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6952B1 - 테이프 이송 소자 및 이를 이용한 테이프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테이프 이송 소자 및 이를 이용한 테이프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6952B1
KR960006952B1 KR1019870011360A KR870011360A KR960006952B1 KR 960006952 B1 KR960006952 B1 KR 960006952B1 KR 1019870011360 A KR1019870011360 A KR 1019870011360A KR 870011360 A KR870011360 A KR 870011360A KR 960006952 B1 KR960006952 B1 KR 9600069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pe
guide
belt
reel
buff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113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5592A (ko
Inventor
사스트라 부디만
아드리아누스 렌데르스 마르티누스
Original Assignee
엔.브이.필립스 글로아이람펜파브리켄
이반 밀러 레르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브이.필립스 글로아이람펜파브리켄, 이반 밀러 레르너 filed Critical 엔.브이.필립스 글로아이람펜파브리켄
Publication of KR8800055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55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69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69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56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the record carrier having reserve loop, e.g. to minimise inertia during acceleration measuring or control in connection therewith

Landscapes

  • Registering, Tensioning, Guiding Webs, And Rollers Therefor (AREA)
  • Advancing Webs (AREA)
  • Feeding Of Articles By Means Other Than Belts Or Rollers (AREA)
  • Replacement Of Web Rol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테이프 이송 소자 및 이를 이용한 테이프 처리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라 테이프가 테이프 처리 장치의 처리 수단을 지나 이동되는 테이프 이송 소자의 평면도.
제2도는 처리 수단을 지나 릴로부터 테이프 이송동안 테이프 이송 속도를 나타내는 그래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라 테이프 이송 소자의 제2실시예에서 테이프 감기 동작의 제1단계를 나타내는 평면도.
제4도는 제3도에 도시된 테이프 이송 소자에서 테이프 감기 동작의 제2단계의 도면.
제5도는 벨트가 캡스턴에 의해 직접 구동되는 버퍼 수단의 평면도.
제6도는 두세트의 처리 수단을 구비하는 본 발명에 따라 테이프 이송 소자의 제3실시예인 제1도와 유사한 평면도.
제7도는 제6도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처리 수단을 지나 테이프 이송동안 테이프 이송 속도의 그래프.
제8도는 제6도에 도시된 테이프 이송 소자를 위해 테이프상에서의 트랙 구성도.
제9도는 제6도에 도시된 테이프 이송 소자를 위해 주사될 테이프에 연관되는 두 세트의 처리 수단의 장치도.
제10도는 선형 벨트 구동을 사용하는 본 발명에 따라 테이프 이송 소자의 다른 실시예에서 버퍼 수단의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 테이프 4 : 회전 가능 릴
6 : 테이프 처리장치 7 : 처리수단
9,10 : 가이드 수단 11 : 버퍼 수단
본 발명은 회전 가능 릴에 테이프의 길이가 감겨지고, 테이프가 풀어질때 상기 릴로부터 종축 방향을 따라 제1속도(η,Vo)로 이동되는 회전 가능 릴을 갖는 릴 수단과 , 테이프가 테이프 처리 장치의 처리 수단과 합체하여 이동 가능하고, 가이드 수단을 크기가 제 1 속도에 따라 가변인 제 2 속도로 이동되는 가이드 수단 및, 상기 릴 및 가이드 수단사이의 테이프 경로에 위치된 테이프 버퍼를 제어하고, 릴 및 가이드 수단의 회전축에 따라 상기 테이프 가이드의 위치의 변화가 가능하여, 테이프 버퍼의 테이프 길이가 변하며, 가이드 수단을 따라 테이프의 이동으로부터 릴 회전이 분리되도록 하는 버퍼수단을 구비하는 테이프 이송 소자에 관한 것이다.
상기 방식의 테이프 이송 소자는 미합중국 특허 제3,217,996호에 기재되어있다.
상기 공지된 소자가 동작하는 동안, 버퍼 수단은 공급 릴 및 제어수단 사이에서 테이프 버퍼를 제어하여, 처리 수단의 위치에서 테이프의 푸는 속도와는 다른 속도로서 처리가 실행되도록 한다. 상기는 처리 수단을 지나는 테이프 이송시가변속도를 이루며, 테이프를 풀때 반고정 속도를 이루도록 한다. 처리 수단과 테이프의 접촉으로부터 상기 릴 이동의 동적 분리는 테이프 릴의 관성이 처리 수단에 접촉하고 있는 테이프 부분의 구동을 약화시키지 않도록 하기 위해 필요하다. 공지된 테이프 이송 소자에서 버퍼 수단이 스프링 힘에 대항하여 이동가능하고 테이프를 위한 특별한 구동 시스템이 제공되는 롤러로 구성된 테이프 제어수단을 구비할떼, 테이프 버퍼에서 테이프 길이가 변하게 하기 위해 비교적 큰 양이 변위되어야 하며 또한 테이프 제어수단과 테이프간 많은 마찰을 초래한다. 공지된 테이프 이송 소자에 있어서, 상기는 처리 수단을 통과하는 테이프 이송에서 변화를 가져와, 장애에 좌우되는 테이프 속도에서 어느 정도의 딜레이와 변화를 초래한다. 또한, 이동 가능 롤러는 테이프와 릴로부터 테이프 버퍼를 거쳐 처리 수단으로 지나가게 될 때 장애를 형성한다.
특히 자기테이프 비데오 녹화같은 특별한 테이프 처리 장치의 분야에서 최근에 발전을 미루어볼 때, 처리 수단을 통과하는 테이프의 속도가 매우 강력하게 변화할 수 있는 상기 릴 이동의 분리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처리 수단을 통과하는 테이프의 강력 가변 속도가 최소한의 딜레이만을 갖게 될 수 있는 서두에서 정의된 테이프의 테이프 이송 소자에서 릴 이동과 처리 수단을 통과하는 테이프이동간에 상기 동적 분리를 이루는데 있다.
이에따라, 본 발명은 버퍼 수단이 가이드 수단을 통하는 테이프의 제 2 속도에 일치하는 속도로 가이드 수단쪽을 향하는 면 가까이 구동수단에 의해 구동되는 엔들레스 벨트를 구비하며, 버퍼 제어 수단이 가동벨트의 가이드 섹숀을 구비하여, 가이드 섹숀의 외측면을 통해 테이프 버퍼의 테이프 길이가 통과되며, 벨트가 구동될때 가이드 섹숀의 길이가 변하여, 테이프의 인입점 근처의 벨트 속도가 벨트를 릴에서 떨어지게 했을때의 테이프 상기 제 1 속도에 일치한다는 점에서 테이프의 인입점으로부터 테이프 이송 경로를 거쳐 테이프의 인출점까지 테이프 버퍼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므로, 테이프 버퍼에서 테이프 길이의 변화는 가이드 섹숀의 위치에서 벨트의 상대적인 변위만을 필요로 한다. 본 발명에 따라 가동 벨트의 경우에 구동 수단은 단지 벨트 양의 일부분을 앞뒤로 이동하여, 테이프 버퍼에서 테이프의 길이를 조절하고, 테이프 속도를 변하게 할 필요가 있다. 상기 점에 있어서, 또한, 상기 벨트 변위를 위한 작동기가 벨트 이동을 위한 구동과 결합되어, 단일 벨트 구동 시스템을 형성하는 장점이 있다. 벨트의 가이드 섹숀에 테이프의 효과적인 저 마찰 접촉에 결합하여 상기는 테이프 버퍼와 테이프 속도의 부드럽고 빠른 제어를 제공하며, 구동 수단은 양호한 방식으로 장착된다. 더구나, 버퍼에서 테이프 길이의 장력은 효과적으로 유지된다. 상기는 테이프 이송시 발생하는 힘이 시스템의 유효 동적 제어를 가져온다. 상기 벨트를 사용시 더욱 유리한 점은 벨트를 비교적 값이싸고 단순한 구조로 할 수 있고 테이프를 가이드 섹숀을 거쳐 처리 수단쪽으로 쉽게 감게 될 수 있다는 것이다. 후자의 측면에서 벨트의 이동 장치는 부가적인 장점이 있다. 적합하게도, 벨트는 예를들어 인청동으로 제조되어 물질이 변형후에 쉽게 원래 형태로 되돌아온다.
본 발명에 따라 테이프 이송 소자는 릴 이동으로부터 효과적인 동적 분리가 바람직한 테이프 처리 장치에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 장점이다. 상기 처리 장치의 적합한 예는 헤드 지지부상에 장착된 자기 헤드에 의해 자기 테이프상에서 계수적으로 부호화된 신호를 주사하는 비디오 레코더이다. 기록하는 동안, 각 화상은 화소로 나뉘어지며, 각 화소는 분리된 트랙으로서 테이프상에 기록된다. "조사 모드"(화상 조사)에 있어서, 자기 헤드는 상이한 조사 속도로 완전한 필드를 판독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라 테이프 이송 소자에 의해 제공된 테이프 속도 변화중 많은 범위는 다수의 화소를 갖는 테이프의 긴 길이로 하여금 헤드에 접촉하고 있는 테이프 부분만이 속도 변화에 따른다는 점에서 1필드 간격내에 주사되도록 한다.
상기 처리장치의 또 다른 적당한 예가 포일 캐패시터의 제조시 사용된 포일 감기 장치이다.
본 발명에 따라 테이프 이송 소자의 양호한 실시예는 테이프 이송 소자가 앤들레스 벨트를 움직일때, 테이프 이송 방향으로 보아서, 벨트의 가이드 섹숀의 시작과 끝을 정하고, 가이드 섹숀 쪽으로 또는 반대 방향으로 각각 테이프를 안내하는 두개의 가이드 소자간 외연에서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가이드 섹숀 폭으로 또는 반대 방향으로 각각 테이프를 안내하는 가이드 소자간에 벨트의 외연을 안내함으로써, 버퍼 수단의 구조가 얻어지며, 이는 몇개의 작은 부분을 구비하고, 벨트 이동을 쉽게 함으로써 가이드 섹숀의 길이를 변하게 하며, 테이프의 감기를 최소한 지연시킨다.
상기측면에서 있어서, 본 발명에 따라 테이프 이송 소자의 또 다른 양호한 실시예는 벨트의 가이드 섹숀이 180°구부러지고 각각이 외면에서 가이드 소자와 결합하는 두개의 거의 평행한 직선부에 인접하는 단부를 구비하며, 직선부에 평행한 방향으로 단부의 위치를 변화함으로써 가이드 섹숀의 길이가 변화가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벨트가 180°구부러지는 부분을 구비하고 직선부에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대적인 변위가 얻어질 때 벨트의 단지 거의 절반이 이동되어 가이드 섹숀의 길이가 변한다. 이는 테이프 버퍼의 신속한 제어를 가져온다.
테이프가 공급릴 및 감기 릴 사이에서 이동되는 또 다른 실시예는 벨트가 가이드수단에서 테이프를 각각 안내하는 제1 및 제2 가이드 섹숀을 따라 180°로 구부러지는 적어도 두개의 단부를 구비하고, 두개의 가이드 섹숀이 테이프를 안내하는 가이드 소자 사이를 지나가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므로, 벨트를 사용함으로써, 테이프 버퍼는 양 릴에 관해 만족할만한 동적 분리를 제공하는 처리 수단의 양면상에서 얻어진다. 공급릴의 측면과 감기릴의 측면에서, 테이프가 강력히 변속하는 테이프의 경우에서 조차 정확하게 팽팽하게 되는 반면에, 릴간 테이프 이송에서 힘의 시스템에 대한 유효한 동적 제어가 얻어진다.
본 발명에 따라 테이프 이송 소자의 또 다른 실시예는 벨트가 180˚로 구부러지는 단부를 갖는 제 3 가이드 섹숀을 구비하고, 제 3 가이드 섹숀이 제1 및 제 2 가이드 수단 사이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3 가이드 섹숀은 3개의 테이프 버퍼가 하나의 연속 벨트에 의해 얻어질 수 있고, 부품을 최소 한도로 사용하기 위해 두 개의 분리되어 장착된 처리 수단을 지나서 국부적으로 변하는 속도에 따라 테이프를 이동하게 하는 장점을 갖는다.
처리 수단이 자기 테이프상의 정보를 주사하는 적어도 하나의 자기 헤드를 받치는 헤드 지지부를 구비하고, 자기 헤드가 테이프 코팅면에 접촉하는 실시예는 테이프가 베이스면을 따라 벨트의 가이드 섹숀과만 오로지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므로, 상하기 쉬운 테이프의 코팅면이 벨트의 가이드 섹숀과 접촉하지 않아, 만족할만한 재생 품질과 자기 테이프의 수명을 위해 장점을 갖는다.
상기 측면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라 테이프이송 소자의 또 다른 실시예는 두 개의 릴이테이프 카세트 내에 위치되고, 하우징의 전면 구석에 두개의 테이프 가이드가 제공되며, 카세트가 동작하지 않을 때 테이프 가이드 사이에서 테이프 부분이 팽팽하게 늘어지며, 하우징이 상기 테이프 부분 뒤쪽에 리세스를 가지고, 리세스가 상기 리세스내에 엔들레스 벨트를 위치시킬 수 있도록 하는 형태를 가지며, 테이프 이송 소자의 감기 수단이 구동 수단의 방향으로 카세트로부터 테이프 부분과 벨트를 빼내어, 상기 테이프 부분과 벨트를 동작 위치로 가져오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는 카세트의 장착동안 카세트 하우징이 리세스와 함께 벨트위에 위치될 수 있어, 자기 테이프의 감기동안 벨트가 테이프의 변위를 방해하며, 동작위치를 향해 감기 이동동안 벨트가 가이드 소자사이의 위치로 쉽게 이동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측면에 있어서, 테이프 이송 소자의 다른 실시예는 처리 수단이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두개의 헤드 지지부를 구비하고, 테이프가 각각 제1 및 제2 가이드 수단을 거쳐 상기 지지부를 지나 안내되고, 지지부가 서로 간에 방사상으로 이격되며, 제 3가이드 섹숀이 제1 및 제2 헤드 지지부 사이의 테이프 경로에서 테이프 버퍼를 제어하며, 각 헤드 지지부의 헤드가 대응하는 테이프 폭의 절반씩을 주사한다.
서로간에 단지 순차적으로 결합되는 다수의 테이프 버퍼를 사용함으로써 비디오 레코더에서 두개의 회전 헤드 지지부를 갖는 시스템을 사용할 수 있어, 화상간 부드러운 전위를 "화상 조사" 모드에서 얻게 되도록 한다. 상기 경우에 있어서, 어떤 특별한 화상 기억 메모리가 필요치 않는다. 헤드 지지부상에서 헤드가 단지 테이프폭의 절반만을 주사하기 때문에, 소정의 트랜 길이를 위한 소위 "피치각"이 반으로 나눠질 수 있다.
구동수단이 캡스턴과 압력 롤러를 구비하는 본 발명에 따라 테이프 이송 소자의 다른 양호한 실시예는 압력 롤러와 결합하여 캡스턴이 테이프가 제 2 가이드 섹숀으로 들어가는 점 근처에 위치된 가이드 소자의 위치에서 직접 벨트를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므로, 벨트의 중앙 구동은 가이드소자 중 하나의 가이드 기능에 결합된다.
본 발명에 따라 테이프 이송 소자의 또 다른 양호한 실시예는 구동수단이 선형 구동에 의해 직접 벨트를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벨트가 로터의 종류와 같은 역할을 하는 상기 선형 구동은 처리 수단주위에 벨트와 테이프 부분의 절반의 양이 가속되고 감속될 필요가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본 발명은 처리 수단을 구비하는 테이프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테이프 처리 장치는 또한 테이프 이송 소자에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도에 도시된 테이프 이송 소자는 카세트(2)내에 포함된 자기 테이프(3)에 합체하며, 상기 테이프가 카세트 하우징내 공급릴(4)과 감기 릴(5)상에 감겨진다. 회전 가능 릴(4,5)이 함께 릴 수단을 구성하며, 카세트(2)가 테이프 이송 소자(1)를 구비하는 테이프 처리 장치(5)내로 장착한 후, 도시되지 않은 방식으로 소자(1)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상기 예인 비디오 레코더에서 테이프 처리 장치(6)는 회전 가능 헤드 지지부(7)를 구비하는 스캐너를 포함하는 처리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회전가능 헤드 지지부가 그 외연에서 다수의 자기 헤드(8)를 받치고 있다. 헤드 지지부(7)의 죄측 및 우측에서 가이드 수단은 장치(6)의 도시되지 않는 데크판상에 장착되며, 상기 가이드 롤러(9,10)를 구비한다. 상기 롤러를 걸은 후, 동작하는 동안 테이프가 테이프의 측방향에 따라 경사지는 트렉을 따라 주사될 수 있는 경사진 헤드 지지부(7)에 대응하는 식으로 테이프를 안내한다.
헤드 지지부(7)와 카세트(2)사이에 버퍼 수단(11)이 장착되고, 버퍼 수단의 외연에 도시되지 않는 데크판상의 가이드 소자(13,14,15,16)사이에서 안내되는 엔들레스 벨트(12)를 구비한다. 상기 소자는 가이드 롤러로서 구성되고, 테이프의 시작 및 종료 위치 가까이에 벨트(12)에 따르는 테이프(3)를 안내하며, 상기 위치는 또한 벨트(12)의 가이드 섹숀(12a,12b)각각의 시작 및 종료를 구성한다.
가이드 섹숀(12a,12b)에 있어서, 예를 들어 인청동으로 제조되는 벨트(12)는 180°구부러지는 종단부를 구비하며, 상기 종단부가 서로간에 거의 평행하게 뻗으며 좌측에서 가이드 롤러(13,14), 우측에서 가이드 롤러(15,16)사이에 위치되는 직선부에 인접한다.
점선으로 도시되는 바와 같이, 가동 벨트(12)는 가이드 롤러(13 내지 16)의 존재에 따라 벨트의 직선부에 평행하게 뻗고 카세트(2)의 전면벽(2a)에 알맞게 평행하게 뻗는 상대 변위에 따르게 될 수 있다. 상기 변위는 가이드 섹숀(12a,12b)의 길이를 변하게 하며, 벨트를 따라 안내된 테이프 부분의 길이에서의 변화에 의해 따른다. 벨트(12)를 사용함으로써, 상기 길이의 변화가 상보적, 즉, 벨트 한쪽의 길이를 줄일때 다른 쪽에서 줄어진 길이와 동일한 길이가 늘어난다. 상기는 릴(4,5)사이에서 테이프가 일정한 테이프 감기 및 테이프 공급릴에서 항상 팽팽한 채로 있는 장점을 갖는다.
그러므로, 가이드 섹숀(12a,12b)은 헤드 지지부의 회전(각속도 w)동안 헤드 지지부를 지나는 테이프의 속도(Vt)가 릴(4,5)의 반고정 권선 속도의 경우 강력하게 변하는 테이프 버퍼를 구성한다. 속도(Vt)는 테크판상에 장착된 구동 수단의 사용으로 얻어지고, 상기 수단이 캡스턴 및 압력 롤러 결합체(17)를 구비하여, 상기 결합체의 캡스턴이 가이드 롤러(14)에 일치하고, 벨트(12)와 테이프(3)를 구동한다. 상기 측면에 있어서, 속도(Vt)의 크기에 관계없이, 테이프(3)가 가이드 섹숀(12b) 으로 들어가는 점 가까이에서 벨트(12)가 상기 반고정 속도로 움직인다는 것은 중요하다.
안내를 위해, 테이프(3)가 베이스 측면으로 가이드 섹숀(12a,12b)을 따라 이동하여, 테이프의 코팅면이 헤드(8)에 의해 단지 롤러(13 내지 16)를 따라 움직인다는 것은 중요하다.
상기 예에서 테이프 처리 장치(6)를 구성하는 비디오 레코더는 헤드(8)에 의해 자기 테이프(3)상에서 계수적으로 부호화된 비디오 신호를 주사한다. 상기 시스템에 있어서, 각 비디오 화상이 다수의 화소로 분할 되며, 각 화소가 분리된 트랙으로서 테이프상에 기록된다. 이에 따르는 짧은 트랙은 헤드 지지부(7)를 구비하는 스캐너의 지름 및 래핑각이 줄어들도록 한다. 그러나, "화상 조사" 모드에 있어서, 이용 가능한 표준 기술을 사용하는 상이한 조사속도로 완전한 화상을 판독한다는 것은 가능한 것이 아니다.
테이프 이송 소자(1)에 의해서, 테이프 이송은 강력하게 변하는 속도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테이프 이송 방법은 "화상 조사" 모드에서 맞부딪힌 상기 문제점에 대한 해결책을 제공한다. 정상 표준 동작 속도 Vo가 채택될 때, 비교적 길다란 테이프 길이가 "화상 조사" 모드로서 1필드 간격내에서 스캐너를 지나 이동되는 반면에, 반고정 릴 소도(nVo)가 유지된다. 속도 변화는 제 2 도에 도시된 그래프에 나타나 있다.
상기 그래프에서 :
t=시간
r=필드 간격
Vo=재생 동작 속도
tt=스캐너에서 속도
V최대=(4n-3)*Vo
η=속도 인수
예를 들어 r=20ms이면 η=10, Vo=2cm/s이다.
테이프 속도에서 바람직한 변화는 스캐너에 접촉하는 테이프 부분만을 위해 필요한 것이다. 상기 변화동안, 릴은 반고정 속도(예를들어, η,Vo)로 구동된다. 테이프 헤드 접촉에 따르는 상기 릴(4,5)의 동적 분리는 릴의 관성이 헤드에 접촉하고 있는 테이프 부분의 구동을 손상시키지 않는 잇점을 갖는다. 그러므로, 바람직한 분리는 테이프 경로에서 버퍼에 의해 얻어진다.
제3 및 4도에 도시된 예에서 일부분은 제 1 도이일부분과 동일한 방식으로 구성되나, 단지 카세트(2)의 하우징(18)이 다른 형체를 갖는다. 구석 가까이 있는 하우징(18) 전면에서, 테이프 가이드(18a,18b)는 카세트가 동작하지 않을때 테이프(3a)의 길이가 팽팽해지는 사이에 정착된다. 테이프 부분(3a)지나서 리세스(18c)가 하우징(18)내에 형성된다. 만약 카세트가 테이프 처리 장치(6)외부에 위치되면, 테이프 부분(3a)과 리세스(8c)는 도시되지 않은 리세스 셔터에 의해 덮혀질 수 있다. 단지 도식적으로 도시된 카세트(2)는 예를들어 "8mm 비디오" 또는 "R-DAT"방식이다. 제 1 방식의 카세트의 예는 유럽 특허원 제91,171호에 기재되어 있으며, 제 2 방식은 유럽 특허원 제162,487호에 기재되어 있다. 테이프 처리 장치가 정착되고, 셔터가 개방된 후, 리세스(18c)는 벨트(12) 및 가이드 롤러(9)로 하여금 테이프부분(3a) 뒤에 결합하도록 한다.
테이프 이송 소자의 도시되지 않은 감기 수단상에 가이드 롤러(9,10)를 장착함으로써, 테이프 부분(3a)은 벨트(12)에 의해 막혀짐이 없이 하우징(18)밖으로 인출될 수 있으며, 스캐너 주위를 감쌀 수 있다(제3도).
그후 즉시, 벨트(12)는 하우징(18)으로부터 인출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시되지 않은 피봇암 상에 장착된 감기 수단의 핀(19,20)이 사용되어 제 4 도에 되된 경로를 따라 이동된다. 상기 이동동안 벨트(12)는 테이프 가이드 (18a,18b)사이에서 하우징으로부터 빠져나오며, 가이드 소자(13 내지 16)사이에 위치된다. 벨트가 변형됨에 따라, 벨트가 소자쌍(13,14 및 15,16)사이에 쉽게 위치될 수 있으며, 테이프가 특별한 동작없이 가이드 섹숀(12a,12b) 주위를 감싼다. 동작 위치에서 벨트(12)는 핀(9,20)과 접촉이 없다. 상기 예에서, 구동은 가이드 롤러(9,14)사이에 위치되고, 테이프(3)를 구동하는 캡스턴 및 압력 롤러 결합체(21)에 의해 제공된다. 감게 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압력 롤러(21a)는 예를들어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다. 교대로, 가이드 롤러(9)와 함께 압력 롤러(21a)는 감기수단과 함께 리세스(18c)밖으로 이동될 수 있다. 가이드 섹숀(12a) 과 접촉 결과로서, 테이프(3)는 속도 Vt로 가이드 롤러(14)가까이 있는 벨트(12)를 구동한다. 테이프 이송 소자(1)와 결합하여 테이프 이송 소자(1)의 또 다른 동작은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방식으로 진행한다.
감는 동안, 핀(19,20)은 먼저 벨트(12)를 리세스(18c)로 되돌아오고, 그후 테이프(3)가 카세트(2)로 되돌아 온다.
제 5 도는 벨트(12)가 가이드 롤러(14,16)사이에 정착된 캡스턴 및 압력 롤러 결합체(21)에 의해 직접 구동될 수 있는 또다른 방법을 도시한다. 벨트(12)는 처리 수단(7)을 지나 가이드 섹숀(12a)을 거쳐 가변속도 Vt로 테이프(3)를 이동한다. 그러므로, 벨트(12)가 가이드 롤러중 하나(제1도)나, 테이프(3)의 구동을 통해(제3도,4도) 또는, 직접 (제5도)결합하여 구동될 수 있으나, 스캐너를 지나 테이프의 이동에 따라 릴 이동의 분리에 관해 상기 잇점을 유지한다.
제1도 내지 5도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스캐너에서 테이프(3)의 가속 및 감속동안 스크린상에 선행 화상을 반복하기 위하여 테이프 처리 장치(6)에는 화상 저장 메모리가 제공되어야 한다. 급속한 비율로 화상 재생 모드 동안, 상기 모드에 연관된 속도에 따라, 어떠한 단속 효과가 동작 화상(초당 24 또는 18플레임)과 동일한 방식으로 발생한다.
제 6 도에 도시된 실시예는 화상 기억 메모리의 사용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상기는 세개의 테이프 버퍼를 구비하는 버퍼 수단의 사용에 의해 가능하다. 이를 위해 벨트(22)는 T형 구성에서의 외연에서 가이드 소자(23 내지 32) 사이에서 안내된다. 릴(4)로부터 테이프(3)는 제1도에서 가이드 섹숀(12b)의 테이프 버퍼와 유사한 테이프 버퍼를 구성하는 가이드 섹숀(22a)을 통해 지나간다. 따라서, 테이프는 가변속도 Vr로 헤드(8a)를 구비하는 제 1 처리수단(7a)를 지나 이동되며, 제 1 가이드 수단이 가이드 롤러(29,30)를 구비한다.
가이드 롤러(28)로부터 테이프(3)는 또 다른 테이프 버퍼를 규정하는 가이드 섹숀(22b)을 통해 가이드 롤러(27)로 이동한다. 따라서, 테이프는 가변 속도 V1로 가이드 롤러(25,26)를 구비하는 제 2 가이드수단을 거쳐 헤드(8b)를 구비하는 제 2 처리 수단(7b)을 지나 이동한다. 마지막으로, 제 1 도에서 가이드 섹숀(12b)과 동일한 방식으로, 테이프(3)는 가이드롤러(23,24)를 거쳐 또다른 테이프 버퍼가 위치되는 가이드 섹숀(22c)을 지나 감기 릴(5)로 이동한다. 벨트(22)는 테이프(3)가 벨트(22)로 들어가는 점, 즉, 가이드 롤러(28) 및 가이드 롤러(24) 근처의 두점에서 구동되어, 상이한 속도 Vr, V1이 가능하다.
두개의 방사상으로 이격되어 회전하는 헤드 지지부(7a,7b)를 사용함으로써, 테이프 처리장치(6)에서 얻어진 이중 "스캐너"시스템은 "화상 조사"동안 화상간 점진적인 변이가 두개의 스캐너에 의해 교대로 판독함으로써 화상 메모리의 사용없이 얻게 된다.
제 7 도는 제 2 도에 도시된 테이프 속도 변화와 유사한 테이프 속도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대시선은 속도 V1을 대시 점선은 속도 Vr을 나타낸다.
상기 실시예에서 특별한 "포맷"이 테이프(3)상에서 트랙 구성을 위해 필요하다는 것 주목해야 한다(제8도). 각 헤드 지지부(7a,7b)가 테이프 폭의 단지 반을 주사하도록 패턴이 채택된다. 제 8 도에서 "a"는 스캐너 헤드 지지부(7a,7b)간 거리를 나타내며, Li=i번째 화상에 일치하는 스캐너(7b)로부터 트랙 패킷 Ri=i번째 화상에 일치하는 스캐너(7b)로부터 트랙 패킷 각 스캐너(7a,7b)가 테이프 폭의 반만을 주사하기 때문에, "피치각"은 소정의 트랙 길이를 위해 절반으로 될 수 있다.
상기 테이프 처리 장치의 적합한 실시예가 제 9 도에 도시되어, 폭이 8mm인 테이프(3)가 두개의 R-DAT 스캐너(7a,7b)에 결합하여 사용된다. 유럽 특허원 제197,602호에 기재된 R-DAT 스캐너의 구성이 참조로 본 명세서에 합체된다. 더우기, 상기 8mm이중 R-DAT시스템은 테이프(3)를 단지 한 스캐너를 통해 감음으로써 표준 R-DAT 시스템과 함께 "역행 양립식"이 되게 한다.
제10도에 도시된 실시예는 벨트(2)의 구동 수단의 또 다른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로터"로서 벨트(12)와 합체하는 구동 모터(33)가 제공된다.
가속 및 감속동안 회전 질량과 관성이 부가적인 중량으로서의 역활을 하는 캡스턴 시스템과 비교된 상기 선형 구동의 잇점은 단지 벨트(12) 절반과 스캐너 주위를 감싸는 테이프 부분의 질량이 가속되고 감속되어야 한다.
자기 기록시 사용된 테이프 처리 장치에서 본 발명에 따라 테이프 이송 소자(1)의 몇명 사용예는
1. 화소로 나누어진 나선형 주사 비디오 시스템에서 화상 조사;
2. 다중 트랙 선형 주사 시스템에서 화상 조사
3. 데이타 기록시 랜덤 억세스, 즉, 플로피+스트리머의 결합;
4. 상업적인 레코더 같이 캡스턴 이송 시스템에 관해 릴로부터 기계적인 장애를 분리하기 위해 필요한 매우 정확한 정지 시스템이 있다.
원칙적으로 매우 다양한 사용은 본 발명에 따라 테이프 이송 소자를 사용하는 테이프 처리 장치(6)를 위해 생각할 수 있다는 것은 주목할만한 일이다. 예를들어, 장치(6)는 포일 캐패시터의 제조를 위한 포일 감기 장치이며, 또한 릴 이동의 동적 분리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상기 경우에 있어서 감기 릴(5)이 필요없고, "테이프"란 용어가 "포일", "필름", "시트"등으로 읽을 수 있다.

Claims (11)

  1. 회전 가능릴(4)에 테이프(3)의 길이가 감겨지고, 테이프가 풀어질때 릴로부터 종축 방향을 따라 제 1 속도(η, Vo)(4)로 이동되는 회전 가능릴(4)을 갖는 릴 수단과; 테이프(3)가 테이프 처리장치(6)의 처리 수단(7)과 합체하여 이동가능하고, 가이드 수단(9,10)을 따라 크기가 제 1 속도에 따라 가변인 제 2 속도(Vt)로 이동되는 가이드 수단(9,10) 및; 상기 릴(4) 및 가이드 수단(9,10)사이의 테이프 경로에 위치된 테이프 버퍼를 제어하고, 릴(4) 및 가이드 수단(9,10)의 회전축에 따라 상기 테이프 가이드 위치의 변화가 가능하여, 테이프 버퍼의 테이프 길이가 변하며, 가이드 수단(9,10)을 따라 테이프의 이동으로부터 릴 회전이 분리되도록 하는 버퍼 수단(11)을 구비하는 테이프 이송 소자에 있어서, 버퍼 수단(11)이 가이드 수단(9,10)을 통하는 테이프(3)의 제 2 속도에 일치하는 속도(Vt)로 가이드 수단(9,10)쪽을 향하는 면 가까이 구동 수단(17;21)에 의해 구동되는 엔들레스 벨트(12;22)를 구비하며, 버퍼 제어 수단이 가동 벨트(12;22)의 가이드섹숀(12b)을 구비하여, 가이드 섹숀(12b)의 외측면을 통해 테이프 버퍼의 테이프 길이가 통과되며, 벨트(12;22)가 구동될때 가이드 섹숀(12b)의 길이가 변하여, 테이프의 인입점 근처의 벨트(12;22) 속도가 벨트를 릴(4)에서 떨어지게 했을때의 테이프의 상기 제1속도(η, Vo)에 일치한다는 점에서 테이프(3)의 인입점으로부터 테이프의 이송 경로를 거쳐 테이프(3)의 인출점까지 테이프 버퍼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이송 소자.
  2. 제1항에 있어서, 테이프 이송 소자가 엔들레스 벨트(12;22)를 움직일때, 테이프 이송 방향으로 보아서, 벨트(12)의 가이드 섹숀(12b)의 시작과 끝을 정하고, 가이드 섹숀(12b)쪽으로 또는 반대 방향으로 각각 벨트를 안내하는 두개의 가이드 소자(15,16)간 외연에서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이송 소자.
  3. 제2항에 있어서, 벨트(12; 22)의 가이드 섹숀(12b)이 180°구부러지고 각각이 외면에서 가이드 소자(9,10)와 결합하는 두개의 거의 평행한 직선부에 인접하는 단부를 구비하며, 직선부에 평행한 방향으로 단부의 위치를 변화함으로써 가이드 섹숀(12b)의 길이가 변화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이송 소자.
  4. 테이프가 공급릴(4)과 감기 릴(5) 사이에서 이동되는 제 3 항에서 청구된 바와 같은 테이프 이송 소자에 있어서, 벨트(12 ; 22)가 가이드 수단(9,10)에서 테이프를 각각 안내하는 제1(12b) 및 제2(12a)가이드 섹숀을 따라 180°구부러지는 적어도 두개의 단부를 구비하고 두개의 가이드섹숀(12a,12b)이 테이프(3)를 안내하는 가이드 소자(13 내지 16)사이를 지나가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이송 소자.
  5. 제 4 항에 있어서, 벨트(22)가 180°구부러지는 단부를 갖는 제 3 가이드 섹숀(12b)을 구비하고, 제 3 가이드 섹숀이 제1(29,30) 및 제2(25,26) 가이드 수단 사이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이송 소자.
  6. 처리 수단이 자기 테이프상에 정보를 주사하는 적어도 하나의 자기 헤드(8)를 받치는 헤드 지지부(7)를 구비하고, 자기 헤드(8)가 테이프(3)의 코팅면에 접촉하고 있는 제 4 항 또는 5항에서 청구된 바와 같은 테이프 이송 소자에 있어서, 테이프(3)가 베이스면을 따라 벨트(12)의 가이드 섹숀(12a,12b)과만 오로지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이송 소자.
  7. 제 6 항에 있어서, 두개의 릴(4,5)이 테이프 카세트(2)내에 위치되고 하우징(18)의 전면 구석에 두개의 테이프 가이드(18a,18b)가 제공되며, 카세트(2)가 동작하지 않을때 테이프 가이드 사이에서 테이프 부분(3a)이 팽팽하게 늘어지며, 하우징(18)이 상기 테이프 부분(3a)뒤쪽에 리세스를 가지고, 리세스가 리세스내에 엔들레스 벨트(12)를 위치시킬 수 있도록 하는 형태를 가지며, 테이프 이송 소자(1)의 감기 수단이 구동 수단(9,10)의 방향으로 카세트(2)로부터 테이프 부분(3a)과 벨트(12)를 빼내어, 상기 테이프 부분과 벨트를 동작 위치로 가져오게 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이송 소자.
  8. 제 5 항에 있어서, 처리수단이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두개의 헤드 지지부(7a,8b)를 구비하고, 테이프(3)가 각각 제1(29,30) 및 제2(25,26) 가이드 수단을 거쳐 상기 지지부를 지나 안내되고, 지지부가 서로간에 방사상으로 이격되며, 제 3 가이드 섹숀(22b)이 제1(7a) 및 제2 헤드 지지부(7b)사이의 테이프 경로에서 테이프 버퍼를 제어하고, 각 헤드 지지부(7a,7b)의 헤드(8a,8b)가 대응하는 테이프폭의 절반씩을 주사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이송 소자.
  9. 구동 수단이 캡스턴 및 압력 롤러를 구비하는 제 8 항에 청구된 바와 같은 테이프이송 소자에 있어서, 압력 롤러에 결합하여 캡스턴(17)이 테이프(3)가 제 2 가이드 섹숀(12a)으로 들어가는 점 근처에 위치된 가이드 소자(14)의 위치에서 직접 벨트(12)를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이송 소자.
  10. 제 8 항에 있어서, 구동 수단이 선형 구동(33)에 의해 직접 벨트(12)를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이송 소자.
  11. 상기 장치(6)가 제 1 항에서 청구된 바와 같은 테이프 이송 소자(1)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처리 장치.
KR1019870011360A 1986-10-15 1987-10-14 테이프 이송 소자 및 이를 이용한 테이프 처리장치 KR9600069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NL8602585A NL8602585A (nl) 1986-10-15 1986-10-15 Bandtransportinrichting, alsmede bandprocesinrichting voorzien van een dergelijke bandtransportinrichting.
NL8602585 1986-10-15
NL????8602585 1986-10-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5592A KR880005592A (ko) 1988-06-29
KR960006952B1 true KR960006952B1 (ko) 1996-05-25

Family

ID=198486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11360A KR960006952B1 (ko) 1986-10-15 1987-10-14 테이프 이송 소자 및 이를 이용한 테이프 처리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EP (1) EP0265987B1 (ko)
JP (1) JPS63106263A (ko)
KR (1) KR960006952B1 (ko)
CA (1) CA1306987C (ko)
DE (1) DE3771300D1 (ko)
HK (1) HK15693A (ko)
NL (1) NL8602585A (ko)
SG (1) SG113192G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8800856A (nl) * 1988-04-05 1989-11-01 Philips Nv Magneetbandapparaat voorzien van een regeleenheid ter sturing van bandbuffers, de bandspanning en het bandtransport.
NL8800855A (nl) * 1988-04-05 1989-11-01 Philips Nv Magneetbandapparaat voorzien van een rijgmechanisme welke een magneetband en een riem, voor de vorming van bandbuffers, verplaatst.
NL8802449A (nl) * 1988-10-06 1990-05-01 Philips Nv Systeem voor willekeurige toegankelijkheid tot informatie op een magneetband.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154690B (de) * 1961-11-29 1963-09-19 Guenter Baer Dipl Ing Vorrichtung zum absatzweisen Bewegen kontinuierlich gefoerderter Materialbahnen
US3217996A (en) * 1962-04-02 1965-11-16 Sanders Associates Inc Tape transport mechanism
US3305186A (en) * 1963-04-18 1967-02-21 Kinclogic Corp Tape transport system using a drive belt contacting tape packs
CH440743A (de) * 1964-07-09 1967-07-31 Telefunken Patent Anordnung für Magnetbandantriebe zum Andrücken des Magnetbandes an die Magnetköpfe
US3555205A (en) * 1968-03-05 1971-01-12 Mobark Instr Corp Apparatus for scanning two sets of angularly disposed oblique tracks on a magnetic medium
NL6907134A (ko) * 1968-05-21 1969-11-25
DE1774393B2 (de) * 1968-06-08 1978-06-15 Echo Science Corp. (N.D.Ges.D.Staates Californien), Mountain View, Calif. (V.St.A.) Magnetbandgerät
US3890641A (en) * 1972-09-01 1975-06-17 Int Video Corp Helical scan magnetic tape transport system including vacuum column tension control and helical scanner air bearing
US3883060A (en) * 1973-01-04 1975-05-13 Jones & Co Inc R A Loop forming apparatus
US4356946A (en) * 1977-06-24 1982-11-02 Pako Corporation Constant conveyor web output velocity compensator for variable input web velociti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NL8602585A (nl) 1988-05-02
CA1306987C (en) 1992-09-01
EP0265987B1 (en) 1991-07-10
JPS63106263A (ja) 1988-05-11
EP0265987A1 (en) 1988-05-04
HK15693A (en) 1993-03-05
SG113192G (en) 1993-01-29
KR880005592A (ko) 1988-06-29
DE3771300D1 (de) 1991-08-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70612A (en) Magnetic tape apparatus comprising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ape buffers, the tape tension and the tape-transport
US4104685A (en) Video recorder/reproducer transport having two movable tension guides for controlling tape tension
KR960006952B1 (ko) 테이프 이송 소자 및 이를 이용한 테이프 처리장치
EP0308487B1 (en) Helical scan tape guide apparatus
US5003424A (en) Apparatus for changing the helix angle of magnetic tape relative to a rotary head scanner
KR940006386B1 (ko) 자기 기록 재생장치의 테이프 텐션 제어장치
WO1988007745A1 (en) ''expandable loop'' method of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threading a web material
US4812930A (en) Tape guide arrangement for a helical scan type magnetic record reproduction device
JPH0758523B2 (ja) 磁気テ−プに信号を記録する方法
EP0822548B1 (en) Magnetic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with tilting head drum for dynamic tracking
US3913144A (en) Movable tape guide mechanism
US4975792A (en) Magnetic-tape apparatus comprising a threading mechanism for the displacement of a magnetic tape and a belt so as to form tape buffers
KR100317152B1 (ko) 자기기록/재생장치
US5036410A (en) System for random access to information on a magnetic tape
JP2580578B2 (ja) 磁気記録再生装置
JP2538195B2 (ja) 磁気テ―プ装置
US4910618A (en) Guide structure for guiding endless magnetic tape in a rotary head transport
KR0136470Y1 (ko) 텐션폴 구동장치
JP2585423B2 (ja) 磁気記録再生装置
KR200151052Y1 (ko) 영상정보 기록/재생 장치
JPH06500885A (ja) ヘリカルスキャン記録装置のための磁気テープ装着案内システム
KR100314450B1 (ko) 감기동작동안의회전하는헤드드럼과테이프형태의기록매체사이의마찰을감소시키기위한처리방법
KR940003067Y1 (ko) 자기기록 재생기의 슬랜트 로울러암 압착장치
JP2749177B2 (ja) 記録再生装置
JPS61217956A (ja) 磁気記録再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