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2739Y1 - 감쇠력 조절식 자동차용 쇽업소버 - Google Patents

감쇠력 조절식 자동차용 쇽업소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2739Y1
KR200152739Y1 KR2019940025345U KR19940025345U KR200152739Y1 KR 200152739 Y1 KR200152739 Y1 KR 200152739Y1 KR 2019940025345 U KR2019940025345 U KR 2019940025345U KR 19940025345 U KR19940025345 U KR 19940025345U KR 200152739 Y1 KR200152739 Y1 KR 20015273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ck absorber
holes
damping force
inner cylinder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2534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0346U (ko
Inventor
김주년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201994002534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2739Y1/ko
Publication of KR96001034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034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273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2739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44Means on or in the damper for manual or non-automatic adjustment; such means combined with temperature correction
    • F16F9/46Means on or in the damper for manual or non-automatic adjustment; such means combined with temperature correction allowing control from a distance, i.e. location of means for control input being remote from site of valves, e.g. on damper external wall
    • F16F9/464Control of valve bias or pre-stress, e.g. electromagnetical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감쇠력 조절식 자동차용 쇽업소버에 관한 것으로서, 자동차의 차체에 받는 충격을 완화시키는 쇽업소버의 감쇠력을 도로조건에 따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승차감 향상 및 차량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이를 위해 본 고안은 내통(2)과 외통(3)으로 조합되는 쇽업소버(1)에 있어서, 상기 내통(2)으로는 직경이 다른 구멍(4a)(4b)이 구비되며 중앙부로는 오일을 일방향으로 유통시킬 수 있도록 논 리턴 밸브(7)가 설치되는 상판(4)과, 상기 구멍(4a)(4b)과 일치되게 통공(5a)(5b)이 구비되며 베이스밸브(8)(8')와 압축스프링(9)이 설치되는 중판(5)과, 상기 압축스프링(9)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측부분으로는 나사(10a)를 형성하고 하측부분으로는 종동기어(10b)를 형성한 조절부재(10)(10')가 설치되는 하판(6)과 상호 결합되어 설치되고, 상기 조절부재(10)(10')를 조종할 수 있도록 상기 하판(6)의 하측으로는 구동기어(11)를 장착한 모터(12)가 설치되어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감쇠력 조절식 자동차용 쇽업소버
제1도는 쇽업소버가 적용된 후륜측의 사시도.
제2도는 종래 쇽업소버의 동작을 나타낸 종단면도로,
(a)는 쇽업소버가 신장될 때의 상태도.
(b)는 쇽업소버가 압축될 때의 상태도.
제3도는 본 고안인 쇽업소버를 나타낸 종단면도.
제4도는 제3도의 A-A선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쇽업소버(SHOCK ABSORBER) 2 : 내통
3 : 외통 4 : 상판
4a, 4b : 구멍 5 : 중판
5a, 5b : 통공 6 : 하판
7 : 논 리턴 밸브(Non Return Valve) 8, 8' : 베이스밸브
9 : 압축스프링 10, 10' : 조절부재
10a : 나사 10b : 종동기어
11 : 구동기어 12 : 모터
본 고안은 감쇠력 조절식 자동차용 쇽업소버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구체적으로는 자동차 현가장치의 한 부품으로 자동차의 차체에 받는 충격을 완화시키는 쇽업소버의 감쇠력을 도로조건에 따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승차감 향상 및 차량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쇽업소버는 작동방식 및 차량의 종류에 따라 단동식과 복동식 및 봉입된 유체에 따라 오일 및 압축가스로서 작동되어지는데 현재 소형차 및 중형차에 주로 사용되고 있는 복동식은 쇽업소버가 압축되거나 신장될 때 차체의 상하진동을 흡수하도록 설계된 것이다.
종래에는 첨부도면 제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통(22)과 외통(23)으로 조합되어 보조탱크(30)의 공간이 형성되어지는 복동식 쇽업소버(21)에 있어, 상기 내통(22)의 상단부로는 피스톤(24)을 연결하는 피스톤로드(25)가 설치되고, 하단부로는 유압에 의해 개방되어지는 베이스밸브(28)가 설치된다.
상기 피스톤(24)의 중심으로는 유체의 역류를 방지할 수 있는 논 리턴 밸브(29)와 메인밸브(27)가 설치되고 하단부로는 압축스프링(26)이 장착되어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 쇽업소버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자동차 주행시 노면이 고르지 못한 길로 주행될 때 차체의 상하진동을 흡수하기 위해 내통(22)과 외통(23)으로 조합되어진 쇽업소버(21)는 압축 작용을 하게 된다.
이와 연계동작으로 내통(22)으로 설치된 피스톤로드(25)는 제2도 (b)에서 도시한 화살표 방향으로 눌리어지며 이에 따른 피스톤(24) 아래측의 오일은 논 리턴 밸브(29)를 개방시켜 피스톤(24) 상측으로 압축된 오일을 유출시킨다.
이때 피스톤로드 체적분의 오일은 상기 내통(22) 하단측으로 설치된 베이스밸브(28)를 통해 서서히 보조탱크(30)로 유출되면서 차체에 받았던 충격을 흡수하는 감쇠작용을 하게 된다.
상기한 동작의 반대작용으로 쇽업소버(21)가 신장을 할 때에는 제2(a)도에서 도시한 화살표 방향으로 피스톤로드(25)가 상측으로 당겨지게 되고, 피스톤(24)측의 논 리턴 밸브(29)는 닫혀져 피스톤(24) 상측의 오일은 오리피스(도면에서 생략)와 메인밸브(27)를 통해 피스톤(24) 하측으로 유출된다.
이때의 오일흐름의 저항에 의한 감쇠력이 발생되어 차체에 받는 충격을 2차적으로 완화시켜 주고 반복적으로 상측으로 이동된 피스톤로드(25)의 체적분에 해당하는 오일은 베이스밸브(28)를 거쳐 보조탱크(30)에서 내통(22)으로 유입된다.
상기와 같이 동작되는 종래의 쇽업소버에 있어서는 도로조건 및 주행 상태에 따라 감쇠력이 항상 일정하게 작용하므로 조절이 불가능하여 승차감이 떨어지는 반면 노면의 바닥면으로부터 돌출된 장애물과의 부딪힘으로 인해 차체 손상에 큰 피해가 뒤따르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하 본 고안을 일시시예로 도시한 첨부도면 제3도 및 제4도를 참고로 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제3도는 본 고안인 쇽업소버를 나타낸 종단면도이고, 제4도는 제3도의 A-A선 단면도로, 본 고안은 내통(2)과 외통(3)으로 조합되는 쇽업소버(1)에 있어서, 상기 내통(2)으로는 직경이 다른 구멍(4a)(4b)이 구비되며 중앙부로는 오일을 일방향으로 유통시킬 수 있도록 논 리턴 밸브(7)가 설치되는 상판(4)과, 상기 구멍(4a)(4b)과 일치되게 통공(5a)(5b)이 구비되며 베이스밸브(8)(8')와 압축스프링(9)이 설치되는 중판(5)과, 상기 압축스프링(9)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측부분으로는 나사(10a)를 형성하고 하측부분으로는 종동기어(10b)를 형성한 조절부재(10)(10')가 설치되는 하판(6)과 상호 결합되어 설치되고, 상기 조절부재(10)(10')를 조종할 수 있도록 상기 하판(6)의 하측으로는 구동기어(11)를 장착한 모터(12)가 설치된다.
상기 조절부재(10)의 상측부분은 왼나사로 형성하고, 상기 조절부재(10)와 대향되는 조절부재(10')의 상측부분은 오른나사로 형성되어 구성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차체의 충격에 따라 작동되는 쇽업소버(1)의 압축시에는 오일의 압력에 의해 상판(4) 중앙부로 설치된 논 리턴 밸브(7)가 닫혀지고 신장시에는 열려져 오일을 유통시키게 된다. 이때 중판(5)으로 설치된 베이스밸브(8)(8')는 신장시에 압축스프링(9)에 의해 둘다 닫혀지게 되고 압축시에는 내통(2)내의 오일압력이 압축스프링(9)의 장력보다 커지게 되어 상기 베이스밸브(8)(8') 중 약한쪽이 먼저 개방되며 이때의 오일은 외통(3)으로 유출되어진다.
한편, 상기 구멍(4a)(4b)을 닫고 있는 베이스밸브(8)(8')에 영향을 미치는 오일의 압력 및 압축스프링 장력이 동일하게 가해지면 상기 베이스밸브(8)(8')는 동시에 개방되면서 오일이 급속히 유출되어진다.
이때의 충격을 감쇠하는 쇽업소버(1)는 감쇠작용이 빨리 이루어져 감쇠력은 가장 작아지는 상태이다.
감쇠력의 크기는 상판(4)에 형성된 구멍(4a)만이 개방되어졌을 때 감쇠력이 가장 크게 작용하며, 그 다음으로는 상기 구멍(4a)과 직경이 다른 또하나의 구멍(4b)만이 개방되었을 때의 순서로 나타나게 된다.
여기서 베이스밸브(8)(8')의 개폐동작은 중판(5)의 통공(5a)(5b)으로 설치된 압축스프링(9)의 장력의 크기에 의해서 결정되어지고, 상기 압축스프링(9)의 장력은 하판(5)의 하측으로 설치된 구동기어(11)를 장착한 모터(12)의 회전으로 상기 하판(5)에 설치된 조절부재(10)(10')의 하측부분인 종동기어(10b)를 구동시켜 상기 조절부재(10)(10')를 첨부도면 제3도에서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상하조절되게 하여 압축스프링(9)의 장력을 조절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운전자가 도로의 노면상태에 따라 스위치(도면에서 생략)를 조작하게 되면 모터(12)에 의해 회전되는 조절부재(10)(10')는 상측부분이 왼나사와 오른나사로 형성되어져 상호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상하 직선운동을 하여 압축스프링(9)을 조절하여 상기 베이스밸브(8)를 개방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베이스밸브(8)와 대향되는 또하나의 베이스밸브(8')는 반대로 닫혀지는 상태로 작동되어 쇽업소버(1)의 감쇠력을 조종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종래 쇽업소버의 압축 및 신장작용으로 일정하게 작용하는 감쇠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노면이 고르지 못한 험한 길에서 차량 주행할 때의 쇽업소버의 압축시 감쇠력을 크게 작용시켜 차체의 하부가 노면의 돌출된 장애물과 부딪혀 손상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아울러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Claims (2)

  1. 내통(2)과 외통(3)으로 조합되는 쇽업소버(1)에 있어서, 상기 내통(2)으로는 직경이 다른 구멍(4a)(4b)이 구비되며 중앙부로는 오일을 일방향으로 유통시킬 수 있도록 논 리턴 밸브(7)가 설치되는 상판(4)과, 상기 구멍(4a)(4b)과 일치되게 통공(5a)(5b)이 구비되며 베이스밸브(8)(8')와 압축스프링(9)이 설치되는 중판(5)과, 상기 압축스프링(9)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측부분으로는 나사(10a)를 형성하고 하측부분으로는 종동기어(10b)를 형성한 조절부재(10)(10')가 설치되는 하판(6)과 상호 결합되어 설치되고, 상기 조절부재(10)(10')를 조종할 수 있도록 상기 하판(6)의 하측으로는 구동기어(11)를 장착한 모터(12)가 설치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감쇠력 조절식 자동차용 쇽업소버.
  2. 제1항에 있어서, 조절부재(10)의 상측부분은 왼나사로 형성하고, 상기 조절부재(10)와 대향되는 조절부재(10')의 상측부분은 오른나사로 형성하여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쇠력 조절식 자동차용 쇽업소버.
KR2019940025345U 1994-09-30 1994-09-30 감쇠력 조절식 자동차용 쇽업소버 KR20015273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25345U KR200152739Y1 (ko) 1994-09-30 1994-09-30 감쇠력 조절식 자동차용 쇽업소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25345U KR200152739Y1 (ko) 1994-09-30 1994-09-30 감쇠력 조절식 자동차용 쇽업소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0346U KR960010346U (ko) 1996-04-12
KR200152739Y1 true KR200152739Y1 (ko) 1999-07-15

Family

ID=193943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25345U KR200152739Y1 (ko) 1994-09-30 1994-09-30 감쇠력 조절식 자동차용 쇽업소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2739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21202352A1 (de) * 2021-03-11 2022-09-15 Thyssenkrupp Ag Schwingungsdämpfer mit einer Dämpfungskennlinie für ein Fahrzeu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0346U (ko) 1996-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66018A (en) Oscillation control apparatus for oscillation type vehicle
JP2003014026A (ja) フロントフォーク
KR200152739Y1 (ko) 감쇠력 조절식 자동차용 쇽업소버
JPH0719643U (ja) 車両用緩衝装置
KR100908002B1 (ko) 자동차의 진동 흡수력 조절용 쇽업쇼버
KR20020045826A (ko) 자동차의 쇽업소버
RU2149106C1 (ru) Комбинированная подвеска автомобиля
KR19990050310A (ko) 자동차 쇽 업소버 구조
KR19990020548A (ko) 차량용 쇽 업소오버 댐핑 조절장치
KR100482143B1 (ko) 감쇠력 제어수단을 갖춘 차량용 쇽업소버
KR100242933B1 (ko) 전기장을 이용한 자동차의 쇽 업소버 설치구조
US10300757B2 (en) Hydraulic mount apparatus and a suspension system that utilizes the hydraulic mount apparatus
KR20090055840A (ko) 자동차용 쇽업소버의 자세제어장치
KR970010361B1 (ko) 완충기
KR20050037743A (ko) 스테빌라이저 바 제어시스템
KR200303231Y1 (ko) 차량의 현가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쇽업소버
KR0176356B1 (ko) 자동차의 유압식 쇽 업소버
KR200162713Y1 (ko) 차량용 현가장치의 감쇠력 가변형 쇽 업소버
JPH0952507A (ja) 車両用サスペンション
KR0120421Y1 (ko) 감쇠력 조절형 충격 흡수기
KR0129313Y1 (ko) 자동차의 유압식 충격흡수장치
JPH032402Y2 (ko)
KR200260744Y1 (ko) 자동차용 차축 현가 장치
KR100482144B1 (ko) 자동차의 쇽업소버
KR960003117B1 (ko) 자동차의 쇽 업소오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32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