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4434Y1 - 자동세차기 - Google Patents

자동세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4434Y1
KR960004434Y1 KR2019930030655U KR930030655U KR960004434Y1 KR 960004434 Y1 KR960004434 Y1 KR 960004434Y1 KR 2019930030655 U KR2019930030655 U KR 2019930030655U KR 930030655 U KR930030655 U KR 930030655U KR 960004434 Y1 KR960004434 Y1 KR 96000443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water
water supply
wire rope
automatic c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3065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8170U (ko
Inventor
김승환
Original Assignee
엘지산전 주식회사
이종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산전 주식회사, 이종수 filed Critical 엘지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30030655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4434Y1/ko
Publication of KR95001817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817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443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4434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3/00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 B60S3/04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for exteriors of land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Cleaning, Maintenance, Repair, Refitting, And Outrigg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동세차기
제1도는 종래 자동세차기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정면도.
제3도는 종래의 자동차 하부 세착 작업을 나타낸 예시도.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세차기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제5도는 제4도의 측면도.
제6도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 하부 세차 장치 부분의 평면도.
제7도는 제6도의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본체 22 : 배수로
24 : 모터 25 : 구동활차
26 : 종동활차 27 : 와이어로프
28 : 송수관 29 : 하부 급수호스
31 : 받침틀 32 : 결속쇠
33 : 드레인밸브 34 : 분사노즐
35 : 바퀴
본 고안은 자동세차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동차의 외형을 이루는 상부면과 양측면은 물론 자동차의 하부까지 자동으로 세차할 수 있는 자동세차기에 관한 것으로써, 좀더 구체적으로는 동절기에 세차기가 동파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종래의 자동세차기는 제1도와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동차가 출입할 수 있도록 중앙부에 공간이 형성된 본체(1)와, 상기 본체의 상부에 회동 가능하게 아암(2)으로 연결함과 동시에 회전 운동하는 톱브러시(3)와, 상기 본체의 측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사이드 브러시(4) 및 로커브러시(5)와, 상기 본체의 상부 및 측면부에 설치되어 공기를 분사하는 공기노즐(6)과, 상기 본체에 설치된 조작반(7)과, 상기 본체의 저면 양측에 설치되고 레일(8)을 따라 구름운동을 하면서 본체 전체가 원활히 이동되게 하여 주는 차륜(9)과, 상기 본체의 이동 위치를 감지하여 본체가 일정 구간내에서만 왕복 운동을 하게 하여 주는 검출 스위치 및 전, 후방 캠(10)(11)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분전반(12)과 연결된 전원선(15), 물탱크(13)와 연결된 급수호스(16), 공기 압축기(14)와 연결된 공기호스(17)는 기둥(18)과 기둥활대(19)와 중간활대(20) 및 본체활대(21)를 경유하여 본체와 플랙시블하게 연결되어 본체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여 주며, 본체 중앙부위의 바닥면에는 배수로(22)가 본체의 이동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세차할 자동차를 본체(1)의 중앙공간부에 주차시킨 후 조작반(7)의 버튼을 조작하여 전원을 인가하면 전원선(15)을 통해 본체(1)의 전원이 공급되므로 급수호스(16)와 공기호스(17)를 통해 세척수와 압축공기가 공급됨과 동시에 본체(1)가 레일(8)을 따라 일정 구간내에서 왕복 운동을 하게 된다.
이때 톱브러시(3)와 사이드 브러시(4) 및 로커브러시(5)는 각각 독립적으로 회전을 하면서 자동차의 상부면과 양측면 그리고 타이어 부분을 세차하게 되며, 세차완료후 자동차에 묻은 세척수는 공기노즐(6)에서 분사되는 압축공기에 의해 제거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자동세차기로는 자동차의 상부면과 측면 및 타이어 등을 세척할 수 있지만, 자동차 하부는 세차할 수가 없다.
따라서 자동차의 하부를 세척하기 위해서는 제3도와 같이 자동차를 맨홀 위에 주차시킨 후 작업자가 호스(23)를 가지고 맨홀로 들어가 물을 분사시켜 주거나, 또는 리프트 등의 장치로 자동차를 들어 올린 후 작업자가 자동차 하부면으로 물을 분사시켜 세차를 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본체가 왕복 이동을 하면서 자동차의 상부면과 양측면을 세차할때 자동차의 하부도 동시에 세차할 수 있는 자동세차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에 따라 바닥면에 설치된 구동활차와 종동활차에 모터의 구동에 따라 이동하는 와이어로프를 감고, 상기 와이어로프상에는 다수의 분사노즐이 고정됨과 동시에 하부급수호스가 연결된 송수관을 고정하도록 된 것에 있어서, 상기 송수관의 선단이 하향 경사지게 송수관을 받침틀과 결속쇠로 와이어로프에 고정하고 송수관의 선단에는 드레인밸브를 고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세차기가 제공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제4도 내지 제7도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4도와 제5도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세차기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와 정면도로써, 본 고안의 구성중 종래의 자동세차기 구성과 동일한 부분은 그 설명을 생략하고 동일부호를 부여하기로 한다.
배수로(22)상의 일측 끝부분에는 모터(24)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활차(25)가 설치되어 있고 반대측 끝부분에는 종동활차(26)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구동활차(25)와 종동활차(26) 사이에 와이어로프(26)가 긴장되게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모터의 정, 역구동에 의해 와이어로프는 배수로를 따라 전진 또는 후진방향으로 직선이동을 하며, 상기 와이어로프(27)의 상부면은 배수로의 상단면 보다 약간 높게 위치되어 있다.
상기 와이어로프(27)에 제6도 및 제7도와 같이 송수관(28)이 고정되어 있고, 상기 송수관(28)에는 드럼(30)에 감겨진 하부 급수호스(29)가 연결되어 있으며 하부 급수호스(29)의 다른 일단은 물탱크(13)에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세차시 물탱크의 급수호스(16)를 통해 본체(1)에 공급됨과 동시에 하부 급수호스(29)를 통해 송수관(38)에도 공급된다.
상기 송수관(28)은 받침틀(31)과 결속쇠(32)에 의해 와이어로프(27)에 고정되어 와이어로프의 이동에 따라 함께 전, 후로 직선 왕복이동을 하며, 송수관의 선단부에는 드레인밸브(33)가 설치되어 있고 드레인밸브(33)가 있는 송수관의 선단부는 후단부에 대해 하향 경사지게 설치된다.
이는 동절기에 세차완료후 송수관내에 잔류하는 물이 동결되어 파손되지 않도록 송수관내의 물을 용이하게 드레인시키기 위함이다.
상기 송수관(28)은 T자형이나 H자형 등의 형태로 되어 자동차의 하부내에서 이동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며, 송수관(28)에는 세척수를 상향 분사시키기 위한 다수의 분사노즐(34)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송수관(28)에는 송수관의 이동을 원활하게 하여 주는 바퀴(55)가 바닥면과 접속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조작반(7)을 조작하여 세척코스를 선택하면 분전반(12)의 전원선(15)을 통해 본체(1)에 전원이 공급됨과 동시에 물탱크(13)의 세척수와 공기압축기(14)로 부터 발생된 압축공기(14)가 본체(1)로 공급되어 종래의 세차기와 동일한 세차작동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때 본체는 선택된 세척코스에 따라 레일(8) 위를 전, 후로 왕복이동을 하게 된다.
한편, 세차 작동시 배수로(22)상에 설치된 모터(24)에도 전원이 공급되어 구동활차(25)가 회전하게 되므로 구동활차(25)와 종동활차(26) 사이에 긴장되게 연결된 와이어로프(27)가 배수로(22)을 따라 직선 이동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이 와이어로프가 직선이동할 때 물탱크(13)의 세척수가 하부 급수호스(29)를 통해 송수관(28)으로 공급되어 각 분사노즐(34)을 통해 자동차의 저면으로 분사되므로 자동차의 하부가 깨끗하게 세척되는데, 이때 상기 송수관은 세차기의 바닥면과 접속된 상태로 안정되게 이동하게 된다.
상기 모터(24)는 본체(1)에 설치된 조작반(7)에 의해 제어되며, 본체의 이동에 따라 정, 역 방향으로 구동하여 송수관(28)을 본체(1)과 같은 방향 및 같은 속도로 이동시키게 된다.
또한 송수관(28)의 선단부가 후단부에 비해 하향 경사지게 위치되어 있고 하향 경사진 선단부에 드레인밸브(33)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드레인밸브(33)를 열면 하부 급수호스(29)와 송수관(28) 내에 잔류되어 있는 물이 드레인밸브(33)를 통해 모두 빠져 나오게 되므로 동절기에 잔류된 물로 인해 송수관(28)이 동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자동세차기는 차량의 하부면 세차시 송수관의 하면에 설치된 바퀴에 의해 안정되게 동작됨은 물론 동절기에는 세차완료후 송수관과 하부 급수호스내에 잔류하고 있던 세척수를 외부로 드레인시키게 되므로 송수관 및 하부 급수호스가 온도의 급강하로 인해 동파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게 되는 효과를 얻게 된다.

Claims (3)

  1. 바닥면에 설치된 구동활차(25)와 종동활차(26)에 모터(24)의 구동에 따라 이동하는 와이어로프(27)를 감고, 상기 와이어로프상에는 다수의 분사노즐(34)이 고정됨과 동시에 하부급수호스(29)가 연결된 송수관(28)을 고정하도록 된것에 있어서, 상기 송수관(28)의 선단이 하향 경사지게 송수관을 받침틀(31)과 결속쇠(32)로 와이어로프(27)에 고정하고 송수관의 선단에는 드레인밸브(33)를 고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세차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관에 지면과 접속하는 바퀴를 설치하여서 된 자동세차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를 본체 구동부에 연동시켜 송수관이 본체와 동일방향 및 속도로 왕복 이동되게 한 자동세차기.
KR2019930030655U 1993-12-29 1993-12-29 자동세차기 KR96000443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30655U KR960004434Y1 (ko) 1993-12-29 1993-12-29 자동세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30655U KR960004434Y1 (ko) 1993-12-29 1993-12-29 자동세차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8170U KR950018170U (ko) 1995-07-22
KR960004434Y1 true KR960004434Y1 (ko) 1996-05-30

Family

ID=193736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30655U KR960004434Y1 (ko) 1993-12-29 1993-12-29 자동세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443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8170U (ko) 1995-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750553B2 (ja) 洗車機
US4852593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washing vehicles
US20040065349A1 (en) Vehicle washing apparatus with improved control
US3545459A (en) Vehicle washing apparatus
KR960004434Y1 (ko) 자동세차기
JPS626854A (ja) 車輛下部洗浄装置
US2004003544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ipulating a spray bar
JP2014024460A (ja) 洗車機
JP3991834B2 (ja) 洗車方法
JP2019182032A (ja) 洗車機
EP1527968A2 (en) Improved car wash installation and corresponding process for washing
KR100696387B1 (ko) 자동세차기의 측면건조장치
JP6819644B2 (ja) 洗車機
JP4076941B2 (ja) 洗車機
JPH05338517A (ja) 洗車機
KR200258594Y1 (ko) 자동세차장치
CN207931687U (zh) 一种往复式自动洗车机
JPH11147454A (ja) 門型洗車機
JP6900926B2 (ja) 洗車機
CN209008549U (zh) 一种集成水帘装置的智能洗车系统
JP4274624B2 (ja) 自動車下部洗浄装置および下部洗浄装置を備えた洗車装置
JP2002059816A (ja) 洗車機
JPH11198772A (ja) 洗車装置
JP2017165241A (ja) 洗車機及び洗車方法
JPH02246853A (ja) 車両の車体底面洗浄装置およびその洗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