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5453B1 - 단단한 표면 특히 창문의 청소용 와이퍼 장치 - Google Patents

단단한 표면 특히 창문의 청소용 와이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5453B1
KR960005453B1 KR1019940700234A KR19940700234A KR960005453B1 KR 960005453 B1 KR960005453 B1 KR 960005453B1 KR 1019940700234 A KR1019940700234 A KR 1019940700234A KR 19940700234 A KR19940700234 A KR 19940700234A KR 960005453 B1 KR960005453 B1 KR 9600054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per
suction nozzle
suction
wiper device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7002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1996년04월25일
에버하르트 바이트
죠세프 슈나이더
안토니오 드 필리포
도날드 더블류 머레이
마이클 코베 스토리
칼 스티븐 레몬스
Original Assignee
알프레드 케르허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원본미기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6437711&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960005453(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알프레드 케르허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원본미기재 filed Critical 알프레드 케르허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54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545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00Cleaning windows
    • A47L1/06Hand implements
    • A47L1/08Hand implements with provision for supplying liquids, e.g. cleaning agents

Landscapes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 Ink Jet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 Pens And Brushes (AREA)
  • Surface Treatment Of Glass (AREA)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단단한 표면 특히 창문의 청소용 와이퍼 장치
본 발명은 슬릿(Slit)형상의 흡입노즐 및 이 흡입노즐의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이 흡입노즐에 장착된 가요성 와이퍼 립(wiper lip)을 포함하는 단단한 표면 특히 창문을 청소하기 위한 와이퍼 장치(wiper device)에 관한 것이다.
종래 위와 같은 형태의 창문청소용 와이퍼의 예로서는 독일연방공화국 실용신안 제80 19 169호를 들수 있다. 이 와이퍼는 발포고무제의 와이퍼 패드(wiper pad)를 슬릿형상의 흡입노즐 내에 설치하고, 또한 와이퍼 립을 상기 흡입노즐과 독립적으로 상기 와이퍼 패드의 인접부에 설치하고 있다. 그러나, 이 와이퍼의 단점은 그 흡입효과가 상기 발포고무제의 와이퍼 패드에 의해 방해를 받으므로 요구되는 흡입 류를 발생시키기 위해서는 강력한 흡입력을 발생할 수 있는 흡입장치가 필요하다는 점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흡입장치의 흡입력을 감소시키고도 청정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보다 효율적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와이퍼 립이 흡입노즐의 일벽면 상에 장착되고, 이 와이퍼 립이 흡입노즐의 흡입류의 영향에 의해 상기 흡입노즐의 대향 벽에 흡착됨으로써 흡입노즐을 폐쇄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와이퍼 장치는 그 정상상태하에서는 흡입노즐이 개방상태를 유지함으로써 흡입노즐 내에 흡입류가 자유롭게 유입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와이퍼 장치가 청정대상이 되는 창문에 접촉되면 상기 와이퍼 립이 후방으로 굴곡되면서 상기 흡입노즐이 개방상태가 된다. 반면에상기 와이퍼 장치를 청정대상면으로부터 이탈시키면 상기 흡입류가 와이퍼 립을 흡입하여 상기 벽의 반대편 벽에 흡착시킴에 의해 흡입노즐을 폐쇄시키게 된다.
따라서, 와이퍼 장치의 비사용 중에 흡입노즐이 폐쇄상태로 유지되므로 이 와이퍼 장치에 장착되어 있는 흡입장치의 요구흡입력을 감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흡입노즐을 하향으로 들고 있어도 와이퍼 장치내에 흡입되어 있는 청정액이 밖으로 유출되는 것을 막을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와이퍼 장치의 와이퍼 립은 그 변형되지 않은 상태에서 흡입노즐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으므로 이 와이퍼 립을 청정대상면 상에 접촉시킨 상태에서는 와이퍼 립이 일방향으로 만곡을 이루며, 반면에 와이퍼장치를 사용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흡입장치를 가동시키면 와이퍼 립이 타방향으로 만곡을 이룸으로써 흡입노즐을 폐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와이퍼 립을 장착하고 있는 벽에는 와이퍼 립의 선단부를 향해 연장되어 있는 지지면이 형성되어있고, 이 지지면 상에 상기 와이퍼 립이 밀착접촉되면 상기 흡입노즐이 완전히 개방상태를 이루게 된다. 상기 와이퍼 립의 선단 모서리를 청정대상면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하향이동시키면 와이퍼 립의 후면이 상기 지지면 상에 밀착접촉된다. 따라서, 와이퍼 립이 비록 가요성 재료로 구성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사용자는 상기 와이퍼 립의 선단 모서리에 의해 청정대상면에 가해지는 압력을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지지면은 가능한 한 와이퍼 립의 선단 모서리까지 연장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면의 형상은 와이퍼 립의 선단 모서리 쪽을 향해 볼록하게 만곡을 이루도록 함으로써 그 볼록한 지지면 상에 지지되는 와이퍼 립이 완만하게 굴곡을 이루도록 하고, 외이퍼 립의 어느 부분도 예각으로 꺾이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함으로써 흡입노즐 부근에서 유동하는 흡입류의 유동특성이 향상되고 흡입류가 난류화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지지면의 선단부 및 상기 대향벽은 서로 반대방향에 배치하여 이들 사이에, 슬릿형상의 흡입노즐을 형성하고, 와이퍼 립이 그 지지면 상에 접촉되는 정도에 따라 흡입노즐의 개방정도가 조절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와이퍼장치의 청정대상면으로부터의 간격이 상기 지지면의 선단부와 와이퍼립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에 상기 대향벽의 선단부와 청정대상면 사이의 간격을 정확하게 결정할 수 있게 되고, 흡입노즐 부위의 흡입특성을 최적화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흡입노즐의 측벽부는 그 형상이 흡입방향을 향해 점점 벌어지는 형상이 되도록 형성함으로써 흡입노즐을 통한 흡입속도가 고속이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와이퍼 장치에는 상기 흡입노즐과 평행한 방향으로 와이퍼 패드가 구비되어 있다. 이 와이퍼 패드는 필요시 청정대상면 상에 분무된 청정액을 균일하게 분산시키는 데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청정대상면 상에 단단한 오물이 붙어있는 경우에 이를 이용하여 제거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와이퍼 패드는 와이퍼 립이 설치된 벽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상기 와이퍼 패드가 청정중에 있는 청정대상면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위치함으로써 청정작업에 방해물로 작용하지 않게 된다. 이같은 와이퍼 패드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그 와이퍼 패드가 청정대상면을 향하도록 와이퍼 장치를 뒤집어 주기만 하면 된다.
상기 와이퍼 패드는 상기 벽부에 대한 와이퍼 패드의 높이를 다양하게 변화시킬수 있도록 구성된 홀더(holder)를 이용하여 착탈가능하게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다른 종류의 와이퍼 패드(예로써, 경도가 다른 와이퍼 패드)를 사용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와이퍼 패드를 교환하는 것이 가능하며, 또한 인체공학적인 측면을 고려하더라도 상기 와이퍼 패드의 그 와이퍼 장치로부터의 높이를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와이퍼 패드를 상기 홀더에 측방향으로 삽입하도록 구성하면 매우 간단하게 와이퍼 패드를 교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와이퍼 장치에 청정대상면 상에 청정액을 분사시키기 위한 스프레이 노즐(sprray nozzle)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프레이 노즐은 상기 와이퍼 패드와 동일한 면상에 설치함으로써 와이퍼 패드를 이용한 청정작업 도중에 적량의 청정액을 청정대상면 상에 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프레이 노즐은 슬라이드(slide) 삽착시 노즐장착 홀더를 통해 와이퍼 장치에 착탈가능하게 삽입장착시키도록 구성함으로써 필요시에 노즐을 단순히 뽑아내기만 하면 다른 노즐로 바꿔 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예컨대 분사력이 강한 직선분사용 노즐이나 청정액을 균일하게 분산시킬 수 있는 확산분사용 노즐을 필요에 따라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스프레이 노즐을 가동시키기 위한 작동 스위치는 상기 와이퍼 장치의 스프레이 노즐의 반대편 상에 설치할 수 있으며, 이 스프레이 노즐 작동 스위치의 인접부에는 흡입류를 생성하는 흡입장치를 온/오프(on/off)시키기 위한 흡입장치 가동용 스위치 요소를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와이퍼 장치의 작동상태를 점검하고, 상기 흡입된 청정액의 오염정도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흡입노즐부의 하류측의 적어도 일부를 투명체로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는, 흡입류의 유압에 상응하는 위치로 변위할 수 있음과 동시에 그 변위된 상태를 외부에서 육안관찰할 수 있도록 한 표시요소를 와이퍼 장치의 내측에 설치하고 있다. 따라서, 이 표시요소를 통해 와이퍼 장치내에 흡입류가 발생한 경우와 흡입류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와이퍼 장치는 흡입노즐 부위에 확장요소를 장착함에 의해 그 폭을 확장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와이퍼 장치의 측벽을 착탈 가능한 벽으로 구성하고, 이 벽을 제거한 후에 그 자리에 상기 확장요소를 부착시킬 수 있는 구성으로 한다.
상기 흡입노즐의 인접부에는 신축이 가능한 흡입파이프를 설치한다. 이 신축 가능한 흡입파이프의 일예로서는 신장된 위치에 고정될 수 있고, 또한 이 고정상태가 해제되고 흡입노즐이 와이퍼 립에 의해 폐쇄되는 경우에는 그 파이프의 길이가 자동적으로 단축될 수 있도록 구성한 파이프를 사용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중, 제1도는 창문에 접촉되어 있는 와이퍼 장치의 종단면도; 제2도는 제1도의 와이퍼 장치의 선단부의 평면도; 제3도는 흡입류가 유입되지 않은 상태의 제1도의 A부분의 확대 종단면도; 제4도는 흡입류가 유입되고, 상기 와이퍼 장치가 청정대상면에 접촉되지 않은 상태를 보여주는 제3도의 유사도; 제5도는 상기 와이퍼 장치가 청정대상면에 접촉되어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제4도의 유사도이다.
도면에 도시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장치는 창문 또는 기타 단단한 표면을 청소하는데 사용할 수 있는 장치이다.
본 발명의 와이퍼 장치는 평평한 상부벽(2)과 평평한 하부벽(4)을 구비한 흡입헤드(suction head)(1)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하부벽(4)의 선단부(5)는 상부벽(2)의 선단부(3)에 대해 예각으로 경사를 이룸으로써 이들 선단부(3)(5) 사이에 슬릿형상의 흡입노즐(6)을 형성하고 있다. 상기 흡입헤드(1)의 상부벽(2) 및 하부벽(4) 각각의 측단부에는 측벽(7)이, 예컨대 스냅결합방식으로 착탈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측벽(7)을 제거하고, 그 자리에 별도의 측방향 확장요소(8)를 결합시킬 수 있게 되어 있다. 상기 측방향 확장요소(8)는 흡입헤드(1)의 측방향으로 연속되어 짐으로써 그 흡입헤드(1), 특히 흡입노즐(6)(제2도 참조)의 폭을 확장하는 역할을 한다.
위와 같이 측방향 확장요소(8)를 흡입헤드(1)의 양측부에 장착하거나 또는 일측부에만 장착하거나, 또는 측방향 확장요소(8)를 전혀 장착하지 않음으로써 흡입노즐(6)의 폭을 필요에 맞게 변화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상부벽(2) 및 하부벽(4)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흡입헤드(1)는 그 흡입노즐(6)의 반대편에 형성된 연결편(10)이 흡입파이프(9)의 선단부 내측에 기밀하게 삽입결합되어 흡입파이프(9)와의 결합을 이룬다. 이 흡입파이프(9)는 다수의 파이프요소들로 조합구성된 소위 신축성 파이프(telescoping pipe)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흡입파이프(9)는 도시를 생략한 흡입장치에 연결되는 가요성 흡입관(11)에 연결된다. 상기 흡입장치는 바람직하게는 그 자체의 배터리로 작동되나 예로써 자동차 배터리에 연결된 전원케이블을 통해 작동전원을 공급받도록 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상기 흡입장치는 흡입관(11) 및 흡입파이프(9)를 따라 연장되어 흡입파이프(9)상의 스위치(13)에 연결되어 있는 제어라인(12)을 통해 온/오프된다. 상기 스위치(13)는 가압버튼식으로 구성함으로써 버튼을 가압시켰을 때는 흡입장치가 동작하고 버튼을 해제했을 때는 작동이 중단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흡입장치의 측부에는 청정액 공급펌프를 장착하여 청정액공급용기내의 청정액을 청정액공급라인(14)을 통해 상기 연결편(10) 부근의 상부벽(2)에 위치한 스프레이 노즐(15)로 급송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 스프레이 노즐(15)은 노즐홀더(nozzle holder)내에 삽입장착하고, 스프레이 노즐(15)과 상부벽(2) 사이에는 도시를 생략한 시일링(sealing)수단을 설치하여 기밀을 유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같이 구성함으로써 스프레이 노즐을 매우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다.
상기 청정액 공급펌프는 상기 흡입파이프(9) 상의 스위치(13)에 인접설치된 부가의 스위치(16)를 이용하여 온/오프시키는 구성으로 할 수 있으며, 이 부가의 스위치(16)도 상기 스위치(13)와 마찬가지로 가압버튼식 스위치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라인(12)과 청정액공급라인(14)을 흡입관(11)의 내측으로 연장설치할 수 있지만, 흡입파이프(9)가 흡입관(11)에 대해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상기 두 라인(12)(14)을 흡입파이프(9)와 흡입관(11)의 연결부분에서 외부로 노출시켜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청정액공급용기와 별도로 사용되어 더러워진 청정액을 수집하기 위한 청정액수집용기를 상기 흡입장치에 장착하여 흡입관(11)을 통해 사용된 청정액을 수집하도록 구성한다. 특히 청정액공급용기 및 청정액수집용기를 가요성의 중간벽부에 의해 두 부분으로 나누어진 하나의 용기에 설치함으로써 하나의 용기를 통해 청겅액을 공급할 수도 있고 또한 더러워진 청정액을 수집할 수도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부벽의 중앙부에는 흡입헤드(1)의 내부를 관찰할 수 있는 투명한 윈도우(window)(17)를 형성하고, 이를 통해 청정액의 흡입척부 및 필요에 따라 청정액의 오염정도를 파악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또한, 흡입헤드(1)의 내측에 청정액의 유동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요소(18)를 회동가능하게 장착하고, 상기 투명한 윈도우(17)를 통해 그 표시요소(18)를 관찰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 표시요소(18)는 제1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날개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흡입 청정액의 압력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으며, 흡입 청정액의 압력이 떨어진 경우에는 수직방향을 매달려 있도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표시요소(18)의 일측부를 착색하여 상기 표시요소(18)가 수평방향으로 회전변위된 경우에는 상기 윈도우(17)를 통해 상기 착색부가 관찰되도록 하고, 표시 요소(18)가 수직방향으로 회전변위된 경우에는 착색부가 보이지 않도록 함으로써 흡입 청정액의 유동상태 및 필요에 따라 그 유동압력을 표시토록할 수도 있다.
상기 상부벽(2)의 선단부(3)로부터 약간 이격된 위치의 상부벽(2)상에는 길다란 와이퍼 패드(20)를 파지하기 위한 홀더(19)가 선단부(3) 에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와이퍼 패드(20)는 예컨대 그 단면은 원형으로 형성하고, 그 재료는 발포고무로 한 패드몸체를 딘자형 단면의 패드고정요소(21)에 고정시켜 구성할 수 있다. 이 패드고정요소(21)에는 상기 홀더(19)(제1도 참조)의 대향벽부(24)(25) 내측의 삽입홈(23) 내에 삽입되는 측방향 돌기(2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대향벽부(24)(25)의 내측에 형성되는 삽입홈(23)의 갯수를 다수로 함으로써 상부벽(2)에 대한 패드고정요소(21)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이 패드고정요소(21)에 고정되는 와이퍼 패드(20)의 상부벽(2)에 대한 높이를 필요에 맞추어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와이퍼 패드(20)를 교체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패드고정요소(21)를 측방향으로 이동시켜 주기만 하면 된다.
상기 흡입노즐(6) 부근의 상부벽(2) 내측면 상에는 와이퍼 립 지지용 바아(bar)(26)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바아(26) 내에는 가요성 재료(예; 고무)로 구성된 스트립(strip)형태의 와이퍼 립(27)이 삽입설치되어 있다. 상기 와이퍼 립(27)은 그 후단부(28)가 구슬형태로 두텁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 후단부(28)를 상기 와이퍼 립 지지용 바아(26)에 형성되어 있는 삽입홈(29)에 측방향으로 삽입시켜 설치할 수 있으며, 이 상태에서 와이퍼 립(27)은 상기 상부벽(2)에 대해 평행하게 형성된 슬롯(slot)(30)을 통해 외측으로 돌출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와이퍼 립(27)의 종방향으로의 이동이 방지된다.
상기 슬롯(30)은 상부벽(2)에 대해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 슬롯(30)에 삽입되어 있는 변형되기 전의 수평상태의 와이퍼 립(27)은 상기 상부벽(2)의 선단부(3) 및 하부벽(4)의 선단부(5) 사이를 통해 외부로 돌출하여 상부벽(2)에 대해 평행을 이룬다(제3도 참조). 상기 와이퍼 립(27)의 자유단부는 상부벽(2)의 선단부(3)보다 약간 앞으로 돌출되고, 상기 하부벽(4)의 선단부(5)는 와이퍼 립(27) 및 상부벽(2)의 선단부(3)보다 다소 후방에 배치된다. 상기 와이퍼 립(27)의 자유단부는 단면이 사각형이므로 그 하부측에 날카로운 모서리(31)를 구비한다.
상기 와이퍼 립 지지용 바아(26)의 하측부(32)는 하부벽(4)에 평행하며,상기 슬롯(3) 및 상부벽(2)의 선단부(3)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은 약간 볼록하게 돌출하여 지지면(33)을 형성한다. 상기 하측부(32)의 단면형상은 상기 와이퍼 립 지지용 바아(26)의 전장에 걸쳐 동일한 단면이 되도록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와이퍼 장치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청정대상이 되는 면을 향해 배치된 스프레이 노즐(15)을 이용하여 청정대상면 상에 청정액을 분무한다. 이 스프레이 노즐(15)은 부가의 스위치(16)를 통해 동작된다. 위의 청정액 내에는 세정용 화학약품을 첨가할 수도 있다.
청정액을 청정대상면 상에 분무한 후에는 상기 와이퍼 패드(20)를 이용하여 청정 대상면을 청정시키고, 단단하게 달라붙어 있는 오물은 압력을 가하여 떼어낼 수 있다.
다음에, 본 와이퍼 장치를 뒤집어서 상기 와이퍼 패드(20)가 제1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위로 향하도록 한 다음 청정대상면(34) 상에 와이퍼 립(27)을 접촉시킴과 동시에 스위치(13)를 눌러서 흡입장치를 가동시킨다. 이에 따라 상기 흡입노즐(6)을 통해 대기가 흡입되고, 흡입헤드(1)내에서 흡입류(suction stream)가 생성된다.
청정대상면(34) 상에 상기 와이퍼 립(27)을 접촉시키기 전에는 상기 흡입노즐(6)이 닫혀진 상태로 유지되며, 상기 와이퍼 립(27)을 청정대상면(34)상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상기 흡입헤드(1)를 하향이동시키면, 제5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같이 와이퍼 립(27)이 상향으로 굴곡되면서 흡입노즐(6)이 개방된다. 이와 같이 흡입헤드(1)를 하향이동시킴에 따라 청정대상면(34) 상에 분무된 청정액은 개방되어있는 상기 흡입노즐(6)을 통해 흡입헤드(1) 내로 흡입되고, 이와 동시에 와이퍼 립(27)의 날카로운 모서리(31)가 청정대상면(34)을 따라 미끄러져 내려오면서 청정액을 쓸어내린다. 따라서, 상기 청정대상면(34)을 따라 단 한번만 흡입헤드(1)를 하향이동시켜도 청정 대상면(34)으로부터 청정액을 완전히 제거할 수 있다.
상기 와이퍼 장치를 청정대상면(34)으로부터 분리시키면 상기한 흡입류에 의해 발생되는 흡인력에 의해 와이퍼 립(27)이 하부벽(4)의 선단부(5)에 흡착됨으로써 흡입노즐(6)이 자동폐쇄된다(제4도 참조).
위와 같이 흡입노즐(6)이 와이퍼 립(27)에 의해 폐쇄되면, 흡입장치구동용 전동모터에 소요되는 전력, 즉 구동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으며, 또한 와이퍼장치를 하향으로 유지시키더라도 흡입된 청정액이 밖으로 유출되지 않도록 막아준다.
이러한 흡입노즐의 자동폐쇄작용은, 와이퍼 립(27)을 청정대상면(34)에 대해 가압함에 따라 와이퍼 립(27)이 지지면(33)에 밀착되는 경우에만 흡입노즐(6)이 개방되어진다는 점에서 특히 유리하다. 특히 청정대상면(34)이 평평하지 않은 경우에는 와이퍼 립(27)의 청정작업이 이루어지는 부분만이 만곡을 이룸으로써 그 부분만 개방상태가 되고, 청정대상면(34)에 접촉되지 않음으로서 청정작업이 이루어지지 않는 와이퍼 립(27)의 다른 부분은 거기에서의 공연한 흡입류가 일어나지 않도록 폐쇄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흡입노즐(6)을 통한 흡입작용이 실제로 청정액이 닦여나가는 부분에만 집중되어지게 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와이퍼 장치는 전술한 지지면(33)이 와이퍼 립(27)을 그 전장에 걸쳐 지지해 줌으로써 와이퍼 립(27)이 가요성임에도 불구하고 그 날카로운 모서리(31)가 청정대상면(34)에 대해 정학하게 조절된 압력으로 가압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청정작용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19)

  1. 슬릿형상의 흡입노즐(6) 및 이 흡입노즐(6)의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그 흡입노즐(6)의 한 벽(2)상에 장착되고, 흡입노즐(6)의 흡입류의 영향에 의해 상기 흡입노즐(6)의 대향 벽(4)에 흡착됨으로써 흡입노즐(6)을 폐쇄하도록 구성된 가요성 와이퍼 립(27)을 포함하는, 단단한 표면 특히 창문을 청소하기 위한 와이퍼 장치로서, 상기 흡입노즐(6)의 인접부에 이 흡입노즐에 평행하게 연장된 와이퍼 패드(20)를 구비하고, 청정대상면(34)에 청정액을 가하기 위한 스프레이 노즐(15)을 상기 와이퍼 패드(20)와 동일한 면상에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퍼 립(27)이 상기 흡입노즐(6)을 통해 돌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퍼 립(27)이 변형되지 않은 상태에서 흡입노즐(6)을 형성하는 상기 두 벽(2)(4)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와이퍼 립(27)을 장착하고 있는 상기 벽(2)에는 와이퍼 립(27)의 선단 모서리(31)를 향해 연장된 지지면(33)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와이퍼 립(27)이 변형되어 상기 지지면상에 밀착되는 상기 흡입노즐(6)이 완전히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면(33)이 상기 와이퍼 립(27)의 선단 모서리(31)까지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면(33)이 상기 와이퍼 립(27)의 선단 모서리(31)를 향해 볼록하게 만곡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면의 선단부(3) 및 상기 대향 벽(4)의 선단부(5)가 서로 반대편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노즐(6) 부근의 벽(2)(4)이 흡입방향을 따라 벌어지는 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퍼 패드(20)가 상기 와이퍼 립(27)과 동일한 벽(2)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퍼 패드(20)가 상기 벽(2)으로부터 다양한 거리를 이룰 수 있도록 상기 벽(2) 상에 장착되어 있는 홀더(19)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퍼 패드(20)가 상기 홀더(19)내에 축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레이 노즐(15)이 상기 와이퍼 장치에 대해 기밀을 유지하도록 하여 슬라이드 삽착식 홀더내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레이 노즐(15)을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 스위치(16)가 스프레이 노즐(15)의 반대편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류를 생성하는 흡입장치를 온/오프시키는 스위치(13)가 작동스위치(16)의 인접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노즐(6)의 적어도 하류측 영역이 투명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외부에서 관찰할 수 있음과 동시에 상기 흡입류의 유압에 의해 서로 다른 위치로 회전 이동이 가능한 표시요소(18)를 내부에 장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장치.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가 흡입노즐(6)의 영역을 확장시키는 확장요소(8)에 의해 확장가능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가 그 측부에 확장요소(8)로 교체될 수 있는 착탈가능한 측벽(7)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장치.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노즐(6)이 결합되는 신축가능한 흡입파이프(9)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장치.
KR1019940700234A 1991-08-03 1992-07-23 단단한 표면 특히 창문의 청소용 와이퍼 장치 KR96000545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4125866A DE4125866A1 (de) 1991-08-03 1991-08-03 Hartflaechenwischgeraet, insbesondere fensterwischer
DEP4125866.5 1991-08-03
PCT/EP1992/001688 WO1993002611A1 (de) 1991-08-03 1992-07-23 Hartflächenwischgerät, insbesondere fensterwisch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5453B1 true KR960005453B1 (ko) 1996-04-25

Family

ID=64377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700234A KR960005453B1 (ko) 1991-08-03 1992-07-23 단단한 표면 특히 창문의 청소용 와이퍼 장치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5497530A (ko)
EP (1) EP0597949B1 (ko)
JP (1) JP2598880B2 (ko)
KR (1) KR960005453B1 (ko)
AT (1) ATE129866T1 (ko)
CA (1) CA2114322C (ko)
DE (3) DE4125866A1 (ko)
DK (1) DK0597949T3 (ko)
ES (1) ES2081124T3 (ko)
WO (1) WO199300261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99424A (en) * 1994-10-07 1996-03-19 Senson Investments Limited Cleaning device for hard and flat surfaces
DE19505343A1 (de) * 1995-02-17 1996-08-22 Kaercher Gmbh & Co Alfred Hartflächenreinigungsgerät, insbesondere Fensterwischer
US5819365A (en) * 1995-09-08 1998-10-13 Bissell Inc. Window washing accessory cleaning tool for use with water extraction cleaning machine
US5613272A (en) * 1995-12-19 1997-03-25 Bissell Inc. Accessory crevice tool for use with water extraction cleaning machine
US5615449A (en) * 1996-01-04 1997-04-01 White Consolidated Industries, Inc. Glass cleaning device
US6185781B1 (en) 1999-06-24 2001-02-13 The Hoover Company Hand scrub tool with interchangeable scrub drives
DE29911772U1 (de) * 1999-07-06 1999-09-02 Tien Dieter Reinigungsgerät für glatte Flächen, insbesondere zum Putzen von Fenstern
AU2006216952B2 (en) * 2005-02-18 2010-07-22 S.C. Johnson & Son, Inc. Cleaning implement for windows and hard surfaces with liquid collector
US7533436B2 (en) * 2007-01-08 2009-05-19 Kornelis Vaartjes Multifunction cleaning device for large vehicles such as recreational vehicles and trucks
US20110005025A1 (en) * 2009-07-10 2011-01-13 Thomas Carrington Cleaning system
US8495784B2 (en) 2011-04-21 2013-07-3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evice having dual renewable blades for treating a target surface and replaceable cartridge therefor
US8578543B2 (en) 2011-04-21 2013-11-1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queegee having at least one renewable blade surface for treating a target surface
US20120266915A1 (en) 2011-04-21 2012-10-25 Mark John Steinhardt Plural Zoned Substrate Usable for Treating a Target Surface
US20120266923A1 (en) 2011-04-21 2012-10-25 Mark John Steinhardt Device Having a Renewable Blade Surface For Treating a Target Surface
WO2015121718A1 (en) 2014-02-17 2015-08-20 Spival S.P.A. Dual purpose suction head
EP2992798B1 (en) * 2014-09-04 2019-05-08 Black & Decker Inc. Handheld cleaning device
DE102014116206B3 (de) * 2014-11-06 2016-01-21 Karl Göttler Handreiniger
CN104523197B (zh) * 2014-12-26 2017-01-11 余姚市金星网板厂 一种改进型擦窗器
JP6087388B2 (ja) * 2015-05-20 2017-03-01 日本ビソー株式会社 清掃用スクイジー装置
US11174111B2 (en) * 2017-11-08 2021-11-16 Jm Technologies Llc Apparatus and system for transferring materials and corresponding method of use thereof
GB2584070B (en) * 2019-03-28 2021-10-27 Ivan Lucian A squeegee for use with a vacuum pole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0992A (en) * 1913-11-12 1915-05-25 Emanuel A Martin Pneumatic suction-cleaner.
US2101222A (en) * 1936-02-18 1937-12-07 Mccracken Leonard Oren Vacuum cleaner appliance
GB583102A (en) * 1944-06-20 1946-12-09 R G Dixon & Company Ltd Improved suction squeegee
US2623234A (en) * 1950-10-23 1952-12-30 Alvin I Brown Suction or fluid pressure gutter cleaning apparatus, including a fluid reversing valve
US2905960A (en) * 1953-10-12 1959-09-29 Morse Starrett Products Co Squeegee
US2867835A (en) * 1956-12-28 1959-01-13 Jr Charles K Brown Double acting vacuum and scrubbing head
US3254360A (en) * 1961-11-13 1966-06-07 Whirlpool Co Window washer with vacuum pick-up
US3608126A (en) * 1969-04-28 1971-09-28 Eelco Tacoma Nozzle for a suction cleaner
FR2092707A1 (ko) * 1970-06-10 1972-01-28 Hir J P Le
SE7703589L (sv) * 1976-03-31 1977-10-01 Huther Reto Rengoringsanordning
SE404873B (sv) * 1977-03-30 1978-11-06 Electrolux Ab Signalanordning for dammsugare
US4266317A (en) * 1979-05-18 1981-05-12 John Duda Vacuum cleaning apparatus
US4275478A (en) * 1979-10-01 1981-06-30 Kohlenberger Raymond W Extractor head for cleaning soft surfaces such as carpet or upholstry
DE8019169U1 (de) * 1980-07-17 1981-02-26 Fakir-Werk Wilhelm Kicherer Maschinen- Und Metallwarenfabrik In Muehlacker Gmbh & Co Kg, 7130 Muehlacker Saugduese fuer ein sprueh-extraktionsgeraet
US4475265A (en) * 1983-06-13 1984-10-09 Shop-Vac Corporation Shoe attachment for wet/dry electric vacuum cleaner
CH661649A5 (en) * 1984-01-04 1987-08-14 Alfred Schnetzler Cleaning implement for smooth surfaces, in particular windows, ceilings and walls
US4557013A (en) * 1984-06-18 1985-12-10 Lee Belmont Vacuum coupled squeegee attachment
DE8428799U1 (de) * 1984-09-29 1985-02-14 Engel, Sabine Staub-, nasssauger und spruehextrahierer
FR2572920A1 (fr) * 1984-11-15 1986-05-16 Ouest Reflet Appareil pour le nettoyage de toutes surfaces lisses
IT8423851V0 (it) * 1984-11-21 1984-11-21 Cavalli Alfredo Apparecchio elettrodomestico polifunzionale particolarmente per la pulitura di pavimenti, tappeti e moquettes in opera e simili.
US4776716A (en) * 1986-03-15 1988-10-11 Sunshine Industries, Inc. Cleaning device with pivotable head
US4817233A (en) * 1988-04-22 1989-04-04 Tennant Company Scrubber squeegees for scrubbing forward and backward
US4833752A (en) * 1988-08-08 1989-05-30 Merrick John T Vacuum mop head
EP0381783B1 (de) * 1989-02-03 1992-12-16 LEIFHEIT Aktiengesellschaft Wischgerät
US5001806A (en) * 1989-12-13 1991-03-26 U.S. Products Inc. Kit for fabric cleaning device
DE9016463U1 (ko) * 1990-12-04 1991-02-21 Otto Tuchenhagen Gmbh & Co Kg, 2059 Buechen, De
US5184372A (en) * 1991-01-07 1993-02-09 Mache Gerhard R Vacuum assisted squeegee attachment
US5280666A (en) * 1992-05-19 1994-01-25 Rexair, Inc. Squeegee apparatus for a vacuum cleaner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598880B2 (ja) 1997-04-09
DK0597949T3 (da) 1996-03-04
DE4125866A1 (de) 1993-02-04
WO1993002611A1 (de) 1993-02-18
ATE129866T1 (de) 1995-11-15
DE9210252U1 (ko) 1992-12-03
DE59204276D1 (de) 1995-12-14
US5497530A (en) 1996-03-12
JPH06506136A (ja) 1994-07-14
ES2081124T3 (es) 1996-02-16
CA2114322C (en) 1996-03-26
EP0597949A1 (de) 1994-05-25
DE4125866C2 (ko) 1993-05-13
EP0597949B1 (de) 1995-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05453B1 (ko) 단단한 표면 특히 창문의 청소용 와이퍼 장치
US5280666A (en) Squeegee apparatus for a vacuum cleaner system
JP2003503132A (ja) 平滑面特に窓拭き用清掃器具
US3079623A (en) Vacuum cleaner floor tool
US4413372A (en) Shoe attachment for wet/dry electric vacuum cleaner
US5511278A (en) Cleaner with scent dispensing
US5755240A (en) Device for cleaning dirty nails
CA2018467C (en) Liquid dispensing and suctioning system for surface cleaning
US5499424A (en) Cleaning device for hard and flat surfaces
SE9902495D0 (sv) Golvmunstycke för dammsugare
CN101511249A (zh) 用于硬地面的地板吸嘴
US2619669A (en) Suction nozzle having nozzle area control and surface agitating means
JP2000342491A (ja) 吸引掃除機用の液体吸引ノズル
JP2002238820A (ja) 床面洗浄機用スキージ
JP4893555B2 (ja) 洗面化粧台
KR200344436Y1 (ko) 청소기
CN217244072U (zh) 一种清洁机系统
JPH0825891A (ja) 黒板拭き装置
CN215937192U (zh) 防滴水的窗擦
JP5129538B2 (ja) 洗面化粧台
CN213248821U (zh) 表面清洁设备
CN110901267B (zh) 雾化吸尘干湿两用黑板擦
JP4677324B2 (ja) 給液式ガラスワイパー
KR200166132Y1 (ko) 터빈 블레이드를 이용한 물걸레 청소를 겸할 수 있는 진공 청소기구
KR200389069Y1 (ko) 세제액 공급장치가 구비된 청소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031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