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5807B1 - 자동판매기 - Google Patents

자동판매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5807B1
KR960005807B1 KR1019920013251A KR920013251A KR960005807B1 KR 960005807 B1 KR960005807 B1 KR 960005807B1 KR 1019920013251 A KR1019920013251 A KR 1019920013251A KR 920013251 A KR920013251 A KR 920013251A KR 960005807 B1 KR960005807 B1 KR 9600058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goods
column
main body
vending mach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132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02983A (ko
Inventor
다케시 모토야마
요시아키 와타나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아오이 죠이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아오이 죠이치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9300029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29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58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580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0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 G07F11/04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magazines the articles are stored one vertically above the other
    • G07F11/16Delivery means
    • G07F11/24Rotary or oscillatory membe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0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 G07F11/04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magazines the articles are stored one vertically above the oth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Vending Machines For Individual Products (AREA)
  • De-Stacking Of Articl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동판매기
제1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를 나타낸 자동판매기의 사시도.
제2도는 상품수납케이스를 슬라이드시킨 상태의 본체의 종단면도.
제3도는 컬럼(column)의 측면도.
제4도는 작은 캔을 수납한 상태의 컬럼 하부의 확대측면도.
제5도는 큰 캔을 수납한 상태의 컬럼하부의 확대측면도.
제6도는 안내판의 설명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자동판매기 11 : 본체
13 : 상품수납케이스 14 : 컬럼
15 : 개구부 16 : 상품
16a : 큰캔 16b : 작은캔
17 : 상품반출장치 22 : 안내판
29 : 레일 30 : 상단상품받이부
31 : 하단상품받이부
본 발명은 쥬스나 맥주등의 원통상의 캔을 옆으로 쓰러뜨린 상태로 컬럼에 수납하고 판매작동에 따라 컬럼최하부에 있는 상품반출 장치로부터 상품을 반출하는 자동판매기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인은 우선 컬럼에 다수의 상품을 한꺼번에 수납할 수 있고 상품의 보급작업을 용이하게 이룰 수 있음과 동시에 보급시간의 단축을 도모할 수 있는 하기와 같은 자동판매기를 제안했다.
즉 컬럼을 자동판매기 본체에 대해 슬라이드식으로 넣고 꺼낼 수 있도록 구성함과 동시에 이 칼럼의 한 측면에 상품이 수납된 상자마다 삽입할 수 있는 크기의 개구부를 형성하고 또한 상기 컬럼의 하부에 컬럼에 수납된 상품을 일렬로 정렬시킨 상태에서 상품반출장치로 안내하는 안내판을 설치한 것이다(특개평 2-247794호).
상기 자동판매기는 상품보급시에 다수의 상품이 수납된 상자마다 컬럼 개구부로부터 이들 상품을 한번에 컬럼으로 수납할 수 있다.
따라서 상품이 보급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음과 동시에 보급시간의 단축을 도모할 수 있고 또한 컬럼의 구성을 간소화할 수 있음과 동시에 부품의 갯수도 적게 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구성의 자동판매기는 컬럼에 수납된 수용갯수가 증가하는 만큼 서펜타인(surpentine)식의 컬럼과는 달리 상품반출장치에 걸린 상품의 하중이 증가하고 상품반출 이상이 발생할 우려가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컬럼의 최하부에 설치된 상품반출 장치에 걸림 상품으로부터의 하중을 감소하도록 구성한 자동판매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자동판매기는 원통형상의 깡통등의 상품을 옆으로 쓰러뜨린 상태로 수납하는 상품수납부와 이 상품수납부의 하부에 판매동작에 따라 상품을 1개씩 반출하는 상품반출장치를 갖는 컬럼(column)이 수용된 상품수납케이스가 설치된 본체와 이본체의 내부를 덮는 문을 갖추고, 이 문을 열어서 상기 상품케이스를 상기 본체로부터 꺼낼수 있는 자동판매기로서, 상기 컬럼에는 상기 상품수납케이스를 상기 본체로부터 꺼낼 때, 상품을 상기 상품수납부에 공급하기 위한 개구부와, 상기 상품수납부에 수용된 상품을 일렬로 정렬시켜 하부로 안내하는 안내판과, 상기 상품수납부내의 상품통로를 구불구불한 형상으로 하면서 또한 정렬된 상품을 지지하는 돌기부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구성의 자동판매기는 컬럼에 다수의 상품을 수납한 경우 우선 안내판에 의해 상풍통로에 상품이 일렬로 정렬된다.
그리고 이 상품통로는 구불구불한 형상으로 구성됨과 동시에 이 상품 통로내에 돌기부가 돌출하므로 상품의 하중이 분산된다.
따라서 상품반출장치에는 필요이상의 하중이 가해지지 않는다.
[실시예 1]
이하 본 발명의 한 실시예를 도면을 기초로 설명한다.
"10"은 원통상의 쥬스캔과 맥주캔등의 상품(16)을 옆으로 쓰러뜨린 상태로 컬럼에 수납하고 판매동작에 따라 컬럼의 최하부의 상품 반출장치로부터 상품을 반출하는 자동판매기이다.
"11"은 상자형을 이룬 본체이다.
"12"는 이 본체(11)의 전면을 개폐하는 문이다.
"13"은 문(12)을 개방했을때 본체로부터 슬라이드식으로 넣고 꺼낼 수 있게 배치된 상품수납케이스이다(제1도 및 제2도 참조.)
"14"는 상품수납케이스(13)에 복수열로 설치된 컬럼이다.
이 컬럼(14)은 상하방향으로 늘어져 있고 한 측면에 개구부(15)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개구부(15)로 복수의 상품(16)을 수납된 상자마다 삽입할 수 있다.
"17"은 컬럼(14)의 최하부의 전후방향에 있어서 중앙에 설치된 상품반출장치이다.
이 상품반출장치(17)에는 하부에 지지판(18), 중앙부에 임시저지판(19), 상부에 품절(品切) 검출레버(20)가 각각 한쌍으로 전후방향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컬럼(14)의 경우에는 1개의 컬럼에 2개의 상품반출구인 전반출구(23), 후반출구(24)를 가지고 있으며 상품반출장치(17)의 양측에 있는 지지판(18)등의 개폐로 상품(16)을 전반출구(23) 또는 후반출구(24)로부터 반출한다.
"21"은 상품반출장치(17)의 서로 대향하는 면에 설치된 이송판이다.
이 이송판(21)은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고 컬럼(14)에 수납된 상품(16)이 큰캔(16a)일 경우에는 상품반출장치(17)에서 벗어나도록 이동시키고 상품통로를 넓힌다.
또한 수납하는 상품(16)이 작은캔(16b)일 경우에는 상품반출장치(17)의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품통로를 좁게한다.
다음으로 이 상품반출장치(17)의 작동상태에 대해 설명한다.
상품(16)을 판매하고 있지않은 상태에서 있어서는 지지판(18)이 상품통로에 돌출해서 컬럼(14)의 최하단에 위치하는 상품(16)을 이송판(21)과 함께 지지하고 있다.
판매지령신호가 상품반출장치(17)에 입력되면 지지판(18)을 후퇴하고 최하단의 상품(16)을 낙하시킴과 동시에 임시 저지판(19)이 돌출해서 윗부분에 있는 상품(16)을 일단 지지한다.
그리고 최하단의 상품(16)이 낙하한 후 다히 지지판(18)이 상품통로에 돌출한 경우에 임시저지판(19)이 후퇴하고 위부분의 상품(16)이 지지판(18) 위로 낙하한다.
또한 품절 검출레버(20)는 상품(16)이 수납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그 상품(16)의 압력에 의해 후퇴한 상태로 되어 있다가 상품(16)이 없어졌을 경우에는 상품통로에 돌출해서 품절신호를 출력한다.
"22"는 상품검출장치(17)의 아랫부분에 설치된 삼각판형의 안내판이다.
이 안내판(22)은 컬럼(14)의 전후방향의 거의 중앙부에 위치하고 컬럼(14)에 무작위로 수납된 상품(16)을 2개로 분기시킴과 동시에 일렬로 정렬시켜서 상품반출장치(17)에 마주하는 상품통로에 상품(16)을 안내하는 역할이다.
즉 이 안내판(22)은 상품(16)이 큰캔(16a) 또는 작은캔(16b)의 경우에서도 일렬로 정렬해서 상품(16)을 잘 안내할 수 있도록 전후방향으로 그 상단부가 회전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 구조는 하기와 같은 것이다.
안내판(22)의 중앙상단부에 상(上)돌출부(25)가 돌출하고 중앙하단부에 하(下)돌출부(26)가 돌출해 있다.
상돌출부(25)는 컬럼(14)의 다른 측면에 설치된 역 "U"자형의 윗홈(27)에 끼워 맞추고 하돌출부(26)도 마찬가지로 컬럼(14)의 다른 측면에 설치된 역 "T"자형의 아래홈(28)에 끼워맞춘다.
안내판(22)을 거의 수직방향으로 위치시킬 경우에는 상돌출부(25)를 윗홈(27)의 한쪽 끝부분에 위치시킨다(제6도의 실선의 상태 참조).
안내판(22)을 기울일 경우에는 위홈(27)의 다른 끝부분에 상동출부(25)를 위치킨다. (제5도의 점선의 상태 참조.)
안내판(22)을 기울이기 위해서 상돌출부(25)를 윗홈(27) 가운데로 이동시킬 경우에 그 이동이 잘 될 수 있도록 하돌출부(26)를 아래홈(28)에 따라 움직이게 해서 이에 따라 안내판(22)이 회전가능하게 되어 있다.
안내판(22)이 거의 수직으로 위치한 상태에서는 작은캔(16b)이 안내판(22)의 전후 방향에 각각 2개씩 배분되고 최종적으로 상품통로에는 1개씩 안내된다(제4도 참조).
안내판(22)을 기울인 상태에서는 한쪽의 상품통로에는 2개의 큰캔(16b)이 안내되고 다른쪽의 상품통로에는 1개의 큰캔(16a)이 안내되고 각각 최종적으로 1개의 큰캔(16a)이 상품통로에 안내된다(제5도 참조).
"29"는 안내판(22)과 상품반출장치(17)의 사이에 설치된 한쌍의 원호상의 레일이다.
이 레일(29)은 그 상하단부를 컬럼(14)의 다른 측면에 핀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30"은 레일(29)의 서로 대향하는 면에 설치된 상품통로에 돌출하는 상단상품 받이부(돌기부)이다.
이 상단 상품 받이부(30)는 삼각형으로 구성되어 그 한쪽에서 상품(16)을 걸리게 할 수 있다.
"31"은 상단 상품 받이부(30)의 아래부분에 설치된 상품통로에 돌출하는 하단 상품 받이부(돌기부)이다.
이 하단 상품 받이부(31)도 상품(16)을 걸리게 할 수 있다.
그리고 레일(29) 상단 상품 받이부(30) 및 하단 상품 받이부(31)에 의해 안내판(22)에서 상품반출장치(17)에 이르기까지의 상품통로가 구불구불한 형상으로 형상됨과 동시에 이 상품통로내에 있는 상품(16)은 각각 레일(29), 상단 상품 받이부(30) 및 하단 상품 받이부(31)에 걸리고 이것에 의해 상품반출장치(17)의 지지편(18)에, 걸린 상품의 하중은 적어지고 이 상품반출장치(17)를 대형화하거나 강도를 높이거나 하지않고 종래의 상품반출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안내판(22)에서 아래의 상품통로에는 레일(29)등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상품(16)이 하나밖에 통과하지 않으므로 다수의 상품(16)이 안내되고 상품이 브릿지 상태가 되어 채워지거나 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안내판(22)에서 아래의 상품통로는 구불구불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그 낙하시 상품(16)이 파손되거나 하지 않는다.
상기 구성의 자동판매기는 안내판에서 아래의 상품통로가 구불구불한 형상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상품을 지지하는 돌기부가 형성됨으로 상품반출장치에 필요이상의 하중이 가해지지 않는다.
따라서 컬럼내에 상품의 수납힘이 증가해도 상품반출 장치의 구조를 강화하거나 할 필요가 없다.
또한 이 상품통로가 구불구불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품의 반출시에 상품이 파손되거나 다수의 상품이 브릿지 상태가 되어 상품이 막히거나 하지 않는다.

Claims (1)

  1. 원통상의 캔 등의 상품을 옆으로 쓰러뜨린 상태에서 수납하는 상품수납부와 이 상품수납부의 하부에 판매동작에 따라 상품을 1개씩 반출하는 상품반출장치(17)을 갖는 컬럼(14)이 수용된 상품 수납케이스(13)가 설치된 본체(11)와 이 본체(11)의 전면부를 돌러싸는 문(12)으로 구성되며, 이 문(12)을 열었을때 상기 상품수납케이스(13)을 상기 본체(11)로부터 꺼낼 수 있는 자동판매기(10)에 있어서, 상기 컬럼(14)은 상기 상품수납케이스(13)를 상기 본체(11)로부터 꺼내어 상품을 상기 상품수납부에 공급하기 위한 개구부(15); 상기 상품수납부에 수용된 상품을 일렬로 정렬시켜 하부로 안내하는 안내판(22); 및 상기 상품수납부에 설치된 상품통로를 구불구불한 형상으로 만드는 동시에 정렬된 상품을 지지하는 돌기부(30, 31)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기.
KR1019920013251A 1991-07-24 1992-07-24 자동판매기 KR9600058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184347A JP2826395B2 (ja) 1991-07-24 1991-07-24 自動販売機
JP91-184347 1991-07-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2983A KR930002983A (ko) 1993-02-23
KR960005807B1 true KR960005807B1 (ko) 1996-05-01

Family

ID=161516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13251A KR960005807B1 (ko) 1991-07-24 1992-07-24 자동판매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826395B2 (ko)
KR (1) KR96000580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3134B1 (ko) * 2001-03-23 2007-05-30 주식회사 포스코 벨트 컨베이어의 사행 조정장치
JP2014194677A (ja) * 2013-03-29 2014-10-09 Kubota Corp 自動販売機
WO2014157266A1 (ja) * 2013-03-29 2014-10-02 株式会社クボタ 自動販売機
CN109035571A (zh) * 2018-09-30 2018-12-18 湖南金码智能设备制造有限公司 托盘、售货设备以及出货方法
CN109544782A (zh) * 2018-11-22 2019-03-29 方科峰 玻璃材料构建的无人零售系统及无人零售系统商业运营模式
CN110232773A (zh) * 2019-05-31 2019-09-13 思创医惠科技股份有限公司 具有缺货提醒功能的智能售货系统及其使用方法
CN113823042A (zh) * 2021-06-23 2021-12-21 北京华兴长泰物联网技术研究院有限责任公司 一种自动售药机的药物抓取系统
CN113538793A (zh) * 2021-06-23 2021-10-22 北京华兴长泰物联网技术研究院有限责任公司 一种自动售药机的数据管理系统
CN113506404A (zh) * 2021-06-23 2021-10-15 北京华兴长泰物联网技术研究院有限责任公司 用于自动售药机的补药空间自动生成系统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05879B2 (ja) * 1989-03-22 1996-06-12 株式会社東芝 自動販売機
JPH02149482U (ko) * 1989-05-18 1990-12-20
JPH03273483A (ja) * 1990-03-23 1991-12-04 Sanyo Electric Co Ltd 自動販売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826395B2 (ja) 1998-11-18
KR930002983A (ko) 1993-02-23
JPH0581537A (ja) 1993-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06237B1 (en) Bottle dispenser
KR960005807B1 (ko) 자동판매기
KR100264373B1 (ko) 패키지 상품의 자동판매기
KR900000323Y1 (ko) 다양한 품목을 자동판매 할수있는 기구를 가진 자동 판매기
US3304142A (en) Compartment means
RU2672936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хранения и выдачи товарных предметов
US5253783A (en) Apparatus for storing and automatically sorting items
KR0130748B1 (ko) 자동판매기의 상품수납장치
KR950033984A (ko) 상자형 상품 자동판매기의 상품반출장치
JPH03189897A (ja) 自動販売機
JP2559566B2 (ja) 自動販売機の商品払出装置
JP2703433B2 (ja) 自動販売機
JP3526901B2 (ja) 自動販売機の商品収納装置
JPS5930188A (ja) 自動販売機の商品払出し装置
JP2904632B2 (ja) 自動販売機
US20030146238A1 (en) Vending machine for dispensing cans & bottles with elevator assembly
JPH0581536A (ja) 自動販売機
JP2721125B2 (ja) 自動販売機の商品収納室
JPH08190669A (ja) 自動販売機の商品払出方法と商品払出装置
JP2566743B2 (ja) 自動販売機の商品払出装置
JP2001126132A (ja) 自動販売機の商品収容装置
JP2906359B2 (ja) 直積み式自動販売機
KR970006651B1 (ko) 상품수납컬럼
JPH0486987A (ja) ストック機付き自動販売機
JP2622507B2 (ja) 自動販売機の商品収納方法および商品収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