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7073B1 - 통합된 캠 레버/핸들 로크 5톤형 히치 - Google Patents

통합된 캠 레버/핸들 로크 5톤형 히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7073B1
KR960007073B1 KR1019930004859A KR930004859A KR960007073B1 KR 960007073 B1 KR960007073 B1 KR 960007073B1 KR 1019930004859 A KR1019930004859 A KR 1019930004859A KR 930004859 A KR930004859 A KR 930004859A KR 960007073 B1 KR960007073 B1 KR 9600070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
lock
cam
locking
rele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048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19452A (ko
Inventor
알. 소월 그레고리
더블유. 헝거링크 제랄드
버클리 존 티
Original Assignee
홀랜드 히치 컴퍼니
사무엘 에이. 마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홀랜드 히치 컴퍼니, 사무엘 에이. 마틴 filed Critical 홀랜드 히치 컴퍼니
Publication of KR9300194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94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70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707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3/00Tractor-trailer combinations; Road trains
    • B62D53/04Tractor-trailer combinations; Road trains comprising a vehicle carrying an essential part of the other vehicle's load by having supporting means for the front or rear part of the other vehicle
    • B62D53/08Fifth wheel traction couplings
    • B62D53/12Fifth wheel traction couplings engaging automatic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3/00Tractor-trailer combinations; Road trains
    • B62D53/04Tractor-trailer combinations; Road trains comprising a vehicle carrying an essential part of the other vehicle's load by having supporting means for the front or rear part of the other vehicle
    • B62D53/08Fifth wheel traction coupl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gricultural Machines (AREA)
  • Steering-Linkage Mechanisms And Four-Wheel Steering (AREA)
  • Sheet Holder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 Handcart (AREA)
  • Train Traffic Observation, Control, And Security (AREA)
  • Soil Working Implemen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통합된 캠 레버/핸들 로크 5톤형 히치
제1도는 풀 핸들이 로크상태에 래치되어 있으며, 로크가 밀폐되어 잠겨진 상태의 신규한 5톤형 히치의 저면도.
제2도는 제 1 도의 히치의 측면도.
제3도는 밀폐된 로크를 도시하고 있는 히치의 구동가능한 요부 확대도.
제4도는 풀 핸들이 확장되어 래치된 언로크상태에 있고 로크가 풀림되어 개방을 시작하는 상태를 도시한 제 3 도의 요부 확대도.
제5도는 풀 핸들이 래치되지는 않고 확장된 상태이며 로크는 부분적으로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제 3 도 및 제 4 도의 요부 확대도.
제6도는 로크가 거의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확대도.
제7도는 로크가 충분히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제 3 도 ~ 제 6 도의 요부 확대도이다.
본 발명은 5톤형 히치(fifth wheel hitches)에 관한 것이다. 지난 수십년동안 사용되어온 여러타입의 5톤형 히치의 일반적인 모습은 5톤형의 상부 플레이트의 스로우트(throat)를 밀폐시키도록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이동가능한 로킹 턱(locking jaws)을 사용하고 있다. 케텔의(Ketel) 기간만료된 미합중국 특허 제2,610,069호와 제2,663,575호에는 일반적인 두변형물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미합중국 특허 제2,610,069호의 구조는 특수기어의 이에 맞물린 한상의 피봇형턱을 가지고 있다.
상기의 밀폐된 두턱을 로킹하는 위치에는 로킹 플런지(locking plunger)가 왕복 슬라이드 되도록 나타나 있다. 네프(Neff)의 미합중국 특허 제4,106,793호에는 상기 두 턱을 로킹하기 위해 또다른 플런저장치가 공개되어 있다. 상기 로킹 플런저에 연결된 풀 핸들(pull handle)을 가지는 것은 일반적인 것이며, 플런저가 수축하면 이에 따라 드라이버(driver)가 중심판으로부터 두 턱을 풀어 준다. 이 풀어진 핸들은 전형적으로 도그(dog) 또는 로킹 플런저를 이동시키기 위한 캠플로우어(cam follower) 및 캠 트랙(cam track)을 가지고 있다.
버클리(Buckley)의 미합중국 특허 제4,659,101호는 고정턱과 스윙(swinging)턱을 가지는 5톤형 하치를 공개하고 있으며, 상기의 스윙턱은 상기 히치의 스로우트로 수직하게 뻗어있는 밀폐 핑거(closure finger)를 포함하고 있어 상기 턱의 밀폐를 위한 진입 중심핀의 확장된 하부 헤드에 맞물리게 되어 있다. 또한 이 5톤형 히치는 상기의 턱을 밀폐시켜 로크된 상태로 유지하도록 로킹 플런저를 가지고 있다.
상기의 플런저는 슬라이드 캠 플레이트(slide cam plate)에 의해 풀림상태로 캠작용한다. 상기의 플런저에 대한 조정 매카니즘은 상기의 히치를 가로질러 유동 가능한 웨지(wedge)에 결합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단일형 스윙턱, 예를 들면 피봇형 로킹부재, 일체형 캠 아암, 로킹 플런저, 풀림아암 및 풀림핸들을 가지는 5톤형의 히치를 제공하는데 있으며, 내부장치에 있어서 모든 작용은 특수하게 상기 로킹부재의 로킹 또는 언로킹을 명확하게 나타내는 것이다. 풀림핸들은 상부 플레이트에 상호 맞물리도록 특수한 노치(special notches)를 가지며, 특히 로킹노치와 언로킹노치는 5톤형 플레이트에 맞물릴 수 있도록 상기의 풀림핸들을 특수한 상태로 위치시킨다. 피봇형의 로킹부재의 핑거상의 캠표면은 상기의 풀림아암을 이동시킬 수 있는 형태로 신규한 캠 아암을 작동시키며 상기의 5톤이 중심핀으로부터 결합되지 않을 때에는 언로킹 노치 밖으로 상기의 풀림아암을 이동시킨다.
이 캠 아암은 턱이 개방될 때 센터상에서 고정되며, 중심핀이 진입될 때까지 상기 턱을 밀폐로부터 방지한다. 5톤이 재결합되면 중심핀은 로크를 회전시킨다. 상기의 캠은 정확한 타이밍으로 로크상의 핑거(finger)를 유동하여 상기의 플런저를 로크 및 언로크 핸들뒤에 맞물리게 하고 자기 자신의 위치에 대해서는 상부 플레이트와 로크 노치에서 맞물린다.
본 발명의 목적과 장점 및 특징들은 이하 도면과 관계하여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을 탐구하므로서 명백하게 이해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기술로서, "히치의 길이방향"은 히치의 전면에서 후면까지의 크기를 기준한 것이며, "히치의 횡단"은 측면에서 측면까지를 기준한 것이다. "전방" 및 "후방" 또는 "전단" 및 "후단"의 용어는 트랙 트랙터(truck tractor)상의 히치의 정상적인 위치를 기준으로 한 것이다. "수평적"의 용어는 사용시 히치의 다소 경사진 상태를 포함한다.
이제 도면을 기준으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거기에 도시되어 있는 5톤형 히치(10)는 볼록형의 전단 및 분기된 후단을 가지는 일반적인 종래형태의 상부 플레이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상부 플레이트를 피봇형으로 장착하기 위한 한쌍의 축방향으로 이격된 받침(14)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에 의하여 상부 플레이트가 전체적으로 수직한 방향을 유지하면서 약간 경사질 수 있는 것이다. 제 1 도에서는 상부 플레이트의 바닥부가 도시되어 있으며 이는 다수의 하방으로 튀어나오면서 횡단되는 전면으로부터 후면으로까지의 플랜지(16,18,20 등등)를 포함하는데, 이는 히치를 강화시키며 또한 단단하게 지지시켜 이하 설명하는 방법으로 다른 요소와 합동작용한다. 상기의 플레이트(12)와 상부(22)는 통상적인 슬라이드 표면을 가진다. 후단은 분기부(24)를 가지며 이는 그 사이에서 전방으로 뻗는 마우스(mouth)(26)와, 중심핀을 수용하는 끝이 막힌 스로우트(28)을 정의시킨다. 상기의 스로우트(28)의 주위는 피봇형의 전형적으로 V-형 로크부재 또는 턱(30)이 두 전체가지(30a와 30b)로 분기되어 있으며 플레이트(12)에 고정된 수직의 피봇핀(32)에 대한 두 브랜치(branches)사이의 정점에 피봇하게 장착되어 있다.
브렌치(30b)는 로킹브렌치 및 브렌치(30a)는 핑거 브렌치로 불리게 될 것이다. 피봇핀(32)은 스로우트(28)와 막힘부로부터 축방향으로 갈라져 있다. 턱(30)은 제 1 도 및 제 3 도에 표현된 것처럼 스로우트를 가로질로 밀폐된 로크위치사이의 핀(32)상에 피봇되며 제 7 도에는 충분히 개방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로크부재(30)는 브렌치(30a와 30b)사이의 오목한 요홈을 가지고 있어 스로우트(28)의 오목한 전단과 함께 작동하며, 이에 의하여 중심핀의 쇼율더(shoulder) 또는 내크(neck)를 왕복적으로 회동시킨다. 브렌치(30b)는 일반적으로 후방을 향하여 피봇핀의 축이 형성되는 한편, 브렌치(30a)는 일반적으로 전방을 향하여 상기의 축이 형성되며 로크부재의 충분히 개방된 위치로는 되지 않는다. 첫번재 전방 브렌치(30a)는 돌출핑거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는 그 외단에서 캠작용하는 표면(30')을 가지고 있다. 둘째 브렌치(30b)는 그 내면상의 오목한 중심핀 로크표면(30'') 및 그 외측후면상의 로크 플런저 맞물림 표면(31)을 포함하고 있다. 로킹 플런저(40)는 플런저 헤드와 플랜지(20) 사이의 플런저의 축주위의 코일 스프링(42)경사에 대한 수축된 상태에서 축방향으로 왕복된다. 상기 플런저의 충분히 확장된 상태에서 그것을 로크부재(30)의 표면(31)에 맞물려 있어 중심핀 주위의 밀폐된 위치로 상기 로크부재를 로크시킨다. 스프링(42)은 상기의 확장된 로킹 상태로 플런지를 경사지게 한다.
종래에 있어서, 플런저의 로크부재 사이의 어떤 마모도 플런저상의 웨징작용을 하기 위해 스프링(44)에 의해 경사진 웨지(46)에 의해 보상된다. 웨지(46)는 수축 플런저로 웨징부재의 움직임을 제한시키는 너트(nut)를 구비하고 있는 스터드(stud)상에 위치한 하나의 프랜지를 구비한 L-형의 외형을 가지고 있다. 상기의 웨징부재는 종래형태에서 고정된 웨지(52)의 경사면에 대하여 개량된 것이다. 히치 풀림아암 또는 레버(54)는 수직핀(56)에서 상부 플레이트(12)로 피봇형으로 장착되어 있다. 이 풀림아암은 플런저(40)의 구멍을 통하여 뻗어있어서 플런저(40)의 수축이 한방향에서 풀림아암(54)의 피봇팅을 야기시키며 확장은 다른 방향에서 풀림아암(54)의 피봇팅을 야기시킨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의 장치는 "좌수형(lefthanded)"이라 불리우며 이에 따라 풀림핸들(54)이 그 단부사이에 피봇하게 장착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좌수형 핸들에 관하여 설명한다. 만약 우수형 장치가 사용되면 풀림핸들(54)은 그 후사면에 피봇하게 장착될 것이다. 다시 설명하면 상기 플런저의 외측으로 장착되어 풀림핸들의 풀림작용은 상기와 같은 방법의 역으로 풀림아암(54)을 피봇하도록 작용한다. 이것은 이들이 동류형 장치임을 의미하는 것이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좌수형에 있어서, 풀림아암(54)의 하나는 플런저(40)의 슬롯(slot)이며 반대쪽 전단은 핀(55)에서 확장 플레이트형 풀림아암(58)으로 피봇하게 맞물려 있다. 풀림핸들(58)은 핸들(58)의 외단부에 장착된 그립(grip, 40)의 내재적 맞물림 작용을 위해 받침(14)을 넘어 축방향으로 확장한다(상기의 핸드그립은 제 1 도의 부호 60과 제3~7도의 부호 160에 표현되어 있는 것처럼 다른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핸들(58)은 플랜지(16)의 슬롯(16a)을 통하여 뻗어나며 상기 플랜지에 접촉가능한 한쌍의 노치를 가진다. 보다 상세하게는, 핸들(58)이 언로크 상태의 노치(58b) 및 로크상태의 노치(58a)를 포함하며 이는 핸들(58)의 반대면에서 및 상기 핸들을 따라 다른 선형상태에 형성되어 있다. 이 노치(58b)는 노치(58a)보다 상기 핸들(58)의 외측단부에 더 밀폐적이다. 언로크(58a)는 경사져 있으며 플랜지(16)의 슬롯(16a)의 모서리의 이(16') 또는 약간 경사진 돌출부에 맞물림작용하여 핸들이 외향으로 선형으로 약간 움직일때까지 플랜지에 맞물림 상태로 핸들을 유지시키는데, 이는 코일된 탄성 스프링(66)으로서 핸들(58)을 확장부(16')에 떨어지도록 당김하기에 충분하여 로크를 재 작동시킨다.
코일 스프링(66)은 핸들(58)에 부착된 일단 및 풀림아암 또는 레버(54)에 부착된 타단을 가지며, 이것은 아암(54)을 향하여 풀림핸들(54)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부 플레이트(12)에 피봇하게 장착된 특수한 확장된 캠 아암(70)이 형성되어 있다. 이것은 풀림아암(54)과 로크부재(30) 사이에 위치된다. 상기 캠 아암은 피봇핀(72)상의 전방에 피봇하게 장착되어 있다. 이것을 전체적으로 그 끝단 중간부의 정점에 캠 플로우어 표면(70')을 구비한 개-다리(dog-leg)모양을 하고 있으며, 그 후단이 플런저(40)의 슬롯(40')으로 돌출되어 있어 상기 플런저 및 풀림아암(54)의 후단을 움직인다. 따라서 캠 아암(70)은 풀림아암 및 풀림핸들이 수동으로 로킹 턱 부재(30)를 작동시킬때 플런저를 구동되게 할 것이다. 마찬가지로 플런저(40)가 스프링(42)에 의해 확장사태로 경사지면 풀림아암(54) 및 캠(70)이 구동하게 된다. 게다가, 캠 또한 로크부재(30)에 대하여 특수한 관계를 가질뿐만 아니라 방금 상술한 풀림아암 및 핸들에도 관계를 가진다. 더욱 상세히는, 로크부재(30)의 핑거(30a)상의 캠표면(30')은 로크부재(30)가 회동될때 캠부재(70)의 캠표면(70')에 맞물리며, 이에 따라 상기의 캠 부재를 히치의 스로우트로부터 이격되게 이동시키며 플랜지(40)를 약간 수축시키고 또한 풀림아암(54) 및 풀림핸들(58)을 이하 설명하는 방식으로 구동시킨다. 상술한 요소들은 중심핀에 대해 히칭(hitching) 작동시 효과적이고 일체형으로 작동하며, 또한 언히칭 작동시(unhitching)에도 마찬가지이다.
초기 상태를 도시한 제 1 도 및 제 3 도를 기준으로 상세히 설명하면 언히칭 작동하는 동안 중심핀은 로크 부재의 표면(31)을 맞물린 확장된 상태의 플런저(40)를 구비한 오목한 로크부재 표면(30'')과 볼록한 스로우트 표면(28')사이에 고정된 막혀있는 스로우트(28)상태의 초기형태로 될 것이다. 이 로크된 상태에 있어서, 풀림핸들(58)은 수축된 상태에 있으며, 상부 플랜지(12)의 받침플랜지(16)에 맞물린 상태의 로크노치(58b)를 가진다.
풀림아암(54)과 풀림핸들(58)사이의 탄성 스프링(66)은 플랜지(16)와 맞물림상태의 노치(58b)를 유지시킨다. 상기의 풀림아암(54)의 상태에 있어서, 플런저(40)는 압력 스프링(42)에 의해 경사진표면(31)에 충분히 맞물려 있으며, 중심핀으로 로크된 관계에서 상기의 5톤을 유지시키는 것이다. 이 밀폐된 로크상태는 간편하고 빠르게 풀림현들의 상태에서 살필 수 있다. 상기의 히치를 언로크하기 위하여, 작동자는 수동으로 그립((60), 또는 제3~7도에서 바뀌어진 그립(160))을 잡을 수 있고 노치(58b)를 플랜지(16)에 맞물리지 않게 이격이동시키도록 히치의 전방으로 풀림핸들 및 그립을 이동시키며, 제 4 도에 도시된 것처럼 풀림핸들(58)을 확장상태로 축방향으로 당기고, 그때 풀림핸들(58)을 히치의 전방으로 이동시켜 돌출부(16') 및 플랜지(16)에 노치(58b)가 맞물리게 하는데, 이는 탄성 스프링(66)을 플랜지(16)에 맞물릴 수 없도록 풀림핸들(58)을 당기는 것으로부터 방지시키는 것이다.
상기 당김 작용은 그의 피봇 핀(56)에 의하여 풀림아암(54)를 피봇시키며, 이에 따라 압축 코일 스프링(42)의 경사에 대하여 상기 5톤형의 상부 플레이트의 스로우트(28)로부터 플런저(40)을 수축시킨다(도면의 명확성을 위하여, 스프링(42)은 제4~7도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며 스프링(66)은 그래프형으로 도시되어 있다). 그때 트랙 트랙터가 트레일로부터 이격되기 시작하여 상기 트레일러 상의 수동 중심핀으로부터 상방으로 5톤형의 히치를 회수시킬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중심핀이 제 4 도, 5도, 6도 및 7도에 연속적으로 도시되어 있듯이 피봇 핀(32)에 로크부재(30)가 피봇된다.
로크부재(30)가 개방되도록 후방으로 피봇될때, 핑거(30a)상의 캠표면(30')은 캠 아암(70)상의 캠 플로우어 표면(70')에 맞물리게 되며, 캠 아암(70)의 후단(70a)이 코일 스프링에 대해 약간 플런저(40)를 수축하도록 야기시켜, 풀림아암(54)을 피봇 핀에 대해 약간 이동시키고 풀림핸들(58)이 돌출부(16') 및 플랜지(16)으로부터 노치(58a)의 풀림을 야기시키는 확장상태로 축을 따라 이동한다(제 5 도). 이는 스프링(66)이 풀림핸들(58)을 후방으로 당기게 하여 플랜지(16)으로부터 풀림핸들을 맞물리지 않게 한다. 로크부재(30)가 충분히 개방된 상태로 더 움직이면 캠표면(30')은 제 6 도 및 제 7 도에 도시된 것처럼 캠 플로우어 표면(70')의 볼록한 중심을 통과하여 캠 아암(70)이 플런저(40)의 압축 스프링(42)의 영향하의 스로우트쪽으로 복귀되게 한다. 이 움직임은 풀림아암(54)을 약간 복귀되게 하며, 이어 풀림핸들(58)을 약간 움직이게 하여 플랜지(16)으로부터 노치(58a)를 분리시킨다(제 7 도).
상기의 로크는 그때 충분히 개방되어 중심핀으로 완전 개방을 이루게 된다.
개방된 히치의 언로크된 상태는 핸들(58)의 위치에서 빠르고 신속한 관찰이 가능하게 한다. 게다가, 턱(30)의 캠표면(30')의 오버센타 상태는 캠 아암(70')에 관계되어 로크에 대해 갑작스런 밀폐가 일어나지 않고 충분하게 개방되도록 유지시켜 접속시 다른 진입 중심핀이 밀폐된 로크부재를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부드러운 접속이 되도록 한다.
접속 작동시에는 상기 부재가 전체적으로 상술한 것에 역으로 움직인다. 더욱 상세하게는, 진입 중심핀이 피봇 핀주위에서 로킹부재(30)를 회동시키면서 핑거(30a)의 배면에 맞물리고, 동시에 캠표면(30')을 캠 아암(70)상의 캠 플로우어 표면(70')을 따라 움직이게 하며, 로크부재는 제 7 도의 상태에서 제 6 도, 5도, 4도 및 제 3 도의 상태로 구동된다. 이때, 브렌치(30b)의 노우즈부(nose)는 축방향으로 플런저를 밀어 좀더 수축력을 주어 플런저의 단부를 최대로 맞물리게 하고, 계속해서 브렌치(30b)의 노우즈부가 플런저를 통과하며, 제 1 도 및 제 3 도에 도시된 충분히 확장된 로킹상태로 상기 플런저를 체결(slaminto)시킨다. 이때 플런저는 풀림아암(54) 및 풀림핸들(58)을 이동시키며, 풀림아암은 피봇핀에 피봇팅하면서 플랜와 노치(58b)가 정렬되는 상태로 풀림핸들(58)을 수축시키며, 이상태에 스프링(66)이 노치를 플랜지에 맞물리게 당겨준다. 이것은 상기 풀 핸들의 상태가 작동자에 있어서 히치가 효과적으로 로크되었는지 또는 개방상태인지를 신속하게 식별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캠 아암은 적합한 운용이 되도록 플런저 뿐만아니라 핸들 및 풀림아암과 일체형으로 작동한다.
전술하였듯이 본 장치는 좌수형 또는 우수형의 어느하나로 될 수 있으며, 좌수형 장치로서는 상술한 것처럼 중간에 그리고 우수형 장치로서는 후단상에 피봇된 풀림아암 또는 레버를 구비한다. 어느 한 경우에 있어서, 캠 아암은 상기의 부재가 중심핀을 수용하도록 충분히 개방된 상태 또는 수동으로 풀어질때까지 충분히 로크된 상태를 유지하게 핸들에서 노치와 일체로 협동구동된다. 게다가, 이 변형 이외에 본 발명을 고찰하므로서 본 기술에 관한 숙련가들은 특정한 상황 또는 설치물에 적합시키기 위해 여러가지 방법으로 본 발명을 개조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한 예로써 풀림핸들 용으로 다른 래치(latch) 매카니즘을 사용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이하 정의된 본 발명의 청구항의 범주 뿐만 아니라 설명으로써 표현된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Claims (14)

  1. 협동 구동하는 중심핀을 수용하기 위한 막힘 스로우트와 테이퍼진 진입 마우스에 걸쳐있는 한쌍의 외향 확장 돌출부를 형성하는 분기된 후면과 상부 표면 및 그 반대측의 한쌍의 받침부를 가지는 5톤형의 상부 플레이트와, 상기 스로우트에 인접하며 첫번째 로킹 브렌치와 둘재 브렌치가 그 장점에서 연결되어 전체적으로 V-형이고 상기 로크부재의 정점에서 상기 상부플레이트에 피봇형으로 장착된 상기 로크부재가 상기 스로우트의 후면을 지나 상기 로킹 브렌치에 이는 로크위치와 상기 스로우트를 실질적으로 분명하게 나타내는 상기 로킹 브렌치가 있는 언로크 위치사이를 피봇형으로 이동가능하며 상기 둘재 브렌치는 캠 노이즈를 가지면서 상기 스로우트의 전면을 지나는 힌지형 로크부재와, 밀폐된 위치로 상기 로크부재를 로크하도록 상기 로킹 브렌치를 맞물림시키는 확장 로킹위치와 상기 로크부재를 풀림시키는 수축 언로킹 위치사이를 이동가능하고 상기 확장 위치를 향해 경사진 로킹 플런저와, 캠 아암이 일단에서 상기 플레이트로 피봇형 장착되고 상기 캠 아암의 둘째 단부에서 상기 로킹 플런저와 맞물림 가능하며 상기 로크부재의 둘째 브렌치의 캠 노우즈에 의해 맞물림가능하고 상기 단부의 중간에 캠 플로우어 표면을 가지는 캠 아암과, 상기 로킹 플런저가 이동되게 맞물림되고 상기 상부 플레이트에 피봇형으로 장착되는 풀림아암과, 상기 풀림아암에 연결되고 상기 로킹 플런저가 상기 확장된 로킹 위치에 있을때 상기 상부 플레이트를 구비한 상기 풀림아암의 래칭 맞물림시키기 위한 첫번째 래칭 수단과 상기 로킹 플레이트가 수축 언로킹 상태일때 상기 상부 플레이트를 구비한 상기 풀림아암의 래칭맞물림시키기 위한 두번째 래칭수단을 가지는 풀림핸들 및, 상기 풀림아암 및 풀림핸들의 이동을 위해 상기 플런저의 언로킹 움직임시 상기 로킹 플런저에 의해 이동되도록 위치되는 캠 아암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된 캠 레버/핸들 5톤형 히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풀림핸들상의 첫번째 래칭수단이 상기 상부 플레이트와 체결되게 맞물릴 수 있는 로크 노치이며, 상기 풀림핸들상의 두번째 수단이 상기 상부 플레이트와 체결되도록 맞물릴 수 있는 언로크 노치임을 특징으로 하는 5톤형 히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플레이트가 각각의 상기 노치들로부터 분리되도록 맞물릴 수 있는 래치 플랜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5톤형 히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풀림핸들이 외단 그립을 가지고, 상기 로크 노치 및 언로크 노치가 상기 풀림핸들을 따라 각각 이격되어 있으며, 상기 로크 노치가 사기 외단 그립에 더욱 밀폐됨을 특징으로 하는 5톤형 히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언로크 노치가 상부 플레이트와의 맞물림 상태 밖으로 경사된 상태이고 상기 풀림핸들에 부착된 탄성 스프링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5톤형 히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캠 아암이 상기 로크부재와 상기 풀림아암사이에 위치되어 확장됨을 특징으로 하는 5톤형 히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된 캠 아암이 개-다리 형태이며, 그의 정점에서 상기 캠 플로우어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5톤형 히치.
  8. 스로우트를 지나 피봇되며 상기 스로우트에 떨어져 있는 로크부재와, 상기 스로우트를 지나 상기 로크부재를 로킹하기 위한 이동가능한 로크 플런저와, 상기 로크부재가 상기 스로우트에 대해 상대적으로 피봇팅될 때 상기 로크부재에 의해 이동가능하여 맞물릴 수 있는 구동가능한 캠 아암과, 풀림핸들과 맞물림하기 위한 래치 플랜지를 가지는 상기 상부 플레이트와, 상기 캠 아암 및 캠 플런저와 맞물림되고 이에 의해서 모두 구동가능한 풀림아암과, 상기 풀림핸들이 상기 로크 플런저를 수축시킴 및 상기 풀림아암을 구동시키도록 당겨질 때 상기 래치플랜지와 맞물림가능한 언로크 노치를 가지며 상기 풀림아암에 연결되는 풀림핸들로 구성되되, 상기 로크부재가 중심핀의 구동에 의해 상기 스로우트로부터 이격될 때 상기 피봇형 캠부재와 맞물림되어 상기 래치플랜지로부터 상기 풀림핸들 언로크 노치를 구동시키며 중심핀-수용 스로우트를 정의하는 분기된 상부 플레이트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5톤형 히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캠 아암이 확장되며 상기 상부 플레이트에 피봇하게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5톤형 히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캠 아암이 그의 한 단부에서 상기 상부 플레이트로 피봇하게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5톤형 히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로크부재가 상기 스로우트를 통하여 확장하기 위한 첫번째 로킹 브렌치와 상기 플레이트를 출발 및 진입시키는 중심핀에 의하여 반대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두번째 브렌치를 가지며, 상기 캠 아암이 상기 두번째 브렌치에 의해 구동가능함을 특징으로 하는 5톤형 히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히치가 상기 래치 플랜지로부터 상기 언로크 노치가 풀림되도록 상기 풀림핸들을 경사시킨 스프링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5톤형 히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 플랜지가 상기 풀림핸들이 축방향으로 이동될 때까지 상기 래치 플랜지와 맞물린 상태의 상기 풀림핸들 언로크 노치를 유지시키는 형태임을 특징으로 하는 5톤형 히치.
  14. 한쌍의 받침과, 상기 받침상에 피봇형으로 장착되며 스로우트에서 종결되는 마우스를 수용하는 후방의 중심핀을 가지느 상부 플레이트와, 상기 스로우트에 인접하고 첫번째 및 두번째의 전체 브렌치로 분기되어 있으며 상기 전체 브렌치사이에 피봇형으로 장착된 피봇형의 로크부재와, 상기 첫번째 브렌치상에 중심핀 맞물림의 로크-밀폐 핑거, 상기 핑거의 외단 주위의 킴 표면과, 상기 스로우트를 폐쇄하도록 이동가능한 상기 둘째 브렌치상의 중심핀 로크표면과, 상기 둘째 브렌치 상의 로크-플런저-맞물림 표면과, 로크위치를 향해 경사져 있으며 상기 로크-플런저-맞물림 표면과 맞물림는 확장된 상기 로크상태와 수축된 언로크 상태사이를 이동 가능한 로킹 플런저와, 상기 상부 플레이트에 피봇형으로 장착되는 단부를 가지며 상기 핑거상에서 상기 캠표면과 협동구동하는 상기 단부사이의 캠플로우 표면을 가지는 확장된 캠 아암과, 상기 플런저를 움직이도록 맞물리는 상기 캠 아암의 일단과, 첫번째 및 둘째 단부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상부 플레이트에 피봇형으로 장착되고 상기 풀림아암의 상기 첫번째 단부상에서 상기 로킹 플런저를 맞물림하는 풀림아암과, 상기 풀림아암의 상기 둘째 단부에 피봇형으로 부착되고 첫번째 및 두번째 노치를 가지되 상기 첫번째 노치가 상기 중심핀 로크 표면의 로크된 위치에서 상기 상부 플레이트와 맞물리고 상기 둘째 노치가 상기 중심핀 로크 표면의 언로크된 위치에서 상기 상부 플레이트와 맞물리는 풀림핸들과, 로크 위치로부터 언로크된 위치로 상기 풀림핸들을 수동 이동시키며 이에 따라 언로크된 위치로 상기 로킹 플런저를 이동시키기 위한 그립수단과, 상기 풀림아암에 의해 작동가능한 상기 캠 아암과, 상기 로킹 플런저의 언로킹, 움직임에 의해 구동되며 상기 풀림아암을 구동시키도록 상기 로킹부재상의 상기 캠 노우즈에 의해 상기 캠플로우어 표면에서 맞물리는 위치에 있어 이에 따라 상기 상부 플레이트로부터 상기 풀림핸들의 언로크 노치를 맞물림시키는 상기 캠 아암 및, 중심핀에 의해 다시 맞물릴 때까지 개방되는 상기 로킹부재를 유지시키기 위해 상기 캠 노우즈가 상기 캠 아암의 센터를 지나도록 야기시키는 위치에 있는 상기 캠 아암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5톤형 히치.
KR1019930004859A 1992-03-26 1993-03-26 통합된 캠 레버/핸들 로크 5톤형 히치 KR9600070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7/857,782 1992-03-26
US07/852,782 1992-03-26
US07/857,782 US5257796A (en) 1992-03-26 1992-03-26 Integrated cam lever/handle lock fifth whee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9452A KR930019452A (ko) 1993-10-18
KR960007073B1 true KR960007073B1 (ko) 1996-05-27

Family

ID=253267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04859A KR960007073B1 (ko) 1992-03-26 1993-03-26 통합된 캠 레버/핸들 로크 5톤형 히치

Country Status (16)

Country Link
US (1) US5257796A (ko)
EP (1) EP0562887B1 (ko)
JP (1) JP2553448B2 (ko)
KR (1) KR960007073B1 (ko)
CN (1) CN1034005C (ko)
AR (1) AR247856A1 (ko)
AT (1) ATE140432T1 (ko)
AU (1) AU651519B2 (ko)
CA (1) CA2091494C (ko)
DE (1) DE69303647T2 (ko)
DK (1) DK0562887T3 (ko)
ES (1) ES2090860T3 (ko)
MX (1) MX9301497A (ko)
NZ (1) NZ247094A (ko)
TW (1) TW240200B (ko)
ZA (1) ZA931966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61416B2 (en) 2003-08-28 2008-04-22 Samsung Sdi Co., Ltd. Donor film for flat panel display and method of fabricating OLED using the same
WO2020112535A1 (en) * 2018-11-28 2020-06-04 Newton Dean Autonomous vehicle having rotatable fifth wheel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72223A (en) * 1993-11-30 1995-12-05 Amsted Industries Incorporated Air operated fifth wheel
DE19620209A1 (de) 1996-05-20 1997-11-27 Zumtobel Licht Leuchte mit einem profilierten Basiskörper als Träger für wenigstens eine Lampe
US5941549A (en) * 1997-03-14 1999-08-24 Amsted Industries Incorporated Fifth wheel kingpin deflector and catcher
US5988666A (en) * 1997-07-18 1999-11-23 Holland Hitch Company Fifth wheel hitch release
CA2256658C (en) * 1997-12-19 2004-07-13 Cequent Towing Products, Inc. A tilting fifth wheel trailer hitch
DE19813635A1 (de) 1998-03-27 1999-09-30 Jost Werke Ag Sattelkupplung
US6092825A (en) * 1998-10-15 2000-07-25 Holland Hitch Company Flatbar fifth wheel release handle
US6179316B1 (en) 1999-02-25 2001-01-30 Holland Hitch Company Stepped lock plunger fifth wheel hitch
US7240913B2 (en) * 2005-04-05 2007-07-10 Valley Industries, L.L.C. Sliding latch for fifth wheel hitch
US7735849B1 (en) * 2006-03-07 2010-06-15 Fontaine Fifth Wheel Compact fifth wheel locking mechanism
US7543837B2 (en) * 2006-03-31 2009-06-09 Curt Manufacturing, Inc. Single handed controlled trailer hitch
US7690439B2 (en) 2006-12-14 2010-04-06 Cnh America Llc Automatic latch for three point hitch quick coupler and PTO connection module
CN101687522B (zh) * 2007-04-30 2012-07-04 银鹰制造业公司 摇摆稳定半拖车接轮设备
AU2011205003B2 (en) * 2010-07-26 2015-01-22 Cequent Performance Products, Inc. Fifth wheel hitch retention system
US8851501B2 (en) * 2011-11-08 2014-10-07 Saf-Holland, Inc. Fifth wheel hitch assembly with lock timing assembly
DE102012214413B4 (de) * 2012-08-14 2016-08-11 Jost-Werke Gmbh Sattelkupplung
US20160075197A1 (en) * 2013-04-19 2016-03-17 Sasper Pty Ltd Coupling system
US9550398B2 (en) * 2013-10-09 2017-01-24 Dethmers Manufacturing Company Fifth wheel latching assembly
CN107546547B (zh) * 2016-06-29 2023-11-14 泰科电子(上海)有限公司 接线盒
US10246146B1 (en) 2017-04-08 2019-04-02 Automatic Equipment Manufacturing Company Fifth wheel hitch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610069A (en) * 1949-12-27 1952-09-09 Holland Hitch Co Fifth wheel side release locking mechanism
US2663575A (en) * 1951-03-15 1953-12-22 Holland Hitch Co Fifth wheel jaw wear compensating means
US2861818A (en) * 1955-02-01 1958-11-25 American Steel Foundries Fifth wheel coupling mechanism
US3079175A (en) * 1961-12-21 1963-02-26 Dayton Steel Foundry Co Fifth wheel coupler assembly
IL39780A (en) * 1972-06-28 1975-02-10 Klein H Fifth wheel coupling
JPS5781971U (ko) * 1980-10-29 1982-05-20
US4659101A (en) * 1983-08-22 1987-04-21 Holland Hitch Company Fifth wheel
US5028067A (en) * 1990-04-16 1991-07-02 Amsted Industries Incorporated Automatic fifth wheel safety lock devic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61416B2 (en) 2003-08-28 2008-04-22 Samsung Sdi Co., Ltd. Donor film for flat panel display and method of fabricating OLED using the same
WO2020112535A1 (en) * 2018-11-28 2020-06-04 Newton Dean Autonomous vehicle having rotatable fifth wheel
US11801906B2 (en) 2018-11-28 2023-10-31 Cargotec Patenter Ab Autonomous vehicle having rotatable fifth whe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090860T3 (es) 1996-10-16
EP0562887A3 (en) 1994-05-11
MX9301497A (es) 1993-09-01
EP0562887A2 (en) 1993-09-29
JPH0648331A (ja) 1994-02-22
ATE140432T1 (de) 1996-08-15
NZ247094A (en) 1994-07-26
CN1034005C (zh) 1997-02-12
DE69303647T2 (de) 1996-11-28
CA2091494C (en) 1995-09-12
AU3515093A (en) 1993-09-30
CN1076900A (zh) 1993-10-06
AU651519B2 (en) 1994-07-21
KR930019452A (ko) 1993-10-18
AR247856A1 (es) 1995-04-28
US5257796A (en) 1993-11-02
TW240200B (ko) 1995-02-11
EP0562887B1 (en) 1996-07-17
CA2091494A1 (en) 1993-09-27
JP2553448B2 (ja) 1996-11-13
DE69303647D1 (de) 1996-08-22
ZA931966B (en) 1993-12-27
DK0562887T3 (da) 1996-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07073B1 (ko) 통합된 캠 레버/핸들 로크 5톤형 히치
US6095544A (en) Fifth wheel hitch release
US6962377B2 (en) Driving rod lock for a sliding door
JPH03110281A (ja) 窓操作装置及びヒンジ構造
AU753915B2 (en) Stepped lock plunger fifth wheel hitch
US4014562A (en) Coupling hook for a three-point connection on a tractor
US4071263A (en) Coupling hook for a three-point connection on a tractor
HU223797B1 (hu) Zár
US6092825A (en) Flatbar fifth wheel release handle
DE19602185C1 (de) Verschluß für ein Verdeck eines Fahrzeuges, insbesondere eines Personenkraftwagens
JPH0154154B2 (ko)
JPS60228076A (ja) 工具の尚早な解放の防止用ロツク機構
DE19804066B4 (de) Fanghakenanordnung für eine Fronthaube oder dergleichen an Fahrzeugen
US4486041A (en) Door handle unit
DE29911604U1 (de) Verbindungselement
US5080408A (en) Partition gate latch
HU223254B1 (hu) Zárószerkezet kétszárnyú, középoszlop nélküli nyílászáró szerkezetek alázáródó szárnyához
KR920004481Y1 (ko) 화물차량용 적재함 잠금장치
JPH0810640Y2 (ja) 車両用ドアのチェックリンク機構
MXPA98005528A (en) Fifth ru hitch system
CH623103A5 (en) Setting-out device
AU1666701A (en) Fifth wheel lock release
MXPA00001912A (en) Stepped lock plunger fifth wheel hitch
DE2456971B1 (de) Kupplungshaken,insbesondere fuer ein Dreipunktgestaenge eines Schlepp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41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