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35322B1 - 감쇠력 특성이 개선된 쇽 업소버 - Google Patents

감쇠력 특성이 개선된 쇽 업소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35322B1
KR100235322B1 KR1019970005128A KR19970005128A KR100235322B1 KR 100235322 B1 KR100235322 B1 KR 100235322B1 KR 1019970005128 A KR1019970005128 A KR 1019970005128A KR 19970005128 A KR19970005128 A KR 19970005128A KR 100235322 B1 KR100235322 B1 KR 1002353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ston
piston rod
shock absorber
orific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051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68503A (ko
Inventor
류기팔
Original Assignee
오상수
만도기계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상수, 만도기계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상수
Priority to KR10199700051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35322B1/ko
Publication of KR199800685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85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53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53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3207Constructional features
    • F16F9/3214Constructional features of pist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1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using liquid only; using a fluid of which the nature is immaterial
    • F16F9/14Devices with one or more members, e.g. pistons, vanes, moving to and fro in chambers and using throttling effect
    • F16F9/16Devices with one or more members, e.g. pistons, vanes, moving to and fro in chambers and using throttling effect involving only straight-line movement of the effective parts
    • F16F9/18Devices with one or more members, e.g. pistons, vanes, moving to and fro in chambers and using throttling effect involving only straight-line movement of the effective parts with a closed cylinder and a piston separating two or more working spaces therein
    • F16F9/19Devices with one or more members, e.g. pistons, vanes, moving to and fro in chambers and using throttling effect involving only straight-line movement of the effective parts with a closed cylinder and a piston separating two or more working spaces therein with a single cylinder and of single-tube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스톤의 오리피스 구조를 변경하고 피스톤로드내에 유로를 형성하여 감쇠력 특성이 개선되도록 한 쇽 업소버에 관한 것으로, 피스톤의 반경 방향으로는 한 개의 오리피스만 형성하고, 피스톤로드의 종단부에 일정길이 만큼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통공과 상기 통공으로부터 방사방향으로 연통된 통공을 형성하여서 상기 오리피스외의 또다른 유로가 피스톤로드에 형성되도록 함에따라, 피스톤의 내구성이 향상되도록하고 차량 승차감이 향상되도록한 쇽 업소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감쇠력 특성이 개선된 쇽 업소버
본 발명은 피스톤의 오리피스 구조를 변경하고 피스톤로드 내에 유로를 형성하여 감쇠력 특성이 개선되도록 한 쇽 업소버에 관한 것으로, 피스톤로드 신장시에는 피스톤에 형성된 오리피스를 통하여 감쇠력이 형성되도록 하고 피스톤로드 압축시에는 피스톤로드내에 형성된 유로를 통하여 감쇠력이 형성되도록 하여 감쇠력 특성이 안정되도록 제작된 쇽 업소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쇽 업소버는 내부에 오일이 충진된 튜브와, 상기 튜브 내에서 왕복 운동하는 피스톤로드와, 상기 피스톤로드의 종단에 설치되며 피스톤로드 왕복운동시 감쇠력이 발생하도록 길이 방향으로 오리피스가 천공된 피스톤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쇽 업소버는 차체부와 샤시부 사이에 설치되어 차량주행중 타이어를 통해 샤시부에 유입되는 진동이 차체부와 샤시부 사이에서 흡수되도록 하여서 차체부에 전달되는 진동이 감소 되도록 한다.
따라서 차체로 유입되는 노면진동이 저속으로 약하게 유입될 경우에는 적은 감쇠력으로도 충분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나, 노면진동이 고속으로 강하게 유입될 경우에는 큰 감쇠력을 요하게 된다.
그러나 너무 큰 감쇠력의 변화는 승차감을 크게 해칠 수 있으므로 적당한 수준에서 감쇠력 값이 조정되어야할 필요가 있다.
종래의 쇽 업소버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스톤(4)에 반경방향의 내측에 위치한 오리피스(5)와 외측에 위치한 오리피스(5')가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피스톤(4)의 상면에는 밸브(10)와, 리테이너(9) 그리고 인테이크 스프링(8) 및 와셔(7)가 순차적으로 결합되고, 상기 피스톤(4)의 하면에는 다수개의 디스크(11)와 밸브(13), 너트(14)가 순차적으로 결합되어져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쇽 업소버에서는 피스톤로드(1)가 신장운동 할시에 피스톤(4)을 경계로 튜브(15)의 상부에 위치하던 오일이 피스톤(4)의 오리피스(5)를 경유하여 디스크(11)를 밀어 젖히면서 피스톤(4)의 하부로 흐르게 되므로, 감쇠력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피스톤로드(1)가 압축운동 할 시에는 피스톤(4)을 경계로 튜브(15)의 하부에 위치하던 오일이 피스톤(4)의 오리피스(5')를 경유하여 밸브(10) 및 인테이크스프링(8)을 밀어 젖히면서 피스톤(4)의 상부로 흐르게 되므로 감쇠력이 발생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쇽 업소버에서는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속범위 이하의 노면진동이 유입될 시에는 주로 디스크(11)의 매수에 의하여 감쇠력이 영향을 받게 되므로 비례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이 있으나, 고속범위의 노면진동이 유입될 시에는 주로 피스톤(4)의 오리피스(5)(5')의 직경에 의하여 감쇠력이 영향을 받게 되므로 2차함수적인 증가경향을 보이게 되는데, 피스톤(4)의 오리피스(5)(5')가 충분히 크지 못한 경우에는 2차함수의 기울기가 더욱 크게 변하게 되므로 고속 감쇠력이 필요이상 커지게 된다. 따라서 악로 통과시나 범프(bump)도로 통과시 차량 승차자에게 딱딱한 느낌을 주게 되므로 승차감을 해치게 된다.
그런데 상기한 종래의 쇽 업소버 구조에서는 피스톤(4)에 반경방향으로 두 개의 오리피스(5)(5')가 형성되고, 피스톤로드의 압축, 신장행정시 상기 오리피스(5)(5')들중 어느하나를 통해서만 오일이 흐르게 되므로 각각 충분한 크기로 형성 되어야 하는데, 이와 같이 오리피스를 충분한 직경크기의 반경 방향으로 2개씩 형성할 경우 피스톤(4)의 강도가 저하되므로 충격에 의해 피스톤(4)이 쉽게 파손 될 수 있으므로 쇽 업소버의 수명을 단축 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오리피스(5)의 직경 크기를 피스톤(4)의 강도를 저하시키지 않는 범위내로 제한 하다 보면, 피스톤(4) 오리피스의 크기가 충분한 크기가 되지 못하므로 고속 감쇠력이 필요이상으로 커져서 승차감이 나빠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 하기 위한 것으로 피스톤의 반경 방향으로는 한 개의 오리피스만 형성하고, 피스톤로드의 종단부에 일정길이 만큼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통공과 상기 통공으로부터 방사방향으로 연통된 통공을 형성하여서 상기 오리피스외의 또다른 유로가 피스톤로드에 형성되도록 함에따라, 피스톤의 내구성이 향상되도록하고 차량 승차감이 향상되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제1도는 종래 쇽 업소버의 측 단면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쇽 업소버의 측 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쇽 업소버의 요부인 피스톤의 사시도.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쇽 업소버의 요부인 피스톤의 평면도.
제5도는 종래기술에 의한 쇽 업소버의 감쇠력 특성선도.
제6도는 본 발명에 따른 쇽 업소버의 감쇠력 특성선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피스톤 로드 2 : 통공
3 : 통공 4 : 피스톤
5 : 오리피스 6 : 홈부
7 : 와셔 8 : 인테이크 스프링
9 : 리테이너 10 : 밸브
11 : 디스크 12 : 리테이너
13 : 밸브 14 : 너트
15 : 튜브
첨부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쇽 업소버의 측 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쇽 업소버의 요부인 피스톤의 사시도,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쇽 업소버의 요부인 피스톤의 평면도로서 상기 도면에서 보면, 내부에 오일이 충진된 튜브(15)와, 상기 튜브(15)내에서 왕복운동하는 피스톤로드(1)와, 상기 피스톤로드(1)의 종단에 설치되며 피스톤로드 왕복운동시 감쇠력이 발생하도록 길이 방향으로 오리피스가 천공된 피스톤(4)으로 구성되는 쇽 업소버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4)의 상부면에는 중심으로부터 동일 반경에 해당되는 위치에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개의 오리피스(5)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오리피스(5)들 사이의 피스톤 상부면에서는 중심으로 부터 방사형으로 퍼진 형상의 홈부(6)가 형성되어 있으며, 피스톤로드(1)의 종단으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일정 길이 만큼 통공(2)이 형성되고 상기 통공(2)과 연통된 통공(3)이 방사방향으로 형성되어져 있다.
또한, 상기 통공(3)은 피스톤(4)의 홈부(6)를 향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쇽 업소버는 다음과 같이 작동하게 된다.
피스톤로드(1)가 신장 동작 할 경우 피스톤(4)을 경계로 튜브(15)의 상부에 위치하던 오일은 피스톤(4)의 오리피스(5)를 경유하여 디스크(11)를 밀어 젖히면서 피스톤(4)의 하부로 흐르게 되므로, 피스톤 로드(1)의 신장동작시 감쇠력이 발생하게 된다.
한편, 피스톤로드(1)가 압축동작할 경우에는 피스톤(4)을 경계로 튜브(15)의 하부에 위치하던 오일이 피스톤로드(1)의 종단으로부터 형성된 통공(2)과 이에 연통된 통공(3)을 통해서 피스톤(4) 상면에 형성된 홈부(6)로 흐르게 되고, 홈부(6)로 유입된 오일은 밸브(10) 및 인테이크스프링(8)을 밀어 젖히면서 피스톤(4)의 상부로 흐르게 되므로, 피스톤로드(1)의 압축동작시 감쇠력이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쇽 업소버는 피스톤로드(1)의 압축동작시에는 오일이 피스톤로드(1)의 종단에 형성된 통공(2)(3)을 통해서 흐르고 피스톤로드(1)의 신장 동작시에만 피스톤(4)의 오리피스(5)를 통해 흐르며 피스톤(4)에는 반경 방향으로 한 개의 오리피스(5)만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피스톤(4)의 오리피스(5)를 충분한 크기로 형성하여도 피스톤(4)의 강도를 크게 저하시키지 않게 될 뿐만 아니라, 오리피스(5)의 미세가공에 따른 제작상의 부담이 줄어 들게 된다. 따라서 제6도에 도시된 감쇠력선도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다른 쇽 업소버에서는 피스톤(4)의 오리피스(5)를 충분한 크기로 형성하므로서 고속 진동에 대한 감쇠력을 상대적으로 저하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고속 진동시 양호한 승차감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피스톤의 반경 방향으로는 한 개의 오리피스만 형성하고, 피스톤로드의 종단부에 일정길이 만큼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통공과 상기 통공으로 부터 방사방향으로 연통된 통공을 형성하여서 상기 오리피스외의 또다른 유로가 피스톤로드에 형성되도록 함에따라, 피스톤의 내구성이 향상되도록하고 차량 승차감이 향상되도록한 우수한 발명이다.

Claims (2)

  1. 내부에 오일이 충진된 튜브(15)와, 상기 튜브(15)내에서 왕복운동하는 피스톤로드(1)와, 상기 피스톤로드(1)의 종단에 설치되며 피스톤로드 왕복운동시 감쇠력이 발생하도록 길이 방향으로 오리피스가 천공된 피스톤(4)으로 구성되는 쇽 업소버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4)의 상부면에는 중심으로부터 동일 반경에 해당되는 위치에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개의 오리피스(5)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오리피스(5)들 사이의 피스톤 상부면에서는 중심으로부터 방사형으로 퍼진 형상의 홈부(6)가 형성되어 있으며, 피스톤로드(1)의 종단으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일정 길이 만큼 통공(2)이 형성되고 상기 통공(2)과 연통된 통공(3)이 방사방향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쇽 업소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통공(3)은 피스톤(4)의 홈부(6)를 향하는 위치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쇽 업소버.
KR1019970005128A 1997-02-20 1997-02-20 감쇠력 특성이 개선된 쇽 업소버 KR1002353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5128A KR100235322B1 (ko) 1997-02-20 1997-02-20 감쇠력 특성이 개선된 쇽 업소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5128A KR100235322B1 (ko) 1997-02-20 1997-02-20 감쇠력 특성이 개선된 쇽 업소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8503A KR19980068503A (ko) 1998-10-26
KR100235322B1 true KR100235322B1 (ko) 1999-12-15

Family

ID=194975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05128A KR100235322B1 (ko) 1997-02-20 1997-02-20 감쇠력 특성이 개선된 쇽 업소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3532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1436A (ko) * 2000-12-22 2002-06-29 밍 루 최적의 승차감 및 주행상태로 자동 조절되는 차량용쇽업소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7341B1 (ko) * 2000-12-27 2005-01-24 주식회사 만도 자동차용 파워스티어링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1436A (ko) * 2000-12-22 2002-06-29 밍 루 최적의 승차감 및 주행상태로 자동 조절되는 차량용쇽업소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8503A (ko) 1998-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1519B1 (ko) 정션 블리드
US6460664B1 (en) Independently tunable variable bleed orifice
US6382372B1 (en) Ported disc variable bleed orifice
KR100235322B1 (ko) 감쇠력 특성이 개선된 쇽 업소버
JP2859863B2 (ja) ショックアブソーバのピストンバルブ
KR100618637B1 (ko) 쇼크업소버용 밸브구조
KR100415459B1 (ko) 감쇠력가변형쇽업소버
RU2802100C2 (ru) Автомобильный гидравлический амортизатор
KR100735475B1 (ko) 쇽 업소버의 극 저속용 피스톤 밸브
RU2801906C1 (ru) Двухрежимная система подвески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с регулируемым дорожным просветом
JPS5926817B2 (ja) 車輛用緩衝器
KR20090100545A (ko) 쇽업소버
KR100243761B1 (ko) 자동차용 현가장치
JPH0419256Y2 (ko)
KR20080030748A (ko) 감쇠력 가변형 쇽업소버
KR100448783B1 (ko) 자동차의 쇽업소버
KR100216023B1 (ko) 쇽 업소버의 피스톤 밸브
KR19990013191U (ko) 스트로크 감응식 쇽업소버
KR200287279Y1 (ko) 쇽업소버의 피스톤 밸브구조_
KR100808421B1 (ko) 쇽업소버 밸브 구조
KR100505122B1 (ko) 쇽 업소버의 피스톤 밸브
KR100376151B1 (ko) 쇽압쇼바의가변식유압댐퍼
KR930005181Y1 (ko) 자동차용 유압식 쇽업쇼오버
KR100581496B1 (ko) 쇼크업소버용 밸브구조
KR19980027092U (ko) 쇽 업소버의 피스톤 밸브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4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8

Year of fee payment: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