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9936B1 - 공간 절약형 다기능 가구 - Google Patents

공간 절약형 다기능 가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9936B1
KR100909936B1 KR1020070117389A KR20070117389A KR100909936B1 KR 100909936 B1 KR100909936 B1 KR 100909936B1 KR 1020070117389 A KR1020070117389 A KR 1020070117389A KR 20070117389 A KR20070117389 A KR 20070117389A KR 100909936 B1 KR100909936 B1 KR 1009099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ckrest
body portion
space
plate
suppor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73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50774A (ko
Inventor
김석태
김태우
Original Assignee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701173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9936B1/ko
Publication of KR200900507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07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99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99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5/00Furniture convertible into other kinds of furnitu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7/00Sofas; Couches; Beds
    • A47C17/52Cabinet beds; Table beds, or like beds; Wardrobe beds
    • A47C17/62Table beds; Billiard table beds, or like beds

Landscapes

  • Special Chairs (AREA)
  • Combinations Of Kitchen Furni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간 절약형 다기능 가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책상과 의자, 침대 등으로 사용 용도에 따라 자유롭게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조립 후 실내 구석이나 바닥으로부터 떨어진 지상에 보관할 수 있어 협소한 실내에서의 공간 활용도가 우수한 공간 절약형 다기능 가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침대와 책상 역할을 수행하는 제1몸체부와 의자 기능을 수행하는 제2몸체부로 구성되어져 책상과 의자, 침대 등으로 사용 용도에 따라 자유롭게 변경이 가능하므로 사용상 편리하고,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승하강수단에 의해 바닥으로부터 떨어진 지상에 보관할 수 있어 협소한 실내에서의 공간 활용도가 우수한 효과를 나타낸다.
감속기, 힌지, 경첩

Description

공간 절약형 다기능 가구{Space economy multipurpose furniture}
본 발명은 공간 절약형 다기능 가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책상과 의자, 침대 등으로 사용 용도에 따라 자유롭게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조립 후 실내 구석이나 바닥으로부터 떨어진 지상에 보관할 수 있어 협소한 실내에서의 공간 활용도가 우수한 공간 절약형 다기능 가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취침준비와 취침 후의 정리가 간단하고, 편안한 수면을 유도한다는 장점 등에 따라 대부분의 가정에서 침대를 사용하고 있으며, 이러한 침대는 통상 잠자리만을 해결하기 위한 독립적 효과를 얻기 위한 것으로 사용되었다. 이에 따라, 공부를 하기 위한 책상과, 편안히 앉을 수 있는 의자(쇼파)등이 별도로 함께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실내가 그다지 넓지 않은 경우에는 실내가 여러 가구들에 의해서 지나치게 좁아져 활동공간이 협소해질 뿐만 아니라 각각의 가구들을 별도로 구입해야 하는 경제적인 부담도 수반되었다.
이에 따라, 근래에는 좁은 실내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벽체에 매 립되어 있다가 필요시에 하향시켜 사용할 수 있는 침대가 제공되고 있다.
또한, 침대를 접게 되면 의자(쇼파)로 변하는 기능성 침대도 제공되고 있다.
우선, 전자의 경우에는 침대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침대를 벽체에 매립시켜 보관할 수 있으므로 공간 활용에서는 유리하지만 잠자리만을 해결하는 침대의 기능에서 벗어날 수 없는 단점이 있었으며, 후자의 경우에는 잠자리만을 해결하는 침대에 의자의 기능을 부과한 것으로 전자에 비해 기능적이지만 실내 한 쪽에 상시 위치하고 있어야 되므로 공간 효율성이 낮은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책상과 의자, 침대 등으로 사용 용도에 따라 자유롭게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조립 후 실내 구석이나 바닥으로부터 떨어진 지상에 보관할 수 있어 협소한 실내에서의 공간 활용도가 우수한 공간 절약형 다기능 가구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소정의 길이를 갖는 후면판과, 상기 후면판의 양측면으로부터 각각 연장된 측면판과, 상기 측면판 내측에서 힌지를 축으로 결합되는 지지판과, 상기 후면판의 내측에 부착되어 상기 지지판의 후단부 상면을 구속하여 선단부가 하향 회동되지 않도록 간섭하는 걸림부를 포함하는 제1몸체부; 상기 제1몸체부의 양측면에 형성되는 걸림홈; 및 상기 제1몸체부와 지지판을 매개로 조립되었다가 필요시 분리되는 것으로, 상기 지지판의 하측으로 삽입되는 착석면, 상기 착석면 후단부 양측에서 상측 방향으로 각각 연장된 연장부, 상기 연장부 내측에 각각 형성되는 고정돌기로 이루어지는 좌대와, 상기 고정돌기에 결합되는 것으로 고정돌기를 매개로 전후방으로 슬라이딩 되도록 양 측면에는 가이드홈이 각각 형성되어 결합되는 제1등받이부, 상기 제1등받이부에 경첩을 매개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등받이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등받이부와 제2등받이부의 하면에는 상기 지지판이 삽입되도록 상기 착석면과 소정거리 이격된 삽입홈이 형성된 등받이를 포함하는 제2몸체부로 구성되어, 상기 제1몸체부는, 일측이 개방된 개방구를 가지는 이동홀이 내부에 형성되어져 대칭되게 구비되는 한 쌍의 레일과, 상기 한 쌍의 레일 상측에 설치되는 지지대의 상부에 구비되는 양축 감속기, 상기 감속기에 연결되는 모터, 상기 양축 감속기의 회동축에 각각 부착되는 드럼, 상기 드럼에 감겨지는 와이어로 이루어지는 승하강장치 및 상기 와이어와 연결되어 레일의 이동홀 내부에 위치되며 양축 감속기의 구동 작동에 의해 상기 레일의 이동홀을 따라 상하로 슬라이딩 되는 것으로, 일측에는 상기 개방구로 돌출되어져 상기 제1몸체부의 양측면에 형성된 걸림홈을 체결하는 체결돌기가 형성된 이동체를 포함하는 승하강수단에 의해서 실내 바닥면에서 떨어진 곳에 보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의하면 침대와 책상 역할을 수행하는 제1몸체부와 의자 기능을 수행하는 제2몸체부로 구성되어져 책상과 의자, 침대 등으로 사용 용도에 따라 자유롭게 변경이 가능하므로 사용상 편리하고,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승하강수단에 의해 바닥으로부터 떨어진 지상에 보관할 수 있어 협소한 실내에서의 공간 활용도가 우수한 효과를 나타낸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공간 절약형 다기능 가구를 보 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공간 절약형 다기능 가구의 사시도이고, 도 2의 "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공간 절약형 다기능 가구의 분리 사시도이며, "나"는 분리 단면도이다.
먼저, 도 1을 참조로 하면, 본 발명의 공간 절약형 다기능 가구(10)는 크게 제1몸체부(100) 및 제2몸체부(200)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몸체부(100)는 도 2의 "가" 및 "나"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면판(110), 상기 후면판(110)의 양측면으로부터 각각 연장된 측면판(112)과, 상기 측면판(112) 내측에서 힌지(122)를 축으로 결합되는 지지판(120)과, 상기 후면판(110)의 내측에 부착되어 상기 지지판(120)의 후단부 상면을 구속하여 선단부가 하향 회동되지 않도록 간섭하는 걸림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후면판(110)은 후술하겠지만 통상의 침대 상판 역할을 수행하게 되며, 측면판(112)은 후면판(110)이 침대 상판 역할시 지지다리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판(120)은 후술할 제2몸체부(200)를 결합하는 매체로도 사용됨과 동시에 책상 역할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제2몸체부(200)는 도 2의 "가" 및 "나"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몸체부(100)와 지지판(120)을 매개로 결합되었다가 필요시 분리되는 것으로, 크게 착석면(212)을 가지는 좌대(210) 및 상기 좌대(210)에 결합된 등받이(220)로 구성되는데, 상기 등받이(220)는 상기 좌대(210)에 결합되는 제1등받이 부(222)와 상기 제1등받이부(222)에 경첩(226)을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등받이부(224)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1,2등받이부(222,224)의 하면에는 상기 지지판(120)이 삽입될 수 있도록 착석면(212)으로부터 소정의 거리 이격된 삽입홈(230)이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2등받이부(224)의 좌하귀 부분에는 지지판(120)이 삽입될 때 지지판(120)의 회동을 구속하는 걸림부(130)까지 삽입될 수 있는 삽착부(232)가 추가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몸체부(100)의 후면판(110)과 제2몸체부(200)의 착석면(212)에는 미도시 하였지만 쿠션매트를 매립시켜 사용이 더욱 편리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앞서 개략적으로 설명한 상기 제1몸체부(100) 및 제2몸체부(200)의 더욱 상세한 구성 및 작동관계는 하기에서 상술하겠다.
도 3의 "가"와 "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제1몸체부의 작동을 도시한 A-A선 단면도이다.
먼저, "가"를 참조로 하면, 후면판(110)으로부터 연장된 측면판(112)에는 지지판(120)이 힌지(122)를 축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상기 후면판(110)의 내측에는 상기 지지판(120)의 후단부 상측을 구속하는 걸림부(130)가 형성되어 있다. 이렇게 구성되면, 상기 지지판(120)의 선단부는 하향 회동되지 못하고 화살표 방향 즉, 상향 회동만 가능할 것이다. 아울러, 상기 제1몸체부(100) 또한 화살표 방향으로만 회동 가능함은 너무나 당연하다. 이는, 지지판(120)이 책상 역할을 수행함과 동시에 제2몸체부(200)를 결합한 후 제1몸체부(100)를 들어 올리는 등의 행위시 제2몸체부(200)가 지지판(120) 즉, 제1몸체부(10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계속해서, "나"를 참조로 하면, 지지판(120)을 상측으로 회동시키거나 제1몸체부(100)를 회동시켜 후면판(110)이 상측에 위치되도록 하게 되면 이 후면판(110)은 하측 사시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상을 가지게 되므로 침대 역할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고, 양 측면판(112)은 지지다리 역할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제2몸체부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5의 "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제2몸체부의 작동을 도시한 개략적 측면도이며, "나"는 제2몸체부의 작동을 도시한 개략적 횡단면도이다.
먼저, 도 4를 참조로 하면, 제2몸체부(200)는 크게 좌대(210) 및 등받이(220)로 구성됨을 알 수 있으며, 상기 좌대(210)는 상기 지지판(120)의 하측으로 삽입되는 착석면(212)과, 상기 착석면(212) 후단부 양측에서 상측 방향으로 각각 연장된 연장부(214)와, 상기 연장부(214) 내측에 각각 형성되는 고정돌기(216)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등받이(220)는 제1등받이부(222)와 제2등받이부(224)로 구성되 는데, 상기 제1등받이부(222)는 상기 고정돌기(216)에 결합되는 것으로 고정돌기(216)를 매개로 전후방으로 슬라이딩 되도록 양 측면에는 소정의 폭을 가지는 가이드홈(228)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2등받이부(224)는 상기 제1등받이부(222)에 경첩(226)을 매개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상기 고정돌기(216)와 가이드홈(228)은 전후방으로 슬라이딩만 가능하고 회동은 되지 못하도록 각각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미도시 하였지만 상기 좌대(210)에는 각종 소품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실을 추가로 형성하여도 좋을 것이다.
계속해서, 상기 등받이(220)의 제2등받이부(224)는 도 5의 "가"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첩(226)을 매개로 회동 기립되어져 좌대(210)의 착석면(212)에 앉는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등받이부(222)는 도 5의 "나"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석면(212)의 공간을 보다 넓게 사용할 수 있도록 화살표 방향으로 슬라이딩됨을 알 수 있다. 즉, 상기 제1등받이부(222)를 화살표 방향으로 밀게 되면 고정돌기(216)에 결합된 가이드홈(228)이 고정돌기(216)를 따라 안정되게 슬라이딩될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제2몸체부의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로 하면, 제2몸체부(200)를 두 부분으로 구획하여 그 선단부를 경첩(226)을 매개로 연결하여 접철 가능하도록 형성한 것이다. 이는, 일체로 형성 된 것과 달리 두 부분이 서로 대칭되게 각도 조절되므로 2인이 편안하게 착석할 수 있는 장점을 지닌다.
이제, 하기에서는 상기한 제1몸체부(100)와 제2몸체부(200)의 각 기능을 살펴보도록 하겠다.
도 7의 "가" 내지 "다"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공간 절약형 다기능 가구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 사시도이다.
먼저, "가"는 책상과 의자로 사용되는 경우를 도시하였다. 즉, 도 1의 상태(제1몸체부와 제2몸체부가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제1몸체부(100)와 제2몸체부(200)를 분리한 후 제1몸체부(100)는 별도로 회동 조작할 필요 없는 대신에 제2몸체부(200)의 제2등받이부(224)를 회동 기립시킴과 동시에 제1등받이부(222)를 외측으로 슬라이딩시켜 좌대(210)의 착석면(212)을 확보하게 된다. 그러면, 제1몸체부(100)의 지지판(120)은 노트북과 책이 위치되는 책상 역할을 수행하게 되고, 제2몸체부(200)는 사용자가 착석하게 되는 의자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상기 지지판(120)의 선단부는 걸림부(130)에 의해서 하향 회동되지 않으므로 제2몸체부(200)의 착석면(212)에 착석한 사용자가 그 선단부에 팔을 올린 채 공부를 하여도 지지판(120)은 무단으로 회동되지 않으므로 사용이 편리할 것이다.
계속해서, "나"는 침대와 의자(쇼파)로 사용되는 경우를 도시하였다. 제2몸체부(200)는 상기 "가"에서 조작된 상태로 유지하게 되고, 대신에 제1몸체부(100) 를 회동시켜 후면판(110)이 상측으로 위치되게끔 한다. 그러면, 제1몸체부(100)는 침대 역할을 수행하게 되고, 제2몸체부(200)는 의자 즉, 쇼파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다"는 침대를 보다 넓게 사용하는 경우를 도시하였다. 즉, 상기 "나"의 상태에서 제1몸체부(100)와 제2몸체부(200)를 서로 밀접되게 부착한다. 그러면, 제1몸체부(100)의 후면판(110)과 제2몸체부(200)의 착석면(212)은 잠자리를 제공하는 침대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공간 절약형 다기능 가구(10)는 제1몸체부(100)와 제2몸체부(200)로 인해 책상과 의자, 침대 등으로 사용 용도에 따라 자유롭게 변경이 가능한 장점을 지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사용되는 본 발명의 공간 절약형 다기능 가구(10)는 제1몸체부(100)와 제2몸체부(200)를 서로 결합하여 실내 구석에 보관하여도 무방하지만 보다 넓은 실내 공간 확보를 위해 승하강수단(300)에 의해서 바닥에서 떨어진 지상에 보관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한데, 하기에서는 이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하겠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승하강수단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로 하면, 본 발명의 승하강수단(300)은 크게 대칭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레일(310), 승하강장치(320) 및 이동체(3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레일(310)은 일측이 개방된 개방구(314)를 가지는 이동홀(312)이 내부에 형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승하강장치(320)는 상기 한 쌍의 레일(310) 상측에 설치되는 지지대(327)의 상부에 구비되는 양축 감속기(321)와, 상기 감속기(321)에 연결되는 모터(324)와, 상기 양축 감속기(321)의 회동축(322a,322b)에 각각 부착되는 드럼(325)과, 상기 드럼(325)에 감겨지는 와이어(326)로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상기 이동체(330)는 상기 와이어(326)와 연결되어 레일(310)의 이동홀(312) 내부에 위치되며, 양축 감속기(321)의 구동 작동에 의해 상기 레일(310)의 이동홀(312)을 따라 상하로 슬라이딩 되는 것으로, 일측에는 상기 개방구(314)로 돌출되어져 공간 절약형 다기능 가구(10)를 체결하는 체결돌기(332)가 형성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승하강수단과 공간 절약형 다기능 가구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 사시도이다.
우선, 본 발명의 공간 절약형 다기능 가구(10)의 제1몸체부(100)의 양 측면에는 한 쌍의 레일(310)에 각각 구비되는 이동체(330)의 체결돌기(332)에 결합될 결합홈(h)이 각각 형성됨을 인지하여야 된다.
그리하여, 도면을 참조로 하면 벽체에 형성된 소정의 공간 내에 본 발명의 승하강수단(300)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벽체 일측에는 상기 승하강장치(320)의 모터(324)를 구동할 수 있는 제어부(340)가 별도로 설치되며, 이동체(330)는 모터(324)의 구동에 의해 양 축 감속기(321)의 회동축(322a,322b)에 각각 부착된 드럼(325)에 감겨진 와이어(326)와 함께 하향되어져 있다.
이제, 본 발명의 다기능 가구(10)의 제1몸체부(100)를 밀어 그 양측에 형성된 결합홈(h)과 이동체(330)의 체결돌기(332)를 서로 결합하게 된다. 그런 뒤, 제어부(340)를 통해 모터(324)를 구동시켜 이동체(330)를 상승시키게 되면 다기능 가구(10)는 바닥면에서 떨어진 지상에 위치하게 될 것이다.
이때, 상기 다기능 가구(10)의 제2몸체부(200)는 선단부가 하향 회동되지 않는 지지판(120)을 매개로 제1몸체부(100)에 결합되어 있으므로 비록 제1몸체부(100)만이 이동체(330)의 체결돌기(332)에 결합되어져 상승하게 되더라도 같이 상승하게 될 것이고, 제1몸체부(100)로부터 이탈되지 않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공간 절약형 다기능 가구(10)를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승하강수단(300)을 통해 바닥으로 하향시켜서 사용하게 되고,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바닥면에서 떨어진 지상에 보관하게 되므로 실내 공간 활용도가 더욱 우수할 것이다.
전술한 내용은 후술할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보다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특징과 기술적 장점을 다소 폭넓게 개설하였다.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구성하는 부가적인 특징과 장점들이 이하에서 상술될 것이다. 개시된 본 발명의 개념과 특정 실시예는 본 발명과 유사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다른 구조의 설계나 수정의 기본으로서 즉시 사용될 수 있음이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인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개시된 발명의 개념과 실시예가 본 발명의 동일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다른 구조로 수정하거나 설계하기 위한 기초로서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된 사람들에 의한 그와 같은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 구조는 특허청구범위에서 기술한 발명의 사상이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화, 치환 및 변경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공간 절약형 다기능 가구의 사시도.
도 2의 "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공간 절약형 다기능 가구의 분리 사시도이며, "나"는 분리 단면도.
도 3의 "가"와 "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제1몸체부의 작동을 도시한 A-A선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제2몸체부의 분리 사시도.
도 5의 "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제2몸체부의 작동을 도시한 개략적 측면도이며, "나"는 제2몸체부의 작동을 도시한 개략적 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제2몸체부의 사시도.
도 7의 "가" 내지 "다"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공간 절약형 다기능 가구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승하강수단을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승하강수단과 공간 절약형 다기능 가구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본 발명의 공간 절약형 다기능 가구 100 : 제1몸체부
110 : 후면판 112 : 측면판
120 : 지지판 122 : 힌지
130 : 걸림부 200 : 제2몸체부
210 : 좌대 212 : 착석면
214 : 연장부 216 : 고정돌기
220 : 등받이 222 : 제1등받이부
224 : 제2등받이부 226 : 경첩
228 : 가이드홈 300 : 승하강수단
310 : 레일 312 : 이동홀
314 : 개방구 320 : 승하강장치
321 : 양 축 감속기 322a,322b : 회동축
324 : 모터 325 : 드럼
326 : 와이어 327 : 지지대
330 : 이동체 332 : 체결돌기
340 : 제어부

Claims (4)

  1. 소정의 길이를 갖는 후면판과, 상기 후면판의 양측면으로부터 각각 연장된 측면판과, 상기 측면판 내측에서 힌지를 축으로 결합되는 지지판과, 상기 후면판의 내측에 부착되어 상기 지지판의 후단부 상면을 구속하여 선단부가 하향 회동되지 않도록 간섭하는 걸림부를 포함하는 제1몸체부;
    상기 제1몸체부의 양측면에 형성되는 걸림홈; 및
    상기 제1몸체부와 지지판을 매개로 조립되었다가 필요시 분리되는 것으로, 상기 지지판의 하측으로 삽입되는 착석면, 상기 착석면 후단부 양측에서 상측 방향으로 각각 연장된 연장부, 상기 연장부 내측에 각각 형성되는 고정돌기로 이루어지는 좌대와, 상기 고정돌기에 결합되는 것으로 고정돌기를 매개로 전후방으로 슬라이딩 되도록 양 측면에는 가이드홈이 각각 형성되어 결합되는 제1등받이부, 상기 제1등받이부에 경첩을 매개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등받이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등받이부와 제2등받이부의 하면에는 상기 지지판이 삽입되도록 상기 착석면과 소정거리 이격된 삽입홈이 형성된 등받이를 포함하는 제2몸체부로 구성되어,
    상기 제1몸체부는, 일측이 개방된 개방구를 가지는 이동홀이 내부에 형성되어져 대칭되게 구비되는 한 쌍의 레일과, 상기 한 쌍의 레일 상측에 설치되는 지지대의 상부에 구비되는 양축 감속기, 상기 감속기에 연결되는 모터, 상기 양축 감속기의 회동축에 각각 부착되는 드럼, 상기 드럼에 감겨지는 와이어로 이루어지는 승하강장치 및 상기 와이어와 연결되어 레일의 이동홀 내부에 위치되며 양축 감속기의 구동 작동에 의해 상기 레일의 이동홀을 따라 상하로 슬라이딩 되는 것으로, 일측에는 상기 개방구로 돌출되어져 상기 제1몸체부의 양측면에 형성된 걸림홈을 체결하는 체결돌기가 형성된 이동체를 포함하는 승하강수단에 의해서 실내 바닥면에서 떨어진 곳에 보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절약형 다기능 가구.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070117389A 2007-11-16 2007-11-16 공간 절약형 다기능 가구 KR1009099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7389A KR100909936B1 (ko) 2007-11-16 2007-11-16 공간 절약형 다기능 가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7389A KR100909936B1 (ko) 2007-11-16 2007-11-16 공간 절약형 다기능 가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0774A KR20090050774A (ko) 2009-05-20
KR100909936B1 true KR100909936B1 (ko) 2009-07-29

Family

ID=408591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7389A KR100909936B1 (ko) 2007-11-16 2007-11-16 공간 절약형 다기능 가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993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7861B1 (ko) * 2010-12-07 2013-03-26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요람 겸용 책상의자세트
CN106377095B (zh) * 2016-11-26 2018-06-01 林圣玉 智能升降转换家具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1439Y1 (ko) * 1994-02-05 1996-02-17 양승숙 쇼파와 책상을 겸용한 수납식 침대
JP2002282069A (ja) * 2001-03-26 2002-10-02 Kokuyo Co Ltd 家 具
KR200292402Y1 (ko) * 2002-07-29 2002-10-21 (주)부흥테크놀로지 자립형 스크류 샤프트식 리프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1439Y1 (ko) * 1994-02-05 1996-02-17 양승숙 쇼파와 책상을 겸용한 수납식 침대
JP2002282069A (ja) * 2001-03-26 2002-10-02 Kokuyo Co Ltd 家 具
KR200292402Y1 (ko) * 2002-07-29 2002-10-21 (주)부흥테크놀로지 자립형 스크류 샤프트식 리프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0774A (ko) 2009-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74758B2 (en) Folding cabinet bed with telescoping slide-out support platform
US8091159B2 (en) Mechanism and mattress for sofabed
KR100909936B1 (ko) 공간 절약형 다기능 가구
KR101274910B1 (ko) 소파 겸 침대기능을 갖는 다용도 가구
JP3609996B2 (ja) ソファー
RU155984U1 (ru) Кровать с подъёмным механизмом и ящиком для белья
JP4243496B2 (ja) 可動式家具
KR200395547Y1 (ko) 침대겸용 소파
KR101062371B1 (ko) 침대 겸용 의자
CN220344034U (zh) 沙发智能伸缩调节结构
KR200429165Y1 (ko) 소파 겸용 침대
JPH077812Y2 (ja) ソファー兼ベッド
KR200476707Y1 (ko) 침대 겸용 소파
CN215126393U (zh) 一种多功能组合体沙发
KR20110000249U (ko) 침대가 구비된 다용도 책장
KR101135439B1 (ko) 캠핑카용 변형가구
CN215776625U (zh) 一种折叠桌椅
KR102640633B1 (ko) 좌판 확장형 소파
KR200474547Y1 (ko) 다기능 소파
KR200466444Y1 (ko) 선반이 구비된 침대
KR20180060714A (ko) 이단 접이식 책상 일체형 휠체어
KR200292584Y1 (ko) 접이식 침대
RU97607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егулирования положения спинки мягкой мебели
RU68263U1 (ru) Комбинированная мебель (варианты)
KR101791239B1 (ko) 가변식 가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2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