동시에 일차 및 이차 연신되는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필름이 적어도 하나의 연신 단계 이후에 적어도 200℃의 온도로 열고정되는 방법.
KR1019880001622A 1987-02-17 1988-02-16 고 탄성률 필름의 제조방법 KR9600072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7/014,977 US4867937A (en) 1987-02-17 1987-02-17 Process for producing high modulus film
US14977 1987-02-17
US014977 1993-02-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9772A KR880009772A (ko) 1988-10-05
KR960007295B1 true KR960007295B1 (ko) 1996-05-30

Family

ID=217688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01622A KR960007295B1 (ko) 1987-02-17 1988-02-16 고 탄성률 필름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4867937A (ko)
EP (1) EP0279611B1 (ko)
JP (1) JPH07106597B2 (ko)
KR (1) KR960007295B1 (ko)
DE (1) DE3887907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35675A (en) * 1988-11-15 1994-08-09 Family Health International Stress-softened elastomeric films, articles,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such films and articles
FR2682915B1 (fr) * 1991-10-24 1997-09-19 Rhone Poulenc Films Films en polyester semi-cristallins orientes, leur procede d'obtention et leur emploi comme support de revetement magnetique
FR2721935B1 (fr) * 1994-07-01 1996-09-06 Rhone Poulenc Films Film polyester utilisables pour l'operculage et leur procede de preparation
JP3569987B2 (ja) 1994-12-22 2004-09-29 東洋紡績株式会社 2軸配向ポリアミド系樹脂フィルム
US6630231B2 (en) 1999-02-05 2003-10-07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Composite articles reinforced with highly oriented microfibers
US6110588A (en) * 1999-02-05 2000-08-29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icrofibers and method of making
US6890471B2 (en) * 2000-12-11 2005-05-10 Teijin Limited Biaxially oriented polyester film and method for production thereof
US6680114B2 (en) 2001-05-15 2004-01-20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Fibrous films and articles from microlayer substrates
US6692823B2 (en) 2001-12-19 2004-02-17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icrofibrillated articles comprising hydrophillic component
US6753080B1 (en) 2002-01-29 2004-06-22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Receptor medium having a microfibrillated surface
FR2944227B1 (fr) 2009-04-09 2013-08-16 Soc Tech Michelin Stratifie multicouches pour bandage pneumatique
FR2944230B1 (fr) 2009-04-09 2011-04-08 Michelin Soc Tech Pneumatique a armatures de carcasse radiale
FR2964907B1 (fr) 2010-09-21 2012-09-28 Michelin Soc Tech Pneumatique comportant une armature de protection
FR2964905A1 (fr) 2010-09-21 2012-03-23 Michelin Soc Tech Pneumatique comportant une armature de protection
FR2964906B1 (fr) 2010-09-21 2012-09-28 Michelin Soc Tech Pneumatique comportant une armature de protection
FR2966082B1 (fr) 2010-10-13 2012-10-26 Michelin Soc Tech Pneumatique a armature de carcasse radiale pour vehicule de tourisme.
FR2967611B1 (fr) 2010-10-14 2015-04-17 Michelin Soc Tech Pneumatique dont les flancs sont renforces par un film de polymere thermoplastique
FR2987310B1 (fr) 2012-02-29 2014-03-21 Michelin & Cie Stratifie multicouche utilisable pour le renforcement d'une ceinture de pneumatique
FR3013625B1 (fr) 2013-11-28 2016-06-24 Michelin & Cie Element de renfort a section aplatie
FR3013622B1 (fr) 2013-11-28 2016-06-24 Michelin & Cie Procede de traitement d'un element de renfort a section aplatie
AR113268A1 (es) 2017-10-10 2020-03-11 Dow Global Technologies Llc Películas poliméricas orientadas de manera uniaxial y artículos fabricados a partir de estas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77277A (en) * 1957-05-10 1965-04-06 Ici Ltd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biaxially oriented polyethylene terephthalate film
US2823421A (en) * 1952-05-12 1958-02-18 Du Pont Stretching of polyethylene terephthalate film
DE1194561B (de) * 1956-05-18 1965-06-10 Ici Lt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biaxial orientierten Polyaethylenterephthalatfilms mit hoher Festigkeit in Laengsrichtung
BE581665A (ko) * 1956-12-20 1900-01-01
DE1504525A1 (de) * 1959-06-15 1969-05-08 Minnesota Mining & Mf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hochfesten waermebestaendigen Polymerisatfilms
JPS4737703U (ko) * 1971-05-19 1972-12-26
UST910010I4 (en) * 1972-07-12 1973-05-08 Stretch ratio
GB1407580A (en) * 1974-03-01 1975-09-24 Asahi Chemical Ind Unaxially stretched films of good dimensional stability and anti-fibrillation
GB1481130A (en) * 1975-02-21 1977-07-27 Nauch Proizv Ob Process for producing polymeric films from crystallizing polyesters
JPS5522915A (en) * 1978-08-07 1980-02-19 Toray Ind Inc Manufacture of polyester film
JPS6056101B2 (ja) * 1980-09-25 1985-12-09 東レ株式会社 ポリエステルフイルムの製造方法
US4497865A (en) * 1982-02-17 1985-02-05 Toray Industries, Inc. Polyethylene terephthalate film, process for the production thereof and magnetic recording medium therefrom
CA1171225A (en) * 1982-02-23 1984-07-24 Brian L. Hetherington Machine direction orientation of nylon film
FR2528354A1 (fr) * 1982-06-10 1983-12-16 Rhone Poulenc Films Procede d'etirage longitudinal de film polyester prealablement etire transversalement et film ainsi obtenu
JPS5967018A (ja) * 1982-10-06 1984-04-16 Diafoil Co Ltd ポリエステルフイルムの製造法
JPS60228123A (ja) * 1984-04-26 1985-11-13 Diafoil Co Ltd 二軸延伸ポリエステルフイルム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9772A (ko) 1988-10-05
JPH07106597B2 (ja) 1995-11-15
DE3887907T2 (de) 1994-09-29
EP0279611A3 (en) 1990-06-06
EP0279611B1 (en) 1994-02-23
JPS63295236A (ja) 1988-12-01
US4867937A (en) 1989-09-19
EP0279611A2 (en) 1988-08-24
DE3887907D1 (de) 1994-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07295B1 (ko) 고 탄성률 필름의 제조방법
US4042569A (en) Heat-setting process for polyester film
KR20150048704A (ko)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CN114901735A (zh) 双轴拉伸薄膜
JPS61211014A (ja) 熱可塑性ポリエステルから成る改良耐磨耗性を有する二軸延伸ヒートセツトフイルム
DE69918837T2 (de) Kunststoff-folien
US3794547A (en) Polyamide films
JP2505474B2 (ja) 易折り曲げ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US3915933A (en) Shrinkable films
JPH09300518A (ja) 積層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2210818A (ja) 熱可塑性樹脂配向シートの製造方法
JPH0832499B2 (ja) 転写フィルム用耐熱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CA1062429A (en) Heat-setting process for polyester film
US6306496B1 (en) Biaxially oriented polyester film
KR20160116702A (ko)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JPH0367629A (ja) 成形用二軸延伸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943183B2 (ja) 積層成形体
JP2000198140A (ja) テンタ―クリップ及び熱可塑性樹脂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3367331B2 (ja) 2軸配向ポリアミド系樹脂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法
JP2788775B2 (ja) 2軸延伸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H0516258A (ja) ポリエステルフイルムの熱処理方法
JPS59114028A (ja) 熱可塑性樹脂フイルムの製造方法
JP2555707B2 (ja) ポリエチレン2,6―ナフタレートフイルムの製造方法
KR100572086B1 (ko) 폴리아미드 테이프 및 그 제조방법
JPH0367630A (ja) 二軸配向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52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