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15459B1 - 감쇠력가변형쇽업소버 - Google Patents

감쇠력가변형쇽업소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15459B1
KR100415459B1 KR10-1998-0052486A KR19980052486A KR100415459B1 KR 100415459 B1 KR100415459 B1 KR 100415459B1 KR 19980052486 A KR19980052486 A KR 19980052486A KR 100415459 B1 KR100415459 B1 KR 1004154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ston
damping force
shock absorber
flow
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24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37749A (ko
Inventor
이해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10-1998-00524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15459B1/ko
Publication of KR200000377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377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54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5459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34Special valve constructions; Shape or construction of throttling passages
    • F16F9/348Throttling passages in the form of annular discs or other plate-like elements which may or may not have a spring action, operating in opposite directions or singly, e.g. annular discs positioned on top of the valve or piston body
    • F16F9/3481Throttling passages in the form of annular discs or other plate-like elements which may or may not have a spring action, operating in opposite directions or singly, e.g. annular discs positioned on top of the valve or piston body characterised by shape or construction of throttling passages in pist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3207Constructional features
    • F16F9/3214Constructional features of pist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쇽업소버에 관한 것이다.
속업소버의 피스톤과 바디의 피스톤로드 및 핀과의 접촉부에 일정한 크기로 되는 제3의 유로를 추가로 설치하여 중,저속 구간에서는 감쇠력에 영향을 주지 않고 일정 고속이상에서의 댐퍼내 고압이 작동시 상기 유로를 통해 오일이 빠저나갈 수 있게하여 피스톤 속도에 따른 감쇠력 증가를 완만하게 유도하여 내구성 향상과 더불어 수명을 연장할 수 있게 한 것임.

Description

감쇠력 가변형 쇽업소버
본 발명은 쇽업소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중,저속 구간에서는 감쇠력에 영향을 주지않고 일정 고속이상에서의 댐퍼내 고압이 작동시 제3의 바이패스 유로를 개방하여 통과 유량을 증대시킴에 따라 감쇠력 증가를 완만하게 하여 내구성 및 수명을 크게 연장할 수 있게한 감쇠력 가변형 쇽업소버를 제공함에 있는 것이다.
차량용 쇽업소버(shock absorber)는 양단부가 차체와 바퀴에 고정되어 주행중 노면과 접촉하는 바퀴로부터 전달되어지는 각종 진동이나 충격을 재빨리 흡수하여 차체에는 이들 진동이 전달되는 일이 없게함으로써 승차감 및 주행 안전성 향상을 꾀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쇽업소버(100)는 도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두 개의 원통형의 튜브(내통과 외통)를 이용하여 하나의 댐퍼(70)를 구성하고 상기 댐피의 내측에는 공기와 함께 오일을 충진하여 리바운드(Rebound) 행정시 피스톤(10)의 상부측에 위치한 리바운드챔버(40)측 오일이 피스톤(10)에 형성된 오리피스(리바운드유로(14))를 통해 콤프레션챔버측으로 이동하고, 반대로 콤프레션(Compression) 행정시에는 콤프레션챔버(50)의 오일은 다시 피스톤(10)의 오리피스(콤프레션유로(16))를 통해 리바운드챔버(40)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처럼 쇽업소버(100)는 차량 주행시 차체와 연결되는 피스톤로드(20)와 함께 피스톤(10)이 상,하로 리바운드/콤프레션 행정을 할 때 양쪽 챔버(40,50)의 오일이 피스톤(10)의 상,하부측으로 순환 이동하는 것에 의해 일정한 감쇠력을 발생시키도록 되어 있다.
종래에는 도 2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쇽업소버(100)의 바디(60)에 조립되는 디스크-s(64;disc-s), 디스크(62), 피스톤(10)에 형성되는 각각의 유로(14,16)에 의해 댐퍼의 감쇠력을 조정하고, 고속에서의 감쇠력 조절은 피스톤(10)에 형성되는 유로(14,16)의 크기(직경) 변화를 통해 감쇠력을 조절하고 있다.
그러나 어느 정도의 고속 이상에서는 댐퍼로 감쇠력를 잡을 필요가 없는 구간이 있게 되는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에는 피스톤(10)에 형성되는 오리피스의 특성상 높은 감쇠력이 걸려 이때 발생하는 고온 등으로 댐퍼(70)에 불리한 영향을 끼쳐 내구성 저하의 원인이 되는 등의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중,저속 구간에서는 감쇠력에 영향을 주지 않고 일정 고속이상에서의 댐퍼내 고압이 작동시 유량을 크게 하여 감쇠력이 완만하게 증대시킬 수 있도록 된 쇽업소버를제공함에 있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 달성을 위해 본 발명에서는 피스톤(10)과 바디(60)의 피스톤로드(20) 및 핀(30)과의 접촉부(21,31)에 별도의 제3의 유로(12,62)를 추가로 설치하여 일정 고속이상에서의 댐퍼내 고압이 작동시 상기 유로(12,62)를 통해 오일이 흐르도록 유도하여 통과 유량을 증대시키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고 있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예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 효과 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쇽업소버의 요부 발췌단면도,
도 2는 종래 피스톤밸브의 요부 단면도,
도 3은 종래 바디밸브의 요부 단면도,
도 4는 피스톤 속도에 대한 감쇠력 변화 선도,
도 5는 본 발명이 적용된 피스톤밸브의 요부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이 적용된 바디밸브의 요부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피스톤(바디)의 평면도
도 8은 피스톤 속도에 대한 감쇠력 변화 선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피스톤 12,62; 제3의 유로
14,16; 오리피스 20: 피스톤로드
21,31; 접촉부 30; 핀
40: 리바운드챔버 50:콤프레션 챔버
60; 바디 63; 디스크
64; 디스크-s 70; 댐퍼
도 5와 6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차체와 바퀴에 고정되게 설치되어 주행중에 노면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을 흡수하여 승차감 및 주행 안전성 향상을 도모하도록 된 쇽업소버에 있어서, 상기 쇽업소버의 피스톤(10)과 바디(60)의 피스톤로드(20) 및 핀(30)과의 접촉부(21,31)에 일정한 크기로 되는 제3의 유로(12,62)를 추가로 설치하여 중,저속 구간에서는 감쇠력에 영향을 주지 않고 일정 고속이상에서의 댐퍼내 고압이 작동시 상기 유로(12,62)를 통해 오일이 흐르게 하여 하여 통과 유량을 증대시킴에 따라 완만한 감쇠력을 가질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즉, 리바운드측과 콤프레션측 오리피스가 각각 형성되어진 피스톤(10)과 바디(60)를 포함하는 감쇠력 가변형 쇼업소버에 있어서, 쇽업소버의 피스톤(10) 및 바디(60)의 내측, 즉 피스톤로드(20) 및 핀(30)과 인접한 부위에 제 3의 유로(12, 62)가 형성되어, 상기 제 3의 유로(12)를 통해 리바운드 챔버(40)내의 오일이 콤프레션 챔버(50)로 흐르고, 상기 제 3의 유로(62)를 통해서는 콤프레션 챔버(50) 내의 오일이 바디(60) 밖으로 흐르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쇽업소버(100)는 리바운드 행정시 피스톤(10)의 상부측에 위치한 리바운드챔버(40)측 오일이 피스톤(10)에 형성된 오리피스(14)를 통해 콤프레션챔버(50)측으로 이동하고, 반대로 콤프레션 행정시에는 피스톤(10)의 하부측에 위치한 콤프레션챔버(50)의 오일은 다시 피스톤(10)의 오리피스(16)를 통해 리바운드챔버(40)로 순환 이동하는 것에 의해 일정한 감쇠력을 발생시키는 것은종래와 모두 동일한 것이다.
다만, 일정 고속이상에서의 댐퍼내 고압이 작동시에는 댐퍼내의 충진된 고압의 유압에 의해 상기 제3의 유로(12,62)가 개방되게 된다.
즉, 본원발명에서는, 피스톤(10) 및 바디(60) 상부에 위치한 디스크는 리바운드(도 2참조) 및 콤프레션(도 3참조) 공정시에 이미 초기로부터 단턱에 닿아있게 되므로 통과유량 변화에 관계없이 디스크에 의한 개도는 일정하게 유지되고, 따라서 제 3의 유로(12)(62)를 통한 개도 역시 일정하게 유지된다.
피스톤에 디스크와 디스크-s를 결합하여 피스톤 밸브를 구성하는 종래의 통상적인 쇽업소버 내부 구조에서는, 피스톤로드가 저속 왕복하는 구간(이하, 저속 작동구간이라 칭함)에서는 쇽업소버의 감쇠력특성이 디스크-s의 개도에 주로 영향을 받고, 피스톤로드가 중속 왕복하는 구간(이하, 중속작동구간이라 칭함)에서는 쇽업소버의 감쇠력특성이 디스크의 두께 또는 매수에 주로 영향을 받고, 피스톤로드가 고속 왕복하는 구간(이하, 고속작동구간이라 칭함)에서는 쇽업소버의 감쇠력 특성이 피스톤 및 바디의 통공에 주로 영향을 받는 것으로 경험상으로 확인되고 있는데, 고속작동구간에서 피스톤의 통공에 영향을 받는 이유는 피스톤의 통공은 디스크와는 달리 개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대신 그 직경이 대단히 미세하므로, 중 저속구간에서는 이를 통해 유체가 거의 흐르지 못하다가 고속 작동구간이 되면 비로소 유체가 흐를 수 있는 것이다.
즉, 본원발명에서의 제 3의 유로(12)(62)는 상시 개도 변화가 없고 미세한 유로이므로, 중저속 작동구간에서는 유체가 이를 통해 거의 흐르지 못하고, 고속작동구간이 되면 비로소 유체가 흐르게 되므로, 고속 작동구간에서의 감쇠력특성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이처럼 본 발명은 바디(60)의 디스크-s(64), 디스크(62), 피스톤(10)에 각각 형성되는 오리피스(14,16) 이외에 피스톤로드(20)와 핀(30)이 접촉되는 접촉부(21,31)에 제3의 유로(12,62)를 설치하여 상기 유로(22,62)통해 유압이 빠져나도록 구성됨으로써 도8과 같이 통과 유량이 종래보다 많게 되어 피스톤 속도에 따른 감쇠력 증가가 완만해지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기존의 쇽업소버 피스톤(10)과 바디의 피스톤로드(20) 및 핀(30)과의 접촉부에 일정한 크기로 되는 제3의 유로(12,62)를 추가로 설치하여 중,저속 구간에서는 흐르지 아니하고 일정 고속이상에서의 댐퍼내 고압이 작동시에는 상기 제3의 유로(12,62)를 통해 오일이 흐르게 하여 통과 유량을 증대시켜 피스톤 속도에 따른 감쇠력 증가를 완만하게 유도하여 감쇠력 증가를 완만하게 함으로써 내구성 향상과 더불어 제품의 수명이 크게 연장되는 등의 작용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리바운드측과 콤프레션측 오리피스가 각각 형성되어진 피스톤(10)과 바디(60)를 포함하는 감쇠력 가변형 쇽업소버에 있어서,
    쇽업소버의 피스톤(10) 및 바디(60)의 내측, 즉 피스톤로드(20) 및 핀(30)과 인접한 부위에 상시 개방되고 일정간격을 유지하는 미세유로인 제 3의 유로(12,62)가 형성되어, 감쇠력 특성이 피스톤(10), 유로(14)의 크기에 직접적 영향을 받는 피스톤로드의 고속왕복구간(고속작동구간)에서는 상기 제 3의 유로(12)를 통해 리바운드 챔버(40)내의 오일이 콤프레션 챔버(50)로 흐르고, 상기 제 3의 유로(62)를 통해서는 콤프레션 챔버(50) 내의 오일이 바디(60) 밖으로 흐르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쇠력 가변형 쇽업소버
KR10-1998-0052486A 1998-12-02 1998-12-02 감쇠력가변형쇽업소버 KR1004154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2486A KR100415459B1 (ko) 1998-12-02 1998-12-02 감쇠력가변형쇽업소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2486A KR100415459B1 (ko) 1998-12-02 1998-12-02 감쇠력가변형쇽업소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7749A KR20000037749A (ko) 2000-07-05
KR100415459B1 true KR100415459B1 (ko) 2004-04-21

Family

ID=195609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2486A KR100415459B1 (ko) 1998-12-02 1998-12-02 감쇠력가변형쇽업소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1545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9384B1 (ko) * 2000-12-12 2005-05-12 주식회사 만도 쇽 업소버의 극저속 피스톤 밸브
KR100736548B1 (ko) * 2002-02-20 2007-07-06 주식회사 만도 차고 조정식 쇽 업소버
KR100737150B1 (ko) * 2002-05-23 2007-07-06 주식회사 만도 쇽 업소버의 피스톤 밸브
KR100757808B1 (ko) * 2002-12-16 2007-09-11 주식회사 만도 쇽 업소버의 바디밸브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25240U (ko) * 1987-02-10 1988-08-16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25240U (ko) * 1987-02-10 1988-08-16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7749A (ko) 2000-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7660B1 (ko) 감쇠력 가변밸브 조립체 및 상기 감쇠력 가변밸브 조립체를 가지는 감쇠력 가변식 쇽업소버
CN101657651B (zh) 具有一个含基准阀门的连续可变阀的减震器
KR101594211B1 (ko) 쇽 업소버의 밸브 조립체
KR101254287B1 (ko) 가변유로를 갖는 쇽업소버의 밸브 구조
KR101131050B1 (ko) 쇽업소버
KR100415459B1 (ko) 감쇠력가변형쇽업소버
KR100489428B1 (ko) 쇽 업소버의 감쇠력 가변장치
KR100482108B1 (ko) 하이브리드 가변 감쇠력을 가지는 쇽업소오버
KR101761867B1 (ko) 감쇠력 가변형 쇽업소버
KR20090100545A (ko) 쇽업소버
KR100445990B1 (ko) 쇽 업소버의 피스톤 밸브
KR200287283Y1 (ko) 쇽업소버
KR100737150B1 (ko) 쇽 업소버의 피스톤 밸브
KR100880821B1 (ko) 쇽업소버
KR100376151B1 (ko) 쇽압쇼바의가변식유압댐퍼
KR100445985B1 (ko) 쇽 업소버의 밸브구조
KR101230549B1 (ko) 쇽업소버
KR100618637B1 (ko) 쇼크업소버용 밸브구조
KR100390751B1 (ko) 쇽업소버
KR20240015490A (ko) 주파수 감응형 쇼크 업소버
KR20000038373A (ko) 감쇠력 가변형 쇽업소버
KR100735475B1 (ko) 쇽 업소버의 극 저속용 피스톤 밸브
KR20240008777A (ko) 바디 밸브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주파수 감응형 쇼크 업소버
KR960004424Y1 (ko) 자동차의 쇽업소오버 감쇠벨브
KR950011795B1 (ko) 소음 저감형 쇽업소오버 밸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3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