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2402Y1 - 자립형 스크류 샤프트식 리프트 - Google Patents
자립형 스크류 샤프트식 리프트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292402Y1 KR200292402Y1 KR2020020022636U KR20020022636U KR200292402Y1 KR 200292402 Y1 KR200292402 Y1 KR 200292402Y1 KR 2020020022636 U KR2020020022636 U KR 2020020022636U KR 20020022636 U KR20020022636 U KR 20020022636U KR 200292402 Y1 KR200292402 Y1 KR 200292402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crew shaft
- cage
- nut
- self
- lift
- Prior art date
Links
Landscapes
- Types And Forms Of Lif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스크류 타입의 구동장치에 의해 케이지(cage)가 승하강할 수 있는 자립형 스크류 샤프트식 리프트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자립형 스크류 샤프트식 리프트는 케이지(60)의 양측면에 스크류 샤프트(70)가 배치되고, 상기 스크류 샤프트(70)에 체결된 너트(75)가 상기 케이지(60)의 측면에 부착된 지지 프레임(80)의 상단 및 하단에 장착되어, 상기 너트(75)가 케이지(60)와 일체화되므로서, 구동장치(90)에 의해 회전하는 스크류 샤프트(70)를 따라 승하강 하는 너트(75)에 의해 승강기 타워(50) 내에서 케이지(60)가 승하강할 수 있으며, 상기 구동장치(90)의 구동모터(91)의 부하를 경감시키기 위해 케이지(60)와 카운터 웨이트(100)가 도르래(101)에 걸쳐진 와이어 로프(102)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승강기 타워(50) 내에서 케이지(60)가 스크류 샤프트(70) 및 너트(75)에 의해 승하강할 때 케이지(60)의 승하강 운동이 가이드 장치(110)에 의해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본 출원인의 실용신안 제181664호(2000. 2. 29 등록)의 "수직이동이 가능한 사회복지형 보도육교"의 수직이동장치를 개선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스크류 타입의 구동장치에 의해 케이지(cage)가 승하강할 수 있는 자립형 스크류 샤프트식 리프트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인의 실용신안 제181664호(2000. 2. 29 등록)에 "수직이동이 가능한 사회복지형 보도육교"가 소개되어 있다.
상기 수직이동이 가능한 사회복지형 보도육교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통체(11)가 소정 높이 연결되고, 상기 지지통체 (11)의 상부 및 하부에 상,하부출입도어(11a') (11c')가 설치되며, 상기 지지통체 (11)의 내부에 구동수단(12a)에 의해 승강되면서 케이지도어(12c)를 구비한 케이지 (12b)가 구성된 승강수단(10)과, 상기 승강수단(10)의 지지통체(11)에 상판(20)이 연결설치되고, 상기 상판(20)의 일측 또는 양측으로 계단부재(30)가 설치된 육교; 등으로 구성되며, 상기 상판(20)이 다수의 연결구체 (22)에 소정의 각도로 스페이스빔(23)이 연속적으로 연결된 트러스구조체(21)가 설치되고, 상기 트러스구조체 (21)의 상부에 보도(24)가 설치되며,상기 트러스구조체(21)의 양측으로 소정높이의 난간(25)이 설치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수직이동이 가능한 사회복지형 보도육교는 유압 간접식 리프팅 장치에 의해 케이지가 승하강되기 때문에 와이어 로프가 절단되거나 유압오일이 유출될 경우 케이지의 추락 위험이 있으며, 이러한 추락 위험을 방지하기 위해 조속기 및 강제정지장치(wadge) 등 안전장치가 요구되기 때문에 케이지의 자중 및 적재 하중이 상승되어 구동모터의 용량이 커야하고, 전력소모가 많으며,겨울철에는 유압오일의 온도가 적정온도까지 상승되어야 정상운행이 가능하고, 출발 정지시 승차감이 좋지 않으며, 유압오일의 유출에 의해 레벨 오차가 발생하여 승객에게 불안감을 줄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세하게는 스크류 타입의 승강장치에 의해 케이지(cage)가 승하강할 수 있어, 추락 위험이 없으며, 정전시 자동으로 하강되며 케이지의 도어가 개방된 상태로 대기하므로 안전하며, 카운터 웨이트에 의해 전력소모가 적고, 추락 위험이 없기 때문에 조속기 등이 필요없으며, 각층 정지시 진동 및 레벨오차가 없어 안정적인 자립형 스크류 샤프트식 리프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수직이동이 가능한 사회복지형 보도육교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수직이동장치를 발췌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자립형 스크류 샤프트식 리프트를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도 3의 정면도
도 5는 도 3의 평면도
도 6은 도 5의 A부분을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도 3의 기계실을 확대 도시한 정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50 : 승강기 타워 60 : 케이지
70 : 스크류 샤프트 75 : 너트
80 : 지지 프레임 90 : 구동장치
100 : 카운터 웨이트 110 : 가이드 장치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자립형 스크류 샤프트식 리프트의 일례는 케이지의 양측면에 스크류 샤프트가 배치되고, 상기 스크류 샤프트에 체결된 너트가 상기 케이지의 측면에 부착된 지지 프레임의 상단 및 하단에 장착되어, 상기 너트가 케이지와 일체화되므로서, 구동장치에 의해 회전하는 스크류 샤프트를 따라 승하강 하는 너트에 의해 승강기 타워 내에서 케이지가 승하강할 수 있으며, 상기 구동장치의 구동모터의 부하를 경감시키기 위해 케이지와 카운터 웨이트가 도르래에 걸쳐진 와이어 로프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승강기 타워 내에서 케이지가 스크류 샤프트 및 너트에 의해 승하강할 때 케이지의 승하강 운동이 가이드 장치에 의해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승강기 타워는 3면의 벽이 글라스(glass)로 되어 있으며, 상부 도어 및하부 도어가 형성되고, 베이스 플레이트에 의해 상단부에 기계실이 형성되며, 상기 기계실에 통풍장치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케이지의 양측면에 부착된 지지 프레임의 상단에 제 1 및 제 2 가로부재가 부착되며, 상기 가로부재에 지지 플레이트가 얹혀져 고정되고, 스크류 샤프트가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양단에 배치되고, 상기 스크류 샤프트에 체결된 너트가 지지 플레이트에 의해 고정되며,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양단에 부착된 가이드 장치의 가이드 슈가 승강기 타워의 내측벽에 고정된 가이드 레일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너트는 상부에 배치되는 2개가 일반적으로 승하강을 위해 사용되고, 하부에 배치되는 2개는 상부 너트가 파손되었을 때 작동하는 보조 수단 역할하며, 상기 너트는 내마모성 및 내피로성을 고려하여 인청동으로 이루어지며, 교환이 용이하도록 분할형으로 형성되어, 제 1 파트와 제 2 파트가 볼트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스크류 샤프트와 결합되고, 볼트에 의해 하단 플랜지가 지지 플레이트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 프레임, 제 1 및 제 2 가로부재는 "ㄷ" 형강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동장치는 구동모터와 2개의 감속기가 제 1 커플링에 의해 각각 연결되고, 상기 감속기들이 제 2 커플링에 의해 스크류 샤프트와 각각 연결되며, 상기 구동모터와 감속기는 베이스 플레이트에 지지된 받침대에 장착되고, 상기 받침대에 방지고무가 배치되어 구동모터 및 감속기의 진동을 감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 내지 도 5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자립형 스크류 샤프트식 리프트는 케이지(60)의 양측면에 스크류 샤프트(70)가 배치되고, 상기 스크류 샤프트(70)에 체결된 너트(75)가 상기 케이지(60)의 측면에 부착된 지지 프레임(80)의 상단 및 하단에 장착되어, 상기 너트(75)가 케이지(60)와 일체화되므로서, 구동장치(90)에 의해 회전하는 스크류 샤프트(70)를 따라 승하강 하는 너트(75)에 의해 승강기 타워(50) 내에서 케이지(60)가 승하강할 수 있으며, 상기 구동장치(90)의 구동모터 (91)의 부하를 경감시키기 위해 케이지(60)와 카운터 웨이트(100)가 도르래(101)에 걸쳐진 와이어 로프(102)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승강기 타워(50) 내에서 케이지 (60)가 스크류 샤프트(70) 및 너트(75)에 의해 승하강할 때 케이지(60)의 승하강 운동이 가이드 장치(110)에 의해 안내된다.
상기 승강기 타워(50)는 3면의 벽이 글라스(glass)로 되어 있으며, 건물 2층과 통할 수 있는 상부 도어(51) 및 건물 1층과 통할 수 있는 하부 도어(52)가 형성되고, 베이스 플레이트(53)에 의해 상단부에 기계실(54)이 형성되며, 상기 기계실 (54)에 통풍장치(55; 도 7 참조)가 배치된다.
상기 케이지(60), 스크류 샤프트(70), 너트(75), 가이드 장치(110)의 연결관계를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케이지(60)의 양측면에 부착된 지지 프레임(80)의 상단에 제 1 및 제 2가로부재(81, 82)가 부착되며, 상기 가로부재(81, 82)에 지지 플레이트(83)가 얹혀져 고정되고, 스크류 샤프트(70)가 상기 지지 플레이트(83)의 양단을 통과하고, 상기 스크류 샤프트(70)에 체결된 너트(75)가 지지 플레이트(83)에 의해 고정되며, 상기 지지 플레이트(75)의 양단에 부착된 가이드 장치(110)의 가이드 슈(111)가 승강기 타워(50)의 내측벽에 고정된 가이드 레일(113)과 결합된다. 또한, 케이지(60)의 하부에 장착되는 너트와 스크류 샤프트의 결합 구조는 위에서 설명한 구조와 동일하다.
상기 스크류 샤프트(70)는 승강기 타워(50)의 기초면에 장착된 베어링(71; 도 1 참조)에 의해 하단이 지지되고, 상단이 베이스 플레이트(53)에 고정된 베어링 (72)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서 구동장치(90)의 감속기(92)에 연결된다.
상기 너트(75)는 상부에 배치되는 2개가 일반적으로 승하강을 위해 사용되고, 하부에 배치되는 2개는 상부 너트가 파손되었을 때 작동하는 보조 수단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너트(75)는 내마모성 및 내피로성을 고려하여 인청동으로 이루어지며, 교환이 용이하도록 분할형으로 형성되어, 제 1 파트(76 ; 도 6 참조)와 제 2 파트(77)가 볼트(79)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스크류 샤프트(70)와 결합되고, 볼트 (79')에 의해 하단 플랜지(78)가 지지 플레이트(83)에 고정된다.
상기 지지 프레임(80), 제 1 및 제 2 가로부재(81, 82)는 "ㄷ" 형강일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구동장치(90)는 구동모터(91)와 2개의 감속기(92)가 제 1 커플링(93)에 의해 각각 연결되고, 상기 감속기(92)들이 제 2 커플링(94)에의해 스크류 샤프트(70)와 각각 연결되며, 상기 구동모터(91)와 감속기(92)는 베이스 플레이트(53)에 지지된 받침대(95)에 장착되고, 상기 받침대(95)에 방지고무 (96)가 배치되어 구동모터(91) 및 감속기(92)의 진동을 감쇄시킨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자립형 스크류 샤프트식 리프트는 별도로 설치된 제어반(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케이지(60)의 작동이 제어되며, 구동모터 (91)의 동력이 감속기(92)를 통해 스크류 샤프트(70)로 전달되므로서, 상기 스크류 샤프트(70)가 회전하게 되고, 상기 스크류 샤프트(70)의 회전에 의해 너트(75)가 상기 스크류 샤프트(70)를 따라 승하강하므로서, 지지 프레임(80)에 의해 상기 너트(75)와 연결된 케이지(60)가 승하강하게 된다. 이때, 카운터 웨이트(100)에 의해 구동모터(91)의 부하가 경감되며, 상기 케이지(60)의 승하강이 가이드 장치(110)에 의해 안내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자립형 스크류 샤프트식 리프트는 스크류 타입의 승강장치에 의해 케이지(cage)가 승하강할 수 있어 추락 위험이 없으며, 정전시 자동으로 하강 운전하여 안전하며, 자중 보상 웨이트가 있어 전력소모가 적고, 추락 위험이 없기 때문에 조속기 등이 필요없으며, 각층 정지시 진동 및 레벨오차가 없어 안전한 효과가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자립형 스크류 샤프트식 리프트는 건축물과 별도로 독립적으로 자립할 수 있으며, 육교, 복층 건물 등에 적용될 수 있다.
Claims (6)
- 케이지(60)의 양측면에 스크류 샤프트(70)가 배치되고, 상기 스크류 샤프트 (70)에 체결된 너트(75)가 상기 케이지(60)의 측면에 부착된 지지 프레임(80)의 상단 및 하단에 장착되어, 상기 너트(75)가 케이지(60)와 일체화되므로서, 구동장치 (90)에 의해 회전하는 스크류 샤프트(70)를 따라 승하강 하는 너트(75)에 의해 승강기 타워(50) 내에서 케이지(60)가 승하강할 수 있으며, 상기 구동장치(90)의 구동모터(91)의 부하를 경감시키기 위해 케이지(60)와 카운터 웨이트(100)가 도르래 (101)에 걸쳐진 와이어 로프(102)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승강기 타워(50) 내에서 케이지(60)가 스크류 샤프트(70) 및 너트(75)에 의해 승하강할 때 케이지(60)의 승하강 운동이 가이드 장치(110)에 의해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립형 스크류 샤프트식 리프트.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승강기 타워(50)는 3면의 벽이 글라스(glass)로 되어 있으며, 상부 도어(51) 및 하부 도어(52)가 형성되고, 베이스 플레이트(53)에 의해 상단부에 기계실(54)이 형성되며, 상기 기계실(54)에 통풍장치(55)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립형 스크류 샤프트식 리프트.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케이지(60)의 양측면에 부착된 지지 프레임(80)의 상단에 제 1 및 제 2 가로부재(81, 82)가 부착되며, 상기 가로부재(81, 82)에 지지 플레이트(83)가 얹혀져 고정되고, 스크류 샤프트(70)가 상기 지지 플레이트(83)의 양단에 배치되고, 상기 스크류 샤프트(70)에 체결된 너트(75)가 지지 플레이트(83)에 의해 고정되며, 상기 지지 플레이트(75)의 양단에 부착된 가이드 장치(110)의 가이드 슈(111)가 승강기 타워(50)의 내측벽에 고정된 가이드 레일(113)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립형 스크류 샤프트식 리프트.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너트(75)는 상부에 배치되는 2개가 일반적으로 승하강을 위해 사용되고, 하부에 배치되는 2개는 상부 너트가 파손되었을 때 작동하는 보조 수단 역할하며, 상기 너트(75)는 내마모성 및 내피로성을 고려하여 인청동으로 이루어지며, 교환이 용이하도록 분할형으로 형성되어, 제 1 파트(76)와 제 2 파트(77)가 볼트(79)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스크류 샤프트(70)와 결합되고, 볼트(79')에 의해 하단 플랜지(78)가 지지 플레이트(83)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립형 스크류 샤프트식 리프트.
- 제 3 항에 있어서,상기 지지 프레임(80), 제 1 및 제 2 가로부재(81, 82)는 "ㄷ" 형강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립형 스크류 샤프트식 리프트.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구동장치(90)는 구동모터(91)와 2개의 감속기(92)가 제 1 커플링(93)에 의해 각각 연결되고, 상기 감속기(92)들이 제 2 커플링(94)에 의해 스크류 샤프트(70)와 각각 연결되며, 상기 구동모터(91)와 감속기(92)는 베이스 플레이트 (53)에 지지된 받침대(95)에 장착되고, 상기 받침대(95)에 방지고무(96)가 배치되어 구동모터(91) 및 감속기(92)의 진동을 감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립형 스크류 샤프트식 리프트.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20022636U KR200292402Y1 (ko) | 2002-07-29 | 2002-07-29 | 자립형 스크류 샤프트식 리프트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20022636U KR200292402Y1 (ko) | 2002-07-29 | 2002-07-29 | 자립형 스크류 샤프트식 리프트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20068981A Division KR100372148B1 (ko) | 2002-11-08 | 2002-11-08 | 자립형 스크류 샤프트식 리프트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92402Y1 true KR200292402Y1 (ko) | 2002-10-21 |
Family
ID=731267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20022636U KR200292402Y1 (ko) | 2002-07-29 | 2002-07-29 | 자립형 스크류 샤프트식 리프트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292402Y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09936B1 (ko) * | 2007-11-16 | 2009-07-29 |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 공간 절약형 다기능 가구 |
-
2002
- 2002-07-29 KR KR2020020022636U patent/KR200292402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09936B1 (ko) * | 2007-11-16 | 2009-07-29 |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 공간 절약형 다기능 가구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788018A (en) | Traction elevators with adjustable traction sheave loading, with or without counterweights | |
AU2010309721B2 (en) | Elevator arrangement and method | |
KR100618467B1 (ko) | 엘리베이터 장치 | |
EP1333000A1 (en) | A machine-roomless traction sheave elevator | |
KR101572694B1 (ko) | 유압 엘리베이터의 리뉴얼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리뉴얼 된 로프식 엘리베이터 | |
AU2005200039A1 (en) | Drive for a lift installation and method of converting a drive in a lift installation | |
CN1118763A (zh) | 牵引滑轮电梯、提升机构和设备容置室 | |
FI125069B (fi) | Hissin nostokoneiston kiinnitysjärjestely ja menetelmä hissin nostokoneiston asentamiseksi | |
JP4404999B2 (ja) | エレベータ装置 | |
JP2004504239A (ja) | 最小のビル空間を使用するエレベータ装置 | |
JP2014512319A (ja) | 荷重及び人を輸送するための駆動ユニット、及びそのような駆動ユニットを有する荷重及び人の輸送装置 | |
KR200256136Y1 (ko) | 견인드라이브엘리베이터 | |
CN1094109C (zh) | 钢索驱动的电梯 | |
KR200292402Y1 (ko) | 자립형 스크류 샤프트식 리프트 | |
KR100372148B1 (ko) | 자립형 스크류 샤프트식 리프트 | |
KR101923925B1 (ko) | 크레인 장착형 마스트 구조물에 구비되는 고층빌딩 건설용 고속 고하중 로프식 엘리베이터 장치 | |
KR102402799B1 (ko) | 기계실 및 승강로 구조물이 필요없는 트윈 마스트 구조의 로프식 탑승카 자체구동 고하중용 승강기 | |
CN203922384U (zh) | 一种机房侧置式电梯 | |
CN114852819A (zh) | 片装式井道施工升降机 | |
US7178636B2 (en) | Elevator system | |
JP3140819U (ja) | 油圧シリンダを使用した昇降装置 | |
JP2002037564A (ja) | エレベータの改修方法 | |
RU2218298C1 (ru) | Подъемный комплекс | |
KR100396803B1 (ko) | 유압 엘리베이터 | |
JP2002037563A (ja) | 油圧エレベータのリニューアル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T201 |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T601 |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