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10738Y1 - 프린트배선판용 전기기기 소켓 - Google Patents

프린트배선판용 전기기기 소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10738Y1
KR900010738Y1 KR2019900013152U KR900013152U KR900010738Y1 KR 900010738 Y1 KR900010738 Y1 KR 900010738Y1 KR 2019900013152 U KR2019900013152 U KR 2019900013152U KR 900013152 U KR900013152 U KR 900013152U KR 900010738 Y1 KR900010738 Y1 KR 90001073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printed wiring
connection angle
wiring board
so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0001315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미쓰요시 하세가와
유끼오 야마다
쓰네오 사또오
고오지 가도야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 히다찌세이사꾸쇼
미다 가쓰시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57042664A external-priority patent/JPS58161282A/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 히다찌세이사꾸쇼, 미다 가쓰시게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 히다찌세이사꾸쇼
Priority to KR2019900013152U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1073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1073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0738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3/00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pparatus and having one part acting as a holder providing support and electrical connection via a counterpart which i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apparatus, e.g. lamp holders; Separate parts thereof
    • H01R33/74Devices having four or more poles, e.g. holders for compact fluorescent lamps
    • H01R33/76Holders with sockets, clips, or analogous contacts adapted for axially-sliding engagement with parallely-arranged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on counterpart, e.g. electronic tube socket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Multi-Conductor Connection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프린트배선판용 전기기기 소켓
제1도 및 제3도는 각각 종래 예에 의한 전기기기 소켓을 나타낸 평면도.
제2도 및 제4도는 각각의 그 정면도.
제5도는 본원 고안에 의한 전기기기 소켓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
제6도는 제5도에 있어서의 접속각(接續脚)을 나타낸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절연기대 2 : 접속자 지지공
6 : 프린트배선판 7 : 프린트배선
8 : 연납 9 : 접속자
9C : 접속부 9F : 접속각
9M : 중간부
본원 고안은 예를 들면 소형의 파워릴레이의 소켓 등과 같이 프린트배선판에 부착되어 납땜에 의해 전기적 접속을 행하는 프린트배선판용 전기기기 소켓에 관한 것이며, 특히 접속자를 개선한 프린트배선판용 전기기기 소켓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일반적으로 프린트배선판에 지지되는 예를 들면 파워릴레이의 소켓은 제1도 제4도에 나타낸 것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즉, 절연재료로 형성된 절연기대(1)에 이 절연기대(1)를 관통하는 구멍을 동일원주상에 복수개 형성하여 접속자 (3), (5)의 파워릴레이 장착측은 상기 접속자 지지공(2)의 개구보다도 내측에 위치하고, 반대측은 상기 접속자 지지공(2)으로 하고, 이 지지공(2)내에 접속자(3) 또는 (5)를 삽입하여 지지하며, 또한 상기 절연기대(1)의 외주에는 지지플랜지(4)를 고정시키고 있다. 상기 접속자 지지공(2)의 개구에서 돌출해서 접속각(接續脚) (3F), (5F)을 형성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소켓은 프린트배선판(6)에 부착되는 것이지만, 이 경우 상기 접속자(3), (5)의 접속각(3F), (5F)을 프린트배선(7)이 된 쪽과는 반대쪽에서 프린트배선판(6)의 소켓부착부에 관통시켜서 선단을 돌출시켜, 이 돌출부를 납(8)땜 함으로써 상기 프린트배선(7)과 전기적으로 접속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납(8)땜 하기 전에, 제4도에 나타낸 것과 같이 지지플랜지(4)에 볼트(10)를 관통시키고, 간격통(間隔筒) (11)을 통해서 상기 지지플랜지(4)를 프린트배선판(6)에 너트(12)로 고정하고 있으며, 이에 의하여 납땜시에 있어서의 접속각(3F), (5F)의 흔들림과 납땜후의 납땜부를 보호하고 있다.
이와 같이, 소켓의 각 접속각(3F), (5F)과 프린트배선판(6)상의 프린트배선(7)은 접속되는 것이지만, 예를 들면 어떤 이유에 의해 소켓에의 배선 변경이 생겼을 경우, 프린트배선판(6)의 배선패턴의 변경이 수반되므로, 이 프린트배선판(6)을 변경후의 새로운 프린트배선판으로 바꾸어 다시 납땜하지 않으면 안 되었다. 이 프린트배선판의 교환은 시간이 걸리는 것은 물론, 프린트 배선판은 양산품이므로, 1개소라도 배선 변경이 있으면 이미 양산한 것은 전부 쓸모없게 되어 새로운 배선패턴의 프린트배선판을 다시 만들지 않으면 안 된다고 하는 커다란 문제가 있었다.
본원 고안은 상술한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프린트배선판의 전기기기 소켓에의 배선 변경에 대해서도 상기 프린트배선판을 교환함이 없이 간단히 배선 변경을 행할 수 있는 동시에 프린트배선판과의 접속을 안정되게 할 수 있는 프린트배선판용 전기기기 소켓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원 고안자들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실태를 조사하였던바, 상기 배선 변경은 대부분이 큰 변경이 아니고, 단지 배선패턴을 하나 증가시키는 정도의 작은 변경이라는 것이 판명되었으며, 그래서 본원 고안은 접속자의 접속부와 접속각과의 사이에 단면적이 작은 중간부를 형성하고, 상기 접속각의 단면적을 상기 중간부의 단면적보다도 크게 형성하는 동시에, 이 접속각의 납땜부의 선단에 리드선감기부를 연재하고, 또한 상기 접속각을 절연기대의 접속자 지지공보다도 외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중간부에서 절곡한 것이다.
다음에, 본원 고안의 일실시예를 제5도에 의하여 설명한다.
단, 제1도-제4도와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부분을 나타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종래의 소켓과 크게 다른 것은 접속자(9)의 형상이다. 이 접속자(9)는 절연기대(1)에 원형상으로 형성된 복수의 접속자 지지공(2)내에서 전기기기측의 접속자(도시생략)와 접속되는 접속부(9C)를 가지며, 또한 상기 접속자 지지공(2)에서 접속각(9F)을 연납(8)으로 접속시키기 위해 필요한 납땜부를 h치수 앞으로 나오게 하고, 다시 이 선단에 리드선(13)을 감아서 접속하는 리드선 감기부를 H치수만큼 연장시켜서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접속자(9)는 상기 접촉부(9C)와 접속자(9F)와의 사이에 중간부(9M)를 가지며, 이 중간부(9M)는 상기 접속부(9C)보다도 단면적이 작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접속각(9F)은 상기 중간부(9M)보다도 단면적이 크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접속자(9)는 접속자 지지공(2)으로부터 돌출된 상기 중간부(9M)에서 외측으로 절곡되고, 다시 내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접속각(9F)이 상기 접속부(9C)와 평행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소켓을 종래와 같이 프린트배선판(6)의 프린트배선(7)측의 반대쪽에서 배선측을 향해 상기 접속각(9F)을 관통시킨다. 이때 접속각(9F)의 상기 접속자 지지공(2)으로 부터의 돌출길이는 납땜부의 h치수에 리드선 감기부의 H치수를 더한 길이로 되는 것은 명백하다.
이와 같이 소켓의 프린트배선판(6)에의 부착 및 접속자(9)의 납땜후에, 상기 접속자(9)에의 배선 변경이 생겼을 경우, 먼저 해당하는 접속자(9)에의 프린트배선(7)을 절단한다. 이 절단은 예리한 금속으로 프린트배선(7)상을 그 폭방향으로 상처를 내는 것만으로 용이하게 절단할 수 있다. 다음에, 리드선(13)의 일단을 정확한 배선상에 납땜하며, 또한 타단을 접속자(9)의 접속각(9F)의 리드선 감기부에 감아서 배선의 변경을 완료한다.
따라서, 소켓의 납땜 완료후에 배선을 변경할 경우, 한가닥의 리드선(13)을 사용하는 것만으로 간단히 배선 변경에 대처할 수 있으며, 그 결과 배선 변경이 생기더라도 프린트배선판(6)을 다시 만들 필요는 없어진다. 또한, 프린트배선(7)의 절단 및 리드선(13)의 추가는 프린트배선판(6)의 재제작에 비하면 비용면에서 대폭 삭감될 수 있으며, 매우 경제적으로 된다. 이밖에 프린트배선(7)의 절단, 리드선(13)의 접속등의 배선 변경작업은 새로운 프린트배선판(6)을 준비하여 재차 소켓을 납땜하는 것에 비해 단시간에 간단히 할 수 있다는 점에서도 유리하다.
그런데, 상기 접속자(9)는 단면적이 작은 중간부(9M)를 가지며, 그곳은 절곡되어 있고, 그리고 단면적에 큰 접속각(9F)이 프린트배선판(6)에 납땜되어 있으므로, 전기기기측의 접속자(9)를 접속부(9C)에 삽탈할때에 접속자(9)를 삽탈방향으로 움직이게 하는 힘이 작용하지만, 이 힘은 단면적이 작은 상기 중간부(9M)가 휘어져 흡수할 수 있으므로, 상기 접속각(9F)과 프린트배선(7)과의 접속부분에 작용하는 힘은 저감된다. 그 결과, 전기기기측 접속자(9)의 반복적인 삽탈이 있어도 상기 접속각(9F)과 프린트배선(7)의 접속이 박리되는 일은 없게 된다.
또한, 리드선(13)을 감음으로써 상기 접속각(9F)에 작용하는 힘에 대하여도 상기 접속각(9F)의 단면적이 크고, 납땜부가 견고하게 되어 있으므로, 상기 접속각(9F)의 납땜부가 리드선을 감을 때의 힘 때문에 떨어져 나가는 일이 없고, 안정된 접속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켓은 파워릴레이의 소켓을 예를 들어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상기 프린트배선판(6)에의 소켓의 접속자(9)의 납땜은 하나의 접속자 마다에 행하는 납땜에 의한 것과, 복수의 접속자를 동시에 행하는 플로솔더가 있지만, 본원 고안에서는 플로솔더와의 조합에 의해 가장 큰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그리고, 제5도에 있어서의 접속각(9F)은 제6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U자형상으로 절곡해서 강성을 높이고 있다. 즉, 접속자(9)의 판두께 채로 접속각(9F)을 형성한 것만으로는 리드선(13)을 감을때에 쉽게 접속각(9F)이 변형되어 버리기 때문이다. 그러나, 접속각(9F)의 강성을 높이는 것은 U자형상 및 이것과 유사한 형상으로 절곡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판두께를 바꾸거나 보강재를 부착해도 지장은 없다. 또한 상기 접속각(9F)의 리드선 감기부에는 최소한 하나의 요철을 형성하며, 리드선(13)을 감았을때에 친숙성을 좋게 하는 동시에 감은 리드선(13)이 접속각(9F)으로부터 빠져 나오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면 신뢰성을 향상시킬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원 고안에 의하면 전기기기 소켓을 구성하는 접속자의 접속각을 프린트배선판에 관통시키고, 그 관통선단을 납땜부로 한 것에 있어서, 상기 접속각의 납땜부 선단에 전선감기부를 형성했으므로, 상기 전기기기의 접속자에의 배선 변경에 대해서도 상기 전선감기부를 이용하여 리드선에 의한 배선을 행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프린트배선판을 교환함이 없이 간단하게 배선변경에 대처할 수 있으며, 매우 경제적으로 되는 동시에, 프린트배선판과의 접속을 안정되게 할 수 있는 전기기기 소켓을 얻을 수 있다.

Claims (1)

  1. 절연기대와, 이 절연기대를 관통하여 원형상이 되도록 복수개 형성한 접속자 지지공과, 이들 접속자 지지공내에 지지된 접속자로 이루어지며, 이 접속자의 일단에 상기 접속자 지지공에서 전기기기측의 접속자와 접속되는 접속부를 형성하고, 타단에는 상기 접속자 지지공으로부터 돌출하여 프린트배선판의 프린트배선에 납땜하기 위한 납땜부를 갖는 접속각(接續脚)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전기기기 소켓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와 상기 접속각과의 사이에 단면적이 작은 중간부를 형성하고, 상기 접속각의 단면적을 상기 중간부의 단면적보다도 크게 형성하는 동시에, 이 접속각의 납땜부의 선단에 리드선 감기부를 연재하고, 또한 상기 접속각을 상기 접속자 지지공보다도 외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중간부에서 절곡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트배선판용 전기기기 소켓.
KR2019900013152U 1982-03-19 1990-08-30 프린트배선판용 전기기기 소켓 KR90001073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13152U KR900010738Y1 (ko) 1982-03-19 1990-08-30 프린트배선판용 전기기기 소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2-42.664 1982-03-19
JP57042664A JPS58161282A (ja) 1982-03-19 1982-03-19 プリント配線板用電気機器ソケツト
KR1019830000170A KR840003546A (ko) 1982-03-19 1983-01-18 프린트 배선판용 전기기기 소켓
KR2019900013152U KR900010738Y1 (ko) 1982-03-19 1990-08-30 프린트배선판용 전기기기 소켓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30000170A Division KR840003546A (ko) 1982-03-19 1983-01-18 프린트 배선판용 전기기기 소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0738Y1 true KR900010738Y1 (ko) 1990-11-30

Family

ID=272913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00013152U KR900010738Y1 (ko) 1982-03-19 1990-08-30 프린트배선판용 전기기기 소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1073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03398Y1 (ko) 도선 보유수단을 갖는 전기 코넥터 하우징
US4823235A (en) Earth connection device in metal core printed circuit board
KR930006690Y1 (ko) 전기 코넥터
US5872333A (en) Connector fixing construction
CA1260096A (en) Grounding connector
KR101521386B1 (ko) 케이블 접속 방법
JPH0353426Y2 (ko)
KR900010738Y1 (ko) 프린트배선판용 전기기기 소켓
EP0032903A4 (en) CONDUCTOR PIN CONNECTOR FOR CABLE-TAPE.
US5141450A (en) Tape carrier type electrical connector
US5695110A (en) Procedure for soldering an insulated wire
JP3003139B2 (ja) プリント配線板への電池の実装方法及びプリント配線板
KR200145787Y1 (ko) 단자연결구조
GB2134331A (en) Electrical connectors
JPH0340383A (ja) プリント基板実装形コネクタ
JPH0521316B2 (ko)
JPS5849594Y2 (ja) プリント基板用コネクタ
JPH0482175A (ja) プリント基板用コネクタ
JPS58161282A (ja) プリント配線板用電気機器ソケツト
KR950008795Y1 (ko) 테이프 케리어형 전기콘넥터
JPH0238388Y2 (ko)
JPH062256Y2 (ja) 変成器部品
KR200411898Y1 (ko) 접지용 링터미널
JPH11297430A (ja) 電気コネクタ
JPH08222286A (ja) ケーブル圧接用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40420

Year of fee payment: 5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