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4173B1 - 견인용 바아를 구비하지 않는 비행기 견인차 - Google Patents

견인용 바아를 구비하지 않는 비행기 견인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4173B1
KR960004173B1 KR1019900006157A KR900006157A KR960004173B1 KR 960004173 B1 KR960004173 B1 KR 960004173B1 KR 1019900006157 A KR1019900006157 A KR 1019900006157A KR 900006157 A KR900006157 A KR 900006157A KR 960004173 B1 KR960004173 B1 KR 9600041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der
wheel
towing
side wheel
cuto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061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6015A (ko
Inventor
프란켄 빌헬름
포테 디에테르
톨스텐 미하엘센 라르
Original Assignee
만 구테호프눙크스훼테 악티엔 게젤샤프트
죄른겐 진겔만·한스 쾨니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만 구테호프눙크스훼테 악티엔 게젤샤프트, 죄른겐 진겔만·한스 쾨니크 filed Critical 만 구테호프눙크스훼테 악티엔 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9000160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60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41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41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F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IRCRAFT; DESIGNING, MANUFACTURING, ASSEMBLING, CLEANING, MAINTAINING OR REPAIRING 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HANDLING, TRANSPORTING, TESTING OR INSPECTING AIRCRAFT COMPON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F1/00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 B64F1/04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for launching aircraf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F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IRCRAFT; DESIGNING, MANUFACTURING, ASSEMBLING, CLEANING, MAINTAINING OR REPAIRING 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HANDLING, TRANSPORTING, TESTING OR INSPECTING AIRCRAFT COMPON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F1/00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 B64F1/22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for handling aircraft
    • B64F1/223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for handling aircraft for towing aircraft
    • B64F1/225Vehicl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aircraft tow tractors
    • B64F1/227Vehicl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aircraft tow tractors for direct connection to aircraft, e.g. tow tractors without towing b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F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IRCRAFT; DESIGNING, MANUFACTURING, ASSEMBLING, CLEANING, MAINTAINING OR REPAIRING 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HANDLING, TRANSPORTING, TESTING OR INSPECTING AIRCRAFT COMPON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F1/00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 B64F1/22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for handling aircraf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180/00Motor vehicles
    • Y10S180/904Traction dollies for aircraf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Agricultural Machines (AREA)
  • Vehicle Cleaning, Maintenance, Repair, Refitting, And Outriggers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 Preliminary Treatment Of Fibers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견인용 바아를 구비하지 안흔 비행기 견인차
제 1 도는 2 개의 견인 아암이 종방향으로 향하고 있는, 본 발명의 양호산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
제 2 도는 양측면을 절취한 상태에서 바라 본 견인차의 주요부의 상세도
제 3 도는 2 개의 견인 아암이 횡방향으로 향하고 있는,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
제 4 도는 제 3 도의 선 Ⅳ-Ⅶ를 따라 절취한 견인 아암의 종단면도
제 5 도는 양측면을 절취한 상태에서 바라본 견인차의 도다른 주요부의 상세도
제 6 도는 제 5 도에 도시된 주요부의 절반을 상세히 도시한 평면도
제 7 도는 제 6 도의 선 Ⅶ-Ⅶ를 따라 절취한 수직 종단면도
제 8 도는 차체의 앞부분 및 뒤부분 간의 연결 부위를 각각 도시한 측면도 및 평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차체 10.1 : 차체의 앞부분
10.2 : 차체의 뒷부분 10.2.1 : 좌우측 절반부
10.2.2 : 좌우측 절반부 12 : 앞 뒤 바퀴
18 : 종축 22 : 앞 뒤 바퀴
24 : 승강 플랫포옴 28 : 굴절축
30 : 축 저어널 34 : 유압 실린더
36 : 신축성 로드 38 : 견인용 아암
42 : 기수측 바퀴 유지기 50 : 브릿지
56 : 힌지 58 : 유압 실린더
본 발명은 견인 바아(tow-bar)를 필요로 하지 않는 비행기 견인차에 관한 것으로, 이 견인차는 2 부분으로 분리된 차체로 이루어지며, 차체 앞부분에는 앞바퀴용 축이 그리고 뒷부분에는 뒤바퀴용 축 저어널(journal)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뒷부분은 비행기의 기수측 바퀴의 착륙 장치를 수용할 수 있도록 포오크 모양으로 형성되며, 또한 뒷바퀴 축과 평행한 단일의 굴절축에 의해 앞부분에 힌지식으로 연결된다. 상기 굴절축으로부터 가능한 후방의 차체 앞부분에서, 승강 플랫포옴은 차체 절결부의 전방 단부에 설치되어 기수측 착륙 장치를 승강시키도록 제공되는 지지면을 구비한다. 이 지지면은 차체가 접히게 될 경우에는 하방으로 기울어지는 반면, 차체가 확장될때는 수평을 유지하게 된다. 상기 차체의 절결부의 후방 단부에는 거울상을 지니는 2 개의 견인용 아암이 배치된다. 이 견인용 어암들은 기수측 바퀴 착륙 장치의 수용을 위한 통로를 열어 주기 위해 상기 절결부의 각 측면을 따라 배치되는 종방향 위치로부터, 기수측 바퀴착륙 장치 후방을 감싸게 되는 횡방향의 위치까지 이동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방으로 이동 가능하게끔 구성된다. 또한, 승강 플랫포옴 위로 차체 절결부의 전방 단부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수측 바퀴 유지기는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형태의 공지된 비행기 견인차의 예로는 독일연방공화국 특허 제 OS/PS 36,16,807호를 들 수 있는데, 여기서 비행기의 기수측 바퀴의 착륙 장치를 수용하기 위해 제공된 승강 플랫포옴은 차체의 전방 부분에 일체로 고정되도록 장착되어 있다. 승강 플랫포옴의 지지면상에서 기수측 바퀴의 착륙 장치의 두 바퀴를 하방으로 눌러 고정하도록 제공되는 구개의 견인 아암과 이에 대응되는 지지용 아암들은 견인차의 종축에 대해 직각이고 수평을 이루는 위치로 일시적 혹은 영구적으로 이동이 불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승강 플랫포옴과 견인 아암 및 아암(홀더)으로 구성된 종래의 기술에 있어서, 하나의 기수측 바퀴는 한쪽 측면으로 상승되고 다른쪽 기수측 바퀴에 걸리는 하중은 견인차가 커브길을 돌고 있는 동안 승강 플랫포옴상에서 증가하게 된다. 이러한 하중의 증가는 승강 플랫포옴이 견인될 비행기의 경사진 2 개의 기수측 착륙 장치의 바퀴를 붙들면서 회전 혹은 커브길을 돌 때 발생한다. 이때, 붙들고 지지하는 아암과 기수측 바퀴간에는 상대 운동으로 인해 상당히 큰 마찰이 발생한다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전술한 공지 기술의 또다른 문제점으로는, 비행기가 경사진 기수측 바퀴 착륙 장치를 구비할 경우 승강 플랫포옴은 기수측 바퀴가 자연적으로 휘게 안착될 활주로 지면에 해당하는 제 2 의 바닥을 만들기 때문에 비행기의 기수측 바퀴가 지지되거나 승강될 때 어떠한 비정상적인 변형에도 영향을 받지 않도록 설계되는 비행기 견인차의 장점을 상실하게 된다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장점들을 지니며, 견인용 바아를 필요로 하지 않는 비행기 견인차를 제공하는데 있으며, 본 발명에 의한 견인차는 비행기의 기수측 바퀴의 착륙 장치가 아무리 경사져 있더라도 견인 및 지지용 아암 뿐만 아니라 정지 고정된 기수측 바퀴의 착륙 장치와 승강 플랫포옴 사이에서 발생하였던 상대 운동을 완전히 또는 거의 일어나지 않게 해준다.
본 발명에 따른 비행기 견인차는 견인차의 차체가 확장된 상태에 있을 대 차체의 종축을 중심으로 승강 플랫포옴이 횔전할 수 있도록 배치시키며, 그리고 상기 종축에 대해 직각을 유지하면서 횡방향으로 위치한 견인용 아암 및, 또는 유지기(홀딩 아암)를 이동가능하게 장착시킴으로써, 전술한 상대 운동의 발생을 억제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견인차가 커브길을 돌 때 발생하듯이 경사진 비행기 기수측 착륙 장치의 바퀴 쌍이 견인차의 바퀴축을 수직으로 이분하는 수평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동안, 상기 비행기의 바퀴 쌍은 이들을 지지하는 승강 플랫포옴이 이들 바퀴 쌍들과 함께 회전 운동을 일으키기 때문에 전술한 상대 운동이 발생하지 않게 하는 장점을 발휘하며, 그리고 한쪽으로 치우친 각각의 기수측 바퀴는 이것과 접축된 상태로 있는 견인 및 지지용 아암을 이동(상기 수평축에 대해 수직인 방향으로)시킬 수 있게 되어 상호 마찰을 감소시키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그러므로, 심지어 경사진 기수측 바퀴의 착륙 장치의 타이어 조차도 견이차가 커버길을 또는 동안에 매우 부드럽게 취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비행기 견인차의 양호한 실시예에 있어서, 승강 플랫포옴의 회전축을 형성하는 축은 횡방향으로 위치한 두 개의 아암을 구비한 요동 레버에 회전 불가능하게 연결되며, 이 레버의 양쪽 자유단은 조절 가능한 유압 도관에 의해 서로 연결된 단일 작동식 유압 실린더에 의해 지지된다. 이러한 요동 레버의 작동에 의해, 상기 유압 시스템은 비행기 기수측 착륙 장치의 두 바퀴를 지탱하고 있는 승강 플랫포옴과 함께 상기 바퀴들의 회전 운동을 조절하게 되며, 차체가 확장 위치로 변경되는 동안의 부하가 가증되지 않는 상태에서의 의도하지 않은 회전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있어서, 각각의 기수측 바퀴뒤로 접근하게 되는 견인용 아암은 그 기수측 바퀴상에서 구르는 중공의롤러를 구비한다. 피벗 운동하는 피스톤 로드를 지닌 단일 작동식 유압 피스톤 실린더의 구성 요소인 2 개의 실린더는 유압 도관을 통해 동일축상을 배열된 중공 롤러에 견고하게 연결된다. 이러한 2 개의 유압 실린더와 이들의 상호 연관된 연결부들은 횡방향의 견인용 아암들의 중공 롤러로 하여금 동일 방향인 측방향으로 견인용 아암들을 경사지게 만들고 견인용 아암의 접근이 기수측 바퀴의 타이어 뒤로 도달할 수 있을 만큼 이동되도록 해준다. 그리고 기수측 바퀴 자체는 승강 플랫포옴과 함께 경사진 기수측 바퀴의 착륙 장치를 붙들고 있는 견인차가 커브길을 돌고 있는 동안 동일 방향 및 동일한 크기 만큼 한쪽으로 기울어지게 된다. 따라서, 기수측 바퀴의 타이머와 견인용 아암의 중공 롤러간의 상호 마찰은 하나의 회전 접촉점에만 한정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양호산 실시예에 따른 기수측 바퀴 유지기는 그 바퀴상에서 구르게 되는 롤러를 구비한다. 이 롤러는 일직선의 횡단 안내부상에 장착된 포오크 모양의 축 홀더를 구비하는데, 이 축 홀더는 구개의 평행한 종방향의 안내부들에 의해 이 안내부들 사이에서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일 작동식 유압 실린더 혹은 2 개의 단일 작동식 유압 실린더(2 개의 홀더가 사용될 경우)들이 제공된다. 이러한 유지기의 구조 및 배열은 전술한 특징을 지닌 견인용 아암의 선택된 설계 및 배치와 마찬가지로 유지기와 기수측 바퀴간의 상호 마찰로 인해 발생하게 되는 동일한 효과를 나타내게 된다. 따라서, 차체 절결부의 전체 폭을 차지하는 단 하나만의 유지기사 양 기수측 바퀴를 위해 제공되던지, 아니면 각각의 기수측 바퀴에 대해 두 개의 분리된 유기기들이 제공될 수 있다. 두 개의 유지기가 사용될 경우 이들 유지기내에 동일한 개수의 실린더를 연결 설치함으로써, 두 개의 유지기들이 제공될 수 있다. 두 개의 유지기가 사용될 경우 이들 유지기내에 동일한 개수의 실린더를 연결 설치함으로서, 두 개의 유지기들이 기수측의 바퀴 타이어와 접촉할 때 견인차의 종축에 평행하고 반대 방향으로, 그리고 커브길을 또는 동안 전후방으로 움직이는 기수측의 바퀴의 이동량과 동일하게 상기 유지기들을 이동시키게 한다. 이러한 이동은 두 개의 유지기들이 항시 두 개의 기수측 바퀴와 접촉된 상태로 있도록 보장해 준다. 이와 연관되어, 유지기의 2 개의 종방향 안내부들은 유지기들이 편심되어 기수측 바퀴 착륙 장치 혹은 이와 협동하는 기수측 바퀴와 접촉할 때 상기 안내부들 사이에 배치된 유압 실린더의 피스톤이 빡빡하게 운동을 일으키지 못하도록 도와준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있어서, 유지기의 횡방향 안내부들 중 2 개의 종방향 안내부들은 차체의 절결 부위를 가로지르는 브릿지상에 배치되어, 기수측 바퀴 유지기를 움직이도록 2 개의 기수측에 의해 작동된다. 이러한 브릿지를 차체 절결부의 단부에 위치시킴으로써 상기 횡방향 및 종방향의 안내부가 차체에 직접 연결되지 않고서도 가장 적합한 지점에 하나 혹은 두 개위 유지부를 배치시킬 수 있게된다.
그 밖의 본 발명의 여러 특징들은 첨부된 특허 청구의 범위에 청구되어 있으며, 본 발명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장점 및 목적을 상세히 설명한 이하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첨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비행기 견인차는 2 부분으로 분리된 차체 (10) 로 이루어지는데, 그중에 크고 균일한 차체 앞부분 (10.1) 에는 수평의 회전축 (14) 에 장착된 2 개의 조항 및 구동 가능한 앞바퀴 12) 와, 견인차 운전자용의 운전실 (16)이 위치한다. 차체의 뒷부분 (10.2) 은 좌측 절반부 (10.2.1) 와 우측 절반부 (10.2.2) 로 구성되며, 이 두 절반부들은 견인차의 평탄한 가상 노면에 수직하고 견인차의 종축 (18)을 포함하는 수직의 대칭면에 대해 서로 거울상인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상기 차체 뒷부분 (10.2) 의 절반부 각각에는 종축 (18) 을 포함하는 수직한 상기 대칭면에 직각을 이루고 동일한 가상의 수평 횡축 (22) 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설치된 2 개의 뒷바퀴 (20) 를 구비한다. 이허한 배열은 일직선으로 앞부분 (10.1) 에 설치된 앞바퀴 (12)의 회전축 (14) 에도 적용이 가능하며, 뒷바퀴 (20) 의 고정은 두 개의 축 저어널 (도시생략)에 의해 이루어진다.
상기 차체의 앞부분 (10.1)의 후방 단부에는 승강 플랫포옴 (24) 이 설치되는데, 이 플랫포옴 (24) 은 앞바퀴의 회전축 (14)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동안 견인차의 주행로 표면과 거의 접촉하게 되므로, 견인될 비행기의 축륙 장치의 기수측 바퀴는 주행로의 표면으로부터 약간 떨어진 상태로 승강 플랫포옴의 지지면 (24.1) 위로 굴러 올라 갈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회전축 (14) 의 축선 둘레로 피벗될 수 있는 상기 승강 플랫포옴 (24) 은 견인차의 종축 (18) 방향으로는 상하부 및 후방이 개방되고 포오크 모양을 갖는 차체 절결부에 의해 한정된다.
차체의 앞부분 (10.1) 과 뒷부분 (10.2) 은 수평의 굴절축 (28)을 따라 서로 힌지식으로 결합되어 있으며, 이 굴절축 (28) 은 견인차의 상기 종축 (18)과 직각으로 교차하면서 대략 승강 플랫포옴 (24)의 평탄한 지지면 (24.1) 이 상향으로 위치했을 때의 높이 까지 수평으로 연장한다. 상기 굴절축 (28) 은 수평의 지지면 (24.1) 의 전방 단부 가까이에 위치하며, 이 지지면은 차체 (10) 가 접히게될 경우 후방으로 경사지게 되며 차체가 확장되어 플랫포옴의 상승될 경우에는 유지하게 된다.
승강 플랫포옴 (24) 의 전방 단부 중앙에는 축으로 작용하는 대직경의 축 저어널 (30) 이 설치되어 있는데, 이 저어널 (30) 은 차체 (100 가 확장될때는 수평을 유지하면서 견인차의 종축 (18)을 포함하는 수직면에 의해 이등분된다. 차체의 앞부분에 직립하게 위치한 각각의 유압 실린더 (34) 의 피스톤 로드 (34.1) 에 의해 자유단이 지지되고 직각으로 구불어진 두 개의 아암을 구비하는 ; 횡방향의 요동 레버 (32) 는 그 중앙이 차체의 앞부분 (10.1) 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축 저어널 (30) 의 전방 단부에 회전 불가능하게 배열된다. 상기 두 개의 유압 실린더 (34) 는 조절 가능한 유압 도관(도시 생략)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를 채택한 연결은 적재되지 않은 승강 플랫포옴 (24)으로 하여금 정상적인 수평 위치를 벗어나게 되는 의도하지 않은 이러한 회전 운동이 일어나지 못하게 막아주며, 전방으로 약간 돌출하고 비행기의 착륙용 장치의 견인할 부분인 기수측의 바퀴가 안착될 승강 플랫포옴 (24)을 하여금 정상적인 수평 위치를 벗어나게 되는 의도하지 않은 이러한 회전 운동이 일어나지 못하게 막아주며, 전방으로 약간 돌출하고 비행기의 착륙용 장치의 견인할 부분인 기수측의 바퀴가 안착될 승강 플랫포옴 (24) 은 적재한 비행기의 기수측 바퀴를 다시 활주로상에 하역시킬 수 있도록 회전 운동을 수행하게 된다.
차체의 뒷부분 (10.2)에 위치하는 두 개의 절반부들의 측면, 즉 승강 플랫포옴 (24) 으로부터 측방향에는 두 개의 평행하고 대략 수평을 향하는 신축성 로드 (36) 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로드의 길이는 유압 실린더(도시 생략)에 의해 조절되어 차체의 절결부 (26) 속으로 연장하게 된다. 길이가 조절되지 않은 각각의 신축성 로드의 힌지식을 고정된다. 각각의 신축성 로드의 종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부분 (36.2) 의 후방 단부에는 수직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견인용 아암 (38) 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 아암은 제 1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접하는 차체의 뒷부분 (10.2) 의 절반부와 나란한 종방향의 위치와, 제 3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횡방향으로 직각으로 향하는 위치 사이로 도시된 화살표를 따라 피벗식 이동을 할 수 있다. 두 개의 견인용 아암 (38) 은 항시 횡방향으로 직각을 이루면서 서로 정렬되게 위치하게 된다.
이러한 견인용 아암 (38) 각각은 원통형의 중공 롤러 (38.1)를 구비하기 때문에 견인차의 종축 (18) 에 대해 직각인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상기 중공 롤러 (38.1) 는 유압 실린더를 종축 방향으로 수용하며, 그리고 피스톤 로드 (40.2) 상에서 실린더의 셀 (40.1) 과 함께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데, 이 피스톤 로드 (40.2) 는 도시된 바와 같이 대응되는 신축성 로드 (36) 에 힌지식으로 결합된 견인 아암 (38) 의 두꺼운 단부 (38.2) 로부터 연장된다. 인접한 피스톤 로드 (40.2) 와 마찬가지로 상기 두꺼운 단부 (38.2) 에는 피스톤 로드 (40.2) 의 전방측에 위치한 셀 (40.1) 로 출입되는 유압 유체의 유동을 위해 중공의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두 개의 유압 실린더 (40) 는 신축성 로드 (36) 에 내장되어 견인용 아암 (38) 의 두꺼운 단부 (38.2) 에 연결된 유압 도관을 통해 서로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전술한 2 개의 유압 실린더 (34) 에서와 같이 유압 유체는 한쪽 실린더에서 다른쪽 실린더로 전달되어 직각을 이루고 있는 견인용 아암의 2 개의 중공 롤러 (38.1.)는 견인될 비행기의 기수측 바퀴를 유지할 수 있을 만큼 이동하게 된다.
차체의 절결부 (26) 의 전방 단부에는 두 개의 거울상으로 배치된 유압 실린더 (44) 에 의해 승강 플랫포옴 (24) 의 단부까지 후방으로 평행하게 이동 가능한 한쌍의 비행기 기수측 바퀴 유지기 (42) 가 설치되며, 상기 유압 실린더 (44)의 셀 (44..1)은 신축성 로드 (36) 의 종방향으로 이동 불가능한 부분 (36.1) 에 고정된다. 비행기 기수측 바퀴의 원주에서 상부 전방의 4분원과 작용하게 될 각각의 유지기 (42) 는 원통형의 롤러 (42.1)를 구비한다. 이 롤러의 수평인 회전축은 견인차의 종축 (18)에 대해 직각을 이루며, 포오크 모양이고 U 자형의 롤러 축 홀더 (42..2) 상에 장착된다. 상기 홀더 (42.2)는 수평의 레일 (46)에 의해 횡방향으로 안내된다. 이러한 횡방향의 안내 운동은 상기 레일 (46)의 양단에서 수직으로 고정된 평행한 볼트 (48) 가 수평의 브릿지 (50)상에서 종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추가로 종방향으로의 안내 운동도 겸하게 된다. 상기 브릿지 (50)의 양단은 유압 실린더 (44) 의 피스톤 로드 (44.2) 가 한 쌍의 기수측 바퀴 유지기 (42) 의 양측면상에서 작용함으로 인해 신축성 로드 (36) 의 종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2 부분 (36.1) 중 대응하는 하나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유지기(42)와 협동하여 종방향으로 안내되는 2 개의 볼트 (48) 사이에서, 소형의 유압 실린더 (52) 가 브릿지 (50) 상에 배열되며, 이 실린더 (52) 의 피스톤 로드 (52.1) 는 상기 볼트 (48) 와 평행하게 중앙으로 대응하는 롤러 축 홀더 (42.2) 에 힘을 가하게 된다. 또한, 인접하는 상기 홀더 (42.2) 들은 결속된 왕복 운동이 가능하도록 대략 V자형을 이루면서 휘어진 커넥팅 로드 954) 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브릿지에 견고하게 부착된, 2 개의 유압 실린더 (520 의 두 셀 (52.2) 들은 2 개의 기수측 바퀴 유지기 (42) 로 하여금 항시 브릿지에 대해 반대 방향이면서 동일한 길이 만큼 이동되게끔 유압 도관 (도시 생략)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차체의 앞부분(10.1)과 뒷부분 (10.2) 은 차체 뒷부분의 좌우측 절반부 (10.2.1 ; 10.2.2) 에 형성된 힌지 (56) 들에 의해 서로 결합되는데, 이 힌지 (56) 의 핀들은 서로 정렬되어 전술한 굴절축 (28)을 구성하게 된다. (제 8 도 및 제 9 도 참조).
굴절축 (28) 이 상승 혹은 하강하면서 상기 차체 (10)를 접히게 하거나 확장시키기 위해, 차체의 앞부분 (10.1) 의 양측면에서 연장하고 전방 단부는 차체의 앞부분 (10.1) 에 그리고 후방단부는 차체의 뒷부분 (10.2) 에 각각 힌지식으로 연결된 한 쌍의 유압 실린더 (58) 가 제공된다. 상기 유압 실린더 (58) 의 상부는 굴절축 (28) 의 약간 위의 위치로 작동하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은 양호한 실시예를 통해 설명하였으며, 본 발명의 범주에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당업자들에 의해 여러 가지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의도한다.

Claims (8)

  1. 분리된 차체 (10)를 구비하며, 차체 앞부분 (10.1) 에 앞바퀴축 (14)이 설치되며, 비행기 기수측 착류 장치의 수용을 위해 절결부에 의해 두 갈래로 갈라진 뒷부분 (10.2) 에 뒷바퀴축 (22) 이 설치되며, 상기 뒷부분 (10.2) 은 상기 뒷바퀴축과 평행한 단일의 굴절축 (28) 에 의해 힌지식으로 연결되어 있는 앞부분 (10.1) 과 자유롭게 굴절되도록 결합도며, 상기 차체의 절결부 (26) 의 전방 단부에 위치한 굴절축 (28) 의 후방에는 승강 플랫포옴 (24) 이 설치되며, 상기 플랫포옴 (24) 은 수용된 기수측 착륙 장치를 승강시키기 위한 하부 지지면 (24.1)을 구비하고 차체 (10) 가 수축할 때는 후방 및 아래쪽으로 하강하고 차체 (10) 가 확장할 때는 수평으로 전환되며, 2 개의 거울상으로 구성된 견인용 아암 (38) 을 추가로 구비하며, 상기 견인용 아암 (38) 은 차체의 절결부 (26) 의 후방 단부에 배치되고 상기 절결부 (26) 내에 기수측 바퀴를 수용하기 전의 위치인 차체의 종축과 평행한 종방향 위치로부터 기수측 바퀴의 후방을 감싸게 되는 위치인 횡방향 위치로 이동될 수 있을 뿐 아니라 전방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하나 이상의 기수측 바퀴 유지기 (42)를 추가로 구비하며, 상기 기수측 바퀴 유지기 (42) 는 차체 절결부 (26) 의 전방 단부에서 상기 승강 플랫포옴 (24) 상부에 배치되고 후방으로 이동 될 수 있는, 견인용 바아를 구비하지 않는 비행기 견인차에 있엇, 상기 승강 플랫포옴 (24) 은 확장된 차체 (10)에서 수평으로 차체의 종축 (18) 에 평행하게 놓여지고 차체의 앞부분 (10.1) 에 회전될 수 있게 장착된 회전축 (30) 과 함께 회전되도록 설치되며, 횡방향으로 놓여 있는 상기 견인용 아암 (38) 과 상기 기수측 바퀴 유지기 (42) 는 종축 (18) 에 대해 수직한 횡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행기 견인차.
  2. 뒷부분 (10.2) 이 비행기 기수측 착륙 장치의 수용을 위해 차체의 절결부 (26) 에 의해 두 갈래로 갈라지고 상기 뒷부분의 전방 앞부분 (10.1) 에 인접하게 승강 플랫포옴 (24) 이 배치되는 차체 (10)를 구비하며, 상기 승강 플랫포옴 (24) 은 수용된 기수측 착륙 장치를 승강시키기 위한 하부 지지면 (24.1)을 구비하고 승강용 수단 (56,58) 에 의해 후방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상기 차체의 절결부 (26) 의 후방 단부에 배치되고 상기 절결부 (26) 내에 기수측 바퀴를 수용하기 전의 위치인 차체 종축 (18) 과 평행한 종방향 위치로부터 기수측 바퀴의 후방을 감싸게 되는 위치인 횡방향 위치로 이동될 수 있으며, 전방으로 이동될 수 있는 거울상으로 형성된 2 개의 견인용 아암 (38)을 추가로 구비하며, 상기 차체 절결부 (26) 의 전방 단부에서 승강 플랫포옴 (24) 의 상부에 배치되어 후방으로 이동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기수측 바퀴 유지기 (42) 를 추가로 포함하는, 견인용 바아를 구비하지 않는 비행기 견인차에 있어서, 상기 승강 플랫포옴 (24) 은 주행시 수평으로차체의 종축 (18) 에 평행하게 놓여지고 차체의 앞부분 (10.1) 에 회전될 수 있게 장착된 회전축 (30) 과 함께 회전되도록 설치되며, 횡방향으로 놓여 있는 상기 견인용 아암 (38) 과 상기 기수측 바퀴 유지기 (42) 는 종축 (18) 에 대해 수직한 횡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행기 견인차.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랫포옴 (24) 의 상기 회전축 (30) 은 양 자유단에서 단일 작동식 유압 실린더에 의해 지지되는 횡으로 설치된 2 개의 아암을 가진 요동 레버 (32) 와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도록 결합되며, 상기 회전축 (30) 과 상기 요동 레버 (32) 는 조절 가능한 유압 도관에 의해 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행기 견인차.
  4. 제 1 항에 있어서, 기수측 바퀴의 후방을 감싸는 상기 견인용 아암 (38) 은 각각 만곡된 모서리에서 구를수 있는 중공의 롤러 (38.1) 를 구비하며, 이 롤러 (38.1) 의 내부에는 피벗 운동 가능한 피스톤 로드 (40.2)를 구비한 단일 작동식 유압 실린더 (40) 의 실린더 (40.1) 가 고정적으로 결합되어 배치되며, 상기 두 개의 실린더 (40) 는 유압 도관에 의해 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행기 견인차.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수측 바퀴 유지기 (42) 는 기수측 바퀴에 인접하여 구를 수 있는 롤러 (42.1)를 구비하며, 상기 롤러 (42.1)의 분기된 축 홀더 (42.2) 는 일직선의 수평 레일 (46) 과 교차하도록 놓여지며, 상기 축 홀더 (42.2) 는 두 개의 평행한 종방향의 안내부 (48) 와 이 안내부들 (48) 사이에 있는 하나 이상의 단일 작동식 유압 실린더 (52) 에 의해 후방으로 움직일 수 있으며, 이러한 두 개의 유지기 (42) 의 움직임은 유압 도관에 의해 서로 결합된 두 개의 단일 작동식 유압 실린더 (52) 를 통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행기 견인차.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랫포옴 (24) 의 상기 회전축 (30) 은 양 자유단에서 단일 작동식 유압 실린더에 의해 지지되는 횡으로 설치된 2 개의 아암을 가진 요델 레버 (32) 와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도록 결합되며, 상기 회전축 (30) 과 상기 요동 레버 (32) 는 조절 가능한 유압 도관에 의해 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행기 견인차.
  7. 제 2 항에 있어서, 기수측 바퀴의 후방을 감싸는 상기 견인용 아암 (38) 은 각각 만곡된 모서리에서 구를 수 있는 중공의 롤러 (38.1) 를 구비하며, 이 롤러 (38.1) 의 내부에는 피벗 운동 가능한 피스톤 로드 (40.2) 를 구비한 단일 작동식 유압 실린더 (40) 는 유압 도관에 의해 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행기 견인차.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기수측 바퀴 유지기 (42) 는 기수측 바퀴에 인접하여 구를 수 있는 롤러 (42.1) 를 구비하며, 상기 롤러 (42.1) 의 분기된 축 홀더 (42.2) 는 일직선의 수평 레일 (46) 과 교차하도록 놓여지며, 상기 축 홀더 (42.2) 는 두 개의 평행한 종방향의 안내부 (48) 와 이 안내부들 (48) 사이에 있는 하나 이상의 단일 작동식 유압 실린더 (52) 에 의해 후방으로 움직일 수 있으며, 이러한 두 개의 유지기 (42) 의 움직임은 유입 도관에 의해 서로 결합된 두 개의 단일 작동식 유압 실린더 (52)를 통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행기 견인차.
KR1019900006157A 1989-04-28 1990-04-28 견인용 바아를 구비하지 않는 비행기 견인차 KR9600041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89107730A EP0394534B1 (de) 1989-04-28 1989-04-28 Flugzeug-Schlepper ohne Schleppstange (Drehschaufel)
EP89107730.7 1989-04-28
DE891077307 1989-04-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6015A KR900016015A (ko) 1990-11-12
KR960004173B1 true KR960004173B1 (ko) 1996-03-27

Family

ID=82013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06157A KR960004173B1 (ko) 1989-04-28 1990-04-28 견인용 바아를 구비하지 않는 비행기 견인차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051052A (ko)
EP (1) EP0394534B1 (ko)
JP (1) JP2581604B2 (ko)
KR (1) KR960004173B1 (ko)
AT (1) ATE93194T1 (ko)
DE (1) DE58905326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2013762A1 (de) * 1991-01-31 1992-08-20 Krauss-Maffei Aktiengesellschaft Schleppfahrzeug für flugzeuge
DE4129407C2 (de) * 1991-09-04 1995-07-06 Gutehoffnungshuette Man Schleppfahrzeug ohne Schleppstange zum Bugsieren von Flugzeugen
FR2689090B1 (fr) * 1992-03-24 1997-06-13 Hydroland Sa Vehicule de convoyage d'avion au sol.
DE4322985C2 (de) * 1993-07-09 1997-05-07 Gutehoffnungshuette Man Flugzeugschlepper ohne Schleppstange
DE4447860C2 (de) * 1994-05-02 2002-03-28 Goldhofer Fahrzeugwerk Schleppfahrzeug zum Manövrieren von Flugzeugen
DE4446047C2 (de) * 1994-12-22 1997-07-03 Krauss Maffei Verkehrstechnik Schleppfahrzeug für Flugzeuge
SE518719C2 (sv) * 2000-06-26 2002-11-12 Kalmar Motor Ab Dragfordon för flygplan och ingrepps- och lyftanordning därför
US7234665B2 (en) * 2004-11-08 2007-06-26 The Boeing Company Aircraft landing gear snow ski tow bar
US8245980B2 (en) 2006-09-28 2012-08-21 Israel Aerospace Industries Ltd. System and method for transferring airplanes
US9403604B2 (en) 2006-09-28 2016-08-02 Israel Aerospace Industries Ltd. System and method for transferring airplanes
US8544792B2 (en) 2006-09-28 2013-10-01 Israel Aerospace Industries Ltd. Towbarless airplane tug
US7975959B2 (en) * 2006-09-28 2011-07-12 Israel Aerospace Industries Ltd. System and method for transferring airplanes
US9199745B2 (en) * 2007-05-16 2015-12-01 Israel Aerospace Industries Ltd. System and method for transferring airplanes
IL198950A (en) 2008-11-25 2013-01-31 Israel Aerospace Ind Ltd Towbarless airplane tug
EP3023332B1 (fr) 2010-02-16 2017-07-19 Israel Aerospace Industries Ltd. Tracteur d'avion
IL206061A0 (en) 2010-05-30 2010-11-30 Israel Aerospace Ind Ltd Controller for a hydraulic drive system
IL206262A0 (en) 2010-06-09 2011-02-28 Raphael E Levy System and method for transferring airplanes
US8911194B1 (en) * 2011-05-18 2014-12-16 Tronair, Inc. Softcapture cradle
CN102951296B (zh) * 2012-12-02 2015-11-11 威海广泰空港设备股份有限公司 一种飞机鼻轮的抱夹装置
CN104002982A (zh) * 2013-02-26 2014-08-27 邓先勇 航母舰载飞机快速起飞装置
CN109987243A (zh) * 2018-01-03 2019-07-09 新乡平原航空技术工程有限公司 飞机牵引器及其抱轮机构
CN110001992B (zh) * 2018-01-04 2024-02-20 新乡平原航空技术工程有限公司 用于飞机牵引器的飞机连接装置及飞机牵引器
EP4173967A1 (en) * 2021-10-28 2023-05-03 Lilium eAircraft GmbH Capture and release mechanism for towing aircrafts through nose landing gear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32088A (en) * 1956-01-24 Aircraft handling devices
US2877911A (en) * 1954-11-05 1959-03-17 John Reginald Sharp And Emmanu Trucks for handling aircraft
FR2454409A1 (fr) * 1979-04-18 1980-11-14 Sovam Vehicule tracteur notamment pour avions gros porteurs
DE3318077C2 (de) * 1983-05-18 1986-09-18 Krauss-Maffei AG, 8000 München Schleppfahrzeug für Flugzeuge
DE3327629A1 (de) * 1983-07-30 1985-02-07 Krauss-Maffei AG, 8000 München Rangierfahrzeug
FI74664C (fi) * 1986-04-24 1988-03-10 Tana Jyrae Ky Foerflyttningsanordning.
DE3616807A1 (de) * 1986-05-17 1987-11-19 Joerg Schopf Schlepper zum bugsieren eines flugzeuges ohne schleppstange
EP0276779B1 (de) * 1987-01-23 1991-09-25 Goldhofer Fahrzeugwerk GmbH & Co. Schleppfahrzeug zum Manövrieren von Flugzeugen
DE3710045A1 (de) * 1987-03-27 1988-10-27 Krauss Maffei Ag Rangierfahrzeug zum manoevrieren von flugzeugen am boden
DE3732644C1 (de) * 1987-09-28 1988-09-15 Krauss Maffei Ag Schleppfahrzeug fuer Flugzeuge - Definierte Verzurrkraefte
DE3732663A1 (de) * 1987-09-28 1989-04-27 Krauss Maffei Ag Schleppfahrzeuge fuer flugzeuge - schwenkantrieb hubschaufel
DE3732664C1 (de) * 1987-09-28 1988-09-15 Krauss Maffei Ag Schleppfahrzeug fuer Flugzeuge - Lenkergesteuerte Hubschauf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TE93194T1 (de) 1993-09-15
DE58905326D1 (de) 1993-09-23
EP0394534A1 (de) 1990-10-31
JPH02296596A (ja) 1990-12-07
EP0394534B1 (de) 1993-08-18
US5051052A (en) 1991-09-24
KR900016015A (ko) 1990-11-12
JP2581604B2 (ja) 1997-0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04173B1 (ko) 견인용 바아를 구비하지 않는 비행기 견인차
KR960006000B1 (ko) 견인용 바아를 구비하지 않는 비행기 견인차
JPH0698959B2 (ja) 曳行棒なしに航空機を曳行する曳行装置
CA2214963C (en) Pivoting spring-mounted axle suspension
US5860785A (en) Towing vehicle for maneuvering aircraft
KR960015712B1 (ko) 후륜조타장치
JPH0696400B2 (ja) 航空機牽引車
US20110084457A1 (en) Modular rough terrain vehicle
US5118246A (en) Elevating tailgate for vehicle and process of handling it
US4121680A (en) Vehicles
CA1302456C (en) Convertible boat and vehicle trailer
RU2201370C2 (ru) Механизм подъема для мостов транспортных средств с пневматической подвеской
RU2001102967A (ru) Тележка для транспортных средств
US3692331A (en) Load transfer coupling mechanism
CA2129851A1 (en) Vehicle with retractable wheel
US20230027448A1 (en) Frame Steered Vehicle
KR102058450B1 (ko) 수륙양용보트용 전륜 구조
GB2185222A (en) Articulated vehicle, particularly for use in underground mines
GB2246938A (en) Folding rollers
RU2047528C1 (ru) Двухзвенное транспортное средство
SU1558728A1 (ru) Транспортное средство дл перевозки крупногабаритных объектов
JPH012998A (ja) 自動車に取付けられた、間接駆動アーム部材及び入れ子部材を組合わせたリフティング装置
EP4069574A1 (en) Frame steered vehicle
SU1646181A1 (ru) Опорно-сцепное устройство самоходного парома
GB2203722A (en) Lifting apparatus, particularly for a fork-lift truc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