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7098Y1 - 커넥터의 접지선 접속구조 - Google Patents

커넥터의 접지선 접속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7098Y1
KR960007098Y1 KR2019930014405U KR930014405U KR960007098Y1 KR 960007098 Y1 KR960007098 Y1 KR 960007098Y1 KR 2019930014405 U KR2019930014405 U KR 2019930014405U KR 930014405 U KR930014405 U KR 930014405U KR 960007098 Y1 KR960007098 Y1 KR 96000709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nd wire
connector
metal cap
present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1440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4857U (ko
Inventor
우영대
Original Assignee
선진전자 주식회사
전희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선진전자 주식회사, 전희자 filed Critical 선진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30014405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7098Y1/ko
Publication of KR95000485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485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709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7098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2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with earth pin, blade or sock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5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material of the contacting members
    • H01R4/66Connections with the terrestrial mass, e.g. earth plate, earth pin

Abstract

요약없음

Description

커넥터의 접지선 접속구조
제1도 내지 제3도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 것으로
제1도는 본 고안의 접지선을 접속하지 않은 상태의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접지선을 접속한 상태의 사시도
제3도는 제2도의 “Ⅲ”부 확대 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제5도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금속캡11 : 접지선 접속편
12a,12b : 접지선 조임편14 : 로킹용 탄성편
본 고안은 커넥터의 접지선 접속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별도의 납땜을 하지 않고 간단한 작업으로 접지선을 접속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접지선의 접속작업이 신속, 간편하게 되어 조립,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납땜시 야기되었던 부식 등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한 커넥터의 접지선 접속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커넥터, 특히 소위 DIN 커넥터라고 불리우는 커넥터와 소형 DIN 커넥터라고 불리우는 커넥터 및 디-서브(D-Sub) 커넥터라고 불리우는 커넥터는 금속캡과 이 금속캡내에 내장되는 절연물로된 홀더 및 이 홀더를 관통하는 다수개의 핀으로 구성되며, 핀의 후단부에 도선을 연결함과 아울러 금속캡의 일측면에 접지선을 납땜한 다음 금속캡의 선단부를 약간 노출시킨 상태로 몰딩(Molding)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커넥터에서는 접지선을 접속하기 위하여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금속캡(1)의 일측면에 접지선(3)을 납땜하기 위한 요홈부(2)을 형성한 다음 이 부분에 접지선(3)을 납땜(4)으로써 접속하고 있었기 때문에 그 접속작업이 번거롭고 시간을 요하기 때문에 커넥터 전체의 조립,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금속캡(1)의 일측면에 접지선(3)을 납땜(4)하기 위하여는 플럭스를 사용하여야 하는 바, 이 플럭스에 의하여 금속캡(1)의 접지선 접속부위가 부식되어 접지선의 접속불량을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접지선의 접속 작업이 신속, 간편하여 조립,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커넥터의 접지선 접속구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접지선을 접속한 부위에서의 부식을 방지하여 접지선의 접속불량이 발생되는 일이 없도록 하려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커넥터 몸체를 구성하는 금속캡의 외주면 일측에 접지선 조임편이 형성된 접지선 접속편을 고정설치 함으로써 접지선의 접속작업이 매우 신속, 간편하게 되어 조립,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과 아울러 종래와 같이 납땜에 의하여 접속하는 경우 플럭스에 의하여 금속캡의 접지선 납땜 부위가 부식됨에 따른 접지선의 접속불량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커넥터의 접지선 접속구조를 제공하는 것에 의하여 달성된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커넥터의 접지선 접속구조를 첨부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 내지 제3도는 본 고안을 소위 DIN 커넥터라고 하는 커넥터에 적용한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 것으로, 제1도는 본 고안의 커넥터에 접지선을 접속하지 않은 상태의 사시도이고, 제2도는 접지선을 접속한 상태의 사시도이며, 제3도는 제2도의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면에서는 금속캡과 접지선 접속편만을 도시하였으며, 금속캡내에 내장되는 절연홀더와 이 절연홀더에 고정되는 다수개의 핀과 이 핀에 접속되는 도선 및 금속캡의 선단부를 약간 남기고 성형되는 몰드부분의 도시는 생략하였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넥터의 몸체를 구성하는 금속캡(10)의 외주면에 접지선 조임편(12a,12b)이 형성된 접지선 접속편(11)을 고정설치하여서 된 것이다.
도시예에서는 접지선 접속편(11)을 금속캡(10)에 불박이(13)로 고정하였으나, 반드시 이로써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금속캡(10)과 접지선 접속편(11)이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는 방법이라면 어떠한 고정방법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접지선 접속구조를 가진 커넥터에 접지선(20)을 접속함에 있어서는 접지선(20)의 피복부(21)와 심선(22)을 각각 조임편(12a, 12b)에 위치시킨 다음 조임편(12a, 12b)을 절곡하여 조여붙임으로써 피복부(21)를 고정함과 아울러 심선(22)을 접지선 접속편(11)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것이다.
접지선 조임편(12a, 12b)을 절곡하여 조여붙이는 작업은 치구나 전용장치를 이용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여 커넥터에 접지선(20)을 접속한 상태에서는 별도로 납땜하는 것이 아니라 접지선 접속편(11)의 접지선 조임편(12a, 12b)를 절곡하여 조여붙이는 것이므로 그 작업이 매우 신속, 간편하게 이루어져 커넥터의 조립,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그 조립, 생선을 자동화하는데도 유리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납땜을 하지 않으므로 납땜시 사용되는 플럭스에 의한 금속캡의 접지선 접속부위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어 접지선의 접속불량을 일으킬 염려가 없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금속캡(10)의 외주면에 로킹용 탄성편(14)을 붙박이로 고정한 구조의 경우에는 상기 접지선 접속편(11)을 로킹용 탄성편(14)과 일체로 형성하여 단 한번의 작업으로써 로킹용 탄성편(14)과 접지선 접속편(11)을 동시에 고정설치할 수 있어 그 조립이 더욱 간편하게 된다.
제4도는 본 고안을 소위 소형 DIN 커넥터라고 하는 커넥터에 적용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것이며, 제5도는 본 고안을 소위 디-서브(D-Sub) 커넥터라고 불리우는 커넥터에 적용한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것으로,
이들 실시예에서도 금속캡(10)의 외주면 일측에, 접지선 조임편(12a, 12b)이 형성된 접지선 접속편(11)을 붙받이로 고정설치한 것이며, 접지선(20)의 접속과정 및 작용효과는 상술한 실시예에서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커넥터의 금속캡에 접지선을 접속함에 있어서 납땜을 하지 않고 금속캡의 붙박이식으로 고정된 접지선 접속편에 형성된 접지선 조임편에 접지선을 조여붙이는 것에 의하여 접속하는 것이므로 접지선의 접속작업이 매우 신속, 간편하게 되어 조립,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과 아울러 종래와 같이 납땜에 의하여 접속하는 경우 플럭스에 의하여 금속캡의 접지선 납땜 부위가 부식됨에 따른 접지선의 접속불량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상술한 실시예들로서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접지선이 접속되는 커넥터라면 어떠한 종류의 것에도 적용할 수 있는 등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내에서 당업장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이 가능한 것이다.

Claims (2)

  1. 커넥터 몸체를 구성하는 금속캡(10)의 외주면 일측에, 접지선 조임편(12a, 12b)이 형성된 접지선 접속편(11)을 후방으로 연장되게 고정설치하여서 된 것으로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의 접지선 접속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선 접속편(11)은 로킹용 탄성편(14)과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의 접지선 접속구조.
KR2019930014405U 1993-07-29 1993-07-29 커넥터의 접지선 접속구조 KR96000709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14405U KR960007098Y1 (ko) 1993-07-29 1993-07-29 커넥터의 접지선 접속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14405U KR960007098Y1 (ko) 1993-07-29 1993-07-29 커넥터의 접지선 접속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4857U KR950004857U (ko) 1995-02-18
KR960007098Y1 true KR960007098Y1 (ko) 1996-08-19

Family

ID=193602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14405U KR960007098Y1 (ko) 1993-07-29 1993-07-29 커넥터의 접지선 접속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7098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4857U (ko) 1995-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570939Y2 (ja) シールド型電気コネクタ及びそれに使用する固定金具
EP1160930A1 (en) Fitting structure of waterproof plug
JP2772323B2 (ja) シールドコネクタ用端子およびシールドコネクタ
EP0792529B1 (en) A coaxial connector and method for fixing this connector to a circuit board
JP2005141930A (ja) ケーブルコネクタ
MY107612A (en) Mounting and grouding connectors for electrical components.
JP3148855B2 (ja) 電気コネクタ
KR960007098Y1 (ko) 커넥터의 접지선 접속구조
KR900001062A (ko) 선택형 측면 케이블 도입부를 갖춘 전기케이블 결합체
JP3313074B2 (ja) 変換コネクタ
GB2280991A (en) Terminal for attaching a wire to a pcb
JP3783148B2 (ja) 導体の接続構造
JP3362269B2 (ja) 電子機器の回路ユニット
JPH09283223A (ja) 電気コネクタ
JP2974115B2 (ja) 端子台
JPH0110860Y2 (ko)
JPH0525188Y2 (ko)
JPH028389Y2 (ko)
JPS6210948Y2 (ko)
KR900010738Y1 (ko) 프린트배선판용 전기기기 소켓
KR0123938Y1 (ko) 모니터의 시그널 케이블 고정용 리어브라켓
JP3122927B2 (ja) 基板取付型コネクタ
KR950008250Y1 (ko) 접속단자
JPS5849594Y2 (ja) プリント基板用コネクタ
JPS5846537Y2 (ja) 接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