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8250Y1 - 접속단자 - Google Patents

접속단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8250Y1
KR950008250Y1 KR2019930004347U KR930004347U KR950008250Y1 KR 950008250 Y1 KR950008250 Y1 KR 950008250Y1 KR 2019930004347 U KR2019930004347 U KR 2019930004347U KR 930004347 U KR930004347 U KR 930004347U KR 950008250 Y1 KR950008250 Y1 KR 95000825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wire
connection terminal
spiral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0434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23597U (ko
Inventor
송명월
Original Assignee
송명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명월 filed Critical 송명월
Priority to KR2019930004347U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8250Y1/ko
Publication of KR94002359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2359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825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8250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22Bases, e.g. strip, block, panel
    • H01R9/223Insulating enclosures for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3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clamping member acted on by screw or nut

Landscapes

  • Connections Effected By Soldering, Adhesion, Or Permanent Deformation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접속단자
제1도는 본 고안의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전선을 연결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전선 2 : 나선부
3 : 접속단자 4 : 접속부
5 : 결합부 6 : 절곡편
7 : 보호관
본 고안은 전기, 전자제품등의 전기적 연결, 접속을 시키기 위한 전선의 끝단에 설치하여 연결 및 고정을 확실하게 하고 접속상태를 견고하면서 안정되게 하며, 특히 전선과의 연결을 보다 효과적으로 할 수 있도록한 접속단자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도 전기, 전자제품등의 전기적 접속연결을 위하여 전선의 선단을 탈피하여 나선부(裸線剖)를 형성하고 이를 접속단자의 결합부에 결합하도록한 것이 안출된바 있었으며, 상기 접속단자는 그 선단에 전기적 접속을 위한 접속부를 형성하고, 후단에 상기 전선의 나선부를 결합하기 위한 절곡편을 형성하여 결합부를 형성하고 있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것은 전선을 결합하기 위한 결합부가 단순히 절곡편 만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전선의 나선부 결합위치가 정확치 않았으며, 이에따라 상기 전선의 나선부가 결합부에 과도하게 진입하여 고정되거나, 약간만 진입되는 일이 종종 발생되는 경우가 있었다.
따라서, 상기 나선부가 과도하게 진입될 경우, 다른 접속부와 접촉되어 합선될 염려가 있었고, 또 약간만 진입되 경우, 그 결합 및 접속상태가 불량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으며, 더욱이 상기의 전선탈피와, 탈피후의 나선부와 접속단자를 자동으로 고정 결합하고져 할때, 상기 나선부의 결합부에로의 진입정도를 정확하게 맞추기 어려워 전선과 접속단자의 결합을 자동화시키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고, 이에 따라 생산성이 저하되며 불량품 발생률이 높게 되는 점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접속단자의 결합부와 접속부사이에 절곡편을 절곡 형성하고, 또 상기 결합부에 절연물로된 보호관을 설치하여 전선과 접속단자의 결합을 견고하게 하면서 그 접속상태를 양호하게 할수 있도록 하며, 전선의 나선부와 결합부의 정열을 효과적으로하여 전선의 피복물 탈피에서 접속단자와의 결합까지를 자동화 시킬수 있도록한 것으로 이를 이하에서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선(1)의 끝단 피복물을 탈피하여 나선부(2)를 형성하고, 이를 접속단자(3)에 결합시켜 연결고정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접속단자(3)의 선단에 접속부(4)를 형성하며, 후방에는 원통형의 결합부(5)를 형성하고 상기 접속부(4)와 결합부(5)사이에는 절곡편(6)을 절곡 형성하되, 이 접속단자(3)는 일체형으로 하며, 상기 접속단자(3)의 결합부(5)외주에 절연물로된 보호관(7)을 삽입 설치하고, 이에 상기 전선(1)의 나선부(2)가 제2도에서와 같이 삽입 결합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제2도에서와 같이 전선(1)의 선단 피복물을 탈피수단으로 일정하게 탈피하여 나선부(2)를 형성한 다음, 보호관(7)이 설치된 접속단자(3)의 결합부(5)에 상기 나선부(2)를 삽입시키되, 이 나선부(2)는 결합부(5)의 일방에 직립상태로 절곡 형성된 절곡편(6)에 도달할때 까지 삽입시키며, 상기 나선부(2)의 선단이 상기 절곡편(6)의 내면과 밀착상태로 접속하도록 하고, 상기 나선부(2)가 삽입된 결합부(5)를 압착시켜 전선(1)과 접속단자(3)의 결합을 완료하게 되는 것으로 이때, 상기 전선(1)의 나선부(2)는 접속단자(3)의 결합부(5)와 절곡편(6)에 접속상태로 결합되고 전선(1)의 피복물 선단은 접속단자(3)의 보호관(7)내로 진입시켜 상기 나선부(2)가 노출되지 않도록 하며, 상기 접속단자(3)의 접속부(4)에 다른 전선 또는 다른 단자를 접속시키도록한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전선(1)의 나선부(2) 선단을 접속단자(3)의 절곡편(6)에 까지 진입시켜 결합하므로써 상기 전선(1)의 나선부(2) 선단이 상기 절곡편(6)과 단면 접속되고 나선부(2)의 동체는 결합부(5)와 접속되므로 그 접속면적이 넓게되며, 이에 따라 접속단자(3)와 전선(1)의 접속상태가 매우 양호하게 된다.
또, 상기 전선(1)의 나선부(2)가 접속단자(3)에 진입되는 위치를 상기 절곡편(6)으로 한정시킬 수 있게 되므로 상기 나선부(2)의 접속단자(3)에로의 진입 및 결합상태가 일정하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전선(1)의 나선부(2) 탈피를 정확하게할 수 있고, 전선(1)과 접속단자(3)의 결합을 자동화 시키더라도 그 작업이 안정화되며, 또 상기 전선(1)의 나선부(2)가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다른 전선이나 단자들과 합선될 염려도 없고 전기적 접속을 보다 효과적이고 양호하게할 수 있는 점등의 특징을 지닌 것이다.

Claims (1)

  1. 전선(1)의 끝단 피복물을 탈피하여 나선부(2)를 형성하고, 이를 접속단자(3)에 결합시켜 연결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접속단자(3)에 접속부(4)와 결합부(5)를 일체로 형성하여 이들 사이에 상기 나선부(2)의 선단과 접속되는 절곡편(6)을 절곡 형성하고, 상기 결합부(5)에는 나선부(2)의 노출을 방지하는 보호관(7)을 설치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단자.
KR2019930004347U 1993-03-23 1993-03-23 접속단자 KR95000825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04347U KR950008250Y1 (ko) 1993-03-23 1993-03-23 접속단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04347U KR950008250Y1 (ko) 1993-03-23 1993-03-23 접속단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23597U KR940023597U (ko) 1994-10-22
KR950008250Y1 true KR950008250Y1 (ko) 1995-10-06

Family

ID=193525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04347U KR950008250Y1 (ko) 1993-03-23 1993-03-23 접속단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825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23597U (ko) 1994-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21010A (en) Soldered connector for a shielded coaxial cable
US5263877A (en) L-shaped coaxial cable connector
JP2906469B2 (ja) シールド線用コネクタ
US6840804B2 (en) Fitting structure of waterproof plug
US5009614A (en) Shielded cable assembly with floating ground
EP0792529B1 (en) A coaxial connector and method for fixing this connector to a circuit board
US3995931A (en) Terminal for apertured circuit panel
US5135417A (en) Dual usage electrical/electronic pin terminal system
US4946408A (en) Male circuit board terminal
EP1642362B1 (en) Coaxial connector
KR950008250Y1 (ko) 접속단자
US4138188A (en) Coaxial cable plug with center conductor as center contact
US6206719B1 (en) Electric component unit with lead wire connection terminal fitment
US3963303A (en) Battery terminal connector
US5061208A (en) Conductive shell for clamping onto a shielded electrical connector
JPH0125419Y2 (ko)
US4738640A (en) Spade lug
JPH0126064Y2 (ko)
JP2005166408A (ja) ジョイントコネクタ
KR920006050Y1 (ko) 파일롯트 램프의 단자 결합장치
KR940005274Y1 (ko) 전기 플러그
JPS6131487Y2 (ko)
JP3066696B2 (ja) 電子素子の取付方法及び取付構造
JPS5818434Y2 (ja) シ−ルドケ−ブル端末処理構造
JPH10189160A (ja) 接続端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