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4898B1 - 라켓 손잡이 성형체 및, 그를 구비한 테니스 라켓 - Google Patents

라켓 손잡이 성형체 및, 그를 구비한 테니스 라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4898B1
KR960004898B1 KR1019920026586A KR920026586A KR960004898B1 KR 960004898 B1 KR960004898 B1 KR 960004898B1 KR 1019920026586 A KR1019920026586 A KR 1019920026586A KR 920026586 A KR920026586 A KR 920026586A KR 960004898 B1 KR960004898 B1 KR 9600048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member
lower layer
racket
handle
conca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265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제인스 리챠드
Original Assignee
젠코프 인코포레이티드
프랭크 씨. 로오트 쥬니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젠코프 인코포레이티드, 프랭크 씨. 로오트 쥬니어 filed Critical 젠코프 인코포레이티드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48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489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49/00Stringed rackets, e.g. for tennis
    • A63B49/02Frames
    • A63B49/08Frames with special construction of the handl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0/00Details or accessories of gol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60/06Handles
    • A63B60/08Handl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0/00Details or accessories of gol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60/54Details or accessories of gol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with means for damping vib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0/00Details or accessories of gol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60/06Hand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0/00Details or accessories of gol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60/06Handles
    • A63B60/10Handles with means for indicating correct holding 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0/00Details or accessories of gol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60/48Details or accessories of gol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with corrugated cross-se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 Golf Club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라켓 손잡이 성형체 및, 그를 구비한 테니스 라켓
제 1 도는 강성의 통상 8각형의 플라스틱 하층 부재와, 그와 짝을 이루는 형상을 갖고 취부된 슬립(slip) 또는 저압 케스트(cast)-성형된 연성의 플라스틱 상층 부재로 이루어진 종래 기술의 손잡이 성형체의 횡단면도.
제 2 도는 라켓 압축 성형 과정중 형성된 8각형의 강성 플라스틱 손잡이 성형체로 이루어진 또 다른 종래 기술의 손잡이 성형체의 횡단면도.
제 3 도는 라켓 헤드와 단일체로 형성된, 본 발명의 손잡이 성형체의 강성이 하층 부재의 부분사시도.
제 4 도는 하층 부재상에 취부된 본 발명의 손잡이 성형체의 연성의 상층 부재와, 이 상층 부재 주위에 감겨진 플라스틱 파지부를 나타내는, 제 3 도와의 유사도.
제 5 도는 손잡이 성형체의 강성의 하층 부재의 평면도.
제 6 도는 제 5 도의 손잡이 성형체의 하층 부재의 측면도.
제 7 도는 본 발명의 손잡이 성형체의 하층 부재를 나타내는, 제 5 도의 선 7-7에 따른 단면도.
제7a도는 본 발명의 손잡이 성형체의 횡단면도.
제7b도는 플라스틱 파지부가 감겨져 있는 제7a도와의 유사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손잡이 성형체 11 : 테니스 라켓 헤드 또는 프레임
12 : 하층 부재 13 : 상층 부재
14,14' : 정면부 15,15' : 측면부
16,16' : 모서리면부 18 : 격벽
25 : 돌출부 27 : 파지부
본 발명은 라켓 손잡이 특히 테니스 라켓 손잡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좀 더 상세하게는, 경량화와, 충격 흡수성 및, 식별성이 모두 개량된 테니스 라켓 손잡이에 관한 것이다.
지금까지 공지된 테니스 라켓 손잡이는 통상적으로, 라켓 압축 성형과정중 예-성형된 경질의 복합재로 형성되어 있다. 이어서, 완성 가공된 손잡이 성형체의 크기를 한정하는 주형 내에 예-성형된 손잡이를 놓는다. 손잡이 성형체를 형성하는데 이용되는 물질은 강성의 셀-형식의 폴리우레탄 발포성 물질로서, 동물질을 저압 주형기를 통해 손잡이 성형체 주형 공동부 내로 도입시킨다. 이러한 성형과정중, 종래의 헤드 경량 균형조건(head light blance condition) 특성을 만족키 위해 폴리우레탄 발포물질의 사출전에 손잡이에 약 10~20g의 납을 첨가해 주어야 하므로, 이러한 과정을 통해 제조된 손잡이 성형체는 비교적 무겁다. 또한 이러한 손잡이 성형체는 쇼어 D경도 약 40을 갖는 상당한 경질체이다. 이러한 강성은 8면체 또는 단면이 8각형 형상인 손잡이 성형체의 모서리부가 경질이며, 가죽 또는 합성재 파지부로 덮여지더라도, 운동하는 사람의 손에 의한 손잡이의 조작을 통해 테니스 라켓면의 방향의 식별이 용이하도록 유지되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러한 테니스라켓 손잡이는 충격 흡수성이 나쁘고, 헤드이 중량 균형 조건 특성에 대해 너무 무겁게 된다.
근년에는, 전술한 경질의 손잡이 성형체상에 연성이며 좀더 탄성적인 물질이 성형 및 슬립되는 변형된 손잡이 성형체가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손잡이 성형체는 그의 탄성 슬립부가 쇼어 A경도 약 60을 갖는 연성으로 인해 매우 충격 흡수적이다. 이러한 외측 손잡이 성형부는 폴리우레탄을 저압 케스트 성형하거나, 그 이후의 제조단계에서 손잡이상에 크레톤(KRATON : 등록상표) 고무를 사출 성형하여 제조된다. 외측의 연성의 손잡이 성형부를 폴리우레탄 또는 크레톤(등록상표) 고무중의 어느 물질로 형성하더라도, 이들 물질은, 전 손잡이 성형체를 성형하기 위한 종전의 바람직한 물질인 경질의 셀 폴리우레탄 발포물질 보다 더 무거우므로, 헤드 경량 균형 조건을 얻기 위해서는 훨씬 작은 납중량이 필요하다. 그러나, 이러한 라켓 손잡이는 손잡이 성형체의 연성 외측부로 인해 손잡이의 식별력이 상당히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라켓 손잡이 역시 헤드의 중량 균형 조건 특성에 대해서는 너무 무겁다. 제 1 도에는 이러한 라켓 손잡이의 일예로서, 미국 특허 제4,984,793호와 제4,989,870호에 개시된 것이 도시되어 있다.
수년동안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또 다른 손잡이 성형체 구성으로는, 라켓 압축 성형 과정중에 8각형 손잡이 성형체를 동시에 성형하는 것이 있다. 복합재의 라켓 헤드관은 손잡이 성형체 형상을 갖도록 설계되어 있으므로, 손잡이 성형체를 완성하기 위해 필요한 전술한 바의 모든 부수적 과정이 배제된다. 이러한 단일의 공정 방법은 우수한 식별성을 갖게 하는 매우 경질의 손잡이 성형체를 제공하고, 또한 헤드 중량 균형 조건 특성에 적합한 매우 경량의 손잡이를 제공하나, 이러한 손잡이는 통상적으로 많은 운동하는 사람들로 부터, 손잡이가 과도한 충격을 운동하는 사람의 손에 전달한다고 하는 불평을 유발한다. 제 2 도에는 이러한 라켓 손잡이의 일예로서, 미국 특허 제3,702,701호에 개시된 것이 도시되어 있다. 테니스 라켓 디자이너들은 현재 타점의 중심이 라켓의 헤드에서 매우 낮아지는 또 다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심하고 있다. 타점의 중심을 테니스 라켓의 헤드의 말단부를 향해 높이기 위해서는, 헤드 중량 균형 조건을 일으키는 헤드면에 대부분의 질량을 집중시키도록 라켓 손잡이가 경량이 되어야 한다. 이러한 조건을 충족키 위해서는, 경량의 손잡이를 이용하여야 하며, 전술한 바와같이, 현재 이용되는 경량의 손잡이는 매우 경질이므로, 우수한 식별성이 제공됨에도 불구하고, 바람직하지 않은 높은 수준의 충격을 운동하는 사람의 손에 전달해 준다.
본 발명의 목적은 라켓의 타점 중심이 바람직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경량이며, 우수한 식별성과, 운동하는 사람에의 충격 흡수성이 우수한 계량된 테니스 라켓 손잡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손잡이 성형체의 연질의 외측부가 운동중에 그의 모서리면부에서 변위하지 않는 라켓 손잡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효율적이고 경제적으로 제조할 수 있고, 내구성이 우수한 라켓 손잡이 성형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과 장점은 본 발명의 라켓 손잡이 성형체에 의해 얻어지며, 동 손잡이 성형체는, 약 4 내지 10면의 통상 다각형 단면부를 갖고, 상기한 면의 각각에는 1쌍의 이격된 가늘고 긴 모서리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면중의 1 이상의 면은 오목형의 외면을 갖고, 상기 오목한 면의 가늘고 긴 모서리면부는 각각 인접한 가늘고 긴 각각의 모서리면부와의 접합면에서 돌출부를 형성하는 가늘고 긴 강성의 하층 부재와, 상기 하층 부재 주위에 위치하며, 하층 부재의 면수에 대응하는 면수로 된 통상 다각형 단면부를 갖는 가늘고 긴 탄성의 상층 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층 부재의 각각의 외면은 평탄하며, 상기 상층 부재의 내면은 하층 부재의 외면과 짝을 이루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에 대하여 좀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을 통해 유사 부분은 유사한 부호를 사용키로 한다.
제7a도에는, 본 발명의 손잡이 성형체가 부호(10)로 표시되어 있으며, 동 손잡이 성형체는 제 4 도의 테니스 라켓 헤드 또는 프레임과 조합하여 사용토록 되어 있다. 손잡이 성형체(10)는 강성의 하층 부재(12)와, 이 하층 부재(12)의 외면상에 배치되는 연성 또는 탄성의 상층 부재(13)를 구비한다.
좀더 상술하면, 하층 부재(12 : 제 3 도, 제 5 도, 제 6 도 및 제 7 도)는 테니스 라켓 헤드(11)의 성형중에 단일의 압축-성형과정으로 형성되는 단일체의 가늘고 긴 중공의 성형 부재이며, 단일체의 손잡이 성형체 하층 부재/라켓 헤드제품을 형성한다. 강성의 하층 부재(12)는 쇼어 D경도로 35 이상, 바람직하기는 45 이상의 경도를 갖는다. 하층 부재(12)는 플라스틱 복합재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에폭시 수지 복합재가 더욱 바람직하다. 하층 부재(12)는 통상 8각형 형상을 가지며, 서로 이격된 1쌍의 대향 정면부(14)와, 상기 대향 정면부(14)와 90°를 이루며 배치되어 서로 이격된 1쌍의 측면부(15) 및, 상기 정면부와 측면부 사이를 연결하며 신장하는 복수개의 모서리면부(16)를 구비한다. 또한, 손잡이 성형체(10)의 하층 부재(12)의 전장에 걸쳐 상기 정면부(14)의 중앙부를 서로 연결하여 신장하는 가늘고 긴 벽부(17)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벽부(17)는 면부(14,15,16)들에 의해 한정되는 하층 부재(12)의 중공부를 1쌍의 격벽(18)으로 분리하며, 부재(12) 특히, 정면부(14)를 지지하도록 되어 있다. 제 3 도 내지 제 6도에 상세히 도시된 바와같이, 라켓 헤드(11)에 인접한 하층 부재(12)의 단부(19)는 테이퍼져 있다. 하층 부재(12)의 단부의 원주를 이렇게 감소시켜줌으로써, 손잡이 성형체(10)의 전체 중량을 작게할 수 있다. 손잡이 성형체(10)의 상기 부위는 운동하는 사람에 의해 파지되는 부분이 아닐뿐만 아니라, 손잡이 성형체와 라켓 헤드와의 강한 접합을 제공하기에 충분할 정도로 하층 부재 단부(19)의 원주를 작게해 주면 되므로, 라켓 헤드(11)에 인접한 단부의 원주를 크게 해줄 필요가 없다.
본 발명의 주요한 특징중의 하나는, 손잡이 성형체의 하층 부재(12)의 정면부(14)와 모서리면부(16)의 각각이 오목한 형상으로 되어 있어, 서로 이격된 각각의 모서리면부(16)와 각각의 정면부(14) 또는 측면부(15)와의 접합면이 외측으로 돌출하는 돌출부(25)로 형성되어 있는 점이다. 측면부(15)는 각각 직선상의 평탄부로 되어 있다. 이하, 하층 부재(12)를 이렇게 특별한 구조로 한 목적에 대하여 좀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손잡이 성형체(10)의 연성의 충격-흡수성 상층 부재(13 : 제 4 도 및 제 7a 도)는 단일체의 가늘고 긴 성형부재로서, 라켓 헤드(11)와 하층 부재를 형성하는 압축 성형 단계에 이은 저압 케스트 성형단계에서 하층 부재(12) 상에 직접 성형하거나, 하층 부재/라켓 헤드와는 별개로 행해지는 단계에서 사출 또는 반응사출(reaction injection) 성형하며 이어서 하층 부재상에 슬립시켜 형성할 수 있다. 후자의 슬립 방법의 경우, 상층 부재(13)가 하층 부재(12)상에 마찰에 의해 취부되지만, 하층 부재의 외면에 적당한 접착제를 도포하여 상층 부재를 고착시킨다. 또한, 하층 부재의 각 면부에 오목한 형상을 둠으로서, 운동중에 상층 부재(13)가 하층 부재 상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연성 또는 탄성의 상층 부재(13)는 쇼어 A 경도 약 40 내지 약 60, 바람직하기는 약 55 내지 약 65, 특히 바람직하기는 약 60을 갖는다. 상층 부재(13)는 사출성형된 크레톤(등록상표) 탄성체 또는 염화폴리비닐 또는, 반응 사출 성형 또는 케스트 성형된 폴리우레탄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경우 폴리우레탄은 선택물질이다. 상층 부재(13)는 통상 8각형 형상을 가지며, 서로 이격된 1쌍의 대향 정면부(14')와, 상기 대향 정면부(14')와 90°를 이루며 위치하는 서로 이격된 1쌍의 측면부(15') 및, 상기 각각의 정면부 및 측면부와 상호 연결되어 신장하는 복수개의 모서리면부(16')를 구비한다. 제 7a 도에 상세히 도시된 바와같이, 상층 부재(13)의 내면은 하층 부재(12)의 외면의 형상과 짝을 이루는 형상을 가지며, 그에따라, 상층 부재(13)가 하층 부재(12)에 대해 긴밀하게 마찰 결합된다. 상층 부재(13)의 각 면부(14',15',16')의 외면은 선형적으로 평탄하다.
당업계의 숙련자들에게 잘 공지되어 있는 형식의 플라스틱 또는 가죽 파지부(27 : 제 4 도 및 제 7b 도)가 테니스 운동하는 사람의 손의 파지면을 제공하도록 상층 부재(13)의 외면상에 공지된 방법으로 감싸여진다. 파지부(27)는 폴리우레탄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층 부재(13)와 파지부(27)는 하층 부재(12)의 단부(19)까지만 신장하는데, 이는 그의 충격 흡수성과 파지기능이 하층 부재의 당해 부분에는 불필요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손잡이 성형체(10)이 주요한 장점과는 달리, 제 1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연성의 외층 부재를 사용함으로써 충격 흡수성이 개선된 종래의 손잡이 성형체는 낮은 식별성과 과도한 중량을 갖는다. 과도한 중량은 제 1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손잡이 성형체(P)의 비교적 경량의 강성의 하층 부재(U) 상에 배치된 두꺼운 연성의 상층 부재(O) 상에 의해 야기된다. 상층 부재(O)를 설치하여, 테니스복을 때릴 때 운동하는 사람의 손에 미치는 충격을 흡수하지만, 충격을 흡수하기 위해 필요한 탄성 또는 연성의 상층 부재(O)의 두께로 인해, 운동하는 사람은 강성의 8각형 하층 부재(U)에 의해 통상적으로 제공되는 식별력을 잃게 된다.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하층 부재(U)의 이격된 정면부(F)는 운동하는 사람으로 하여금 라켓의 정면부의 방향을 인식케하는 기능을 갖는 반면, 그 보다 길이가 짧은 측면부(E)는 라켓의 측부를 인식케 한다. 물론, 모서리면부(C)는 천이구역으로 운동하는 사람에게 보조적으로 식별력을 제공한다. 그러나, 연성의 상층 부재(O)의 두께가 과도할 경우, 하층 부재(U)의 식별 기능이 상당히 감소한다.
제 2 도에 도시된 또다른 종래 기술의 손잡이 성형체(P') 역시, 제 1 도에 도시된 손잡이 성형체(P)의 하층 부재(U)와 유사하게 8각형의 강성 부재로 되어 있다. 제 2 도에 도시된 손잡이 성형체(P')는 경량으로써, 우수한 식별성을 제공하지만, 연성의 외층부재가 없어, 볼을 때릴때 발생된 충격이 운동하는 사람의 손에 직접 절달되므로 대부분의 테니스 운동하는 사람에게는 바람직하지 않은, 충격 흡수성의 저하를 초래한다.
본 발명의 손잡이 성형체(10)는 경량으로써, 우수한 충격 흡수성과, 우수한 식별성을 제공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같은 바람직한 본 발명의 특성은 다음과 같은 손잡이 성형체(10)이 구성에 의해 달성된다. 하층 부재(12)의 정면부(14)와 모서리면부(16)를 오목하게 설계함에 따라, 각각의 모서리면부(16)와 그에 인접한 정면부와 측면부(14,15)와의 각 단부의 접합면에 외측으로 돌출하는 돌출부(25)가 형성되며, 이에 따라, 연성의 상층 부재(13)가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우수한 식별성을 갖게 된다. 이것은, 하층 부재의 오목/돌출부 구성에 의해, 대부분의 운동하는 사람이 정면부(14)와 모서리면부(16)에 연하여 그들의 손가락에 힘을 가해줌으로써, 충격이 운동하는 사람의 손에 대부분 전달되는 손잡이 성형체 부위의 정면부(14)와 모서리면부(16)에 연하여 상층 부재(13)가 가장 두꺼워지게 되어 있다. 이와 반대로, 식별이 중요한 부위 즉, 상층 부재(13)내로 날카롭게 돌출하는 돌출부(25)와, 충격 흡수성이 중요하지 않은 측면부(15)에 연하여, 상층 부재(13)는 가장 얇은 두께를 갖도록 되어 있다. 충격 흡수성을 유지하면서, 상층 부재(13)의 두께를 변화시켜, 손잡이 성형체(10)의 특정부위의 두께를 감소시킴으로써, 손잡이 성형체(10)의 전체 중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날카롭게 형성된 돌출부(25)로 인한 식별성에 따라, 운동하는 사람은 운동중 소정의 파지부에 대한 그의 손의 위치를 용이하게 파악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하층 부재(12)의 측면부(15)를 평탄하게 함으로써, 압축 성형된 하층 부재의 취출이 용이해진다.
본 발명의 손잡이 성형체(10)의 하층 및 상층 부재(12,13)는, 본 발명의 개념에 영향을 주지 않는 한, 약 4면 내지 약 10면의 임의의 다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손잡이 성형체(10)는 본 발명의 개념에 악영향을 주지 않고, 테니스 라켓 이외의 용도 예컨대 배드민턴 라켓 또는 라켓볼 라켓 등으로 이용될 수도 있다.
지금까지, 최량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키 위한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를 일탈하지 않고 여러가지의 변형이 가능할 것으로 본다.

Claims (15)

  1. 약 4면 내지 10면의 다각형 형상의 단면을 가지며, 상기 각각의 면부는 이격된 가늘고 긴 1쌍의 측면부를 갖고, 상기 면부의 적어도 1면 이상은 통상 오목한 형상의 외면을 갖고, 또한 상기 오목한 형상의 면부와 그에 인접한 각각의 면부와의 접합면에는 돌출부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 가늘고 긴 강성의 하층 부재와, 상기 하층 부재 주위에 배치되며, 상기 하층 부재의 수효에 상당하는 수효의 면부로 된 다각형 형상의 단면부를 가지며, 또한 각 면부가 통상적으로 평탄한 외면을 가지며, 상기 하층 부재의 외면과 짝을 이루는 내면을 갖는 가늘고 긴탄성의 상층 부재로 이루어지는 라켓 손잡이 성형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층 부재의 이격된 1쌍 이상의 면은 통상 오목한 형상의 외면을 가지며, 상기 하층 부재는 쇼어 C 경도 약 35 이상의 물질로 형성되고, 상기 상층 부재는 쇼어 A 경도 약 45 내지 80의 물질로 형성되는 라켓 손잡이 성형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층 부재의 측면부는 통상 평탄한 외면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상층 부재는 쇼어 A 경도 약 55 내지 65를 갖는 라켓 손잡이 성형체.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하층 부재는 8면으로 되어 있고, 상기 하층 부재는 통상 균일한 두께를 갖고, 상기 상층 부재는 통상 가변적인 두께를 가지며, 상기 하층 부재는 쇼어 C 경도 약 40 이상을 갖고, 상기 상층 부재는 쇼어 A 경도 약 60을 갖는 라켓 손잡이 성형체.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하층 부재는 플라스틱 복합재로 형성되고, 상기 상층 부재는 탄성체 또는 플라스틱으로된 물질로 형성되며, 상기 하층 부재중의 6면은 각각 오목한 형상의 외면을 갖고, 2면은 각각 평탄한 외면을 갖는 라켓 손잡이 성형체.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하층 부재는 에폭시 수지 복합재로 형성되고, 상기 상층 부재는 스티렌-부타디엔 탄성체, 염화 폴리비닐, 또는 폴리우레탄으로 이루어진 물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층 부재중 평탄한 외면을 갖는 2면은 라켓 헤드의 측면부에 통상 평행하며, 상기 하층 부재중 오목한 형상의 외면을 갖는 6면중 2면은 상기 평탄면부와 90°로 배치됨과 아울러 서로 180°로 배치되어, 상기 라켓 헤드의 정면부에 통상평행하며, 상기 라켓 헤드의 정면부에 통상 평행한 상기 2개의 오목한 형상의 외면부는 동일한 길이를 갖고, 또한 동일한 길이로 된 상기 하층 부재의 여타의 6개의 면 보다 더 긴 길이를 가지며, 상기 하층 부재의 오목한 형상의 외면을 갖는 정면부의 중앙부에는 가늘고 긴 지지벽이 일체로 성형되어 있는 라켓 손잡이 성형체.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상층 부재는 폴리우레탄으로 형성되며, 상기 폴리우레탄 상층 부재는 상기 하층 부재상에 저압 케스트 성형되거나, 별도로 성형된 상기 하층 부재에 반응 사출 성형되어 마찰취부 및 접착되어 있는 라켓 손잡이 성형체.
  8. 끈으로 엮어지는 또는 프레임과, 손잡이로 이루어지며, 상기 손잡이는, 약 4면 내지 10면의 다각형 형상의 단면을 가지며, 상기 각각의 면부는 이격된 가늘고 긴 1쌍의 측면부를 갖고, 상기 면부의 적어도 1면 이상은 통상 오목한 형상의 외면을 갖고, 또한 상기 오목한 형상의 면부와, 그에 인접한 각각의 면부와의 접합면에는 돌출부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 가늘고 긴하층 부재와, 상기 하층 부재에 배치되며, 상기 하층 부재의 수효에 상당하는 수효의 면부로 된 다각형 형상의 단면부를 가지며, 또한 각 면부가 통상적으로 평탄한 외면을 가지며, 상기 하층 부재의 외면과 짝을 이루는 내면을 갖는 가늘고 긴 탄성의 상층 부재를 구비하는 테니스 라켓.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하층 부재의 이격된 1쌍 이상의 면은 통상 오목한 형상의 외면을 가지며, 상기 하층 부재는 쇼어 C경도 약 35 이상의 물질로 형성되고, 상기 상층 부재는 쇼어 A 경도 약 45 내지 80의 물질로 형성되는 테니스 라켓.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하층 부재의 측면부는 통상 평탄한 외면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상층 부재는 쇼어 A 경도 약 55 내지 65를 갖는 테니스 라켓.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하층 부재는 8면으로 되어 있고, 상기 하층 부재는 통상 균일한 두께를 갖고, 상기 상층 부재는 통상 가변적인 두께를 가지며, 상기 하층 부재는 쇼어 C 경도 약 40 이상을 갖고, 상기 상층 부재는 쇼어 A 경도 약 60을 갖는 테니스 라켓.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하층 부재는 플라스틱 복합재로 형성되고, 상기 상층 부재는 탄성체 또는 플라스틱으로된 물질로 형성되며, 상기 하층 부재중의 6면은 각각 오목한 형상의 외면을 갖고, 2면은 각각 평탄한 외면을 갖는 테니스 라켓.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하층 부재는 에폭시 수지 복합재로 형성되고, 상기 상층 부재는 스티렌-부타디엔 탄성체, 염화 폴리비닐, 또는 폴리우레탄으로 이루어진 물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층 부재중 평탄한 외면을 갖는 2면은 라켓 헤드의 측면부에 통상 평행하며, 상기 하층 부재중 오목한 형상의 외면을 갖는 6면중 2면은 상기 평탄면부와 90°로 배치됨과 아울러 서로 180°로 배치되어, 상기 라켓 헤드의 정면부에 통상 평행하며, 상기 라켓 헤드의 정면부에 통상 평행한 상기 2개의 오목한 형상의 외면부는 동일한 길이를 갖고, 또한 동일한 길이로 된 상기 하층 부재의 여타의 6개의 면 보다 더 긴 길이를 가지며, 상기 하층 부재의 오목한 형상의 외면을 갖는 정면부의 중앙부에는 가늘고 긴 지지용 벽부가 일체로 성형되어 있는 테니스 라켓.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상층 부재는 폴리우레탄으로 형성되며, 상기 폴리우레탄 상층 부재는 상기 하층 부재상에 저압 케스트 성형되거나, 별도로 성형된 상기 하층 부재에 반응 사출 성형되어 마찰취부 및 접착되어 있는 테니스 라켓.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상층 부재는 스티렌-부타디엔 탄성체 또는 염화 폴리비닐로 사출 성형되며, 상기 상층 부재는 별도로 성형된 상기 하층 부재에 마찰 취부 및 접착되어 있는 테니스 라켓.
KR1019920026586A 1991-12-30 1992-12-30 라켓 손잡이 성형체 및, 그를 구비한 테니스 라켓 KR96000489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7/815,109 US5269516A (en) 1991-12-30 1991-12-30 Racquet handle
US07/815,109 1991-12-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4898B1 true KR960004898B1 (ko) 1996-04-17

Family

ID=252168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26586A KR960004898B1 (ko) 1991-12-30 1992-12-30 라켓 손잡이 성형체 및, 그를 구비한 테니스 라켓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269516A (ko)
EP (1) EP0550253A1 (ko)
JP (1) JPH0663182A (ko)
KR (1) KR960004898B1 (ko)
CA (1) CA2086187A1 (ko)
MX (1) MX9207652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6002385A1 (en) * 1994-07-15 1996-02-01 H.B. Fuller Licensing & Financing, Inc. Non-skid water based coating
US6106418A (en) * 1994-12-23 2000-08-22 Hagey; Edward H. Contoured grip for a racquet
US5931749A (en) * 1994-12-23 1999-08-03 Hagey; Edward H. Contoured grip for a racquet
US5671926A (en) * 1994-12-23 1997-09-30 Hagey; Edward H. Tennis racket with enhanced hand grip
US6017283A (en) * 1994-12-23 2000-01-25 Hagey; Edward H. Contoured grip for a racquet
US6213902B1 (en) 1994-12-23 2001-04-10 Edward H. Hagey Contoured grip for a racquet
EP0737492A1 (de) * 1995-04-15 1996-10-16 Wilson Sporting Goods Company Schläger für Tennis od. dgl. Spiele
US5651545A (en) * 1995-06-07 1997-07-29 Roush Anatrol, Inc. Vibration damping device for stringed racquets
US5655975A (en) * 1995-06-07 1997-08-12 Roush Anatrol, Inc. Golf club having vibration damping device and method for making same
US5944617A (en) * 1995-11-20 1999-08-31 Pendulum Corporation Vibration absorbing material for handles of sporting equipment
US5935027A (en) 1995-12-28 1999-08-10 Roush Anatrol, Inc. Multi-mode vibration absorbing device for implements
US6149538A (en) * 1996-07-19 2000-11-21 Tiura; Oliver Handle for striking device
US5669835A (en) * 1996-07-19 1997-09-23 Tiura; Oliver Racket handle
US5749798A (en) * 1996-08-15 1998-05-12 Wilson Sporting Goods Co. Racket for tennis or the like games
US5931748A (en) * 1998-06-09 1999-08-03 Hsieh; Chih-Ching Shock-absorbing racket handle
US6231456B1 (en) 1999-04-05 2001-05-15 Graham Rennie Golf shaft vibration damper
DE19946011A1 (de) * 1999-08-05 2001-02-08 Alusuisse Tech & Man Ag Verfahren zum Umformen eines Ausgangsprofils od. dgl. Werkstücks mittels eines Innenhochdruckes sowie Profil dafür
US8142382B2 (en) 2001-08-27 2012-03-27 Matscitechno Licensing Company Vibration dampening material and method of making same
US7171697B2 (en) * 2001-08-27 2007-02-06 Sting Free Company Vibration dampening material and method of making same
US8545966B2 (en) 2001-08-27 2013-10-01 Matscitechno Licensing Company Vibration dampening material and uses for same
US20060157901A1 (en) 2001-08-27 2006-07-20 Sting Free Company Vibration dampening material and method of making same
US20030228818A1 (en) * 2002-06-07 2003-12-11 Innercore Grip Company Material adapted to dissipate and reduce vibrations and method of making same
US7150113B2 (en) 2001-08-27 2006-12-19 Sting Free Technologies Company Vibration dampening material and method of making same
US6652398B2 (en) 2001-08-27 2003-11-25 Innercore Grip Company Vibration dampening grip cover for the handle of an implement
US8413262B2 (en) 2004-05-28 2013-04-09 Matscitechno Licensing Company Sound dissipating material
US6880269B2 (en) 2001-10-16 2005-04-19 Sting Free Company Athletic clothing with sting reduction padding
US6872157B2 (en) 2002-02-05 2005-03-29 Sting Free Company Sting minimizing grip for a hand held swinging athletic contact making article
US6935975B2 (en) * 2003-04-10 2005-08-30 Wilson Sporting Goods Co. Racquet with channeled handle for receiving racquet string
WO2008014608A1 (en) * 2006-08-04 2008-02-07 Oliver Tiura Handle with air conditioning system for racket, paddle or tool
US8038133B2 (en) * 2007-09-13 2011-10-18 Mcpherson Mathew A Coaxial tube damper
JP5048608B2 (ja) * 2008-07-31 2012-10-17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競技用スティック
JP5638364B2 (ja) * 2010-11-30 2014-12-10 美津濃株式会社 テニスラケットグリップ
US8323130B1 (en) * 2011-08-11 2012-12-04 Wilson Sporting Goods Co. Racquet handle assembly including a plurality of support members
US8449411B2 (en) * 2011-08-11 2013-05-28 Wilson Sporting Goods Co. Racquet handle assembly including a plurality of support members
US9360271B1 (en) 2013-03-14 2016-06-07 Mcp Ip, Llc Vibration damper
US10864405B2 (en) * 2017-11-03 2020-12-15 Larry Pulliam Exercise bar with hexagonal grip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90930153A (en) * 1909-12-24 1910-06-23 Charles Henry Wratten Improvements in Handles for Cricket Bats, Hockey Sticks, and the like.
US2103889A (en) * 1933-07-20 1937-12-28 Kroydon Company Golf club handle
US2280382A (en) * 1940-11-19 1942-04-21 Theophilus A Davis Racket handle
GB651817A (en) * 1948-10-14 1951-04-11 Bluemel Brothers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tubular handle grips
US3702701A (en) * 1969-08-28 1972-11-14 Maark Corp Metal tennis racket with plastic throat piece and molded plastic handle
US4072312A (en) * 1976-01-20 1978-02-07 Benjamin Kahn Tennis racquet handle constructions
US4180264A (en) * 1977-04-25 1979-12-25 Acro, Inc. Racket handle and method of making same
US4989870A (en) * 1988-05-16 1991-02-05 Spalding & Evenflo Companies, Inc. Tennis racket
DE3928907C2 (de) * 1989-09-05 1994-04-14 Dennis Chen Tennisschläger
US5088734A (en) * 1990-07-09 1992-02-18 Glava Gary L Attenuating handle for recreational and work implemen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269516A (en) 1993-12-14
EP0550253A1 (en) 1993-07-07
CA2086187A1 (en) 1993-07-01
JPH0663182A (ja) 1994-03-08
MX9207652A (es) 1993-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04898B1 (ko) 라켓 손잡이 성형체 및, 그를 구비한 테니스 라켓
US5042804A (en) Hand grip for sporting equipment or tools
US5374059A (en) Shock absorbing grip for racquets and the like
US4763899A (en) Warm-up bat
US20160184679A1 (en) Neck cover for a sports paddle and method of manufacture
US20050233833A1 (en) Golf club head
US5865686A (en) Golf club swing training device and method
US6017283A (en) Contoured grip for a racquet
US5913740A (en) Flat beam aerodynamic tennis racquet
US6106418A (en) Contoured grip for a racquet
CA1140609A (en) Racquet handle
JPH062172B2 (ja) 打球用運動具
US7140984B2 (en) Racket for ball games and production process
JP2648852B2 (ja) テニスラケットフレーム
US20070021232A1 (en) Shock-dampening golf club grip
JP4253072B2 (ja) ラケット
JP2943660B2 (ja) ラケット
CN217661381U (zh) 一种三片式板式网球拍
JP3246408U (ja) ゴルフ練習具
JP3068047U (ja) ラケット
US10799771B2 (en) Racquet flex control device
JPS6327735Y2 (ko)
JP2004081298A (ja) ラケットフレーム
JP4393818B2 (ja) トレーニング用バット
JPS6110709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