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3639Y1 - 카운터 웨이트형 유압 엘리베이터 - Google Patents

카운터 웨이트형 유압 엘리베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3639Y1
KR960003639Y1 KR2019930004612U KR930004612U KR960003639Y1 KR 960003639 Y1 KR960003639 Y1 KR 960003639Y1 KR 2019930004612 U KR2019930004612 U KR 2019930004612U KR 930004612 U KR930004612 U KR 930004612U KR 960003639 Y1 KR960003639 Y1 KR 96000363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ed
car
counter weight
pulley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0461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22616U (ko
Inventor
최승철
Original Assignee
엘지산전 주식회사
이희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산전 주식회사, 이희종 filed Critical 엘지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30004612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3639Y1/ko
Publication of KR94002261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2261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363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3639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9/04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actuated pneumatically or hydraulic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65Rop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7/00Hoistway equipment
    • B66B17/12Counterpoises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카운터 웨이트형 유압 엘리베이터
제1도는 종래 유압 엘리베이터의 개략 구성도.
제2도는 종래 유압 엘리베이터의 평면도 및 정면도.
제3도는 본 고안 유압 엘리베이터의 개략 구성도.
제4도는 본 고안 유압 엘리베이터의 평면도 및 정면도.
제5도는 상부 고정용 브래키트 구조도.
제6도는 본 고안 유압 엘리베이터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카 2 : 실린더
3 : 플런저 4 : 안내 브래키트
5 : 풀리 6 : 로프
7 : 승강로 측벽 8 : 카 안내레일
9 : 지지부 10 : 안내 브래키트의 안내레일
11 : 지지부 13 : 풀리
14 : 카운터 웨이트 15 : 상부 고정용 브래키트
16 : 풀리 17 : 로프
18 : 카운터 웨이트 안내레일 19 : 지지부
20 : 지지부
본 고안은 유압 엘리베이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건물의 최상부에 현수 하중이 걸리지 않는 카운터 웨이트(counter weight)를 가지는 간접구동의 유압 엘리베이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유압 엘리베이터는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car)와, 카(1)를 지지하는 유압실린더(2)가, 구비되어있다.
그리고 3은 플런저, 4는 플런저(3) 상부에 설치된 안내 브래키트 5는 안내 브래키트(4)에 설치한 풀리이다.
6은 풀리(5)를 통해서 한쪽단은 고정체에 고정되어 있고, 다른 단은 카(1)에 고정된 로프이다. 7은 상강로의 측벽이고 7a는 최상층 천정이다. 8은 카(1)를 안내하는 안내레일, 9은 이 안내레일(8)의 지지부이다.
10은 플런저 상부 안내브래키트(4)를 안내하는 안내레일이고, 11은 이 안내레일(10)의 지지부이다. 또한 12는 실린더(2)로 압유를 수송하는 관로이고, 14은 카운터 웨이트이며, 16은 지지부(15a)에 설치되어 있는 풀리이고, 17은 풀리(16)를 통해서 한쪽단은 카(1)에 다른 단은 카운터 웨이트(14)에 고정되어 있는 로프이다. 18은 카운터 웨이트(14)를 안내하는 안내레일이고, 19은 안내레일 지지부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유압 엘리베이터는 상승운전시, 상승용 유량 조절밸브(도시되지 않음)를 통해서 제어된 유량이 관로(12)를 통해서 실린더(2)내로 공급되면 공급된 압유에 의해 플런저(3)가 상승 방향으로 움직인다.
플런저(3)의 상승에 따라 플런저(3)의 상부에 설치된 안내 브래키트(4)는 안내레일(10)을 따라 움직인다.
따라서 안내 브래키트(4)에 설치된 풀리(5)는 회전을 하게되고 풀리(5)에 감긴 로프(6)에 의해 카(1)는 안내레일(8)을 따라 상승하게 된다. 이때 카(1)의 상승속도는 플런저(3)의 상승속도의 2배로 상승하게 된다.
카(1)의 상승에 의해 카(1)의 무게를 보상하기 위한 카운터 웨이트(14)는 풀리(16)를 통해서 로프(17)를 통해 하방향으로 움직이게 된다.
또한 하강 운전시에는 카(1)의 위치에너지를 이용하여 실린더(2)내의 압유를 관로(12), 하강용 유량조절밸브(도시되지 않음)를 통해서 기름탱크(도시되지 않음)로 배출된다. 그리고 압유가 배출됨에 따라 플런저(3)가 하강하고 카(1)도 하강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유압 엘리베이터는 카무게, 부하 플런저등 모든 무게가 직접적으로 실린더의 부하압력으로 작용하였기 때문에 큰 싸이즈의 실린더 및 대용량의 동력이 필요로 하여 에너지 소비가 많은 결점을 해소하고자 카운터 웨이트를 설치하였으나, 카운터 웨이트의 설치에 따르는 건물 최상층의 천정부위에 과도한 하중이 걸리는 것을 고려하여 건물전체를 설계하여야 하는 결점 및 승강로 이용면적이 축소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카를 안내하기 위한 안내레일, 카운터 웨이트를 안내하기 위한 안내레일 및 플런저 지지용 안내 브래키트를 승강로 한쪽면에 설치하여 사용공간을 최소로 줄이고 안내레일 및 건물측벽을 이용하여 카와 카운터 웨이트를 연결하기 위한 풀리의 지지 브레키트를 설치하여 카운터 웨이트가 없는 기존의 유압 엘리베이터의 장점을 최대로 살린 카운터 웨이트형 유압 엘리베이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하, 이러한 본 고안을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3도는 본 고안에 의한 유압 엘리베이터의 개략구성도이고, 제4도는 평면도 및 정면도를 보인 것이며, 제5도는 상부 고정용 브레키트의 고정구조를 보인 것으로, 도면에서 1은 카, 2는 유압실린더, 3은 유압실린더(2)의 플런저, 4는 플런저(3)의 상단부에 고정된 안내 브래키트, 5는 안내 브래키트(4)에 결합된 풀리, 13은 승강로 저부에 설치된 풀리, 14는 카운터 웨이트, 15는 승강로 상부에 고정된 상부 고정용 브래키트, 16은 상부 고정용 브래키느(15)에 결합된 풀리, 6과 17은 로프를 각각 보인 것이다.
상기 로프(6)의 일단부는 승강로 저면의 고정체에 고정되고 풀리(5) 및 풀리(13)를 통해서 카운터 웨이트(14) 하단부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로프(17)는 일단부가 카운터 웨이트(14)의 상단부에 고정되고 풀리(16)를 통해서 타단부가 카(1)의 상단부에 고정되었다.
상기 카(1)는 승강로 일측벽에 고정된 양쪽 지지부(9) 내측에 고정된 안내레일(8)을 타고 상하이동된다.
상기 승강로의 일측벽에는 양쪽 지지부(9)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한쌍의 안내레일 지지부(19)가 고정되고 그 내측에 안내레일(18)이 고정되어 있어 상기 카운터 웨이트(14)가 양쪽 안내레일(18)을 타고 상하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일측 안내레일 지지부(19)의 돌출부(19a)와, 타측 안내레일 지지부(19)의 일측에 고정한 안내레일 지지부(11)에 안내레일(10)이 각각 고정되어 안내 브래키트(4)가 양쪽 안내레일(10)을 타고 상하이동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풀리(16)가 결합되는 고정용 브래키트(15)의 하부는 카운터 웨이트(14)를 안내하는 안내레일(18) 및 카(1)를 안내하는 안내레일(8)의 상부에 볼트로 체결되어 있고, 한면은 지지부(20)를 통해서 승강로 축벽(7)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승운전시, 상승용 유압 조절밸브(도시되지 않음)를 통해서 제어된 유량이 관로(12)를 통해서 실린더(2)내로 공급되면 공급된 압유에 의해서 플런저(3)는 상승 방향으로 움직인다. 플런저(3)의 상승에 따라 플런저(3)의 상부에 설치된 안내 브래키트(4)는 안내레일(10)을 따라 움직인다. 따라서 안내 브래키트(4)에 설치된 풀리(5)는 회전을 하게 되고, 풀리에 감긴 로프(6)의 움직임에 따라 피트부에 설치된 풀리(13)는 회전을 하고, 로프(6)의 움직임에 의해 카운터 웨이트(14)는 하강 방향으로 움직이게 된다.
카운터 웨이트(14)의 하강에 의해 카운터 웨이트(14)의 상부에 지지된 로프(17)가 잡아 당겨져 폴리(16)를 통해서 카(1)를 상승시킨다.
또한, 하강 운전시에는 카(1)의 위치에너지를 이용하여 실린더(2)내의 압유를 관로(12)를 통해서 하강용 유량 조절밸브(도시되지 않음)로 유량을 조절하여 기름탱크로 배출한다. 그리고, 압유가 배출됨에 따라 플런저(3)는 하강을 하게 되고, 로프(6)에 의해 카운터 웨이트(14)는 상승하게 되며 로프(7)에 의해 카는 하강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유압 엘리베이터에서 실린더(2)에 걸리는 유압P1은 다음식(1)과 같다.
여기서, Wcar : 카(1)의 무게
W10ad: 부하
Wcw: 카운터 웨이트(14)의 무게
WR: 로프(16)(17)의 무게
WP: 플런저(3) 및 안내 브래키트(3)의 무게
A : 플런저(3)의 단면적
그리고, 종래 유압 엘리베이터에서 실린더(2)에 걸리는 유압 P2는 다음식(2)와 같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카운터 웨이트(14)의 무게를 카(1)의 무게 70~80%로 적용하면 (1.4~1.6) × Wcar 만큼의 부하를 줄일 수 있게 되어 부하 압력이 작게 되므로 작은 싸이즈의 실린더를 적용할 수 있어 에너지 소비를 크게 줄일 수 있다.
또한, 종래의 장치에 있어서 안내레일(8)에 걸리는 하중은
이므로, 이 하중에 W1에 의해 비상정지장치(도시되지 않음)의 작동시를 고려하여 안내레일(8)의 지지부(9)의 지지 간격을 결정하였으나, 본 고안의 유압 엘리베이터에서 총 현수하중 W2는 다음식(4)와 같고,
상부 고정용 브래키트(15)가 이 현수하중을 견디고 있으므로 실제로 안내레일(8) 및 안내레일(18)의 설계는 현수하중 W2가 승강로 측벽에는 작용하지 않고 안내레일(8)(18)에 균등하게 작용한다고 가정하면 비상정지장치의 작동을 고려한다면 안내레일(8)에 걸리는 하중 W3은 다음식(5)와 같다.
그리므로 하중 W3를 고려하여 안내레일(8) 및 지지부(9)의 간격, 강도 등을 설계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유압 엘리베이터는 종래에 비하여 안내레일(8)에 걸리는 하중이 2배 이상이 되어 큰 싸이즈의 안내레일이 필요하게 되나 건물 최상부에 걸리는 하중이 적으므로 건물의 경량 설계가 가능하게 된다.
제6도는 본 고안에 의한 유압 엘리베이터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상기 제3도 내지 제5도에 의한 일실시예에서는 간접구동식 유압 엘리베이터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운터 웨이트(14)를 실린더(2)의 플런저(3)에 직접 결합한 직접 구동식 유압 엘리베이터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설명에서는 실린더로 공급되는 압유의 유량을 유량 조절밸브에 의해서 조절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펌프 회전수 제어에 의한 토출 유량의 제어방식 가변토출형 펌프에 의한 방식들로 적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카운터 웨이트형 유압엘리베이터가 가지는 장점을 최대로 살리면서 카운터 웨이트를 설치함으로써 발생되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카운터 웨이트와 카를 연결하기 위한 풀리의 지지부를 종래의 장치와는 달리 카를 안내하기 위한 안내레일 및 카운터 웨이트를 안내하기 위한 안내레일의 상부에 안내레일 및 건물측벽을 이용하여 고정시킴으로써 건물에 걸리는 하중을 최소로 줄일 수가 있어 기존의 경량구조의 건출물에 쉽게 설치할 수 있고 또한 건축 설계시에도 고려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설치 제약 조건이 거의 없는 유압 엘리베이터를 얻을 수 있다.

Claims (2)

  1. 승강로의 일측벽에 고정된 양측 지지부(9)의 내측에 카 안내용 안내레일(8)이 고정되어 카(1)가 안내이동되고, 양측 지지부(9)의 내측에 고정된 일측 지지부(19)의 돌출부(19a)와, 지지부(11)에 안내레일(10)이 각각 고정되어 풀리(5)가 결합되는 안내 브래키트(4)가 안내 이동되며, 양측 지지부(19) 내측에 안내레일(18)이 고정되어 카운터 웨이트(14)가 안내이동되게 설치되는 한편, 상기 안내레일(8)(18)의 상단부가 고정한 상부고정용 브래키트(15)에 풀리(16)가 고정되고, 로프(6)는 승강로 저면에 일단부가 고정됨과 아울러 풀리(5) 및 승강로 저면에 설치된 풀리(13)를 통하여 타단부가 카운터 웨이트(14) 하단에 고정되며, 로프(17)는 카(1) 상단에 일단부가 고정됨과 아울러 풀리(16)를 통하여 타단부가 카운터 웨이트(14) 상단에 연결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엘리베이터.
  2. 승강로의 일측벽에 고정된 양측 지지부(9)의 내측에 카안내용 안내레일(8)이 고정되어 카(1)가 안내이동되고, 양측 지지부(19)의 내측에 안내레일(18)이 고정되어 카운터 웨이트(14)가 안내 이동되게 설치되는 한편, 상기 카운터 웨이트(14)가 실린더(2)의 플런저(3) 상단부에 고정되며, 카(1)의 상단부에 일단부가 고정됨과 아울러 풀리(16)를 통하여 타단부가 카운터 웨이트(14) 상단에 연결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엘리베이터.
KR2019930004612U 1993-03-26 1993-03-26 카운터 웨이트형 유압 엘리베이터 KR96000363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04612U KR960003639Y1 (ko) 1993-03-26 1993-03-26 카운터 웨이트형 유압 엘리베이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04612U KR960003639Y1 (ko) 1993-03-26 1993-03-26 카운터 웨이트형 유압 엘리베이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22616U KR940022616U (ko) 1994-10-20
KR960003639Y1 true KR960003639Y1 (ko) 1996-04-27

Family

ID=193527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04612U KR960003639Y1 (ko) 1993-03-26 1993-03-26 카운터 웨이트형 유압 엘리베이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363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22616U (ko) 1994-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493707B1 (en) Elevator which counterweight is also the piston of the cylinder
EP0710618A2 (en) Traction sheave elevator
KR20020006515A (ko) 엘리베이터 장치
EP1303454B1 (en) Integrated elevator installation hoist tool
KR20100053420A (ko) 유압 엘리베이터의 리뉴얼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리뉴얼 된 로프식 엘리베이터
EP0415218A1 (en) Placement of a drive unit for an elevator
JP2004504239A (ja) 最小のビル空間を使用するエレベータ装置
US6302239B1 (en) Elevator apparatus with hoisting machine beneath elevator car
KR960003639Y1 (ko) 카운터 웨이트형 유압 엘리베이터
US6085872A (en) Roped hydraulic elevator
EP1520831A1 (en) Elevator with reduced head and pit, even without machine room
JP3140819U (ja) 油圧シリンダを使用した昇降装置
JP2002037563A (ja) 油圧エレベータのリニューアル方法
JPH06263369A (ja) 昇降機
CN220486265U (zh) 一种箱涵进水调节装置
JP2528934B2 (ja) 流体圧エレベ―タ
KR200292402Y1 (ko) 자립형 스크류 샤프트식 리프트
KR100490918B1 (ko) 지하용 엘리베이터
KR100372148B1 (ko) 자립형 스크류 샤프트식 리프트
JPH10279227A (ja) つり合いおもり付き油圧エレベーター
CN216360334U (zh) 一种无井道电梯
JPH08231157A (ja) 油圧エレベータ
CN216785408U (zh) 电梯超高低音运行驱动机电一体化智能联动结构
CN2665095Y (zh) 一种下曳引无机房电梯
JP2001139253A (ja) エレベータ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031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