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3117B1 - 자동차의 쇽 업소오버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쇽 업소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3117B1
KR960003117B1 KR1019910023892A KR910023892A KR960003117B1 KR 960003117 B1 KR960003117 B1 KR 960003117B1 KR 1019910023892 A KR1019910023892 A KR 1019910023892A KR 910023892 A KR910023892 A KR 910023892A KR 960003117 B1 KR960003117 B1 KR 9600031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rifice
piston
shock
shock absorber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238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영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성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성원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100238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31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31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3117B1/ko

Links

Landscapes

  • Fluid-Damping Devi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동차의 쇽 업소오버
제1도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쇽 업소오버의 일부 절개 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요부 단면도.
제3도는 제2도의 A부분 확대 단면도.
제4도는 제3도의 B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실린더 3 : 피스톤
9,10 : 오리피스 11 : 2단홀
12 : 대직경부 13 : 스프링
14 : 볼
본 발명은 자동차의 현가장치에 적용되는 쇽 업소오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노면으로부터의 급격한 충격이 가해질 때의 감쇠력의 양을 완화시켜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 쇽 업소오버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에 있어서의 쇽 업소오버는 자동차가 주행할 때에 현가 스프링이 받는 충격에 의해 발생하는 고유 진동을 흡수하여 진동을 빨리 감쇠시켜 승차감을 좋게하는 것으로서, 상하운동 에너지를 열로 바꾸는 작용을 하게 되며, 그 종류로는 고체 마찰식과 유압식이 있는데 유압식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 유압식 쇽 업소오버는 유체에 의한 저항을 이용하여 진동의 감쇠작용을 하는 것으로서, 그 구성을 보면 제1도에서와 같이 차축과 연결되는 실린더(2)와, 차체쪽에 연결되는 피스톤(3)이 결합되어 있고 상기 실린더(2) 내부에는 오일(4)이 충진되는 구성이다.
또한 상기 피스톤에는 오리피스(Orifice)가 형성되어 자동차의 진동시에 오리피스를 통과하는 오일의 저항에 의해 진동을 억제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쇽 업소오버에 있어서, 종래에는 피스톤에 단순히 오리피스만 형성되어 있는바, 피스톤의 승강 속도가 저, 중속에서는 피스톤의 속도에 따라 감쇠력이 선형적으로 증대되어 쇽 업소오버의 기능을 충분히 발휘하게 된다.
그러나 자동차가 거친 노면을 주행하게 되어 피스톤의 속도가 고속으로 승강되는 경우에는 오리피스를 통과하는 오일량이 증가되어야만 그의 충격을 완하시키며 감쇠하게 되는데, 상기한 바의 구성에 의하여 오리피스를 통과하는 오일의 양이 일정하게 되는 바, 피스톤이 빠르게 승강하지 못하므로 충격을 신속하게 흡수감쇠하지 못하여 거친 노면의 주행시 승차감이 좋지 않다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종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노면으로부터의 급격한 충격이 가해질 때의 감쇠력을 완화시켜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 쇽 업소오버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기존 피스톤에 오리피스를 추가 형성하되, 이 오리피스의 중간부에 직교하는 홀을 형성하고 상기 홀에 스프링과 볼을 삽입시켜 유압의 정도에 따라 상기 오리피스의 개구 면적을 증감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이하, 상기의 목적을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쇽 업소오버(1)의 일부 절개 사시도로서, 쇽 업소오버(1)는 차축과 연결되는 실린더(2)와, 차체쪽에 연결되는 피스톤(3)이 결합되어 있고 상기 실린더(2) 내부에는 오일(4)이 충진되는 구성이다.
상기 피스톤(3)은 차체에 연결되는 피스톤 로드(5)의 하단에 상하면으로 디스크(6)를 개재시켜 너트(7)로 체결 고정된다.
그리고 피스톤(3)은 제2도에서와 같이 디스크(6) 보다 대직경으로 형성되고 그 상하면에는 돌기(8)가 형성되어 이의 돌기(8) 상하에 디스크(6)가 위치하며, 수직으로는 실린더(2)내에 충진된 오일(4)이 통하는 다수의 오리피스(9)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쇽 업소오버(1)에 있어서, 본 발명은 상기 피스톤(3)의 오리피스(9) 외측에 이웃하는 또 다른 오리피스(10)를 형성하되, 상기 오리피스(10)의 중간부에 하측에 암나사부(12)가 형성되는 홀(11)이 연통되게 형성하고 이에 볼(14)과 스프링(13)을 삽입시켜 볼트(15)로 체결함으로써, 상기 스프링(13)의 탄발력에 의해 볼(14)이 오리피스(10)를 폐쇄할 수 있도록 형성하였다.
이와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노면으로부터 받는 충격이 작아 피스톤(3)이 저속으로 동작되는 경우에는 실린더(2)내 오일(4)의 유압이 작게 형성되는바, 이의 유압이 스프링(13)의 탄성력을 이기지 못하여 오일(4)은 오리피스(10)을 통과하지 못하고 기존의 오리피스(9)만을 통하여 유통되면서 감쇠작용을 하게 된다.
그리고 노면으로부터 심한 충격이 가해질 때는 피스톤(3)의 승강 속도가 빨라지면서 오일(4)의 압이 크게 상승되고 이의 유압이 스프링(13)의 탄발력보다 크게 되면 유압에 의해 볼(14)이 순간적으로 스프링(13)의 탄발력을 극복하면서 홀(11)속으로 제4도와 같이 들어가게 된다.
그러면 오일(4) 기존의 오리피스(9)는 물론 본 발명에 의한 오리피스(10)를 통해 유통되므로 순간적으로 감쇠력이 낮아지면서 탑승자들에게는 충격감을 완화시켜 주게 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기존 쇽 업소오버(1)의 피스톤(3)에 유량을 조절할 수 있는 구조를 추가 형성하여 자동차가 거친 노면을 주행하거나 노면으로부터 순간적인 충격이 가해질 때 오일이 흐르는 오리피스의 개구면적을 넓혀줌으로써, 감쇠력을 낮추어 주어 탑승자가 느끼는 큰 충격감을 완화시켜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Claims (3)

  1. 차축과 연결되는 실린더(2)의 차체쪽으로 연결되는 피스톤(3)이 결합되어 있고, 상기 실린더(2) 내부에는 오일(4)이 충진되는 자동차의 쇽 업소오버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3)의 오리피스(9) 외측에 추가로 오리피스가 형성되고, 상기 오리피스(10)의 내부에 홀(11)이 연통되게 형성하고, 이의 홀(11)에 볼(14)과 스프링(13)을 삽입하여 상기 스프링(13)의 탄성력에 의해 오리피스(10)를 개폐할 수 있도록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쇽 업소오버.
  2. 제1항에 있어서, 오리피스(10) 내부에 형성된 홀은 하측으로 암나사부(12)가 형성되어 볼트(15)에 의해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쇽 업소오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리피스(10)는 피스톤의 오리피스(9)에 대해 대각선 방향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쇽 업소오버.
KR1019910023892A 1991-12-23 1991-12-23 자동차의 쇽 업소오버 KR9600031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23892A KR960003117B1 (ko) 1991-12-23 1991-12-23 자동차의 쇽 업소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23892A KR960003117B1 (ko) 1991-12-23 1991-12-23 자동차의 쇽 업소오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3117B1 true KR960003117B1 (ko) 1996-03-05

Family

ID=193255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23892A KR960003117B1 (ko) 1991-12-23 1991-12-23 자동차의 쇽 업소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3117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13263B1 (en) Oil damper system
US2877872A (en) Damping means for vehicle dip and sway
US6802404B1 (en) Electro-rheological or magneto-rheological controlled hydraulic restriction
KR960003117B1 (ko) 자동차의 쇽 업소오버
CN113400880B (zh) 一种车辆及提高车辆行驶平稳性的方法
JP3874385B2 (ja) フロントフォーク
JPS5899533A (ja) 車両用油圧緩衝装置
CN216478641U (zh) 一种具有频率响应特性的减振器阀系
JPS5926817B2 (ja) 車輛用緩衝器
KR100330045B1 (ko) 쇽업소버용 오리피스구조
KR950011795B1 (ko) 소음 저감형 쇽업소오버 밸브
CN113958642A (zh) 一种具有频率响应特性的减振器阀系
CN108382150A (zh) 一种动行程自补偿的车辆isd悬架
KR100235322B1 (ko) 감쇠력 특성이 개선된 쇽 업소버
KR930005176Y1 (ko) 전기유압제어식 쇽업 소오버
JP2601394Y2 (ja) 油圧緩衝器の圧側減衰力発生バルブ構造
JPS6018860B2 (ja) 車輛用緩衝器
KR200152739Y1 (ko) 감쇠력 조절식 자동차용 쇽업소버
JPH051711Y2 (ko)
KR890000947Y1 (ko) 속 업저어버 (Shock absorber) 의 감쇄력 조정장치
KR20000038373A (ko) 감쇠력 가변형 쇽업소버
KR100204902B1 (ko) 자동차의 안티 다이브 장치
KR960005203Y1 (ko) 쇽업쇼오버의 스트로크감응식 감쇠장치
KR0176356B1 (ko) 자동차의 유압식 쇽 업소버
KR100330894B1 (ko) 충격흡수용 댐퍼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305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