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0947Y1 - 속 업저어버 (Shock absorber) 의 감쇄력 조정장치 - Google Patents

속 업저어버 (Shock absorber) 의 감쇄력 조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0947Y1
KR890000947Y1 KR2019860003159U KR860003159U KR890000947Y1 KR 890000947 Y1 KR890000947 Y1 KR 890000947Y1 KR 2019860003159 U KR2019860003159 U KR 2019860003159U KR 860003159 U KR860003159 U KR 860003159U KR 890000947 Y1 KR890000947 Y1 KR 89000094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ston rod
oil
hole
rod
pis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6000315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14727U (ko
Inventor
이길수
조순제
Original Assignee
이길수
조순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길수, 조순제 filed Critical 이길수
Priority to KR2019860003159U priority Critical patent/KR890000947Y1/ko
Publication of KR87001472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1472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094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0947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44Means on or in the damper for manual or non-automatic adjustment; such means combined with temperature corr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3207Constructional features
    • F16F9/3221Constructional features of piston ro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3207Constructional features
    • F16F9/3228Constructional features of connections between pistons and piston r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속 업저어버(Shock absorber)의 감쇄력 조정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이 설치된 속 업저어버의 일부 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요부 확대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외통 2 : 실린더
3 : 피스톤롯드 5,13,17 : 오일구멍
6 : 피스톤 7 : 원판밸브
9 : 중심공 10 : 조정롯드
11 : 조정너트 12 : 나조
본 고안은 자동차나 운동기구 또는 불규칙한 진동물체의 진동을 감쇄시켜 완충작용을 하는 속 업저어버의 감쇄력을 조정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차륜이 불규칙한 노면으로부터 받는 충격을 감쇄시키기 위한 완충장치인 유입식 쇽 업저어버가 장착되어 피스톤의 압축 또는 팽창작용에 의해 발생되는 유체의 저항으로 진동을 흡수하게 되어있는바 이러한 종래의 쇽 업저어버는 유체저항을 발생시키는 오일통로가 일정하여 제작시에 설정된 감쇄력, 즉 일정한 압축 흡수력과 팽창억제력을 가지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일정한도의 충격 설정치내에서만 그 기능이 발휘될뿐 일정 한계에 벗어나는 충격이 가해질때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없는 폐단이 있었다.
즉 예를 들어 화물을 적재하는 트럭의 경우 보통 화물의 최대적정량을 계산하여 쇽 업저어버의 감쇄력을 조절설치하게 되는바 이 조절된 중량보다 적은 중량으로 불규칙한 노면을 주행하게 되면 많은 화물을 적재하였을 때보다 많은 바운드현상이 발생되어 차체가 더욱 많이 요동되는 경우를 경험에 의해서 알 수 있는바 이러한 현상은 설정된 감쇄력과 일치하지 않아 충격을 완전히 흡수하지 못한 이유에서 발생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피스톤 상하의 오일실을 연통하는 종래의 오일통로외에 별도의 오일통로를 피스톤롯드에 뚫고 이 오일통로의 개폐는 물론 개구정도를 조절하여 감쇄력을 필요에 따라 조절할 수 있게 하므로서 종래의 결점을 일소한 것인데 이를 첨부 도면에 따라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외통(1)의 내부에 설치한 실린더(2)속에 피스톤롯드(3)를 삽설하여 선단에는장착링(4)을 착설하고 실린더(2) 내부의 타단에는 오일구멍(5)이 뚫린 피스톤(6)을 고착하여 오일구멍(5)의 전방에 여러장의 원판밸브(7)를 스프링(ε)으로 탄지시킨 것에 있어서 장착링(4)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연장시킨 피스톤롯드(3)의 중심에 길이방향으로 중심공(9)을 관통시켜 피스톤롯드(3)의 길이보다 약간 짧은 조정롯드 (10)를 유삽하되 조정롯드(10)의 일체로 고정시킨 조정너트(11)를 피스톤롯드(3)의 선단외면에 삭설한 나조(12)와 나합시키고 피스톤(6)전방의 피스톤롯드(3)에는 중심공(9)과 연통되는 조절용 오일구멍(13)을 뚫어 조정너트(11)의 회전에 의한 조정롯드(10)의 전, 후진 작동으로 조절용 오일구멍(13)을 개폐자재되게 한 구조로 된 것이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4´는 동체에 고착된 장착링이고 14는 기밀유지용 o링이며 15는 조정너트(11)가 피스톤롯드(3)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볼이고 16은 세트스크류이며 17은 오일구멍이고, A,B,C는 오일실이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은 오일실(A)(B)(C)에 오일을 주입하고 장착링(4)(4´)를 자동차의 프레임과 차축에 장착하여 사용하게 되는 것으로 그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통상의 쇽 업저어버의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피스톤롯드(3)가 압축되어 실린더(2)내부에서 하방으로 이동하므로서 오일실(B)내에 압력이 발생되면 오일실 (B)의 오일은 피스톤(6)의 오일구멍(5)을 통해 원판밸브(7)를 밀치고 오일실(A) 및 오일구멍(17)을 통해 오일실(C)로 유입되며 반대로 피스톤롯드(3)가 팽창되어 실린더(2)의 상방으로 상승되면 오일실(A)내의 오일은 팽창압력으로 휘어져 틈이 생긴 원판밸브(7)의 틈과 오일구멍(5)을 통해 오일실(B)로 이동되므로서 피스톤롯드 (3)의 승하강에 의한 오일의 저항으로 감쇄력을 발생시키는 것을 공지한 바와 같으나 본 고안은 피스톤롯드(3)의 중심에 길이방향의 중심공(9)을 뚫어 그 내부에 약간 짧은 길이의 조정롯드(10)를 유삽하고 피스톤(6)의 전방에 오일구멍(13)을 중심공(9)과 연통되게 뚫은 것이므로 오일실(A)와 (B)는 오일구멍(13) 및 피스톤 롯드(3)의 중심공(9)을 통해 서로 연통되어지며 조정롯드(10)와 일체로 부착된 조정너트(11)가 피스톤롯드(3)의 외면에 삭설된 나조(12)와 나합되어 있으므로 조정너트(11)를 회전하면 피스톤롯드(3)상에서 조정너트(11)가 좌우 이동되고 이와 일체로 연결된 조정롯드(10)가 피스톤롯드(3)의 중심공(9)속에서 전, 후진 작동을 하게 되므로 피스톤롯드(3)에 뚫은 오일구멍(13)을 개폐자재하게 된다.
따라서 감쇄력을 조절코자 할때는 조정너트(11)를 회전하여 조정롯드(10)로서 오일구멍(13)을 소망하는 크기만큼 개폐하면 되는 것인바 즉 조정너트(11)를 회전하여 조정롯드(10)로서 오일구멍(13)을 완전히 폐쇄하면 종전과 같은 기능을 가진 제품이 되고 일부 개폐하면 피스톤롯드(3)의 승강시 오일이 통상의 오일구멍(5)뿐만 아니라 중심공(9) 및 일부 개구된 조절용 오일구멍(13)을 통하여 오일실 (A)(B)로 서로 유입되어지므로 오일의 저항력을 조절할 수 있어 상대적으로 충격의 감쇄력을 증감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피스톤롯드(3)에 뚫은 중심공(9)과 오일구멍(13)을 통하여 오일실(A)(B)를 서로 연통시키되 조정롯드(10)로서 개폐되게 하므로서 필요에 따라 오일의 저항력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감쇄력을 사용물체에 따라 증감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외통(1)의 내부에 설치한 실린더(2)속에 피스톤롯드(3)를 삽설한 것에 있어서 장착링(4)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연장시킨 피스톤롯드(3)의 중심에 길이방향으로 중심공(9)을 관통시켜 피스톤롯드(3)의 길이보다 약간 짧은 조정롯드(10)를 유삽하되 조정롯드(10)의 일체로 고정시킨 조정너트(11)를 피스톤롯드(3)의 선단외면에 삭설한 나조(12)와 나합시키고 피스톤(6)전방의 피스톤롯드(3)에는 중심공(9)과 연통되는 조절용 오일구멍(13)을 뚫어 조정너트(11)의 회전에 의한 조정롯드(10)의 전, 후진 작동으로 조절용 오일구멍(13)을 개폐자재되게 한 쇽 업저어버의 감쇄력 조정장치.
KR2019860003159U 1986-03-15 1986-03-15 속 업저어버 (Shock absorber) 의 감쇄력 조정장치 KR89000094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03159U KR890000947Y1 (ko) 1986-03-15 1986-03-15 속 업저어버 (Shock absorber) 의 감쇄력 조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03159U KR890000947Y1 (ko) 1986-03-15 1986-03-15 속 업저어버 (Shock absorber) 의 감쇄력 조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14727U KR870014727U (ko) 1987-10-22
KR890000947Y1 true KR890000947Y1 (ko) 1989-03-27

Family

ID=192495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60003159U KR890000947Y1 (ko) 1986-03-15 1986-03-15 속 업저어버 (Shock absorber) 의 감쇄력 조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9000094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14727U (ko) 1987-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396294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position sensitive suspension damping
US4921080A (en) Hydraulic shock absorber
US20040094376A1 (en) Adjustable shock absorber
US6851528B2 (en) Shock absorber with adjustable valving
US6253888B1 (en) Shock absorber with acceleration sensitive damping control
CA2403419A1 (en) Shock absorber with a floating piston
KR890000947Y1 (ko) 속 업저어버 (Shock absorber) 의 감쇄력 조정장치
JP2000264277A (ja) フロントフォーク
KR100489081B1 (ko) 스티어링 장치의 시미와 킥백을 개선하기 위한 유압댐퍼
JPS5926817B2 (ja) 車輛用緩衝器
KR930005176Y1 (ko) 전기유압제어식 쇽업 소오버
CN220890912U (zh) 一种自行车避震器
KR960003117B1 (ko) 자동차의 쇽 업소오버
KR100298358B1 (ko) 유압을이용한쇼바
KR0143808B1 (ko) 감쇠력 조정식 쇽업소버
KR200153018Y1 (ko) 자동차의 충격흡수 장치
KR930005178Y1 (ko) 전기유압제어식 쇽업소오버
KR0162675B1 (ko) 쇽업쇼버의 소음방지 구조
KR930005177Y1 (ko) 전기유압제어식 쇽업 소오버
JPH11348865A (ja) フロントフォーク
KR940007879Y1 (ko) 자동차의 쇽 업소버 스톱퍼구조
KR870003211Y1 (ko) 철도 차량용 유압 완충기
JP2004052878A (ja) 車両用の油圧緩衝器
KR20070023294A (ko) 댐핑계수 조절 타입 쇽업소버를 갖는 차량용 현가장치
KR19990019899A (ko) 자동차의 스트러트형 쇽업소버 충격완화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