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5465B1 - 방적기에 있어서의 슬라이버(sliver) 이음방법, 슬라이버이음기 및 슬라이버이음시스템 - Google Patents

방적기에 있어서의 슬라이버(sliver) 이음방법, 슬라이버이음기 및 슬라이버이음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5465B1
KR960005465B1 KR1019940002222A KR19940002222A KR960005465B1 KR 960005465 B1 KR960005465 B1 KR 960005465B1 KR 1019940002222 A KR1019940002222 A KR 1019940002222A KR 19940002222 A KR19940002222 A KR 19940002222A KR 960005465 B1 KR960005465 B1 KR 9600054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ver
spinning machine
new
joint
cu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022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29387A (ko
Inventor
게이지 오노우에
유끼오 사이또
다까시 이마이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요다지도우쇼끼세이사꾸쇼
이소가이 지세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요다지도우쇼끼세이사꾸쇼, 이소가이 지세이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요다지도우쇼끼세이사꾸쇼
Publication of KR9500293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293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54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5465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HSPINNING OR TWISTING
    • D01H9/00Arrangements for replacing or removing bobbins, cores, receptacles, or completed packages at paying-out or take-up stations ; Combination of spinning-winding machine
    • D01H9/18Arrangements for replacing or removing bobbins, cores, receptacles, or completed packages at paying-out or take-up stations ; Combination of spinning-winding machine for supplying bobbins, cores, receptacles, or completed packages to, or transporting from, paying-out or take-up stations ; Arrangements to prevent unwinding of roving from roving bobbins
    • D01H9/185Transporting ca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HSPINNING OR TWISTING
    • D01H9/00Arrangements for replacing or removing bobbins, cores, receptacles, or completed packages at paying-out or take-up stations ; Combination of spinning-winding machine
    • D01H9/005Arrangements for replacing or removing bobbins, cores, receptacles, or completed packages at paying-out or take-up stations ; Combination of spinning-winding machine for removing empty packages or cans and replacing by completed (full) packages or cans at paying-out stations; also combined with piecing of the roving
    • D01H9/008Arrangements for replacing or removing bobbins, cores, receptacles, or completed packages at paying-out or take-up stations ; Combination of spinning-winding machine for removing empty packages or cans and replacing by completed (full) packages or cans at paying-out stations; also combined with piecing of the roving for c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pinning Or Twisting Of Yarn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방적기에 있어서의 슬라이버(sliver) 이음방법, 슬라이버이음기 및 슬라이버이음시스템
제1도는 제1실시예의 조방기, 주행레일, 켄스열, 슬라이버이음기 등의 관계를 나타낸 개략 평면도.
제2도는 조방기, 주행레일, 캔스 등의 관계를 나타낸 개략측면도.
제3도는 슬라이버이음기, 주행레일, 켄스 등의 관계를 나타낸 개략 측면도.
제4도는 슬라이버이음기를 슬라이버파지아암쪽에서 본 개략사시도.
제5도는 켄스반송장치의 부분개략도.
제6도는 슬라이버피싱유니트의 개략평면도.
제7도는 슬라이버피싱유니트의 개략정면도.
제8도는 슬라이버파지아암의 일부 파단배면도.
제9도는 슬라이버절단장치의 일부 파단측면도.
제10도는 지지아암의 일부 파단정면도.
제11도는 지지아암의 일부 파단측면도.
제12도는 파지수단의 측면도.
제13도는 파지수단의 정면도.
제14도는 슬라이버절단장치의 작용을 나타낸 개략측면도.
제15도는 제14도에 대응하는 파지수단의 개략측면도.
제16도는 제14도에 대응하는 제1파지레버와 포착편의 관계를 나타낸 정면도.
제17도는 슬라이버절단장치의 작용을 나타낸 개략측면도.
제18도는 제17도에 대응하는 제1파지레버와 포착편의 관계를 나타낸 정면도.
제19도는 제20도에 대응하는 파지수단의 개략측면도.
제20도는 슬라이버절단장치의 작용을 나타내는 개략측면도.
제21도는 슬라이버절단장치의 작용을 나타내는 개략측면도.
제22도는 제21도에 대응하는 제1파지레버와 포착편의 관계를 나타낸 정면도.
제23도는 제24도에 대응하는 제2의 파지수단의 개략측면도.
제24도는 슬라이버절단장치의 작용을 나타내는 개략측면도.
제25도는 슬라이버이음장치의 작용을 나타낸 일부생략사시도.
제26도는 슬라이버이음장치의 작용을 나타낸 일부생략사시도.
제27도는 슬라이버이음장치의 작용을 나타낸 일부생략사시도.
제28도는 슬라이버이음장치의 작용을 나타낸 일부생략사시도.
제29도는 슬라이버이음장치의 작용을 나타낸 일부생략사시도.
제30도는 슬라이버이음장치의 작용을 나타낸 일부생략사시도.
제31도는 슬라이버이음장치의 작용을 나타낸 일부생략사시도.
제32도는 슬라이버이음장치의 작용을 나타낸 일부생략사시도.
제33도는 제2실시예의 조방기, 주행레일, 슬라이버이음기 등의 관계를 나타내는 개략평면도.
제34도는 제3실시예의 주행레일, 슬라이버이음기 등의 관계를 나타낸 개략측면도.
제35도는 변경예의 주행레일을 나타낸 개략평면도.
제36도는 종래장치의 켄스, 슬라이버이음기 등의 관계를 나타낸 개략측면도.
제37도는 다른 종래장치의 켄스, 슬라이버이음기 등의 관계를 나타낸 개략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방적기인 조방기 6 : 켄스
6F : 가득찬 슬라이버켄스 15 : 피드롤러
18 : 이동경로인 주행레일 20 : 자동기기인 슬라이버이음기
27 : 슬라이버절단장치 28 : 슬라이버이음장치
29 : 슬라이버피싱유니트 31 : 슬라이버파지아암
32 : 슬라이버도입부 45 : 슬라이버파지장치
98, 99 : 자동기기인 슬라이버절단기 S : 슬라이버
S1 : 구 슬라이버 S2 : 신 슬라이버
본 발명은 조방기(Roving frame), 연조기(Drawing frame) 등의 방적기에 있어서의 슬라이버이음방법, 슬라이버이음기 및 슬라이버이음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인력을 줄이고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방적공장에 있어서도 다양한 자동화가 실행되고 있으며, 조방기, 연조기 등의 방적기계에 있어서, 슬라이버이음작업의 자동화도 제안되고 있다(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평 2-91233호 공보). 이 경우 제3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방기(201)의 후방에 방출중인 슬리이버(S)를 수용하는 켄스(202)와 새로 공급될 슬라이버(S)가 수용된 예비의 가득찬 슬라이버켄스(203)이 근접한 상태로 조방기(201)의 길이방향(제36도의 지면과 수직인 방향)에 따라서 복수열이 배치되어 있다. 슬라이버이음기(204)는 슬라이버(S)를 조방기(201)로 안내하는 피드롤러(Feed roller)(205)의 위쪽에서 캔스열에 따라서 설치된 주행레일(206)위를 이동한다. 피드롤러(205)는 각 켄스열의 위쪽에서 각 켄스(202),(203)의 중앙과 마주한 상태로 조방기(201)의 길이방향에 따라서 설치되어 있다. 슬라이버이음기(204)에는 슬라이버파지장치(207)을 가진 아암(208)과 슬라이버 피싱유니트(209)가 장비되어 있다. 아암(208)은 신축가능하게 구성되며, 피드롤러(205)와 직교하는 방향에서 수평이동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슬라이버이음작업시에는 조방기(201)에 연결된 방출중인 슬라이버(S)가 슬라이버 피싱유니트(209)의 도입부에 도입됨과 동시에 슬라이버 피싱유니트(209)에서 유지된다. 방출중인 슬라이버(S)의 슬라이버 피싱유니트(209)의 도입부로의 도입은 슬라이버 피싱유니트(209)에 설치된 슬라이버 삽입아암(도시하지 않음)에 의하여 행해진다. 다음으로 슬라이버 파지장치(207)이 슬라이버(S)를 슬라이버 피싱유니트(209)의 상류쪽(켄스쪽)에서 파지함과 동시에 슬라이버 피싱유니트(209)로부터 분리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슬라이버(S)가 절단된다. 다음으로 슬라이버 파지장치(207)이 가득찬 슬라이버켄스(203)에 수용되어 있는 슬라이버(S)의 단부를 잡아 해당 슬라이버(S)를 슬라이버 피싱유니트(209)에 지지되어 있는 슬라이버말단에 겹치도록 슬라이버 피싱유니트(209)의 도입부에 도입한다. 그리고, 양 슬라이버(S)의 겹친부분이 파지된 상태로 슬라이버파지장치(207)가 슬라이버 피싱유니트(209)로부터 분리되는 방향으로 이동해서 새로운 슬라이버(이하, 신슬라이버라 한다S)가 절단된다.
다음으로 슬라이버 피싱유니트(209)가 작동되어 슬라이버이음이 행해진다. 즉, 이 슬라이버이음기(204)에서는 슬라이버(S)가 수평방향으로 뻗은 위치에서 슬라이버(S)의 슬라이버 피싱유니트(209)의 도입부로의 도입이 행해진다. 또한, 아암(208)이 피드롤러(205)의 위쪽을 이동해서 슬라이버(S)의 절단이나 슬라이버(S)의 슬라이버 피싱유니트(209)의 도입부로부터의 도입을 행한다. 또한, 일본국 특개평 2-91233호 공보에는 슬라이버(S)가 상하방향으로 뻗은 상태로 슬라이버 이음작업을 행하는 슬라이버 이음방법도 제안되고 있다. 이 방법에서는 제3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켄스(202)의 열 및 가득찬 슬라이버켄스(203)의 열에서 하나의 피드롤러(205)를 사용함과 동시에 양 켄스열의 경계와 대응하는 위치에 가이드(210)이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피드롤러(205)에 의해 아래쪽에 배치된 주행레일(206) 위를 이동하는 슬라이버이음기(211)에는 선단에 슬라이버파지장치(도시하지 않음)을 갖춘 아암(212)가 설치되어 있다. 아암(212)에는 슬라이버이음기(211)의 이동방향과 직교하는 평면내에서 회전하며, 슬라이버파지장치를 슬라이버이음기(211)의 상부전면에 장비된 슬라이버 피싱유니트(도시하지 않음)의 위쪽과 켄스(203)의 슬라이버(S)의 단부와 대응하는 위치로 이동하여 배치되도록 되어 있다. 방출중인 슬라이버(S)의 슬라이버 피싱유니트의 도입부로의 도입은 슬라이버 피싱유니트에 설치된 슬라이버삽입아암(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행해진다. 피드롤러(205)가 가 켄스열마다 설치된 전자의 슬라이버이음방법에서는 아암(208)이 피드롤러(205)의 위쪽을 피드롤러(205)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켄스직경의 거의 2배의 거리를 이동해서 작업을 행할 필요가 있다.
그 결과 슬라이버이음기(204)가 대형화된다. 또 방출중인 슬라이버(S)가 슬라이버 피싱유니트(209)의 도입부로 도입된 상태로 아암(208)에 의해 절단되며, 새로이 공급될 슬라이버(S)의 도입부로의 도입도 같은 아암(208)에서 행해지기 때문에 아암(208)의 이동거리가 커짐과 더불어 슬라이버이음작업에 시간이 걸린다. 한편, 후자의 방법에서 아암(212)의 이동거리는 전자의 방법에 비해서 작다. 그러나, 방출중인 슬라이버(S)를 슬라이버 피싱유니트의 도입부로 도입한 상태로 아암(212)에 의해 절단되고, 새롭게 공급될 슬라이버(S)의 도입도 같은 아암(212)로 행해지는 점은 같다. 따라서, 방출중인 슬라이버(S)의 절단작업과 새롭게 공급될 슬라이버(S)의 도입부로의 도입을 병행해서 행하는 것으로 슬라이버이음시간의 단축을 도모할 수는 없다. 또, 이 슬라이버이음방법에서는 방출중인 슬라이버(S)를 가이드(210)과 켄스(202) 사이로 뻗은 부분에서 슬라이버 피싱유니트(209)의 도입부로 도입할 필요가 있다. 슬라이버 피싱유니트(209)가 방출중인 슬라이버(S)의 근방에 있도록 슬라이버이음기(211)의 이동경로를 설정할 수가 없다. 따라서, 방출중인 슬라이버(S)를 슬라이버 피싱유니트(209)의 도입부로 도입하는 데에는 슬라이버(S)를 도입부근방으로 안내한 후, 슬라이버 삽입아암에서 지지할 필요가 있다. 한편, 방출중인 슬라이버(S)는 켄스(201)로부터 가이드(210)을 향해서 경사지게 인출되며, 게다가 켄스(202)로부터 인출되는 위치는 켄스(202)내의 둘레에 접근한 임의의 위치가 된다. 그 결과 가이드(210)으로 부터 켄스(202)에 이르는 슬라이버(S)의 위치는 가이드(210)의 근방에서 슬라이버(S)의 자체중량에 의해 바로 밑을 향해서 뻗어 있는 부분을 제외하고 불안정하게 된다.
또, 공급슬라이버를 방적기로 안내하는 피드롤러(205)의 높이는 슬라이버(S)의 품종교체의 경우 혹은 슬라이버(S)가 어떠한 이유로 방출중에 절단될 때에 사람의 손으로 슬라이버(S)를 피드롤러(205)에 걸 필요가 있는 것을 고려해서 아주 높게 할 수는 없다. 피드롤러(205)의 높이를 거의 180cm, 켄스(202)의 높이를 거의 100cm로 하면, 피드롤러(205)와 켄스상단과의 높이의 차는 80cm 정도가 된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켄스(202)는 슬라이버를 싣는 밑판이 스프링에 의해 위쪽으로 힘이 가해져 수용된 슬라이버량의 감소에 따라서 밑판이 상승된다. 그리고 켄스가 비게 될때도 켄스내의 슬라이버상단부는 켄스상단부와 거의 같은 높이로 유지된다. 그리고 슬라이버이음기(211)이 피드롤러(205)의 아래쪽을 이동하는 구성때문에 주행레일(206)에 설치된 가이드(210)과 켄스상단부와의 거리는 80cm보다 작게 된다. 그 결과 가이드(210)의 근방에서 슬라이버(S)의 자체중량에 의해 바로밑으로 향해 뻗어 있는 부분의 길이가 짧게 된다. 슬라이버(S)를 도입부근방으로 안내하는 경우에는 슬라이버(S)를 파지 혹은 걸어두는 위치보다 하류측(조방기쪽)의 슬라이버(S)를 끌어 당기지 않도록 할 필요가 있다. 그 때문에 슬라이버(S)를 가이드(210)으로부터 분리된 켄스(202)에 가까운 위치에서 파지 혹은 걸어두어 도입부 근방으로 안내하지 않으면 안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켄스(202)애 근접한 위치에서는 슬라이버(S)의 위치가 불안정하기 때문에 슬라이버(S)의 위치검출센서가 필요하게 될뿐만 아니라, 파지 혹은 계지하는 장치를 해당위치로 이동시키는 기구나 제어가 복잡하게 되어 시간도 걸린다라는 문제가 있다. 게다가, 파지 혹은 계지하는 장치의 이동범위를 넓힐 필요가 있기 때문에 장치전체가 커진 다는 문제가 있다. 방출중인 각 슬라이버켄스열에 이웃해서 예비의 가득찬 슬라이버켄스열을 배치하는 것은 슬라이버이음공정중에 빈 켄스(슬라이버공급이 종료된 켄스)의 이동을 하지 않더라도 완료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슬라이버이음작업은 조방기의 이둥이 정지된 상태에서 행해진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슬라이버이음작업의 주기를 길게해서 조방기의 이동효율을 높이기 때문에 슬라이버켄스가 커지게 된다. 그 결과, 조방기에 있어서는 방출중인 슬라이버켄스를 각 추와 대응한 상태로 일열로 배열할 수가 없으며, 조방기밑판의 뒤쪽에 복수여로 배치되며, 슬라이버켄스열이 3열 혹은 4열이 되는 경우도 있다. 그런데, 방출중인 슬라이버켄스를 복수열로 배열하는 경우에 종래의 슬라이버이음방법을 채용하면, 예비의 가득찬 슬라이버 켄스열도 방출중인 슬라이버켄스열과 대응한 복수열이 필요하게 된다. 그 결과 켄스배치용으로 넓은 면적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최후열에 배치되는 켄스로부터 방출되는 슬라이버는 긴 거리를 이동해서 조방기에 공급되기 때문에 도중에 부정확한 드래프트(Draft)를 일으킬 염려가 있다. 그 때문에 일반적으로는 방출중인 슬라이버켄스열을 조방기에 근접한 쪽으로 복수열로 배열하고, 예비의 가득찬 슬라이버켄스열을 그 후방으로 배치하고 있다. 이와 같은 슬라이버켄스열의 배치에서는 방출중인 슬라이버(S)의 절단을 행한 후, 슬라이버(S)가 절단된 켄스열과 가득찬 슬라이버켄스열과의 교환을 행하지 않으면 슬라이버이음작업을 할 수가 없다. 따라서, 방출중인 슬라이버(S)의 절단을 슬라이버 피싱유니트의 도입부에서 행하며, 절단단부를 해당 위치에서 지지할 필요가 있는 종래의 슬라이버이음방법을 적용할 수는 없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에 감안해서 구성된 것으로 그 제1의 목적은 1열분의 켄스열에 대한 방출되고 있는 이음이 교체되도록 슬라이버의 절단으로부터 슬라이버이음작업종료까지의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슬라이버이음방법, 슬라이버이음기, 슬라이버이음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 제2의 목적은 방출되고 있는 이음이 교체될 슬라이버의 절단후에 슬라이버공급후의 캔스열과 가득찬 슬라이버켄스열과의 교환을 하여, 그 후에 슬라이버이음작업을 행하는 슬라이버이음방법을 자동적으로 행할 수 있는 슬라이버이음방법, 슬라이버이음기, 슬라이버이음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양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청구범위 제1항에 있어서는 다수의 방출부와 방적기의 운전중 각 방출부로 공급하는 슬라이버를 수용한 켄스열 및 새로운 슬라이버를 수용한 새로운 캔스열을 가지는 방적기로서 상기 공급슬라이버를 수용한 캔스열에 따라서 상기 방적기의 일단측으로부터 다른 끝쪽으로 이동하는 슬라이버이음기를 장비한 자동기기에 의해서 슬라이버이음을 행하는 슬라이버 이음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적기의 방출운전을 정지하는 단계, 상기 방적기의 방출부에 공급되고 있던 각 슬라이버를 상기 켄스와의 사이에서 상기 방적기의 일단측으로부터 다른 끝쪽으로 향해서 차례로 절단하는 단계, 상기 슬라이버의 절단에 의해서 생기는 상기 방출부쪽에 연결되는 슬라이버의 단부를 일시적으로 상기 켄스쪽에 달아내리는 단계, 상기 켄스쪽에 달아 내려진 슬라이버의 단부와 상기 새로운 켄스에 수용되어 있는 새로운 슬라이버를 잇는 단계 등으로 구성되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의 양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청구항 2의 기재의 발명에서는 다수의 방출부와 방적기의 운전중 각 방출부로 공급하는 슬라이버를 수용한 켄스열 및 새로운 슬라이버를 수용한 새로운 켄스열을 가는 방적기로서 상기 공급슬라이버를 수용한 켄스열에 따라서 방적기의 제1단부측으로부터 제2단부측으로 전진 이동하고, 상기 제2 단부측으로부터 제1 단부측으로 후퇴 이동하는 슬라이버이음기를 장비한 자동기기에 의해서 슬라이버이음을 행하는 방적기의 슬라이버 이음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적기의 방출운전을 정지하는 단계, 상기 자동기기가 방적기의 제1단부측으로부터 제2단부측으로 이동할 때 상기 방적기의 방출부에 공급되고 있던 각 슬라이버를 상기 켄스와의 사이에서 차례로 절단하는 단계, 상기 슬라이버의 절단에 의해서 생기는 상기 방출부측에 연결하는 슬라이버의 단부를 일시적으로 상기 켄스측에 달아내리는 단계, 상기 자동기기가 방적기의 제2 단부측으로부터 제1 단부측으로 이동할 때 상기 켄스측에 달아내려진 슬라이버의 단부와 상기 새로운 켄스에 수용되어 있는 새로운 슬라이버를 잇는 단계 등으로 구성되도록 하였다.
더욱이 상기의 양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청구항 3의 발명에서는 다수의 방출부와 방적기의 운전중 각 방출부로 공급하는 슬라이버를 수용한 켄스열 및 새로운 슬라이버를 수용한 새로운 켄스열을 평행하게 배열한 방적기로서 상기 공급슬라이버를 수용한 켄스열에 따라서 상기 방적기의 일단측으로부터 다른 끝측으로 이동하는 자동기기가 그 이동방향 앞쪽에 슬라이버 절단장치를 장비하고, 이동방향 뒤쪽에 슬라이버이음장치를 장비하며, 이 자동기기에 의해서 슬라이버이음을 행하는 방적기의 슬라이버 이음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적기의 방출운전을 정지하는 단계, 상기 자동기기가 상기 방적기의 일단측으로부터 다른 끝쪽으로 이동할때 상기 자동기기의 앞측에 장비한 슬라이버 절단장치에 의해서 상기 방적기의 방출부에 공급되고 있던 각 슬라이버를 상기 켄스와의 사이에서 차례로 절단하는 단계, 상기 슬라이버의 절단에 의해서 생기는 상기 방출부쪽에 연결하는 슬라이버의 단부를 일시적으로 상기 켄스쪽에 달아내리는 단계, 상기 켄스측에 달아 내려진 슬라이버의 단부와 상기 새로운 켄스에 수용되어 있는 새로운 슬라이버를 상기 자동기기의 후측에 장비한 슬라이버 이음장치에 의해서 잇는 단계 등으로 구성되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의 양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청구항 4의 발명에서는 다수의 방출부와 방적기의 운전중 각 방출부로 공급하는 슬라이버를 수용한 켄스열 및 새로운 슬라이버룰 수용한 새로운 켄스열을 가지는 방적기로서 상기 공급슬라이버를 수용한 켄스열에 따라서 상기 방적기의 일단측으로부터 다른 끝쪽으로 이동하는 슬라이버이음기를 장비한 자동기기에 의해서 슬라이버이음을 행하는 방적기의 슬라이버 이음기에 있어서, 방적기의 정지 후, 상기 방적기의 방출부에 공급되고 있던 슬라이버를 절단하고 상기 방출부측에 연결되는 슬라이버의 단부를 상기 켄스측에 달아내리는 슬라이버 절단장치와, 상기 켄스측에 달아내려지는 슬라이버와 상기 새로운 켄스에 수용되어 있는 새로운 슬라이버를 잇는 슬라이버 이음장치를 장비하고, 상기 슬라이버 절단장치 및 슬라이버 이음장치를 상기 켄스열에 따라서 슬라이버이음기가 이동할 때의 이동방향의 전후에 위치하도록 한다.
상기의 양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청구항 5기재의 발명은 방적기의 방출부에 슬라이버를 공급하는 가득찬 켄스의 열 및 슬라이버 공급후의 빈 켄스의 열에 따라서 설치된 이동경로와, 상기 방출부에 공급되고 있던 슬라이버를 절단하고 동 슬라이버의 수용켄스쪽에 상기 방적기의 방출부측에 연결하는 슬라이버의 단부를 일시적으로 달아내려지게 하는 슬라이버 절단장치를 장비해서 상기 이동경로상을 독립적으로 이동하는 슬라이버 절단기와, 상기 슬라이버 절단장치에 의해서 절단되며 상기 켄스측에 달아내려져 있는 슬라이버의 단부와 새로운 켄스에 수용된 새로운 슬라이버를 잇는 슬라이버 이음장치를 장비해서 상기 이동경로상을 상기 슬라이버 절단기로부터 분리되어 독립해서 이동하는 슬라이버이음기를 구비하도룩 한다.
청구범위 제1항에 기재된 발명의 방법에서는 슬라이버를 공급하는 켄스열에 따라서 이동하는 자동기기에 의해 슬라이버이음작업이 행해진다. 우선, 방출되고 있는 이음을 대체해야 할 슬라이버(이하, 구(舊) 슬라이버라고 칭한다.)가 슬라이버단부가 자유롭게 늘어지도록 자동기기에 의해 절단된다. 다음으로 절단후의 구슬라이버와 새롭게 공급될 슬라이버가 수용된 슬라이버켄스의 슬라이버(이하, 신(新) 슬라이버라 칭한다)와 이어진다. 구 슬라이버가 켄스내의 슬라이버에 감겨져 있는 상태에서는 피드롤러로부터 켄스사이의 구 슬라이버의 위치가 부정확하지만 슬라이버단부가 자유롭게 늘어진 상태에서는 구 슬라이버의 위치는 일정하게 된다. 따라서 구 슬라이버의 슬라이버피싱유니트로의 도입이 용이하게 된다. 청구범위 제2항에 기재된 발명의 방법에서는 슬라이버를 공급하는 켄스열에 따라서 이동하는 자동기기에 의해 슬라이버 이음작업이 행해진다. 자동기기가 켄스실의 제1단부측으로부터 제2단부측을 향해서 이동하는 왕동시에 구 슬라이버가 절단된다. 그리고 자동기기가 켄스열의 제2단부측으로부터 제1단부측을 향해서 이동하는 복귀동작시에 절단후의 구 슬라이버와 신 슬라이버가 이어진다.
또, 청구범위 제3항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슬라이버를 공급하는 켄스열에 따라서 이동하는 자동기기에 의해 슬라이버이음작업이 행해진다. 구 슬라이버의 켄스열과 신 슬라이버의 수용된 켄스열이 평행하게 배열되어 있는 상태에서 쟉업이 행해진다. 자동기기는 그 이동방향앞쪽에 장비된 슬라이버절단장치에서 구 슬라이버를 절단하고, 절단후의 구 슬라이버와 신 슬라이버를 이동방향 뒤쪽에 설치된 슬라이버이음장치에서 잇는다. 청구범위 제4항에 기재된 발명의 슬라이버이음기는 구 슬라이버를 절단하는 슬라이버절단장치와 절단후의 구 슬라이버와 신 슬라이버를 잇는 슬라이버이음장치가 독립해서 작동된다. 구 슬라이버의 절단후에는 구 슬라이버의 켄스와 신 슬라이버의 켄스와의 교환을 행하는 슬라이버이음방법을 실시할 경우에는 슬라이버이음기가 켄스열에 따라서 왕동하는 경우에 슬라이버절단장치로 구 슬라이버를 절단하고, 복귀동작시에 슬라이버이음장치에서 구 슬라이버와 신 슬라이버를 잇는다. 구 슬라이버의 켄스열과 신 슬라이버의 켄스열이 근접해서 평행하게 배열된 상태로 슬라이버이음을 행하는 경우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왕동시에 구 슬라이버를 절단하고 복귀운동시에 슬라이버이음을 행해도 좋으며 각 켄스마다 슬라이버절단과 이음을 연속해서 행해도 좋다. 또, 청구범위 제5항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방적기에 슬라이버를 공급하는 켄스열에 따라서 설치된 이동경로상을 슬라이버절단기 및 슬라이버이음기가 이동한다. 그리고 슬라이버절단기는 장비한 슬라이버절단장치로 구 슬라이버의 절단을 행한다. 슬라이버이음기는 장비한 슬라이버이음장치에서 절단후의 구 슬라이버와 신 슬라이버 등의 슬라이버이음을 행한다.
[실시예 I]
이하, 본 발명을 동조공정과 조방공정 등을 켄스반송로에서 연결해서 양 공정사이에 켄스반송을 자동적으로 행하는 경우의 조방기의 슬라이버이음 방법으로 구체화한 제1 실시예를 제1도-제32도에 따라서 설명한다.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방기(1)의 뒤쪽(제1도의 아래쪽)에는 조방기(1)와 거의 같은 길이의 켄스반송장치(2a)-(2e)가 복수열(본 실시예에서는 5열), 조방기(1)의 길이방향과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다. 각 켄스반송장치(2a)-(2e)의 제1단부쪽(제1도의 좌측) 및 제2단부쪽(제1도의 우측)에는 각 켄스반송장치(2a)-(2e)를 연결하는 켄스반송장치(3)(4)가 가 켄스반송장치(2a)-(2e)와 직교하는 상태로 배설되어 있다. 연조기(5)는 켄스반송장치(4)와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며, 연조기(5)에서 제조된 슬라이버를 수용한 슬라이버켄스(6F)가 도시하지 않은 압출장치의 작용에 의해 켄스반송장치(4)상으로 압출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켄스반송장치(2e),(3),(4)는 일본국 특개평 3-293267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장치와 같은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켄스반송장치(2e)를 예로 설명하면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켄스반송장치(2e)의 중앙길이방향에 따라서 체인(7)이 설치되어 있다. 체인(7)의 양쪽에는 다수의 롤러(8)이 체인(7)의 이동방향과 직교하는 상태로 소극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체인(7)은 켄스(6)의 밑부에 설치된 결합부와 결합하는 괘지부재(7a)가 소정의 피지로 부착되며 도시하지 않은 모터의 구동에 의해 이동되도록 되어 있다. 켄스반송장치(2e)는 가득찬 슬라이버켄스(6F)를 제2단부측으로부터 제1단부측으로 향해서 반송하도록 되어 있다. 켄스반송장치(3)은 가득찬 슬라이버켄스(6F)를 켄스반송장치(2e)쪽으로부터 켄스반송장치(2a) 쪽을 향해서, 켄스반송장치(4)는 빈 켄스(6B) 혹은 가드찬 슬라이버켄스(6F)를 켄스반송장치(2a) 쪽으로부터 켄스반송장치(2e)쪽을 행해서 각각 반송한다. 또, 켄스반송장치(2a)-(2d)는 그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상태로 다수의 롤러가 소극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켄스가 롤러상을 이동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조방기(1)에 가까운 쪽에 배치된 4대의 켄스반송장치(2a)-(2d)위에는 조방기(1)에 슬라이버를 공급하는 켄스(6)이 얹혀져, 4열의 슬라이버공급켄스열을 구성한다. 그 후방에 배치된 켄스반송장치(2e)는 가득찬 슬라이버켄스(6F)의 스톡부를 구성하고 있다. 켄스반송장치(2a)-(2d)는 슬라이버공급켄스열의 제 1열과 제2열, 제3열째와 제4열이 각각 접근하여 조방기(1)과 제1열과의 사이, 제2열과 제3열과의 사이에 작업자의 작업통로(9)를 확보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또, 켄스반송장치(2d)의 켄스반송장치(2e)도 슬라이버공급켄스열의 제4열과 가득찬 슬라이버켄스(6F)의 스톡부와의 사이에 작업통로(9)를 확보하기 위한 소정거리로 배치되어 있다. 켄스반송장치(3)의 옆쪽에는 켄스반송장치(2a)-(2d)의 제1단부와 대응하는 위치에 켄스반송장치(3)상에 얹혀져 있는 가득찬 슬라이버켄스(6F)를 켄스반송장치(2a)-(2d)상으로 밀어내는 가압장치(10a)-(10d)가 설치되어 있다. 켄스반송장치(4)의 옆쪽에는 켄스반송장치(2e)의 제2단부와 대응하는 위치에 켄스반송장치(4)상의 가득찬 슬라이버켄스(6F)를 켄스반송장치(4)상으로 밀어내는 가압장치(10e)가 설치되어 있다. 켄스반송장치(2e)의 뒤쪽에는 빈 켄스스록(11)을 구성하는 켄스반송장치(12)가 켄스반송장치(2e)에 따라서 설치되어 있다. 켄스반송장치(12)는 제1단부가 켄스반송장치(2e)의 제1단부와 대응하고, 제2단부가 연조기(5)의 측방과 대응하는 위치에 이르도록 설치되어 있다. 켄스반송장치(12)의 제2단부와 연조기(5)는 컨베이어(13)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켄스반송장치(12)는 제1단부쪽으로부터 제2단부측, 제2단부측으로부터 제1단부측의 어느 방향으로도 켄스를 반송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컨베이어(13)은 켄스반송장치(12)의 제2단부측으로부터 연조기(5)를 향해서 빈 켄스(6B)를 반송하도록 되어 있다.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방기(1)의 뒤쪽에는 크릴(14)가 조방기(1)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뻗도록 가설되어 있다. 제2도,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드롤러(15)는 조방기(1)의 길이 방향에 따라서 뻗은 상태로 크릴(14)에 지지되어 있다. 피드롤러(15)의 아래쪽 근바엥는 지지로드(16)이 피드롤러(15)와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다. 켄스(6)으로부터의 슬라이버(S)의 시작위치에서는 슬라이버(S)의 위치를 규제하는 세퍼세이터(Separator)(17)이 지지로드(16)에 지지되어 있다. 크릴(15)에는 이동경로인 주행용레일(18)이 슬라이버공급켄스열의 위쪽에서 조방기(1)의 길이방향에 따라서 뻗도록 브라켓(19)를 통해서 지지되어 있다. 주행용레일(18)에는 슬라이버이음기(20)이 주행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슬라이버이음기(20)은 제3도 및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박스형의 하우징(21)이 구동롤러(22a) 및 피동롤러(22b)를 장비한 브라켓(23)을 통해서 주행레일(18)에 대해서 매달린 상태로 지지되어 있다. 구동롤러(22a)는 도시하지 않은 모터에 의해 구동되며, 모터의 정역회전에 의해 슬라이버이음기(20)이 주행용레일(18)에 따라서 이동한다. 또, 슬라이버이음기(20)은 주행용레일(18)에 설치된 위치결정부재(도시하지 않음)과 결합가능한 위치결정수단(도시생략)을 갖추고, 소정의 슬라이버이음장치에서 정지가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슬라이버이음기(20)의 정지방법으로서는 슬라이버이음기(20)에 한쌍의 광전식 또는 전기식센서를 설치하여, 한쪽의 센서가 후술하는 절단된 구 슬라이버를 검출하면 슬라이버이음기(20)이 감속되며, 다른쪽의 센서가 구 슬라이버를 검출하면 슬라이버이음기(20)이 정지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또한, 상기한 정지동작들은 하나의 센서로 행해져도 좋다.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방기(1) 및 켄스반송장치(3)의 옆쪽의 바닥면에는 레일(24)가 조방기(1)과 직교하는 방향에 설치되어 있다. 레일(24)위에는 케리어(25)가 왕복이동이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캐리어(25)은 슬라이버이음기(20)을 탑재가능하게 구성되며, 슬라이버이음기(20)을 슬라이버이음작업을 필요로 하는 슬라이버공급켄스열과 대응하는 주행레일(18)과 대응하는 위치로 이동시킨다. 캐리어(25)는 주행레일(25)는 주행레일(18)과 접속가능한 브릿지레일(26)을 갖추고 있다. 슬라이버이음기(20)은 브릿지레일(26)을 통해서 주행레일(18)상과 캐리어(25)상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켄스반송장치(2a)-(2e), (3),(4),(12) 및 컨베이어(13)은 켄스반송제어장치(C)로부터의 지령에 의해 구동제어되며, 조방기(1), 캐리어(25) 및 켄스반송제어장치(C)는 주컴퓨터(HC)의 지령을 바탕으로 구동되도록 되어 있다. 슬라이버이음기(20)은 주행레일(18)에 따라서 이동하는 경우의 왕동[캐리어(25)로부터 분리되는 방향으로의 이동]때의 진행방향 앞쪽에 슬라이버절단장치(27)(제9도 등에 도시)가 설치되며, 뒤쪽에 슬라이버이음장치(28)이 설치되어 있다. 슬라이버이음장치(28)은 슬라이버피싱유니트(29), 슬라이버누름쇠(30), 슬라이버파지아암(31)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21)의 전면에는 상하방향으로 뻗은 슬라이버도입부(32)가 설치되어 있다. 하우징(21)내에는 슬라이버도입부(32)와 대응하는 위치에 슬라이버 피싱유니트(29)가 설치되어 있다. 슬라이버피싱유니트(29)는 제6도, 제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정간격으로 평행하게 배치된 다수의 세퍼레이터(33)과 다수의 니들(34a)가 수직으로 설치된 니들플레이트(34) 등을 갖추고 있다. 니들플레이트(34)는 슬라이버이음기(20)의 이동방향과 직교하는 상태로 수평으로 뻗도록 설치된 한쌍의 가이드로드(35)에 지지블록(36)을 통해서 지지되어었다. 지지블록(36)의 옆쪽에는 캠레버(37)이 요동가능하게 지지되며, 지지블록(36)은 캠레버(37)과 그 제1단부에 형성된 긴구멍(도시하지 않음)에 관통된 핀(38)을 통해서 연결되어 있다. 캠레버(37)은 그 제2단부에 장비된 캠팔로우어(Cam follower)(37a)가 캠(39)에 맞접한 상태로 유지되고 있다. 캠(39)는 원주 전체에 거의 1/3의 범위에 걸쳐 연속하는 대구경부(39a)와 거의 1/3의 범위에 걸쳐 연속하는 소구경부(39b)와 대구경부(39a)와 소구경부(39b)의 사이에 설치된 복수개의(본 실시예에서는 2개)의 돌출부(39C) 등을 가진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캠(39)가 도시하지 않은 모터의 작용에 의해 회전구동되면 캠레버(37)이 요동된다. 그리고, 캠팔로우어(37a)가 소구경부(39b)에 결합된 상태에서 니들플레이트(34)는 니들(34a)가 세퍼레이트 플레이트(33)으로부터 퇴피된 대기위치에 배치된다. 또, 캠팔로우어(37a)가 대구경부(39a) 혹은 돌출부(39c)에 결합된 상태에서 니들플레이트(34)는 니들(34a)가 세퍼레이트 플레이트(33) 사이에 진입하는 작용위치에 배치되도록 되어 있다.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21)에는 슬라이버도입부(32)의 아래쪽에 신 슬라이버용의 슬라이버삽입레버(40)이 위쪽에는 구 슬라이버용의 슬라이버삽입레버(41)이 각각 회전가능하게 장비되어 있다. 또, 슬라이버도입부(32)와 대응하는 위치에는 다수의 슬라이버누름쇠(30)이 함께 회전가능하게 장비되어 있다. 슬라이버삽입레버(40),(41)라 슬라이버누름쇠(30)은 도시하지 않은 구동장치의 작용에 의해 대기위치와 작용위치에 회전 배치되도록 되어 있다.
하우징(21)의 내부에는 집선박스(42)가 장비되며, 집선박스(42)내는 송풍기(도시하지 않음)의 작용에 의해 압력이 떨어지게 되어 있다. 슬라이버파지아 암(31)은 슬라이버이음기(20)의 왕동시의 진행방향(제4도의 화살표방향) 뒤쪽이 되는 하우징(21)의 벽신에 설치되어 있다. 슬라이버파지아암(31)을 구성하는 2축의 구동아암(43)은 제1아암(43a) 및 제2아암(43b)으로 구성되며, 제1아암(43a)는 도시하지 않은 구동장치에 의해 그 기단을 중심으로 요동시키도록 되어 있다. 제2아암(43b)는 제1아암(43a)의 선단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며, 제1아암(43a)의 기단에 설치된 모터(44)에 의해 도시하지 않은 구동기구를 통해서 요동된다.
제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아암(43b)은 중공으로 형성되며, 그 선단에 슬라이버파지장치(45)가 부착되어 있다. 슬라이버파지장치(45)를 구성하는 고정의 지지통(47)이 제2아암(43b)와 직교한 상태로 기단에서 제2아암(43b)에 지지되어 있다. 지지통(47)의 외측에는 흡인파이프(40)이 회전가능하게 끼워져 있다. 흡인파이프(46)은 그 선단이 슬라이버도입부(32)와 대응가능한 길이로 형성되며, 선단이 폐쇄되어 있음과 동시에 선단쪽에 흡인구(46a)가 형성되어 있다. 지지통(47)에는 흡인구(46a)와 대응하는 구멍(47a)가 형성되어 있다. 흡인파이프(46)의 기단근처 바깥둘레에는 흡인파이프(46)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상태로 연결부재(46b)가 돌출설치되어 있다. 지지통(47)의 기단에는 로타리 액튜에이터(로타리 솔레노이드(48)이 고정되며, 그 구동축에 고정된 레버(49)와 연결부재(46b)가 연결로드(50)을 통해서 함께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흡인파이프(46)은 로타리 액튜에이터(48)의 구동에 의해 흡인구(46a)가 구멍(47a)와 대향하는 개방위치와 흡인구(46a)가 구멍(47a)에 대향하지 않는 폐쇄위치 등으로 회전가능하게 되어 있다.
제1아암(43a)의 기단근방에는 파이프(51)이 흡인파이프(46)과 평행하게 고정되어 있다. 파이프(51)의 제1단부는 호스(52)를 통해서 집선박스(42)에 접속되어 있고, 파이프(51)의 제2단부는 주름호스(53)을 통해서 제2아암(43b)에 접속되어 있다. 즉 흡인파이프(46)은 제2아암(43b), 주름호스(53), 파이프(51) 및 호스(52)를 통해서 집선박스(42)와 연결된 상태로 되어 있다.
제9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버절단장치(27)은 공급중인 슬라이버를 포착 및 파지가능한 파지부를 갖춘 슬라이버포착수단(54)와 상기한 파지부에 포착된 상태의 슬라이버(S)를 파지하는 파지수단(55)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슬라이버(S)의 포착은 파지와는 달라서 슬라이버(S)와 결합상태이지만 슬라이버(s)는 길이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는 상태를 말한다.
제9도 및 제10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21)의 상부에는 지지브라켓(56)이 고정되며, 지지브라켓(56)에는 회전축(57)이 자동기기(20)의 이동방향에 따라서 연장되며 그 한쪽끝이 지지브라켓(56)의 옆쪽으로 돌출된 상태로 지지되어 있다. 회전축(57)에는 지지브라켓(56)과 대응하는 위치에 지지아암(58)의 기단과 함께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회전축(57)의 중간부에는 치형풀리(59)(제10도에 도시)가 함께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회전축(57)의 뒤쪽(제9도의 오른쪽)에서는 정역회전가능한 모터(60)이 브라켓(61)을 통해서 하우징(21)에 고정되어 있다. 모터(60)의 구동축(6oa)에는 치형풀리(62)가 함께 회전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양 치형풀리(59)(62)사이에는 치형벨트(63)가 걸려있다. 그리고 모터(60)의 정역회전에 의해 지지아암(58)이 제9도 등에 도시한 경사진 위쪽 방향을 향해서 연장된 포착개시위치와 포착개시위치로부터 제9도의 반시계방향으로 거의 140°정도 회전된 위치(제21도의 위치)의 사이에서 요동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모터(60)의 구동축(60a)에는 피감지부재(60b)가 함께 회전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지지아암(58)가 포착개시위치 및 제21도의 위치에 배치될때에 피검지부재(60b)를 감지하는 센서(도시하지 않음)가 브라켓(61)에 부착되어 있다. 지지아암(58)의 선단에는 포착부를 구성하는 포착편(64)가 고정되어 있다. 제10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포착편(64)는 슬라이버(S)의 직경보 다 큰 직경의 결합부(64a)와 결합부(64a)에 연속되는 거의 V자형의 가이드부(64b)를 가지고 가이드부(64b)가 슬라이버절단작업시의 자동기기(20)의 이동 방향과 대향하도록 고정되어 있다. 지지아암(58)의 상면선단부근에는 지지축(65),(66),(67)이 각각 세워져 있다. 지지축(65)에는 피동기어(68)이, 지지축(66)에는 중간기어(69)가, 지지축(67)에는 구동기어(70)이 각각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피동기어(68) 및 구동기어(70)은 각각 중간기어(69)와 맞물려 있다. 피동기어(68)에는 제1파지레버(71)의 기단이 함께 회전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제1파지레버(71)은 결합부(64a) 및 가이드부(64b)와 교차하는 상태로 포착편(64)의 상면에 따라서 회전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지지아암(58)이 수평위치에 배치될 때에 위쪽이 되는 면을 지지아암(58) 및 포착편(64)의 상면으로정의한다. 또한, 포착편(64)의 일부는 광전센서(PH)가 가이드부(64b)내에 진입된 슬라이버(S)를 감지가능한 위치에 설치되며, 슬라이버이음기(20)의 절단작업이 동시에 슬라이버(S)를 검출해서 같은 슬라이버(S)의 절단작업의 개시지령을 내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9도, 제10도, 제1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아암(58)의 옆쪽에는 지주(72)가 돌출설치되며, 지주(72)에는 거의 V자형의 제1캠레버(73)이 그 중앙부에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제1캠레버(73)의 제1단부에는 캠팔로우어(74)가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며, 제2단부에는 핀(75)가 돌출되게 설치되어 있다. 구동기어(70)의 바깥 둘레면 부근 상면에서는 핀(76)이 돌출설치되어 있다. 연결로드(77)은 제1단부가 핀(75)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며, 제2단부가 핀(76)에 대해서 구동기어(70)과 직교하는 평면내에서 요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제10도, 제1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브라켓(56)에는 한쌍의 지주(78)이 돌출되게 설치되며, 지주(78)의 선단에는 수나사가 형성되어 있다. 제1캠레버(73)을 구동하기 위한 제1캠(79)는 지주(78)의 선단에 너트(80)에 의해 체결되어 있다. 제1캠레버(73)과 지지아암(58)의 사이에는 인장스프링(81)이 설치되어 있다. 인장스프링(81)은 제1캠레버(73)을 캠팔로우어(74)가 제1캠(79)에 압접하는 방향으로 회전하여 힘을 가하는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제1캠(79)의 캠면은 중심이 동일한 반경으로 다른 3개의 원호면(79a),(79b),(79c)를 매끄럽게 접속시킨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각 원호면(79a),(79b),(79c)의 반경은 원호면(79a) > 원호면(79b) > 원호신(79c)로 되어 있다. 제1캠(79)는 지지아암(58)이 포착개시위치(제9도의 상태)에 배치될 때에 원호면(79a)가, 수평위치에 배치될 때에 원호면(79b)가, 바로 아래쪽으로 향하는 위치에 배치될 때에 원호면(79c)가 각각 캠팔로우어(74)와 걸어맞춤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캠팔로우어(74)가 원호면(79a)(79b)(79c)와 각각 걸어맞춤한 상태에서 제1파지 버(71)이 포착편(64)와 교차하지 않는 퇴피위치, 포착편(64)와 직교하는 포착위치, 결합부(64a)와 직교하는 파지위치에 각각 배치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제1캠(58)의 회전에 따라서 캠팔로우어(74)가 원호면(79a)(79b)(79c)와 차례로 걸어맞춤하도록 되어 있다.
제9도, 제1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21)의 하부에는 포착편(64)의 이동궤적과 기의 대응하는 위치에 가이드플켸이트(82)가 고정되며, 가이드플레이트(82)의 위쪽에는 지지브라켓(83)이 고정되어 있다. 지지브라켓(83)에는 회전축(84)가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며, 회전축(84)의 제1단부에는 파지수단(55)를 구성하는 제2파지레버(85)가 함께 회전이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회전축(84)의 제2단부에는 피동기어(86)이 함께 회전이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하우징(21)에는 지지브라켓(83)의 경사진 위쪽에 브라켓(87)이, 지지브라켓(83)의 위쪽에 브라캣(88)이 각각 고정되어 있다. 브라켓(87)에는 피동기어(80)에 의해 대구경의 구동기어(89)가 피동기어(86)과 맞물리는 상태로 지지축(90)을 통해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피둥기어(89)의 외주부근에는 지지핀(91)이 돌출되게 설치되어 있다. 한편 브라켓(88)에는 지주(92)가 회전축(57)과 평행하게 뻗은 상태로 돌출되게 설치되며, 지주(92)에는 파지수단(55)를 구성하는 제2캠레버(93)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제2캠레버(93)과 구동기어(89)는 제1단부쪽이 직각으로 굴곡된 연결로드(94)를 통해서 연결되어 있다. 연결로드(94)는 제1단부가 제2캠레버(93)의 제1단부에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며, 제2단부가 지지핀(91)에 대해서 구동기어(89)와 직교하는 평면내에서 요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제2캠레버(93)의 제2단부에는 캠팔로우어(95)가 회전가능하게 장비되어 있다.
제10도, 제1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아암(58)이 고정된 회전축(5)의 단부에는 제2캠(96)이 함께 회전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제 2캠레버(93)과 하우징(21)사이에는 인장스프링(97)이 설치되어 있다. 제2캠레버(93)은 캠팔로우어(95)가 제2캠(96)에 압접하는 방향으로 인장스프링(97)에 의해 회전하여 가압하도록 되어 있다. 제1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캠(96)의 캠면은 중심이 동일한 반경의 다른 2개의 원호면(96a),(96b)를 매끄럽게 접속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양 원호면(96a),(96b)의 반경은 원호면(96a) < 원호면(96b)로 되어 있다. 제2캠(96)은 지지아암(58)이 포착개시위치와, 제2파지레버(85)와 거의 평행하게 연장된 위치의 사이에 있을때는 원호면(96a)가 캠팔로우어(95)와 걸어맞춤하도록 형성된다. 제2캠(96)은 지지아암(58)이 제2파지세버(85)와 거의 평행하개 연장된 위치보다 제19도에서 반시계방향으로 더욱 회전될때에 월호면(96b)가 캠팔로우어(95)와 걸어맞춤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2파지레버(85)는 캠팔로우어(95)가 원호면(96a)와 걸어맞춤하는 상태에 있어서 위쪽을 향해서 연장된 대기위치에 배치되며, 캠팔로우어(95)가 원호면(96b)와 걸어맞춤하는 상태에 있어서 가이드플레이트(82)와 걸어맞춤하는 파지위치에 배치된다. 그리고 지지아암(58)과 함께 회전하는 제2캠(96)의 회전에 따라서 캠팔로우어(95)가 원호면(96a),(96b)와 차례로 걸어맞춤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21)에는 캐리어(25)와의 사이에서 신호의 접수를 행함과 동시에 슬라이버절단장치(27), 슬라이버이음장치(28) 및 주행레일 등의 구동제어를 행하는 제어박스(도시하지 않음)과 설치되어 있다.
다음으로,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장치의 작용을 설명한다. 슬라이버이음기(20)는 캐리어(25)에 탑재된 상태로 대기한다. 슬라이버공급중의 켄스(6)내의 슬라이버(S)가 거의 비게되면, 주컴퓨터(HC)로부터 캐리어(25)에 해당 켄스열과 대응하는 위치로의 이동지령이 출력된다. 캐리어(25)는 그 지령에 따라서 이동하며, 슬라이버교환켄스열과 대응하는 위치에서 정지함과 동시에 브릿지레일(26)을 주행레일(18)과 접속한다.
슬라이버이음기(20)은 캐리어(25)과의 사이에서 신호의 접수를 행하고, 조방기(1)의 정지가 확인된 시점에서 슬라이버 절단작업을 개시한다. 즉, 브릿지레일(26)과 주행레일(18)과의 접속이 완료된 후, 슬라이버이음기(20)이 캐리어(25)로부터 발진하여 주행레일(18)에 따라서 왕복이동한다. 그리고, 슬라이버이음기(20)은 주행레일(18)의 제2단부쪽[캐리어(25)와 대향하는 쪽과 반대쪽]을 향해서 이동하는 왕동시에는 슬라이버이음기(20)이 주행하면선 슬라이버 절단작업만을 차례로 행하고, 복동시에는 슬라이버이음기(20)이 이음위치에 정지해서 슬라이버 이음작업만을 행한다. 슬라이버이음기(20)은 캐리어(25)와의 사이에서 신호의 접수를 행하며, 조방기(1)의 정지가 확인된 시점에서 슬라이버 절단작업을 개시한다. 또한 조방기(1)이 정지하지 않는 경우에는 슬라이버이음기(20)은 조방기(1)이 정지할 때까지 주행레일(18)상의 소정위치에서 대기한다. 다음으로 슬라이버 절단작업에 대해서 설명한다.
슬라이버이음기(20)이 슬라이버 절단작업을 행하지 않을 때에는 지지아암(58)은 포착편(64) 등이 슬라이버(S)와 걸어맞춤가능한 위치(제21도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슬라이버 절단작업시에는 슬라이버이음기(20)은 제90도, 제1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아암(58)이 포착개시위치에 배치된 상태로 절단해야할 슬라이버(S)와 대응하는 위치를 향해서 이동한다. 이 상태에서는 캠팔로우어(74)는 제1캠(79)의 원호면(79a)의 종단부근에서 원호면(79a)와 걸어맞춤하고, 제1파지레버(71)은 제16도에 도시한 퇴피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포착편(64)는 가이드부(64b)가 피드롤러(4)로부터 거의 바로 밑을 향해서 연장된 슬라이버(S)의 부분과 대응하는 상태로 유지된다. 또, 제1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캠팔로우어(95)는 제2캠(96)의 원호면(96a)와 걸어맞춤하고, 제2파지레버(85)는 대기위치에 배치된다. 이 상태에서 슬라이버이음기(20)이 이동해서 절단되어야할 슬라이버(S)와 대응하는 위치에 도달하면 슬라이버(S)는 제16도에 도시한 바와 갈이 결합부(64a)와 걸어맞춤하는 상태가 된다. 또한 슬라이버(S)는 포착편(64)의 가이드부(64b)내에 존재하는 경우도 있다. 슬라이버이음작업을 위해서 조방기(1)의 운전이 정지될 때 켄스(6)으로부터 피드롤러(15)에 연결된 슬라이버(S)의 위치는 불안정하다. 그러나 세퍼레이터(17)의 아래근방에서는 슬라이버(S)는 그 자체중량에 의해 거의 곧바로 뻗은 상태로 있기 때문에 슬라이버(S)는 포착편(64)에 의해 확실하게 포착된다.
다음으로 모터(60)이 정운전구동되며, 치형풀리(59), 치형벨트(63) 및 치형풀리(62)를 통해서 회전축(57)이 제14도의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며, 지지아암(58) 및 제2아암(96)도 같은 방향으로 회전된다. 지지아암(58)의 회전에 의해 캠팔로우어(74)는 곧바로 원호면(79a)와 원호면(79b)와의 접속면과 걸어맞춤한 상태가 된다. 제1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아암(58)이 거의 수평이 되는 위치까지 회전축(57)이 회전된 때 캠팔로우어(74)가 원호면(79b)와 걸어맞춤하는 상태가 된다. 캠팔로우어(74)가 원호면(79a)와 걸어맞춈하는 상태로부터 원호면(79b)와 걸어맞춤하는 상태가 되는 위치로 제1캠레버(73)이 회전하는 사어에 연결로드(77)을 통해서 구동기어(70)이 회전된다. 그리고 중간기어(69)를 통해서 피동기어(68)이 회전되며, 제1파지레버(71)이 피동기어(68)과 동시에 퇴피위치로부터 제18도에 도시한 포착위치로 회전된다. 한편, 이 사이 제2캠(96)은 원호면(96a)가 캠팔로우어(95)와 걸어맞춤하는 상태로 회전되며, 제2캠레버(93)은 동일한 위치에 유지되고 제2파지레버(85)는 대기위치에서 유지된다.
이 상태로부터 또한 회전축(57)이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고 포착편(64)가 가이드플레이트(82)의 제1단부를 관통하는 위치까지 지지아암(58)이 회전된 시점에서 제2캠(96)은 그 원호면(96a)와 캠팔로우어(95)와의 걸어맞춤이 해제되는 상태가 된다. 그리고 또한 회전축(57)이 회전하면 제19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캠팔로우어(95)가 원호면(96b)와 걸어맞춤하는 상태가 되며, 그후는 캠팔로우어(95)가 원호면(96b)와 걸어맞춤하는 상태로 유지된다. 지지아암(58)의 회전에 따라서 포착편(64)가 슬라이버(S)와 걸어맞춤된 상태로 이동하고, 슬라이버(S)는 피드롤러(15)와 포착편(64)를 연결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캠팔로우어(95)가 원호면(96a)와 걸어맞춤하는 상태로부터 원호면(96b)와 걸어맞춤하는 상태가 되는 위치로 제2캠(96)이 회전하는 사이에 제2캠레버(93)이 제15도의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제2캠레버(93)의 회전에 의해 연결로드(94)를 통해서 구동기어(89)가 회전되며, 구동기어(89)의 회전에 의해 피동기어(86)과 함께 제2파지레버(85)가 회전된다. 그리고 제19도, 제20도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파지레버(85)가 파지위치로 회전배치되는 상태가 된다. 제2파지레버(85)는 대기위치로부터 180°회전되며, 그 회전도중에 피드롤러(15)로부터 포착편(64)에 이르는 슬라이버(S)와 걸어맞춤하고, 파지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는 가이드플레이트(82)와 함께 슬라이버(S)를 파지한다.
제20도의 상태로부터 더욱 회전축(57)이 회전하면, 캠팔로우어(74)가 원호면(79a)와 걸어맞춤하는 상태가 된다. 캠팔로우어(74)가 원호면(79b)와 걸어맞춤한 상태로부터 원호면(79c)와 걸어맞춤하는 상태가 되는 위치로 제1캠레버(73)이 회전하는 사이에 연결로드(77)을 통해서 구동기어(70)이 다시 같은 방향으로 회전된다. 그리고, 제1파지레버(71)이 피동기어(68)과 함께 포착위치로부터 제22도에 도시한 파지위치로 회전된다. 한편, 제2캠(96)은 원호면(96b)와 캠팔로우어(95)와 걸어맞춤하는 상태로 회전되며, 제2파지레버(45)는 제19도에 도시한 파지위치에서 유지된다. 제1파지레버(71)이 파지 위치에 배치된 시점에서의 제2파지레버(85)와 제1파지레버(71)과의 거리는 슬라이버(S)의 섬유길이보다 큰 값이 되도록 되어 있다.
제1파지레버(71)이 파지위치에 배치된 후에도 회전축(57)은 회전을 계속 한후, 제2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파지레버(71)과 제2파지레버(85)와의 거리가 슬라이버(S)의 섬유길이보다 충분하게 긴 위치에서 포착편(64)가 배치된 상태로 정지한다. 그리고, 이 사이 슬라이버(S)는 제1파지레버(71) 및 제2파지레버(85)에 의해 2곳에서 파지된 상태로 양 파지위치의 간격이 넓어지도록 인장되어서 절단된다. 회전축(57)이 정지된 상태 즉, 지지아암(58)이 정지된 상태에서 제2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캠팔로우어(74)가 원호면(79c)와 걸어맞춤하는 상태로 있으며, 제1파지레버(71)은 슬라이버(S)의 절단단부를 파지하고 있다. 슬라이버(S)는 우선 제2파지레버(85)에서 파지된 후 제1파지레버(71)에서 파지된다. 따라서 제2파지레버(85)가 파지위치로 이동하는 경우에 슬라이버(S)가 인장되더라도 켄스(6)쪽의 슬라이버(S)가 자유롭게 이동하기 위해 피드롤러(15)쪽의 슬라이버(S)가 잡아늘여지는 일은 없다. 또한, 제1파지레버(71)이 슬라이버(S)를 파지한 상태로 이동하는 경우, 피드롤러(15)쪽의 슬라이버(S)가 잡아 늘여지는 일도 없다.
다음으로 모터(60)이 역회전되어 회전축(57)이 제21도의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며, 지지아암(58) 및 제2캠(96)도 회전축(57)과 함께 제21도의 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모터(60)은 지지아암(58)이 포착개시위치에 배치될때까지 구동이 계속된다. 지지아암(58)이 제2파지레버(85)와 거의 평행하게 되는 위치(제24도의 상태)에 배치되는 도중에 캠팔로우어(74)와 원호면(79c)와의 걸어 맞춤이 종료된다. 그리고 지지아암(58)이 제24도에 도시한 위치에 도달한 시점에서는 캠팔로우어(74)가 원호면(79b)와 걸어맞춤하는 상태가 된다. 그 결과 제1파지레버(71)은 제18도에 도시한 포착위치에 배치되며, 제1파지레버(71)과 포착편(64)에 의해 파지되고 있는 슬라이버(S)의 절단단부가 해방되어 슬라이버(S)의 절단단부가 자체중량에 의해 켄스(6)내로 낙하한다.
한편 캠팔로우어(95)는 원호면(96b)과 걸어맞춤하는 상태로부터 제23도에 도시한 원호면(96a)와 걸어맞춤하는 상태가 된다. 이 사이에 제2캠레버(93)이 제19도의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며, 제2파지레버(85)가 대기위치에 배치되어서 슬라이버(S)의 파지가 해제된다. 슬라이버절단위치가 피드롤러(15)에 근접한 위치라면 슬라이버(S)의 해당피드롤러(15)로부터 조방기(1)쪽을 향해서 뻗은 부분에 작용하는 중력이 절단후의 슬라이버단부에 작용하는 중력보다 크게 되어 슬라이버단부가 피드롤러(15)로부터 미끄러져 떨어진다. 그러나 걸려 있는 슬라이버의 절단위치가 피드롤러(15)로부터 소정길이 이상 떨어진 위치때문에 슬라이버(S)는 자체중량으로 피드롤러(15)로부터 곧바로 늘어진 상태가 된다. 그후 지지아암(58)이 더욱 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포착 개시위치로 복귀한다.
이상에 의해 슬라이버절단작업의 한주기가 완료된다. 그리고 슬라이버이음기(20)는 다음의 걸린 슬라이버(S)와 대응하는 위치로 이동한다. 이하, 상기한 것과 같은 형태로 슬라이버이음기(20)은 주행레일(18)에 따라서 이동하고 절단되어야 할 슬라이버(S)와 대응하는 위치에서 슬라이버절단작업을 행한다. 그리고 주행레일(18)과 대응하는 켄스열의 모든 걸린 슬라이버(S)의 절단이 완료된 후, 슬라이버이음기(20)는 주행레일(18)의 제2단부쪽의 소정위치에서 정지하여 해당위치에서 대기한다. 슬라이버이음기(20)은 주행레일(18)상의 소정위치에 설치된 피감지부재(도시하지 않음)를 슬라이버이음기(20)에 장비된 감지센서(도시하지 않음)에서 감지해서 정지한다. 또한, 지지아암(58)이 제21도에 도시한 위치, 즉 포착편(64) 등이 슬라이버(S)와 걸어맞춤 불가능한 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모터(60)이 정지된다.
다음으로 걸린 슬라이버의 절단작업이 완료된 빈 켄스(6B)와 가득찬 슬라이버 켄스(6F)와의 교환작업이 행해지며, 가득찬 슬라이버켄스(6F)가 피드롤러(15)로부터 아래로 늘어진 슬라이버[이하, 구 슬라이버(SI)이라 칭한다]와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켄스교환개시시, 빈 켄스스톡부(11)에는 빈 켄스(6B)는 존재하지 않는다. 또 켄스반송장치(2e)상에는 슬라이버공급켄스열 1열분의 가득찬 슬라이버켄스(6F)가 스톡된 상태도 있다.
켄스반송장치(2a)상의 켄스열의 교환을 예로 들어 설명하면, 켄스반송장치(2e),(3),(4),(12) 및 가압장치(10a)가 작동되어 켄스교환이 행해진다. 켄스반송장치(2e)의 작동에 의해 가득찬 슬라이버켄스(6F)가 차례로 켄스반송장치(3)상으로 옮겨 실어지며, 켄스반송장치(3)에 의해 켄스반송장치(2a)와 대응하는 위치까지 반송된다. 켄스반송장치(2a)와 대응하는 위치에 도달한 가득찬 슬라이버켄스(6F)는 도시하지 않은 스톱퍼에 의해 켄스반송장치(3)의 길이방향으로의 이동이 저지된 상태로 유지된다. 이 상태에서 가압장치(10a)가 작동되며, 가득찬 슬라이버켄스(6F)가 켄스반송장치(2a) 위로 밀어 넣어진다. 이때 가득찬 슬라이버켄스(6F)를 통해서 반송장치(2a)상의 켄스열이 켄스반송장치(2a)의 제2단부쪽으로 밀리며, 제2단부쪽의 끝의 켄스가 켄스반송장치(4)상으로 옮겨 실어진다. 켄스반송장치(4)상으로 이동된 빈 켄스(6B)는 켄스반송장치(4)에 의해 빈 켄스스톡부(11)까지 반송되며, 켄스반송장치(12)상으로 옮겨 실어진다. 그리고 켄스반송장치(12)상을 제1단부쪽으로 이송시킨다.
가압장치(10a)가 1열분의 수의 가득찬 슬라이버켄스(6F)의 켄스반송장치(2a)로 밀어넣는 작업이 완료된 후, 켄스반송장치(2e),(3)의 작동이 정지된다. 가득찬 슬라이버켄스(6F)는 가압장치(10a)의 근방에 설치된 센서(도시하지 않음)에서 감지되며, 가압장치(10a)의 작동회전수가 카운터에 의해 헤아려진다. 또한 빈켄스스톡부(11)의 켄스반송장치(4)와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된 센서(도시하지 않음)의 감지신호를 바탕으로 카운트되는 빈 켄스(6B)의 수가 일정한 값에 달한 후, 켄스반송장치(4),(12)가 정지하고 켄스교환이 완료된다. 주컴퓨터(HC)로부터 켄스교환완료신호가 캐리어(25)를 통해서 슬라이버이음기(20)으로 송신되며, 슬라이버이음기(20)은 그 신호를 바탕으로 슬라이버 이음작업을 개시한다. 슬라이버이음기(20)은 슬라이버이음작업시와 반대방향으로 이송을 개시하고 소정의 위치에서 간헐적으로 정지해서 슬라이버이음작업을 차례로 행한다.
다음으로 슬라이버이음작업을 제25도-제32도에 따라서 설명한다. 또한 제25도-제32도에서는 세퍼레이터(17), 주행레일(18), 구동롤러(22a), 피동롤러(22b), 슬라이버절단장치(27) 등의 도시를 생략한다. 슬라이버이음자업의 개시와 동시에 송풍기가 구동되어 집선바스(42)내가 부압이 된다. 슬라이버이음기(20)이 소정의 위치에서 정지하면 제2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버도입부(32)가 세퍼레이터(17)을 거쳐서 수직으로 늘어진 구 슬라이버(S1)과 대응하는 형태가 된다. 이 상태로부터 슬라버파지아암(31)이 구동되며, 흡인구(46a)가 슬라이버삽입레버(41)의 아래쪽에 늘어져 있는 구 슬라이버(S1)과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흡인구(46a)가 구 슬라이버(S1)과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기 전에 로타리액튜에이터(48)이 작동되어 흡인파이프(46)이 흡인구(46a)를 개방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흡인구(46a)가 구 슬라이버(S1)과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 후 흡인파이프(46)이 폐쇄위치에 배치된다. 그 결과 구 슬라이버(S1)은 그 일부가 흡인파이프(46)에 흡인된 상태로 슬라이버파지장치(45)에 파지된다. 그리고 슬라이버파지아암(31)의 구동에 의해 슬라이버파지장치(45)가 슬라이버도입부(32)의 하부근방에 배치된 상태로 슬라이버삽입레버(41)이 작동되어 제2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 슬라이버(S1)이 슬라이버도입부(32)에 도입된다. 그리고, 슬라이버파지장치(45)가 아래쪽으로 이동하도록 슬라이버파지아암(31)이 구동되어 구 슬라이버(S1)이 슬라이버삽입레버(S1)과 슬라이버파지장치(45)와의 사이에서 절단된다. 동시에 슬라이버누름쇠(30)이 구동되어 제6도에 도시된 니들(34a)에 슬라이버를 밀어 넣음으로 해서 슬라이버도입부(32)로부터의 탈락을 방지한다. 다음으로 흡인파이프(46)가 개방위치에 배치되며, 슬라이버파지장치(45)에 파지되어 있는 슬라이버절단부가 흡인파이프(46)내에서 흡인된다(제27도의 상태). 슬라이버절단단부는 집선박스(42) 로부터의 흡인작용에 의해 제2아암(43b), 주름호스(53), 파이프(51) 및 호스(52)를 거쳐서 집선박스(42) 로 회수된다. 또한, 슬라이버누름쇠(30)이 작동되기 전에 슬라이버피싱유니트(29)의 캠(39)는 대구경구(39a)가 캠팔로우어(37a)와 걸어맞춤하는 위치로 회전되어 니들(34a)가 니들플레이트(34)내로 진입된 상태로 유지되어 있다.
다음으로 슬라이버파지아암(31)이 구동되어 슬라이버파지장치(45)가 흡인구로 가득찬 슬라이버켄스(6F)의 슬라이버[이하, 새로운 슬라이버(S2)라 칭한다]의 단부와 대응하는 위치로 이동된다. 가득찬 슬라이버켄스(6F)의 슬라이버단부는 가득찬 슬라이버켄스(6F)의 소정위치에서 그 상부로부터 아래로 늘어진 상태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새로운 슬라이버(S2)의 단부는 흡인구(46a)에 흡인된다. 그후, 흡인파이프(46)가 폐쇄위치에 배치되어 슬라이버 단부가 흡인파이프(46)과 지지통(47) 등에 의해 파지된다. 그리고 슬라이버파지아암(31)이 구동되고 슬라이버파지장치(45)가 위쪽으로 이동되어 제2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버파지장치(45)가 새로운 슬라이버(S2)를 들어 올린 상태가 된다.
다음으로 슬라이버누름쇠(30)이 해방위치로 회전된다. 또 이 상태로부터 슬라이버파지장치(45)가 더욱 상승이동되어 제29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버파지장치(45)가 슬라이버삽입레버(41)의 위쪽의 소정위치에 배치된 시점에서 슬라이버파지아암(31)이 정지한다. 이어서 슬라이버삽입레버(40)이 파지위치로 회전되어 슬라이버파지장치(45)로부터 가득찬 슬라이버켄스(6F)에 연결된 새로운 슬라이버(S2)가 슬라이버도입부(32)내로 도입된다. 다음으로 파지아암(31)이 구동되어 슬라이버파지장치(45)가 상승이동되며, 슬라이버파지장치(45)에 파지되어 있는 신 슬라이버(S2)가 슬라이버삽입레버(40)과 슬라이버파지장치(45)의 사이에서 절단된다. 동시에 슬라이버누름쇠(30)이 구동되어 제6도에 도시한 니들(34a)에 슬라이버를 밀어 넣음으로서 슬라이버도입부(32)로부터의 탈락을 방지한다. 이렇게 해서 이전에 절단된 구 슬라이버(S1)의 단부에 가득찬 슬라이버켄스(6F)로부터 새롭게 공급된 신 슬라이버(S2)의 단부가 겹쳐진 상태가 된다. 또 흡인파이프(46)이 개방위치에 배치되어 슬라이버파지장치(45)에 파지되어 있는 슬라이버절단단부가 흡인파이프(46)내로 흡인됨과 동시에 집선박스(42)에 회수된다.
다음으로 제31도에 도시한 상태에서 슬라이버피싱유니트(29)가 작동되어 니들플레이트(34)가 복수회(이 실시예에서는 2회) 왕복운동한다. 니들플레이트(34)의 왕동에 의해 니들(34a)가 세퍼레이트 풀레이트(33)내로 진입해서 세퍼레이트 플레이트(33) 및 슬라이버누름쇠(30)에 의해 파지된 상태로 있는 슬라이버(S1), (S2)에 겹쳐진 부분을 꿰뚫는다. 니들플레이트(34)의 복동에 의해 술라이버(S1), (S2)에 꿰뚫은 니들(34a)가 뽑아진다. 이 결과 겹쳐진 상태인 슬라이버(S1), (S2)의 섬유가 뒤엉켜 슬라이버(S1), (S2)끼리 접합된다. 슬라이버 피싱유니트(29)에 의한 술라이버(S1), (S2)의 접합작업완료후, 슬 라이버삽입레버(40), 슬라이버삽입세버(41) 및 슬라이버누름쇠(30)이 해방위치로 회전되면 슬라이버(S1), (S2)가 슬라이버도입부(32)로부터 해방되어 제32도에 도시한 상태가 된다. 그후, 슬라이버이음기(20)은 다음의 작업위치로 이동하여 상기한 바와 같은 형태로 슬라이버이음작업을 행한다.
그리고 슬라이버이음기(20)이 주행레일(18)과 대응하는 가득찬 슬라이버 켄스(6F)와의 슬라이버이음작업을 완전히 완료해서 캐리어(25)로 복귀하면, 캐리어(25)로부터 주컴퓨터(HC)에 슬라이버이음작업완료신호를 출력한다. 주컴퓨터(HC)는 슬라이버이음작업완료신호가 입력되면, 조방기(1)에 운전재개 지령신호를 출력하여 조방기(1)의 운전이 재개된다. 캐리어(25)는 주컴퓨터(HC)로부터 슬라이버이음작업을 필요로 하는 켄스 열로의 이동지령이 있기 전까지 해당위치에서 대기한다. 또 다음의 켄스교환 시기까지 빈 켄스스톡부(11)의 빈켄스(6B)가 완전히 연조기(5)로 반송되며, 연조기(5)로부터 이송된 가득찬 슬라이버켄스(6F)가 켄스반송장치(2e)상에 1열로 배치된다. 또한, 슬라이버이음작업의 완료를 슬라이버이음기(20)이 캐리어(25)로 복귀됨으로써 확인하는 대신에 슬라이버이음기(20)이 주행레일(18)의 제1단부 근처의 소정위치에 도달한 것을 감지하는 센서의 신호로 확인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상기한 바와 같이 슬라이버이음작업시에는 절단후의 구 슬라이버(S1)이 가득찬 슬라이버켄스(6F)의 중앙과 대응하는 일정한 위치에서 피드롤러(15)로 부터 아래로 늘어진 상태로 있기 때문에 그 슬라이버(S1)를 슬라이버피싱유니트(29)에 도입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또 슬라이버파지아암(31)의 이동범위를 가득찬 슬라이버켄스(6F)의 중앙보다 먼데까지 확장할 필요가 없어 슬라이버파지아암(31) 및 그 구동장치의 소형화가 가능하게 된다. 또, 슬라이버절단작업과 슬라이버이음작업이 각각 독립해서 실시되기 때문에 슬라이버절단작업과 슬라이버이음작업과의 사이에 빈 켄스열과 가득찬 켄스열과의 교환이 가능하게 된다.
[실시예 2]
다음으로 제2실시예를 제33도에 따라서 설명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각 켄스열에 따라서 설치된 주행레일 등이 연속되도록 형성된 점과 주행레일위를 각각 독립된 슬라이버절단기 및 슬라이버이음기를 설치한 점이 상기한 실시예와 크게 다르다. 즉, 주행레일(18)은 슬라이버공급켄스열에 따라서 연장된 직선부(18a)와 그 직선부(18a)의 단부들을 접속하는 접속부(18b) 등으로 폐루프를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다. 주행레일(18)상에는 자동기기인 슬라이버절단기(98) 및 슬라이버이음기(99)가 각각 독립해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슬라이버절단기(98)에는 상기한 실시예와 같은 형태로 구성된 슬라이버절단장치(도시하지 않음)이 장비되어 있다. 슬라이버이음기(99)에는 상기한 실시예와 같은 형태로 구성된 슬라이버이음장치(도시하지 않음)이 장비되어 있다. 또, 슬라이버절단기(98) 및 슬라이버이음기(99)는 주컴퓨터(HC)와 신호의 접수가 가눙하게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실시예의 시스템에서도 빈 켄스열과 가득찬 슬라이버켄스열의 교환이 완료된 후, 절단후의 이음이 대체되어야 할 슬라이버(구 슬라이버)와 가득찬 슬라이버켄스의 슬라이버(신 슬라이버) 등을 잇는 슬라이버이음방법이 행해진다. 또, 조방기(1)은 슬라이버이음작업의 순서가 1열째 → 2열째 → 3열째 → 4열째 → 1열째가 되도록 운전된다.
슬라이버절단기(98) 및 술라이버이음기(99)는 주행레일(18)상을 일정한 방향으로 주기적으로 회전되도록 이동하며, 슬라이버절단기(98)의 뒤를 슬라이버이음기(99)가 이동한다. 조방기(1)의 운전중은, 슬라이버절단기(98) 및 슬라이버이음기(99)는 주행레일(18)의 접속부(18b)상의 소정위치에서 대기한다. 방출중인 슬라이버켄스가 거의 비게되면, 조방기(1)의 운전이 정지된 후, 주 컴퓨터(HC)로부터의 지령신호에 의해 우선 슬라이버절단기(98)가 이동을 개시한다. 그리고, 슬라이버절단기(98) 이 켄스열에 따라서 주행레일(18)상을 이동하며, 각 켄스(6)로부터 조방기(1)에 연결된 구 슬라이버를 슬라이버절단장치에 의해 슬라이버단부가 자유상태로 늘어지도록 절단된다. 1 열분만큼의 모든 구 슬라이버의 절단이 완료된 후, 슬라이버절단기(98)이 소정위치에 도달하면, 슬라이버절단작업 완료신호가 주컴퓨터(HC)로 출력된다. 주컴퓨터(HC)는 슬라이버절단작업완료신호가 입력되면 켄스반송제어장치(C)에 켄스교환지령을 출력한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이 같은 형태로 빈 켄스열과 가득찬 슬라이버켄스열과의 교환작업이 행해진다.
켄스교환작업완료후 주컴퓨터(HC)로부터의 지령에 의해 슬라이버이음기(99)가 슬라이버이음작업을 개시한다. 슬라이버이음기(99)는 절단된 슬라이버와 가득찬 슬라이버켄스(6F)의 슬라이버를 슬라이버이음장치에 의해 연결한다. 슬라이버이음기(99)에 의한 1열분의 슬라이버이음작업이 완료되어서 슬라이버이음기(99)가 소정위치에 도달하면 슬라이버이음완료신호가 출력된다. 그리고, 주컴퓨터(HC)로부터의 지령에 의해 조방기(1)이 운전을 재개한다. 한편, 슬라이버절단기(98) 및 슬라이버이음기(99)는 접속부(18b)상에서 대기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슬라이버절단장치 및 슬라이버이음장치를 1대의 자동기기에 장비하지 않고 2대의 자동기기, 즉 슬라이버절단기(98) 및 슬라이버이음기(99)에 각각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각 자동기기의 소형화가 용이하게 된다. 그 결과 켄스(6),(6F)의 상부와 주행레일(18)의 간격이 좁아도 자동기기가 슬라이버와 간섭하지 않고 이동하는 것이 쉽게 된다.
또, 본 실시예의 구성에서는 슬라이버절단기(98) 및 슬라이버이음기(99)가 독립되어 있기 때문에 방출슬라이버의 품종교환을 행하는 경우에 작업시간의 대폭적인 단축이 가능하게 된다. 왜냐하면 방출슬라이버의 품종교환시에는 모든 켄스열의 슬라이버이음밍 켄스교환을 행할 필요가 있으며, 슬라이버이음장치에 의한 슬라이버이음작업전에 슬라이버절단작업 및 켄스교환작업이 필요하게 된다. 슬라이버절단장치 및 슬라이버이음장치가 한대의 자동기기에 장비되어 있는 경우는 1열씩 차례로 슬라이버절단작업, 켄스교환작업 및 슬라이버이음작업을 행할 필요가 있으나 각 작업을 병행해서 행할 수가 없다. 그러나 본 실시예의 구성에서는 슬라이버절단기(98)은 어떤 켄스열의 슬라이버 절단작업 완료후, 해당 켄스열의 켄스교환작업 및 슬라이버이음작업과 관계없 이 다른 켄스열이 슬라이버절단작업을 행할 수가 있다. 또 켄스교환작업도 슬라이버이음작업과 관계없이 행할 수가 았다. 따라서, 각 작업을 병행해서 행하는 것이 가능하며, 작업시간의 대폭적인 단축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방출슬라이버의 품종교환시에는 다른 스톡장소에 미리 준비된 가득찬 슬라이버센스(6F)를 사용해서 켄스교환이 행해진다.
다음으로 제3실시예를 제34도를 바탕으로 설명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방출중인 슬라이버켄스열과 예
[실시예 3]
비의 가득찬 슬라이버켄스열을 근접해서 배치한 상태로 슬라이버이음을 행하는 점이 상기한 실시예와는 크게 다르다. 주행레일(18)은 방출중인 슬라이버켄스열 및 예비의 가득찬 슬라이버켄스 열 1조마다 하나씩 설치되어 있다. 캐리어(25) 및 슬라이버이음기(20)의 구성은 실시예 1과 같게 구성된다. 슬라이버이음기(20)은 실시예 1과 같은 형태로 왕동시에 이동하면서 슬라이버 절단작업을 행한다. 또 슬라이버 절단작업완료후는 주행레일(18)의 제2단부에서 대기하지 않고 곧바로 제1단부쪽을 향해서 복동을 개시해서 슬라이버이음작업을 행한다. 슬라이버이음기(20)이 1열분의 캔스열의 슬라이버 이음작업을 완료하면, 조방기(1)의 운전이 재개된다. 그리고, 해당켄스열의 다음의 슬라이버이음작업전에 빈 켄스열이 가득찬 슬라이버켄스열과 교환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양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예를 들면 제2실시예에 있어서, 제35도 도시한 바와 같이 주행레일(18)에 접근한 직선부(18a)의 양단끼리를 접속하는 접속부(18b)와 접속부(18b)끼리를 접속하는 접속부(18c)를 설치해도 좋다. 접속부(18b) 및 접속부(18c)의 분기부에는 포인트(도시하지 않음)을 설치한다. 이 구성의 경우는 포인트의 변환에 의해 슬라이버절단기(98), 슬라이버이음기(99)는 임의의 켄스열과 대응하는 위치에서 자유롭게 이동이 가능하다. 따라서, 각 켄스열의 슬라이버이음순서를 임의로 설정할 수가 있다.
또한, 제2실시예에 있어서 제1실시예와 같은 형태로 주행레일(18)을 각 켄스열마다 설치하며, 캐리어(25)에 의해 슬라이버절단기(98) 및 슬라이버이음기(99)를 주행레일(18)사이에서 이동가능하게 해도 좋다. 이 경우 캐리어(25)는 브릿지레일을 2조 갖추고, 슬라이버절단기(98) 및 슬라이버이음기(99)가 각각 다른 브릿지레일를 통해서 주행레일(18)과 캐리어(25)의 사이를 이동한다. 그리고, 슬라이버절단기(98)이 슬라이버절단작업을 완료해서 캐리어(25)로 복귀하고 켄스교환완료후에 슬라이버이음기(99)가 슬라이버이음작업을 행한다. 혹은, 주행레일(18)의 제2단부쪽에 슬라이버절단기(98)의 대기위치를 설치하여 슬라이버이음기(99)가 캐리어(25)쪽을 향해서 이동하는 경우에 그 뒤를 슬라이버절단기(98)이 이동해서 캐리어(25)에 복귀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한, 제3실시예에서 주행레일(18)을 실시예(2)와 같은 형태로 페루프형으로 구성해도 좋다. 이 경우 슬라이버이음기(20)은 슬라이버이음작업을 필요로 하는 켄스열과 대응하는 직선부에 슬라이버절단장치쪽으로부터 진입하여, 각 켄스와 대응하는 위치에서 정지하며, 슬라이버절단장치 및 슬라이버이음장치에 의해 슬라이버절단작업과 슬라이버이음작업을 차례로 행한다. 슬라이버절단장치(27) 및 슬라이버이음장치(28)의 배치간격을 켄스의 배열피치와 같게 하면, 슬라이버절단작업과 슬라이버이음작업을 병행해서 행할 수가 있으며, 1열분의 슬라이버이음작업종료까지의 시간을 보다 단축할 수가 있다. 또한, 슬라이버이음기(20)이 슬라이버켄스열과 대응하는 주행레일(18)상을 한방향으로 이동하는 것만으로 슬라이버절단작업 및 슬라이버이음작업이 완료된다. 또, 주행레일(18)을 페루프상으로 구성함과 동시에 슬라이버이음기(20)에 대신해서 제2실시예와 같은 령태인 슬라이버절단기(98) 및 슬라이버이음기(99)를 설치해도 좋다. 이 경우 슬라이버이음기(98)의 뒤를 슬라이버이음기(99)가 이동해서 슬라이버이음작업을 행한다.
또한, 슬라이버이음기(20),(99)에 집선박스(42)를 설치하는 대신에 주행레일(18)을 섹션덕트와 겸용함과 동시에 슬라이버이음기(20),(99)에 섹션덕트와의 접속수단을 설치해도 좋다. 이 경우는 슬라이버이음기(20),(99)가 소형이 된다. 또 슬라이버파지장치(45)로서 흡인수단이 불필요한구성으로 하고, 절단슬라이버단부를 빈 켄스(6B)내에 버리거나 바닥에 버리도록 해도 좋다. 또한, 슬라이버이음작업의 경우, 절단 후의 슬라이버의 단부를 앞서서 슬라이버도입부(32)에 도입하는 대신에 가득찬 슬라이버켄스(6F)의 슬라이버단부를 우선 슬라이버도입부(32)에 도입해도 좋다. 이와 같이 하면, 이음시에 구 슬라이버절단의 우려를 없앨수가 있다. 또한, 슬라이버절단장치(27)의 지지아암(58), 제1파지레버(71) 및 제2파지레버(85)의 구동을 1개의 모터(60)으로 행하는 대신에 각각 다른 모터로 구동하거나 제1파지레버(31)라 제2파지레버(45)를 캠기구에 의해 구동하는 구성으로 대신하고, 각각 실린더나 솔레노이드 등을 다른 구동수단으로 구동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한 슬라이버(S)의 절단은 반드시 슬라이버(S)를 파지한 2군데의 부위의 한쪽만을 이동시키는 방법에 한정되지 않고 칼로 절단하거나 해도 좋다.
또한, 슬라이버파지장치(45)로서 흡인파이프(46)을 제2아암(43b)에 고정상태로 지지하며, 흡인파이프(46)의 안쪽에는 통형의 가동파지부재를 회전가능하게 배치하여 가동파지부재쪽을 로타리액튜에이터(48)로 구동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 경우 가동파지부재의 기단근처의 외주에 흡인파이프(46) 의 원주방향에 따라서 형성된 긴구멍으로부터 돌출하는 연결부재를 돌출되게 설치하고, 그 연결부재를 레버(49)에 대해서 연결로드(50)을 통해서 연결한다. 더우기 슬라이버이음기(20),(99) 및 슬라이버절단기(98)은 반드시 켄스열위 쪽에 설치된 주행레일(18)상을 이동하는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작업자용통로에 설치된 레일상을 이동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갈이 본 발명에 의하면 1열분의 켄스열에 대한 방출된 이음을 대체해야할 슬라이버의 절단으로부터 슬라이버이음작업종료까지의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가 있다.
또한, 청구범위 제2항에 기재된 발명이외의 발명에서는 방출중인 슬라이버의 절단후에 슬라이버공급후의 켄스열과 가득찬 슬라이버켄스열과의 교환을 하고 그후에 슬라이버이음작업을 행하는 슬라이버이음방법을 행할 수가 있다. 또한, 청구범위 제5항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슬라이버절단기와 슬라이버이음기 등이 각각 이동경로를 이동할 수 있기 때문에 각차의 소형화가 가능하게 되며, 조방기의 크릴의 아래쪽에 슬라이버절단기 및 슬라이버이음기의 이동경로를 설치하는 경우의 제약이 작게된다.

Claims (5)

  1. 다수의 방출부와 방적기의 운전중 각 방출부로 공급하는 슬라이버(S)를 수용한 켄스열 및 새로운 슬라이버를 수용한 새로운 캔스열을 가지는 방적기로서 상기 공급슬라이버를 수용한 캔스열에 따라서 상기 방적기의 일단측으로부터 다른끝 쪽으로 이동하는 슬라이버이음기를 장비한 자동기기에 의해서 슬라이버 이음을 행하는 방적기의 슬라이버 이음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적기의 방출운전을 정지하는 단계, 상기 방적기의 방출부에 공급되고 있던 각 슬라이버를 상기 켄스와의 사이에서 상기 방적기의 일단측으로부터 다른끝 쪽으로 향해서 차례로 절단하는 단계, 상기 슬라이버의 절단에 의해서 생기는 상기 방출부쪽에 연결되는 슬라이버의 단부를 일시적으로 상기 켄스쪽에 달아내리는 단계, 상기 켄스쪽에 달아내려진 슬라이버의 단부와 상기 새로운 켄스에 수용되어 있는 새로운 슬라이버를 잇는 단계 등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버 이음방법.
  2. 다수의 방출부와 방적기의 운전중 각 방출부로 공급하는 슬라이버(S)를 수용한 켄스열 및 새로운 슬라이버를 수용한 새로운 켄스열을 가는 방적기로서 상기 공급슬라이버를 수용한 켄스열에 따라서 방적기의 제1단부측으로부터 제2단부측으로 전진 이동하고, 상기 제2 단부측으로부터 제1 단부측으로 후퇴 이동하는 슬라이버이음기를 장비한 자동기기에 의해서 슬라이버이음을 행하는 방적기의 슬라이버 이음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적기의 방출운전을 정지하는 단계, 상기 자동기기가 방적기의 제1단부측으로부터 제2단부측으로 이동할 때 상기 방적기의 방출부에 공급되고 있던 각 슬라이버를 상기 켄스와의 사이에서 차례로 절단하는 단계, 상기 슬라이버의 절단에 의해서 생기는 상기 방출부측에 연결하는 슬라이버의 단부를 일시적으로 상기 켄스측에 달아내리는 단계, 상기 자동기기가 방적기의 제2단부측으로부터 제1단부측으로 이동할 때 상기 켄스측에 달아내려진 슬라이버의 단부와 상기 새로운 켄스에 수용되어 있는 새로운 슬라이버를 잇는 단계 등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버 이음방법.
  3. 다수의 방출부와 방적기의 운전중 각 방출부로 공급하는 슬라이버를 수용한 켄스열 및 새로운 슬라이버를 수용한 새로운 켄스열을 평행하게 배열한 방적기로서 상기 공급슬라이버를 수용한 켄스열에 따라서 상기 방적기의 일단측으로부터 다른끝 측으로 이동하는 자동기기가 그 이동방향 앞쪽에 슬라이버 절단장치(27)를 장비하고, 이동방향 뒤쪽에 슬라이버이음장치(28)를 장비하며, 이 자동기기에 의해서 슬라이버이음을 행하는 방적기의 슬라이버 이음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적기의 방출운전을 정지하는 단계, 상기 자동기기가 상기 방적기의 일단측으로부터 다른끝쪽으로 이동할때 상기 자동기기의 앞측에 장비한 슬라이버절단장치(27)에 의해서 상기 방적기의 방출부에 공급되고 있던 각 슬라이버를 상기 켄스와의 사이에서 차례로 절단하는 단계, 상기 슬라이버의 절단에 의해서 생기는 상기 방출부쪽에 연결하는 슬라이버의 단부를 일시적으로 상기 켄스쪽에 달아내리는 단계, 상기 켄스측에 달아내려진 슬라이버의 단부와 상기 새로운 켄스에 수용되어 있는 새로운 슬라이버를 상기 자동기기의 후측에 장비한 슬라이버이음장치(28)에 의해서 잇는 단계 등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버이음방법.
  4. 다수의 방출부와 방적기의 운전중 각 방출부로 공급하는 슬라이버(S)를 수용한 켄스열 및 새로운 슬라이버룰 수용한 새로운 켄스열을 가지는 방적기로서 상기 공급슬라이버를 수용한 켄스열에 따라서 상기 방적기의 일단측으로부터 다른끝 쪽으로 이동하는 슬라이버이음기(20)를 장비한 자동기기에 의해서 슬라이버이음을 행하는 방적기의 슬라이버이음기에 있어서, 방적기의 정지 후, 상기 방적기의 방출부에 공급되고있던 슬라이버를 절단하고 상기 방출부측에 연결되는 슬라이버의 단부를 상기 켄스측에 달아내리는 슬라이버 절단장치(27)와, 상기 켄스측에 달아내려지는 슬라이버와 상기 새로운 켄스에 수용되어 있는 새로운 슬라이버를 잇는 슬라이버 이음장치(28)를 장비하고, 상기 슬라이버 절단장치(27) 및 슬라이버 이음장치(28)을 상기 켄스열에 따라서 슬라이버이음기(20)이 이동할 때의 이동방향의 전후에 위치하도록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적기의 술라이버이음기.
  5. 방적기의 방출부에 슬라이버를 공급하는 가득찬 켄스의 열 및 슬라이버 공급후의 빈 켄스의 열에 따라서 설치된 이동경로와, 상기 방출부에 공급되고 있던 슬라이버를 절단하고 동 슬라이버의 수용 켄스쪽에 상기 방적기의 방출부측에 연결하는 슬라이버의 단부를 일시적으로 달아내려지게 하는 슬라이버 절단장치를 장비해서 상기 이동경로상을 독립적으로 이동하는 슬라이버 절단기와, 상기 슬라이버 절단장치에 의해서 절단되며 상기 켄스측에 달아내려져 있는 슬라이버의 단부와 새로운 켄스에 수용된 새로운 슬라이버를 잇는 슬라이버 이음장치를 장비해서 상기 이동경로상을 상기 슬라이버 절단기로부터 분리되어 둑립해서 이동하는 슬라이버이음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버 이음시스텝.
KR1019940002222A 1993-02-10 1994-02-07 방적기에 있어서의 슬라이버(sliver) 이음방법, 슬라이버이음기 및 슬라이버이음시스템 KR96000546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2928 1993-02-10
JP93-22928 1993-02-10
JP02292893A JP3144118B2 (ja) 1993-02-10 1993-02-10 紡機におけるスライバ継ぎ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9387A KR950029387A (ko) 1995-11-22
KR960005465B1 true KR960005465B1 (ko) 1996-04-25

Family

ID=120962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02222A KR960005465B1 (ko) 1993-02-10 1994-02-07 방적기에 있어서의 슬라이버(sliver) 이음방법, 슬라이버이음기 및 슬라이버이음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544389A (ko)
EP (2) EP0794274A3 (ko)
JP (1) JP3144118B2 (ko)
KR (1) KR960005465B1 (ko)
DE (1) DE69418230T2 (ko)
TW (1) TW23917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521185A1 (de) * 1995-06-10 1996-12-12 Truetzschler Gmbh & Co Kg Kannenfördersystem zwischen zwei Strecken
DE19722581A1 (de) * 1996-08-22 1998-02-26 Truetzschler Gmbh & Co Kg Vorrichtung zum Fördern und Bereitstellen von Spinnkannen, insbesondere zwischen zwei im Arbeitsgang aufeinanderfolgenden Strecken
IT1293614B1 (it) * 1996-08-22 1999-03-08 Truetzschler & Co Dispositivo per il trasporto e l'approntamento di vasi,in particolare fra due stiratoi consecutivi nel ciclo di lavorazione
US6293328B1 (en) 2000-08-03 2001-09-25 Donna A. Fremont Portable screen
US6360519B1 (en) 2001-02-13 2002-03-26 American Linc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s for splicing silvers of yarn during yarn formation and processing
US8310996B2 (en) 2006-08-07 2012-11-13 Qualcomm Incorporated Conditional scheduling for asynchronous wireless communication
DE102018121906A1 (de) * 2018-09-07 2020-03-12 Maschinenfabrik Rieter Ag Verfahren zum Zuführen eines Bandendes sowie Spinnmaschine
CN112030286B (zh) * 2020-09-08 2021-06-08 北自所(北京)科技发展有限公司 并条粗纱系统以及用于该并条粗纱系统的条筒输送方法
CN112030287B (zh) * 2020-09-08 2021-06-08 北自所(北京)科技发展有限公司 用于粗纱机的条筒送换装置以及条筒送换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536435C2 (de) * 1975-08-16 1984-02-23 W. Schlafhorst & Co, 4050 Mönchengladbac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Auswechseln von Faserbandbehältern
DE3505494A1 (de) * 1985-02-16 1986-09-04 Langen, Manfred, 4050 Mönchengladbac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austauschen leerer kannen gegen gefuellte kannen
DE3505495A1 (de) * 1985-02-16 1986-08-21 W. Schlafhorst & Co, 4050 Mönchengladbac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austauschen leerer kannen gegen mit faserband gefuellte kannen
DE3725265A1 (de) * 1987-07-30 1989-02-09 Zinser Textilmaschinen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wechseln von spinnkannen bei einer spinnereivorbereitungsmaschine
DE3734258A1 (de) * 1987-10-09 1989-04-20 Zinser Textilmaschinen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zufuehren von kannen mit faserband zu einer spinnereimaschine
DE3802414A1 (de) * 1988-01-28 1989-08-10 Fritz Stahlecker Spinnmaschine mit einer vielzahl von nebeneinander angeordneten spinnstellen
DE3831640A1 (de) * 1988-09-17 1990-03-22 Schlafhorst & Co W Aggregat aus einem spinnautomaten und einer vorrichtung zum wechseln leerer gegen volle kannen
JP2584002B2 (ja) * 1988-09-21 1997-02-19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製作所 紡機の自動スライバ継ぎ方法
JP2784029B2 (ja) * 1989-03-23 1998-08-06 豊和工業株式会社 粗紡機におけるスライバ連続供給装置
US5263228A (en) * 1989-03-23 1993-11-23 Howa Machinery Ltd. Apparatus for continuously supplying and piecing slivers to a roving frame
JPH04217561A (ja) * 1990-12-12 1992-08-07 Murata Mach Ltd ケンス交換ロボット
JPH0585772U (ja) * 1991-05-20 1993-11-19 村田機械株式会社 スライバー継ぎロボッ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794274A3 (en) 1998-06-10
EP0610794A3 (en) 1995-07-05
EP0610794B1 (en) 1999-05-06
KR950029387A (ko) 1995-11-22
TW239170B (ko) 1995-01-21
EP0794274A2 (en) 1997-09-10
JP3144118B2 (ja) 2001-03-12
DE69418230D1 (de) 1999-06-10
DE69418230T2 (de) 1999-12-30
EP0610794A2 (en) 1994-08-17
US5544389A (en) 1996-08-13
JPH06235131A (ja) 1994-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25990A (en) Open-end spinning machine
KR100510278B1 (ko) 자동 스레딩(threading) 및 권사기능을 갖는 이중 스핀들 광섬유 권사기
KR960005465B1 (ko) 방적기에 있어서의 슬라이버(sliver) 이음방법, 슬라이버이음기 및 슬라이버이음시스템
CZ146091A3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automatic feeding a fiber strand to a textile machine
JPH01201537A (ja) 多数の並置された精紡個所を具備する精紡機
US5634602A (en) Open end spinning machine with associated service device
US5222350A (en) Roving frame and method
DE4313523C2 (de) Kreuzspulen herstellende OE-Spinnmaschine
US4541235A (en) Method and device for starting the operation of a friction-spinning unit
JPH0418047B2 (ko)
DE19641060A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Garnanspinnen an einer Offenend-Spinnmaschine
JP2784029B2 (ja) 粗紡機におけるスライバ連続供給装置
US5396758A (en) Method of respinning-in on open-end spinning machines and a device for carrying out the method
US5148665A (en) Roving bobbin carrier system
CN107758437B (zh) 卷筒更换装置和卷筒更换方法
JPH0518926B2 (ko)
KR960014817B1 (ko) 정방기의 조방사 교체 방법 및 조방사 교체기
JPH07113171B2 (ja) 紡機における管替機内のペッグトレイ位置決め装置
JPH03172288A (ja) 繊維機械間でのボビン移送方法及び装置
JPH07126936A (ja) 粗紡機におけるスライバ継ぎシステム
CN115467063B (zh) 一种用于环锭纺细纱接头的出纱装置
JPH0518925B2 (ko)
JPS63275725A (ja) 紡機における管替え方法及びその装置
JPH06257025A (ja) 紡機におけるスライバ継ぎ方法及びケンスの配置構成並びにスライバ端部の配置構成
JP3070322B2 (ja) スライバ切断方法及びスライバ切断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41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